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200A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0200A KR20130000200A KR1020110060764A KR20110060764A KR20130000200A KR 20130000200 A KR20130000200 A KR 20130000200A KR 1020110060764 A KR1020110060764 A KR 1020110060764A KR 20110060764 A KR20110060764 A KR 20110060764A KR 20130000200 A KR20130000200 A KR 201300002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work
- data
- partial data
- service type
- ser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99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0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87 sel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4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between network providers, e.g. opera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H04W28/0933—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based on load-splitting ratio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92—Management thereof based on the type of appl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2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는 송신장치; 및 상기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여 제공하며,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상기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여 제공하는 정책관리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이용중인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 전송함에 따라 전체 네트워크의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전이시켜 데이터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망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이터 동시 전송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이용중인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 전송하여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전이시켜 데이터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망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송신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정책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업자는 다수의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국내의 경우 주요 사업자는 WCDMA, CDMA, WiBro 및 최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인 WLAN(WiFi) 기술까지 도입하여 네트워크를 구축, 서비스하고 있다. 더불어 최근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활발히 도입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단말장치가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현재 방식은, 단말장치 사용자의 직접적인 변경에 의한 접속 네트워크 선택 방식으로 사업자 측의 개입(controllability)이 배제된 방식이기 때문에 사업자 입장을 고려할 때 소극적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 태블렛 PC 등 다양한 무선 기기들이 증가하고 데이터 요금이 저렴해지며 동시에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업자의 네트워크 부하율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망 투자비 과다 지출 및 서비스 안정성 측면에서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여러 네트워크가 혼재된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능동적으로 단말장치의 접속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새로운 서비스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정책관리장치가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송신장치에 제공하면, 송신장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2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며, 아울러, 정책관리장치는 이기종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분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상기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여 상기 가변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상기 송신장치에 제공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며,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송신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분할 전송시키기 위해,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기 정의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이기종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송신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이기종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분석을 통해 상기 기 정의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고, 상기 가변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장치에 제공하는 정책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2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는 송신장치; 및 상기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여 제공하며,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상기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여 제공하는 정책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송신장치는,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제어부;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1통신부; 및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2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따라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특정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따라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설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가변 설정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정책관리장치는,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하나 이상의 송신장치에 제공하여 데이터 분할 전송을 요청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책관리장치는,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가변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변설정부는, 특정 송신장치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상기 특정 송신장치에 대응하도록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변설정부는,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신 전송 서비스 방법은, 정책관리장치가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여 송신장치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단계; 및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분할된 2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는 분할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정책관리장치가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상기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가변설정단계; 상기 정책관리장치가 상기 가변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상기 송신장치에 제공하는 변경정보제공단계; 및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가변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재분할하는 데이터재분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는 서비스확인단계; 상기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단계;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1분할전송단계; 및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2분할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확인단계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확인단계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특정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정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은,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정보설정단계;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는 정책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하나 이상의 송신장치에 제공하여 데이터 분할 전송을 요청하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가변설정단계; 및 상기 가변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장치에 제공하는 변경정보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변설정단계는, 특정 송신장치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상기 특정 송신장치에 대응하도록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변설정단계는,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는 서비스확인단계; 상기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단계; 제1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분할데이터제공단계; 및 제2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분할데이터제공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확인단계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확인단계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특정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분할단계는, 상기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설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분할단계는,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가변 설정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이용중인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 전송함에 따라 전체 네트워크의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전이시켜 데이터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망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업링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다운링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업링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의 다운링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업링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다운링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업링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의 다운링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 전송하는 단말장치(100), 단말장치(100)로부터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 단말장치(100)로부터 분할된 나머지 부분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제2네트워크장치(300)로부터 전달되는 분할 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장치(400), 관리장치(400)로부터 결합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500) 및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제공하는 정책관리장치(6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외부장치(500)는 관리장치(400)를 통해 단말장치(1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관리장치(40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예컨대, 포털서비스 및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책관리장치(600)는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결정하여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에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 제공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은 단말장치(100)가 데이터 전송의 주체가 되는 업링크 동작에 적용되며, 아울러, 관리장치(400)에 제공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의 경우, 관리장치(400)가 데이터 전송의 주체가 되는 다운링크 동작에 적용되게 된다.
아울러, 이기종 네트워크는 예컨대, WCDMA, CDMA, WiBro, WLAN(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하는 다양한 접속 네트워크가 해당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WCDMA)를 지칭하는 제1네트워크(이하, "3G 네트워크"라 칭함)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iFi)를 지칭하는 제2네트워크(이하, "와이파이 네트워크"라 칭함)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3G 네트워크 즉, 무선 패킷 서비스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장비를 지칭하게 되며, 아울러, 제2네트워크장치(300)는 와이파이 네트워크 즉,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하기 위한 엑세스포인트(AP)를 지칭하게 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플로우 즉,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에 따라, 송신장치도 될 수 있으며, 수신장치도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위치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말장치(100)로 상정하여 설명하고, 단말장치(100)에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장치(400)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 접속정보 획득 절차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3G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접속하여 접속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접속정보 요청에 따라 주소할당장치 예컨대, DNS서버로부터 3G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를 할당받아 단말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를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추가로 요청하게 되며, 이를 수신한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주소할당장치 예컨대, DNS서버로부터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를 할당받아 단말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다음, 상술한 관리장치(400)에 대한 접속정보 획득 절차가 완료된 경우,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 간 서비스 등록 절차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획득된 3G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게 된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서비스 등록 요청에 포함된 부가정보 예컨대, 가입자식별정보(예컨대, IMSI), 접속정보, 및 서비스분류정보(Initial, Update, Remove)를 확인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 간 서비스 등록 절차가 완료된 이후,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 간 데이터 동시 전송 절차가 수행되게 되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단말장치(100)가 관리장치(4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업링크 동작을 기반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는 확인된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즉,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3G 네트워크 1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간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적용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반영하여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이 없을 경우, 기 설정된 기본 설정값을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할을 수행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 단말장치(10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부가정보 및 접속정보를 삽입한 이후,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전송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와 제2부분데이터에 대한 식별자를 삽입함으로써,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순서 확인을 위한 제1순서정보를 제1부분데이터에 삽입하며, 제2부분데이터 상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순서 확인을 위한 제2순서정보를 제2부분데이터에 추가로 삽입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제1순서정보 및 상기 제2순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결합을 통해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3G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1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에 전달되도록 하며, 나아가 관리장치(400)를 통해 복원된 데이터가 추가로 외부장치(5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와이파이 접속용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2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2부분데이터가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에 전달되도록 하며, 나아가 관리장치(400)를 통해 복원된 데이터가 외부장치(500)에 최종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접속정보에 따라 형성되는 통신루트를 통해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관리장치(400)는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복원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가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고, 동시에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제1순서정보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제2순서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순서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순서를 기반으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부분데이터를 조합하여, 조합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나아가, 관리장치(400)는 복원된 데이터를 외부장치(500)에 전달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복원된 전송대상 데이터를 외부장치(500)에 전달하게 되며, 이때, 외부장치(500)의 경우, 외부 네트워크에 위치함에 따라 관리장치(400)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능을 수행하여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자신의 주소정보를 전환하여 외부장치(500)에 접속하게 된다.
아울러, 정책관리장치(600)는 상술한 데이터 동시 전송 과정에서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며, 전송비율 가변 설정에 따라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여 단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현재 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데이터 분배율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정책관리장치(600)는 네트워크 부하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와 이상인 경우, 나아가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나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정책관리장치(600)는 실시간 또는 설정 주기에 따라 예컨대, 최대 대역폭, 현재 부하량, 최대 대역폭에서 현재 부하량을 뺀 값인 가용 대역폭, 및 최대 대역폭 대비 현재 부하량의 비율인 트래픽 부하 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정책관리장치(600)는 예컨대, DPI(Deep Packet Inspection) 기술을 적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데이터 패킷 분석을 통해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고, 나아가 확인된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VoIP, VOD, Web, 및 FTP의 네 가지 서비스 유형을 구분하여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립하게 된다.
우선, VoIP 서비스의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접속 가능한 무선중계장치의 유무에 관계없이 기지국장치에 접속하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VoIP의 경우 큰 대역폭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최소 딜레이 요구 조건이 있기 때문에 QoS를 보장할 수 있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LAN) 즉,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경우 기본적으로 QoS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VoIP 패킷의 전달지연 길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VOD 서비스의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제2네트워크장치(300) 중에 가용 대역폭이 큰 쪽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VOD 서비스의 경우 VoIP와 마찬가지로 패킷 전달 딜레이가 중요한 서비스이긴 하지만 요구하는 대역폭이 VoIP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만을 이용해서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항상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용 대역폭을 선택 기준으로 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Web 서비스의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트래픽 부하 비율이 낮은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Web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는 텍스트나 작은 사이즈의 이미지 파일 등을 내려받기 때문에 큰 대역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든지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든지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성능이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비율을 공평하게 맞추는 방향으로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TP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접속 가능한 제2네트워크장치(200)에 우선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FTP는 그 특성상 요구 대역폭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상당히 크고 TCP의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량이 시간에 따라 빈번하게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FTP 사용자가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VoIP 등 QoS를 보장받아야 하는 다른 서비스들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정책관리장치(600)는 특정 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 확인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특정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상태정보에 대한 갱신만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단위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대한 상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별 동시 접속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네트워크상태정보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 간 데이터 동시 전송 절차와 관련하여, 관리장치(400)가 단말장치(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운링크 동작을 기반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관리장치(400)는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외부장치(500)로부터 데이터 전송요청을 수신하며, 이때, 상기 데이터 전송요청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 또는 외부장치(500)의 종류를 인지함으로써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관리장치(400)는 확인된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리장치(4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즉,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3G 네트워크 1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간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적용하게 된다.
한편, 관리장치(400)는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반영하여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이 없을 경우, 기 설정된 기본 설정값을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할을 수행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부가정보 및 접속정보를 삽입한 이후,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송한다.
즉, 관리장치(400)는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와 제2부분데이터에 대한 식별자를 삽입함으로써,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관리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관리장치(400)는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순서 확인을 위한 제1순서정보를 제1부분데이터에 삽입하며, 제2부분데이터 상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순서 확인을 위한 제2순서정보를 제2부분데이터에 추가로 삽입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제1순서정보 및 상기 제2순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결합을 통해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3G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1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와이파이 접속용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2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2부분데이터가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도록 한다.
단말장치(100)는 관리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접속정보에 따라 형성되는 통신루트를 통해 3G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복원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가 관리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고, 동시에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제1순서정보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제2순서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순서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순서를 기반으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부분데이터를 조합하여, 조합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관리장치(400)로부터 전송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아울러, 정책관리장치(600)는 상술한 데이터 동시 전송 과정에서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며, 전송비율 가변 설정에 따라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관리장치(400)에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현재 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데이터 분배율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정책관리장치(600)는 네트워크 부하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와 이상인 경우, 나아가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나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정책관리장치(600)는 실시간 또는 설정 주기에 따라 예컨대, 최대 대역폭, 현재 부하량, 최대 대역폭에서 현재 부하량을 뺀 값인 가용 대역폭, 및 최대 대역폭 대비 현재 부하량의 비율인 트래픽 부하 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정책관리장치(600)는 예컨대, DPI(Deep Packet Inspection) 기술을 적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데이터 패킷 분석을 통해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고, 나아가 확인된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VoIP, VOD, Web, 및 FTP의 네 가지 서비스 유형을 구분하여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립하게 된다.
우선, VoIP 서비스의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접속 가능한 무선중계장치의 유무에 관계없이 기지국장치에 접속하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VoIP의 경우 큰 대역폭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최소 딜레이 요구 조건이 있기 때문에 QoS를 보장할 수 있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LAN) 즉,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경우 기본적으로 QoS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VoIP 패킷의 전달지연 길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VOD 서비스의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제2네트워크장치(300) 중에 가용 대역폭이 큰 쪽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VOD 서비스의 경우 VoIP와 마찬가지로 패킷 전달 딜레이가 중요한 서비스이긴 하지만 요구하는 대역폭이 VoIP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만을 이용해서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항상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용 대역폭을 선택 기준으로 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Web 서비스의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트래픽 부하 비율이 낮은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Web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는 텍스트나 작은 사이즈의 이미지 파일 등을 내려받기 때문에 큰 대역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든지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든지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성능이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비율을 공평하게 맞추는 방향으로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TP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접속 가능한 제2네트워크장치(200)에 우선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FTP는 그 특성상 요구 대역폭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상당히 크고 TCP의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량이 시간에 따라 빈번하게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FTP 사용자가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VoIP 등 QoS를 보장받아야 하는 다른 서비스들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정책관리장치(600)는 특정 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 확인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특정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상태정보에 대한 갱신만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단위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대한 상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별 동시 접속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네트워크상태정보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장치(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제어부(110),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통신부(120) 및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통신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OS 커널에 탑재된 형태를 가지며, 단말장치(100)에 내장 또는 다운로드되어 탑재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동신 전송을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제1통신부(120)는 3G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지칭하며, 제2통신부(130)는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2네트워크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지칭하게 된다.
제어부(110)는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즉, 제어부(110)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 유형을 확인한다.
이를 기반으로, 제어부(110)는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1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VoIP, VOD, Web, 및 FTP 등과 같은 이용대상 서비스의 유형을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3G 네트워크 1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간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적용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에서 VoIP, VOD, Web, 및 FTP의 네 가지 서비스 유형이 이용될 경우, 제어부(11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우선, 단말장치(100)가 VoIP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접속 가능한 제2네트워크장치(300) 유무에 관계없이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접속하도록 구현한다.
즉, VoIP의 경우 큰 대역폭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최소 딜레이 요구 조건이 있기 때문에 QoS를 보장할 수 있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LAN) 즉,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경우 기본적으로 QoS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VoIP 패킷의 전달지연 길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단말장치(200)가 VOD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제2네트워크장치(300) 중에 가용 대역폭이 큰 쪽을 선택한다.
즉, VOD 서비스의 경우 VoIP와 마찬가지로 패킷 전달 딜레이가 중요한 서비스이긴 하지만 요구하는 대역폭이 VoIP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만을 이용해서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항상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용 대역폭을 선택 기준으로 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말장치(200)가 Web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트래픽 부하 비율이 낮은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구현한다.
즉, Web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는 텍스트나 작은 사이즈의 이미지 파일 등을 내려받기 때문에 큰 대역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든지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든지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성능이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비율을 공평하게 맞추는 방향으로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말장치(200)가 FTP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접속 가능한 제2네트워크장치(200)에 우선적으로 접속한다.
즉, FTP는 그 특성상 요구 대역폭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상당히 크고 TCP의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량이 시간에 따라 빈번하게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FTP 사용자가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VoIP 등 QoS를 보장받아야 하는 다른 서비스들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110)는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반영하여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이 없을 경우, 기 설정된 기본 설정값을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할을 수행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어부(110)는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부가정보를 삽입한다.
즉, 제어부(110)는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식별자를 삽입함으로써,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부(110)는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순서 확인을 위한 제1순서정보를 제1부분데이터에 삽입하며, 제2부분데이터 상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순서 확인을 위한 제2순서정보를 제2부분데이터에 추가로 삽입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제1순서정보 및 상기 제2순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결합을 통해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접속정보를 삽입한다.
즉, 제어부(11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3G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 및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1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에 전달되도록 하며, 나아가 관리장치(400)를 통해 복원된 데이터가 추가로 외부장치(5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와이파이 접속용 접속정보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의 접속정보,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 및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2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2부분데이터가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에 전달되도록 하며, 나아가 관리장치(400)를 통해 복원된 데이터가 외부장치(500)에 최종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제1통신부(120), 및 제2통신부(130)에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데이터의 헤더에 삽입된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전송한다.
즉, 제어부(110)는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와 제2부분데이터에 대한 부가정보 및 접속정보를 삽입한 이후, 해당 접속정보를 제1통신부(120) 및 제2통신부(130)에 제공함으로써, 3G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탑재된 제1통신부(120)을 구동하여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전송하며, 동시에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탑재된 제2통신부(130)를 구동함으로써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전송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동작을 수행하는 관리장치(4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다운링크 절차를 수행하는 관리장치(400)는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통신부(410) 및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통신부(420) 및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제어부(4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제어부(430)는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
즉, 제어부(43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외부장치(500)로부터 데이터 전송요청을 수신하며, 이때, 상기 데이터 전송요청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 또는 외부장치(500)의 종류를 인지함으로써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제어부(430)는 확인된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3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예컨대, 제어부(430)는 VoIP, VOD, Web, 및 FTP 등과 같은 이용대상 서비스의 유형을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3G 네트워크 1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간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적용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외부장치(500)에서 VoIP, VOD, Web, 및 FTP의 네 가지 서비스 유형이 이용될 경우, 제어부(43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우선, 외부장치(500)가 VoIP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접속 가능한 제2네트워크장치(300) 유무에 관계없이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접속하도록 구현한다.
즉, VoIP의 경우 큰 대역폭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최소 딜레이 요구 조건이 있기 때문에 QoS를 보장할 수 있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LAN) 즉,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경우 기본적으로 QoS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VoIP 패킷의 전달지연 길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외부장치(500)가 VOD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제2네트워크장치(300) 중에 가용 대역폭이 큰 쪽을 선택한다.
즉, VOD 서비스의 경우 VoIP와 마찬가지로 패킷 전달 딜레이가 중요한 서비스이긴 하지만 요구하는 대역폭이 VoIP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만을 이용해서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항상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용 대역폭을 선택 기준으로 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장치(500)가 Web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트래픽 부하 비율이 낮은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구현한다.
즉, Web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는 텍스트나 작은 사이즈의 이미지 파일 등을 내려받기 때문에 큰 대역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든지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든지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성능이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비율을 공평하게 맞추는 방향으로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장치(500)가 FTP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접속 가능한 제2네트워크장치(200)에 우선적으로 접속한다.
즉, FTP는 그 특성상 요구 대역폭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상당히 크고 TCP의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량이 시간에 따라 빈번하게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FTP 사용자가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VoIP 등 QoS를 보장받아야 하는 다른 서비스들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430)는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반영하여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이 없을 경우, 기 설정된 기본 설정값을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할을 수행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어부(430)는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부가정보를 삽입한다.
즉, 제어부(430)는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식별자를 삽입함으로써,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관리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부(430)는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순서 확인을 위한 제1순서정보를 제1부분데이터에 삽입하며, 제2부분데이터 상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순서 확인을 위한 제2순서정보를 제2부분데이터에 추가로 삽입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제1순서정보 및 상기 제2순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결합을 통해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제어부(430)는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접속정보를 삽입한다.
즉, 제어부(43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3G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1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3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와이파이 접속용 접속정보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의 접속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2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2부분데이터가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도록 한다.
나아가, 제어부(43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제1통신부(410), 및 제2통신부(420)에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데이터의 헤더에 삽입된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송한다.
즉, 제어부(430)는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와 제2부분데이터에 대한 부가정보 및 접속정보를 삽입한 이후, 해당 접속정보를 제1통신부(410) 및 제2통신부(420)에 제공함으로써, 3G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탑재된 제1통신부(410)을 구동하여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전송하며, 동시에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탑재된 제2통신부(420)를 구동함으로써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전송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책관리장치(6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정책관리장치(600)는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정보저장부(610); 기 정의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가변설정부(620); 및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정보제공부(6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정보저장부(610)는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 전송시키기 위해,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기 정의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저장한다.
즉, 정보저장부(610)는 VoIP, VOD, Web, 및 FTP 등과 같이 구분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간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설정하여 저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보제공부(630)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여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에 제공함으로써, 업링크 동작 및 다운링크 동작에서 각각의 동작 주체에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분할 전송을 요청하게 된다.
즉, 정보제공부(630)는 상기와 같이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추출하고, 추출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여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에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 제공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은 단말장치(100)가 데이터 전송의 주체가 되는 업링크 동작에 적용되며, 아울러, 관리장치(400)에 제공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의 경우, 관리장치(400)가 데이터 전송의 주체가 되는 다운링크 동작에 적용되게 된다.
가변설정부(620)는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 확인을 통해 상기 기 정의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한다.
즉, 가변설정부(620)는 네트워크 부하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와 이상인 경우, 나아가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나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가변설정부(620)는 실시간 또는 설정 주기에 따라 예컨대, 최대 대역폭, 현재 부하량, 최대 대역폭에서 현재 부하량을 뺀 값인 가용 대역폭, 및 최대 대역폭 대비 현재 부하량의 비율인 트래픽 부하 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변설정부(620)는 예컨대, DPI(Deep Packet Inspection) 기술을 적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데이터 패킷 분석을 통해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고, 나아가 확인된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VoIP, VOD, Web, 및 FTP의 네 가지 서비스 유형을 구분하여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경우, 가변설정부(620)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립하게 된다.
우선, VoIP 서비스의 경우 가변설정부(620)는 접속 가능한 무선중계장치의 유무에 관계없이 기지국장치에 접속하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VoIP의 경우 큰 대역폭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최소 딜레이 요구 조건이 있기 때문에 QoS를 보장할 수 있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LAN) 즉,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경우 기본적으로 QoS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VoIP 패킷의 전달지연 길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VOD 서비스의 경우, 가변설정부(62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제2네트워크장치(300) 중에 가용 대역폭이 큰 쪽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VOD 서비스의 경우 VoIP와 마찬가지로 패킷 전달 딜레이가 중요한 서비스이긴 하지만 요구하는 대역폭이 VoIP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만을 이용해서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항상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용 대역폭을 선택 기준으로 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Web 서비스의 경우, 가변설정부(620)는 트래픽 부하 비율이 낮은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Web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는 텍스트나 작은 사이즈의 이미지 파일 등을 내려받기 때문에 큰 대역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든지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든지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성능이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비율을 공평하게 맞추는 방향으로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TP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가변설정부(620)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접속 가능한 제2네트워크장치(200)에 우선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FTP는 그 특성상 요구 대역폭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상당히 크고 TCP의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량이 시간에 따라 빈번하게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FTP 사용자가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VoIP 등 QoS를 보장받아야 하는 다른 서비스들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변설정부(620)는 특정 단말장치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 확인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특정 단말장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상태정보에 대한 갱신만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네트워크 단위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대한 상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별 동시 접속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네트워크상태정보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정보제공부(630)는 전송비율 가변 설정에 따라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에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현재 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데이터 분배율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이용중인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수신단에서는 분할되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 전송함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부분데이터 전달을 위한 전달경로 상에서 검출되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할 시 요구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갱신함에 따라 전체 네트워크의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전이시켜 데이터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망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업링크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 간 접속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한다(S11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3G 네트워크에 대한 위치등록을 수행하고, 3G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접속하여 접속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접속정보 요청에 따라 주소할당장치 예컨대, DNS서버로부터 3G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를 할당받아 단말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용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를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추가로 요청하게 되며, 이를 수신한 제1네트워크장치(200)는 주소할당장치 예컨대, DNS서버로부터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를 할당받아 단말장치(100)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술한 관리장치(400)에 대한 접속정보 획득 절차가 완료된 경우,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 간 서비스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S12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획득된 3G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접속하여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게 된다.
이에, 관리장치(400)는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서비스 등록 요청에 포함된 부가정보 예컨대, 가입자식별정보(예컨대, IMSI), 접속정보, 및 서비스분류정보(Initial, Update, Remove)를 확인함으로써,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 등록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 다음, 단말장치(100)가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S13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단말장치(100)는 확인된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즉, 단말장치(100)는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지정된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며,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3G 네트워크 1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간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적용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100)는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반영하여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이 없을 경우, 기 설정된 기본 설정값을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할을 수행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단말장치(100)가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부가정보 및 접속정보를 삽입한 이후,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전송한다(S140-S16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와 제2부분데이터에 대한 식별자를 삽입함으로써,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단말장치(100)는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순서 확인을 위한 제1순서정보를 제1부분데이터에 삽입하며, 제2부분데이터 상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순서 확인을 위한 제2순서정보를 제2부분데이터에 추가로 삽입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제1순서정보 및 상기 제2순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결합을 통해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3G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1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에 전달되도록 하며, 나아가 관리장치(400)를 통해 복원된 데이터가 추가로 외부장치(5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와이파이 접속용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2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2부분데이터가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에 전달되도록 하며, 나아가 관리장치(400)를 통해 복원된 데이터가 외부장치(500)에 최종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관리장치(400)가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복원한다(S170).
바람직하게는,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가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고, 동시에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제1순서정보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제2순서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순서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순서를 기반으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부분데이터를 조합하여, 조합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관리장치(400)는 복원된 데이터를 외부장치(500)에 전달한다(S180).
바람직하게는, 관리장치(40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복원된 전송대상 데이터를 외부장치(500)에 전달하게 되며, 이때, 외부장치(500)의 경우, 외부 네트워크에 위치함에 따라 관리장치(400)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능을 수행하여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삽입된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자신의 주소정보를 전환하여 외부장치(500)에 접속하게 된다.
아울러, 정책관리장치(600)는 상술한 데이터 동시 전송 과정에서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한다(S190-S200).
바람직하게는, 정책관리장치(600)는 네트워크 부하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와 이상인 경우, 나아가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나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정책관리장치(600)는 실시간 또는 설정 주기에 따라 예컨대, 최대 대역폭, 현재 부하량, 최대 대역폭에서 현재 부하량을 뺀 값인 가용 대역폭, 및 최대 대역폭 대비 현재 부하량의 비율인 트래픽 부하 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정책관리장치(600)는 예컨대, DPI(Deep Packet Inspection) 기술을 적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데이터 패킷 분석을 통해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고, 나아가 확인된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VoIP, VOD, Web, 및 FTP의 네 가지 서비스 유형을 구분하여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립하게 된다.
우선, VoIP 서비스의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접속 가능한 무선중계장치의 유무에 관계없이 기지국장치에 접속하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VoIP의 경우 큰 대역폭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최소 딜레이 요구 조건이 있기 때문에 QoS를 보장할 수 있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LAN) 즉,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경우 기본적으로 QoS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VoIP 패킷의 전달지연 길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VOD 서비스의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제2네트워크장치(300) 중에 가용 대역폭이 큰 쪽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VOD 서비스의 경우 VoIP와 마찬가지로 패킷 전달 딜레이가 중요한 서비스이긴 하지만 요구하는 대역폭이 VoIP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만을 이용해서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항상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용 대역폭을 선택 기준으로 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Web 서비스의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트래픽 부하 비율이 낮은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Web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는 텍스트나 작은 사이즈의 이미지 파일 등을 내려받기 때문에 큰 대역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든지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든지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성능이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비율을 공평하게 맞추는 방향으로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TP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접속 가능한 제2네트워크장치(200)에 우선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FTP는 그 특성상 요구 대역폭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상당히 크고 TCP의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량이 시간에 따라 빈번하게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FTP 사용자가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VoIP 등 QoS를 보장받아야 하는 다른 서비스들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정책관리장치(600)가 전송비율 가변 설정에 따라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여 단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현재 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데이터 분배율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S210-S220).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의 다운링크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 간 접속정보 획득 및 서비스 등록 절차의 경우 도 5를 참조한 업링크 동작과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관리장치(400)가 동시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전송대상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S310-S320).
바람직하게는, 관리장치(4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외부장치(500)로부터 데이터 전송요청을 수신하며, 이때, 상기 데이터 전송요청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 또는 외부장치(500)의 종류를 인지함으로써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관리장치(400)는 확인된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리장치(40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예컨대,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3G 네트워크 1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간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적용하게 된다.
한편, 관리장치(400)는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반영하여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이 없을 경우, 기 설정된 기본 설정값을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할을 수행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관리장치(400)가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부가정보 및 접속정보를 삽입한 이후,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송한다(S330-S350).
바람직하게는, 관리장치(400)는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와 제2부분데이터에 대한 식별자를 삽입함으로써,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관리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관리장치(400)는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순서 확인을 위한 제1순서정보를 제1부분데이터에 삽입하며, 제2부분데이터 상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순서 확인을 위한 제2순서정보를 제2부분데이터에 추가로 삽입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제1순서정보 및 상기 제2순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결합을 통해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3G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1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관리장치(40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와이파이 접속용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2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2부분데이터가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후, 단말장치(100)가 수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복원한다(S360).
바람직하게는, 단말장치(100)는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1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가 관리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하고, 동시에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제1순서정보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제2순서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순서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순서를 기반으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부분데이터를 조합하여, 조합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관리장치(400)로부터 전송된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하게 된다.
한편, 정책관리장치(600)는 상술한 데이터 동시 전송 과정에서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한다(S370-S380).
바람직하게는, 정책관리장치(600)는 네트워크 부하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와 이상인 경우, 나아가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나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정책관리장치(600)는 실시간 또는 설정 주기에 따라 예컨대, 최대 대역폭, 현재 부하량, 최대 대역폭에서 현재 부하량을 뺀 값인 가용 대역폭, 및 최대 대역폭 대비 현재 부하량의 비율인 트래픽 부하 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정책관리장치(600)는 예컨대, DPI(Deep Packet Inspection) 기술을 적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데이터 패킷 분석을 통해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고, 나아가 확인된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VoIP, VOD, Web, 및 FTP의 네 가지 서비스 유형을 구분하여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립하게 된다.
우선, VoIP 서비스의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접속 가능한 무선중계장치의 유무에 관계없이 기지국장치에 접속하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VoIP의 경우 큰 대역폭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최소 딜레이 요구 조건이 있기 때문에 QoS를 보장할 수 있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LAN) 즉,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경우 기본적으로 QoS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VoIP 패킷의 전달지연 길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VOD 서비스의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제2네트워크장치(300) 중에 가용 대역폭이 큰 쪽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VOD 서비스의 경우 VoIP와 마찬가지로 패킷 전달 딜레이가 중요한 서비스이긴 하지만 요구하는 대역폭이 VoIP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만을 이용해서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항상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용 대역폭을 선택 기준으로 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Web 서비스의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트래픽 부하 비율이 낮은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Web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는 텍스트나 작은 사이즈의 이미지 파일 등을 내려받기 때문에 큰 대역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든지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든지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성능이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비율을 공평하게 맞추는 방향으로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TP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정책관리장치(600)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접속 가능한 제2네트워크장치(200)에 우선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FTP는 그 특성상 요구 대역폭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상당히 크고 TCP의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량이 시간에 따라 빈번하게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FTP 사용자가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VoIP 등 QoS를 보장받아야 하는 다른 서비스들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정책관리장치(600)가 전송비율 가변 설정에 따라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여 관리장치(400)에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현재 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데이터 분배율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S390-S400).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업링크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S410-S440).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10)는 이기종 네트워크 환경 즉,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동시 전송을 위해,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서비스 유형을 확인한다.
이를 기반으로, 제어부(110)는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1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VoIP, VOD, Web, 및 FTP 등과 같은 이용대상 서비스의 유형을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3G 네트워크 1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간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적용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0)에서 VoIP, VOD, Web, 및 FTP의 네 가지 서비스 유형이 이용될 경우, 제어부(11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우선, 단말장치(100)가 VoIP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접속 가능한 제2네트워크장치(300) 유무에 관계없이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접속하도록 구현한다.
즉, VoIP의 경우 큰 대역폭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최소 딜레이 요구 조건이 있기 때문에 QoS를 보장할 수 있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LAN) 즉,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경우 기본적으로 QoS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VoIP 패킷의 전달지연 길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단말장치(200)가 VOD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제2네트워크장치(300) 중에 가용 대역폭이 큰 쪽을 선택한다.
즉, VOD 서비스의 경우 VoIP와 마찬가지로 패킷 전달 딜레이가 중요한 서비스이긴 하지만 요구하는 대역폭이 VoIP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만을 이용해서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항상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용 대역폭을 선택 기준으로 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말장치(200)가 Web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트래픽 부하 비율이 낮은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구현한다.
즉, Web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는 텍스트나 작은 사이즈의 이미지 파일 등을 내려받기 때문에 큰 대역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든지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든지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성능이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비율을 공평하게 맞추는 방향으로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말장치(200)가 FTP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접속 가능한 제2네트워크장치(200)에 우선적으로 접속한다.
즉, FTP는 그 특성상 요구 대역폭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상당히 크고 TCP의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량이 시간에 따라 빈번하게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FTP 사용자가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VoIP 등 QoS를 보장받아야 하는 다른 서비스들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110)는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반영하여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이 없을 경우, 기 설정된 기본 설정값을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할을 수행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식별정보를 삽입한다(S450).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10)는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식별자를 삽입함으로써,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의 결합을 위한 순서정보를 삽입한다(S460).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10)는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순서 확인을 위한 제1순서정보를 제1부분데이터에 삽입하며, 제2부분데이터 상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순서 확인을 위한 제2순서정보를 제2부분데이터에 추가로 삽입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관리장치(400)로 하여금, 제1순서정보 및 상기 제2순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결합을 통해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접속정보를 삽입한다(S470).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1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3G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 및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1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에 전달되도록 하며, 나아가 관리장치(400)를 통해 복원된 데이터가 추가로 외부장치(5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와이파이 접속용 접속정보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의 접속정보, 관리장치(400)의 접속정보, 및 외부장치(500)의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2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2부분데이터가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관리장치(400)에 전달되도록 하며, 나아가 관리장치(400)를 통해 복원된 데이터가 외부장치(500)에 최종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제1통신부(120), 및 제2통신부(130)에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데이터의 헤더에 삽입된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장치(400)에 전송한다(S480).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10)는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와 제2부분데이터에 대한 부가정보 및 접속정보를 삽입한 이후, 해당 접속정보를 제1통신부(120) 및 제2통신부(130)에 제공함으로써, 3G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탑재된 제1통신부(120)을 구동하여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전송하며, 동시에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탑재된 제2통신부(130)를 구동함으로써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전송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업링크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부분데이터로 분할한다(S510-S550).
바람직하게는, 제어부(43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외부장치(500)로부터 데이터 전송요청을 수신하며, 이때, 상기 데이터 전송요청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 또는 외부장치(500)의 종류를 인지함으로써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지정된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게 된다.
이를 기반으로, 제어부(430)는 확인된 이용대상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네트워크 개수의 대응하도록 분할하게 되며, 이러한 분할 과정은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에 포함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3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1전송비율 및 제2네트워크장치(3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2전송비율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분할된 부분데이터 중 제1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제1부분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나머지 부분데이터 중 제2네트워크장치(300)로 전송할 제2부분데이터를 선택하게 된다.
예컨대, 제어부(430)는 VoIP, VOD, Web, 및 FTP 등과 같은 이용대상 서비스의 유형을 확인하고,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트래픽 분배율에 따라 3G 네트워크 1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간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적용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외부장치(500)에서 VoIP, VOD, Web, 및 FTP의 네 가지 서비스 유형이 이용될 경우, 제어부(430)는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우선, 외부장치(500)가 VoIP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접속 가능한 제2네트워크장치(300) 유무에 관계없이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접속하도록 구현한다.
즉, VoIP의 경우 큰 대역폭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최소 딜레이 요구 조건이 있기 때문에 QoS를 보장할 수 있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LAN) 즉,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경우 기본적으로 QoS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VoIP 패킷의 전달지연 길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외부장치(500)가 VOD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제2네트워크장치(300) 중에 가용 대역폭이 큰 쪽을 선택한다.
즉, VOD 서비스의 경우 VoIP와 마찬가지로 패킷 전달 딜레이가 중요한 서비스이긴 하지만 요구하는 대역폭이 VoIP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만을 이용해서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항상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용 대역폭을 선택 기준으로 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장치(500)가 Web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트래픽 부하 비율이 낮은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구현한다.
즉, Web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는 텍스트나 작은 사이즈의 이미지 파일 등을 내려받기 때문에 큰 대역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든지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든지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성능이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비율을 공평하게 맞추는 방향으로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장치(500)가 FTP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접속 가능한 제2네트워크장치(200)에 우선적으로 접속한다.
즉, FTP는 그 특성상 요구 대역폭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상당히 크고 TCP의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량이 시간에 따라 빈번하게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FTP 사용자가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VoIP 등 QoS를 보장받아야 하는 다른 서비스들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430)는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정책관리장치(600)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반영하여 데이터 분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존 저장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이 없을 경우, 기 설정된 기본 설정값을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할을 수행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나서,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식별자를 삽입한다(S560).
바람직하게는, 제어부(430)는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에 식별자를 삽입함으로써,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관리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부분데이터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선택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의 결합을 위한 순서정보를 삽입한다(S570).
바람직하게는, 제어부(430)는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다수의 부분데이터에 대한 순서 확인을 위한 제1순서정보를 제1부분데이터에 삽입하며, 제2부분데이터 상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순서 확인을 위한 제2순서정보를 제2부분데이터에 추가로 삽입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수신한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제1순서정보 및 상기 제2순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 및 상기 제2부분데이터에 포함되는 부분데이터의 결합을 통해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접속정보를 삽입한다(S580).
바람직하게는, 제어부(43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3G 네트워크 접속용 접속정보 즉, 제1네트워크장치(200)의 접속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1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1부분데이터가 제1네트워크장치(200)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30)는 서비스 등록 과정에서 할당된 와이파이 접속용 접속정보 즉, 제2네트워크장치(300)의 접속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접속정보를 삽입하여 제2부분데이터의 헤더를 구성함으로써, 제2부분데이터가 제2네트워크장치(300)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0)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후, 제1부분데이터 및 제2부분데이터를 제1통신부(410), 및 제2통신부(420)에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데이터의 헤더에 삽입된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각각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장치(100)에 전송한다(S590).
바람직하게는, 제어부(430)는 분할된 제1부분데이터와 제2부분데이터에 대한 부가정보 및 접속정보를 삽입한 이후, 해당 접속정보를 제1통신부(410) 및 제2통신부(420)에 제공함으로써, 3G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탑재된 제1통신부(410)을 구동하여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장치(200)에 전송하며, 동시에 와이파이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탑재된 제2통신부(420)를 구동함으로써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장치(300)에 전송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정책관리장치(6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 전송시키기 위해,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기 정의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설정하여 저장한다(S610).
바람직하게는, 정보저장부(610)는 VoIP, VOD, Web, 및 FTP 등과 같이 구분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예컨대, 3G 네트워크 1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90%, 3G 네트워크 9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 3G 네트워크 5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50%, 3G 네트워크 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100%, 및 3G 네트워크 100%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0% 등과 같이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 간의 상대적 이용비율을 설정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여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에 제공함으로써, 업링크 동작 및 다운링크 동작에서 각각의 동작 주체에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분할 전송을 요청하게 된다(S620-S630).
바람직하게는, 정보제공부(630)는 상기와 같이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추출하고, 추출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여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400)에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 제공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은 단말장치(100)가 데이터 전송의 주체가 되는 업링크 동작에 적용되며, 아울러, 관리장치(400)에 제공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의 경우, 관리장치(400)가 데이터 전송의 주체가 되는 다운링크 동작에 적용되게 된다.
그런 다음,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 확인을 통해 상기 기 정의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한다(S640-S650).
바람직하게는, 가변설정부(620)는 네트워크 부하량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와 이상인 경우, 나아가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나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각각의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가변설정부(620)는 실시간 또는 설정 주기에 따라 예컨대, 최대 대역폭, 현재 부하량, 최대 대역폭에서 현재 부하량을 뺀 값인 가용 대역폭, 및 최대 대역폭 대비 현재 부하량의 비율인 트래픽 부하 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3G 네트워크 및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상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변설정부(620)는 예컨대, DPI(Deep Packet Inspection) 기술을 적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데이터 패킷 분석을 통해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고, 나아가 확인된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를 확인함으로써, 확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VoIP, VOD, Web, 및 FTP의 네 가지 서비스 유형을 구분하여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할 경우, 가변설정부(620)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수립하게 된다.
우선, VoIP 서비스의 경우 가변설정부(620)는 접속 가능한 무선중계장치의 유무에 관계없이 기지국장치에 접속하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VoIP의 경우 큰 대역폭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최소 딜레이 요구 조건이 있기 때문에 QoS를 보장할 수 있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LAN) 즉,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경우 기본적으로 QoS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VoIP 패킷의 전달지연 길어질 염려가 있다.
또한, VOD 서비스의 경우, 가변설정부(620)는 제1네트워크장치(200)와 제2네트워크장치(300) 중에 가용 대역폭이 큰 쪽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VOD 서비스의 경우 VoIP와 마찬가지로 패킷 전달 딜레이가 중요한 서비스이긴 하지만 요구하는 대역폭이 VoIP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만을 이용해서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항상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용 대역폭을 선택 기준으로 하여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Web 서비스의 경우, 가변설정부(620)는 트래픽 부하 비율이 낮은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Web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는 텍스트나 작은 사이즈의 이미지 파일 등을 내려받기 때문에 큰 대역폭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든지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든지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성능이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 비율을 공평하게 맞추는 방향으로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FTP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가변설정부(620)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즉, 3G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접속 가능한 제2네트워크장치(200)에 우선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즉, FTP는 그 특성상 요구 대역폭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상당히 크고 TCP의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전송량이 시간에 따라 빈번하게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FTP 사용자가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VoIP 등 QoS를 보장받아야 하는 다른 서비스들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우선적으로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새로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에 제공한다(S660).
바람직하게는, 정보제공부(630)는 전송비율 가변 설정에 따라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네트워크선택정책을 단말장치(100) 및 관리장치(400)에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현재 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데이터 분배율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이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이용중인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데이터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수신단에서는 분할되어 수신되는 부분데이터를 결합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복원함으로써,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 전송함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부분데이터 전달을 위한 전달경로 상에서 검출되는 네트워크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할 시 요구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갱신함에 따라 전체 네트워크의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전이시켜 데이터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망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그 결과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단말장치 내에 개별적인 컴포넌트들로서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기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환경에서 이용중인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접속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선택정책에 따라 전송대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동시 전송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제어부 120: 제1통신부
130: 제2통신부
200: 제1네트워크장치
300: 제2네트워크장치
310: 전달부 320: 확인부
330: 제공부
400: 관리장치
410: 제1통신부 420: 제2통신부
430: 제어부
500: 외부장치
600: 정책관리장치
610: 정보저장부 620: 가변설정부
630: 정보제공부
110: 제어부 120: 제1통신부
130: 제2통신부
200: 제1네트워크장치
300: 제2네트워크장치
310: 전달부 320: 확인부
330: 제공부
400: 관리장치
410: 제1통신부 420: 제2통신부
430: 제어부
500: 외부장치
600: 정책관리장치
610: 정보저장부 620: 가변설정부
630: 정보제공부
Claims (24)
-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2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는 송신장치; 및
상기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여 제공하며,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상기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여 제공하는 정책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제어부;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1통신부; 및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2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따라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특정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따라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설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가변 설정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하나 이상의 송신장치에 제공하여 데이터 분할 전송을 요청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책관리장치는,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가변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설정부는,
특정 송신장치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상기 특정 송신장치에 대응하도록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설정부는,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 - 정책관리장치가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여 송신장치에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여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단계; 및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분할된 2이상의 부분데이터를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해 분할 전송하는 분할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정책관리장치가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상기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가변설정단계;
상기 정책관리장치가 상기 가변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상기 송신장치에 제공하는 변경정보제공단계; 및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가변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기반으로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재분할하는 데이터재분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는 서비스확인단계;
상기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단계;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1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1분할전송단계; 및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2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2분할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확인단계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확인단계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특정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의 동작 방법. -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정보설정단계;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생성하는 정책생성단계; 및
상기 생성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하나 이상의 송신장치에 제공하여 데이터 분할 전송을 요청하는 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가변설정단계; 및
상기 가변 설정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상기 하나 이상의 송신장치에 제공하는 변경정보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설정단계는,
특정 송신장치의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상기 특정 송신장치에 대응하도록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설정단계는,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서비스 유형 별 사용자 수를 기반으로 상기 저장된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을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책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는 서비스확인단계;
상기 확인된 서비스 유형에 대응하도록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데이터분할단계;
제1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1부분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분할데이터제공단계; 및
제2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상기 2이상의 부분데이터 중 다른 일부분에 대응되는 제2부분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분할데이터제공단계를 실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확인단계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확인단계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특정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서비스 유형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분할단계는,
상기 서비스 유형에 따라 구분되는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설정된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분할단계는,
상기 서비스 유형 별 트래픽 상태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별 데이터 전송비율이 가변 설정되는 네트워크선택정책을 기반으로 상기 전송대상 데이터를 2이상의 부분데이터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0764A KR101268597B1 (ko) | 2011-06-22 | 2011-06-22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0764A KR101268597B1 (ko) | 2011-06-22 | 2011-06-22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0200A true KR20130000200A (ko) | 2013-01-02 |
KR101268597B1 KR101268597B1 (ko) | 2013-05-28 |
Family
ID=4783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0764A KR101268597B1 (ko) | 2011-06-22 | 2011-06-22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859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70945A (ko) * | 2013-12-17 | 2015-06-2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57487A (ja) | 2003-08-04 | 2005-03-03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複数経路を選択する経路制御装置、経路選択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
JP2005057472A (ja) | 2003-08-04 | 2005-03-03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
-
2011
- 2011-06-22 KR KR1020110060764A patent/KR101268597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70945A (ko) * | 2013-12-17 | 2015-06-2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서비스별 기지국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8597B1 (ko) | 2013-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264845B (zh) | 数据传输控制节点、通信系统及数据传输管理方法 | |
US11638196B2 (en) | Path, path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 |
US20080192681A1 (en) | Multi-Mode User Equipment and Routing Controlling Method Thereby | |
US9461894B2 (en) | Packet processing method, deep packet inspection request network element and deep packet inspection device | |
KR102271871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생성 방법 및 장치 | |
CN106454959B (zh) | 一种分布式网络的服务质量控制方法、及服务器 | |
KR102003195B1 (ko)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
EP2919509B1 (en) | Method and device for hosting application by access node | |
CN106572030B (zh) | 一种分布式网络中多路径发送控制方法、及系统 | |
WO2006123916A1 (en) | Multi-mode user equipment and routing controlling method thereby | |
KR101268597B1 (ko)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369980B1 (ko)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
KR101306305B1 (ko)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
KR101667020B1 (ko) | 관리장치 및 관리장치의 동작 방법 | |
KR101293303B1 (ko)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371546B1 (ko)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
KR102120869B1 (ko) | 액세스 노드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방법 및 장치 | |
KR20130024333A (ko)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
KR101629430B1 (ko)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관리장치 | |
KR20130016842A (ko)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 |
KR101471138B1 (ko)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 |
KR101805811B1 (ko)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KR101238027B1 (ko)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KR20130010751A (ko)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580635B1 (ko) | 이기종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동시 전송 서비스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