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461U -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461U
KR20130001461U KR2020110007685U KR20110007685U KR20130001461U KR 20130001461 U KR20130001461 U KR 20130001461U KR 2020110007685 U KR2020110007685 U KR 2020110007685U KR 20110007685 U KR20110007685 U KR 20110007685U KR 20130001461 U KR20130001461 U KR 201300014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tower
wire
fixed structur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표
Original Assignee
와바다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바다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바다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7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1461U/ko
Publication of KR20130001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4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에 이용되는 왕복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은, 해수면으로부터 제1 높이에 위치하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1 고정구조물; 제1 고정구조물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2 고정구조물; 제2 높이보다 낮은 제3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3 고정구조물; 제3 고정구조물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제1 높이와 제3 높이보다 높은 제4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4 고정구조물; 제2 고정구조물과 제3 고정구조물에 연결되어 이들 사이를 연장하는 제1 와이어; 및 제4 고정구조물과 제1 고정구조물에 연결되어 이들 사이를 연장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교차하는 형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ROUND-TRIP SYSTEM OF AN AIR DESCENT EXPERIENCE RIDE}
본 고안은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에 이용되는 왕복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관광이 경관 관광에서 익스트림(Extreme)을 즐기는 체험 관광 시대로 변모하는 시점에서 공중에서 하강하는 체험 시설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일례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공중을 날아 강이나 산 또는 바닷가를 횡단하는 체험 시설도 시설되고 있다.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에 있어서 체험객은 개인 장비를 착용하고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2011-0002301호의 "복수개의 와이어 및 트롤리를 이용한 이동 장치"에 기재된 이동 장치에 매달려 높이가 서로 다른 두 지점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 또는 로프를 타고 하강하며 강이나 계곡 또는 바다의 자연 환경을 즐길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편도 이동하는 시설로 설치되어 있어 체험객이 다시 출발지로 되돌아와야 하고, 체험객의 안전 장비도 다시 회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2011-0002301호(2011.03.08)
따라서, 본 고안은 하나의 타워에 출발지와 도착지를 함께 설치하여 타워의 위에서는 체험객이 출발하여 반대편 타워의 아래 도착지로 도착하고, 반대편 타워의 위에서도 체험객이 출발하여 현재의 타워 아래 도착지로 동시에 출발하고 도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 출발지와 도착지에서 체험객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왕복순환시킬 수 있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출발지에서 출발하고 여러 도착지로 도착하거나, 단일 출발지의 해발고도가 다른 적어도 두 지점에서 체험객을 출발시키거나, 단일 목적지의 해발고도가 다른 적어도 두 지점으로 체험객을 도착시킬 수 있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은, 해수면으로부터 제1 높이에 위치하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1 고정구조물; 제1 고정구조물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2 고정구조물; 제2 높이보다 낮은 제3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3 고정구조물; 제3 고정구조물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제1 높이와 제3 높이보다 높은 제4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4 고정구조물; 제2 고정구조물과 제3 고정구조물에 연결되어 이들 사이를 연장하는 제1 와이어; 및 제4 고정구조물과 제1 고정구조물에 연결되어 이들 사이를 연장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교차하는 형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은 제2 높이보다 높은 제5 높이에 바닥면을 가지고 제2 고정구조물에 구비되는 제1 상층구조물; 제3 높이보다 높고 제5 높이보다 낮은 제6 높이에 바닥면을 가지고 제3 고정구조물에 구비되는 제2 상층구조물; 및 제1 상층구조물과 제2 상층구조물에 연결되고 이들 사이를 연장하는 상층 와이어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은 제2 높이보다 낮은 제5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5 고정구조물; 제5 고정구조물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3 높이보다 높은 제6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6 고정구조물; 제2 고정구조물과 제5 고정구조물에 연결되고 이들 사이를 연장하는 제3 와이어; 및 제6 고정구조물과 제3 고정구조물에 연결되고 이들 사이를 연장하는 제4 와이어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고정구조물은 제1 타워, 제3 및 제4 고정구조물은 제2 타워, 그리고 제5 및 제6 고정구조물은 제3 타워를 각각 구성한다. 또한, 제1 와이어는 제1 타워에서 제2 타워로 하강하는 형태로 연장하고, 제2 와이어는 제2 타워에서 제1 타워로 하강하는 형태로 연장하고, 제3 와이어는 제1 타워에서 제3 타워로 하강하는 형태로 연장하고, 제4 와이어는 제3 타워에서 제2 타워로 하강하는 형태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타워는 제3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3 보조고정구조물을 더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고정구조물은 제1 타워, 그리고 제3 및 제4 고정구조물은 제2 타워를 구성하고, 제1 타워 및 제2 타워는 강가 또는 바닷가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 와이어는 강이나 바다 위를 연장하도록 설치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출발지 및 도착지를 겸하는 적어도 두 개의 타워를 이용함으로써 공중하강 체험시설에서 체험객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왕복순환시킬 수 있는 왕복순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출발지에서 출발하고 서로 다른 여러 도착지로 도착하거나, 단일 출발지의 해발고도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지점에서 체험객을 출발시키거나, 단일 목적지의 해발고도가 다른 적어도 두 지점으로 체험객을 도착시킬 수 있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왕복순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왕복순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왕복순환 시스템의 철근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왕복순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왕복순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왕복순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도착지 타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왕복순환 시스템이 채용된 바닷가의 개략적인 지형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왕복순환 시스템을 이용하는 체험객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왕복순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왕복순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왕복순환 시스템의 철근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의 편의상 도 2에는 제1 와이어(150)가 생략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100, 이하 간단히 "왕복순환 시스템"이라 한다)은 제1 고정구조물(110), 제2 고정구조물(120), 제3 고정구조물, 제4 고정구조물, 제1 와이어(150), 및 제2 와이어(16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고정구조물은 제2 고정구조물(120)과 함께 제1 와이어(150)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거리 또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1 고정구조물(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제4 고정구조물은 제1 고정구조물(110)과 함께 제2 와이어(160)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거리 또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2 고정구조물(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3 및 제4 고정구조물에 대한 상세 설명은 제1 및 제2 고정구조물(110, 12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왕복순환 시스템(100)은 지면(10)에 설치된 소정의 토목 기초나 하부구조물 상에 설치된다. 토목 기초나 하부구조물은 하중이나 외력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말뚝이나 기둥(101), 또는 지반 상에 바로 설치되는 철근콘크리트층(102)을 포함한다.
제1 고정구조물(110)은 해수면으로부터 제1 높이에 위치하는 바닥면(112)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구조물(110)은 H-빔 등을 포함하는 철근구조(114)에 의해 단층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제2 고정구조물(120)은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 바닥면(122)을 구비한다. 또한, 제2 고정구조물(120)은 제1 고정구조물(110)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고정구조물(120)은 제1 고정구조물(110)과 일체로 철근구조(124)에 의해 5층 구조로 설치되어 있고, 제2 높이에 위치하는 바닥면(122)은 5층 구조의 제2 고정구조물(120)에서 제5층의 바닥면에 대응한다(도 4 참조). 제2 고정구조물(120)은 사용자가 도착지가 위치하는 하부층에서 출발지가 위치하는 상부층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계단(126)과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128)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고정구조물(110)의 제1 바닥면(112)에서 제2 고정구조물(120)의 제2 바닥면(122)까지의 거리(이하, "제1 출발점 높이"라고 한다)는 제1 바닥면(112)으로부터 제1 고정구조물(110)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160)의 일단까지의 거리(이하, "제1 도착점 높이"라고 한다)는 제1 또는 제2 와이어의 길이에 따라 해수면을 기준으로 제1 또는 제2 와이어의 기울기가 약 1°내지 약 10° 정도인 것에 대응하거나 그 평균 하강 속도가 약 10㎞/h 이상이고 최대 하강 속도가 약 200㎞/h 이하에 대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제1 출발점 높이와 제1 도착점 높이의 관계는 제1 고정구조물(110)과 제4 고정구조물 간의 거리(이하, "하강 거리"라고 한다)에 따라 변동될 수 있지만, 하강 거리가 약 400M 정도이고 제1 도착점 높이가 약 2.5M일 때,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제1 도착점 높이로부터 제1 출발점 높이는 약 20M 이상에서 약 50M 이하로 더 높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출발점 높이가 해수면을 기준으로 제1 도착점 높이보다 약 20M 미만으로 높으면 와이어에 매달린 체험객이 중력 작용에 의해 하강할 때 하강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제대로 하강하지 못하고 매달려 있을 수 있고, 제1 출발지 높이가 약 50M를 초과하여 더 높으면 와이어에 매달린 체험객의 하강 속도가 너무 빠르거나 제2 고정구조물(120)의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제2 고정물(120)의 제5 층에 위치한 바닥면(122)에는 도움발판(123)이 설치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고정구조물(120)은 출발점으로서 제5 층에 위치하는 바닥면(122)이 와이어(150)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바닥면(122)의 적어도 일부 가장자리에는 체험객의 안전을 위한 난간(128a)도 함께 연장 설치된다. 또, 제2 고정구조물(120)은 철근구조(124, 124a, 124b)를 자체적으로 지지하는 고정와이어(129)를 구비한다. 고정와이어(129)는 제2 고정물(120)의 각 층의 각 면에 X-자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왕복순환 시스템(100)은 도착점으로서 단층 구조를 갖는 제1 고정구조물(110)의 전방으로 연장하는 도착데크(112a)를 구비할 수 있다. 도착데크(112a)는 도착점에 진입하는 체험객의 안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고정구조물(110)에서 제2 와이어(160)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전진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도착데크(112a)의 주변의 적어도 일부의 가장자리에는 체험객의 안전을 위한 난간(116)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왕복순환 시스템(100)은 제1 고정구조물(110)과 제2 고정구조물(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제3 고정구조물과 제4 고정구조물을 구비한다. 즉, 제3 고정구조물과 제4 고정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고정구조물(110)과 제2 고정구조물(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컨대, 제3 고정구조물은 제2 높이보다 낮은 제3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고, 제4 고정구조물은 제3 고정구조물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제1 높이와 제3 높이보다 높은 제4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제1 고정구조물(110)과 제2 고정구조물(120)은 단일 구조물의 타워(이하, "제1 타워"라고 한다)로 설치될 수 있고, 제3 고정구조물과 제4 고정구조물은 또 다른 단일 구조물의 타워(이하, "제2 타워"라고 한다)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와이어(150)는 제2 고정구조물(120)과 제3 고정구조물에 연결되어 이들 사이를 연장한다. 제2 와이어(160)는 제4 고정구조물과 제1 고정구조물(110)에 연결되어 이들 사이를 연장한다. 제1 와이어(150)와 제2 와이어(160)는 두 와이어가 입체 교차하는 지점에서 체험객이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1 및 제2 와이어(150, 160)는 소정 강도와 소정 두께의 스테인리스 강철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체험객은 하네스 등과 같은 개인 장비를 착용한 후 제1 와이어(150)에 매달려 제1 타워에서 제2 타워로 공중하강할 수 있고, 제2 타워에서 제2 와이어(160)에 매달려 공중하강하여 출발점인 제1 타워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즉, 왕복순환 시스템(100)은 체험객을 출발점에서 도착점으로 공중하강 체험코스를 통해 이동시킨 후 다시 공중하강 체험코스를 통해 도착점에 출발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왕복순환 시스템(200)은 앞서 설명한 왕복순환 시스템(100)의 구성에 더하여 제1 고정구조물의 제1 층 상에 제 2층으로 설치되는 상층구조물(이하, "제4 상층구조물"이라 한다), 제2 고정구조물의 제5 층 상에 제6 층으로 설치되는 상층 구조물(이하, "제1 상층구조물"이라 한다), 제3 고정구조물 상에 2층 형태로 설치되는 상층 구조물(이하, "제2 상층구조물"이라 한다), 제4 고정구조물 상에 6층 형태로 설치되는 상층 구조물(이하, "제3 상층구조물"이라 한다), 제1 상층구조물과 제2 상층구조물에 연결되고 이들 사이를 연장하는 상층와이어(150a, 이하, "제1 상층와이어"라고 한다), 및 제3 상층구조물과 제4 상층구조물에 연결되고 이들 사이를 연장하는 상층와이어(160a, 이하, "제2 상층와이어"라고 한다)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고정구조물(120a)은 제5 층의 제1 출발점과 제5 층의 제1 상층구조물에 설치된 제2 출발점을 구비하고, 제1 고정구조물은 제1 층의 제1 도착점과 제2 층의 제4 상층구조물에 설치된 제2 도착점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제1 상층구조물은 제2 높이보다 높은 제5 높이에 바닥면(122a)을 가지고 제2 고정구조물(120a)에 구비되고, 제2 상층구조물은 제3 높이보다 높고 제5 높이보다 낮은 제6 높이에 바닥면을 가지고 제3 고정구조물에 구비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3 상층구조물은 제4 높이보다 높은 제7 높이에 바닥면을 가지고 제4 고정구조물에 구비되고, 제4 상층구조물은 제1 높이보다 높고 제7 높이보다 낮은 제8 높이에 바닥면을 가지고 제1 고정구조물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왕복 복층 2회선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체험객을 출발점에서 도착점으로 공중하강시키고, 다시 도착점에서 출발점으로 공중하강시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왕복순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왕복순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왕복순환 시스템은 전술한 왕복순환 시스템(100)에 더하여 별도의 제5 고정구조물, 제6 고정구조물, 제3 와이어, 및 제4 와이어를 구비한다.
제5 고정구조물은 제2 고정구조물(120)의 제2 높이보다 낮은 제5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한다. 제6 고정구조물은 제5 고정구조물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3 고정구조물의 제3 높이보다 높은 제6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한다. 제3 와이어는 제2 고정구조물(120)과 제5 고정구조물에 연결되고 이들 사이를 연장하며, 제4 와이어는 제6 고정구조물과 제3 고정구조물에 연결되고 이들 사이를 연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고정구조물(110, 120)은 제1 타워(100a), 제3 및 제4 고정구조물은 제2 타워(100b), 그리고 제5 및 제6 고정구조물은 제3 타워(100c)를 각각 구성한다고 할 때, 제1 와이어(150)는 제1 타워(100a)에서 제2 타워(100b)로 하강하는 형태로 연장하고, 제2 와이어(160)는 제2 타워(100b)에서 제1 타워(100a)로 하강하는 형태로 연장하고, 제3 와이어(170)는 제1 타워(100a)에서 제3 타워(100c)로 하강하는 형태로 연장하고, 제4 와이어(180)는 제3 타워에서 제2 타워로 하강하는 형태로 연장한다. 여기에서, 하강하는 형태로의 연장은 도착점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는 출발점에서 중력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도착점을 향하여 연장하는 것을 지칭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왕복순환 시스템에 채용가능한 도착지 타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왕복순환 시스템(100b)은 복층 구조의 고정구조물 대신에 도착점이 수평 방향에서 추가 배치되도록 제2 타워 또는 제3 고정구조물의 제3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3 보조고정구조물(110a)을 더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왕복순환 시스템(100b)은 제3 보조고정구조물(110a)을 제외하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왕복순환 시스템(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도착점 구조는 제2 고정구조물(120)의 출발점 구조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왕복순환 시스템이 채용된 바닷가의 개략적인 지형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고안의 왕복순환 시스템을 이용하는 체험객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왕복순환 시스템에서는 바닷가나 강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의 타워(100a, 100b)를 설치하고, 바다(20) 위를 연장하도록 한 쌍의 타워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와이어(15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와이어(160)를 설치한다.
여기에서, 제1 타워(100a)는 제1 고정구조물(110) 및 제2 고정구조물(120)을 구비하고, 제2 타워(100b)는 제3 고정구조물 및 제4 고정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체험객은 바다(20)나 바닷가 위에서 와이어(150)에 매달려 아름다운 자연을 만끽하며 공중하강 체험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체험객은 공중하강 체험시설을 통해 출발점에서 도착점으로 간 후에 불편하게 걸어오지 않고 공중하강 체험시설을 다시 이용하여 처음 출발점으로 돌아올 수 있으므로, 편안하게 공중하강 체험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동행 체험객들에게 양측 출발점에 개별 출발하여 중간의 하늘에서 만나는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는 체험객이나 장비를 도착점에서 출발점으로 회수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력이나 장비의 관리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운영자는 출발점과 도착점이 일체로 설치된 타워를 설치함으로써, 출발점과 도착점이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부지 확보나 타워 설치를 위한 비용 등의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도면 등의 전체적인 기재를 참조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
110: 제1 고정구조물
112, 122, 122a: 바닥면
120: 제2 고정구조물
150: 제1 와이어
160: 제2 와이어

Claims (5)

  1. 해수면으로부터 제1 높이에 위치하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1 고정구조물;
    상기 제1 고정구조물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2 고정구조물;
    상기 제2 높이보다 낮은 제3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3 고정구조물;
    상기 제3 고정구조물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높이와 제3 높이보다 높은 제4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4 고정구조물;
    상기 제2 고정구조물과 상기 제3 고정구조물에 연결되어 이들 사이를 연장하는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4 고정구조물과 상기 제1 고정구조물에 연결되어 이들 사이를 연장하는 제2 와이어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교차하는 형태를 구비하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보다 높은 제5 높이에 바닥면을 가지고 상기 제2 고정구조물에 구비되는 제1 상층구조물; 상기 제3 높이보다 높고 제5 높이보다 낮은 제6 높이에 바닥면을 가지고 상기 제3 고정구조물에 구비되는 제2 상층구조물; 및 상기 제1 상층구조물과 상기 제2 상층구조물에 연결되고 이들 사이를 연장하는 상층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높이보다 낮은 제5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5 고정구조물;
    상기 제5 고정구조물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높이보다 높은 제6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6 고정구조물;
    상기 제2 고정구조물과 제5 고정구조물에 연결되고 이들 사이를 연장하는 제3 와이어; 및
    상기 제6 고정구조물과 제3 고정구조물에 연결되고 이들 사이를 연장하는 제4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구조물은 제1 타워, 상기 제3 및 제4 고정구조물은 제2 타워, 그리고 상기 제5 및 제6 고정구조물은 제3 타워를 구성하고,
    상기 제1 와이어는 제1 타워에서 제2 타워로 하강하는 형태로 연장하고,
    상기 제2 와이어는 제2 타워에서 제1 타워로 하강하는 형태로 연장하고,
    상기 제3 와이어는 제1 타워에서 제3 타워로 하강하는 형태로 연장하고,
    상기 제4 와이어는 제3 타워에서 제2 타워로 하강하는 형태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워는 상기 제3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바닥면을 구비하는 제3 보조 고정구조물을 더 구비하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구조물은 제1 타워,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 고정구조물은 제2 타워를 구성하고,
    상기 제1 타워 및 제2 타워는 강가 또는 바닷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강이나 바다 위를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
KR2020110007685U 2011-08-24 2011-08-24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 KR201300014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685U KR20130001461U (ko) 2011-08-24 2011-08-24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685U KR20130001461U (ko) 2011-08-24 2011-08-24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61U true KR20130001461U (ko) 2013-03-06

Family

ID=5242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685U KR20130001461U (ko) 2011-08-24 2011-08-24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146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339B1 (ko) * 2019-11-22 2020-11-09 주식회사 유경산업 짚라인 브레이크 작동방법
KR20210049249A (ko) * 2019-10-24 2021-05-06 주식회사 우성이엔씨 짚라인 브레이크 작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9249A (ko) * 2019-10-24 2021-05-06 주식회사 우성이엔씨 짚라인 브레이크 작동방법
KR102171339B1 (ko) * 2019-11-22 2020-11-09 주식회사 유경산업 짚라인 브레이크 작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159B1 (ko)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
US20090266267A1 (en) System for tower- and cable-based transportation structure
CN102226358A (zh) 螺旋升降观察塔
US20180080214A1 (en)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7447665A (zh) 一种自锚式悬索桥施工用猫道承载索的敷设方法
CN1170714C (zh) 城市空中立体行走钢结构网络平台系统
CN202117247U (zh) 消除斜撑作用的楼梯
CN107245935A (zh) 拱形塔立交桥
CN102691474A (zh) 维护平台
CN203247495U (zh) 一种人行索桥
CN105839511A (zh) 一种曲线独塔双索面的斜拉桥
CN205529883U (zh) 护栏装修平台
KR20130001461U (ko)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왕복순환 시스템
JP6344879B1 (ja) 橋梁構造物における吊足場の架設方法及び吊足場
KR102022083B1 (ko) 복합 지지 구조의 케이블 현수 보도교
CN102561192B (zh) 一种无墩悬挂式桥梁的建造方法
KR101794745B1 (ko) 비대칭 사장케이블에 의해 지지되는 반원형의 하늘길 교량
CN105755946A (zh) 拱形塔渐开曲面斜拉索主-匝道立交桥
CN109680598B (zh) 一种采用玻璃桥面的人行悬链桥
CN105625732A (zh) 超高悬挑钢结构桁架无支撑施工方法
CN104863344B (zh) 电梯安装装置、以及该安装装置的组装方法
CN205348005U (zh) 斜拉桥牵索挂篮的施工操作组合平台
CN204780558U (zh) 一种曲面梁吊装景观桥梁
CN107021199A (zh) 一种承载天文望远镜的环形浮空器
CN106864687A (zh) 一种自升式海上休闲度假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