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994B1 - A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 Google Patents

A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994B1
KR102302994B1 KR1020190124766A KR20190124766A KR102302994B1 KR 102302994 B1 KR102302994 B1 KR 102302994B1 KR 1020190124766 A KR1020190124766 A KR 1020190124766A KR 20190124766 A KR20190124766 A KR 20190124766A KR 102302994 B1 KR102302994 B1 KR 102302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screen
display
input device
smar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1928A (en
Inventor
홍정윤
Original Assignee
홍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윤 filed Critical 홍정윤
Priority to KR102019012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994B1/en
Publication of KR2021004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9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9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로서,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전용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되어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용 케이블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상기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디스플레이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따르면,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과, 스마트폰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전용 케이블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에 유선으로 연결 접속하여 연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전용 모니터로 사용하면서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디스플레이의 터치 입력 제어를 통해 스마트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따르면, 전용 케이블을 통해 연결 접속되는 스마트폰의 탑재된 기능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모니터로 기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자기기에서 구동에 필요한 배터리, 카메라, 통신모듈, USB, 버튼, 고성능의 연산처리 칩셋 및 대용량의 메모리의 구성들을 스마트폰에서 제공함에 따라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모든 모듈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소한의 구성으로 무게를 줄여주고, 그에 따른 스마트폰의 기능사용에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사용에 따른 피로감이나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따르면, 자이로 센서로부터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직접적인 화면 전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실행중인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또한,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콘텐츠 기능의 실행 이후 스마트폰의 화면은 오프(off)되고, 디스플레이의 화면은 온(on)되는 모드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의 절감을 통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a tou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a touch, comprising: an interface module having a dedicated cable for connection and connection with a smartphone; a display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current screen state of the smart phone in an interlocked state by being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via the dedicated cabl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the smart phone interlocked through the connection connection of the dedicated cable; and a gyro sensor detecting a vertical or horizontal screen position of the display and outputting it to the controller, wherein the controller includes a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ge signal of the current screen position of the display is generated from the gyro sensor. transmits to the smartphone, and controls the screen change of the display to be performed by interlocking with the screen change of the smartphone performed in response to a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in a specific linked app of the smart phone. .
According to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dicated cable for connection and connection for interworking with a smartphone, a display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current screen state of the smartphone, and a dedicated cable are connected By configuring it to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smartphone that is linked through connection, and a gyro sensor that detects the vertical or horizontal screen position of the display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it connects to the smartphone by wire and connects to the smartphone. In one state, while being used as a dedicated monitor for a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use the functions of the smartphone through wired control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smartphone and touch input control of the displa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he t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it to function as a dedicated monitor that enables the built-in function of the smartphone connected and connected through a dedicated cable to be used through the display, As the smartphone provides the necessary battery, camera, communication module, USB, button, high-performance arithmetic processing chipset and large-capacity memory components, all modules corresponding to these modules can be removed from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and accordingly, at leas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phone and to minimize the fatigue or discomfort associated with use while not having any inconvenience in using the function of the smartphone, an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accordingl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he t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hange signal of the current screen position is generated from the gyro sensor, a corresponding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and a specific interlocking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is generated. By interlocking with the screen change of the smartphone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in The convenience of use is increased, and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s turned off after the execution of the content function in a specific linked app of the smartphone and the screen of the display can be controlled in a mode in which the screen is turned on,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y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Description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A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A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본 발명은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에 유선으로 연결 접속하여 연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전용 모니터로 사용하면서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디스플레이의 터치 입력 제어를 통해 스마트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a touch, and more specifically, wired control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smart phone while using it as a dedicated monitor for a smart phone in a state in which it is connected to a smart phone to be linked by wi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input device for a smart phone through a touch, which enables a function of a smart phone to be used through a touch input control of a display.

일반적으로 스마트폰(Smart phone)은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이 모바일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컴퓨터, 전자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기존의 퍼스널컴퓨터(PC)의 기능을 모바일 형태로 모두 구현하게 되었다. 특히, 이러한 스마트폰은 통상의 컴퓨터 운영체제(OS)와 유사한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음성/데이터 통신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general, a smart phone is a mobile terminal that is equipped with a mobile operating system,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to use various applications and contents. These smart phones have implemented all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personal computer (PC) in a mobile form according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and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particular, such a smart phone is equipped with a system similar to a typical computer operating system (OS), and thus, functions such as voice/data communication as well as multimedia content playback and application execution can be implemented.

또한, 스마트폰은 고성능화되면서 보다 다양한 기능을 위한 모듈들이 탑재되고 있다. 즉, 스마트폰은 고성능 배터리, 복수의 카메라, 통신모듈, 다양한 USB 포트, 버튼 등의 하드웨어적인 구성과, 고성능의 연산처리 칩셋 및 대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In addition, as the performance of the smart phone increases, modules for more various functions are being loaded. That is, the smartphone is being developed in a form equipped with a high-performance battery, a plurality of cameras, a communication module,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various USB ports and buttons, a high-performance arithmetic processing chipset, and a large-capacity memory.

현재 스마트폰은 대다수의 사람들이 장시간 휴대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에서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및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폰은 사용자들의 장시간 사용 시에 스마트폰의 무게로 인한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그에 따른 사용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많은 소비자들이 대화면을 필요로 하지만, 이러한 무게 문제 때문에 모든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크기에 제약을 두는 것이 현실이다. 이처럼 대화면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무시할 수 없는 제조사들은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태블릿 또는 탭이라는 형식으로 대화면을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또 다른 시장을 형성하고,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고 있으나, 이 또한 무게의 한계를 벗어날 수는 없다.
Currently, most people use smartphones for a long time, and users are using various multimedia contents playback and applica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in smartphones. However, such a smartphone has a problem in that users feel fatigue due to the weight of the smartphone when using it for a long time, and there is a problem in using it accordingly. In particular, many consumers need a large screen, but the reality is that all smartphone manufacturers place restrictions on the size due to this weight problem. As such, manufacturers who cannot ignore the needs of consumers who demand a large screen are forming another market by providing devices that implement a large screen in the form of a tablet or tab to satisfy the needs of consumers, and stimulate consumers' purchase desire. This also cannot exceed the weight limit.

또한,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대화면을 추구하는 태블릿 또는 탭을 구비한다고 하여 그들이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놓고 다니지는 않는다. 결국 대화면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는 소비자들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또는 탭 등을 동시에 소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하며, 이는 이중 소지의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화면, 카메라, 전화, 인터넷 등을 이중으로 소지하게 되고, 그로 인해 통신비용도 이중으로 지불하는 역설적 효과를 가져 오게 된다. 아래의 [표 1]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도는 탭의 일반적인 특징과 장단점의 비교 일례를 나타낸다.In addition, most consumers do not leave their smartphones with them just because they have a tablet or tab that pursues a large screen. In the end, consumers who feel the need for a large screen have to bear the inconvenience of possessing a smartphone and a tablet or tab at the same time, which not only caus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a double screen, but also a screen, a camera, a phone, and the Internet. It has the paradoxical effect of paying double the communication cost. [Table 1] below shows a comparison example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smartphones and tablets or tabs.

Figure 112019102832808-pat00001
Figure 112019102832808-pat00001

이에 본 출원인은 스마트폰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스마트폰의 무게로 인한 피로감과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적의 무게와 대형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폰 연동의 전용 모니터로 사용이 가능한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intends to propose a device that can be used as a dedicated monitor for smartphone interlocking that can implement an optimal weight and large screen in order to minimize fatigue and discomfort due to the weight of the smartphone due to long-term use of the smartphone. .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과, 스마트폰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전용 케이블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에 유선으로 연결 접속하여 연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전용 모니터로 사용하면서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디스플레이의 터치 입력 제어를 통해 스마트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and a dedicated cable for connection and connection for interworking with a smartphone, a display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current screen state of the smartphone, By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smartphone that is linked through a dedicated cable connection, and a gyro sensor that detects the vertical or horizontal screen position of the display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it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by wire Auxiliary input device for smartphones through touch that allows the use of smartphone functions through wired control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smartphones and touch input control of the display while being used as a dedicated monitor for smartphones in the state of being connected and interlocked Its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전용 케이블을 통해 연결 접속되는 스마트폰의 탑재된 기능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모니터로 기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자기기에서 구동에 필요한 배터리, 카메라, 통신모듈, USB, 버튼, 고성능의 연산처리 칩셋 및 대용량의 메모리의 구성들을 스마트폰에서 제공함에 따라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모든 모듈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소한의 구성으로 무게를 줄여주고, 그에 따른 스마트폰의 기능사용에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사용에 따른 피로감이나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nction as a dedicated monitor that enables the built-in function of a smartphone connected and connected through a dedicated cable to be used through a display, thereby providing a battery, camera, communication module, USB, As the configuration of buttons, high-performance arithmetic processing chipset, and large-capacity memory are provided by the smartphone, all modules corresponding to these modules can be removed from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ereby reducing the weight with a minimum configuration and consequently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n auxiliary input device for smartphones through touch, which minimizes fatigue or discomfort due to use without any inconvenience in using the functions of the smartphone, and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use accordingly. do.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자이로 센서로부터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직접적인 화면 전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실행중인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또한,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콘텐츠 기능의 실행 이후 스마트폰의 화면은 오프(off)되고, 디스플레이의 화면은 온(on)되는 모드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의 절감을 통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hange signal of the current screen position is generated from the gyro sensor, a corresponding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and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in a specific linked app of the smartphone. By allowing the screen change of the display to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screen change of the smartphone, the convenience of use that enables the vertical or horizontal screen change of the display being executed by the user without a direct screen chang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is increased, and, After the content function is executed in a specific interlocking app of the smartphone,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s turned off and the screen of the display is controlled in an on mode,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y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a touch.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는,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a touch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로서,As 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모듈;an interface module having a dedicated cable for connection and connection for interworking with a smartphone;

상기 전용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되어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a display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current screen state of the smart phone in a state in which it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via the dedicated cable;

상기 전용 케이블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상기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the smart phone interlocked through the connection connection of the dedicated cable; and

상기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되,and a gyro sensor that detects a vertical or horizontal screen position of the display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is

상기 자이로 센서로부터 디스플레이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When a switch signal of the current screen position of the display is generated from the gyro sensor, a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and a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in a specific linked app of the smart phone. It is characterized in its configuration to control the screen change of the display to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screen change.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은,Preferably, the specific linked app of the smartphone,

상기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전용 케이블을 통한 연결 접속 시에 상기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스마트폰의 조작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As an application mounted on the smart phone and executed, the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may be recognized when connected through the dedicated cable, and a manipulation function of the smart phone may be supported through the display.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은,More preferably, the interface module comprises:

상기 전용 케이블을 매개로 상기 스마트폰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고,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t is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by wire through the dedicated cable, receives driving power from the smart phone, and performs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the smart phone.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은,Even more preferably, the smartphone,

상기 특정 연동 앱의 실행을 통해 상기 스마트 보조 입력장치와 연동하여 콘텐츠 기능을 제공하되, 상기 특정 연동 앱은 콘텐츠 기능의 실행 이후 배터리 소모 저감을 위해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은 오프(off)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은 온(on)되는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A content function is provided by interworking with the smart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specific linked app, and the specific linked app is turned off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after the execution of the content functi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s turned off, The screen of the display can be controlled in an on m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는,Preferably, the display comprises: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전용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되, 상기 스마트폰의 화면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화면 터치를 통한 입력 제어가 가능한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A touch panel that receives and displays the current screen state of the smartphone received through the dedicated cab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enables input control through a screen touch even whe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s turned off can be implement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는,More preferably, the display comprises:

스마트폰 규격의 화면 크기 또는 태블릿 규격의 화면 크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It can be configured to have a screen size of a smartphone standard or a screen size of a tablet standar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More preferably, the control unit,

상기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터치 패널을 통한 터치 입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Wired control of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the smartphone and touch input control through a touch panel of the display may be perform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는,More preferably,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상기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특정 연동 앱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의 탑재된 기능을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모니터로 기능할 수 있다.It can function as a dedicated monitor that enables the function mounted on the smartphone to be used through the display through a specific interlocking app that is installed and executed on the smartphone.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따르면,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과, 스마트폰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전용 케이블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에 유선으로 연결 접속하여 연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전용 모니터로 사용하면서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디스플레이의 터치 입력 제어를 통해 스마트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dicated cable for connection and connection for interworking with a smartphone, a display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current screen state of the smartphone, and a dedicated cable are connected By configuring it to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smartphone that is linked through connection, and a gyro sensor that detects the vertical or horizontal screen position of the display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it connects to the smartphone by wire and connects to the smartphone. In one state, while being used as a dedicated monitor for a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use the functions of the smartphone through wired control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smartphone and touch input control of the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따르면, 전용 케이블을 통해 연결 접속되는 스마트폰의 탑재된 기능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모니터로 기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자기기에서 구동에 필요한 배터리, 카메라, 통신모듈, USB, 버튼, 고성능의 연산처리 칩셋 및 대용량의 메모리의 구성들을 스마트폰에서 제공함에 따라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모든 모듈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소한의 구성으로 무게를 줄여주고, 그에 따른 스마트폰의 기능사용에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사용에 따른 피로감이나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he t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it to function as a dedicated monitor that enables the built-in function of the smartphone connected and connected through a dedicated cable to be used through the display, As the smartphone provides the necessary battery, camera, communication module, USB, button, high-performance arithmetic processing chipset and large-capacity memory components, all modules corresponding to these modules can be removed from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and accordingly, at leas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phone and to minimize the fatigue or discomfort associated with use while not having any inconvenience in using the function of the smartphone, an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accordingly.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 따르면, 자이로 센서로부터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직접적인 화면 전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실행중인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또한,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콘텐츠 기능의 실행 이후 스마트폰의 화면은 오프(off)되고, 디스플레이의 화면은 온(on)되는 모드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의 절감을 통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he t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hange signal of the current screen position is generated from the gyro sensor, a corresponding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and a specific interlocking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is generated. By interlocking with the screen change of the smartphone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in The convenience of use is increased, and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s turned off after the execution of the content function in a specific linked app of the smartphone and the screen of the display can be controlled in a mode in which the screen is turned on,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y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와 스마트폰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와 스마트폰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와 스마트폰의 화면 온/오프 모드 제어의 실행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가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파일 재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가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문서파일 작업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가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사진파일 보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and a smart phone are connected by wire through a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unctional block;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in which a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and a smart phone are connected by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a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unctional block.
4 is a view showing the execution of the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and the screen on/off mode control of the smart phone through a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laying a video file provided by a smartphone in a state in which 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a touch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ocument file operation provided by a smartphone in a state in which 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a touch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viewing a photo file provided by a smartphone in a state in which 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a touch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ny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와 스마트폰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와 스마트폰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와 스마트폰의 화면 온/오프 모드 제어의 실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는, 인터페이스 모듈(110), 디스플레이(120), 제어부(130), 및 자이로 센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and a smart phone are connected by wire through a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unctional block, and FIG. 2 is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in which 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and a smartphone are connected by wire, and FIG. 3 is a functional block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a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execution of the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and the screen on/off mode control of the smart phone through a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4 ,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through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face module 110 , a display 120 , a controller 130 , and The gyro sensor 140 may be included.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스마트폰(10)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111)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전용 케이블(111)을 매개로 스마트폰(10)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스마트폰(10)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고, 스마트폰(10)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케이블(111)은 스마트폰(10)과의 연동을 위해 전력, 데이터, 통신, 연산처리, 메모리 등 스마트폰(10)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에 전송하며, 이 입력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입력 정보를 스마트폰(10)에 전송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양방향의 전용 케이블이다.
The interface module 110 is a configuration of an interface having a dedicated cable 111 for connection and connection for interworking with the smart phone 10 . This interface module 110 is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10 by wire via a dedicated cable 111 , receives driving power from the smart phone 10 , and performs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the smart phone 10 . can be performed. Here, the dedicated cable 111 provides all functions provided by the smart phone 10, such as power, data, communication, arithmetic processing, and memory, for interworking with the smart phone 10 through a touch to the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 and is a bidirectional dedicated cable that functions to transmit the inpu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100 to the smart phone 10 .

또한, 전용 케이블(111)은 입력장치(100)와 스마트폰(10)의 유선 연결 접속을 위한 케이블 구성으로, HDMI 케이블이나 C-타입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입력장치(100)와 스마트폰(10)을 유선으로 연결 접속하여 구동전원을 공급받고, 데이터 송수신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케이블로 이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dicated cable 111 is a cable configuration for a wired connection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device 100 and the smartphone 10, and an HDMI cable or a C-type cabl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put device It can be understood as a cable that connects 100 and the smart phone 10 by wire, receives driving power, and performs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control function.

또한, 인터페이스 모듈(110)을 구비하는 입력장치(100)는 스마트폰(10)과 유선 접속되어 연동하는 스마트폰 전용으로 사용되는바, 전용 케이블(111)은 인터페이스 모듈(110)과 입력장치(100)에 각각 연결 접속되는 연결단자를 구비하거나, 인터페이스 모듈(110)에 연결되는 단자는 연결이 고정된 단자를 사용하고, 스마트폰(10)에 연결되는 단자만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device 100 having the interface module 110 is used exclusively for the smart phone that is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10 by wire and interlocks, and the dedicated cable 111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110 and the input device ( It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way that a terminal connected to each of the 100) is provided, or a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110 uses a terminal having a fixed connection, and connects only a terminal connected to the smartphone 10 .

또한, 스마트폰(10)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로서, 인터페이스 모듈(110)의 전용 케이블(111)을 통한 연결 접속 시에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를 인식하고, 후술하게 될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스마트폰(10)의 조작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특정 연동 앱(150)을 탑재하고 실행하는 스마트기기의 구성이다. 이러한 스마트폰(10)은 특정 연동 앱(150)의 실행을 통해 스마트 보조 입력장치(100)와 연동하여 콘텐츠 기능을 제공하되, 특정 연동 앱(150)은 콘텐츠 기능의 실행 이후 배터리 소모 저감을 위해 스마트폰(10)의 화면은 오프(off)되고,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은 온(on)되는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phone 10 is a user device carried by the user, and recognizes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when connected through the dedicated cable 111 of the interface module 110, and a display ( 120) is a configuration of a smart device that mounts and executes a specific interworking app 150 that supports 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10 to be performed. Such a smartphone 10 provides a content function by interworking with the smart auxiliary input device 100 through the execution of a specific interworking app 150, but the specific interworking app 150 is used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after the execution of the content functi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10 may be controlled in a mode in which the screen is turned off and the screen of the display 120 is turned on.

또한, 스마트폰(10)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특정 연동 앱(150)은 미러링 기능 형태의 연동 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연동 앱(150)이 탑재되어 실행되는 스마트폰(10)은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의 인터페이스 모듈(110)의 전용 케이블(111)이 연결 접속되는 즉시 스마트폰(10)의 기능이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로 연동되어 제공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pecific interworking app 150 mounted on the smartphone 10 and executed may be understood as a mirroring function type interlocking app. Here, the smartphone 10 on which the specific interlocking app 150 is mounted and executed is the smartphone 10 as soon as the dedicated cable 111 of the interface module 110 of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is connected. It may function so that the function can be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

디스플레이(120)는, 전용 케이블(111)을 매개로 스마트폰(10)과 연결 접속되어 연동된 상태에서 스마트폰(10)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20)는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전용 케이블(111)을 통해 수신되는 스마트폰(10)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되, 스마트폰(10)의 화면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화면 터치를 통한 입력 제어가 가능한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isplay 120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display the current screen state of the smartphone 10 in a state in which it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smartphone 10 via a dedicated cable 111 and is interlocked. The display 120 receives and displays the current screen state of the smartphone 10 received through the dedicated cable 11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but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10 is off It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panel capable of input control through a screen touch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input is performed.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스마트폰 규격의 화면 크기 또는 태블릿 규격의 화면 크기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20)는 스마트폰(10)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는 터치를 통한 입력장치(100)의 다양한 크기에 맞게 화면 크기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12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creen size of a smartphone standard or a screen size of a tablet standard. Such a display 120 may be understood as having a screen size to fit various sizes of the input device 100 through a touch that can be used instead of the smart phone 10 .

제어부(130)는, 전용 케이블(111)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폰(1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자이로 센서(140)로부터 디스플레이(120)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스마트폰(10)에 전송하고, 스마트폰(10)의 특정 연동 앱(150)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10)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30 is configured to control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the smart phone 10 that is interlocked through the connection connection of the dedicated cable 111 . When the change signal of the current screen position of the display 120 is generated from the gyro sensor 140, the controller 130 transmits a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smart phone 10, The screen change of the display 12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screen change of the display 120 i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screen change of the smartphone 10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in the linked app 150 .

또한, 제어부(130)는 스마트폰(10)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디스플레이(120)의 터치 패널을 통한 터치 입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Also, the controller 130 may perform wired control of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the smart phone 10 and touch input control through the touch panel of the display 120 .

자이로 센서(140)는, 디스플레이(120)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자이로 센서(140)는 스마트폰(10)과 연결 접속되어 연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 화면을 수직화면 또는 수평화면으로 위치를 전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gyro sensor 140 is configured to detect a vertical or horizontal screen position of the display 120 and output it to the controller 130 . The gyro sensor 140 detects when the user switche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120 screen of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to a vertical screen or a horizontal screen in a state in which the gyro sensor 140 is connected and linked with the smartphone 10 . and output to the control unit 130 .

이와 같이, 전용 케이블(111)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모듈(110)과, 디스플레이(120), 제어부(130), 및 자이로 센서(140)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는 스마트폰(10)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특정 연동 앱(140)을 통해 스마트폰(10)의 탑재된 기능을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모니터로 기능되고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는 배터리, 카메라, 통신모듈, USB, 버튼 등의 전자기기에서의 구동에 필요한 구성들을 배제한 최소한의 구성으로 스마트폰(10)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스마트폰(10)의 기능을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는 구동에 필요한 구성들을 배제한 최소화하여 무게를 줄여 장시간 사용에도 사용자의 피로감이나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including the interface module 110 having the dedicated cable 111, the display 120,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gyro sensor 140 includes the smartphone 10 ) can function and be used as a dedicated monitor that enables the mounted function of the smartphone 10 to be used through the display 120 through a specific interlocking app 140 that is loaded and executed. This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10 by wire with a minimum configuration that excludes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driving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batteries, cameras, communication modules, USB, buttons, etc.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unction of 10) can be used. Here,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can function so that the user's fatigue or discomfort can be minimized even after long-time use by reducing the weight by excluding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driving, and thus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가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파일 재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가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문서파일 작업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가 스마트폰과 연결 접속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사진파일 보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는 스마트폰(10)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연동된 상태에서 스마트폰(10)의 현재 화면 상태가 대화면의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20)의 표시된 화면의 입력을 통해 동영상 파일 재생, 문서 파일 작업, 사진 파일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playback of a video file provided by a smartphone in a state in which 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a touch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viewing a photo file provided by a smart phone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a touch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5 to 7,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through a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10 by wire and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 The current screen state of 10)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20 of the large screen, and the user can play a video file, work with a document file, work with a photo file, etc. through an input of the displayed screen of the display 12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는, 스마트폰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과, 스마트폰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전용 케이블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에 유선으로 연결 접속하여 연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의 전용 모니터로 사용하면서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디스플레이의 터치 입력 제어를 통해 스마트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전용 케이블을 통해 연결 접속되는 스마트폰의 탑재된 기능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모니터로 기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자기기에서 구동에 필요한 배터리, 카메라, 통신모듈, USB, 버튼, 고성능의 연산처리 칩셋 및 대용량의 메모리의 구성들을 스마트폰에서 제공함에 따라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모든 모듈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소한의 구성으로 무게를 줄여주고, 그에 따른 스마트폰의 기능사용에 불편함이 없으면서도 사용에 따른 피로감이나 불편함이 최소화되고, 그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dicated cable for connection and connection for interworking with a smartphone, and a display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current screen state of the smartphon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 smartphone that is interlocked through a connection connection of a dedicated cable, and a gyro sensor that detects the vertical or horizontal screen position of the display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use the functions of the smartphone through wired control of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the smartphone and touch input control of the display while using it as a dedicated monitor for the smartphone in the state that it is connected and interlocked with the smartphone. In particular, by configuring it to function as a dedicated monitor that enables the built-in functions of smartphones that are connected and connected through a dedicated cable to be used through the display, the battery, camera, communication module, USB, button, and high-performance As the operation processing chipset and large-capacity memory configurations are provided by the smartphone, all modules corresponding to these modules can be removed from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While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use, fatigue or discomfort associated with use is minimized, and thus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또한, 자이로 센서로부터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스마트폰에 전송하고,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직접적인 화면 전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실행중인 디스플레이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또한, 스마트폰의 특정 연동 앱에서 콘텐츠 기능의 실행 이후 스마트폰의 화면은 오프(off)되고, 디스플레이의 화면은 온(on)되는 모드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의 절감을 통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a change signal of the current screen position is generated from the gyro sensor, a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and the screen change of the smartphone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in a specific linked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By interlocking with the , the screen change of the display is performed, the convenience of use that enables the vertical or horizontal screen change of the display being executed by the user without direct screen chang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is increased, and also, the specific interlocking of the smartphone After the execution of the content function in the app,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is turned off and the screen of the display is controlled in an on mode,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y reducing battery consumption. .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스마트폰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110: 인터페이스 모듈
111: 전용 케이블
120: 디스플레이
130: 제어부
140: 자이로 센서
150: 특정 연동 앱
10: Smartphone
100: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interface module
111: dedicated cable
120: display
130: control unit
140: gyro sensor
150: specific integration app

Claims (8)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로서,
스마트폰(10)과의 연동을 위해 연결 접속되기 위한 전용 케이블(111)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 모듈(110);
상기 전용 케이블(111)을 매개로 상기 스마트폰(10)과 연결 접속되어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10)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0);
상기 전용 케이블(111)의 연결 접속을 통해 연동되는 상기 스마트폰(1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수직 또는 수평의 화면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0)로 출력하는 자이로 센서(14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자이로 센서(140)로부터 디스플레이(120)의 현재 화면 위치의 전환신호가 발생되면 그에 상응하는 화면 전환 요청신호를 상기 스마트폰(10)에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10)의 특정 연동 앱(150)에서 화면 전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수행되는 스마트폰(10)의 화면전환에 연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상기 전용 케이블(111)을 매개로 상기 스마트폰(10)과 유선으로 연결 접속되어, 상기 스마트폰(10)으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고, 스마트폰(10)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폰(10)은,
상기 특정 연동 앱(150)의 실행을 통해 상기 스마트 보조 입력장치(100)와 연동하여 콘텐츠 기능을 제공하되, 상기 특정 연동 앱(150)은 콘텐츠 기능의 실행 이후 배터리 소모 저감을 위해 상기 스마트폰(10)의 화면은 오프(off)되고,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은 온(on)되는 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12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상기 전용 케이블(111)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스마트폰(10)의 현재 화면 상태를 제공받아 표시하되, 상기 스마트폰(10)의 화면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화면 터치를 통한 입력 제어가 가능한 터치 패널로 구현되며,
상기 자이로 센서(140)는,
상기 스마트폰(10)과 연결 접속되어 연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 화면을 수직화면 또는 수평화면으로 위치를 전환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출력하고,
상기 전용 케이블(111)은,
상기 스마트폰(10)과의 연동을 위해 전력, 데이터, 통신, 연산처리, 메모리 등 스마트폰(10)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에 전송하며,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입력 정보를 스마트폰(10)에 전송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양방향의 전용 케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10)과 입력장치(100)에 각각 연결 접속되는 연결단자를 구비하거나, 인터페이스 모듈(110)에 연결되는 단자는 연결이 고정된 단자가 사용되고 스마트폰(10)에 연결되는 단자만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10)의 특정 연동 앱(150)은,
상기 스마트폰(10)에 탑재되어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전용 케이블(111)을 통한 연결 접속 시에 상기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를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스마트폰(10)의 조작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미러링 기능 형태의 연동 앱으로서, 특정 연동 앱(150)이 탑재되어 실행되는 스마트폰(10)은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의 인터페이스 모듈(110)의 전용 케이블(111)이 연결 접속되는 즉시 스마트폰(10)의 기능이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로 연동되어 제공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120)는,
스마트폰 규격의 화면 크기 또는 태블릿 규격의 화면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스마트폰(10)과의 데이터 송수신의 유선 제어와, 상기 디스플레이(120)의 터치 패널을 통한 터치 입력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100)는,
상기 스마트폰(10)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특정 연동 앱(150)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10)의 탑재된 기능을 상기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디스플레이(120)가 스마트폰(10)의 전용 모니터로 기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를 통한 스마트폰 보조 입력장치.
As 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through a touch,
an interface module 110 having a dedicated cable 111 for connection and connection for interworking with the smartphone 10;
a display 120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current screen state of the smart phone 10 in a state in which it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10 via the dedicated cable 111;
a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the smart phone 10 interlocked through a connection connection of the dedicated cable 111; and
and a gyro sensor 140 that detects a vertical or horizontal screen position of the display 120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130,
The control unit 130,
When a change signal of the current screen position of the display 120 is generated from the gyro sensor 140, a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s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10, and a specific linked app ( 150) controls the screen change of the display 120 to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screen change of the smartphone 10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screen change request signal,
The interface module 110,
It is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10 by wire through the dedicated cable 111, receives driving power from the smart phone 10, and performs a function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smart phone 10,
The smartphone 10,
A content function is provided by interworking with the smart auxiliary input device 100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specific linked app 150, and the specific linked app 150 is configured to reduce battery consumption after the execution of the content function. The screen of 10) is turned off, and the screen of the display 120 is controlled in an on mode,
The display 120 i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the current screen state of the smartphone 10 received through the dedicated cable 111 is provided and displayed, but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10 is off It is implemented as a touch panel that can control input through screen touch,
The gyro sensor 140 is
When the user switche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120 screen of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to a vertical screen or a horizontal screen in a state in which the smartphone 10 is connected and linked, it is detected and sent to the controller 130 print out,
The dedicated cable 111 is
All functions provided by the smart phone 10 such as power, data, communication, calculation processing, and memory for interworking with the smart phone 10 are transmitted to the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through touch, and the smart phone It consists of a bidirectional dedicated cable that functions to transmit the inpu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auxiliary input device 100 to the smartphone 10,
The interface module 110 and the input device 100 each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each other, or a terminal connected to the interface module 110 is a terminal with a fixed connection and only a terminal connected to the smartphone 10 is used. It can be implemented by connecting
The specific linked app 150 of the smartphone 10 is,
As an application mounted on the smart phone 10 and executed, the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is recognized when connected through the dedicated cable 111 , and the smart phone 10 is connected through the display 120 . ) to support the operation of
As an interlocking app in the form of a mirroring function, the smartphone 10 on which a specific interworking app 150 is mounted and executed is immediately connected to the dedicated cable 111 of the interface module 110 of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is connected. It can function so that the function of the smartphone 10 can be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The display 120 is
It is configured to have a screen size of a smartphone standard or a screen size of a tablet standard,
The control unit 130,
Wired control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smartphone 10 and touch input control through the touch panel of the display 120 are performed,
The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100,
The display 120 allows the smartphone 10 to use the function mounted on the smartphone 10 through the display 120 through a specific interlocking app 150 that is loaded and executed on the smartphone 10 . ), a smart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characterized in that it functions as a dedicated moni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24766A 2019-10-08 2019-10-08 A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KR1023029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766A KR102302994B1 (en) 2019-10-08 2019-10-08 A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766A KR102302994B1 (en) 2019-10-08 2019-10-08 A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928A KR20210041928A (en) 2021-04-16
KR102302994B1 true KR102302994B1 (en) 2021-09-16

Family

ID=7574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766A KR102302994B1 (en) 2019-10-08 2019-10-08 A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9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456A (en) 2022-09-23 2024-04-01 한정현 Blood loss monitoring method and blood loss monitor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9017A (en) * 2013-09-30 2015-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Display device, source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964A (en) * 2011-10-11 2013-04-19 조동혁 The smartphone which has the function of smart hub and smart jacket which can connecting with smart hub, or os, or programe
KR101368909B1 (en) * 2012-04-17 2014-03-03 주식회사 디엠씨시스 Smart display monitor for link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smart display thereof
KR102427504B1 (en) * 2015-07-15 2022-08-02 박진우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with a detachably mountable secondary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9017A (en) * 2013-09-30 2015-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Display device, source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456A (en) 2022-09-23 2024-04-01 한정현 Blood loss monitoring method and blood loss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928A (en)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89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 thereof
KR102483765B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terminal
KR101522399B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from handheld terminal to display device and handheld terminal thereof
KR10238628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s by applications respectively through earphone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EP37546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based on frequency operation cycl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frequency
US9105212B2 (en) Method for gradually adjusting screen brightness when switching operating system
KR102485360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ensor controller
KR101474927B1 (en) Method for outputting image data from terminal to display device and terminal thereof
US20150067550A1 (en) Dual screen system and method
KR20130024615A (en)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625653B1 (en) Method for utilizing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KR102302994B1 (en) A smart phone auxiliary input device through touch
CN112424744A (en) Electronic device and volume adjus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201400085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US2013023495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85149B1 (en)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TWI621950B (en)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system and method
KR101305704B1 (en) Open-user type electronic board system having embedded os capable of supporting other computing apparatus with different os
TW202001509A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of display screen
JP6058973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system
KR102175992B1 (en) docking pad apparatus for smart terminal
JP6230273B2 (en) Communication connec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system program
KR102629413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thereof
KR101737951B1 (en) Dual Display Device Between Multiple Terminals
JP6230679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