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115A - 커서 제어 장치, 커서 제어 방법 및 커서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커서 제어 장치, 커서 제어 방법 및 커서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115A
KR20130001115A KR1020120049444A KR20120049444A KR20130001115A KR 20130001115 A KR20130001115 A KR 20130001115A KR 1020120049444 A KR1020120049444 A KR 1020120049444A KR 20120049444 A KR20120049444 A KR 20120049444A KR 20130001115 A KR20130001115 A KR 20130001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ordinates
cursor
coordin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3648B1 (ko
Inventor
시노부 도키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15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1Cursor retrieval aid, i.e. visual aspect modification, blinking, colour changes, enlargement or other visual cues, for helping user do find the cursor in graphical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터치 패널에 의해, 당해 디스플레이와는 상이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커서 조작을 실현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 2 디스플레이 중 어느 것에 커서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커서의 표시 좌표를 기억하는 기억부, 제1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를 취득하는 취득부,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에 의거하여, 검출 좌표의 변위 벡터를 산출하는 산출부, 제1, 2 디스플레이 중, 커서를 표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를 식별하는 식별부, 제1 디스플레이에 커서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고, 제2 디스플레이에 커서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커서의 표시 좌표를 변위 벡터에 의해 변위시킨 좌표를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는 결정부를 구비하는 커서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서 제어 장치, 커서 제어 방법 및 커서 제어 프로그램{CURSOR CONTROL APPARATUS, CURSOR CONTROL METHOD AND CURSOR CONTROL PROGRAM}
본 발명의 기술은 커서 제어 장치, 커서 제어 방법 및 커서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에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접속하여, 당해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 영역을, 각각의 디스플레이로 분할하는 소위 멀티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멀티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는, 예를 들면 마우스나 터치 패드 등으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의거하여, 내장 디스플레이 및 외부 디스플레이 중 어느 것에 커서(포인터, 마우스 커서여도 됨)를 표시시킨다.
일본국 특개2007-156156호 공보
최근,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의 내장 디스플레이에 터치 패널을 탑재하여, 당해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에 의거하여, 내장 디스플레이에 커서를 표시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퍼스널 컴퓨터는, 터치 패널에 접촉시킨 손끝 바로 아래에 커서를 표시시키기 때문에, 터치 패드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외부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는 커서를 표시시킬 수 없다. 즉, 멀티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경우, 터치 패널에서는, 외부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서 커서 조작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외부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서 커서 조작을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외부 마우스 등을 접속해야만 된다.
개시한 기술은,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터치 패널에 의해, 당해 디스플레이와는 상이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커서 조작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한 기술의 일 관점에 의하면,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연속하는 가상 좌표 공간으로서 관리함과 함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어느 것에 커서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에 의거하여, 상기 검출 좌표의 변위 벡터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상기 커서를 표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커서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커서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상기 변위 벡터에 의해 변위시킨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는 결정부를 구비하는 커서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개시한 기술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터치 패널에 의해, 당해 디스플레이와는 상이한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커서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퍼스널 컴퓨터 및 외부 디스플레이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메인 메모리에 로드된 OS, 터치 패널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내장 디스플레이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및 외부 디스플레이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개략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의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제1, 제2 결정 프로세스의 모식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 제어의 기능 블록도(그 1).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 좌표를 결정하는 제1 결정 프로세스의 플로우 차트.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 제어의 기능 블록도(그 2).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내장 디스플레이 및 외부 디스플레이의 모식도.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의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제2 결정 프로세스의 플로우 차트(그 1).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의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제2 결정 프로세스의 플로우 차트(그 2).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의 천이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 제어의 기능 블록도.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 좌표를 결정하는 제1 결정 프로세스의 플로우 차트.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의 천이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1 실시형태]
도 1∼도 11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하드웨어 구성)
도 1, 도 2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퍼스널 컴퓨터(10) 및 외부 디스플레이(17)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퍼스널 컴퓨터(10) 및 외부 디스플레이(17)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메인 메모리(12)에 로드된 오퍼레이팅 시스템(20)(이하 OS(20)), 터치 패널(15)의 디바이스 드라이버(21), 내장 디스플레이(14)의 디바이스 드라이버(22), 및 외부 디스플레이(17)의 디바이스 드라이버(23)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10)는 주로, 중앙 처리 장치(11)(이하 CPU(11)로 함)와 메인 메모리(12)와 그래픽스 컨트롤러(13a, 13b)와 내장 디스플레이(14)와 터치 패널(15)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6)(이하 HDD(16)로 함)를 구비한다.
CPU(11), 메인 메모리(12), 그래픽스 컨트롤러(13a, 13b), 터치 패널(15), HDD(16)는, 버스(1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내장 디스플레이(14)는 그래픽스 컨트롤러(13a)에 접속되고, 외부 디스플레이(17)는 그래픽스 컨트롤러(13b)에 접속되어 있다.
CPU(11)는 본 퍼스널 컴퓨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DD(16)로부터 메인 메모리(12)에 로드된 OS(20), 터치 패널(15)의 디바이스 드라이버(21), 내장 디스플레이(14)의 디바이스 드라이버(22), 및 외부 디스플레이(17)의 디바이스 드라이버(23) 등의 각종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각종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메인 메모리(12)는 OS(20), 디바이스 드라이버(21, 22, 23)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메인 메모리(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제2, 제3 및 제4 기억부(107, 108, 109 및 115)로서 기능한다. 각각의 기억부(107, 108, 109 및 115)의 상세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래픽스 컨트롤러(13a)는 CPU(11)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내장 디스플레이(14)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래픽스 컨트롤러(13b)는 CPU(11)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외부 디스플레이(17)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그래픽스 컨트롤러(13a, 13b)는 CPU(11)에 내장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그래픽스 컨트롤러(13b)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0)에 USB 등에 의해 외부 부착되는 것이어도 된다.
내장 디스플레이(14)는 퍼스널 컴퓨터(10)에 탑재되어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17)는 퍼스널 컴퓨터(10)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의 화면 사이즈 및 해상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터치 패널(15)은 내장 디스플레이(14)의 표시 화면에 첩부(貼付)되어 있다. 터치 패널(15)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끝의 접촉 위치를 검출 좌표(Xp, Yp)로서 취득한다. 터치 패널(15)에 의한 검출 동작은, 디바이스 드라이버(21)에 의거하여 소정 시간마다 실행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터치 패널(15)에 접촉시킨 손끝을 이동시키면, 손끝의 궤적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검출 좌표(Xp, Yp)가 연속적으로 취득된다.
HDD(16)는 예를 들면 OS(20), 디바이스 드라이버(21, 22, 23)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HDD(16)는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 각각의 최소 좌표(Xmin, Ymin) 및 최대 좌표(Xmax, Ymax)를 기억하고 있다. 최소 좌표 및 최대 좌표의 상세는 후술하기로 한다.
(좌표 결정 프로세스)
도 3을 참조하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C)의 좌표 결정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C)의 표시 좌표(Xd, Yd)를 결정하는 제1, 제2 결정 프로세스(P1, P2)의 모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C)의 좌표 결정 프로세스에서는, 우선, 터치 패널(15)에 의해 취득되는 검출 좌표(Xp, Yp)에 의거하여, 퍼스널 컴퓨터(10)의 내부 처리에 사용하는 내부 좌표(Xi, Yi)를 결정한다(제1 결정 프로세스(P1)). 계속해서, 제1 결정 프로세스(P1)에 의해 결정된 내부 좌표(Xi, Yi)에 의거하여, 실제로 커서(C)를 표시시키는 표시 좌표(Xd, Yd)를 결정한다(제2 결정 프로세스(P2)). 제1, 제2 결정 프로세스(P1, P2)의 상세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터치 패널(15)에 의해 취득되는 검출 좌표(Xp, Yp)의 집합을 검출 좌표 공간으로 하고, 검출 좌표 공간에 규정되는 X축 정방향을 우, Y축 정방향을 하, 원점을 터치 패널(15)의 좌상(左上) 코너로 한다.
제1 결정 프로세스(P1)에 의해 결정되는 내부 좌표(Xi, Yi)의 집합을, OS(20)에 의해 관리되는 내부 좌표 공간(가상 좌표 공간)으로 하고, 내부 좌표 공간에 규정되는 X축 정방향을 우, Y축 정방향을 하, 원점을 내부 좌표 공간의 좌상 코너로 한다.
제2 결정 프로세스(P2)에 의해 결정되는 표시 좌표(Xd, Yd)의 집합을 OS(20)에 의해 관리되는 표시 좌표 공간(가상 좌표 공간)으로 하고, 표시 좌표 공간에 규정되는 X축 정방향을 우, Y축 정방향을 하, 원점을 표시 좌표 공간의 좌상 코너로 한다.
(커서 제어의 기능 블록(1))
도 4를 참조하면서, 터치 패널(15)에 의해 취득된 검출 좌표(Xp, Yp)에 의거하여, 내부 좌표(Xi, Yi)를 결정하는 기능 블록(1)을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 제어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10)는 표시 제어부(101)와 검출 좌표 취득부(102)와 변위 벡터 산출부(104)와 내부 좌표 결정부(105)와 표시 좌표 결정부(106)와 제1 기억부(107)와 제2 기억부(108)와 제3 기억부(109)를 포함한다.
표시 제어부(101)는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의 표시 영역을, 연속하는 가상 좌표 공간으로서 관리하고 있다. 가상 좌표 공간은 상호 직교하는 X축 및 Y축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의 표시 영역의 각 점은, 각각 가상 좌표 공간의 내부 좌표(Xi, Yi) 중 어느 것에 대응지어져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101)는 표시 좌표 결정부(106)에 의해 결정된 표시 좌표(Xd, Yd)를 그래픽스 컨트롤러(13a 또는 13b)에 통지하여,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 중 어느 것에 커서(C)를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표시 좌표(Xd, Yd)가 내장 디스플레이(14)의 좌표 범위이면, 표시 제어부(101)는 표시 좌표(Xd, Yd)를 그래픽스 컨트롤러(13a)에 통지하여, 내장 디스플레이(14)에 커서(C)를 표시시킨다. 한편, 표시 좌표(Xd, Yd)가 외부 디스플레이(17)의 좌표 범위이면, 표시 제어부(101)는 표시 좌표(Xd, Yd)를 그래픽스 컨트롤러(13b)에 통지하여, 외부 디스플레이(17)에 커서(C)를 표시시킨다.
검출 좌표 취득부(102)는 터치 패널(15)에 의해 소정 시간마다 검출되는 검출 좌표(Xp, Yp)를 취득하여, 당해 검출 좌표(Xp, Yp)를, 각각의 검출 시간과 대응지어 제3 기억부(109)에 기억시킨다.
변위 벡터 산출부(104)는 제3 기억부(109)에 기억되어 있는 검출 좌표(Xp, Yp)에 의거하여, 당해 검출 좌표(Xp, Yp)의 변위 벡터(V)를 산출한다. 변위 벡터(V)는, 터치 패널(15)의 표면에 접촉한,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끝의 이동 벡터에 상당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변위 벡터 산출부(104)는, 검출 좌표(Xp, Yp)에 의거하여 변위 벡터(V)를 산출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내부 좌표(Xi, Yi)에 의거하여 변위 벡터(V)를 산출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변위 벡터 산출부(104)는 제1 기억부(107)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로서의 CD값이 「1」일 경우에만, 즉 외부 디스플레이(17)에 커서(C)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만 변위 벡터(V)를 산출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CD값이 「0」일 경우, 즉 내장 디스플레이(14)에 커서(C)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변위 벡터(V)를 산출해도 된다.
내부 좌표 결정부(105)는 제1 기억부(107)에 기억되어 있는 CD값에 의거하여, 제3 기억부(109)에 기억되어 있는 최신 검출 좌표(Xp, Yp)와, 제2 기억부(108)에 기억되어 있는 표시 좌표(Xd, Yd) 및 변위 벡터 산출부(104)에 의해 산출된 변위 벡터(V) 중 어느 것을 참조하여, 내부 좌표(Xi, Yi)를 결정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예를 들면 CD=0이면, 제3 기억부(109)에 기억되어 있는 최신 검출 좌표(Xp, Yp)가 참조된다. CD=1이면, 제2 기억부(107)에 기억되어 있는 표시 좌표(Xd, Yd) 및 변위 벡터 산출부(104)에 의해 산출된 변위 벡터(V)가 참조된다.
표시 좌표 결정부(106)는 제1 기억부(107)에 기억되어 있는 CD값과, 내부 좌표 결정부(105)에 의해 결정된 내부 좌표(Xi, Yi)에 의거하여, 커서(C)의 표시 좌표(Xd, Yd)를 결정한다. 표시 좌표 결정부(106)의 상세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표시 좌표 결정부(106)는 내부 좌표 결정부(105)와 함께, 터치 패널(15)의 입력 정보와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커서(C)의 표시 좌표(Xd, Yd)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 기억부(107)는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 중, 커서(C)가 표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를 식별하는 CD값을 기억한다. CD값(=Current Disp.)은 「0」 혹은 「1」이며, 각각의 수치는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 중 어느 것에 할당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장 디스플레이(14)에 「0」을 할당하고, 외부 디스플레이(17)에 「1」을 할당한다. 따라서, 내장 디스플레이(14)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17)로 커서(C)가 이동했을 때, 및 외부 디스플레이(17)로부터 내장 디스플레이(14)로 커서(C)가 이동했을 때에는, CD값을 다시쓰기할 수 있다.
제2 기억부(108)는 표시 좌표 결정부(106)에 의해 결정된 최신 커서(C)의 표시 좌표(Xd, Yd)를 기억한다. 단, 제2 기억부(108)는 최신 커서(C)의 표시 좌표(Xd, Yd)뿐만 아니라, 표시 좌표 결정부(106)에 의해 결정된 복수의 표시 좌표(Xd, Yd)를 각각의 결정 시각과 대응지어 기억해도 된다.
제3 기억부(109)는 검출 좌표 취득부(102)에 의해 취득된 검출 좌표(Xp, Yp)를, 각각의 검출 시각과 대응지어 기억하고 있다.
표시 제어부(101), 검출 좌표 취득부(102), 변위 벡터 산출부(104), 내부 좌표 결정부(105), 및 표시 좌표 결정부(106)는, 각각 메인 메모리(12)에 로드된 OS(20)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21, 22, 23)에 의거하여, CPU(11)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제1 기억부(107), 제2 기억부(108) 및 제3 기억부(109)는 메인 메모리(12)에 구축된다.
(제1 결정 프로세스(P1))
도 5를 참조하면서, 터치 패널(15)에 의해 취득된 검출 좌표(Xp, Yp)에 의거하여, 내부 좌표(Xi, Yi)를 결정하는 제1 결정 프로세스(P1)를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 좌표(Xi, Yi)를 결정하는 제1 결정 프로세스(P1)의 플로우 차트이다.
예를 들면 커서(C)가 조작되어, 인터럽트 등이 발생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좌표(Xi, Yi)의 결정 프로세스가 개시된다.
결정 프로세스가 개시되면, 검출 좌표 취득부(102)는 터치 패널(15)에 의해 검출된 검출 좌표(Xp, Yp)의 취득을 개시한다(스텝 S201). 검출 좌표 취득부(102)에 의해 취득된 검출 좌표(Xi, Yi)는, 축차(逐次) 제3 기억부(109)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내부 좌표 결정부(105)는 제1 기억부(107)에 기억되어 있는 CD값이 「0」인지 「1」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202).
CD값이 「0」이면(스텝 S202의 Yes), 내부 좌표 결정부(105)는 제3 기억부(109)에 기억되어 있는 최신 검출 좌표(Xp, Yp)를 내부 좌표(Xi, Yi)로 한다(스텝 S203). 이상에서, 결정 프로세스(P1)가 종료한다.
한편, CD값이 「1」이면(스텝 S202의 No), 변위 벡터 산출부(104)는 제3 기억부(109)에 기억되어 있는 최신 검출 좌표(Xp, Yp) 및 그 이전에 기억된 검출 좌표(Xp', Yp')에 의거하여, 검출 좌표(Xp, Yp)의 변위 벡터(V)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내부 좌표 결정부(105)는 제2 기억부(108)에 기억되어 있는 커서(C)의 표시 좌표(Xd, Yd)를 변위 벡터(V)에 의해 변위시키고, 커서(C)의 내부 좌표(Xi, Yi)로 한다. 이상에서, 결정 프로세스(P1)가 종료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변위 벡터 산출부(104)는, CD값이 「1」일 경우에만 변위 벡터(V)를 산출하고 있지만, CD값이 「0」일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변위 벡터(V)를 산출해도 된다.
(커서 제어의 기능 블록(2))
도 6, 도 7을 참조하면서, 제1 결정 프로세스(P1)에 의해 결정된 내부 좌표(Xi, Yi)에 의거하여, 커서(C)의 표시 좌표(Xd, Yd)를 결정하는 기능 블록(1)을 설명한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 제어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의 모식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10)는 입력부(110)와 제1 판단부(111)와 제2 판단부(112)와 좌표 치환부(113)와 식별 정보 변경부(114)를 더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제1 기억부(107)에 기억되어 있는 CD값에 의거하여, 커서(C)를 표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즉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 중 어느 것의 최소 좌표(Xmin, Ymin) 및 최대 좌표(Xmax, Ymax)를 입력한다.
최소 좌표(Xmin, Ymin) 및 최대 좌표(Xmax, Ymax)는 OS(2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표시 좌표 공간으로 정의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HDD(16) 등에 기억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장 디스플레이(14)의 최소 좌표(Xmin, Ymin)를 각각 「0」, 「0」으로 하고, 최대 좌표(Xmax, Ymax)를 각각 「Xe」, 「Ye」로 하고 있다. 따라서, CD=0이면, 최소 좌표(Xmin, Ymin)로서, 각각 「0」, 「0」이 입력되고, 최대 좌표(Xmax, Ymax)로서, 각각 「Xe」, 「Ye」가 입력된다. 한편, CD=1이면, 최소 좌표(Xmin, Ymin)로서, 각각 「Xe+1」, 「0」이 입력되고, 최대 좌표(Xmax, Ymax)로서, 각각 「Xe+Xf」, 「Ye」가 입력된다.
제1 판단부(111)는, 최소 좌표 및 최대 좌표간에 규정되는 비(非)천이 영역(Ri)으로부터 내부 좌표(Xi, Yi)가 일탈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천이 영역(Ri)은 [Xmin+α∼Xmax-α]∩[Ymin+α∼Ymax-α]으로 정의된다.
「α」는 내부 좌표(Xi, Yi)가 내장 디스플레이(14) 혹은 외부 디스플레이(17)의 표시 영역의 단부(端部)에 해당하는지의 여부의 임계값이다. 즉, 내부 좌표(Xi, Yi)는 비천이 영역(Ri)으로부터 일탈해 있지 않을 경우, 내장 디스플레이(14) 혹은 외부 디스플레이(17)의 표시 영역의 단부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하고, 비천이 영역(Ri)으로부터 일탈해 있을 경우, 내장 디스플레이(14) 혹은 외부 디스플레이(17)의 표시 영역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α」로서는, 예를 들면 0 혹은 임의의 자연수를 채용하면 된다.
제2 판단부(112)는 내부 좌표(Xi)가 비천이 영역(Ri)으로부터 최소 좌표(Xmin)측으로 일탈했을 경우, 최소 좌표(Xmin)보다 작은 제1 좌표(Xmin-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는 내부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제2 판단부(112)는 내부 좌표(Yi)가 비천이 영역(Ri)으로부터 최소 좌표(Ymin)측으로 일탈했을 경우, 최소 좌표(Ymin)보다 작은 제1 좌표(Ymin-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는 내부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2 판단부(112)는 내부 좌표(Xi)가 좌표 범위(Ri)로부터 최대 좌표(Xmax)측으로 일탈했을 경우, 최대 좌표(Xmax)보다 큰 제2 좌표(Xmax+α)가, OS(20)가 관리하는 내부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제2 판단부(112)는, 내부 좌표(Yi)가 좌표 범위(Ri)로부터 최대 좌표(Ymax)측으로 일탈했을 경우, 최대 좌표(Ymax)보다 큰 제2 좌표(Ymax+α)가, OS(20)가 관리하는 내부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최소 좌표(Xmin)보다 작은 제1 좌표(Xmin-α)가 내부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 것은, 대상 디스플레이의 좌측에도 내부 좌표 공간이 존재하고 있는 것, 즉 대상 디스플레이의 좌측에 다른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소 좌표(Ymin)보다 작은 제1 좌표(Ymin-α)가 내부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 것은, 대상 디스플레이의 상측에도 내부 좌표 공간이 존재하고 있는 것, 즉 대상 디스플레이의 상측에 다른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대 좌표(Xmax)보다 큰 제2 좌표(Xmax+α)가 내부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 것은, 대상 디스플레이의 우측에도 내부 좌표 공간이 존재하고 있는 것, 즉 대상 디스플레이의 우측에 다른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대 좌표(Ymax)보다 큰 제2 좌표(Ymax+α)가 내부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 것은, 대상 디스플레이의 하측에도 내부 좌표 공간이 존재하고 있는 것, 즉 대상 디스플레이의 하측에 다른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좌표 치환부(113)는, 제1 좌표(Xmin-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좌표일 경우, 제1 좌표(Xmin-α)를 커서(C)의 표시 좌표(Xd)로 한다. 마찬가지로, 좌표 치환부(113)는, 제1 좌표(Ymin-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는 좌표일 경우, 제1 좌표(Ymin-α)를 커서(C)의 표시 좌표(Yd)로 한다. 또한, 좌표 치환부(113)는, 제2 좌표(Xmax+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는 좌표일 경우, 제2 좌표(Xmax+α)를 커서(C)의 표시 좌표(Xd)로 한다. 마찬가지로, 좌표 치환부(113)는, 제2 좌표(Ymax+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는 좌표일 경우, 제2 좌표(Ymax+α)를 표시 좌표(Yd)로 한다.
식별 정보 변경부(114)는 좌표 치환부(113)에 의해 제1 좌표 또는 제2 좌표가 표시 좌표가 되었을 경우, 제1 기억부(107)에 기억되어 있는 CD값을 역전시킨다.
제4 기억부(115)는 HDD(16)에 기억되어 있는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 중 적어도 어느 것의 최소 좌표(Xmin, Ymin) 및 최대 좌표(Xmax, Ymax)를 기억한다.
입력부(110), 제1 판단부(111), 제2 판단부(112), 좌표 치환부(113), 식별 정보 갱신부(114)는 각각 메인 메모리(12)에 로드된 OS(20)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21, 22, 23)에 의거하여, CPU(11)에 의해 표현된다. 또한, 제4 기억부(115)는 메인 메모리(12)에 구축된다.
(제2 결정 프로세스(P2))
도 8, 도 9를 참조하면서, 제1 결정 프로세스(P1)에 의해 결정된 내부 좌표(Xi, Yi)에 의거하여, 커서(C)의 표시 좌표(Xd, Yd)를 결정하는 제2 결정 프로세스(P2)를 설명한다.
도 8,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C)의 표시 좌표(Xd, Yd)를 결정하는 제2 결정 프로세스(P2)의 플로우 차트이다.
제1 결정 프로세스(P1)에 의해 내부 좌표(Xi, Yi)가 결정되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서(C)의 표시 좌표(Xd, Yd)의 결정 프로세스가 개시된다.
결정 프로세스가 개시되면, 입력부(110)는 제1 기억부(107)에 기억되어 있는 CD값이 「0」인지 「1」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301).
CD값이 「0」이면, 입력부(110)는 내장 디스플레이(14)의 X축 최소 좌표 「0」을 Xmin으로 하여 제4 기억부(115)에 기억시킨다(스텝 S302).
마찬가지로, 입력부(110)는 내장 디스플레이(14)의 Y축 최소 좌표 「0」, X축 최대 좌표 「Xe」, Y축 최대 좌표 「Ye」를 각각 Ymin, Xmax, Ymax로 하여 제4 기억부(115)에 기억시킨다(스텝 S303, S304, S305).
한편, CD값이 「1」이면, 입력부(110)는 외부 디스플레이(17)의 X축 최소 좌표 「Xe+1」을 Xmin으로 하여 제4 기억부(115)에 기억시킨다(스텝 S306).
마찬가지로, 입력부(110)는 외부 디스플레이(17)의 Y축 최소 좌표 「0」, X축 최대 좌표 「Xe+Xf」, Y축 최대 좌표 「Ye」를 각각 Ymin, Xmax, Ymax로 하여 제4 기억부(115)에 기억시킨다(스텝 S307, S308, S309).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판단부(111)는 내부 좌표(Xi, Yi)가 비천이 영역(Ri)([Xmin+α∼Xmax-α]∩[Ymin+α∼Ymax-α])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10).
내부 좌표(Xi, Yi)가 비천이 영역(Ri)에 포함되어 있으면(스텝 S310의 Yes), 좌표 치환부(113)는 내부 좌표(Xi, Yi)를 표시 좌표(Xd, Yd)로 한다. 이상에서, 결정 프로세스(P2)가 종료한다.
내부 좌표(Xi, Yi)가 비천이 영역(Ri)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310의 No), 제2 판단부(112)는 내부 좌표(Xi)가 Xmin+α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11).
내부 좌표(Xi)가 Xmin+α보다 작으면(스텝 S311의 Yes), 제2 판단부(112)는, 제1 좌표(Xmin-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19).
제1 좌표(Xmin-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좌표이면(스텝 S319의 Yes), 좌표 치환부(113)는 제1 좌표(Xmin-α)를 표시 좌표(Xd)로 하고(스텝 S322), 내부 좌표(Yi)를 표시 좌표(Yd)로 한다. 이에 따라, 표시 좌표(Xd, Yd)=(Xmin-α, Yi)가 된다. 계속해서 식별 정보 갱신부(114)는 제1 기억부(117)에 기억되어 있는 CD값을 반전시킨다(스텝 S316). 이상에서, 결정 프로세스(P2)가 종료한다.
제1 좌표(Xmin-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좌표가 아니면(스텝 S319의 No), 좌표 치환부(113)는, 내부 좌표(Xi)를 표시 좌표(Xd)로 하고, 내부 좌표(Yi)를 표시 좌표(Yd)로 한다. 이에 따라, 표시 좌표(Xd, Yd)=(Xi, Yi)(=내부 좌표 그대로)가 된다. 이상에서, 결정 프로세스(P2)가 종료한다.
내부 좌표(Xi)가 Xmin+α와 같거나, 혹은 Xmin+α보다 크면(스텝 S311의 No), 제2 판단부(112)는, 내부 좌표(Yi)가 Ymin+α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12).
내부 좌표(Yi)가 Ymin+α보다 작으면(스텝 S312의 Yes), 제2 판단부(112)는, 제1 좌표(Ymin-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18).
제1 좌표(Ymin-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좌표이면(스텝 S318의 Yes), 좌표 치환부(113)는 제1 좌표(Ymin-α)를 표시 좌표(Yd)로 하고(스텝 S321), 내부 좌표(Xi)를 표시 좌표(Xd)로 한다. 이에 따라, 표시 좌표(Xd, Yd)=(Xd, Ymin-α)가 된다. 계속해서, 식별 정보 갱신부(114)는 제1 기억부(117)에 기억되어 있는 CD값을 반전시킨다(스텝 S316). 이상에서, 결정 프로세스(P2)가 종료한다.
제1 좌표(Ymin-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는 좌표가 아니면(스텝 S318의 No) 내부 좌표(Yi)를 표시 좌표(Yd)로 하고, 내부 좌표(Xi)를 표시 좌표(Xd)로 한다. 이에 따라, 표시 좌표(Xd, Yd)=(Xi, Yi)(=내부 좌표 그대로)가 된다. 이상에서, 결정 프로세스(P2)가 종료한다.
내부 좌표(Yi)가 Ymin+α와 같거나, 혹은, Ymin+α보다 크면(스텝 S312의 No), 제2 판단부(112)는 내부 좌표(Xi)가 Xmax-α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13).
내부 좌표(Xi)가 Xmax-α보다 작으면(스텝 S313의 Yes), 제2 판단부(112)는, 제2 좌표(Xmax+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17).
제2 좌표(Xmax+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좌표이면(스텝 S317의 Yes), 좌표 치환부(113)는 제2 좌표(Xmax+α)를 표시 좌표(Xd)로 하고(스텝 S320), 내부 좌표(Yi)를 표시 좌표(Yd)로 한다. 이에 따라, 표시 좌표(Xd, Yd)=(Xmax+α, Yi)가 된다. 계속해서, 식별 정보 갱신부(114)는, 제1 기억부(117)에 기억되어 있는 CD값을 반전시킨다(스텝 S316). 이상에서, 결정 프로세스(P2)가 종료한다.
제2 좌표(Xmax+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좌표가 아니면(스텝 S317의 No), 좌표 치환부(113)는 내부 좌표(Xi)를 표시 좌표(Xd)로 하고, 내부 좌표(Yi)를 표시 좌표(Yd)로 한다. 이에 따라, 표시 좌표(Xd, Yd)=(Xi, Yi)(=내부 좌표 그대로)가 된다. 이상에서, 결정 프로세스(P2)가 종료한다.
내부 좌표(Xi)가 Xmax-α와 같거나, 혹은, Xmax-α보다 작으면, 제2 좌표(Ymax+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14).
제2 좌표(Ymax+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좌표이면(스텝 S314의 Yes), 좌표 치환부(113)는 내부 좌표(Yi)를 제2 좌표(Ymax+α)로 하고(스텝 S315), 내부 좌표(Xi)를 표시 좌표(Xd)로 한다. 이에 따라, 표시 좌표(Xd, Yd)=(Xi, Ymax+α)가 된다. 계속해서, 식별 정보 갱신부(114)는, 제1 기억부(117)에 기억되어 있는 CD값을 반전시킨다(스텝 S316). 이상에서, 결정 프로세스(P2)가 종료한다.
제2 좌표(Ymax+α)가 OS(20)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좌표가 아니면(스텝 S314의 No) 내부 좌표(Yi)를 표시 좌표(Yd)로 하고, 내부 좌표(Xi)를 표시 좌표(Xd)로 한다. 이에 따라, 표시 좌표(Xd, Yd)=(Xi, Yi)(=내부 좌표 그대로)가 된다. 이상에서, 결정 프로세스(P2)가 종료한다.
제2 결정 프로세스(2)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커서(C)가 조작되며, 내부 좌표(Xi, Yi)가 변화할 때마다 실행되고, 축차 커서(C)의 표시 좌표(Xd, Yd)가 결정된다. 표시 좌표(Xd, Yd)가 결정되면, 표시 제어부(101)는 그래픽스 컨트롤러(13a, 13b) 중 어느 것에 화상 표시의 지시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 중 어느 것에 커서(C)가 표시된다.
(커서 표시 동작)
도 10을 참조하면서, 제1 결정 프로세스(P1)에 의한 커서(C)의 표시 동작을 설명한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C)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내부 좌표(Xi, Yi)가 비천이 영역(Ri)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면 중 점선의 화살표 마크는 이동 전의 커서(C)이며, 검게 칠한 화살표 마크는 이동 후의 커서(C)이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장 디스플레이(14)에 커서(C)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 터치 패널(15)에 접촉시킨 손끝을 이동시키면(화살표 A1 참조), 커서(C)는 내장 디스플레이(14)의 표시 영역을, 손끝의 위치에 추종하도록 이동한다. 즉, 커서(C)는 항상 손끝 바로 아래에 표시되도록, 내장 디스플레이(14)의 표시 영역을 이동한다.
한편,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디스플레이(17)에 커서(C)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 터치 패널(15)에 접촉시킨 손끝을 이동시키면(화살표 A2 참조), 커서(C)는 외부 디스플레이(17)의 표시 영역을, 처음 표시 위치(점선의 화살표 마크 참조)를 시점으로 하여, 손끝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한다. 즉, 커서(C)는 변위 벡터(V)(=손끝의 이동 벡터)에 추종하도록 이동한다.
(커서 천이 동작)
도 11을 참조하면서, 제2 결정 프로세스(P2)에 의한 커서(C)의 천이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디폴트로서, 내부 좌표(Xi, Yi)가 비천이 영역(Ri)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면 중 점선의 화살표 마크는 이동 전의 커서(C)이며, 검게 칠한 화살표 마크는 이동 후의 커서(C)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C)의 천이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끝을 움직임으로써(화살표 A3 참조), 내부 좌표(Xi)가 내장 디스플레이(14)의 비천이 영역(Ri)으로부터 최대 좌표 「Xe」측으로 일탈하면, 즉 내부 좌표(Xi)가 「Xe-α」보다 커지면, 커서(C)는 내장 디스플레이(14)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17)로 이동한다(화살표 A4). 이때, 커서(C)의 표시 좌표(Xd)는 「Xe+1+α」가 되고, 커서(C)의 표시 좌표(Yd)는 외부 디스플레이(17)에 점프하기 직전의 커서(C)의 좌표 「Yn」이 된다.
한편, 도 1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끝을 움직임으로써(화살표 A5), 내부 좌표(Xi)가 외부 디스플레이(17)의 비천이 영역(Ri)으로부터 최소값 「Xe+1」측으로 일탈하면, 즉 내부 좌표(Xi)가 「Xe+1+α」보다 작아지면, 커서(C)는 외부 디스플레이(17)로부터 내장 디스플레이(14)로 이동한다(화살표 A6). 이때, 커서(C)의 표시 좌표(Xd)는 「Xe-α」가 되고, 커서(C)의 표시 좌표(Yd)는 내장 디스플레이(14)에 점프하기 직전의 커서(C)의 좌표(Yn)가 된다. 단, 커서(C)를 조작할 때에 제1 결정 프로세스(P1)가 호출되므로, 커서(C)는 내장 디스플레이(14)로 이동한 직후에, 손끝 바로 아래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커서(C)는 육안상으로는 화살표 A7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이한다.
여기에서는, 내장 디스플레이(14)의 우측에 외부 디스플레이(17)를 배치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내장 디스플레이(14)의 좌측, 상측, 하측 중 어느 곳에 외부 디스플레이(17)를 배치해도 된다. 어떤 배치 형태에서도,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간에 있어서의 커서(C)의 이동 방식은 마찬가지이다.
(제1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커서(C)가 표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 중 어느 것)에 따라, 커서(C)의 표시 좌표(Xd, Yd)를 결정하는 방법을 전환하고 있다.
즉, 외부 디스플레이(17)에 커서(C)를 표시시킬 경우, 터치 패널(15)의 검출 좌표(Xp, Yp)의 변위 벡터(V)를 사용하여, 손끝의 이동에 추종하도록 커서(C)를 제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외부 디스플레이(17)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커서 조작을 내장 디스플레이(14)에 첩부된 터치 패널(15)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터치 패드만을 입력 장치로 하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 외부 디스플레이를 접속하여, 소위 멀티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실현할 경우에도 외부 마우스 등을 접속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의 사이즈의 차이에 상관없이, 외부 디스플레이(17)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커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내장 디스플레이(14)의 단부에 커서(C)를 가까이 하면, 당해 커서(C)를 외부 디스플레이(17)로 이동시킬 의도가 있다고 판단하여, 내부 디스플레이(14)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17)로 커서(C)를 천이시킨다. 마찬가지로, 외부 디스플레이(17)의 단부에 커서(C)를 가까이 하면, 당해 커서(C)를 내장 디스플레이(14)로 이동시킬 의도가 있다고 판단하여, 외부 디스플레이(17)로부터 내장 디스플레이(14)로 커서(C)를 천이시킨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손끝을 움직여, 커서(C)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당해 커서(C)를 내장 디스플레이(14) 혹은 외부 디스플레이(17)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2∼도 15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단, 제1 실시형태와 동등한 구성,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디스플레이(17)에 커서(C)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 터치 패널(15)의 검출 좌표(Xp, Yp)의 변위 벡터(V)를 사용하여 내부 좌표(Xi, Yi)를 결정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제2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디스플레이(17)에 커서(C)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 터치 패널(15)의 검출 좌표(Xp, Yp)만을 이용하여 내부 좌표(Xi, Yi)를 결정하고 있다. 즉, 제2 실시형태에서는, 변위 벡터(V)를 사용하지 않는다.
(커서 제어의 기능 블록)
도 12를 참조하면서, 터치 패널(15)에 의해 취득된 검출 좌표(Xp, Yp)에 의거하여, 내부 좌표(Xi, Yi)를 결정하는 기능 블록을 설명한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 제어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퍼스널 컴퓨터(20)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변위 벡터 산출부(104)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내부 좌표 결정부(105)는, 제1 기억부(107)에 기억되어 있는 CD값과, 제3 기억부(109)에 기억되어 있는 최신 검출 좌표(Xp, Yp)에 의거하여 내부 좌표(Xi, Yi)를 결정한다.
(제1 결정 프로세스(P1'))
도 13을 참조하면서, 터치 패널(15)에 의해 취득된 검출 좌표(Xp, Yp)에 의거하여, 내부 좌표(Xi, Yi)를 결정하는 제1 결정 프로세스(P1')를 설명한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 좌표(Xi, Yi)를 결정하는 제1 결정 프로세스(P1')의 플로우 차트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끝에 의해 커서(C)가 조작되어, 인터럽트 등이 발생하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좌표(Xi, Yi)의 결정 프로세스(P1')가 개시된다.
결정 프로세스가 개시되면, 입력 좌표 취득부(102)는 터치 패널(15)에 의해 검출된 검출 좌표(Xp, Yp)의 취득을 개시한다(스텝 S401). 입력 좌표 취득부(102)에 의해 취득된 검출 좌표(Xp, Yp)는, 축차 제3 기억부(109)에 기억된다.
다음으로, 내부 좌표 결정부(105)는, 제3 기억부(109)에 기억되어 있는 최신 검출 좌표(Xp, Yp)를 임시 내부 좌표(Xi', Yi')로 한다(스텝 S402).
다음으로, 내부 좌표 결정부(105)는 제1 기억부(107)에 기억되어 있는 CD값이 「0」인지 「1」인지 판단한다(스텝 S403). 즉, 내부 좌표 결정부(105)는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 중 어느 쪽에 커서(C)가 표시되어 있는지 식별한다.
CD값이 「0」이라고 판단하면(스텝 S403의 Yes), 내부 좌표 결정부(105)는, 임시 내부 좌표(Xi', Yi')를 내부 좌표(Xi, Yi)로서 확정한다. 즉, 내부 좌표(Xi, Yi)=(Xi', Yi')가 된다. 이상에서, 결정 프로세스(P1')가 종료한다.
한편, CD값이 「1」이라고 판단하면(스텝 S403의 No), 내부 좌표 결정부(105)는 임시 내부 좌표(Xi', Yi')에 외부 디스플레이(17)의 최소 좌표(Xe+1, 0)를 가산하여, 내부 좌표(Xi, Yi)로 한다(스텝 S404). 즉, 내부 좌표(Xi, Yi)=(Xi'+Xe+1, Yi')가 된다. 이상에서, 결정 프로세스(P1)가 종료한다.
(커서 표시 동작)
도 14를 참조하면서, 제1 결정 프로세스(P1')에 의한 커서(C)의 표시 동작을 설명한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C)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내부 좌표(Xi, Yi)가 비천이 영역(Ri)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면 중 점선의 화살표 마크는 이동 전의 커서(C)이며, 검게 칠한 화살표 마크는 이동 후의 커서(C)이다.
도 1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장 디스플레이(14)에 커서(C)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 터치 패널(15)에 접촉시킨 손끝을 이동시키면(화살표 B1 참조), 커서(C)는 내장 디스플레이(14)의 표시 영역을, 손끝의 위치에 추종하도록 이동한다. 즉, 커서(C)는 항상 손끝 바로 아래에 표시되도록, 내장 디스플레이(14)의 표시 영역을 이동한다.
한편, 도 1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디스플레이(17)에 커서(C)가 표시되어 있을 때에, 터치 패널(15)에 접촉시킨 손끝을 이동시키면(화살표 B2 참조), 커서(C)는 외부 디스플레이(17)의 표시 영역을, 손끝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한다. 즉, 커서(C)는 손끝 바로 아래가 아니라, 손끝의 움직임에 따라, 외부 디스플레이(17)의 표시 영역을 이동한다.
(커서 천이 상태)
도 15를 참조하면서, 제2 결정 프로세스(P2)에 의한 커서(C)의 천이 동작을 설명한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C)의 천이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2 결정 프로세스(P2)는 제1 실시형태와 동등하지만,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제1 결정 프로세스(P1')가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기 때문에, 제1,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서(C)의 천이 동작이 상이해진다.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끝을 움직임으로써(화살표 B3 참조), 내부 좌표(Xi)가 내장 디스플레이(14)의 비천이 영역(Ri)으로부터 최대 좌표 「Xe」측으로 일탈하면, 즉 내부 좌표(Xi)가 「Xe-α」보다 커지면, 커서(C)는 내장 디스플레이(14)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17)로 이동한다(화살표 B4 참조). 이때, 커서(C)의 표시 좌표(Xd)는 「Xe+Xf」가 되고, 커서(C)의 표시 좌표(Yd)는 외부 디스플레이(17)에 점프하기 직전의 좌표 「Yn」이 된다. 즉, 외부 디스플레이(17)로 이동한 커서(C)는 외부 디스플레이의 우단에 표시된다. 이 때문에, 내장 디스플레이(14)에 있어서의 손끝의 상대 위치가, 외부 디스플레이(17)에 있어서의 커서(C)의 상대 위치에 대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장 디스플레이(14)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17)에 커서(C)를 이동시킨 직후에 있어서의 커서(C)의 시야에서의 놓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끝을 움직임으로써(화살표 B5), 내부 좌표(Xi)가 외부 디스플레이(17)의 비천이 영역(Ri)으로부터 최소 좌표 「Xe+1」측으로 일탈하면, 즉 내부 좌표(Xi)가 「Xe+1+α」보다 작아지면, 커서(C)는 외부 디스플레이(17)로부터 내장 디스플레이(14)로 이동한다(화살표 B6). 이때, 커서(C)의 표시 좌표(Xd)는 「Xe-α」가 되고, 커서(C)의 표시 좌표(Yd)는 손끝의 좌표(Yn)가 된다. 단,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커서(C)를 조작할 때에 제1 결정 프로세스(P1')가 호출되므로, 커서(C)는 내장 디스플레이(14)로 이동한 직후에, 손끝의 바로 아래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커서(C)는 육안상으로는 화살표 B7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이한다.
(제2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외부 디스플레이(17)에 커서(C)를 표시시킬 경우, 먼저, 터치 패널(15)의 검출 좌표(Xp, Yp)에 의거하여, 임시 내부 좌표(Xi', Yi')를 결정한 후, 임시 내부 좌표(Xi', Yi')에 외부 디스플레이(17)의 최소 좌표(Xe+1, 0)를 가산함으로써, 외부 디스플레이(17)에 커서(C)가 표시되도록 최종적인 내부 좌표(Xi, Yi)를 결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외부 디스플레이(17)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커서 조작을 내장 디스플레이(14)에 첩부된 터치 패널(15)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터치 패널만을 입력 장치로 하는 퍼스널 컴퓨터 등에 외부 디스플레이를 접속하여, 소위 멀티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실현할 경우에도 외부 마우스 등을 접속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내장 디스플레이(14)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17)로 천이한 커서(C)는 외부 디스플레이의 우단에 표시되므로, 내장 디스플레이(14)에 있어서의 손끝의 상대 위치가, 외부 디스플레이(17)에 있어서의 커서(C)의 상대 위치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내장 디스플레이(14)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17)로 커서(C)를 이동시킨 직후에 있어서의 커서(C)의 시야에서의 놓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내장 디스플레이(14)의 우측에 외부 디스플레이(17)를 배치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내장 디스플레이(14)의 좌측, 상측, 하측 중 어느 곳에 외부 디스플레이(17)를 배치해도 된다. 어떤 배치 형태에서도,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간에 있어서의 커서(C)의 이동 방식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1, 제2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은, 시판되어 유통하고 있는 휴대형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휴대형 기억 매체로서는, 판독 장치에 세트되어, CPU에 의해 그 프로그램이 판독되어, 실행되어도 된다. 휴대형 기억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CD-ROM, 플렉시블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IC 카드, USB 메모리 장치 등 다양한 형식의 기억 매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실시형태에서는, CPU(11)를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CPU(11) 대신에, MPU(Micro Processing Unit)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회로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제1, 제2 실시형태에 따른 각각의 좌표계는, 상호 직교하는 X축 및 Y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좌상 코너를 원점으로 할 필요도 없다. 제1, 제2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일례를 개시함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실시형태에서는, 내장 디스플레이(14) 및 외부 디스플레이(17)간의 커서 이동을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디스플레이간의 커서 이동에 적용해도 된다. 3 이상의 디스플레이간의 커서 이동의 경우, CD값으로서 「0」 및 「1」 이외의 수치를 준비하면 된다.
제1,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하의 부기를 더 개시한다.
(부기 1)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연속하는 가상 좌표 공간으로서 관리함과 함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어느 것에 커서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에 의거하여, 상기 검출 좌표의 변위 벡터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상기 커서를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커서를 표시시킬 경우,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커서를 표시시킬 경우,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상기 변위 벡터에 의해 변위시킨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는 결정부를 구비하는 커서 제어 장치.
(부기 2)
부기 1에 기재된 커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상기 커서를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커서를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의 최소 좌표 및 최대 좌표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최소 좌표 및 상기 최대 좌표간에 규정되는 좌표 범위로부터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가 일탈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와,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가 상기 좌표 범위로부터 상기 최소 좌표측으로 일탈할 경우, 상기 최소 좌표보다 작은 제1 좌표가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가 상기 좌표 범위로부터 상기 최대 좌표측으로 일탈할 경우, 상기 최대 좌표보다 큰 제2 좌표가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부와,
상기 제1 좌표가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포함될 경우, 상기 제1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고, 상기 제2 좌표가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포함될 경우, 상기 제2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는 치환부와,
상기 제1 좌표 또는 상기 제2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할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상기 커서를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가 역전하도록 상기 식별 정보를 변경하는 변경부를 구비하는 커서 제어 장치.
(부기 3)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연속하는 가상 좌표 공간으로서 관리함과 함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어느 것에 커서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상기 커서를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터치 패널의 입력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구비하는 커서 제어 장치.
(부기 4)
부기 3에 기재된 커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입력 좌표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 좌표의 변위 벡터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커서를 표시시킬 경우,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터치 패널의 입력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커서를 표시시킬 경우,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상기 변위 벡터에 의해 변위시킨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는 커서 제어 장치.
(부기 5)
부기 3에 기재된 커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커서를 표시시킬 경우,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터치 패널의 입력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커서를 표시시킬 경우,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규정된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에,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터치 패널의 입력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가산한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는 커서 제어 장치.
(부기 6)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연속하는 가상 좌표 공간으로서 관리함과 함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어느 것에 커서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상기 커서를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의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터치 패널의 입력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터치 패널의 입력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커서를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의 최소 좌표 및 최대 좌표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최소 좌표 및 상기 최대 좌표간에 규정되는 좌표 범위로부터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가 일탈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와,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가 상기 좌표 범위로부터 상기 최소 좌표측으로 이탈할 경우, 상기 최소 좌표보다 작은 제1 좌표가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가 상기 좌표 범위로부터 상기 최대 좌표측으로 일탈할 경우, 상기 최대 좌표보다 큰 제2 좌표가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부와,
상기 제1 좌표가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포함될 경우, 상기 제1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고, 상기 제2 좌표가 상기 가상 표시 영역에 포함될 경우, 상기 제2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는 치환부와,
상기 제1 좌표 또는 상기 제2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할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상기 커서를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가 역전하도록 상기 식별 정보를 변경하는 변경부를 구비하는 커서 제어 장치.
(부기 7)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연속하는 가상 좌표 공간으로서 관리함과 함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어느 것에 커서를 표시시키는 커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를 처리 회로에 의해 취득하는 공정과,
상기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에 의거하여, 상기 검출 좌표의 변위 벡터를 처리 회로에 의해 산출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상기 커서를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를 처리 회로에 의해 식별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커서를 표시시킬 경우,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처리 회로에 의해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커서를 표시시킬 경우,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상기 변위 벡터에 의해 변위시킨 좌표를, 처리 회로에 의해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커서 제어 방법.
(부기 8)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연속하는 가상 좌표 공간으로서 관리함과 함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어느 것에 커서를 표시시키는 커서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컴퓨터를 적어도,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기억 수단,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
상기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에 의거하여, 상기 검출 좌표의 변위 벡터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상기 커서를 표시시키는 디스플레이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커서를 표시시킬 경우,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커서를 표시시킬 경우,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상기 변위 벡터에 의해 변위시킨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는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커서 제어프로그램.
10 : 퍼스널 컴퓨터 14 : 내장 디스플레이
15 : 터치 패널 17 : 외부 디스플레이
101 : 표시 제어부 102 : 검출 좌표 취득부
104 : 변위 벡터 산출부 105 : 내부 좌표 결정부
106 : 표시 좌표 결정부 107 : 제1 기억부
108 : 제2 기억부 109 : 제3 기억부
110 : 입력부 111 : 제1 판단부
112 : 제2 판단부 113 : 좌표 치환부
114 : 식별 정보 변경부 115 : 제4 기억부
C : 커서 Ri : 비천이 영역
V : 변위 벡터 Xmin : 최소 좌표
Xmax : 최대 좌표 Ymin : 최소 좌표
Ymax : 최대 좌표 Xmin-α : 제1 좌표
Xmax+α : 제2 좌표 Ymin-α : 제1 좌표
Ymax+α : 제2 좌표 Xd : 표시 좌표
Yd : 표시 좌표 Xi : 내부 좌표
Yi : 내부 좌표 Xp : 검출 좌표
Yp : 검출 좌표

Claims (6)

  1.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연속하는 가상 좌표 공간으로서 관리함과 함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어느 것에 커서를 표시시키는 커서 제어 장치로서,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서의,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기억하는 제1 기억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에 의거하여, 상기 검출 좌표의 변위 벡터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어느 것에 상기 커서를 표시시키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상기 식별부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상기 커서를 표시시키고 있다고 식별했을 경우에는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서의, 상기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커서가 표시시키고 있다고 식별했을 경우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부터 상기 변위 벡터에 의해 변위시킨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는 결정부를 구비하는 커서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커서의 표시 좌표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어느 것인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부,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최소 좌표 및 최대 좌표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최소 좌표 및 최대 좌표를 기억하는 제3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제2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어느 것에 상기 커서를 표시시키고 있는지를 식별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3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소정 영역에 커서의 표시 좌표가 있는지를 판정함과 함께,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소정 영역에 커서의 표시 좌표가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의 판정의 결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소정 영역에 커서의 표시 좌표가 있을 경우,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 내의 소정 좌표로 갱신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소정 영역에 커서의 표시 좌표가 있을 경우,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 내의 소정 좌표로 갱신함과 함께, 상기 제2 기억부의 식별 정보를 커서의 표시 좌표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로 갱신하는 갱신부를 구비하는 커서 제어 장치.
  3. 제1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연속하는 가상 좌표 공간으로서 관리함과 함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어느 것에 커서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가 어느 것인지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제1 기억부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터치 패널의 입력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서의,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구비하는 커서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의 입력 좌표에 의거하여, 상기 입력 좌표의 변위 벡터를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서의,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기억하는 제2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서의, 상기 터치 패널의 입력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를 상기 변위 벡터에 의해 변위시킨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는 커서 제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가 있을 경우,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서의 상기 터치 패널의 입력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내에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가 있을 경우,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서의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규정된 기준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에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서의 상기 터치 패널의 입력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가산한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는 커서 제어 장치.
  6. 가상 좌표 공간에서의 커서의 표시 좌표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짐과 함께, 제1 디스플레이 및 제2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연속하는 가상 좌표 공간으로서 관리함과 함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어느 것에 커서를 표시시키는 제어 장치가 행하는 커서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를 취득하고,
    상기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에 의거하여, 상기 검출 좌표의 변위 벡터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상기 커서를 표시시키고 있다고 식별했을 경우에는, 상기 가상 좌표 공간에서의 상기 터치 패널의 검출 좌표에 대응하는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커서가 표시시키고 있다고 식별했을 경우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부터 상기 변위 벡터에 의해 변위시킨 좌표를 상기 커서의 표시 좌표로 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커서 제어 방법.
KR1020120049444A 2011-06-24 2012-05-10 커서 제어 장치, 커서 제어 방법 및 커서 제어 프로그램 KR101373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1239A JP2013008250A (ja) 2011-06-24 2011-06-24 カーソル制御装置、カーソル制御方法及びカーソル制御プログラム
JPJP-P-2011-141239 2011-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115A true KR20130001115A (ko) 2013-01-03
KR101373648B1 KR101373648B1 (ko) 2014-03-25

Family

ID=4736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444A KR101373648B1 (ko) 2011-06-24 2012-05-10 커서 제어 장치, 커서 제어 방법 및 커서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326978A1 (ko)
JP (1) JP2013008250A (ko)
KR (1) KR101373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7845B2 (ja) * 2011-11-01 2016-06-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24338B1 (ko) 2013-12-10 2021-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커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244747A1 (en) * 2014-02-26 2015-08-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haring holographic content
US20150355611A1 (en) * 2014-06-06 2015-12-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visualization and interaction in industrial operator consoles
US10771508B2 (en) 2016-01-19 2020-09-08 Nadejda Sarmova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virtual shared experience for media playback
JP7140528B2 (ja) * 2018-04-03 2022-09-2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コントロー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6150B2 (ja) * 2004-08-23 2011-05-1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マルチモニタシステム、マルチモニタ方法及び目印表示プログラム
KR20080040930A (ko) * 2006-11-06 2008-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869172B2 (ja) * 2007-07-17 2012-02-08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973553B2 (ja) * 2008-03-14 2012-07-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US20090322689A1 (en) * 2008-06-30 2009-12-31 Wah Yiu Kwong Touch input across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s
JP5606686B2 (ja) * 2009-04-14 2014-10-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26978A1 (en) 2012-12-27
JP2013008250A (ja) 2013-01-10
KR101373648B1 (ko)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48B1 (ko) 커서 제어 장치, 커서 제어 방법 및 커서 제어 프로그램
JP5133372B2 (ja) 情報入力装置、その入力無効化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KR101577106B1 (ko) 인간 기계가 가전 기기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방법, 회로, 장치 및 시스템
US9575562B2 (en)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ultiple regions
US201102856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US9721365B2 (en) Low latency modification of display frames
US201202998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00471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4147717A1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068524A1 (en) Input control device, input control method and input control program in a touch sensing display
US2011028562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put method
JP201207927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86819A (ja) 情報処理装置
US2009025350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election of multiple objects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US88195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20150309597A1 (en) Electronic apparatus, corr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70090716A1 (en) Computer program for operating object within virtual space about three axes
JP2012212240A (ja)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
JP513282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入力方法
CN114461155A (zh) 信息处理装置以及控制方法
JP555263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入力方法
JP536206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仮想キーボードの表示方法
JP2008204375A (ja) パネル入力装置、パネル入力用スタイラスペン、パネル入力システムおよびパネル入力処理プログラム
JP2019192142A (ja) 情報処理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JP2014120052A (ja) 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