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043A -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온라인 콘텐츠 정보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온라인 콘텐츠 정보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043A
KR20130002043A KR1020110063036A KR20110063036A KR20130002043A KR 20130002043 A KR20130002043 A KR 20130002043A KR 1020110063036 A KR1020110063036 A KR 1020110063036A KR 20110063036 A KR20110063036 A KR 20110063036A KR 20130002043 A KR20130002043 A KR 20130002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ist
screen
display
access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2011006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043A/ko
Publication of KR20130002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온라인 콘텐츠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의 온라인 콘텐츠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데 있어서, 목록 상에 있는 다른 콘텐츠로 전환하기 위해 목록 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없애고, 콘텐츠 표시 화면에서 다른 콘텐츠로의 전환 기능과 콘텐츠 스크롤링 기능을 같이 처리할 수 있는 방법 및 당해 콘텐츠 표시 방법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다른 콘텐츠로 전환하기 위해 매번 목록 화면으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운 단계가 없어 졌으며, 이로 인해,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버튼 클릭 횟수가 감소하고 사용자의 대기 시간이 감소됨으로써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편리성과 유용성을 대폭 증가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온라인 콘텐츠 정보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 OF ON-LINE CONTENTS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온라인 콘텐츠 정보 표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의 온라인 콘텐츠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데 있어서, 목록 상에 있는 다른 콘텐츠로 전환하기 위해 목록 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없애고, 콘텐츠 표시 화면에서 다른 콘텐츠로의 전환 기능과 콘텐츠 스크롤링 기능을 같이 처리할 수 있는 방법 및 당해 콘텐츠 표시 방법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의 확산에 힘입어, 그 어느 때 보다도 모바일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층이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현재 이러한 사용자의 급속한 확산에 편승하여, 많은 수의 온라인 기업들이 기존 PC 기반의 온라인 콘텐츠 및 온라인 쇼핑 기능을 스마트폰에서도 활용가능 하도록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사와 운영 플랫폼이 각기 다른 스마트폰들이 시장에 쏟아지면서, 이러한 스마트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준비하는 기업들은 각 스마트폰 기기별로 어플리케이션을 공급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필요한 개발 인력을 제 때에 구하지 못하고 있는 어려움에 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으로, 각 기업들은 HTML을 사용하는 웹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 후, 이를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 내장된 웹브라우저를 이용해 표시하는 형태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공급하고 있으나, 이는 스마트폰이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입력 방식의 장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기존 PC에서의 마우스 사용 패턴을 그대로 유지함으로 인해, 사용자들로부터 외면을 받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온라인 검색, 쇼핑몰 및 기타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도, 스마트폰에서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데 있어서, 일련의 콘텐츠들로 구성된 내용을 표시하는데 있어서, 목록 화면과 콘테츠 화면을 반복적으로 오고 가면서,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많은 번거로움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번거로움 외에도, 화면 크기가 작고 사용할 수 있는 버튼이 제한되어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는데 있어서의 사용자의 작동 시간이 일반 PC 상에서 사용하는 것에 비해 늘어나는 문제와 함께, PC에 비해 버튼 사용이 불편한 스마트폰에서 PC상에서 사용할 때 보다 많은 횟수의 입력 작업을 유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를 저해시키는 주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 상에서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의 온라인 콘텐츠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데 있어서, 목록 상에 있는 다른 콘텐츠로 전환하기 위해 목록 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없애고, 콘텐츠 표시 화면에서 다른 콘텐츠로의 전환 기능과 콘텐츠 스크롤링 기능을 같이 처리할 수 있는 방법 및 당해 콘텐츠 표시 방법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내용뿐 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온라인 콘텐츠 정보를 표시하는데 있어서,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의 온라인 콘텐츠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일련의 온라인 콘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주소들을 목록으로 생성한 후 목록 데이터 객체로 저장하는 단계와,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일련의 온라인 콘텐츠들 중에서 하나의 선택된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고 움직여, 화면 전환에 대한 입력을 생성하는 입력생성 단계와, 상기 입력생성 단계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고 움직이는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수평으로 판단되는 방향으로 움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저장된 상기 목록 데이터 객체로부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의 이전 순서의 콘텐츠에 대한 접속주소를 읽어오는 제1접속주소 로드단계와, 상기 입력생성 단계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고 움직이는 방향이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수평으로 판단되는 방향으로 움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저장된 상기 목록 데이터 객체로부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의 다음 순서의 콘텐츠에 대한 접속주소를 읽어오는 제2접속주소 로드단계와, 상기 제1접속주소 로드단계 또는 제2접속주소 로드단계에서 읽어온 네트워크 접속주소를 참조하여, 이전 또는 다음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생성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고 움직이는 방향이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판단되는 방향으로 움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 페이지를 스크롤하여 콘텐츠 페이지의 표시 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표시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온라인 콘텐츠 표시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의 온라인 콘텐츠들을 화면에 표시하는데 있어서, 현재 표시중인 콘텐츠를 목록 상에 있는 다른 콘텐츠로 전환하는 기능과 표시중인 콘텐츠의 스크롤링 기능을 동일한 화면에서 처리함으로써, 다른 콘텐츠로 전환하기 위해 매번 목록 화면으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운 단계가 없어 졌으며, 이로 인해,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버튼 클릭 횟수가 감소하고 사용자의 대기 시간이 감소됨으로써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편리성과 유용성을 대폭 증가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스마트폰에서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의 온라인 콘텐츠를 표시하게 위해, 목록 화면에서 콘텐츠 화면으로 전환하는 과정과 다른 콘텐츠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해 다시 목록 화면을 거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의 온라인 콘텐츠를 표시하는데 있어서, 목록상에 있는 다른 콘텐츠로 전환하기 위해 목록 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표시중인 콘텐츠 화면에서 사용자의 입력 방향에 따라 콘텐츠를 전환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목록 상에 있는 다른 콘텐츠로 전환하는 기능과 표시중인 콘텐츠의 스크롤링 기능을 같이 처리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입력 방향의 구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손가락을 대고 상하로 움직일 경우, 표시중인 콘텐츠에 스크롤링 기능이 적용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손가락을 대고 좌우로 움직일 경우, 목록상에 있는 다른 콘텐츠로 전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처리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의 온라인 콘텐츠를 표시하게 위해, 목록 화면(110)에서 콘텐츠 화면(120)으로 전환하는 과정과 다른 콘텐츠 화면(140)으로 전환하기 위해 다시 목록 화면(130)을 거치는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스마트폰에서의 화면 전환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은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의 온라인 콘텐츠를 표시하는 데있어서, 도 1과 같이 목록(110)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를 선택할 경우 해당 콘텐츠를 표시하는 화면(120)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른 콘텐츠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마트폰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 있는 버튼을 클릭하여 이전의 목록 페이지로 이동(110, 130)하게 되며, 목록의 다른 콘텐츠로 이동하기 위한 작업을 반복한다.
이러한 목록 화면과 콘텐츠 화면의 반복적인 이동 단계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온라인 콘텐츠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입력 작업의 증가와 대기 시간의 증가를 유발함에 따라,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에 많은 장애물이 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의 온라인 콘텐츠를 표시(210)하는데 있어서, 목록상에 있는 다른 콘텐츠(240, 260)로 전환하기 위해 목록 화면(210)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표시중인 콘텐츠 화면(220)에서 사용자의 입력 방향(250)에 따라 콘텐츠를 전환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재 표시중인 화면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을 이용해 콘텐츠 전환(250) 및 콘텐츠 스크롤링(220)을 같이 처리함으로써, 목록상에 있는 다른 콘텐츠(240, 260)로 전환하기 위해 목록 화면(210)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한 번의 작업으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목록 상에 있는 다른 콘텐츠로 전환하는 기능(320, 330)과 표시중인 콘텐츠의 스크롤링 기능(310)을 같이 처리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입력 방향의 구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손가락을 대고 움직이는 방향에 있어서, 상하로 움직일 경우(310), 표시중인 콘텐츠에 대해 스크롤링을 적용할 수 있으며, 손가락의 움직이는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일 경우(320), 목록에 있는 이전 순서의 콘텐츠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의 움직이는 방향이 우측에서 좌측일 경우(330), 목록에 있는 다음 순서의 콘텐츠로 전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손가락을 대고 상하로 움직일 경우(420), 표시중인 콘텐츠에 스크롤링 기능이 적용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손가락을 대고 좌우로 움직일 경우(520, 540), 목록상에 있는 다른 콘텐츠(530, 550)로 전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되는 처리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는 콘텐츠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들의 목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610)하고, 수신된 목록 정보를 전역 객체에 저장하는 단계(620)를 진행한다. 이때, 수신된 목록 정보에는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개별 콘텐츠들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수신된 콘텐츠 목록 정보를 기반으로 목록 화면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630), 사용자는 목록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해당 콘텐츠의 상세 정보 표시 화면으로 이동(640)한다.
그리고, 표시중인 콘텐츠 화면에서 사용자가 상하로 손가락을 움직일 경우, 표시된 화면에 스크롤링 기능을 적용하여 표시 영역을 이동시킨다(650).
사용자가 목록상의 다른 콘텐츠로 이동하기 위하여, 손가락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전역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목록 객체로부터 이전 순서의 콘텐츠 또는 다음 순서의 콘텐츠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주소를 읽어온다(660).
네트워크 접속주소를 정상적으로 읽어온 경우에는 해당 접속주소를 통해서 콘텐츠를 수신하고(670), 관련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68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목록으로 구성된 일련의 콘텐츠들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목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S710), 목록형태로 구성된 상기 정보를 전역변수에 객체로서 저장한다(S715).
상기 전역변수에 저장을 한 후, 수신된 상기 목록정보는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S720), 사용자가 목록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였을 경우, 해당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S725). 콘텐츠 표시 화면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이동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하며(S730),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손가락을 대고 움직일 경우, 움직이는 방향을 분석하여 콘텐츠의 이동 및 전환에 적용한다(S730).
상기 분석단계(S730)에서, 움직이는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수평 형태로 판단되는 방향으로 움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735), 저장된 상기 전역 개체로부터, 현재 표시중인 콘텐츠의 이전 순서의 콘텐츠 혹은 다음 순서의 콘텐츠에 대한 네트워크 접속주소를 읽어온다(S740). 네트워크 접속주소를 정상적으로 읽어온 경우, 해당 주소를 참조로 하여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 후(S745),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S725).
상기 분석단계(S730)에서, 움직이는 방향이 위에서 아래, 또는 아래에서 위로 수직 형태로 판단되는 방향으로 움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S750), 현재 표시중인 콘텐츠에 해당 방향으로 스크롤링을 적용한다(S755). 이후, 사용자로부터 입력 수신을 위해 대기하는 과정을 반복한다(S730).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온라인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스마트폰 외에도 기타 모바일 단말기 등 목록으로 구성된 온라인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시킬 수 있는 모든 휴대용 단말기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표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휴대용 단말기에서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의 온라인 콘텐츠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a)일련의 온라인 콘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주소들을 목록으로 생성한 후 목록 데이터 객체로 저장하는 단계;
    (b)목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일련의 온라인 콘텐츠들 중에서, 하나의 선택된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c)상기 콘텐츠 표시 화면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고 움직여, 화면 전환에 대한 입력을 생성하는 입력생성 단계;
    (d)상기 입력생성 단계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고 움직이는 방향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수평으로 판단되는 방향으로 움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저장된 상기 목록 데이터 객체로부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의 이전 순서의 콘텐츠에 대한 접속주소를 읽어오는 제1접속주소 로드단계;
    (e)상기 입력생성 단계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고 움직이는 방향이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수평으로 판단되는 방향으로 움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저장된 상기 목록 데이터 객체로부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의 다음 순서의 콘텐츠에 대한 접속주소를 읽어오는 제2접속주소 로드단계;
    (f)상기 제1접속주소 로드단계 또는 제2접속주소 로드단계에서 읽어온 네트워크 접속주소를 참조하여, 이전 또는 다음 콘텐츠로 전환하는 단계; 및
    (g)상기 입력생성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고 움직이는 방향이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수직으로 판단되는 방향으로 움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 페이지를 스크롤하여 콘텐츠 페이지의 표시 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콘텐츠 표시 방법.
  2. 제1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0063036A 2011-06-28 2011-06-28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온라인 콘텐츠 정보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002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036A KR20130002043A (ko) 2011-06-28 2011-06-28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온라인 콘텐츠 정보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036A KR20130002043A (ko) 2011-06-28 2011-06-28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온라인 콘텐츠 정보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043A true KR20130002043A (ko) 2013-01-07

Family

ID=4783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036A KR20130002043A (ko) 2011-06-28 2011-06-28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온라인 콘텐츠 정보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0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4044A (zh) * 2019-01-30 2019-06-11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预存方法、系统、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KR102093084B1 (ko) * 2019-12-30 2020-03-24 최현준 터치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93580B1 (ko) * 2019-08-26 2020-03-25 최현준 터치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4044A (zh) * 2019-01-30 2019-06-11 广州华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预存方法、系统、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09874044B (zh) * 2019-01-30 2021-07-16 广州方硅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预存方法、系统、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KR102093580B1 (ko) * 2019-08-26 2020-03-25 최현준 터치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93084B1 (ko) * 2019-12-30 2020-03-24 최현준 터치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48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pplications of mobile terminal
CN103733172B (zh) 用于文本选择/光标放置的自动缩放
US9201572B2 (en) A/B test configuration environment
Lobo et al. Web usability guidelines for smartphones: a synergic approach
JP6055961B2 (ja) テキスト選択及び入力
WO2018019169A1 (zh) 二维码识别方法、设备和移动终端
JP5796004B2 (ja) 携帯用機器のタッチ入力方法及び装置
WO2013084560A1 (ja) 電子文書の表示を行う方法、並びにその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50339018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reof
US20180232059A1 (en) Chinese character entry via a pinyin input method
US9495203B2 (en) Apparatus for selecting and displaying an operation user interface and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40380178A1 (en) Displaying interactive charts on devices with limited resources
JP2011238220A (ja) コンテキスト認識型ヘルプ・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8977966B1 (en) Keyboard navigation
CN105745612A (zh) 用于显示内容的重新调整大小技术
JP2014527673A (ja) ウィジェット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移動端末
CN103309573A (zh) 一种可单手操作的手持设备及其方法
CN103488372A (zh) 一种显示加载数据的方法及电子设备
US201600044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 screen in the electronic device
KR2013000204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온라인 콘텐츠 정보 표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4679389B (zh) 界面显示方法和装置
US201300829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ontents using touch, recording medium therefor, and user terminal having same
KR102255369B1 (ko) 대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1679778A (zh) 电子书评论信息的交互展示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Humayoun et al. Patterns for designing scalable mobile app user interfaces for multiple plat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