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807U - 휴대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807U
KR20130001807U KR2020110008154U KR20110008154U KR20130001807U KR 20130001807 U KR20130001807 U KR 20130001807U KR 2020110008154 U KR2020110008154 U KR 2020110008154U KR 20110008154 U KR20110008154 U KR 20110008154U KR 20130001807 U KR20130001807 U KR 201300018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upport
groove
hinge portion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059Y1 (ko
Inventor
한명숙
Original Assignee
한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숙 filed Critical 한명숙
Priority to KR2020110008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059Y1/ko
Publication of KR201300018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8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0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다양한 휴대기기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기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자세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보다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사각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배면 상단과 하단에는 억지끼움 형식으로 원통형의 힌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힌지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판넬과;
상단에는 상기 제1 힌지홈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제1 힌지부가 형성되고, 양측에서 수직 아래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다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의 대응하는 양측 면과 배면에는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1 지지대와;
하단에는 상기 제2 힌지홈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제2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부의 양측 중앙에는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부의 상부로는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의 사이 공간에 삽입될 폭으로 상부로 연장되되 상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대의 고정홈 중 하나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중앙은 길이방향으로 관통 연장되는 사각홈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홈의 상단에 인접하여 원통형의 제3 힌지부가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판넬과;
상단 후방으로 상기 제3 힌지부가 상응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제3 힌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사각홈에 삽입되는 제2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판넬의 하단 전방에서 후방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판넬의 제2 힌지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회전하는 제4 힌지연결부를 구비하고 전방 끝단은 상부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받침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기기 거치대{The cradle for portable display instrument}
본 고안은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다양한 휴대기기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기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자세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거치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보다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휴대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휴대용 기기라고 하면 휴대폰, 동영상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대표적인 몇 가지 기기를 떠올리게 되었으나 기술의 발전과 함께 많은 응용 기술들이 하나의 기기에 통합 관리되어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두 가지 만으로 전화통화에서 각종 영상이나 음악을 재생하고 디지탈 카메라와 결합하는 등 모든 기능을 소화하는 멀티플레이어의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기기는 이동할 때 가지고 다니는 기능이 전부가 아니라 사무실에서 혹은 집에서 TV나 동영상 그리고 웹 검색을 할 때 손에 들고 이용하기보다는 바닥에 놓거나 비스듬하게 기대어 놓고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하지만 휴대기기를 비스듬하게 거치한다고 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적절한 각도가 있으며 일 예로 책상 위에 놓고 사용할 경우에는 거의 수직에 가까운 각도가 가장 편하며 시선 아래인 키보드 정도의 높이일 경우 거의 평면에 가까울 경조로 뉘여지는 것이 가장 사용이 편하다.
따라서 휴대기기를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112970호 (2009년10월29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0047668호 (2008년05월30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종 휴대기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비스듬하게 세울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거치한 휴대기기가 쉽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기기 거치대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안은 사각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배면 상단과 하단에는 억지끼움 형식으로 원통형의 힌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힌지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판넬과;
상단에는 상기 제1 힌지홈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제1 힌지부가 형성되고, 양측에서 수직 아래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다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의 대응하는 양측 면과 배면에는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제1 지지대와;
하단에는 상기 제2 힌지홈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제2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부의 양측 중앙에는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부의 상부로는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의 사이 공간에 삽입될 폭으로 상부로 연장되되 상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대의 고정홈 중 하나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중앙은 길이방향으로 관통 연장되는 사각홈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홈의 상단에 인접하여 원통형의 제3 힌지부가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판넬과;
상단 후방으로 상기 제3 힌지부가 상응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제3 힌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사각홈에 삽입되는 제2 지지대와;
상기 베이스판넬의 하단 전방에서 후방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판넬의 제2 힌지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회전하는 제4 힌지연결부를 구비하고 전방 끝단은 상부로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받침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홈은 상기 휴대기기 거치대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넬의 걸림돌기가 안착되도록 하고;
그 하부로는 상기 지지다리의 사이를 상기 걸림돌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되 'N'자 형상의 굴절된 경로를 거치도록 하여 굴절된 부분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굴절 고정홈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판넬에는 거치되는 휴대기기의 배면과 밀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하는 실리콘링이 수평 방향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1 실리콘링 장착홈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휴대기기의 배면과 밀착하는 양측에 실리콘링이 수직 방향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실리콘링 장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판넬의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제1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각홈의 하단에는 후방에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지지대의 후방 방향으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과 전방에 상부로 소폭 돌출되어 삽입된 제2 지지대가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해야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돌출부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대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손잡이부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베이스 판넬의 경사각을 제1 지지대와 연결판넬과의 결합부를 조절하거나 제2 지지대를 이용하여 적어도 3가지 이상의 각도로 고정되도록 하여 휴대기기를 사용자가 가장 편한 각도로 세워놓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장착된 실리콘링에 의하여 휴대기기가 쉽게 미끄러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고정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고정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 고정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고정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로서, 사각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배면 상단과 하단에는 억지끼움 형식으로 원통형의 힌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힌지홈(11, 12)이 형성되는 베이스 판넬(1)과;
상단에는 상기 제1 힌지홈(11)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제1 힌지부(21)가 형성되고, 양측에서 수직 아래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다리(2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22)의 대응하는 양측 면과 배면에는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홈(23)이 형성되는 제1 지지대(2)와;
하단에는 상기 제2 힌지홈(12)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제2 힌지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부(31)의 양측 중앙에는 돌출된 고정돌기(32)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부(31)의 상부로는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2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될 폭으로 상부로 연장되되 상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대(2)의 고정홈(23) 중 하나에 삽입되는 걸림돌기(33)가 형성되고, 중앙은 길이방향으로 관통 연장되는 사각홈(34)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홈(34)의 상단에 인접하여 원통형의 제3 힌지부(35)가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판넬(3)과;
상단 후방으로 상기 제3 힌지부(35)가 상응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제3 힌지홈(41)이 형성되어 상기 사각홈(34)에 삽입되는 제2 지지대(4)와;
상기 베이스판넬(1)의 하단 전방에서 후방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판넬(3)의 제2 힌지부(31)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32)에 삽입회전하는 제4 힌지연결부(51)를 구비하고 전방 끝단은 상부로 돌출되는 걸림턱(52)이 형성되는 받침부(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면에서 나타내듯 본원은 일반적으로 휴대기기를 거치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베이스판넬(1) 및 받침부(5)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대(2)가 후방을 받쳐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하고 연결판넬(3)은 상기 베이스판넬(1)과 제1 지지대(2)를 연결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에서, 제2 지지대(4)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더욱 다양한 경사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일련의 부품은 납작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받침부(5)도 회전하여 접히도록 하였는데 이때 상기 방침부(5)의 걸림턱(52)은 양측 끝단에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판넬(1)과 제1 지지대(2)에는 상기 받침부(5)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였다.
이때 본원의 미설명 부호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이하 도면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고정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1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제2 고정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2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거치대에 적용되는 기울기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본원은 상기 고정홈(23)은 상기 휴대기기 거치대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넬(3)의 걸림돌기(33)가 안착되도록 하고;
그 하부로는 상기 지지다리(22)의 사이를 상기 걸림돌기(33)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되 'N'자 형상의 굴절된 경로를 거치도록 하여 굴절된 부분에서 상기 걸림돌기(33)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굴절 고정홈(24)을 추가로 구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이의 동작은 먼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넬(3)의 걸림돌기(33)가 고정홈(23)에서 빠져나오도록 한 후 상기 굴절 고정홈(24)을 통하여 내측으로 빠져나오도록 한 후 원하는 위치의 굴절 고정홈(24)의 굴절된 부분에 상기 걸림돌기(33)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판넬(3)의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제1 손잡이부(36)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넬(1)의 제1 힌지홈(11)에는 외측 회전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절개홈(14)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지지대(2)의 제1 힌지부(21)의 외경면에는 상기 절개홈(14)에 상응하는 이탈방지돌기(25)를 두어 조립 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일정 회전각도까지만 회전하도록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굴절 고정홈(24)의 경우 상기 도면에서는 두 개로 도시하였지만 그 이상의 수로 형성하여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고정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고정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제4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원에서 가장 구분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제2 지지대(4)의 활용에 대한 것을 나타내었다.
먼저 상기 연결판넬(3)에는 상기 사각홈(34)의 하단 후방에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지지대(4)의 후방 방향으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37)과 전방에 상부로 소폭 돌출되어 삽입된 제2 지지대(4)가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해야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돌출부(38)가 추가로 형성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제2 지지대(4)가 고정된 상태로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제2 지지대(4)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손잡이부(42)를 형성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제2 손잡이부(42)를 통하여 용이하게 뺄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상기 연결판넬(3)이 가장 낮은 곳의 굴절 고정홈(24)에 고정된 상태일 경우 비교적 낮은 각도로 휴대기기(6)가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라고 할 수 있으나 상기 제2 지지대(4)를 후방으로 펼칠 경우 각도가 거의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경사가 커지게 되어 주로 사용자의 눈높이와 같거나 높은 곳에 휴대기기(6)를 놓고 사용할 경우에 보다 편하게 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지지대(2) 및 연결판넬(3)이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대(4)를 펼칠 경우 거의 수평에 가까운 낮은 경사를 가지게 되어 시선보다 아주 낮은 곳에 놓고 사용할 때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휴대기기(6)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 예로 상기 베이스 판넬(1)에는 거치되는 휴대기기(6)의 배면과 밀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하는 실리콘링(7)이 수평 방향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1 실리콘링 장착홈(13)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5)의 휴대기기(6)의 배면과 밀착하는 양측에 실리콘링(7)이 수직 방향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실리콘링 장착홈(53)이 형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 이외에도 고무패드를 부분적으로 부착하는 방법으로도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나 상기 실시 예는 실리콘링(7)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분포하여 상하좌우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 : 베이스 판넬
11 : 제1 힌지홈 12 : 제2 힌지홈
13 : 제1 실리콘링 장착홈 14 : 절개홈
2 : 제1 지지대
21 : 제1 힌지부 22 : 지지다리
23 : 고정홈 24 : 굴절 고정홈
25 : 이탈방지돌기
3 : 연결판넬
31 : 제2 힌지부 32 : 고정돌기
33 : 걸림돌기 34 : 사각홈
35 : 제3 힌지부 36 : 제1 손잡이부
37 : 회전방지턱 38 : 이탈방지 돌출부
4 : 제2 지지대
41 : 제3 힌지홈 42 : 제2 손잡이부
5 : 받침부
51 : 제4 힌지연결부 52 : 걸림턱
53 : 제2 실리콘링 장착홈
6 : 휴대기기
7 : 실리콘링

Claims (4)

  1. 사각의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배면 상단과 하단에는 억지끼움 형식으로 원통형의 힌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힌지홈(11, 12)이 형성되는 베이스 판넬(1)과;
    상단에는 상기 제1 힌지홈(11)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제1 힌지부(21)가 형성되고, 양측에서 수직 아래로 길게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다리(22)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22)의 대응하는 양측 면과 배면에는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고정홈(23)이 형성되는 제1 지지대(2)와;
    하단에는 상기 제2 힌지홈(12)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제2 힌지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부(31)의 양측 중앙에는 돌출된 고정돌기(32)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부(31)의 상부로는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2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될 폭으로 상부로 연장되되 상단에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대(2)의 고정홈(23) 중 하나에 삽입되는 걸림돌기(33)가 형성되고, 중앙은 길이방향으로 관통 연장되는 사각홈(34)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홈(34)의 상단에 인접하여 원통형의 제3 힌지부(35)가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판넬(3)과;
    상단 후방으로 상기 제3 힌지부(35)가 상응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제3 힌지홈(41)이 형성되어 상기 사각홈(34)에 삽입되는 제2 지지대(4)와;
    상기 베이스판넬(1)의 하단 전방에서 후방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판넬(3)의 제2 힌지부(31)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32)에 삽입회전하는 제4 힌지연결부(51)를 구비하고 전방 끝단은 상부로 돌출되는 걸림턱(52)이 형성되는 받침부(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23)은 상기 휴대기기 거치대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넬(3)의 걸림돌기(33)가 안착되도록 하고;
    그 하부로는 상기 지지다리(22)의 사이를 상기 걸림돌기(33)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되 'N'자 형상의 굴절된 경로를 거치도록 하여 굴절된 부분에서 상기 걸림돌기(33)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굴절 고정홈(24)을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넬(1)에는 거치되는 휴대기기(6)의 배면과 밀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하는 실리콘링(7)이 수평 방향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제1 실리콘링 장착홈(13)이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5)의 휴대기기(6)의 배면과 밀착하는 양측에 실리콘링(7)이 수직 방향으로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실리콘링 장착홈(5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넬(3)의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제1 손잡이부(36)가 형성되고, 상기 사각홈(34)의 하단에는 후방에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지지대(4)의 후방 방향으로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37)과 전방에 상부로 소폭 돌출되어 삽입된 제2 지지대(4)가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해야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돌출부(38)가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대(4)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 손잡이부(42)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거치대.
KR2020110008154U 2011-09-07 2011-09-07 휴대기기 거치대 KR200467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154U KR200467059Y1 (ko) 2011-09-07 2011-09-07 휴대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154U KR200467059Y1 (ko) 2011-09-07 2011-09-07 휴대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807U true KR20130001807U (ko) 2013-03-15
KR200467059Y1 KR200467059Y1 (ko) 2013-05-24

Family

ID=52425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154U KR200467059Y1 (ko) 2011-09-07 2011-09-07 휴대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0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789A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리뉴메디칼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및 크라운 제조방법
KR102459714B1 (ko) * 2021-08-24 2022-10-26 김은혜 노트북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7757B2 (en) * 2001-09-14 2007-07-03 Wayo Co., Ltd Article support
JP2004070622A (ja) * 2002-08-06 2004-03-04 Casio Comput Co Ltd スタンド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789A (ko) * 2020-12-02 2022-06-09 주식회사 리뉴메디칼 3d 프린팅을 이용한 유치 및 크라운 제조방법
KR102459714B1 (ko) * 2021-08-24 2022-10-26 김은혜 노트북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059Y1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4372B2 (en) Multiple footprint stand for a tablet computer
US6819548B2 (en) Modular stand for laptop computer
US7702297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leaning
US9027747B2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KR200454217Y1 (ko) 거치수단이 구비된 모바일 아이티 기기용 케이스
US20100051775A1 (en) Stan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A2628873A1 (en) Portable and adjustable stand for laptop computers or other devices
US10330244B2 (en) Computer device holder
US10009449B1 (en) Support structure to enable use of tablet computer by persons with limited manual dexterity
KR200467059Y1 (ko) 휴대기기 거치대
KR101949296B1 (ko) 컴퓨터 데스크
US11778081B2 (en) Electronic device holder
JP6016592B2 (ja) 携帯情報端末機用ケース
KR20180000365U (ko) 기능성 독서대
KR20120002643U (ko) 모니터 받침 겸용 독서대
KR200461325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통신기기 수납용 지갑
KR20045443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탠드
KR200390084Y1 (ko) 일체형컴퓨터 거치대
KR20200001343U (ko) 분리형 휴대폰 거치대
JP3211107U (ja) 角度調整可能な分離机
KR20100005566U (ko) 와이드형 휴대폰 거치대
KR200485571Y1 (ko) 사물 거치홈이 형성된 협탁
KR20170004220U (ko)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구조.
US20220134241A1 (en) Mount for holding a handheld device
KR102421868B1 (ko) 다용도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