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937A -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937A
KR20130001937A KR1020110062872A KR20110062872A KR20130001937A KR 20130001937 A KR20130001937 A KR 20130001937A KR 1020110062872 A KR1020110062872 A KR 1020110062872A KR 20110062872 A KR20110062872 A KR 20110062872A KR 20130001937 A KR20130001937 A KR 20130001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ation
lost
ser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5910B1 (ko
Inventor
한규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9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의 분실 안심 서비스 요청에 따라 위치 제공 장치는 분실된 단말기로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하면 단말기는 무선랜 장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장치로 제공하고, 위치 제공 장치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신속하게 분실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 사생활 보호도 가능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osition of missing terminal}
본 발명은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와이파이(WiFi) 기능을 갖는 단말기가 분실된 경우 와이파이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를 이용하여 분실 폰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단말기의 분실로 인한 고객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시도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단말기 분실 시 가입자의 동의를 얻어서 단말기의 위치를 조회하여 가입자에게 위치를 알려주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단말기의 위치 조회는 단말기 내에 GPS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고, GPS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고 할지라도 GPS 측위는 약 반경 500m 정도로 낮은 측위의 정확도를 가지고 때문에 정확한 단말기 위치를 알기는 어렵다.
또한, GPS기능이 탑재된 단말기의 경우라 하더라도 GPS 측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통상적으로 단말기가 실내에 위치할 경우가 많기 때문에 GPS 측위 시도에서 측위 실패할 확률이 매우 높다. 이에 따라서 실제 분실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여 추적하는 서비스에 대한 고객 만족도가 매우 떨어지는 실정이다.
이뿐만 아니라, GPS 측위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게 되면 실제 분실 단말기의 가입자가 아닌 다른 가입자가 자신이 추적하고자 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도 있게 되므로 개인 사생활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실 단말기를 추적할 시 높은 측위의 정확도로 단말기를 추적할 수 있는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실 단말기 추적 시 단말기가 실내에 있더라도 단말기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실 단말기 추적 시 단말기 위치 추적을 위한 측위 소요 시간을 줄이기 위한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위치 추적 시 개인 사생활 침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은 분실된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분실 안심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분실된 단말기로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랜 장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제공 장치와,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 요청이 있으면 무선랜 장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장치로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위치 제공 장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와, 분실된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분실 안심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분실된 단말기의 교환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교환기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랜 장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말기는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무선랜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는 무선랜 에이전트와,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가 요청되면 상기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무선랜 에이전트를 통해 무선랜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한 장치로 상기 수집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방법은 분실된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분실 안심 서비스 요청에 따라 분실된 단말기의 교환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교환기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랜 장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가 요청되면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무선랜 에이전트를 통해 무선랜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분실 단말기 위치를 측위하기 위해 GPS 측위를 이용하게 되면 GPS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야만 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WiFi AP와 같은 무선랜 사용이 가능한 단말기이면 되므로 GPS 기능 탑재유무와 관계없다.
또한, GPS 측위 소요 시간 약 30초가 걸렸지만, 본 발명과 같이 무선랜 장치 즉, WiFi AP 측위를 이용하게 되면 AP측위 소요시간이 약 5초정도 걸려 훨씬 신속하게 측위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GPS 측위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경우 단말기 위치가 건물 내에 위치하게 되면 GPS 측위를 실패할 확률이 많이 발생하여 추적에 어려움이 있는 반면에, 본 발명과 같이 무선랜 장치의 측위를 이용하게 되면 건물바깥인 경우는 물론 GPS 측위가 실패하는 건물 내에서도 위치 정확도가 시내 도심 지역은 평균 40미터 정도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GPS 측위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게 되면 실제 분실 단말기의 가입자가 아닌 다른 가입자가 자신이 추적하고자 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도 있게 되므로 개인 사생활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분실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가입자의 필요에 의해 앱 스토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를 통해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기 때문에 개인의 사생활 침해 이슈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실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웨이크-업 이벤트(Wake-up event)를 등록하고, 백그라운드에서 주기적으로 자기 위치값을 망으로 전송하므로 만약에 있을 수 있는 단말의 전원이 꺼져 있을 경우에도 꺼지기 직전에 저장된 위치가 있기 때문에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단말기의 가입자인증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교체하여도 백그라운드에서 돌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된 단말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으로 계속 위치 전송을 하게 되므로 분실 시에도 신속히 단말의 회수를 도와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실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분식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분실 안심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실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분실 안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제공 장치에서 분실 안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은 단말기(100), 기지국(110), 홈 위치 등록기(121)를 포함하는 음성호 네트워크(120),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130), 위치 제공 장치(140),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50), 측위 제공 장치(160)를 포함한다.
단말기(100)는 인터넷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장치에 접속하여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다. 본 발명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구체적인 도면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분실폰 찾기를 위한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단말기 주변의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랜 장치의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분실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다. 이때, 무선랜 장치는 와이파이 통신 가능한 억세스 포인트(AP)와 같은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은 단말기(100)는 초기 동작 시 또는 파워 온(Power On)시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면서 안심 서비스를 기지국(110), 음성호 네트워크(120)와 위치 제공 장치(140)를 거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50)로 등록한다.
또한, 단말기(10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깨어나기 위해 웨이크-업(Wake-up) 이벤트를 등록하고, 파워 온 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웨이크-업(Wake-up)시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위치 제공 장치(14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웨이크-업 주기가 1시간이라면 1시간마다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주변 무선랜 장치 정보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130)를 통해 위치 제공 장치(140)로 전송한다.
그러면, 위치 제공 장치(140)는 단말기(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무선랜 장치 정보를 단말기(100)에 대응되도록 저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위치 제공 장치(140)는 주기적으로 저장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위치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기(100)는 백그라운드로 구동되는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단말 가입자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관리하여 가입자인증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변경되면 미리 설정된 장치로 가입자인증모듈이 변경되었음을 통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입자에게 가입자인증모듈이 변경되었음을 알릴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가입자인증모듈이 변경되면,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웨이크-업(Wake-up)되어 무선랜 장치 정보를 수집하여 위치 제공 장치(140)로 전송할 시 변경된 단말 가입자 번호로 수집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전송한다.
한편, 위치 제공 장치(140)는 분실 안심 서비스가 요청되면, 단말기(100)로 분실 안심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메시지는 왑 푸쉬 메시지(WAP PUSH Message)로 전송한다.
그러면,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100)는, 무선랜 장치 정보를 수집하여 그 결과를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130)를 통해 위치 제공 장치(140)로 전송한다.
위치 제공 장치(140)는 수신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랜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측위 제공 장치(160)에 요청하고, 측위 제공 장치(160)로부터 무선랜 장치의 측위 결과 즉, 무선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분실 안심 서비스를 요청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50)로 무선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알린다. 그러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가입자에게 단말기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무선랜 장치의 위치 정보를 통보하게 된다. 구체적인 위치 제공 장치(140)의 기능은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면 먼저, 단말기(100)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제어부(200), 송수신부(210), 입력부(220), 메모리부(230)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무선 랜 장치 정보를 수집하는 무선랜 에이전트(202)와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32)을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4)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32)을 다운로드 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4)는 다운로드 한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32)를 메모리부(230)에 저장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4)는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32)를 초기 구동할 시 또는 단말 파워 온 시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32)를 구동시켜 자신의 국제 이동 가입자 식별(ISM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정보를 읽어 메모리부(230)에 저장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4)는 주기적으로 가입자인증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의 변경여부를 검사하고, 만약 변경되면 송수신부(210)를 통해 미리 설정된장치로 SIM 변경을 통보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장치라 함은 해당 단말기(100)의 가입자가 자신의단말기의 가입자인증모듈의 변경사항을 알기 위해 미리 등록한 장치를 의미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4)는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32)를 초기 구동할 시 또는 단말 파워 온 시 송수신부(210)를 통해 위치 제공 장치(140)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50)로 분실 안심 서비스를 등록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4)는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초기 구동 시 푸쉬 메시지(Push Massage)를 인식할 수 있도록 미리 등록한다. 이와 같이 푸쉬 메시지를 사전에 인식할 수 있도록 등록하지 않으면 푸쉬 메시지 수신 시 정상적으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미리 등록하는 것이다.
또한, 분실 안심 서비스 등록 후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4)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232)을 구동시켜 무선랜 에이전트(202)를 통해 무선랜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여 송수신부(210)를 통해 위치 제공 장치(140)로 수집된무선랜 장치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분실 안심 서비스를 등록한 단말기(100)는 자신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무선랜 장치의 정보를 백그라운드에서 주기적으로 위치 제공 장치(140)로 전송하므로 단말기(100)의 전원의 오프 되더라도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4)는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가 요청되면 상기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무선랜 에이전트(202)를 통해 무선랜 장치의 정보 수집을 요청한다.
무선랜 에이전트(202)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4)로부터 무선랜 장치 정보 수집 요청에 따라 주변 무선랜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4)로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40)는 수집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송수신부(210)를 통해 위치 제공 장치(14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음성호 및 데이터 패킷 서비스 가능한 기기라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고, WiFi와 같은 무선랜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여야 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ccess), 노트북, 태블릿 PC, 휴대폰, 스마트 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위치 제공 장치(140)의 구체적인 내부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제공 장치(140)는 제어부(300), 통신 인터페이스(I/F)(302), 메모리부(304)를 포함한다.
제어부(300)는 통신 인터페이스(302)를 통해 분실 안심 서비스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분실 안심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가입자정보(MIN)를 확인한다. 이후, 확인된 단말 가입자 정보의 교환기(MSC)를 확인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302)를 통해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121)로 단말기(100)의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를 문의한다.
제어부(300)는 통신 인터페이스(302)를 통해 홈 위치 등록기(121)로부터 교환기 정보가 수신되면 그 교환기를 통해 해당 단말기로 분실 안심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300)는 통신 인터페이스(302)를 통해 단말기(100)로부터 무선랜 장치 정보가 수신되면, 통신 인터페이스(302)를 통해 측위 제공 장치(160)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전송하여 무선랜 장치 측위를 요청한다.
제어부(300)는 무선랜 장치 측위 요청에 대한 결과인 무선랜 장치의 위치 정보가 통신 인터페이스(302)를 통해 수신되면, 분실 안심 서비스를 요청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50)로 무선랜 장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에서 단말기 분실 시 분실 단말기를 추적하기 위한 과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5에서 단말기(100)는 분실 안심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고, 분실 안심 서비스를 등록한 단말기임을 가정한다.
먼저, 가입자가 단말기를 분실하여 분실 안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50)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50)로 분실 안심 서비스를 요청한다.
그러면,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위치 제공 장치(140)로 분실 단말기에 대한 분실 안심 서비스를 요청한다.(S500)
분실 안심 서비스를 요청 받은 위치 제공 장치(140)는 홈 위치 등록기(121)를 통해 분실 단말기의 교환기를 확인 요청한다.(S502)
그러면, 홈 위치 등록기(121)는 해당 분실 단말기의 교환기를 확인한 후 확인된 교환기 정보를 위치 제공 장치(140)로 전송한다.(S504)
이후, 위치 제공 장치(140)는 확인된 S504단계를 통해 확인된 교환기를 통해 분실 단말기(100)로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한다.(S506)
그러면,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4)에서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 요청에 따라 무선랜 에이전트(202)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요청한다.(S508)
무선랜 에이전트(202)는 주변 무선랜 장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4)로 제공한다. (S510)이때, 무선랜 장치 정보 수집 기술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4)는 제공받은 무선랜 장치 정보를 위치 제공 장치(140)로 전송한다.(S512)
위치 제공 장치(140)는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랜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측위 제공 장치(160)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전송하면서 무선랜 장치 측위 정보를 요청한다.(S514)
측위 제공 장치(160)는 수신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랜 장치의 위치를 측정한 후 측정된 무선랜 장치 위치 정보를 위치 제공 장치(140)로 전송한다.(S516)
이후, 위치 제공 장치(140)는 무선랜 장치 위치 정보를 단말기(10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04)로 전송하고(S518),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50)로 분실 안심 서비스 응답으로 무선랜 장치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S520)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50)는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에게 무선랜 장치의 위치 정보를 통보한다. 이때, 서비스 요청한 가입자에게 통보하는 방식은 가입자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할 시 사용된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고, 통보를 받기 위해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위치 제공 장치(140)와 측위 제공 장치(160)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하나의 장치로 통합 관리하여 분실 안심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단말기(100)로부터 무선랜 장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랜 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제 각각의 위치 제공 장치(140)와 단말기(100)에서 분실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랜 장치를 와이파이 억세스 포인트(WiFi AP)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에서 분실 단말기 추적을 위한 분실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한 후 구동시키면 위치 제공 장치(140) 및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150)로 분실 안심 서비스를 등록시킨다.(S600)
이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AP 정보를 수집하여 위치 제공 장치(140)로 수집된 AP 정보를 제공하고(S602), 국제 이동 가입자 식별(ISMI) 정보를 읽어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가입자인증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변경되는지 검사한다.(S604)
만약, 가입자인증모듈이 변경되면 가입자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가입자인증모듈이 변경되었음을 통보한다.(S606)
한편 가입자인증모듈이 변경되지 않으면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가 요청되었는지를 검사한다.(S608)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가 요청되면 AP 정보를 수집하여 개시를 요청한 장치로 수집된 AP 정보를 제공하고,(S610) S608 단계 검사결과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 요청이 없으면 S602 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하여 백그라운드로 분실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구동시킨다.
상기 도 6에서 고객정보 동의 절차 간소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 제품 생산 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생산될 수도 있고, 추후에 앱 스토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에서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의 단계들은 동의 절차 간소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명령어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과정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제공 장치(140)에서 분실 단말기 추적을 위한 분실 안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의 설명에서는 무선랜 장치가 AP인 경우임을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위치 제공 장치(140)는 분실 안심 서비스 등록 요청이 있으면(S700), 해당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분실 안심 서비스를 등록한다.(S702)
소정 분실 단말기에 대한 분실 안심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S704), 분실 단말기의 교환기를 확인하고(S706), 확인된 교환기를 통해 분실 단말기로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한다.(S708)
분실 단말기로부터 AP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S710), AP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AP 정보를 이용하여 AP 위치를 확인한다.(S712)
이후, 위치 제공 장치(140)는 확인된 AP 위치 정보를 분실 안심 서비스를 요청한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분실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분실 안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고, 분실 안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분실 단말기 주변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분실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게 하여 사용자 측면에서 신속하게 분실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 사생활 보호도 가능하여 만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서비스 분야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100: 단말기 110: 기지국
120: 음성호 네트워크 121: 홈 위치 등록기
130: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140: 위치 제공 장치
150: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160: 측위 제공 장치
200: 제어부 202: 무선랜 에이전트
204: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210: 송수신부
220: 입력부 230: 메모리부
232: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300: 제어부
302: 통신 인터페이스(I/F) 304: 메모리부

Claims (23)

  1. 분실된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분실 안심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분실된 단말기로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랜 장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제공 장치와,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 요청이 있으면 무선랜 장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장치로 제공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2.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와,
    분실된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분실 안심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분실된 단말기의 교환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교환기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랜 장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제공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공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분실 안심 서비스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해 분실 안심 서비스 등록사항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수신되는 무선랜 장치 정보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제공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랜 장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랜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무선랜 장치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제공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만료한 후에도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랜 장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메모리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무선랜 장치 정보들 중 마지막으로 저장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제공 장치.
  6. 제 2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장치는 엑서스 포인트(A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제공 장치.
  7. 제 2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할 시 푸쉬 메시지 포맷으로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제공 장치.
  8.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무선랜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는 무선랜 에이전트와,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가 요청되면 상기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무선랜 에이전트를 통해 무선랜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한 장치로 상기 수집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단말기 초기 동작 시 또는 파워 온 시 상기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분실 안심 서비스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분실 안심 서비스 등록 후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상기 무선랜 에이전트를 통해 무선랜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한 장치로 상기 수집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가입자인증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변경되면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장치로 SIM 변경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상기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초기 구동 시 푸쉬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미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분실된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분실 안심 서비스 요청에 따라 분실된 단말기의 교환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교환기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랜 장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소정 가입자 단말기에 대한 분실 안심 서비스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해 분실 안심 서비스 등록사항을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수신되는 무선랜 장치 정보를 상기 가입자 단말기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랜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무선랜 장치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만료한 후에도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랜 장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기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무선랜 장치 정보들 중 마지막으로 저장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방법.
  17. 제 13항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장치는 엑서스 포인트(A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를 요청할 시 푸쉬 메시지 포맷으로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방법.
  19. 분실 안심 서비스 개시가 요청되면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 단계와,
    무선랜 에이전트를 통해 무선랜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초기 동작 시 또는 파워 온 시 상기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분실 안심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21. 제 20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무선랜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무선랜 장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22. 제 19항에 있어서,
    가입자인증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 변경되면 미리 설정된 장치로 SIM 변경을 통보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안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초기 구동 시 푸쉬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미리 등록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10062872A 2011-06-28 2011-06-28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805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872A KR101805910B1 (ko) 2011-06-28 2011-06-28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872A KR101805910B1 (ko) 2011-06-28 2011-06-28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937A true KR20130001937A (ko) 2013-01-07
KR101805910B1 KR101805910B1 (ko) 2017-12-07

Family

ID=47834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872A KR101805910B1 (ko) 2011-06-28 2011-06-28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9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3415A (zh) * 2017-12-05 2018-05-04 四川知创空间孵化器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标签报警装置的报警方法
CN110555962A (zh) * 2019-09-06 2019-12-10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防盗装置、遗失物找回装置及防盗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727B1 (ko) * 2006-09-08 2008-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분실 단말기에 대한 회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3415A (zh) * 2017-12-05 2018-05-04 四川知创空间孵化器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标签报警装置的报警方法
CN110555962A (zh) * 2019-09-06 2019-12-10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防盗装置、遗失物找回装置及防盗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910B1 (ko)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43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ession info query for user plane location
EP22387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ervice capability information for user plane location
CN105075335B (zh) 用于无线通信网络中合作定位的方法和装置
JP6500059B2 (ja) 近接装置の利用
CN103404214A (zh) 移动蜂窝电信网络中移动终端的室内定位
KR20130028317A (ko) 위치 추적용 휴대용 단말기,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위치 추적 시스템
US8670425B1 (en) Use of past duration of stay as trigger to scan for wireless coverage
KR20120012943A (ko) Gps 신호 중계 태그를 이용한 실시간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KR101805910B1 (ko) 분실 단말기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05142102B (zh) 移动终端的定位方法及定位系统
JP6310233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54960B1 (e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selectively sending location update request to cellular network
JP6274110B2 (ja) 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移動局、サービス管理サーバ、移動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95713B2 (ja) 位置デバイスを搭載する携帯端末装置の動作を制御する方法、携帯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848415A (zh) 一种终端漫游时网络侧始发拜访地定位平台定位的方法
JP2009218814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接近検知方法、端末の検索装置、位置情報管理装置及び交換機
JP2008227688A (ja) 無線通信機、キー、通信システム、およびキー情報管理方法
CN106415689A (zh) 行人检测
WO2011083851A1 (ja) 移動局及び移動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