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420A -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420A
KR20130001420A KR1020110062151A KR20110062151A KR20130001420A KR 20130001420 A KR20130001420 A KR 20130001420A KR 1020110062151 A KR1020110062151 A KR 1020110062151A KR 20110062151 A KR20110062151 A KR 20110062151A KR 20130001420 A KR20130001420 A KR 20130001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splay
location
display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권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2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1420A/ko
Publication of KR2013000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상기 표시의 형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POSITION OF US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화면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전면 카메라 등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영상을 방해하지 않고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 및 TV 등에서 사용자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기술들이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사용자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검출하는 기술은 다양하게 개발되었거나 개발되고 있으며,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들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기초로, 새롭고 창의적인 여러 응용 프로그램들이 사용자를 즐겁게 하거나 사용자에게 좀더 실감나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사용자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검출하여 이를 응용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기술은 여러 방면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위치 또는 움직임이 검출되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은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여러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이 프로그램들이 제대로 인식하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 또는 움직임을 검출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의 제안이 필요한 실정이고, 본 발명은 이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장치 또는 방법은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여러 방식으로 표시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상기 표시의 형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의 형상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의 길이, 두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상대적인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기준점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하 단부 중 어느 하나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좌우 단부 중 어느 하나에 반투명한 막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근접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줌인(zoom in) 또는 줌아웃(zoom out)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얼굴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표시의 형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얼굴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회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표시의 색을 변경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 또는 방법은,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영역이나 TV 방송 표시 영역에 방해를 주지않고, 사용자의 현재의 위치를 표시하여 적절한 위치로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의 잘못된 움직임으로 인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자신의 위치 검출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를 직관적인 표시 수단을 통해 표시하여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예컨대, LCD 또는 PDP TV일 수 있다. 도 1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TV로서 예를 들어 도시했으나, 이는 모바일 기기, 예컨대 셀룰러 전화기, PDA,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도 있다. 상기 장치(110)는 방송 컨텐츠 또는 응용 프로그램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10-1) 및 전면에 사용자의 위치 인식을 위한 전면부 카메라(1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 카메라(110-2)의 위치는 실시예마다 상이하며, 따라서 각 실시예 마다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에 적용될 오프셋(offset)을 조정해야 한다.
또한, 상기 장치(110)는 제어부(1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3)가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외부에 별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했으나, 제어부(110-3)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내장될 수도 있다. 제어부(110-3)는 상기 장치(11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며, 특히 전면부 카메라(110-2)로부터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거나 처리하여 이를 디스플레이(110-1)에 표시 또는 표시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표시된 구성 요소들의 구체적인 동작 또는 특징은 후술되는 영역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 및 이를 응시하고 있는 사용자를 도시한다. 도 2a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이하, "디스플레이 장치"라 함)(110)를 TV로서 예를 들어 도시했으나, 이는 모바일 기기, 예컨대 셀룰러 전화기, PDA,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응시한다. 사용자(120)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구비된 전면부 카메라(110-2)에 의해 검출되며,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방식은 본 발명과 무관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면부 카메라(110-2)는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검출하면 되므로, 예를 들어 CCD, CMOS, 적외선, 열탐지 카메라 등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전면부 카메라(110-2)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10) 마다 상이하므로, 사용자(12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오프셋(offset)을 통해 조정(calibrate) 작업이 필요하다. 전면부 카메라의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중심과의 상대적인 위치에 의해,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에 오프셋을 부가하여야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10) 상에는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111, 112)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표시(111, 112)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디스플레이(110-1)의 상부 및 좌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이는 디스플레이(110-1)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를 방해하지 않도록 반투명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위치는 도 2a 좌측의 3차원 축(x, y 및 z축)을 기준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120)의 위치를 3차원 축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가 x축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110-1) 상부의 표시(111)가 좌우로 이동하며, 사용자가 y축 상(높이 방향)에서 위아래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110-1) 좌측부의 표시(112)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2)가 z축 상에서 앞뒤로 이동하면(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의 변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110-1)에 표시된 표시(111, 112)의 길이, 두께, 투명도 또는 색깔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표시(111, 112)는 디스플레이(110-1)의 크기에 비해 꽤 크게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간편함을 위해 도시한 것으로 그 크기를 실제 크기에 맞춰 도시한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또한, 표시(111, 112)를 반투명하다고 언급했으나, "반투명"은 디스플레이(110-1)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를 방해하지 않기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반투명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어떠한 형태로든 표현될 수 있다. 각각의 표시(111, 112)의 중심에는 그 표시의 중심(111-1, 112-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a에서 도시된 상황은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전면 카메라(110-2)가 사용자를 검출 가능한 범위의 중심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하여 도시했다. 사용자의 위치는,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얼굴의 위치로 한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얼굴의 위치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를 통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널리 존재하기 때문이며, 물론 사용자의 얼굴이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전체로 한정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디스플레이(110-1)에 표시(111, 112)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120)는 자신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적절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위치 또는 움직임 정보를 사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는 경우에 사용자를 적절한 위치로 유도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1)에의 표시(111, 112)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기본 프로그램으로 수행되어 모든 응용 프로그램 등이 실행되는 경우에 항상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에만 상기 표시(111, 112)가 디스플레이된다면, 매번 표시(111, 112)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야하며, 이는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120)는 도 2a에서 도시된 상황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10) 측으로 이동한 채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110-1)를 응시하고 있다. 사용자(120)의 변경된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카메라(110-2)는 이를 검출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10) 측으로 다가온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10)는 상기 표시(111, 112)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111, 112)는 막대 그래프 모양이므로, 사용자(120)의 이동에 따라, 이 막대 표시의 길이, 두께, 위치 또는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막대 표시의 색을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표시(111, 112)의 모양은 막대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앞으로 도 2a의 사용자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지칭하도록 한다. 도 2b에서 사용자(120)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접근하였으므로,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110-1)에 표시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120)가 기준 위치보다 가까운 위치로 접근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10)와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상기 막대(111, 112)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와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상기 막대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10)와의 거리가 짧아질수록 상기 막대의 길이 및 두께를 모두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막대의 길이 또는 두께의 증가/감소가 가능하며, 이는 일 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사항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120)는 도 2a에서 도시된 상황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10)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한 채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110-1)을 응시하고 있다. 도 2c에서 사용자(120)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10)로부터 멀어졌으므로,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110-1)에 표시할 필요가 있다. 도 2b의 경우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기준 위치보다 먼 위치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10)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막대(111, 112)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c는 이를 도시하고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막대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10)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막대의 길이 및 두께를 모두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것과 유사하게, 상기 막대(111, 112)의 길이 및 두께를 모두 감소시킬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120)와 디스플레이 장치(1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막대(111, 112)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하며, 또한 이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이나 TV 프로그램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이용되는 경우 좀더 양호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120)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접근하는 경우에, 이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막대(111, 112)의 투명도를 변경할 수 있다. 최초의 기준 위치에서의 상기 막대(111, 112)의 투명도의 상대 값이 0이라면, 사용자(120)가 기준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접근하면 상기 투명도의 상대 값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접근할수록, 상기 막대(111, 112)의 투명도의 상대 값이 증가, 즉 점점 불투명해지도록 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10)로부터 떨어질수록, 상기 막대(111, 1112)의 투명도의 상대 값이 감소(음의 값으로), 즉 점점 투명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20)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접근하는 경우에, 이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막대(111, 112)의 색을 변경할 수 있다. 최초의 기준 위치에서의 상기 막대(111, 112)의 색이 흰색이라면, 사용자(120)가 기준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10)로 접근하면 상기 막대(111, 112)의 색을 녹색으로 변경하면서 접근 정도에 따라 색의 채도 또는 명도 등을 변경하고, 사용자(120)가 기준 위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10)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막대(111, 112)의 색을 적색으로 변경하면서 떨어짐 정도에 따라 색의 채도 또는 명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d는, 사용자(120)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바라봤을 때 오른쪽으로, 위쪽으로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10) 쪽으로 이동한 경우를 도시한다. 여기서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은, 사용자(120)의 얼굴의 위치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위로 이동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e는, 사용자(120)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바라봤을 때 왼쪽으로, 아래쪽으로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10)로부터 멀어진 경우를 도시한다. 여기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은, 사용자(120)의 얼굴의 위치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아래로 이동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d와 도 2e의 실시예들을 아래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d의 실시예에서, 사용자(120)가 디스플레이 장치(110)를 향해 오른쪽 위쪽으로 그리고 앞(시계방향으로 약 1시 방향)으로 다가가면, 전면 카메라(110-2)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해야 한다. 전면 카메라(1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표시(111, 112)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120)가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했으므로, 도 2d에서 도시된 것처럼, 표시(111)는 우측으로 이동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120)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위쪽으로 이동했으므로, 도 2d에서 도시된 것처럼, 표시(112)는 위쪽으로 이동해야 한다. 물론, 도 2a의 "기준 상태"에서 표시(112)를 좌측에 표시했지만, 도 2d처럼 사용자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우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표시(112)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110-1)의 우측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d에서, 표시(111, 112)가 디스플레이(110-1)의 우측 상단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10) 측으로 접근하였으므로, 상기 표시(111, 112)의 길이 또는 두께가 증가될 수 있거나, 또는 투명도가 진해지거나, 혹은 색이 변경될 수 있다.
도 2e의 실시예에서, 사용자(120)가 디스플레이 장치(110)에 대해 왼쪽 아래쪽으로 그리고 뒤(시계방향으로 약 7시 방향)로 이동하면, 전면 카메라(110-2)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전면 카메라(1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표시(111, 112)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120)가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했으므로, 도 2e에서 도시된 것처럼, 표시(111)는 좌측으로 이동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120)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했으므로, 도 2e에서 도시된 것처럼, 표시(112)는 아래쪽으로 이동해야 한다. 한편, 도 2a의 "기준 상태"에서 표시(111)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110-1)의 상단에 표시했지만, 도 2e처럼 사용자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좌측 아래쪽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표시(111)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110-1)의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e에서, 표시(111, 112)가 디스플레이(110-1)의 좌측 하단으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10)로부터 멀어졌으므로, 상기 표시(111, 112)의 길이 또는 두께가 감소될 수 있거나, 또는 투명도가 흐려지거나, 혹은 색이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장치(110) 앞의 사용자(120)의 위치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110-1)에 표시, 특히 디스플레이(110-1)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시청을 방해 또는 간섭하지 않고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컨텐츠의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자신의 위치 인식 여부를 직관적으로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증대하고 만족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a 및 3b는 사용자(120)의 시선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표시(111, 112)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한다. 사용자(120)의 시선의 움직임은 사용자(120)의 얼굴의 움직임을 포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120)는 얼굴의 움직임 없이 눈동자만을 이동하여 시선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표시(111, 112)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도 2a의 "기준 상태"에서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110-1)의 중심을 바라보고 있는 경우의 시선을 "기준 위치"로 삼아야 한다.
도 3a는 사용자(120)의 시선을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우측 하단으로 향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a에서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120)가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디스플레이(110-1)의 우측 하단을 바라보면, 표시(111)는 디스플레이(110-1)의 우측 하단 모서리로 이동하며 표시(112)도 디스플레이(110-1)의 우측 하단 모서리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사용자(120)와 디스플레이 장치(110)와의 거리는 사용자가 직접 이동해야 하므로(즉, 사용자의 시선에 의해 결정될 수 없음)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표시(111, 112)의 길이, 두께, 투명도 및 색깔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20)의 시선 또는 사용자의 얼굴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3b는 사용자(120)의 시선을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좌측 상단으로 향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3b에서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120)가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디스플레이(110-1)의 좌측 상단을 바라보면, 표시(111)는 디스플레이(110-1)의 좌측 상단 모서리로 이동하고 표시(112)도 디스플레이(110-1)의 좌측 상단 모서리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3a와 마찬가지로, 사용자(120)와 디스플레이 장치(110)와의 거리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결정되어, 표시(111, 112)의 길이, 두께, 투명도 및 색깔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c 및 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c 및 3d는 사용자의 시선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 얼굴의 기울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110-1)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점을 제어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는 도 2a 내지 도 2e, 도 3a 및 도 3b에서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에 따른 표시(111, 112)를 표시하는 것을 넘어, 좀더 응용된 방법을 도시한다.
도 3c는 사용자(120)가 오른쪽으로 시선을 돌린 경우, 즉 고개를 돌린 경우를 도시한다. 설명의 간단함을 위해, 사용자의 시선이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위 또는 아래로 움직였는지는 도시하지 않았다. 사용자(120)가 고개를 우측으로 돌리면,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디스플레이(110-1)에 표시된 영상의 시점이 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10-1)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도 2a 내지 2e, 도 3a 및 3b와는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최근에 서비스되고 있는 인터넷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 상의 거리뷰 또는 로드뷰에 의한 시점 변경의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활용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d는 사용자(120)가 왼쪽으로 시선을 돌린 경우, 즉 고개를 돌린 경우를 도시한다. 사용자(120)가 고개를 좌측으로 돌리면,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디스플레이(110-1)에 표시된 영상의 시점이 좌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10-1)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도 2a 내지 2e, 도 3a 및 3b와는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3c 및 3d의 실시예에서, 사용자(120)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미도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c 및 3d에는 명확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경우에도 도 3a 및 3b에서처럼 사용자(120)의 시선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디스플레이(11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120)의 시선 이동에 따른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시점 변경은 가상 현실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도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휘트니스 클럽에서 달리기 운동을 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가 대형 스크린(예컨대, 프로젝터에 의한 화면)을 바라보면서 런닝 머신(treadmill) 위를 달리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좌측으로 시선을 이동하거나 고개를 좌측으로 돌리면, 상기 대형 스크린에 투영되고 있는 화면의 시점도 좌측으로 회전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좌측으로 이동한 것으로 느껴질 수 있게 한다. 물론, 상기 대형 스크린에 투영되고 있는 화면은 이러한 상황을 전제로 수많은 경로에 대해 제작되어 있거나 촬영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지 않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최근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스크린 골프의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현재 고정 시점으로 구성되어 있는 골프장의 모습(화면 표시)을 사용자의 시선의 이동에 따라 시점을 변경하여 자유 자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체적 실시예는 사용자로 하여금 실 상황과 유사 또는 동일하게 환경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또는 단순히 "디스플레이") 앞에서 디스플레이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간섭하지 않고 디스플레이에 별도로 표시하기 위한 방법이다. 또한, 상기 방법은 도 1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110-1), 전면부 카메라(110-2), 또는 제어부(110-3)가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S410);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S420);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상기 표시의 형상을 변경하는 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S410)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 카메라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면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장치 앞에서 디스플레이를 응시하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내부의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 또는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것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S420)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대적인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기준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내의 지점일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앞의 공간의 일정 지점일 수 있다. 또한, 기준점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도 2a에서 도시된 것처럼 3차원 축(x, y 및 z축)을 이용하여 사용자위치를 상기 기준점에서의 x축 상의 거리, y축 상의 거리, 그리고 z축 상의 거리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대적인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기준점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의 x축 거리, y축 거리, 또는 z축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얼굴이 아니라 사용자의 양안의 위치까지의 거리로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는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면, 어느 것이든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표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S420)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하 단부 중 어느 하나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좌우 단부 중 어느 하나에 반투명한 막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상기 표시의 형상을 변경하는 단계(S430)는 상기 표시의 길이, 두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상기 표시가 막대 모양이라면, 상기 막대의 길이, 두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길이, 두께 및 위치 뿐만 아니라 투명도 또는 색깔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근접함에 따라, 즉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줌인(zoom in) 또는 줌아웃(zoom out)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위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얼굴의 기울기 또는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얼굴의 기울기 또는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얼굴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얼굴의 기울기 또는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이 작동하고 있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상기 표시의 색을 변경하여, 예컨대, 불투명한 검정색으로 변경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표시의 색뿐만 아니라 상기 표시가 깜박거리게 하거나, 투명도를 변경시키는 등의 사용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알릴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다른 정보들(예컨대,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을 표시하기 위한 변경 인자와 상이한 것을 사용해야 혼란이 유발되지 않을 것이다.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속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러한 실시예들은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임을 인식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수정 등이 가능함을 인식할 것이다.
110: 디스플레이 장치 110-1: 디스플레이
110-2: 전면부 카메라 110-3: 제어부

Claims (10)

  1.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상기 표시의 형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의 형상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의 길이, 두께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인 위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기준점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위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하 단부 중 어느 하나에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좌우 단부 중 어느 하나에 반투명한 막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근접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줌인(zoom in) 또는 줌아웃(zoom out)하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얼굴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표시의 형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얼굴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회전하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표시의 색을 변경하여 이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KR1020110062151A 2011-06-27 2011-06-27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001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151A KR20130001420A (ko) 2011-06-27 2011-06-27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151A KR20130001420A (ko) 2011-06-27 2011-06-27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20A true KR20130001420A (ko) 2013-01-04

Family

ID=4783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151A KR20130001420A (ko) 2011-06-27 2011-06-27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14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3515A (ja) * 2019-05-20 2022-07-25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マルチモードインターフェイスを提供するためのモバイルデバイスベースのレーダーシステム、およびそのための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33515A (ja) * 2019-05-20 2022-07-25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マルチモードインターフェイスを提供するためのモバイルデバイスベースのレーダーシステム、およびそのための方法
JP7407200B2 (ja) 2019-05-20 2023-12-28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マルチモードインターフェイスを提供するためのモバイルデバイスベースのレーダーシステム、およびそのため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62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control
US10217288B2 (en) Method for representing points of interest in a view of a real environment on a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therefor
US10943388B1 (en) Intelligent stylus beam and assisted probabilistic input to element mapping in 2D and 3D graphical user interfaces
JP4900741B2 (ja) 画像認識装置および操作判定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96651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CN108469899B (zh) 识别可穿戴显示装置的观察空间中的瞄准点或区域的方法
JP5604739B2 (ja) 画像認識装置および操作判定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36052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related multi-screen solution for augmented reality for use in performing maintenance
US9933853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program,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9979946B2 (en) I/O device, I/O program, and I/O method
JP5114795B2 (ja) 画像認識装置および操作判定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544556B2 (en) Projection control apparatus and projection control method
US10866820B2 (en) Transitioning between 2D and stereoscopic 3D webpage presentation
US20150378158A1 (en) Gesture registration device, gesture registration program, and gesture registration method
KR20160026323A (ko) 움직임에 기반하여 알림 정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906778B2 (en) Calibration device, calibration program, and calibration method
KR20150025115A (ko) 증강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14197066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137964A2 (en) Projection method
US10257500B2 (en) Stereoscopic 3D webpage overlay
US20190197666A1 (en) Receiving and displaying sensor data on a substantially spherical surface of a display device
US10171800B2 (en) Input/output device, input/output program, and input/output method that provide visual recognition of object to add a sense of distance
KR102278229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01420A (ko)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4235437A (ja)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