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487U -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487U
KR20130000487U KR2020110006294U KR20110006294U KR20130000487U KR 20130000487 U KR20130000487 U KR 20130000487U KR 2020110006294 U KR2020110006294 U KR 2020110006294U KR 20110006294 U KR20110006294 U KR 20110006294U KR 20130000487 U KR20130000487 U KR 201300004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groove
smartphone
insertion groove
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0353Y1 (ko
Inventor
정종찬
주희원
Original Assignee
정종찬
주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찬, 주희원 filed Critical 정종찬
Priority to KR2020110006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35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4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3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2011/188Media card holders, e.g. memory cards, SIM card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S)의 바닥에 밀착되는 바닥면(11)과, 바닥면(11)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스마트폰(S)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12)(12')을 가지는 케이스부(10); 및 상기 바닥면(11)에 형성된 것으로서, 보조메모리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보관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보호케이스{Protection case for smart phone}
본 고안은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메모리를 착탈 가능하게 보관할 수 있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앱(app)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고, 일정관리, 날씨정보 제공, SNS, 인터넷등을 가능하게 하며, 동영상이나 음악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은 항상 몸에 소지하며 사용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이 없는 생활은 상상하기조차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휴대중 부주의로 떨어뜨렸을 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케이스로 감싸여져 사용된다.
한편 많은 사람들이 USB 메모리나 SD 메모리등과 같은 보조메모리를 휴대하면서 사용하고 있다. 보조메모리에는 여러 필요한 정보를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데, 예를 들면 금융거래를 하기 위한 공인인증서나, 컴퓨터 작업에 필요한 파일이나, 대용량의 동영상 파일이나 많은 음악 파일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보조메모리 역시 실생활에 필요하기 때문에 항상 몸에 소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보조메모리는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분실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 경우 신상정보가 유출될 수 있고, 공인인증서와 같이 중요한 파일이 외부로 유출될 경우 큰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보조메모리를 착탈 가능하게 보관할 수 있어 스마트폰과 함께 항상 소지할 수 있고, 보조메모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을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폰(S)의 바닥에 밀착되는 바닥면(11)과, 상기 바닥면(11)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S)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12)(12')을 가지는 케이스부(10); 및 상기 바닥면(11)에 형성된 것으로서, 보조메모리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보관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10)는 보조메모리의 성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고무 또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홈은, 상기 측면(12)으로 개구되어 상기 바닥면(11)까지 연장된 것으로서 USB 메모리(UM)가 삽입되는 삽입홈(21a)과, 상기 삽입홈(21a)과 연통되어 상기 측면(12)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삽입홈(21a)의 폭(D1)보다 큰 폭(D2)을 가지는 출입확장홈(21b)으로 이루어지는 제1메모리홈(21)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홈은, 상기 측면(12')으로 개구되어 상기 바닥면(11)까지 연장된 것으로서 SD 메모리(SM)가 삽입되는 삽입홈(22a)과, 상기 삽입홈(22a)과 연통되어 상기 측면(12')에 형성된 출입홈(22b)과, 상기 스마트폰 측 삽입홈(22a)에 형성된 개구홈(22c)으로 이루어지는 제2메모리홈(22)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홈은, 상기 스마트폰(S) 반대측의 상기 바닥면(11)에 형성된 것으로서, USB 메모리(UM)가 삽입되는 삽입홈(23a)과, 상기 삽입홈(23a)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USB 메모리(UM)를 꺼내기 위한 손톱홈(23b)과, 상기 손톱홈(23b)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USB 메모리(UM)의 일단이 끼어지는 끼움홈(23c)으로 이루어지는 제3메모리홈(23)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홈은, 상기 스마트폰(S) 반대측의 상기 바닥면(11)에 형성된 것으로서, SD 메모리(SM)가 삽입되는 삽입홈(24a)과, 상기 삽입홈(24a)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SD 메모리(SM)를 꺼내기 위한 손톱홈(24b)과, 상기 손톱홈(24b)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SD 메모리(SM)의 일단이 끼어지는 끼움홈(24c)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1)은, 상기 메모리홈이 형성되는 제1바닥면(11a)과, 상기 메모리홈이 형성되지 않는 제2바닥면(1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바닥면(11a)은 상기 제2바닥면(11b) 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조메모리를 착탈 가능하게 보관할 수 있어 스마트폰과 함께 항상 소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분실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필요시 보조메모리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무나 수지재질로 되기 때문에 성형을 위한 금형제작비를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제1,2메모리홈에 USB 메모리 및 SD 메모리가 착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배면도,
도 4는 도 2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 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제3,4메모리홈에 USB 메모리 및 SD 메모리가 끼어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제3,4메모리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제1,2메모리홈에 USB 메모리 및 SD 메모리가 착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는, 스마트폰(S)의 바닥에 밀착되는 바닥면(11)과, 바닥면(11)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스마트폰(S)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12)(12')을 가지는 케이스부(10); 및 바닥면(11)에 형성된 것으로서, 보조메모리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보관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홈;을 포함한다.
케이스부(10)는 상기한 보조메모리의 성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고무나 수지재질과 같은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성형을 위한 금형제작비를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케이스부(10)는 바닥면(11)과 측면(12)(12')을 가짐으로써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고 개구된 부분으로 스마트폰(M)이 끼어져 결합된다.
바닥면(11)은 메모리홈이 형성되는 제1바닥면(11a)과, 메모리홈이 형성되지 않는 제2바닥면(11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바닥면(11a)에는 메모리홈이 형성되기 위하여 제2바닥면(11b) 보다 두껍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홈은 보조메모리의 이례인 USB 메모리나 SD 메모리등이 수납되어 보관된다. 본 실시예에서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메모리홈은 측면(12)에서 USB 메모리(UM)가 삽입되는 제1메모리홈(21)과, 측면(12')에서 SD 메모리(SM)가 삽입되는 제2메모리홈(22)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메모리홈은 스마트폰(S) 반대측의 바닥면(10)에 형성된 것으로서 USB 메모리(UM)가 삽입되는 제3메모리홈(23)과, SD 메모리(SM)가 삽입되는 제4메모리홈(24)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메모리홈(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1)까지 연장된 것으로서 보조메모리로 USB 메모리(UM)가 삽입되는 삽입홈(21a)과, 삽입홈(21a)과 연통되어 측면(12)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삽입홈(21a)의 폭(D1)보다 큰 폭(D2)을 가지는 출입확장홈(21b)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USB 메모리(UM)가 삽입홈(21a)에 삽입될 경우에, 출입확장홈(21b)으로 손톱을 넣어 USB 메모리(M)를 잡아당겨 삽입홈(21a)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USB 메모리(M)가 손톱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USB 메모리(M)의 단부에는 출입확장홈(21b)의 폭(D2) 보다 작고 삽입홈(21a)의 폭(D1) 보다 큰 걸림돌기(M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양 손톱을 걸림돌기(M1)에 걸어서 보조메모리(M)를 메모리홈(2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2메모리홈(22)은, 바닥면(11)까지 연장된 것으로서 SD 메모리(SM)가 삽입되는 삽입홈(22a)과, 삽입홈(22a)과 연통되어 측면(12')에 형성된 출입홈(22b)과, 스마트폰 측 삽입홈(22a)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SD 메모리(SM)를 출입홈(22b) 측으로 밀어 분리하기 위한 개구홈(22c)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SD 메모리(SM)가 삽입홈(22a)에 삽입될 경우, 개구홈(22c)으로 손톱을 넣어 SD 메모리(SM)를 출입홈(22b) 측으로 밀어서 그 삽입홈(22a)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 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제3,4메모리홈에 USB 메모리 및 SD 메모리가 끼어진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제3,4메모리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6은 도 5의 제3,4메모리홈이 형성된 바닥면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메모리홈(23)은, 스마트폰(S) 반대측의 바닥면(11)에 형성된 것으로서, USB 메모리(UM)가 삽입되는 삽입홈(23a)과, 삽입홈(23a)의 측부에 형성되어 USB 메모리(UM)를 꺼내기 위한 손톱홈(23b)과, 손톱홈(23b)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USB 메모리(UM)의 일단이 끼어지는 끼움홈(23c)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USB 메모리(UM)가 삽입홈(23a)에 삽입될 경우에, 손톱홈(23b)으로 손톱을 넣어 USB 메모리(UM)의 타단을 들어올린 후 잡아당겨 삽입홈(23a)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제4메모리홈(24)은, 스마트폰(S) 반대측의 바닥면(11)에 형성된 것으로서, SD 메모리(SM)가 삽입되는 삽입홈(24a)과, 삽입홈(24a)의 측부에 형성되어 SD 메모리(SM)를 꺼내기 위한 손톱홈(24b)과, 손톱홈(24b)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SD 메모리(SM)의 일단이 끼어지는 끼움홈(24c)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SD 메모리(SM)가 삽입홈(24a)에 삽입될 경우에, 손톱홈(24b)으로 손톱을 넣어 SD 메모리(SM)의 타단을 들어올린 후 잡아당겨 삽입홈(24a)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스마트폰 보호케이스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평소에는 USB 메모리(UM)를 제1,3메모리홈(21)(23)에 삽입하여 보관하고, SD 메모리(SM)를 제2,4메모리홈(22)(24)에 삽입하여 보관한다. 이에 따라 USB 메모리나 SD 메모리를 항상 휴대할 수 있고, 또한 삽입되어 보관되므로 분실의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USB 메모리(UM)를 제1메모리홈(21)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 양 손톱을 출입확장홈(21b)에 끼어서 USB 메모리(UM)를 잡아당긴다.
SD 메모리(SM)를 제2메모리홈(22)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 스마트폰(M)을 케이스부(10)로부터 분리시키고, 이후 개구홈(22c)에 손톱을 넣어 SD 메모리(SM)를 출입홈(22b) 측으로 밀어서 그 삽입홈(22a)으로부터 분리시킨다.
USB 메모리(UM)를 제3메모리홈(23)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 손톱을 손톱홈(23b)에 끼어서 USB 메모리(UM)를 잡아당긴다.
SD 메모리(SM)를 제4메모리(24)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 손톱을 손톱홈(24b)에 끼어서 SD 메모리(SM)를 잡아당긴다.
이와 같이, USB 메모리(UM)나 SD 메모리(SM)를 제1,2,3,4메모리홈에 착탈 가능하게 보관할 수 있어 스마트폰과 함께 항상 소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분실의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시 별도의 공구 없이 USB 메모리(UM) 및 SD 메모리(SM)를 케이스부(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0)는 고무나 수지재질로 되기 때문에 성형을 위한 금형제작비를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케이스부 11 ... 바닥면
11a ... 제1바닥면 11b ... 제2바닥면
12, 12' ... 측면 21 ... 제1메모리홈
21a, 21a' ... 삽입홈 21b ... 출입확장홈
22 ... 제2메모리홈 22a, 22a' ... 삽입홈
22b ... 출입홈 22c ... 개구홈
23 ... 제3메모리홈 23a ... 삽입홈
23b ... 손톱홈 23c ... 끼움홈
24 ... 제4메모리홈 24a ... 삽입홈
24b ... 손톱홈 24c ... 끼움홈

Claims (7)

  1. 스마트폰(S)의 바닥에 밀착되는 바닥면(11)과, 상기 바닥면(11)의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S)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12)(12')을 가지는 케이스부(10); 및
    상기 바닥면(11)에 형성된 것으로서, 보조메모리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보관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10)는 보조메모리의 성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고무 또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홈은,
    상기 측면(12)으로 개구되어 상기 바닥면(11)까지 연장된 것으로서 USB 메모리(UM)가 삽입되는 삽입홈(21a)과, 상기 삽입홈(21a)과 연통되어 상기 측면(12)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삽입홈(21a)의 폭(D1)보다 큰 폭(D2)을 가지는 출입확장홈(21b)으로 이루어지는 제1메모리홈(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홈은,
    상기 측면(12')으로 개구되어 상기 바닥면(11)까지 연장된 것으로서 SD 메모리(SM)가 삽입되는 삽입홈(22a)과, 상기 삽입홈(22a)과 연통되어 상기 측면(12')에 형성된 출입홈(22b)과, 상기 스마트폰 측 삽입홈(22a)에 형성된 개구홈(22c)으로 이루어지는 제2메모리홈(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홈은,
    상기 스마트폰(S) 반대측의 상기 바닥면(11)에 형성된 것으로서, USB 메모리(UM)가 삽입되는 삽입홈(23a)과, 상기 삽입홈(23a)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USB 메모리(UM)를 꺼내기 위한 손톱홈(23b)과, 상기 손톱홈(23b)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USB 메모리(UM)의 일단이 끼어지는 끼움홈(23c)으로 이루어지는 제3메모리홈(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홈은,
    상기 스마트폰(S) 반대측의 상기 바닥면(11)에 형성된 것으로서, SD 메모리(SM)가 삽입되는 삽입홈(24a)과, 상기 삽입홈(24a)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SD 메모리(SM)를 꺼내기 위한 손톱홈(24b)과, 상기 손톱홈(24b)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SD 메모리(SM)의 일단이 끼어지는 끼움홈(2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1)은,
    상기 메모리홈이 형성되는 제1바닥면(11a)과, 상기 메모리홈이 형성되지 않는 제2바닥면(1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바닥면(11a)은 상기 제2바닥면(11b) 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20110006294U 2011-07-12 2011-07-12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0470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294U KR200470353Y1 (ko) 2011-07-12 2011-07-12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294U KR200470353Y1 (ko) 2011-07-12 2011-07-12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487U true KR20130000487U (ko) 2013-01-22
KR200470353Y1 KR200470353Y1 (ko) 2013-12-11

Family

ID=50750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294U KR200470353Y1 (ko) 2011-07-12 2011-07-12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35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854B1 (ko) * 2013-03-28 2014-04-18 이진우 메모리장치의 수납 기능을 구비한 보호 케이스
KR200475833Y1 (ko) * 2014-06-30 2015-01-07 서진원 카드 수납부가 구비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WO2015167536A3 (en) * 2014-04-30 2016-04-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tective case for a device
KR20180001406U (ko) * 2016-10-31 2018-05-11 한재환 Usb 메모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170B1 (ko) * 2016-01-21 2017-11-30 류원석 휴대폰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930Y1 (ko) * 2009-09-22 2012-06-14 주식회사 뉴빛 휴대 단말기 보호커버
KR20110058200A (ko) * 2009-11-26 2011-06-01 어윤하 유에스비명함케이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854B1 (ko) * 2013-03-28 2014-04-18 이진우 메모리장치의 수납 기능을 구비한 보호 케이스
WO2015167536A3 (en) * 2014-04-30 2016-04-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tective case for a device
CN106455778A (zh) * 2014-04-30 2017-02-22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设备的保护壳
US9980543B2 (en) 2014-04-30 2018-05-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tective case for a device
KR200475833Y1 (ko) * 2014-06-30 2015-01-07 서진원 카드 수납부가 구비되는 휴대폰 보호케이스
KR20180001406U (ko) * 2016-10-31 2018-05-11 한재환 Usb 메모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353Y1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353Y1 (ko)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US10761404B2 (en) Privacy shutter for computer camera
EP3350728A4 (en) DATA STORAGE MANAGEMENT OPERATIONS IN A SECONDARY STORAGE SYSTEM WITH PICTURE IDENTIFICATION AND PICTURE-BASED CRITERIA
US20170086557A1 (en) Mobile phone case with receiving slot
US10617187B2 (en) Card holder embedded into a mobile device case
EP3430529A4 (en) INTELLIGENT METADATA MANAGEMENT AND DATA LINE TRACING
WO2010083459A3 (en) Computer cart
WO2014145884A3 (en) Syntactic tagging in a domain-specific context
KR200456030Y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WO2014122451A3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wallet data access
WO2009158664A3 (en) Library description of the user interface for federated search results
CN102568553A (zh) U盘
EP3350717A4 (en) COMPUTER SYSTEMS AND METHOD FOR SHARING ASSET-RELATED INFORMATION BETWEEN DATA PLATFORMS VIA A NETWORK
KR200472435Y1 (ko) 슬라이드 커버를 갖는 카드 수납형 모바일기기 케이스
MX349625B (es) Estuche de protección para al menos dos tarjetas de crédito o similares.
KR101635152B1 (ko) 이동 단말기 보호용 케이스
MY177668A (en) Member management apparatus, member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D777169S1 (en) Housing for a biometric storage device
WO2014135989A3 (en) Pin management with reader verification
KR20130131727A (ko) 손톱미용도구 보관용 케이스
KR101712805B1 (ko) 카드 수납용 단말기 케이스
KR20150000687U (ko) 카드 수납 케이스
US20150237754A1 (en) Holding device adapted to casing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TARAGAN SĂPTĂMÂNA ȘTIINȚEI LA BIBLIOTECA MUNICIPALĂ „BP HASDE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