KR20130002140U -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140U
KR20130002140U KR2020120008390U KR20120008390U KR20130002140U KR 20130002140 U KR20130002140 U KR 20130002140U KR 2020120008390 U KR2020120008390 U KR 2020120008390U KR 20120008390 U KR20120008390 U KR 20120008390U KR 20130002140 U KR20130002140 U KR 201300021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ipe
component
mobile phone
earphon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 유안 차오
Original Assignee
치 유안 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 유안 차오 filed Critical 치 유안 차오
Publication of KR20130002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1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본 이어폰 장치는 본체, 발성부품, 음도관 및 귀마개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상기 발성부품은 소리를 낼 수 있으며, 상기 소리는 가운데가 빈 음도관을 통해 전달되어 마지막으로 귀마개를 통해 소리를 낼 수 있게 되며, 본 고안의 음도관과 귀마개는 모두 가운데가 빈 연성 재료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유연함, 편안함, 가벼움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고, 이로 인해 장 시간 귀에 걸어 사용을 해도 불편감이 없으며 또한 본 고안은 새로운 이어폰 구조를 제공하여 핸드폰 사용시 장기가 귀에 걸어 사용해도 편안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Headset for Mobile phone}
본 고안은 일종의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성부품에서 생성된 소리가 음도관을 거쳐 전송되어 마지막으로 귀마개를 통해 소리가 나오게 되는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를 말한다.
실시간으로 연락을 주고 받는 수단으로 핸드폰은 이미 대다수 현대인들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기본 장치 중 하나가 되었다. 손으로 핸드폰을 들고 통화하는 방식은 매우 간편하지만 다년 간의 연구 조사를 통해 핸드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뇌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며, 또한 운전 중이나 기타 일부 장소에서 핸드폰을 손으로 들고 통화하기가 불편하였다. 그로 인해 핸드폰을 구매할 경우, 대다수의 업체들이 핸드폰 전용 이어폰을 제공하게 되었고 이러한 핸드폰 전용 이어폰은 단시간 통화를 할 경우에는 상당히 편리하였으나 이어폰의 귀마개 내부가 경질 재료로 구성되어 무게가 무거웠으며 장시간 사용할 경우 귀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고안은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주요 목적은 개량된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여 귀에 접촉하는 부위를 유연하고 가겹고 그 내부에 금속 신호선이나 혹은 경질의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음도관 및 귀마개로 구성하여 이어폰을 장시간 귀에 걸고 있을 때에도 불편감을 주지 않는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이어폰 장치는 본체, 발성부품, 음도관, 귀마개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상기 본체는 전자전기회로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전기회로부품에는 소리를 낼 수 있는 발성부품이 설치되며, 상기 음도관은 상기 발성부품에서 나온 음파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끝단은 발성부품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음도관은 가운데가 빈 관체로 형성되며, 상기 귀마개는 상기 전달되어 온 소리를 내 보내는 입구로 사용되고, 상기 귀마개는 음도관의 끝 단에 설치되며, 상기 귀마개 역시 가운데가 빈 구조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상황은 상기 본체의 경우 그 전단에 순서대로 신호선과 삽입연결부를 설치하고, 상기 삽입연결부는 핸드폰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들어가며, 이를 통해 핸드폰의 소리가 상기 신호선과 삽입연결부를 통해 유선 방식으로 본체로 전달되게 된다.
바람직한 상황은 상기 본체의 경우 그 내부에 전자전기회로부품을 포함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전기회로판 및 관련된 전자 부품을 포함하고 있어 소리 등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상황은 상기 본체의 경우 버튼을 설치하여 소리를 수신 및 송신을 제어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바람직한 상황은 상기 본체의 전자전기회로부품에는 음성수신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음성수신부품은 마이크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리를 수신하게 된다.
바람직한 상황은 상기 본체의 전자전기회로부품에는 발성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발성부품은 소리를 내는 쪽의 소리를 내보낼 수 있으며 상기 발성부품은 스피커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상황은 상기 발성부품에는 나선관이 설치되고, 상기 나선관은 가운데가 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나선관의 작용은 소리를 효과적으로 장거리 전송을 하게 되며, 소리의 손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한 상황은 상기 나선관은 직관으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한 상황은 상기 나선관의 한 끝이 발성부품과 서로 연결 설치되고, 다른 한 끝은 음도관과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바람직한 상황은 상기 음도관은 가운데가 빈 관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음파를 한 끝에서 서로 대응되는 다른 한 끝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상황은 상기 음도관은 경질의 유연한 재료로 제작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플라스틱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상황은 상기 음도관의 끝단에는 귀마개가 설치되고, 상기 귀마개는 가운데가 빈 구조로 형성되어 소리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상황은 상기 귀마개는 경질의 유연한 재료로 제작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플라스틱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상황은 상기 나선관, 음도관 및 귀마개 중 어느 하나의 내부테두리 면에 반사재료를 도포할 수 있으며, 그 작용은 음파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음파 손실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방안은 상술된 본체에 신호선과 삽입연결부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전자전기회로부품 중에 무선 수신 및 발신 부품을 설치하며, 상기 무선 수신 및 발신 부품은 핸드폰과 무선 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무선 수신 및 발신 부품은 무선 전자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모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본 고안의 음도관과 귀마개가 모두 가운데가 빈 연성 재료료 제작되었기 때문에 유연함, 편안함, 가벼움 등의 장점을 얻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장시간 귀에 걸어서 사용해도 불편감이 없게 되며, 또한 본 고안인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는 기존의 구조에서 더욱 편안감을 주는 구조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장시간 귀에 걸어서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편안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입체 국부 분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국부 단면 구조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이다.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이다.
도면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도1과 도2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본 고안은 유선 방식의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삽입연결부(1), 신호선(2), 본체(3), 발성부품(4), 음도관(5), 귀마개(6)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상기 삽입연결부(1)는 핸드폰의 삽입구멍에 삽입되고(도면에는 미표시), 상기 신호선(2)은 그 한 끝이 삽입연결부(1)와 연결 설치되어 핸드폰의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본체(3)는 그 내부에 전자전기회로부품(31)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전기회로부품(31) 한 끝과 상기 신호선(2)의 한 끝은 서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전자전기회로부품(31)은 상기 신호선(2)의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3)에는 버튼(32)이 설치되어 소리 수신 및 송신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전자전기회로부품(31)에는 음성수신부품(33)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음성수신부품(33)은 마이크가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리를 수신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발성부품(4)은 상기 전자전기회로부품(31)과 전기적 연결을 하며, 상기 발성부품(4)은 소리를 낼 수 있고, 상기 발성부품(4)은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상기 발성부품(4)에는 또한 나선관(41)이 설치되며, 상기 나선관(41)는 가운데가 빈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음도관(5)은 그 한 끝이 상기 발성부품(4)과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음도관(5)은 가운데가 빈 관체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음파가 한 끝에서 서로 대응되고 있는 다른 한 끝으로 전달이 된다. 상기 음도관(5)은 경질의 유연한 재료로 제작되며, 실리콘, 고무 혹은 플라스틱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귀마개(6)는 상기 음도관(5)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귀마개(6)는 또한 가운데가 빈 구조로 형성되어 소리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귀마개(6)는 경질의 유연한 재료로 제작되며, 실리콘, 고무 혹은 플라스틱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전술된 나선관(41), 음도관(5), 귀마개(6) 중 어느 하나의 내부테두리 면에 반사재료(411, 51)를 도포할 수 있으며, 그 작용은 음파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음파 손실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구조로 형성된 본 고안을 핸드폰에 사용 시, 상대방이 낸 음성 신호가 삽입연결부(1), 신호선(2)을 통해 본체(3)로 전달되고 전자전기회로부품(31)를 통해 전자신호를 음파로 전환하여 발성부품(4)을 통해 내보내게 되며, 상기 음파는 음도관(5)을 통해 전송되어 마지막으로 귀마개(6)를 통해 나오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 음도관(5) 및 귀마개(6)가 모두 연성 재료로 제작되어 그 내부에 금속 신호선이나 혹은 경질의 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음도관 및 귀마개로 구성하여 이어폰을 장시간 귀에 걸고 있을 때에도 불편감을 주지 않는 이어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송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도3에서와 같이 본체(3) 내에 무선 수신 및 발신 부품(34)을 설치하고 상기무선 수신 및 발신 부품(34)은 핸드폰과 무선 신호 전송이 가능하며 최소한 무선 전자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모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도4에서와 같이 상기 나선관(41)이 직관(52)으로 형성된다.
이상 상술된 내용은 단지 본 고안의 특징과 장점 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고안 청구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정신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기타 변형 등의 과정을 통한 경우에도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모두 포함된다.
1 삽입연결부
2 신호선
3 본체
31 전자전기회로부품
32 버튼
33 음성수신부품
34 무선 수신 및 발신 부품
4 발성부품
41 나선관
411 반사재료
5 음도관
51 반사재료
52 직관
6 귀마개

Claims (6)

  1. 본체, 음도관, 귀마개를 포함하는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로서,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전자전기회로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전기회로부품에는 소리를 낼 수 발성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발성부품에서 나온 음파는 서로 대응되어 설치된 음도관으로 전송되며, 한 끝은 발성부품과 서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음도관은 가운데가 빈 관체로 형성되며,
    상기 귀마개는 음도관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낼 수 있으며, 상기 귀마개는 가운데가 빈 형태로 상기 음도관 끝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도관 및 상기 귀마개 모두 경질의 유연한 재료로 제작되며, 실리콘, 고무 혹은 플라스틱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성부품과 상기 음도관 사이에는 나선관이 설치되고, 상기 나선관은 가운데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성부품과 상기 음도관 사이에는 직관이 설치되고, 상기 직관은 가운데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관, 상기 음도관, 상기 귀마개 중 어느 하나의 내부테두리 면에 반사재료를 도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전기회로부품에는 음성 수신부품, 버튼, 무선 수신 및 발신 부품, 신호선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신호선 앞단에는 삽입연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
KR2020120008390U 2011-09-27 2012-09-19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 KR20130002140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20364496.2 2011-09-27
CN2011203644962U CN202261740U (zh) 2011-09-27 2011-09-27 音导式耳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40U true KR20130002140U (ko) 2013-04-04

Family

ID=46122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390U KR20130002140U (ko) 2011-09-27 2012-09-19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80011U (ko)
KR (1) KR20130002140U (ko)
CN (1) CN202261740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80011U (ja) 2012-11-29
CN202261740U (zh)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3433B2 (en) Earset assembly
US6810987B1 (en) Earbud headset
US7123737B2 (en) Ear clasp headset
US6574345B1 (en) Structure of a wearable and hands free earphone
US6671379B2 (en) Ear microphone apparatus and method
US9473842B2 (en) Earset
WO2004066599A1 (ja) 耳装着型の通話装置
US9107014B2 (en) Multifunctional earphone
KR101721157B1 (ko) 이어셋
EP2005720A1 (en) Headset audio accessory
JP2009232443A (ja) 受話装置
JP2010147982A (ja) リモコン付きステレオイヤホンマイク
KR101694706B1 (ko) 이어셋
KR200319629Y1 (ko) 헤드셋의 송화기 연결구조
KR20130002140U (ko) 핸드폰용 음도식 이어폰 장치
GB2362535A (en) Non-electrical headset link for mobile phones
KR20210088201A (ko) 블루투스 안테나를 포함한 귀걸이형 무선이어폰 실리콘커버
KR100882614B1 (ko) 방음송화부
KR101427120B1 (ko) 트라거스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
JP2004229147A (ja) 耳装着型の通話装置
KR101835353B1 (ko) 보청 기능을 갖는 마이크 내장형 이어폰
KR20040003096A (ko) 스피커와 마이크를 합체시킨 이어마이크로폰
KR100879989B1 (ko) 무선 리시버
KR200296816Y1 (ko) 스피커와 마이크를 합체시킨 이어마이크로폰
US20020051533A1 (en) Ergonomic apparatus for increasing safety during usage of a cellular telephone handset or hands-free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