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931A - Box - Google Patents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931A
KR20130000931A KR1020110061751A KR20110061751A KR20130000931A KR 20130000931 A KR20130000931 A KR 20130000931A KR 1020110061751 A KR1020110061751 A KR 1020110061751A KR 20110061751 A KR20110061751 A KR 20110061751A KR 20130000931 A KR20130000931 A KR 20130000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ork
box
bus bar
componen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은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1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931A/en
Publication of KR2013000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9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PURPOSE: A box is provided to guide a leg terminal of a part through a protruding slot to be accurately inserted into inside of a fork terminal. CONSTITUTION: The frame of a box is formed by a box body(20) of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box body has multiple part mounting portions. A part is electrically combined to a fork terminal(28) integrated with bus bar(29) of metal material. A terminal slop is formed between supporting ends, and performs the role of guiding a leg terminal of the part to be inserted. A joint unit(30) is formed for combination of the box body and the bus bar. The joint unit includes boding fingers(32) facing each other.

Description

박스{Box}Box {Box}

본 발명은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크단자가 구비된 버스바가 내부에 구비되어 전장부품과 결합되어 사용되는 박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x in which a bus bar having a fork terminal is provided therein and used in combination with electrical components.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에 퓨즈가 장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박스(1)의 일측에는 퓨즈장착부(3)가 형성된다. 상기 퓨즈장착부(3)는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9)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퓨즈장착부(3)는 퓨즈박스(1)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1 and 2 show the fuse is mounted in the prior art box. According to this, the fuse mounting portion 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x 1. The fuse mounting portion 3 is a portion into which the fuse 9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mounted. The fuse mounting portion 3 is formed to pass through to communic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use box (1).

상기 퓨즈장착부(3)의 내부에는 절연벽(5)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벽(5)은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9)의 레그단자(13)사이에 위치되어 절연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벽(5)의 양단에는 상기 퓨즈장착부(3)의 입구를 향해 돌출되게 포크단자(7)가 설치된다. 상기 포크단자(7)는 버스바(8)에 일체로 다수개가 만들어져 있다. 상기 버스바(8)에는 또한 탭단자(8')가 형성되어 있다.An insulating wall 5 is formed inside the fuse mounting part 3. The insulating wall 5 is located between the leg terminals 13 of the fuse 9 to be described below to serve as an insulating role. Fork terminals 7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insulating wall 5 to protrude toward the inlet of the fuse mounting part 3. The plurality of fork terminals 7 are made integrally with the bus bar 8. The bus bar 8 is further provided with a tab terminal 8 '.

퓨즈(9)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퓨즈몸체(11)의 양단을 따라 레그단자(13)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레그단자(13)는 상기 퓨즈몸체(11)의 내부에서 용단부(도시되지 않음)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레그단자(13)가 상기 퓨즈몸체(11)의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용단부는 과전류가 흐를 때 녹아서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도록 된다. 상기 퓨즈몸체(11)에서 상기 레그단자(13)가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단차부(15)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15)는 상기 포크단자(7)의 선단에 안착되어 상기 퓨즈(9)가 상기 퓨즈장착부(3)에 장착되는 위치를 규제한다.The fuse 9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eg terminals 13 are exposed to the outside along both ends of the fuse body 11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leg terminal 1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melt end (not shown) inside the fuse body 11. The mel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g terminal 13 in the fuse body 11 is melted when an overcurrent flows to disconnect the electrical connection. Step portions 15 are formed in the fuse body 11 where the leg terminals 13 protrude outwardly. The step portion 15 is seated at the tip of the fork terminal 7 to regulate the position where the fuse 9 is mounted to the fuse mounting portion 3.

물론, 상기 퓨즈몸체(11)의 하단이 상기 절연벽(5)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에 의해서도 상기 퓨즈(9)가 상기 퓨즈장착부(3)에 장착되는 위치가 규제된다.Of course, the position where the fuse 9 is mounted to the fuse mounting portion 3 is also restricted by the lower end of the fuse body 11 being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wall 5.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퓨즈장착부(3)는 상기 박스(1)에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퓨즈장착부(3)에 위치되는 포크단자(7)는 하나의 버스바(8)에 형성된 상태로 상기 박스(1)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버스바(8)의 설치위치가 정확하지 않으면 상기 포크단자(7)가 상기 퓨즈장착부(3)의 정확한 위치에 있지 못하게 되어 퓨즈(9)의 삽입시에 포크단자(7)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버스바(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9)의 폭(L')방향 중심이 상기 박스(1) 내부에 버스바(9)가 설치되는 공간의 중심에 맞도록 설계되어 조립된다. 하지만 상기 버스바(9)의 폭(L')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어 그만큼 조립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fuse mounting portion 3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box 1, the fork terminal 7 located in the fuse mounting portion 3 is formed in one bus bar (8) in the box (1) It is fixed and installed. Therefore, i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us bar 8 is not correct, the fork terminal 7 will not be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fuse mounting portion 3 and the fork terminal 7 will be damaged when the fuse 9 is inserted. The case arises. In general, as shown in FIG. 2, the bus bar 8 has a width L 'center of the bus bar 9 at the center of the space where the bus bar 9 is installed inside the box 1. Designed and assembled to fit. However, the width (L ') of the bus bar (9) has a relatively long lengt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the assembly error increases.

또한, 상기 박스(1)는 온도차가 큰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박스(1)와 버스바(8)는 서로 온도에 따른 팽창율이 달라 온도에 따른 변형정도가 달라 포크단자(7)가 퓨즈장착부(3)의 정확한 위치에 있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box 1 may be used in an environment with a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Accordingly, the box 1 and the bus bar 8 may have different expansion coefficients depending on temperature, and thus have different deformation degrees depending on temperature, thereby preventing the fork terminal 7 from being position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fuse mounting unit 3.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퓨즈장착부(3)에 퓨즈(9)가 장착됨에 있어서 퓨즈(9)의 레그단자(13)가 상기 포크단자(7)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구조가 없거나 있어도 상대적으로 그 구간이 짧아 퓨즈(9)를 정확하게 상기 퓨즈장착부(3)로 삽입하지 않으면 상기 포크단자(7)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In the prior art, when the fuse 9 is mounted on the fuse mounting portion 3, the structure for guiding the leg terminal 13 of the fuse 9 to be inserted into the fork terminal 7 may be relatively low. Since the section is short, the fork terminal 7 is easily damaged unless the fuse 9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fuse mounting part 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박스가 온도에 따라 팽창과 수축되는 것에 상관없이 박스의 부품장착부에 포크단자가 보다 정확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regardless of whether the synthetic resin box is expand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the fork terminal to be aligned in a more accurate position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of the box To make it possib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스의 부품장착부에 부품이 장착될 때 포크단자로의 삽입을 보다 정확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re accurately insert into the fork terminal when the component is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of the box.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박스몸체와, 상기 박스몸체에 다수개가 나란히 형성되어 부품이 장착되고 서로 마주보는 지지단의 사이에 단자슬롯이 형성되어 부품의 레그단자가 통과하여 부품의 부품몸체가 상기 지지단에 안착되도록 하는 부품장착부와, 상기 부품장착부의 내부에 상기 레그단자와 결합되는 포크단자가 위치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박스몸체 내에 설치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에서 상기 포크단자가 형성된 구간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몸체와 버스바가 서로 결합되게 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x body, and a plurality of the box body is formed side by side and the terminal slot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ends facing the parts are formed of the parts A bus bar installed in the box body by integrally formed with a component mounting portion for allowing a leg terminal to pass and a component body of the component to be seated on the support end, and a fork terminal coupled to the leg terminal inside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And a coupling par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tion in which the fork terminal is formed in the bus bar so that the box body and the bus bar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각각의 포크단자가 안착되는 부품장착부중에서 중앙에 있는 포크단자가 안착되는 부품장착부의 양측 내면에 밀착된다.The coupl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inner surfaces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fork terminal in the center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on which each fork terminal is seated.

상기 포크단자의 갯수가 짝수개인 경우에는 중앙에 해당되는 2개의 포크단자와 대응되는 각각의 부품장착부에 각각 결합부가 구비된다.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the fork terminals is an even number, each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two fork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are respectively provided.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버스바의 일부를 잘라내고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고 버스바의 일면에 직교하게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쌍의 결합핑거로 구성된다.The coupling part is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a portion of the bus bar, and is formed of a pair of coupling fingers that face each other and are bent and extended orthogonally to one surface of the bus bar.

상기 결합핑거는 선단 일면에 돌기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부품장착부의 양측 내면에 각각 밀착된다.The coupling finger is formed by protruding protrusions on one surface of the tip,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inner surfaces of the component mounting part.

상기 버스바에서 상기 포크단자가 형성된 반대쪽 단부에는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편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다.A connecting piece is provided at an opposite end of the bus bar on which the fork terminal is formed, and the connecting piece is elastically deformable.

상기 연결편에는 다수개의 탄성공이 천공된다.A plurality of elastic holes are drilled in the connecting piece.

상기 지지단의 하면에 상기 포크단자의 선단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단자슬롯의 일부를 형성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en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end of the fork terminal to form a portion of the terminal slot.

상기 안내돌기중 상기 포크단자의 선단과 마주보는 부분은 상기 포크단자의 선단 형상과 상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A portion of the guide protrusion facing the tip of the fork terminal is mad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ip shape of the fork terminal.

본 발명에 의한 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포크단자가 형성된 버스바를 박스몸체에 설치함에 있어서, 버스바중에서 포크단자가 형성된 구간의 중심부분에 박스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포크단자가 푸품장착부에 보다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포크단자에 부품의 레그단자가 보다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installing the bus bar formed with the fork terminal on the box body, it is possible to be fixed to the box body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tion where the fork terminal is formed in the bus bar, so that the fork terminal can be more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parts mounting portion. . Therefore, the leg terminal of the component can be inserted into the fork terminal more accurately.

본 발명에서는 또한 포크단자의 내부로 부품의 레그단자가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돌기부가 포크단자의 선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게 하였으므로 부품의 레그단자가 돌기부를 통과해서 포크단자의 내부로 보다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되므로 포크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jections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leg terminals of the parts into the fork terminals are project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fork terminals, the leg terminals of the parts are mor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fork terminals through the projections.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fork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에 퓨즈가 장착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에 버스바가 장착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버스바가 박스몸체에 장착되는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저면에서 보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저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use mounted in a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bus bar is mounted on the box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bus bar is mounted on the box bod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bottom.
6 is a bottom view of a bus ba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박스의 골격을 박스몸체(20)가 형성한다. 상기 박스몸체(20)의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부품장착부(22)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22)는 상기 박스몸체(20)에 다수개가 열을 지어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ox body 20 forms the skeleton of the box. The part mounting portion 22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box body 20.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2 is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box body 20.

상기 부품장착부(22)는 그 입구가 대략 사각형상으로 되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방향의 양단에는 지지단(2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24)은 상기 부품장착부(22)의 입구 양단에 각각 2개씩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22)의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는 2개의 지지단(24)은 서로 선단이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24)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40)의 단차부(43)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즉, 단차부(43)가 지지단(24)에 안착됨에 의해 부품(40)이 상기 부품장착부(22)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게 된다.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2 has an inlet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support ends 24 are formed at both ends in a relatively long direction. The support end 24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two at each end of the inlet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2. The two support ends 24 provided at each end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2 are formed so that their ends face each other. The support end 24 is a part where the stepped portion 43 of the component 40 to be described below is seated. That is, the step portion 43 is seated on the support end 24 to regulate the degree to which the component 40 is inserted into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2.

여기서, 상기 지지단(24)의 선단 사이의 틈새는 단자슬릿(26)이 된다. 상기 단자슬릿(26)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40)의 레그단자(44)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단자슬릿(26)의 깊이는 상기 레그단자(44)의 보다 안정적인 안내를 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단자슬릿(26)의 하부에 해당되는 부분인 상기 지지단(24)의 하면에 안내돌기(26')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안내돌기(26')를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상기 단자슬릿(26)의 깊이가 레그단자(44)의 삽입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정도로만 되면 된다. 만약, 상기 안내돌기(26')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돌기(26')중 포크단자(28)의 선단과 마주보는 부분은 포크단자(28)의 해당되는 부분의 형상과 상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포크단자(28)와 안내돌기(26') 사이의 틈새가 최소화되도록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안내돌기(26')가 포크단자(28)를 향해 돌출되면서도 마주보는 부분의 형상이 서로 상응되므로 틈새가 최소화되어 부품(40)의 레그단자(44)의 안내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gap between the tips of the support end 24 is the terminal slit 26. The terminal slit 26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leg terminal 44 of the component 40 to be described below passes. The depth of the terminal slit 26 is preferably formed to be relatively long for more stable guidance of the leg terminal 44. To this end, a guide protrusion 26 ′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end 24, which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erminal slit 26. That is, although the guide protrusion 26 'is formed 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to do so, and the depth of the terminal slit 26 is just enough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leg terminal 44 stably. If the guide protrusion 26 'is formed, a portion of the guide protrusion 26' facing the tip of the fork terminal 28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ork terminal 28. Thus, the gap between the fork terminal 28 and the guide protrusion 26 'is minimized. In this way, the guide projections 26 'protrude toward the fork terminal 28, so that the shapes of the facing portions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gap is minimized to guide the leg terminal 44 of the component 40 more accurately. It becomes possible.

상기 부품장착부(2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가이드벽(27)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벽(27)은 상기 부품장착부(22)에 부품(40)가 장착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과 외력이 부품(40)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벽(27)은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40)이 부품장착부(22)에 장착되었을 때 부품(40)의 부품몸체(42) 상단보다 더 돌출된다.A guide wall 27 is formed around the edge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2. The guide wall 27 serves to guide the mounting of the component 40 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2 and to prevent the external force from acting on the component 40. The guide wall 27 protrudes more than the top of the component body 42 of the component 40 when the component 40 to be described below is mounted to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2.

상기 부품장착부(22)의 내부에는 포크단자(28)가 설치된다. 상기 포크단자(28)는 버스바(29)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몸체(20)의 내부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포크단자(28)는 상기 부품장착부(22)의 내부에서 입구를 향해 직립되게 연장된다. 상기 포크단자(28)는 그 선단이 상기 지지단(24)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버스바(29)에는 포크단자(28)외에도 탭단자(29')가 형성되어 있다.The fork terminal 28 is installed inside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2. The fork terminal 28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us bar 29 is located inside the box body 20. In particular, the fork terminal 28 extends upright from the inside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2 toward the inlet. The fork terminal 28 has its tip positioned below the support end 24. In addition to the fork terminal 28, the bus bar 29 is formed with a tab terminal 29 '.

상기 버스바(29)에서 상기 포크단자(28)가 형성되어 있는 구간(L)의 중앙부분에는 결합부(30)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0)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박스몸체(20)의 부품장착부(22) 내면에 걸어져 버스바(29)중에서 포크단자(28)가 형성된 영역이 박스몸체(20)에 고정되도록 한다.Coupling portion 30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tion (L) in which the fork terminal 28 is formed in the bus bar (29). As shown in FIG. 5, the coupling part 30 is hook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onent mounting part 22 of the box body 20 so that the fork terminal 28 is formed in the bus bar 29. Secure to (20).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포크단자(28)가 형성되어 있는 구간(L)의 중앙에 형성되기는 하지만, 상기 부품장착부(22)에 별도로 고정구조를 형성하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포크단자(28)들이 안착되는 부품장착부(22)중에서 가장 중앙의 것에 해당되는 버스바(29)의 부분에 결합부(30)가 형성되면 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와 같이 포크단자(28)가 홀수개인 5개가 있으면, 중앙의 것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부(30)를 형성하면 된다. 하지만, 포크단자(28)가 짝수개가 되면 부품장착부(22)와의 관계를 고려하면 포크단자(28)가 형성된 구간(L)의 중앙에 결합부(30)를 형성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중앙에 해당되는 2개의 포크단자(28)와 대응되는 부품장착부(22)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결합부(30)를 형성하면 된다. 물론, 상기 박스몸체(20)에 별도로 상기 결합부(30)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경우에는 포크단자(28)가 형성된 구간(L)의 중앙에 해당되는 부분에 결합부(30)를 두면 된다.Although the coupling part 3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tion L in which the fork terminal 28 is formed, the fork terminals 28 may be formed so as not to form a fixed structure separately in the component mounting part 22. The coupling part 30 may be formed in the part of the bus bar 29 corresponding to the center part among the component mounting parts 22 to be seated. For example, if there are five odd numbered fork terminals 28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portion 3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one. However, when the number of fork terminals 28 is even, the coupling portion 30 may not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tion L in which the fork terminals 28 are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2. In this case, the coupling parts 30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 mounting parts 22 corresponding to the two fork terminals 28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course, in the case of mak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30 can be separately coupled to the box body 20, the coupling portion 30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section L in which the fork terminal 28 is formed. Just put it.

상기 결합부(3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버스바(29)의 일부를 잘나내고 절곡하는 것으로, 2개의 결합핑거(32)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핑거(32)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버스바(29)의 일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물론, 최초 제조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결합핑거(32)의 선단이 서로를 향해 연장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29)가 상기 박스몸체(20)에 삽입된 후에 절곡되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29)의 일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결합핑거(32)는 최초 제조시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절곡되어 있을 수도 있다.Looking at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portion 30, by cutting out and bending a part of the bus bar 29, two coupling fingers 32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The coupling finger 32 extends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nd is bent and extend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one surface of the bus bar 29. Of course, during the initial manufacturing, as shown in Figure 4, the leading edges of the coupling fingers 32 on both sides may be made to extend toward each other. Then, the bus bar 29 may be bent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box body 20 to be orien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one surface of the bus bar 29 as shown in FIGS. 5 and 6. . The coupling finger 32 may be bent in the form as shown in FIGS. 5 and 6 at the time of initial manufacture.

상기 결합핑거(32)의 선단에는 돌기부(34)가 각각 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34)는 대략 반구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반대면에서는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된다. 상기 돌기부(34)는 상기 부품장착부(22)의 내면에 결합핑거(32)가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된 상태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결합핑거(32)자체가 부품장착부(22)의 내면에 밀착될 수 치수와 형상을 가지고 있다면 반드시 형성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At the tip of the coupling finger 32, protrusions 34 are formed to protrude to one surface, respectively. The protrusions 34 protrude substantially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are recessed on opposite sides. The protrusion 34 allows the coupling finger 32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onent mounting part 22 in a state of elastic deformation to some extent. Therefore, the coupling finger 32 itself is not necessarily formed if it has dimensions and shapes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2.

상기 버스바(29)에서 상기 포크단자(28)가 형성된 반대쪽에는 연결편(36)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편(36)은 상기 버스바(29)가 다른 버스바 또는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편(36)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버스바(29)의 일측에 직교하게 절곡된 판형상이다. 상기 연결편(36)에는 터미널 등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가 관통하는 통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편(36)에는 다수개의 탄성공(38)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공(38)은 상기 연결편(36)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편(36)이 어느 정도 탄성변형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공(38)은 상기 연결편(36)이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박스몸체(20)가 온도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는 과정에서 버스바(29)가 상대적으로 덜 팽창되고 수축되므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 connecting piece 36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from which the fork terminal 28 is formed in the bus bar 29. The connecting piece 36 is a portion in which the bus bar 29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other bus bar or terminal. The connecting piece 36 is a plate shape bent orthogonal to one side of the bus bar 29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piece 36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bolt for coupling with the terminal. A plurality of elastic holes 38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piece 36. The elastic hole 38 is formed to penetrate the connecting piece 36 so that the connecting piece 36 can be elastic deformation to some extent. The elastic hole 38 allows the connection piece 36 to be elastically deformed, which is because the bus bar 29 is relatively inflated and contracted in the process of expanding or contracting the box body 20 according to temperature. This is to solve the problem.

다음으로, 상기 부품장착부(22)에 장착되는 부품(40)은 퓨즈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상기 부품(40)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부품몸체(42)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부품몸체(42)는 대략 'T'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부품몸체(42)의 양단에는 단차부(43)가 구비된다. 상기 단차부(43)는 상기 지지단(24)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단차부(43)를 통해서는 레그단자(44)가 연장된다. 상기 레그단자(44)는 폭이 좁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금속판형상으로 'T'자형의 부품몸체(42)와 함께 부품(40)을 정면에서 보면 사각형상으로 보이도록 된다. Next, the component 40 mounted on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2 has been described using a fuse as an example. In the component 40, a component body 42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ms a skeleton. The component body 42 has a substantially 'T' shape. Step portions 43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mponent body 42. The stepped portion 43 is a part seated on the support end 24, and the leg terminal 44 extends through the stepped portion 43. The leg terminal 44 is a metal plate of a narrow width and a relatively long length, and when the part 40 is viewed from the front together with the part body 42 having a 'T' shape, the leg terminal 44 is displayed in a rectangular shape.

상기 레그단자(44)는 상기 부품몸체(42)의 내부에서 용단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용단부는 과전류가 흐를 때, 녹아서 단선될 수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부품(40)을 통해 과전류가 흐를 때, 상기 용단부가 단선되면 상기 양단의 레그단자(44)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게 된다.The leg terminal 44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a melt end (not shown) in the part body 42. The melt portion is a portion that can be melted and disconnected when an overcurrent flows. Therefore, when overcurrent flows through the component 40, if the melt end is disconnecte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leg terminals 44 at both ends is broke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박스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상기 박스몸체(20)는 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되어 만들어지고, 상기 버스바(29)는 금속재질로서 프레스 작업을 통해 만들어진다. 상기 버스바(29)는 상기 박스몸체(20) 내에 삽입되어 상기 포크단자(28)가 상기 부품장착부(22) 내에 위치되도록 된다. 물론, 상기 버스바(29)의 탭단자(29')는 도 5에서 볼 때, 포크단자(28)가 위치되는 부품장착부(22)의 좌측으로 일렬로 형성된 부품장착부에 삽입되어 위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x body 20 is made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bus bar 29 is made through a press operation as a metal material. The bus bar 29 is inserted into the box body 20 so that the fork terminal 28 is located in the component mounting part 22. Of course, the tab terminal 29 ′ of the bus bar 29 is inserted into and positioned in a component mounting part formed in a line to the left of the component mounting part 22 in which the fork terminal 28 is located.

상기 버스바(29)가 박스몸체(2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30)는 상기 박스몸체(20)의 부품장착부(22) 내면에 밀착된다. 특히 2개의 결합부(30)가 상기 부품장착부(22)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밀착되어 있어 상기 버스바(29)가 상기 박스몸체(20)의 팽창과 축소가 발생하더라도 어느 정도 함께 이동되는 그 이동의 중심이 포크단자(28)가 형성된 구간(L)의 중심이 되는 것이다.In the state where the bus bar 29 is inserted into the box body 20, the coupling part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mponent mounting part 22 of the box body 20. In particular, the two coupling parts 3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component mounting parts 22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bus bar 29 is moved together to some extent even i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ox body 20 occurs. The center of the movement is the center of the section L in which the fork terminal 28 is formed.

따라서, 박스몸체(20)의 팽창과 축소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포크단자(28)의 위치가 각각의 부품장착부(22)와 함께 변동된다. 특히 포크단자(28)가 형성된 구간(L)의 중심부분이 박스몸체(2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그 양측으로 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Thus, even i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ox body 20 occurs, the position of the fork terminal 28 is varied with each component mounting portion 22. In particular,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tion (L) where the fork terminal 28 is formed is coupled with the box body 20,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rrors that can occur while going to both sides.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버스바(29)의 일단, 즉 상기 포크단자(28)가 형성된 반대쪽 단부에는 연결편(36)이 있는데, 상기 연결편(36)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연결편(36)은 박스몸체(20)의 팽창과 축소가 발생할 때, 상기 버스바(29)에 대해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상기 박스몸체(20)와 버스바(29)의 팽창과 축소량의 차이에 의한 상대 위치의 변동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connecting piece 36 at one end of the bus bar 29, that is, the opposite end on which the fork terminal 28 is formed, and the connecting piece 36 is elastically deformable. Whe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ox body 20 occurs, such a connecting piece 36 is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arrow A shown in FIG. 5 with respect to the bus bar 29. The variation of the relative posi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mount of the bus bar 29 can be sufficiently absorbed.

그리고, 상기 포크단자(28)의 선단의 형상과 상기 포크단자(28)의 선단과 대응되는 상기 단자슬롯(26)을 형성하는 안내돌기(26')의 형상이 서로 상응하게 되어 있어 상기 포크단자(28)의 선단과 상기 단자슬롯(26)의 안내돌기(26')사이의 틈새가 매우 좁아지게 된다.The shape of the tip of the fork terminal 28 and the shape of the guide protrusion 26 ′ forming the terminal slot 26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fork terminal 28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clearance between the tip of 28 and the guide projection 26 'of the terminal slot 26 becomes very narrow.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부품(40)이 부품장착부(22)에 삽입될 때, 레그단자(44)의 선단이 상기 포크단자(28)의 내부로 보다 잘 안내되어 삽입되도록 한다. 즉, 레그단자(44)가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단자슬롯(26)으로 들어오더라도 상기 지지단(24)의 하면과 상기 포크단자(28)의 선단 사이의 공간으로 레그단자(44)가 들어가지 않고 포크단자(28)의 내부로 원활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tip of the leg terminal 44 to be better guided and inserted into the fork terminal 28 when the component 40 is inserted into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22. That is, even when the leg terminal 44 is slightly inclined into the terminal slot 26, the leg terminal 44 is lif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end 24 and the front end of the fork terminal 28. Without going to be able to smoothly enter the inside of the fork terminal 28.

그리고, 이에 더해 상기 단자슬롯(26)은 상기 안내돌기(26')에 의해 그 길이가 더 길어지게 된다. 상기 단자슬롯(26)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것은 상기 레그단자(44)가 기울어져 단자슬롯(26)으로 삽입되더라도 포크단자(28)에 기울어진 그대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자슬롯(26)을 레그단자(44)가 통과하여 포크단자(28)로 삽입될 때에는 레그단자(44)가 포크단자(28)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inal slot 26 is longer in length by the guide protrusion 26 '. The longer length of the terminal slot 26 can prevent the leg terminal 44 from being inclined and in contact with the fork terminal 28 even when the leg terminal 44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lot 26. Therefore, when the leg terminal 44 passes through the terminal slot 26 and is inserted into the fork terminal 28, the leg terminal 44 can be guided so that the leg terminal 44 can be accurately inserted into the fork terminal 28.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20: 박스몸체 22: 부품장착부
24: 지지단 26: 단자슬롯
26': 안내돌기 27: 가이드벽
28: 포크단자 29: 버스바
30: 결합부 32: 결합핑거
34: 돌기부 36: 연결편
40: 부품 42; 부품몸체
43: 단차부 44: 레그단자
40: 가이드단
20: box body 22: parts mounting portion
24: support end 26: terminal slot
26 ': guide protrusion 27: guide wall
28: fork terminal 29: busbar
30: coupling portion 32: coupling finger
34: projection 36: connecting piece
40: part 42; Parts
43: step 44: leg terminal
40: guide

Claims (9)

박스몸체와,
상기 박스몸체에 다수개가 나란히 형성되어 부품이 장착되고 서로 마주보는 지지단의 사이에 단자슬롯이 형성되어 부품의 레그단자가 통과하여 부품의 부품몸체가 상기 지지단에 안착되도록 하는 부품장착부와,
상기 부품장착부의 내부에 상기 레그단자와 결합되는 포크단자가 위치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박스몸체 내에 설치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에서 상기 포크단자가 형성된 구간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몸체와 버스바가 서로 결합되게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박스.
Box body,
A plurality of parts are formed side by side in the box body and the parts are mounted, and a terminal slot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ends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leg terminals of the parts pass through, so that the parts of the parts are seated on the support ends;
A bus bar formed integrally with the fork terminal coupled to the leg terminal in the component mounting part and installed in the box body;
And a coupling part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tion in which the fork terminal is formed in the bus bar, so that the box body and the bus bar are couple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각각의 포크단자가 안착되는 부품장착부중에서 중앙에 있는 포크단자가 안착되는 부품장착부의 양측 내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The box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both inner surfaces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fork terminal in the center of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s on which the respective fork terminals are seat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단자의 갯수가 짝수개인 경우에는 중앙에 해당되는 2개의 포크단자와 대응되는 각각의 부품장착부에 각각 결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The box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when the number of the fork terminals is an even number, a coupling part is provided in each component mounting part corresponding to two fork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cent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버스바의 일부를 잘라내고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고 버스바의 일면에 직교하게 절곡되어 연장되는 한쌍의 결합핑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a portion of the bus bar is composed of a pair of coupling fingers facing each other and bent orthogonally extending to one surface of the bus bar. Box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핑거는 선단 일면에 돌기부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부품장착부의 양측 내면에 각각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The box as claimed in claim 4, wherein the coupling finger is formed by protruding protrusions on one surface of the tip,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both inner surfaces of the component mounting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에서 상기 포크단자가 형성된 반대쪽 단부에는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편은 탄성변형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6. The box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connection piece is provided at an opposite end of the bus bar in which the fork terminal is formed, and the connection piece is elastically deformab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에는 다수개의 탄성공이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The box as claimed in claim 6, wherein a plurality of elastic holes are drilled in the connecting pie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의 하면에 상기 포크단자의 선단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단자슬롯의 일부를 형성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The box as claimed in claim 7,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end includes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tip of the fork terminal to form a part of the terminal slo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중 상기 포크단자의 선단과 마주보는 부분은 상기 포크단자의 선단 형상과 상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The box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portion of the guide protrusion facing the tip of the fork terminal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ip shape of the fork terminal.
KR1020110061751A 2011-06-24 2011-06-24 Box KR201300009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751A KR20130000931A (en) 2011-06-24 2011-06-24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751A KR20130000931A (en) 2011-06-24 2011-06-24 Bo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931A true KR20130000931A (en) 2013-01-03

Family

ID=4783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751A KR20130000931A (en) 2011-06-24 2011-06-24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93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2262B2 (en) Card connector
JP6034339B2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EP2903092B1 (en) Connector
JP595129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514373B1 (en) Connector
EP2685566B1 (en) Electrical terminal pin
JP5946804B2 (en) connector
KR20160118141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US8388364B2 (en) Joint connector and busbar
KR101514372B1 (en) Connector
JP2015220005A (en) Board-to-board connector
US20090291590A1 (en) Connector
WO2015029991A1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electronic component and terminal fitting
JP4098680B2 (en) Fuse cavity and electrical junction box
JP6259003B2 (en) Circuit board plug electrical connector
KR20130000931A (en) Box
JP6044918B2 (en) Connector, socket and header used for the connector
KR20110075562A (en) Box
US20020045373A1 (en) Movable connector
JP5978025B2 (en) connector
KR20180079552A (en) Socket connector
KR102421406B1 (en) Connector having holder
JP553225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6100117B2 (en) connector
JP588086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