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837U - 휴대용 산소 마스크 - Google Patents

휴대용 산소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837U
KR20130000837U KR2020110006818U KR20110006818U KR20130000837U KR 20130000837 U KR20130000837 U KR 20130000837U KR 2020110006818 U KR2020110006818 U KR 2020110006818U KR 20110006818 U KR20110006818 U KR 20110006818U KR 20130000837 U KR20130000837 U KR 201300008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hole
mask
housing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2020110006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837U/ko
Publication of KR20130000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83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62B7/04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and lung-controlled oxygen or ai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62B9/022Breathing demand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6Mouthpieces; Nose-c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세먼지 및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발생되는 산업현장이나 화재현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비상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산소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코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마련되고, 밀폐를 위해 적어도 가장자리가 안면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한편 콧구멍과 대향하는 부위에 산소유입공(113) 및 배출공(115)이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배출공(115)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콧구멍 속에 일정깊이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에 상기 수용공간(111) 내의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공(121)이 관통 형성되는 튜브형상의 삽입부(120); 및 상기 산소유입공(113)에 연결튜브(133)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111) 내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산소공급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입공(121)과 배출공(115)에는 서로 반대로 작동하는 일방향 체크밸브(124)(125)가 제각기 구비되어, 숨을 들이마실 때는 상기 흡입공(121)이 개방되고, 숨을 내쉴 때는 상기 배출공(115)이 개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산소 마스크{A portable oxygen-supplying mask}
본 고안은 휴대용 산소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먼지 및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발생되는 산업현장이나 화재현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비상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산소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공기를 들이마시고 내뱉는 과정에서 흡입공기와 배출공기가 모두 마스크의 미세한 망상조직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어 특히 숨을 내뱉는 과정에서 망상조직의 저항에 의해 호흡에 곤란을 겪게 된다.
또한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많은 양의 습기를 머금고 있기 때문에 장시간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을 하게 되면, 마스크 내부에 습기가 차면서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비위생적이다.
그리고, 종래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 모두를 가리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마스크에 의한 압박 때문에 대화할 때 입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마스크에 의해 음의 상당 부분이 차단되고 왜곡되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정상적인 대화가 곤란하며, 마스크가 착용자의 안면에 완전하게 밀착되지 못하고 안면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 틈으로 먼지나 미세한 분진, 유해가스 등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2003-8389호로 선 출원된 "코 마스크"가 제안되었으며, 이것은 공기흡입통로에 필터를 설치하여 흡입공기 중의 먼지를 걸러내도록 구성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코 마스크는 다량의 유독가스가 발생되는 화재현장, 유독가스로 가득한 화학공장, 암모니아 가스나 악취로 가득한 지하관로 보수현장과 같이 공기 중에 산소농도가 희박한 환경에서는 필터로 오염된 공기를 걸러내더라도 산소량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에 호흡에 곤란을 겪게 되는 단점이 발견되었다.
한편, 응급환자의 후송시 또는 병원, 응급구조대에서 사용하는 산소흡입장치는 산소통과 마스크를 구비하고 있는데, 마스크로 입과 코를 동시에 가리기 때문에 내부에 습기가 차면서 비위생적으로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안면부위와 마스크 사이에 틈새가 생겨 많은 양의 산소가 틈으로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마스크에 형성된 공기배출구에 공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아무런 제어수단을 갖추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산소통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때 외부의 공기도 같이 유입되므로, 유독가스가 다량 발생되는 화재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경우 유독가스가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미세먼지 및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발생되는 산업현장이나 화재현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비상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산소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용 산소 마스크는, 코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밀폐를 위해 적어도 가장자리가 안면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한편 콧구멍과 대향하는 부위에 산소유입공 및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배출공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콧구멍 속에 일정깊이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에 상기 수용공간 내의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튜브형상의 삽입부; 및 상기 산소유입공에 연결튜브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산소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입공과 배출공에는 일방향 체크밸브가 각각 구비되어, 숨을 들이마실 때는 상기 흡입공이 개방되고, 숨을 내쉴 때는 상기 배출공이 개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에는, 콧구멍 내에 삽입시 삽입 위치를 고정해줄 수 있도록 원판형상의 걸림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콧구멍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삽입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가장자리에는, 안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연질의 밀착부재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양측 귀에 걸거나 뒤통수를 둘러 감을 수 있도록 연결끈이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 마스크는, 코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밀폐를 위해 적어도 가장자리가 안면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한편 콧구멍과 대향하는 부위에 산소유입공 및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배출공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콧구멍 속에 일정깊이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에 상기 수용공간 내의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공이 관통 형성되는 튜브형상의 삽입부; 및 상기 산소유입공에 연결튜브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필터링된 산소를 공급해주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입공과 배출공에는 서로 반대로 작동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일방향 체크밸브가 제각기 구비되어, 숨을 들이마실 때는 상기 흡입공이 개방되고, 숨을 내쉴 때는 상기 배출공이 개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은, 평상시 용이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화재 등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산소가 공급되는 마스크의 삽입부가 콧구멍에 꽉 들어차게 결합됨에 따라 원활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산소 마스크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산소 마스크의 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삽입부의 분해상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산소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산소 마스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산소 마스크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산소 마스크의 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삽입부의 분해상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산소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산소 마스크(100)는, 하우징(110), 삽입부(120), 산소공급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110)은 코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마련되고, 밀폐를 위해 적어도 가장자리가 안면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10) 내부의 콧구멍과 대향하는 부위에는 산소유입공(113) 및 배출공(115)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하우징(110)은 내부가 들여다보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가장자리에는 안면부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 연질의 밀착부재(117)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120)는 하우징(110) 내부의 배출공(115)에 일단이 연통되게 형성되고, 타단은 콧구멍 속에 일정깊이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된 튜브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삽입부(120)의 외주연에는 산소유입공(113)을 통해 수용공간(111) 내에 공급된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공(121)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120)의 외주연에는 삽입부(120)를 콧구멍 내에 삽입시 삽입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해줄 수 있도록 원판형상의 걸림부재(123)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삽입부(120)는 수용공간(111)에 존재하는 산소를 콧구멍 속으로 용이하게 유도 흡입해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110)이 별다른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간단히 코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고정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입공(121)과 배출공(115)에는 서로 반대로 작동하게 되면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해주는 일방향 체크밸브(124)(125)가 제각기 구비된다. 예컨대, 착용자가 숨을 들이마실 경우에는 흡입공(121)이 개방되면서 삽입부(120) 내부로 산소가 유입됨과 동시에 배출공(115)이 폐쇄되고, 반대로 착용자가 숨을 내쉴 경우에는 흡입공(121)이 폐쇄되면서 공급되던 산소를 잠시 차단해줌과 동시에 배출공(115)이 개방되면서 내뿜게 되는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일방향 체크밸브(124)(125)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례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판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1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콧구멍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삽입부(1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에는 삽입부(120)만으로 고정력이 약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양측 귀에 걸거나 뒤통수를 둘러 감을 수 있는 연결끈(127)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산소공급부(130)는 수용공간(111) 내에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산소공급부(130)는 산소가 충진된 산소통(131)과, 산소통(131)과 산소유입공(113)을 연결해주는 연결튜브(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산소통(131)에는 수용공간(111) 내로 공급되는 산소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13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 참조)
이 경우 상기 연결튜브(133)는 높은 열에도 녹지않고 견딜 수 있도록 표면이 내열 강화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산소 마스크(100)를 산소통(131) 이외에 필터부(140)와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상기 연결튜브(133)는 산소통(131)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산소통(131) 내에 충진된 산소가 떨어진 경우 내부에 필터(141)가 장착된 필터부(140)로 교체해줌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1) 내에 필터링된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141)는 필터부(140) 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필터(141)의 수명이 다한 경우에는 이를 새것으로 교체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산소 마스크(100)는, 필요에 의해 또는 긴박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착용자는 하우징(110) 내부의 삽입부(120)를 콧구멍에 삽입함과 아울러 하우징(110)을 안면부에 밀착시킨다.
그런 다음, 산소공급부(130)의 압력조절밸브(135)를 조작하여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 내에 소정 압력의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숨을 들이마실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공(121)이 개방됨과 동시에 배출공(115)이 폐쇄되면서 수용공간(111) 내에 공급된 산소 콧구멍 속으로 유입되고, 반대로 착용자가 숨을 내쉴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공(121)이 폐쇄됨과 동시에 배출공(115)이 개방작동되면서 몸속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휴대용 산소 마스크 110 : 하우징
111 : 수용공간 113 : 산소유입공
115 : 배출공 117 : 밀착부재
120 : 삽입부 121 : 흡입공
123 : 걸림부재 124, 125 : 체크밸브
130 : 산소공급부 140 : 필터부

Claims (6)

  1. 코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마련되고, 밀폐를 위해 적어도 가장자리가 안면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한편 콧구멍과 대향하는 부위에 산소유입공(113) 및 배출공(115)이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배출공(115)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콧구멍 속에 일정깊이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에 상기 수용공간(111) 내의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공(121)이 관통 형성되는 튜브형상의 삽입부(120); 및
    상기 산소유입공(113)에 연결튜브(133)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111) 내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산소공급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입공(121)과 배출공(115)에는 서로 반대로 작동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일방향 체크밸브(124)(125)가 제각기 구비되어,
    숨을 들이마실 때는 상기 흡입공(121)이 개방되고, 숨을 내쉴 때는 상기 배출공(115)이 개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20)의 외주연에는,
    콧구멍 내에 삽입시 삽입 위치를 고정해줄 수 있도록 원판형상의 걸림부재(123)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123)는,
    콧구멍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구비되는 한편 상기 삽입부(1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 마스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가장자리에는,
    안면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연질의 밀착부재(117)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에는,
    양측 귀에 걸거나 뒤통수를 둘러 감을 수 있도록 연결끈(127)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산소 마스크.
  6. 코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마련되고, 밀폐를 위해 적어도 가장자리가 안면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한편 콧구멍과 대향하는 부위에 산소유입공(113) 및 배출공(115)이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배출공(115)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콧구멍 속에 일정깊이 삽입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한편 외주면에 상기 수용공간(111) 내의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공(121)이 관통 형성되는 튜브형상의 삽입부(120); 및
    상기 산소유입공(113)에 연결튜브(133)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111) 내에 필터링된 산소를 공급해주는 필터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흡입공(121)과 배출공(115)에는 서로 반대로 작동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일방향 체크밸브(124)(125)가 제각기 구비되어,
    숨을 들이마실 때는 상기 흡입공(121)이 개방되고, 숨을 내쉴 때는 상기 배출공(115)이 개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산소 마스크.
KR2020110006818U 2011-07-26 2011-07-26 휴대용 산소 마스크 KR201300008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18U KR20130000837U (ko) 2011-07-26 2011-07-26 휴대용 산소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18U KR20130000837U (ko) 2011-07-26 2011-07-26 휴대용 산소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37U true KR20130000837U (ko) 2013-02-05

Family

ID=5242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818U KR20130000837U (ko) 2011-07-26 2011-07-26 휴대용 산소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83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470A1 (ko) * 2016-11-28 2018-05-3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L-튜브와 결합되는 얼굴 산소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470A1 (ko) * 2016-11-28 2018-05-3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L-튜브와 결합되는 얼굴 산소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707B1 (ko) 공기 유입 연결관의 자성 탈부착식 안면 마스크
US10525292B2 (en) Respiratory device with unidirectional valve for attaching active venting system
JP6290930B2 (ja) 清浄空気吸入室を有する呼吸用マスク
JP2018512235A (ja) 汚染物質吸入防止用マスク
KR101953127B1 (ko) 비상 밸브를 구비한 안면 마스크
KR20200016489A (ko) 영역분리구조를 갖는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
TW201904630A (zh) 淨氣式呼吸防護具的隔板裝置
KR101628323B1 (ko) 마스크
US20210205640A1 (en) Portable gas supply device and respiratory assistance system
US20070144513A1 (en) Emergency oxygen mask
CN211139624U (zh) 潜水全面罩
KR101547601B1 (ko) 휴대용 방연/방독 마스크
KR200431561Y1 (ko) 산소호흡기용 후드
KR20130000837U (ko) 휴대용 산소 마스크
US20210220679A1 (en) Filter-type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KR20160143421A (ko) 산소 마스크
KR102104886B1 (ko) 스마트 기능성 마스크
CN103519431A (zh) 呼吸通畅型口罩
CN212593586U (zh) 一种鼻部空气净化机及面部防护罩
CN214074625U (zh) 一种鼻呼吸器
KR20220043269A (ko) 산소공급수단을 구비한 투명마스크
KR200331190Y1 (ko) 휴대용 산소호흡장치
KR101914642B1 (ko) 안면 마스크
KR20140013788A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CN106512253A (zh) 具有呼吸阀的鼻罩及包括鼻罩的呼吸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