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406B1 - Connector having holder - Google Patents
Connector having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1406B1 KR102421406B1 KR1020170134724A KR20170134724A KR102421406B1 KR 102421406 B1 KR102421406 B1 KR 102421406B1 KR 1020170134724 A KR1020170134724 A KR 1020170134724A KR 20170134724 A KR20170134724 A KR 20170134724A KR 102421406 B1 KR102421406 B1 KR 1024214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housing
- groove
- elastically deformable
- connector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이 삽입되고 상부 또는 하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터미널을 고정하는 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이 벌어지도록 탄성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변형부는 양측 가장자리에 절개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외팔보로 형성된다. 상기 외팔보형상의 탄성변형부는 고정단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리워크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외면에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가 구비되어 홀더와 하우징이 결합 또는 분해될 때, 탄성변형부가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홀더와 하우징의 결합 과정에서 체결력이 낮아지거나, 홀더 및 하우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terminal is inserted and a se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a holder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of the housing to fix the terminal, and a hold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so that the holder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It includes an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seating groove of the housing is opened when the housing is opened, and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is formed as a cantilever by forming cut-out slits on both edges. The rework groove is formed at the position farthest from the fixed end of the cantilever-shaped elastically deformabl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so that when the holder and the housing are coupled or disassembled,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ly, it is prevented that the fastening force is lowered or the holder and the housing are damaged during the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holder and the hous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홀더 타입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홀더에 의해 단자가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 및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홀더 타입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type connecto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lder type connector device for preventing a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and flowing from a connector housing by a holder.
차량은 사용자의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각종 전기, 전자 부품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 전자 부품들은 차량의 전원부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A vehicle includes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 to provide various conveniences to users, and these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 ar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by wires to receive power.
한편, 상기 와이어들을 부품에 연결할 경우에 배선작업을 편리하게 위하여 커넥터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커넥터는 와이어와 결합되어 부품에 각각 연결되는 수커넥터와, 상기 수커넥터에 결합되며 와이어와 결합되어 차량의 전원에 연결되는 암커넥터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connecting the wires to the parts, connectors are used for convenient wiring work. These connectors include a male connector coupled to a wire and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mponent, and a male connector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and coupled to the wire to power the vehicle. It consists of a female connector connected to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수커넥터 및 암커넥터를 서로 결합시키게 되면, 수커넥터와 암커넥터 내에 각각 내장된 단자들이 서로 접속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전원을 전기, 전자부품으로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configured in this way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terminals respectively built in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power of the vehicle is applied as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
이러한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에는 수직방향으로 홀더가 체결되는데, 상기 홀더는 단자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 holder is fastened to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lder serves to prevent separation and flow of the terminal.
일반적으로 상기 수커넥터와 암커넥터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체결되는 홀더는 탄성력을 가지며, 커넥터들 사이에 삽입될 때, 홀더의 일부가 탄성변형되어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변형이 풀어지면서 결합되게 된다.In general, the holder fast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has an elastic force, and when inserted between the connectors, a part of the holder is elastically deformed, and when the insertion is completed, the elastic deformation is released and the holder is coupled.
다만, 상기 홀더를 상기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로부터 분리시킬 때, 리워크도구를 이용하여 홀더를 변형시키게 되는데, 상기 홀더는 수커넥터 또는 암커넥터를 이루는 하우징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리과정 중에 홀더가 과도하게 변형되어 소성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when the holder is separated from the male connector and the female connector, the holder is deformed using a rework tool. was excessively deformed and had a problem of plastic deformation or breakage.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면에 탄성 구조를 적용하고, 커넥터 하우징이 탄성영역 내에서 탄성변형하여 홀더와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홀더의 과도한 변형 및 파손으로 인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caused by excessive deformation and breakage of the holder by applying an elastic structure to one side of the connector housing and elastically deforming the connector housing within the elastic region to assemble it with the hold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device that can solve the problem.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이 삽입되고 상부 또는 하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터미널을 고정하는 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이 벌어지도록 탄성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terminal inserted therein and having a seat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a holder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of the housing to fix the terminal, and a hold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so that the holder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It includes an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seating groove of the housing is widened when it is made.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와 결합하는 탄성돌기와, 하나 이상의 절개슬릿을 더 구비한다.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further includes an elastic protrusion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coupled to the holder, and one or more cut-out slits.
상기 탄성변형부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상기 절개슬릿 두 개가 나란히 이격하여 형성되어 상기 탄성변형부가 외팔보 형상이다.At both edges of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the two incision slit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has a cantilever shape.
상기 홀더에는 상기 하우징과 맞닿는 면에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1홈 및 제2홈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탄성변형부의 탄성돌기가 상기 제1홈과 맞물려 결합되면 임시고정상태가 되고, 상기 홀더가 더 삽입되어 제2홈과 맞물려 결합되면 완전히 결합된 상태가 된다.In the holder, a first groove and a second groove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ousing, and when the elastic protrusion of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engages and engages with the first groove, it is in a temporarily fixed state. , when the holder is further inserted and engaged with the second groove, it is in a fully coupled state.
상기 하우징과 상기 홀더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슬릿은 상기 홀더의 제1홈이 형성된 위치까지 절개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and the holder are completely coupled, the cutting slit is cut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groove of the holder is formed.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탄성변형부의 고정단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리워크 홈이 형성된다.A rework groove is formed in the housing at a position farthest from the fixed end of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상기 하우징의 탄성변형부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홀더와의 고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An open portion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of the housing is formed, so that the fixed state with the holder can be confirmed.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가 형성된 면에 하나 이상의 절개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가 형성된 면이 탄성력을 갖는다.One or more cut-out slit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o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housing o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has an elastic force.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외면에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가 구비되어 홀더와 하우징이 결합 또는 분해될 때, 탄성변형부가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홀더와 하우징의 결합 과정에서 체결력이 낮아지고, 홀더 및 하우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so that when the holder and the housing are coupled or disassembled,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is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ly, the fastening force is lowered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holder and the housing, and the holder and the housing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또한, 하우징의 외면에 탄성변형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이 홀더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성변형부의 변형상태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정상적으로 하우징과 홀더가 체결되는지 알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upling the housing with the holder, so that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housing and the holder are normally fasten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홀더를 구비한 커넥터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홀더가 결합된 모습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홀더를 구비한 커넥터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홀더를 구비한 커넥터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홀더의 임시결합상태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홀더를 구비한 커넥터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홀더의 완전결합상태의 단면사시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housing and a holder constituting a connector device having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nd a holder constituting a connector device having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nd a holder constituting a connector device having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of temporary coupling.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nd a holder constituting a connector device having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fully coupled stat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another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이 삽입되는 커넥터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삽입되어 터미널의 유동을 방지하는 홀더(20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하우징(100)과 홀더(2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nnector housing 100 into which a terminal is inserted, and a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합성 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다수의 삽입구멍(110)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안착홈(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140)을 통해 홀더(200)가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며, 상기 홀더(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터미널이 분리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도 1,2에는 상기 안착홈(140)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안착홈(140)은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그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홀더(200)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라면 상기 안착홈(140)의 위치 및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1 and 2 , the
상기 하우징(100)의 안착홈(140)이 형성되는 면의 이웃하는 면, 즉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에는 탄성변형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부(120)는 상기 하우징(100)을 이루는 외면 벽의 일부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갖는다. 홀더(200)는 변형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탄성변형부(120)만 탄성변형해서 상기 홀더(200)가 삽입되는데, 상기 탄성변형부(120)의 탄성력을 높이기 위해 절개슬릿(130)이 형성될 수 있다.An elastically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변형부(120)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절개슬릿(1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수지로 형성되어 그 자체적으로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절개슬릿(130)이 형성되면 상기 절개슬릿(130)이 형성된 부위가 보다 쉽게 탄성변형 되면서 벌어질 수 있고, 탄성이 커진 상기 하우징(100) 외면의 일부가 탄성변형부(120)가 되는 것이다.Specifically, cut
상기 절개슬릿(130)은 개수의 제한을 두지 않지만, 상기 탄성변형부(120)의 양쪽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두 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슬릿(130) 두 개가 나란히 이격하여 형성되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면의 일부가 외팔보 형태가 되어 큰 탄성력을 얻을 수 있다.Although the number of the
한편, 상기 탄성변형부(120)의 탄성변형의 폭이 최대인 곳 다시 말하면, 외팔보 형태의 탄성변형부(120)의 선단에 리워크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워크홈(131)이 고정단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으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리워크 작업을 쉽게 해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re the width of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상기 탄성변형부(12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돌기(121)를 갖는다. 상기 탄성돌기(121)는 상기 안착홈(140)에 삽입된 홀더(200)와 결합하여 상기 홀더(200)가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막아준다.The elastically
상기 하우징(100)의 탄성변형부(120)가 형성된 맞은편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방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150)를 통해서 상기 홀더(200)가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되는 과정 및 결합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변형부(120)의 탄성이 부족한 경우에는 상기 개방부(150)에도 절개슬릿(130)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추가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An
도 2에는, 홀더(200)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홀더(200)는 홀더본체(210), 터미널고정부(220), 제1,2레그(230,230’)로 크게 나눌 수 있다.2, the shape of the
상기 홀더본체(210) 양 끝단에는 제1레그(230) 및 제2레그(2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레그(230) 및 제2레그(230’)의 사이에 상기 터미널고정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고정부(220)는 상기 하우징(100)에 삽입된 터미널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
상기 홀더본체(210)의 양측 끝단에는 제1레그(230) 및 제2레그(2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레그(230) 및 제2레그(230’)는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할 때, 상기 하우징(100)의 외벽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상기 탄성변형부(120)의 탄성돌기(121)와 결합하게 되면 상기 홀더(200)가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레그(230) 및 제2레그(230’)는 서로 대칭되므로 방향성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레그(230)가 상기 탄성변형부(120)와 결합할 수도 있고, 상기 제2레그(230’)가 상기 탄성변형부(120)와 결합할 수도 있다.A
도2,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레그(230) 및 제2레그(230’)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과 맞닿는 면에 제1홈(234) 및 제2홈(235)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홈(234) 및 제2홈(235)은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홀더(200)가 결합한 형상을 기준으로 했을때, 상기 하우징(100)의 탄성돌기(121)와 먼저 만나는 순서대로 제1홈(234) 및 제2홈(235)이 위치한다.2 and 3 , the
상기 제1홈(234) 및 제2홈(235)은 상기 제1,2레그(230,230’)의 외면에 홈이 파여서 형성될 수도 있고,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돌기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 3,4에 도시된 홀더(200)의 형상은 상기 제1,2레그(230,230’)에 복수의 돌기가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제1홈(234) 및 제2홈(235)이 형성된 구조이다. 복수의 돌기는 제1차돌기(231), 제2차돌기(232), 단턱부(233)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차돌기(231)과 제2차돌기(232)의 사이에 상기 제1홈(234)이 형성되고, 상기 제2차돌기(232) 및 단턱부(233)의 사이에 상기 제2홈(235)가 형성된다.The
상기 홀더(200)가 상기 하우징(100)의 안착홈(140)에 위치된 후 힘이 작용하면 상기 탄성변형부(120)의 탄성돌기(121)가 상기 제1레그(230) 또는 제2레그(230’)의 제1홈(234)에 안착되어 임시결합상태가 된다. 임시결합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반대측에 형성된 개방부(150)에 노출된 상기 홀더(200)의 외면에는 아무 홈도 보이지 않는다.When a force is applied after the
상기 임시결합상태에서 상기 홀더(200)가 상기 하우징(100)의 안착홈(140)에 완전히 밀어 넣어지면, 상기 탄성변형부(120)의 탄성돌기(121)는 상기 제1레그(230) 또는 제2레그(230’)의 제2홈(235)과 결합하여 완전히 결합된 상태가 된다.When the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반대측에 형성된 개방부(150)에 노출된 상기 홀더(200)의 외면에는 제1홈(234)이 노출된다.A
즉, 상기 개방부(150)에 상기 홀더(200)의 제1레그(230) 또는 제2레그(230’)의 홈이 하나도 노출되어 있지 않으면 임시결합상태가 되고, 제1홈(234)이 노출되어 있으면 완전히 결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That is, if none of the grooves of the
임시결합상태에서는 아직 상기 홀더(200)가 상기 하우징(100)과 완전히 결합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하우징(100)의 삽입구멍(110)을 통해서 터미널을 결합,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완전히 결합된 상태가 되면, 상기 홀더(200)는 상기 하우징(100)에 완전히 안착되므로 상기 하우징(100)의 삽입구멍(110)을 통해서 터미널을 결합, 해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In the temporary coupling state, since the
다음으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참조하여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홀더(200)가 결합하는 형태를 설명한다.Next, a form in which the
수지로 형성된 하우징(100)은 터미널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면에 삽입구멍(11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홀더(200)가 삽입되는 안착홈(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140)이 형성되는 하부면 및 상기 삽입구멍 (110)이 형성되는 전면과 이웃하는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벽의 외면 일측에는 탄성변형부(120)가 형성되고, 맞은편에는 개방부(150)가 형성된다. The
상기 탄성변형부(120)는 그 가장자리에 하나 이상의 절개슬릿(130)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변형부(120)의 탄성력을 높이고, 상기 절개슬릿(130)은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탄성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다.The elastically
홀더(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터미널이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홀더본체(210)와 상기 홀더본체(210)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하는 제1레그(230) 및 제2레그(230’)와,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된 터미널의 유동을 방지해주는 터미널고정부(220)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1레그(230) 및 제2레그(23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벽 즉, 상기 탄성변형부(120) 및 개방부(150)와 맞닿는다. 상기 제1레그(230) 및 제2레그(230’)의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으로부터 차례대로 제1차돌기(231), 제2차돌기(232) 및 단턱부(233)가 형성되고, 상기 제1차돌기(231)와 제2차돌기(232)에 의해 형성되는 제1홈(234)과, 상기 제2차돌기(232) 및 단턱부(233)에 의해 형성되는 제2홈(235)을 포함한다.The
상기 하우징(100)의 안착홈(140)에 상기 홀더(200)의 터미널고정부(220), 제1레그(230) 및 제2레그(230’)가 먼저 삽입된다. 이때, 상기 홀더(200)는 변형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0)의 탄성변형부(120)가 탄성변형함으로써 상기 홀더(200)가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탄성변형부(120)의 탄성돌기(121)가 상기 홀더(200)의 제1차돌기(231)를 넘어 상기 제1홈(234)에 안착되면 임시결합상태가 된다.The
상기 임시결합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부(150)를 확인하게 되면, 상기 홀더(200)의 제1차돌기(231)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이며, 아직 상기 하우징(100)의 삽입구멍(110)을 통해서 터미널을 결합, 해제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임시결합상태에서 상기 홀더(200)에 힘이 작용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측으로 더 삽입되면 상기 탄성변형부(120)의 탄성돌기(121)가 상기 홀더(200)의 제2차돌기(232)를 넘어 상기 제2홈(235)에 안착되어 완전히 결합된 상태가 된다.In the temporary coupling stat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이때, 상기 홀더(200)의 터미널고정부(220)는 상기 하우징(100)의 삽입구멍(110)을 통해 삽입된 터미널을 고정하므로 추가적인 터미널의 결합, 또는 삽입된 터미널의 해제가 불가능하다.At this time, since the
상기 하우징(100)과 홀더(200)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부(150)를 확인하면, 제1차돌기(231), 제1홈(234) 및 제2차돌기(232)를 개방부(150)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When the
한편, 상기 탄성변형부(120)의 상기 절개슬릿(130)은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변형부(120)의 탄성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우징(100)과 홀더(200)가 완전히 결합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홀더(200)의 제1홈(234)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절개슬릿(1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cut slit 130 of the elastically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o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so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further.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하우징 110 : 삽입구멍
120 : 탄성변형부 121 : 탄성돌기
130 : 절개슬릿 131 : 리워크홈
140 : 안착홈 150 : 개방부
200 : 홀더 210 : 홀더본체
220 : 터미널고정부 230 : 제1레그
230’ : 제2레그 231 : 제1차돌기
232 : 제2차돌기 233 : 단턱부
234 : 제1홈 235 : 제2홈100: housing 110: insertion hole
120: elastic deformation part 121: elastic protrusion
130: cut slit 131: rework groove
140: seating groove 150: opening
200: holder 210: holder body
220: terminal fixing part 230: first leg
230': 2nd leg 231: 1st projection
232: second projection 233: stepped portion
234: first groove 235: second groove
Claims (8)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에 삽입되어 터미널을 고정하는 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이 벌어지도록 탄성변형되는 탄성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탄성변형부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는 개방부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홀더와의 고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A housing in which a terminal is inserted and a se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a holder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of the housing to fix the terminal;
an elastic deformation part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seating groove of the housing is opened when the holder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A connector device having a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opposite surface of the housing on which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ixing state with the holder can be confirmed.
하나 이상의 절개슬릿을 더 구비하는 홀더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comprises: an elastic protrusion formed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coupled to the holder;
A connector device having a holder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incision slits.
상기 탄성변형부의 탄성돌기가 상기 제1홈과 맞물려 결합되면 임시고정상태가 되고, 상기 홀더가 더 삽입되어 제2홈과 맞물려 결합되면 완전히 결합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holder is formed with a first groove and a second groove spaced apart in a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ousing,
A connector device having a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elastic protrusion of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is engaged with the first groove, it becomes a temporarily fixed state, and when the holder is further inserted and engages with the second groove, it becomes a fully engaged state. .
상기 탄성변형부의 고정단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리워크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ousing
A connector device having a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rework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furthest from the fixed end of the elastically deformable part.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가 형성된 면에 하나 이상의 절개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가 형성된 면이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connector device having a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cut-out slit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o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so that the surface on which the opening of the housing is formed has an elastic for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4724A KR102421406B1 (en) | 2017-10-17 | 2017-10-17 | Connector having h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4724A KR102421406B1 (en) | 2017-10-17 | 2017-10-17 | Connector having hol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2985A KR20190042985A (en) | 2019-04-25 |
KR102421406B1 true KR102421406B1 (en) | 2022-07-15 |
Family
ID=6628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4724A Active KR102421406B1 (en) | 2017-10-17 | 2017-10-17 | Connector having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140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96356B1 (en) * | 2019-06-17 | 2025-04-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86544A (en) * | 2009-10-16 | 2011-04-28 | Yazaki Corp |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93948B2 (en) * | 1995-02-22 | 2000-10-03 | 矢崎総業株式会社 | connector |
KR20090051643A (en) * | 2007-11-19 | 2009-05-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
KR200467964Y1 (en) * | 2009-01-13 | 2013-07-19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KR20130042161A (en) * | 2011-10-18 | 2013-04-2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having a spacer |
KR101326504B1 (en) | 2012-07-17 | 2013-11-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Side holder type of connector apparatus |
-
2017
- 2017-10-17 KR KR1020170134724A patent/KR10242140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86544A (en) * | 2009-10-16 | 2011-04-28 | Yazaki Corp |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2985A (en) | 2019-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44081B2 (en) | Electric connector | |
US6224420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4550470B2 (en) | connector | |
US9577366B2 (en) | Waterproof connector having an elastic seal member with the engaged portion | |
JP6519702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109936013A (en) |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combination | |
IT201800005498A1 (en) | Cut-off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to contact an insulated cable through the insulation | |
US11394153B2 (en) | Connector and terminal | |
KR102667447B1 (en) | Connector | |
KR102421406B1 (en) | Connector having holder | |
KR20210077486A (en) | Connector and the connector assembly method | |
US7090543B2 (en) | Wire harness connector | |
WO2009133768A1 (en) | Circuit case with terminal | |
US7731519B1 (en) | Adaptable universa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in repair or replac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relays, solenoids and the like | |
KR102253612B1 (en) | High voltage connector | |
US6227916B1 (en) | Easily assembled electrical connector | |
CN107017506B (en) |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 |
CN102299452A (en) | Connector device | |
KR101725929B1 (en) | Usb connecting cable assembly | |
KR101725928B1 (en) | Usb connecting cable assembly | |
JP2016207253A (en) | Connector and terminal fitting connection structure | |
TWI704732B (en) | Base of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thereof | |
KR20090073857A (en) | Connector assembly and joining method | |
US20160276781A1 (en) | Shielding shell and electrical connector thereof | |
KR20170117693A (en) |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0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