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541U - 식물 재배 이중 용기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 이중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541U
KR20130000541U KR2020110006383U KR20110006383U KR20130000541U KR 20130000541 U KR20130000541 U KR 20130000541U KR 2020110006383 U KR2020110006383 U KR 2020110006383U KR 20110006383 U KR20110006383 U KR 20110006383U KR 20130000541 U KR20130000541 U KR 201300005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wall portion
container
slot
cultivation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8807Y1 (ko
Inventor
김종진
윤택승
송기선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10006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80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5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8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며 바닥부의 반대쪽이 개방되어 있는 통형용기로서, 측벽부 또는 바닥부에는 한 개 이상의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의 제1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의 제2면에는 돌출부에 대응되는 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와 안내슬롯은 통형용기의 원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용기가 공개된다.

Description

식물 재배 이중 용기{Pot-in-pot for plant cultivation}
본 고안은 묘목(苗木)을 재배하기 위한 재배용기(容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땅 속에 묻을 수 있는 묘목 재배 이중 용기에 관한 기술이다.
묘목 재배용기(이하, 재배용기)는 각종 조림수목 및 조경수목의 묘목을 키우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묘목이 어느 정도 자란 후에는 더 큰 재배용기, 산지, 포지, 화단, 또는 필요한 식재지에 옮겨 심을 수 있다. 침엽수, 활엽수 및 관상용 꽃나무의 묘목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물을 묘목 재배용기에 심을 수 있다.
묘목을 재배용기에서 재배할 때에 묘목이 식재된 재배용기를 땅 위에 두고 재배하면 묘목이 식재된 재배용기가 넘어질 수 있고, 겨울에는 낮은 기온에 재배용기가 노출되기 때문에 의해 묘목의 뿌리가 동해를 입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묘목이 식재된 재배용기를 땅 속에 묻은 상태로 재배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묘목이 어느 정도 자라서 다른 곳으로 이식할 때에 묘목이 식재된 재배용기를 땅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묘목을 재배용기로부터 분리해야하는데 이 과정에 많은 노력과 경비가 소요되고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묘목이 식재된 재배용기를 땅 속에 묻어 재배할 때에, 묘목이 어느 정도 자란 후에 묘목이 식재된 재배용기를 식재된 땅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구조의 묘목 재배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묘목 재배용기에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을 때에 묘목의 잔뿌리가 물빠짐 슬롯 바깥으로 자라면서 땅과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땅과 뿌리가 결합하면 묘목 재배용기를 땅으로부터 분리하기 어렵다. 본 고안에서는 묘목의 잔뿌리가 묘목 재배용기가 안착된 땅속으로 자라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 구조의 묘목 재배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이중 구조의 묘목 재배용기를 쉽게 제공하기 위한 묘목 재배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범위가 상술한 목적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관점에 따른 재배용기는 한쪽이 개방되어 있는 외측 재배용기와 한쪽이 개방되어 있는 내측 재배용기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의 재배용기이다. 이 재배용기는, 위의 외측 재배용기의 내벽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위의 내측 재배용기의 외벽부에는 위의 돌출부에 끼움 맞춤 되도록 되어 있는 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의 외측 재배용기와 위의 내측 재배용기는 위의 돌출부와 위의 안내슬롯이 서로 끼워 맞추어져 결합되어 있고, 위의 내측 재배용기에는 한 개 이상의 제1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위의 외측 재배용기에는 한 개 이상의 제2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의 제1 물빠짐 슬롯과 위의 제2 물빠짐 슬롯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위의 내측 재배용기와 위의 외측 재배용기는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관점에 따른 재배용기는 한쪽이 개방되어 있는 외측 재배용기와 한쪽이 개방되어 있는 내측 재배용기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의 재배용기이다. 이 재배용기는, 위의 내측 재배용기의 외벽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위의 외측 재배용기의 내벽부에는 위의 돌출부에 끼움 맞춤 되도록 되어 있는 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의 외측 재배용기와 위의 내측 재배용기는 위의 돌출부와 위의 안내슬롯이 서로 끼워 맞추어져 결합되어 있고, 위의 내측 재배용기에는 한 개 이상의 제1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위의 외측 재배용기에는 한 개 이상의 제2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의 제1 물빠짐 슬롯과 위의 제2 물빠짐 슬롯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위의 내측 재배용기와 위의 외측 재배용기는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재배용기는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며 위의 바닥부의 반대쪽이 개방되어 있는 통형용기(桶形 容器)이다. 이 용기는 위의 측벽부 또는 위의 바닥부에는 한 개 이상의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위의 측벽부의 제1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위의 측벽부의 제2면에는 위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의 돌출부와 위의 안내슬롯은 위의 통형용기의 원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때, 위의 제1면은 위의 측벽부의 내벽부이고, 위의 제2면은 위의 측벽부의 외벽부일 수 있다. 다르게는 위의 제1면은 위의 측벽부의 외벽부이고, 위의 제2면은 위의 측벽부의 내벽부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재배용기는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며 위의 바닥부의 반대쪽이 개방되어 있는 통형용기이다. 이 재배용기는 위의 측벽부 또는 위의 바닥부에는 한 개 이상의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위의 바닥부의 제1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위의 바닥부의 제2면에는 위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의 안내홈과 위의 바닥부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는 위의 돌출부와 위의 바닥부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위의 돌출부와 위의 안내슬롯은 위의 통형용기의 원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때, 위의 제1면은 위의 측벽부의 내벽부이고, 위의 제2면은 위의 측벽부의 외벽부일 수 있다. 다르게는 위의 제1면은 위의 측벽부의 외벽부이고, 위의 제2면은 위의 측벽부의 내벽부일 수 있다.
위의 재배용기는 상부가 하부보다 넓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묘목이 식재된 재배용기를 땅 속에 묻어 재배할 때에, 묘목이 어느 정도 자란 후에 묘목이 식재된 재배용기를 식재된 땅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구조의 묘목 재배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묘목 재배용기에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을 때에, 묘목의 잔뿌리가 묘목 재배용기가 안착된 땅속으로 자라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중 구조의 묘목 재배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중 구조의 묘목 재배용기를 쉽게 제공하기 위한 묘목 재배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가 상술한 효과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배용기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기에 묘목이 식재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a, 도 3b, 도 3c는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 재배용기를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 재배용기에 결합할 때에, 물빠짐 슬롯들을 서로 정렬하여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a, 도 4b, 도 4c는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 재배용기를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 재배용기에 결합할 때에, 물빠짐 슬롯들을 서로 어긋나게 배열하여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기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5에서 예시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기를 서로 결합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명세서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번호가 제공된다. 이 참조번호는 본 고안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참조번호는 괄호 안에 표시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을 위하여 과장된 모습을 가질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기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외측 재배용기(200)는 땅속에 묻혀있고, 외측 재배용기(200)에 삽입될 수 있는 내측 재배용기(100)는 외측 재배용기(200)와 분리되거나(도 1a) 결합될(도 1b) 수 있다. 이때, 외측 재배용기(200)와 내측 재배용기(1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의 재배용기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기에 묘목이 식재된 모습을 나타낸다.
묘목(50)이 식재되어 있는 내측 재배용기(100)가 땅 속에 묻혀있는 외측 재배용기(200) 안으로 삽입되면, 내측 재배용기(100)가 외력에 의해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 또한, 묘목(50)의 뿌리가 존재하는 내측 재배용기(100)가 땅속에 존재하기 때문에 추운 날씨에도 쉽게 동해를 입지 않을 수 있다.
땅 속에 묻힌 외측 재배용기(200) 대신에 매우 무거운 별도의 용기 안에 묘목(50)이 식재되어 있는 내측 재배용기(100)를 결합시킬 수도 있지만, 이때에 위의 별도의 용기가 추운 날 묘목(50)의 뿌리가 어는 것을 반드시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위의 별도의 용기가 무거워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용기의 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
도 3a, 도 3b, 도 3c는 물빠짐 슬롯(110)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 재배용기(100)를 물빠짐 슬롯(110)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 재배용기(200)에 결합할 때에, 물빠짐 슬롯(110)들을 서로 정렬하여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b는 외측 재배용기(200)와 내측 재배용기(100)가 결합된 상태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과 같이 내측 재배용기(100)와 외측 재배용기(200)를 결합하면, 내측 재배용기(100)의 물빠짐 슬롯(110)을 통해 빠져나온 묘목의 뿌리는 곧 바로 외측 재배용기(200)의 물빠짐 슬롯(110)을 통해 땅 속으로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내측 재배용기(100)를 외측 재배용기(200)로부터 쉽게 분리하기 어렵다.
도 4a, 도 4b, 도 4c는 물빠짐 슬롯(110)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 재배용기(100)를 물빠짐 슬롯(110)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 재배용기(200)에 결합할 때에, 물빠짐 슬롯(110)들을 서로 어긋나게 배열하여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b는 외측 재배용기(200)와 내측 재배용기(100)가 결합된 상태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과 같이 내측 재배용기(100)와 외측 재배용기(200)를 결합하면, 내측 재배용기(100)의 물빠짐 슬롯(110)을 통해 빠져나온 묘목의 뿌리는 곧 바로 외측 재배용기(200)의 측벽에 막혀 땅과 결합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묘목이 충분히 성장한 경우에도 내측 재배용기(100)를 외측 재배용기(20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내측 재배용기(100)와 외측 재배용기(200)를 서로 어긋나게 결합시킬 때에 사람이 직접 물빠짐 슬롯(110)의 위치를 확인하여 작업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일단 서로 어긋나게 결합시켰다고 하더라도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 재배용기(100)가 외측 재배용기(200) 내에서 회전하여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은 상태로 될 수 있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기를 이하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기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재배용기(100)는 측벽부(102)와 바닥부(10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닥부(101)의 반대편은 흙과 묘목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open)되어 있다. 측벽부(102)의 외벽부에는 한 개 이상의 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0)의 주변에는 물빠짐 슬롯(110)이 한 개 이상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5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물빠짐 슬롯(110)은 이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물빠짐 슬롯(110)의 형상 및 개수도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빠짐 슬롯(110)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돌출부(120)와 안내슬롯(130)의 사이의 측벽부(102)에 형성될 수도 있고, 안내슬롯(130) 주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안내슬롯(130)은 측벽부(102)의 내벽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20)와는 다른 위치, 즉, 재배용기(100)의 중심축(150)으로부터 외주방향(140) 방향으로 돌출부(120)와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내슬롯(130)을 형성하기 위해 재배용기(100)의 측벽부(102)를 두껍게 형성하고 안내슬롯(130)을 측벽부(102)로부터 함몰시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 5에서는 가이드 돌출부(131, 132)에 의해 안내슬롯(130)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다. 즉, 안내슬롯(130)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돌출부(120)와 안내슬롯(130)이 네 개씩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지만, 그 개수는 이보다 많거나 더 적을 수도 있다. 돌출부(120)와 안내슬롯(130)은 실시예에 따라 각각 한 개씩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a는 도 5에서 예시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기를 서로 결합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재배용기(100) 중 하나는 내측용기(191)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외측용기(192)로 사용할 수 있다. 내측용기(191)의 외벽에 형성된 돌출부(120)는 외측용기(192)의 내벽에 형성된 안내슬롯(130)에 끼워 맞추어져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된 내측용기(191)는 외측용기(192) 내에서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용기(191)의 물빠짐 슬롯(110)을 빠져나온 묘목의 뿌리는 외측용기(192)의 물빠짐 슬롯(110)을 통해 땅과 결합되기 힘들다. 그 결과 묘목이 충분히 자란 후에 내측용기(191)를 외측용기(192) 및 땅으로부터 쉽게 분리하는 것이 담보된다.
도 6b는 도 6a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도 6b의 실시예에서, 재배용기(100)는 도 5에 나타낸 재배용기와 아래의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즉, 재배용기(100)의 외벽에 형성된 돌출부(120)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 것이 아니라, 외벽의 아래쪽 부분에만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예를 사용하더라도 내측 재배용기(191)의 돌출부(120)가 외측 재배용기(192)의 안내슬롯(1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6b와 달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재배용기(100)의 외벽에 형성된 돌출부(120)가 외벽의 아래쪽 부분이 아닌 위쪽 부분에만 작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6b와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재배용기의 바닥부(101)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바닥부(101)의 제1면(103)에는 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부(101)의 제2면(104)에는 안내슬롯(1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돌출부(120)와 안내슬롯(130)은 바닥부(101)의 중심점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0)로부터 바닥부(101)의 중심점까지의 거리는 안내슬롯(130)으로부터 바닥부(101)의 중심점까지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면(103)은 재배용기의 내측면이고 제2면(104)는 재배용기의 외측면일 수 있다. 다르게는 제1면(103)은 재배용기의 외측면이고 제2면(104)는 재배용기의 내측면일 수 있다.
도 7와 같은 바닥부(101)를 갖는 재배용기에서 제1면(103)이 재배용기의 내측면이라고 가정하고, 하나의 재배용기를 외측 재배용기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재배용기를 내측 재배용기로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외측 재배용기의 바닥부(101)에 형성된 돌출부(120)는 내측 재배용기의 바닥부(101)에 형성된 안내슬롯(130)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일단 외측 재배용기와 내측 재배용기가 결합되면, 내측 재배용기가 외측 재배용기 안에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바닥부(101)의 돌출부(120)와 안내슬롯(130)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재배용기의 물빠짐 슬롯을 빠져나온 묘목의 뿌리는 외측 재배용기의 벽에 막히게 되어 땅과 결합하지 못한다.
재배용기(100)의 바닥부(101)가 도 7과 같이 형성된 경우에는, 측벽부(102)에 도 5에 제시한 돌출부(120)와 안내슬롯(130)이 별도로 형성될 필요가 없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재배용기(100)의 바닥부(101)가 도 7과 같이 형성된 경우에는 측벽부(102)에 도 5에 제시한 돌출부(120)와 안내슬롯(130)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아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지금까지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하나의 재배용기를 외측 재배용기와 내측 재배용기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배용기는 외측 재배용기와 내측 재배용기가 결합된 이중 구조의 재배용기일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이중 구조의 재배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재배용기는 한쪽이 개방되어 있는 외측 재배용기와 한쪽이 개방되어 있는 내측 재배용기를 포함하는 재배용기이다. 이때, 외측 재배용기의 내벽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 재배용기의 외벽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끼움 맞춤되도록 되어 있는 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 재배용기와 내측 재배용기는 돌출부와 안내슬롯이 서로 끼워 맞추어져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내측 재배용기에는 한 개 이상의 제1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재배용기에는 한 개 이상의 제2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물빠짐 슬롯과 제2 물빠짐 슬롯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내측 재배용기와 외측 재배용기는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이중 구조 재배용기가 위와 같은 구성을 만족한다면, 내측 재배용기의 제1 물빠짐 슬롯을 빠져나온 묘목의 뿌리는 외측 재배용기의 제2 물빠짐 슬롯을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내측 재배용기와 외측 재배용기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 용기일 수 있지만, 위의 구조만 만족한다면 동일한 구조가 아니어도 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의도된 것이며, 본 고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 고안의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서술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용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도록 의도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각각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본 고안의 사상에 반하지 않는다면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당업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공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합리적 해석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기술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로부터 본 고안의 사상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재배용기, 내측 재배용기 101: 바닥부
102: 측벽부 110: 물빠짐 슬롯
120: 돌출부 130: 안내슬롯
150: 중심축 200: 재배용기, 외측 재배용기

Claims (7)

  1. 한쪽이 개방되어 있는 외측 재배용기와 한쪽이 개방되어 있는 내측 재배용기를 포함하는 재배용기로서,
    상기 외측 재배용기의 내벽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재배용기의 외벽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끼움 맞춤되도록 되어 있는 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재배용기와 상기 내측 재배용기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안내슬롯이 서로 끼워 맞추어져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내측 재배용기에는 한 개 이상의 제1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재배용기에는 한 개 이상의 제2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물빠짐 슬롯과 상기 제2 물빠짐 슬롯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재배용기와 상기 외측 재배용기는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재배용기.
  2. 한쪽이 개방되어 있는 외측 재배용기와 한쪽이 개방되어 있는 내측 재배용기를 포함하는 재배용기로서,
    상기 내측 재배용기의 외벽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재배용기의 내벽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끼움 맞춤되도록 되어 있는 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재배용기와 상기 내측 재배용기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안내슬롯이 서로 끼워 맞추어져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내측 재배용기에는 한 개 이상의 제1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재배용기에는 한 개 이상의 제2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물빠짐 슬롯과 상기 제2 물빠짐 슬롯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 재배용기와 상기 외측 재배용기는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재배용기.
  3.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의 반대쪽이 개방되어 있는 통형용기(桶形 容器)로서,
    상기 측벽부 또는 상기 바닥부에는 한 개 이상의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부의 제1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부의 제2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안내슬롯은 상기 통형용기의 원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재배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측벽부의 내벽부이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측벽부의 외벽부인, 재배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측벽부의 외벽부이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측벽부의 내벽부인, 재배용기.
  6. 바닥부와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의 반대쪽이 개방되어 있는 통형용기(桶形 容器)로서,
    상기 측벽부 또는 상기 바닥부에는 한 개 이상의 물빠짐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의 제1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부의 제2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안내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홈과 상기 바닥부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바닥부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안내슬롯은 상기 통형용기의 원주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재배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측벽부의 외벽부이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측벽부의 내벽부인, 재배용기.
KR2020110006383U 2011-07-13 2011-07-13 식물 재배 이중 용기 KR200468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383U KR200468807Y1 (ko) 2011-07-13 2011-07-13 식물 재배 이중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383U KR200468807Y1 (ko) 2011-07-13 2011-07-13 식물 재배 이중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41U true KR20130000541U (ko) 2013-01-23
KR200468807Y1 KR200468807Y1 (ko) 2013-09-10

Family

ID=5139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383U KR200468807Y1 (ko) 2011-07-13 2011-07-13 식물 재배 이중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8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838B1 (ko) * 2013-04-22 2014-12-11 주식회사 감마누 안테나의 레이돔 조립용 캡구조 및 안테나의 레이돔 및 캡 조립방법
CN111263581A (zh) * 2017-05-10 2020-06-09 克莱门斯·艾尔巴赫 无土栽培容器成型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5155U (ko) * 1985-04-03 1986-10-14
JPH0823786A (ja) * 1994-07-15 1996-01-30 Toshihiko Kosakai 二重通気植木鉢
KR200267161Y1 (ko) 2001-11-20 2002-03-09 박정연 이중 화분
JP3157543U (ja) 2009-09-11 2010-02-25 節子 渡部 貯水槽から毛細管現象で給水する二重構造プランタ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838B1 (ko) * 2013-04-22 2014-12-11 주식회사 감마누 안테나의 레이돔 조립용 캡구조 및 안테나의 레이돔 및 캡 조립방법
CN111263581A (zh) * 2017-05-10 2020-06-09 克莱门斯·艾尔巴赫 无土栽培容器成型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807Y1 (ko)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719Y1 (ko) 공기층을 갖는 식물 재배 이중 용기
US10064344B1 (en) Modular planting system
CN106234051A (zh) 贫瘠地用底面灌溉式植物栽植容器
KR200468807Y1 (ko) 식물 재배 이중 용기
JP3203083U (ja) 植木鉢構造
US10624281B2 (en) Drip irrigation device for flower pot
WO2008098724A1 (de) Kulturtopf
KR20180012513A (ko) 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JP4901424B2 (ja) プランター
JP3689352B2 (ja) 栽培容器用補助具
CN102422792A (zh) 一种节水抑草型连盖营养钵
JP2006042725A (ja) ラン栽培用植木鉢
KR200466148Y1 (ko) 채소 재배용 용기
CN210381984U (zh) 一种用于边坡修复的绿化结构
JP2007151402A (ja) 支柱保持具
KR102512406B1 (ko) 흙 갈이가 편리한 화분
CN105009972A (zh) 能固定植物支撑杆的花盆
KR101653557B1 (ko)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 용기
JP3120685U (ja) 園芸用ココヤシ製マルチカバー
US20160235016A1 (en) Soft plant pot
JP3137421U (ja) 農業用マルチ資材
CN203219747U (zh) 一种栽培容器及栽培装置
KR200463447Y1 (ko) 적층식 재배용기
JP5138290B2 (ja) つる植物誘引支柱
KR200362802Y1 (ko) 잡초 성장 방지용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