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344U - portable terminal submonitor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submon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344U
KR20130000344U KR2020120010631U KR20120010631U KR20130000344U KR 20130000344 U KR20130000344 U KR 20130000344U KR 2020120010631 U KR2020120010631 U KR 2020120010631U KR 20120010631 U KR20120010631 U KR 20120010631U KR 20130000344 U KR20130000344 U KR 201300003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onitor
mobile terminal
data
auxiliary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63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장현
Original Assignee
노장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장현 filed Critical 노장현
Priority to KR2020120010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344U/en
Publication of KR201300003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344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보조 모니터 표시장치다.
상기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Plexible Display Panal>을 이용하여 가볍고 부피 또한 작게 제작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사용자의 필요시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스마트폰의 각종 콘텐츠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해주는 표시장치다.
상기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스마트폰의 영상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는 인터페이스부, 입력받은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면을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monitor display device of a smartphone.
The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can be manufactured lightly and with a small volume using a flexible display panel.
The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is a display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smart phone when a user needs it, is supplied with power, and receives and displays various contents of the smart phone.
The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n image and a data signal of a smartphon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put data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portable terminal submonitor}Portable terminal submonitor

본 고안은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보조 모니터 표시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monitor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monitor display device of a smartphone.

현재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기능에 비해 모니터 화면이 한정되어 있는 단점을 해결하고자 보조 모니터 표시장치를 구현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drawback that the monitor screen is limited compared to the function of a smartphone that can use various contents, a secondary monitor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종래에 사용하던 피처폰(폴더형, 슬라이더형)을 보면 한쪽에는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가 있고 반대편에는 이를 디스플레이 해주는 상반된 기능이었다.In the conventional feature phone (folder type, slider type), there was a contrary function of displaying a keypad on one side and displaying it on the other side.

근래에 들어 정전식 터치스크린이 개발된 바 이제는 한 모니터 안에서 위의 두 기능을 모두 구현 가능해졌고 또한 영상통화를 하며 검색을 하는 등 멀티테스킹이 가능해졌지만 아무래도 작은 화면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응용하는데는 불편함이 많았다.In recent years, capacitive touch screens have been developed. Now, both of the above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in one monitor, and multitasking is possible, such as video call and search, but it is inconvenient to apply various programs on a small screen. There was a lot.

또한 노트북, 태블릿 PC 등, 휴대용 PC가 널리 쓰이고 있지만 부피가 커서 자유롭게 휴대하며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In addition, portable PCs such as laptops and tablet PCs are widely used, but they are bulky and have limitations in being freely portable.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스마트폰 규격에 맞게 제작해 이를 스마트폰 내의 연결 단자에 부착하여 스마트폰의 영상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전송 받아 이를 상기 보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A second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a smartphone standard and attached to a connection terminal in a smartphone to receive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of the smartphone and display it on the secondary monitor.

또한 상기 보조 모니터는 스마트폰과 연결 합체 했을 시 부피와 무게가 커지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Plexible Display Panal)을 활용하여 보조 모니터의 스크린 패널에 이용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monitor is intended to be used for the screen panel of the auxiliary monitor by using a flexible display panel (Complex Display Panal)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 that the volume and weight is increased when combined with a smartphone.

또한 유리,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만든 스크린 패널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screen panel made of a material such as glass or plastic can be u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스마트폰에서 보조 모니터로 영상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송신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mission unit for outputting the image and data signals from the smart phone to the auxiliary monitor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상기 영상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수신 받는 수신부,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image signal and the data signal,

스마트폰과 상호 연동되는 인터페이스부,Interface unit interworking with the smartphone,

전송되는 영상 및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image and data signal on a monitor;

또한 스마트폰에서 보조 모니터로 배터리 전력을 출력하는 송전부,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or outputting battery power from the smartphone to the secondary monitor,

상기 전력을 공급받아 보조 모니터의 회로단자 및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A power supply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power and supply power to circuit terminals and sensors of the auxiliary monitor;

상기 데이터 송신부로부터 출력된 영상 및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를 거쳐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입력 받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데이터 및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e and data output from the data transmitter are input to the interface unit through the data receiver,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terface unit displays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data and the image signal on the monitor. .

또한 상기 배터리 송전부로부터 출력된 전력은 상기 전원 공급부를 거쳐 보조 모니터 내부의 회로단자 및 센서에 전원을 공급한다.In addition, the power output from the battery power supply unit supplies power to circuit terminals and sensors inside the auxiliary monitor via the power supply unit.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모니터를 두 개 사용하는 효과가 있어 작은 모니터로 인해 불가능 했던 다양한 콘텐츠 및 응용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게 해준다.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using two monitors, it is possible to utilize a variety of content and applications that were impossible due to the small monitor.

또한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보조 모니터를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필요한 영상 및 데이터를 상기 보조 모니터에 전송하여 더 큰 화면에서 문자전송, 영상통화, 검색 등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phone user may connect the secondary monitor to the smartphone and transmit necessary images and data to the secondary monitor to perform text transmission, video call, and search on a larger screen.

또한 기능을 보완한다면 상기 보조 모니터에 터치 기능을 부여해 문자입력 및 다양한 작업을 스마트폰과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function is supplemented, the auxiliary monitor may be given a touch function to perform text input and various operations in the same way as a smartphone.

또한 스마트폰과 보조 단말기는 배터리 송,수신 단자만 연결하고 영상 및 데이터 신호는 근거리 무선통신<NFC>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and the auxiliary terminal may connect only the battery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rminals, and video and data signals may us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또한 상기 보조 모니터는 그 기능을 활용하면 게임기 등 다양한 기기와 연동되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auxiliary monitor may be used in conjunction with various devices such as game consoles by utilizing the func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작할 시 무게와 부피가 작아지는 장점이 있어 휴대하는데 불편함이 없다.In addition, the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weight and volume is reduced wh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is manufactured,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carry.

또한 인셀<in cell> LCD 패널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In-cell LCD panels may also be us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그 기능상 모니터를 반투명하게 제작 가능한데 이와 같이 만들면 스마트폰과 합체 <도 5 참조> 했을 때 굳이 보조 모니터를 개폐하지 않아도 모니터를 투과하여 스마트폰 액정에 표시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The flexible display panel can make the monitor semi-transparent in its function. When this is made, it will be able to see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of the smartphone through the monitor without opening and closing the auxiliary monitor when combined with the smartphone.

이때 보조 모니터 화면이 투명해지면 디스플레이 할 때 빛에 의해 화면이 선명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매직미러를 응용하여 보조 모니터가 작동할 때 발생하는 전류로 색이 변하게 만드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secondary monitor screen becomes transparent, the screen may not be clear due to light when displaying. There may be a method of applying a magic mirror to change the color by the current generated when the secondary monitor operates.

상기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사용자가 필요시 스마트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보조 모니터이지만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만 있다면 스마트폰에 고정하여 액정을 보호하는 케이스로도 사용 가능하다. 보조 모니터의 구조 및 모양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econdary monitor for the mobile terminal is a secondary monitor used by the user to attach to the smart phone when needed, but can be used as a case to protect the liquid crystal by fixing to the smart phone as long as the thickness and weight can be reduced.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auxiliary monitor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a rang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의 연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의 구동 방식 순서도<Flow chart>를 나타내는 순서도다.
도 3은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연동될 스마트폰의 우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의 합체된 상태도다.
도 6은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의 연결된 사용상태도다.
도 7, 도 8은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의 합체된 상태도의 좌측면도(가), 우측면도(나)이다.
도 9, 도 10은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의 좌측면도(가), 우측면도(나)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연동될 스마트폰의 배면도로써, 부착고리 탈락 버튼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interworking method of the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and a smar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chart of a method of driving an auxiliary monitor and a smartphon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right side view of the smart phone to be linked with the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in which the second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and the smart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porated.
6 is a state of use of the secondary monitor for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mart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left side view (a) and right side view (b) of the state diagram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ary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orporating the smart phone.
9 and 10 are left side view (a) and right side view (b) of the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rear view of the smart phone to be linked with the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attachment ring release button.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ive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의 연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interlocking method of an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and a smart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폰(100)에는, 데이터 송신부<110>, 배터리 송전부<120>,Referring to FIG. 1, the smart phone 100 includes a data transmitter <110>, a battery power transmitter <120>,

상기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150>에는, 전원 공급부<180>, 데이터 수신부<190>, 인터페이스부<200>, 디스플레이부<210>, 를 포함한다.The auxiliary monitor <150> for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80>, a data receiving unit <190>, an interface unit <200>, and a display unit <210>.

또한 스마트폰과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를 연결하여 데이터 신호 전송 및 배터리 전력을 공급받게 하는 데이터 송 수신 단자<130>,<160>, 배터리 송,수신 단자<140>,<170>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also includ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rminals <130>, <160>, and battery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rminals <140> and <170> for connecting a smartphone and an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to receive data signal transmission and battery power. have.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150>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필요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조기기다.An auxiliary monitor <15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xiliary device that a smartphone user can attach and use when necessary.

스마트폰 사용자가 영상통화, 문자전송, 검색 등을 동시에 실행하거나 좀 더 넓은 화면에서 하고자 할 때 스마트폰<100>의 응용프로그램을 조작해 필요한 콘텐츠를 송신하면 송신부<110> 보조 모니터<150>와 연결된 데이터 송,수신 단자<130, 160>를 통하여 데이터 수신부<190>에 수신된다.When a smartphone user performs video call, text transmission, search, etc. at the same time or wants to use a wider screen, operate the application program of the smartphone <100> and send the necessary content. It is received by the data receiving unit <190> through the connected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rminals <130, 160>.

상기 인터페이스부는<200> 데이터 수신부<190>로부터 영상 신호 및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인터페이스부<20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신호 및 데이터 신호와 대응되는 화면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다.The interface unit receives an image signal and data from the <200> data receiving unit <190>, and the display unit <210> displays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and data signal received from the interface unit <200> on a monitor.

바람직하게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능상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Preferably, it is effective to us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in the functional display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스마트폰<100>에 내장된 배터리 송전부<120>로부터 배터리 송,수신 단자<140, 170>를 통해 전원 공급부<180>에 배터리 전력을 공급받는다.A second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the battery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180> through the battery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rminals <140, 170> from the battery transmission unit <120> built in the smart phone <100> To be supplied.

상기 공급받은 전력은 전원 공급부<180>의 제어를 받아 보조 모니터 내의 센서 및 회로단자에 공급된다.The supplied power is supplied to a sensor and a circuit terminal in the auxiliary monitor under the control of the power supply unit <180>.

본 고안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영상 및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외에는 다른 역할은 수행하지 않는다.The secondary monitor for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lay a role other than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and data transmitted from a smartphone.

그에 따라 본 고안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표시되는 화면을 전환, 수정, 삭제하고자 할 때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이용해야 한다.Accordingly, the second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use a function of a smartphone when switching, modifying, or deleting a displayed scree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2,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150>의 동작 방법의 순서도는,Flow chart of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uxiliary monitor <15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스마트폰<100>에 상기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150>를 연결<300>해야 한다.First, the auxiliary monitor <150> for the mobile terminal should be connected to the smartphone <100> <300>.

이 때 <도 1 참조> 데이터 송,수신 단자<130, 160>와 배터리 송,수신 단자<140, 170>를 결합하고 부착고리<도 3, 도 4 참조>로 고정한다. 보조 모니터에 배터리 전력이 공급<301>되면 보조 모니터가 작동<302>된다.At this time,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s <130, 160> and the battery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s <140, 170> are combined and fixed with an attachment ring <see FIGS. 3 and 4>. When battery power is supplied to the secondary monitor <301>, the secondary monitor is activated <302>.

스마트폰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보조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송<303>한다.The smartphone user transfers data to the auxiliary terminal according to the selected application program.

데이터 송,수신 단자<도 1 참조>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는 보조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부<304>, 인터페이스부<305>를 거쳐 디스플레이<306>된다.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see FIG. 1> is displayed <306> via the data receiving section <304> and the interface section <305> of the auxiliary terminal.

도 3은 본 고안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연동될 스마트폰의 우측면도다.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smart phone to be linked with the secondary monitor for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 3,

상기 스마트폰<400>에는 보조 모니터와 연결할 수 있는 부착고리 홈<401>, 데이터 송신용 단자<402>, 배터리 송전용 단자<403>가 포함된다.The smartphone <400> includes an attachment ring groove 401 that can be connected to an auxiliary monitor, a terminal for data transmission <402>, and a terminal for battery transmission <403>.

상기 부착고리 홈<401>은 부착고리<503>,<도 4 참조>가 삽입되며 고정되는 방식이다.The attachment ring groove <401> is a method in which the attachment ring <503> and <see FIG. 4> are inserted and fixed.

상기 데이터 송신용 단자<402>는 데이터 수신용 잭<501>,<도 4 참조>이 삽입된다.In the data transmission terminal <402>, a data receiving jack <501> and <refer to FIG. 4> are inserted.

상기 배터리 송신용 단자<403>는 배터리 수신용 잭<502>,<도 4 참조>이 삽입되는 방식이다.The battery transmission terminal <403> is a method of inserting the battery reception jack <502> and <see FIG. 4>.

<이하 도 3, 도 4 도면 참조><Hereafter, see FIG. 3, FIG. 4 drawing>

도 4는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Referring to Figure 4,

상기 보조 모니터<500>는 데이터 수신용 잭<501>, 배터리 수신용 잭<502>, 부착고리<503>, 경첩 역할을 하는 연결고리<504>, 고정틀<505>, 모니터<506>를 포함한다.The auxiliary monitor <500> includes a data receiving jack <501>, a battery receiving jack <502>, an attachment ring <503>, a connecting ring <504> serving as a hinge, a fixing frame <505>, and a monitor <506>. do.

상기 데이터 수신용 잭<501>은 스마트폰에서 데이터 신호를 전송받기 위해 사용되며 데이터 송신용 단자<402>,<도 3 참조>와 연결된다.The data receiving jack <501> is used to receive a data signal from the smartphone and is connected to the data transmission terminals <402> and <see FIG. 3>.

상기 배터리 수신용 잭<502>은 스마트폰에서 배터리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사용되며 배터리 송전용 단자<403>,<도 3 참조>와 연결된다.The battery receiving jack <502> is used to receive battery power from the smartphone and is connected to the battery transmission terminals <403> and <see FIG. 3>.

상기 부착고리<503>는 보조 모니터를 스마트폰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부착고리 홈<401><도 3 참조>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이다.The attachment ring <503> is used to fix the auxiliary monitor to the smartphone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attachment ring groove <401> <see FIG. 3>.

상기 연결고리<504>는 보조 모니터를 스마트폰에 결합했을 시 두 기기를 고정시켜 자유로히 펼쳐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경첩 역할을 한다.The link <504> when the secondary monitor is coupled to the smartphone serves as a hinge that allows the two devices to freely open to use.

또한 내부에는 데이터 수신용 잭과 연결된 전선, 배터리 수신용 잭과 연결될 내선이 지나가는 통로 역할도 겸하고 있다.It also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wires connected to jacks for receiving data and stations that connect to jacks for receiving batteries pass.

상기 고정틀<505>은 모니터<506>를 고정 지탱해 주는 역할을 하며 내부에는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기능하는 전원 공급부, 데이터 수신부, 인터페이스부, 디스플레이부<도 1 참조> 등을 포함한 회로기판과 센서 등이 내장되어 있다.The fixing frame <505> serves to support and hold the monitor <506>, and includes a circuit board and a sensor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a data receiving unit, an interface unit, a display unit <see FIG. It is built.

상기 모니터<506>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만들어 지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를 이용 디스플레이 하게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필요시 다양한 형태의 재질과 다양한 패널의 스크린으로 모니터를 구현할 수도 있다.The monitor <506> is made of a flexible display panel and its purpose is to display the display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However, the monitor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materials and screens of various panels.

도 5는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의 합체된 상태도다.5 is a state in which the second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and the smart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porated.

도 6은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의 연결된 사용상태도로서 도 5의 상태도를 개폐한 사용상태도다.6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state diagram of FIG. 5 as a use state diagram of the auxiliary monitor and the smart phone for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를 사용시 위와 같은 상태도가 되며 사용이 끝나면 다시 합체<도 5 참조>하여 휴대하거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를 빼서 따로 보관할 수 있다.When the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shown above, after use, it is possible to carry it by merging again (see FIG. 5) or remove the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separately.

본 고안인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는 여러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The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위의 방법같이 탈,부착이 자유롭게 만들 수 있고 스마트폰에 고정시켜 액정 보호 케이스로 사용할 수도 있다.As above, it can be freely attached and detached, and can be used as a LCD protective case by fixing it to a smartphone.

도 7, 도 8은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스마트폰의 합체된 상태도의 좌측면도<가>, 우측면도<나>이다.7 and 8 are a left side view <a> and a right side view <b> of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with a smartphone.

도 9, 도 10은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의 좌측면도<가>, 우측면도<나>이다.9 and 10 are left side view <a> and right side view <b> of the auxiliary monitor for mobile terminal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고안의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와 연동될 스마트폰의 배면도로써, 부착고리<503>가 부착고리 홈<401>에 삽입되었을 시 이를 수월하게 탈락시킬 수 있는 탈락 버튼<404>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rear view of the smartphone to be interlocked with the auxiliary monitor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he attachment ring <503> is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ring groove <401> of the dropout button <404> It is a figure which shows a position.

탈락 버튼의 모양과 사용 방법은 여러 형태로 이용 가능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부착고리<503>에 고리 모양의 돌기를 만들어 이를 부착고리 홈<501>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The shape and method of using the release button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 ring-shaped protrusion is made on the attachment ring <503> and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ring groove <501> to fix it.

이는 또한 여러 형태의 방법으로 변형 가능하다.It can also be modified in many ways.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100, 400 스마트폰
110 데이터 송신부
120 배터리 송전부
130, 402 데이터 송신용 단자
140, 403 배터리 송전용 단자
150, 500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
160, 501 데이터 수신용 잭
170, 502 배터리 수신용 잭
180 전원 공급부
190 데이터 수신부
200, 305 인터페이스부
210, 306 디스플레이부
300 스마트폰에 보조 모니터 연결
301 배터리 공급
302 모니터 켜짐
401 부착고리 홈
404 부착고리 탈락 버튼
503 부착고리
504 연결고리
505 고정틀
506 모니터
100, 400 smartphone
110 Data Transmitter
120 battery power transmitter
130, 402 terminal for data transmission
140, 403 battery power supply terminal
Secondary monitor for 150, 500 mobile terminals
160, 501 jack for receiving data
170, 502 battery jack
180 power supply
190 Data Receiver
200, 305 interface
210, 306 display
Connecting a Second Monitor to a 300 Smartphone
301 battery supply
302 Monitor On
401 Attachment Groove
404 Attachment Release Button
503 Attachment
504 links
505 fixing frame
506 monitor

Claims (4)

스마트폰에서 송신된 영상 신호 및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90>,
스마트폰으로부터 이동 단말기용 보조 모니터에 송전된 배터리 전력을 수신하는 전원 공급부<180>,
상기 수신된 영상 및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200>,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입력받는 영상 및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0>.
Receiving unit <190>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and a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a smartphone,
A power supply unit for receiving the battery power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to the auxiliary monitor for the mobile terminal,
An interface unit <200> for receiving the received image and data signals;
A display unit <210> for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mage and data signals input to the interface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스마트폰에서 송신된 영상 및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영상 및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입력받은 영상 및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면을 유기 발광 바이오드<AMOLED>를 이용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작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terface unit receives an image and a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a smartphone.
And transmitting the input image and data to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input image and data on a monitor made of a flexible display panel us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biode <AMO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180>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송전된 배터리 전원을 전원 시스템에 의해 각 센서 및 회로단자에 전원 공급하는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180) supplies the battery power transmitted from the smartphone to each sensor and the circuit terminal by a power system. 제 1항, 2항, 3항에 있어서 스마트폰 내의 응용 프로그램과 유기적으로 연동되는 관련 프로세서The related processor according to claim 1, 2 or 3, which is organically linked with an application in a smartphone.
KR2020120010631U 2012-11-19 2012-11-19 portable terminal submonitor KR2013000034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31U KR20130000344U (en) 2012-11-19 2012-11-19 portable terminal sub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631U KR20130000344U (en) 2012-11-19 2012-11-19 portable terminal submoni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44U true KR20130000344U (en) 2013-01-15

Family

ID=52424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631U KR20130000344U (en) 2012-11-19 2012-11-19 portable terminal submon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344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320A (en) * 2017-04-27 2018-11-06 주식회사 플렉싱크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using earphone integrated with FM receiving device
KR20180120321A (en) * 2017-04-27 2018-11-06 주식회사 플렉싱크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using portable FM transmit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320A (en) * 2017-04-27 2018-11-06 주식회사 플렉싱크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using earphone integrated with FM receiving device
KR20180120321A (en) * 2017-04-27 2018-11-06 주식회사 플렉싱크 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using portable FM transmit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486B1 (en) Portable terminal
US10901523B2 (en) Flip cover wireless keyboard which utilizes wireless protocols for harvesting power and communicating with digital apparatus
KR20150019248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8628565B (en) Mobile terminal oper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KR20130046846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RU2011113538A (en) IMAGE DISPLAY SYSTEM, DISPLAY FOR IMAGE DISPLAY AND REMOTE CONTROL DEVICE
KR20150000041A (en) Protecting cover for electronic device
KR20160138748A (en) Flexible device
KR201300961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laptop trackpad using cell phone display
CN103970258B (en) Wearable electronic equipment and display methods
US201502345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of electronic device
CN109491634B (en) Scre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JP2017027465A (en) Electronic device system, electronic device cover and electronic device
KR101737927B1 (en) Dual Display Device
GB2369959A (en) Holder for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 a screen
KR20180071775A (en) Power supply device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CN201750472U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projection mobile phone
KR20130000344U (en) portable terminal submonitor
CN104013183A (en) Terminal protective cover, terminal display screen expansion method and terminal equipment
KR101612382B1 (en) Mobile terminal case apparatus having electrostatic touch pannel a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9494974B2 (en) Touch display device
KR201400085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KR102302994B1 (en) A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CN104699436A (en) Obverse split-screen display applicable to mobile device
KR20130000600U (en) portable terminal sub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