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194U - 콤팩트 용기 - Google Patents

콤팩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194U
KR20130000194U KR2020110005945U KR20110005945U KR20130000194U KR 20130000194 U KR20130000194 U KR 20130000194U KR 2020110005945 U KR2020110005945 U KR 2020110005945U KR 20110005945 U KR20110005945 U KR 20110005945U KR 20130000194 U KR20130000194 U KR 201300001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tilting
container body
guid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6011Y1 (ko
Inventor
김이화
이오수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10005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01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1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0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0Containers with movably moun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0Non-removable lids or covers linearly slid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2040/225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앞쪽에 화장품내용물수납부가 형성되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을 갖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뒷쪽에 틸팅공간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마감판을 갖는 슬라이딩수단; 상기 용기본체의 틸팅공간부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뚜껑을 틸팅시키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부로 밀어주는 푸시부재와, 상기 푸시부재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을 갖는 틸팅수단;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된 후, 상기 틸팅수단에 의해 틸팅되는 뚜껑; 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뚜껑을 일정범위 이상 밀어 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는 것만으로 뚜껑이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것과 동시에 틸팅수단에 의해 뚜껑이 자동으로 틸팅될 수 있다.

Description

콤팩트 용기{COMPACT CONTAINER}
본 고안은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에 화장품내용물수납부를 형성하며, 용기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고, 용기본체 일측에 설치된 틸팅수단에 의해 틸팅되는 뚜껑의 내부에 수납부를 함몰형성하고 수납부의 상부에 수납부커버를 설치함으로써, 뚜껑의 수납부에 화장도구 등을 수납할 수 있어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용기는 화장품 내용물이 수납되는 용기와 용기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보호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콤팩트 용기는, 뚜껑이 용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콤팩트 용기와, 뚜껑이 용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일측이 힌지에 의한 축 결합에 의해 틸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틸팅가능한 콤팩트 용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 가능한 콤팩트 용기는, 용기 내부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뚜껑을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내에서 끝까지 밀어야 하고, 사용을 마친 후 뚜껑을 슬라이딩 가능한 범위내에서 끝까지 밀어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가능한 콤팩트 용기의 뚜껑은 용기와 수평을 이루며 개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거울을 사용하고자 할 때 거울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틸팅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틸팅가능한 콤팩트 용기는 용기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할 때는 뚜껑을 틸팅시켜 개방하고, 사용완료 후에는 뚜껑을 회동시켜 닫게 된다. 상기 틸팅가능한 콤팩트 용기의 거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틸팅시켜 개방한 후 뚜껑 내측에 구비된 거울을 사용하여 화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틸팅가능한 콤팩트 용기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아 뚜껑을 틸팅시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콤팩트 용기들은 용기의 내부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화장도구 등을 같이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화장도구 등은 대부분 용기 내부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의 상부에 수납접시를 설치하여 수납접시의 내부에 구비한 후, 사용자가 콤팩트 용기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 화장도구 등을 꺼내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수납접시를 먼저 열고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화장품 내용물의 상부에 수납접시가 설치되기 때문에 수납접시의 하단에 화장품 내용물이 묻어 사용자에게 미관상 불쾌감을 주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용기본체 하부에 슬라이딩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용기본체 일측에 틸팅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뚜껑이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 후, 틸팅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틸팅되며, 뚜껑 내부의 화장도구수납부에 화장도구가 수납되는 콤팩트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앞쪽에 화장품내용물수납부가 형성되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을 갖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뒷쪽에 틸팅공간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마감판을 갖는 슬라이딩수단; 상기 용기본체의 틸팅공간부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뚜껑을 틸팅시키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부로 밀어주는 푸시부재와, 상기 푸시부재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을 갖는 틸팅수단;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상기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화장도구 등이 수납되는 화장도구수납부의 상부로 일측이 축결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부커버를 갖는 뚜껑; 을 포함하는 콤팩트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평판형을 이루는 판재의 일측에 마련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끼움돌기와, 상기 판재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이동돌기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이동돌기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마감부재의 탄성부재고정돌기에 끼워져 피벗회전이동 가능한 탄성부재; 및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 일측에 상기 탄성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탄성부재고정돌기가 형성된 마감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틸팅공간부 상면에 일단이 축결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뚜껑의 가이드홈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가이드부재; 상기 틸팅공간부에 내재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밀어주는 푸시부재; 및 상기 푸시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푸시부재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틸팅공간부 상면에 일단이 축결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뚜껑의 가이드홈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틸팅공간부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부재가 결합된 동일한 축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토션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은 내부에 화장도구 등이 수납되는 화장도구수납부; 상기 화장도구수납부의 상부에 일측이 축결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부커버; 상기 수납부커버의 상부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거울;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 및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에 의하면, 용기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고, 용기본체 일측에 설치된 틸팅수단에 의해 틸팅되는 뚜껑의 내부에 수납부를 함몰형성하고 수납부의 상부에 수납부커버를 설치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는 용기본체의 하부에 구비된 슬라이딩수단에 의하여 뚜껑을 일정범위 이상 밀어주는 것만으로 미는 힘이 발생하여 자동적으로 슬라이딩되어 개방되고, 개방된 뚜껑을 일정범위 이하 밀어주는 것만으로 미는 힘이 발생하여 자동적으로 슬라이딩되어 폐쇄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는 용기본체의 하부에 슬라이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뚜껑을 개폐시 슬라이딩수단에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캡핑감을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는 용기본체의 틸팅공간부에 틸팅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뚜껑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뚜껑이 자동으로 개방됨과 동시에 틸팅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틸팅되어 뚜껑에 부착된 거울이 사용하기 편리한 상태가 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는 뚜껑의 내부에 수납부를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과 화장도구 등이 구비된 수납부가 서로 떨어져 있어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화장도구 등을 사용자 편의대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화장품 내용물이 콤팩트 용기의 어떠한 부분에도 묻어나지 않아 미관상 청결함을 주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를 분해한 사시도로써, 뚜껑의 저면이 보여지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을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이 슬라이딩 되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7은 도1의 'A - A'선 단면도.
도8은 도1의 'B - B'선 단면도.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이 슬라이딩 되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이 틸팅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1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납부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뚜껑이 틸팅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 용기(100)는 양측에 슬라이드홈(111a)을 갖는 돌출부(111)가 구비된 용기본체(110)와,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딩수단(120)과, 용기본체(110)의 뒤쪽에 형성된 틸팅공간부(117)에 설치되는 틸팅수단(130)과,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슬라이딩수단(12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된 후 틸팅수단(130)에 의해 틸팅되는 뚜껑(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본체(110)에는, 도1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111a)을 갖는 돌출부(111)가 구비되고, 하부에 마감부재(125)가 결합되는 결합돌기(110a)가 형성된다. 용기본체(110)에는 상부 일측에 화장품 내용물이 수납된 화장품내용물수납부(113)가 형성되고, 용기본체(110)에 형성된 화장품내용물수납부(113) 타측에는 틸팅수단(130)이 설치되는 틸팅공간부(117)가 함몰형성된다. 용기본체(110)에 형성된 화장품내용물수납부(113)와 틸팅수단(130)이 설치되는 틸팅공간부(117) 사이에 뚜껑(140)이 회동가능하게 되는 회동공간부(115)가 형성된다.
돌출부(111)는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홈(111a)이 형성되고, 내부에 슬라이드부재(121)가 구비되어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공간(111b)이 형성된다.
슬라이딩수단(120)은, 도2, 도4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에 형성된 돌출부(111) 내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121)와, 슬라이드부재(121)의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23)와,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마감부재(1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라이드부재(121)는 평판형을 이루는 판재(121a)의 양측으로 마련되는 탄성편(121b)이 돌출부(111)의 내부에 형성된 슬라이드공간(111b)에 각각 구비된다. 슬라이드부재(121)에 마련된 탄성편(121b) 내측면에는 돌출부(111)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21a)에 관통되게 끼워져 슬라이드 되는 끼움돌기(121c)가 형성되고, 판재(121a)의 하부 일측면에는 탄성부재(123)의 일단이 끼워지는 탄성부재이동돌기(121d)가 형성된다. 슬라이드부재(121)에 마련된 탄성편(121b)은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질 중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23)는 일단이 슬라이드부재(121)에 형성된 탄성부재이동돌기(121d)에 끼워져 이동단(M)을 구성하고, 타단이 마감부재(125)에 형성된 탄성부재고정돌기(125b)에 끼워져 고정단(P)을 구성한다.
마감부재(125)의 내측면에는 용기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10a)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125a)이 형성된다. 마감부재(125)의 내부 일측에는 탄성부재(123)의 타단이 끼워지는 탄성부재고정돌기(125b)가 형성된다.
틸팅수단(130)은,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의 틸팅공간부(117)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31)와, 가이드부재(131)를 밀어 올려주는 푸시부재(133)와, 푸시부재(133)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부재(131)는 틸팅공간부(117) 상면에 일단이 축결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부재(131)는 푸시부재(133)에 의해 틸팅되게 평판(131a)으로 이루어지고, 평판(131a)의 상부 양측으로 뚜껑(14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홈(140b)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131b)를 대면되게 형성한다.
푸시부재(133)는 가이드부재(131)를 밀어 틸팅시키기 위하여 틸팅공간부(117) 내부에 구비된다. 푸시부재(133)는 상부면이 가이드부재(131)의 하부에 맞닿아 밀어 올릴 때 마찰을 줄여 가이드부재(131)의 틸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면을 만곡되게 형성한다.
스프링(135)은 푸시부재(133)에 탄성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푸시부재(133)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틸팅수단(130)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13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137)에 의한 틸팅수단(130)은 용기본체(110)의 틸팅공간부(117)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31)와, 상기 틸팅공간부(117)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부재(131)와 동일한 축에 결합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131)를 밀어 올리는 토션스프링(1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션스프링(137)의 작용은 상기 푸시부재(133)와 스프링(135)의 역할과 동일하다.
뚜껑(140)은, 도1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슬라이드부재(121)에 형성된 끼움돌기(121c)가 끼워지는 끼움홈(140a)이 형성된다. 뚜껑(140)은 끼움홈(140a)에 슬라이드부재(121)의 끼움돌기(121c)가 끼워져 돌출부(111)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11a)을 따라 이동되게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된다. 뚜껑(140)의 상부에는 화장도구 등이 수납되는 화장도구수납부(141)가 함몰형성되고, 화장도구수납부(141)의 상부에 일단이 축결합에 의해 회동가능한 수납부커버(143)가 설치된다. 뚜껑(140)에 설치된 수납부커버(143)의 상부에는 고정가능한 거울(145)이 구비된다. 뚜껑(140)의 하단에는 가이드부재(131)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31b)가 끼워져 가이드되게 안내하는 가이드홈(140b)이 형성된다. 또한, 수납부커버(14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화장도구수납부(141)의 상부에 축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콤팩트 용기(100)를 사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폐쇄된 상태의 뚜껑(140)을 손으로 밀어 슬라이딩 이동시켜 개방한다.
이 과정에서, 뚜껑(140)이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슬라이드부재(121)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121)에 형성된 탄성부재이동돌기(121d)에 탄성부재(123)의 일단이 끼워져 구성되는 이동단(M)이 마감부재(123)에 형성된 탄성부재고정돌기(125b)에 탄성부재(123)의 타단이 끼워져 구성되는 고정단(P)의 수평선상 이상으로 밀려진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23)에 압축되어 생성되었던 탄성력에 의해 미는 힘이 발휘되어 뚜껑(140)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일정범위까지 자동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방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23)의 이동단(M)은 고정단(P)을 축으로 하여 회전이동되는 것을 피벗회전이동이라 한다.
그리고,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40)은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방됨과 동시에 틸팅수단(130)에 의해 자동적으로 틸팅된다.
이 과정에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40)의 일단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회동공간부(115)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뚜껑(140)은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어 뚜껑(140)에 형성된 끼움홈(140a)에 끼워진 슬라이드부재(121)에 형성된 끼움돌기(121c)를 축으로 하여 틸팅수단(130)에 의해 틸팅된다.
이때, 용기본체(110)의 틸팅공간부(117)에 구비된 스프링(135)에 압축되어 생성되었던 탄성력을 푸시부재(133)에 전달함으로써 푸시부재(133)가 틸팅공간부(117)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31)를 밀어 틸팅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틸팅수단(130)의 작동을 보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137)에 생성되었던 탄성력이 가이드부재(131)에 직접 작용하여 뚜껑(140)을 틸팅시킨다.
다음, 뚜껑(140)의 상부에 설치된 수납부커버(143)를 회동시켜 개방되게 한 후 화장도구수납부(141)에서 화장도구를 꺼내 사용할 때에는, 뚜껑(140)을 용기본체(1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시켜 화장품내용물수납부(113)를 개방한 후 화장도구수납부(141)에서 화장도구를 꺼내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뚜껑(140)을 용기본체(1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시키지 않아도 화장도구수납부(141)에서 화장도구를 꺼내 사용할 수 있다.
도11은, 뚜껑(140)이 슬라이딩 이동되어 틸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뚜껑(140)의 상부에 설치된 수납부커버(143)를 화장도구수납부(141)로부터 회동시켜 개방한 후, 화장도구수납부(141)에 구비된 화장도구 등을 사용하여 용기본체(110)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화장도구 등을 사용하여 용기본체(110)에 수납된 화장품 내용물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사를 갖게 틸팅된 뚜껑(140)에 의해 뚜껑(140)의 수납부커버(143)에 구비된 거울(145)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화장을 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을 마친 후 사용자는 화장도구 등을 화장도구수납부(141)에 다시 구비한다.
그리고, 틸팅된 상태의 뚜껑(140)을 하부로 회동시켜 용기본체(110)의 상부와 수평을 이루게 한 상태에서 뚜껑(140)을 밀어 슬라이딩 이동시켜 화장품 내용물을 외부로부터 폐쇄한다.
이 과정에서, 뚜껑(110)이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슬라이드부재(121)가 함께 이동되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부재(121)에 형성된 탄성부재이동돌기(121d)에 탄성부재(123)의 일단이 끼워져 구성되는 이동단(M)이 마감부재(125)에 형성된 탄성부재고정돌기(125b)에 탄성부재(123)의 타단이 끼워져 구성되는 고정단(P)의 수평선상 이하로 밀려짐과 동시에 탄성부재(123)에 압축되어 생성되었던 탁성력에 의해 미는 힘이 발휘되어 뚜껑(140)이 슬라이딩 될 수 있는 일정범위까지 자동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폐쇄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고안의 권리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고안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콤팩트 용기 110 : 용기본체
110a : 결합돌기 111 : 돌출부
111a : 슬라이드홈 111b : 슬라이드공간
113 : 화장품내용물수납부 115 : 회동공간부
117 : 틸팅공간부 120 : 슬라이딩수단
121 : 슬라이드부재 121a : 판재
121b : 탄성편 121c : 끼움돌기
121d : 탄성부재이동돌기 123 : 탄성부재
125 : 마감부재 125a : 결합홈
125b : 탄성부재고정돌기 130 : 틸팅수단
131 : 가이드부재 131a : 평판
131b : 가이드돌기 133 : 푸시부재
135 : 스프링 137 : 토션스프링
140 : 뚜껑 140a : 끼움홈
140b : 가이드홈 141 : 화장도구수납부
143 : 수납부커버 145 : 거울

Claims (5)

  1. 앞쪽에 화장품내용물수납부가 형성되며,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을 갖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뒷쪽에 틸팅공간부가 형성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하는 마감판을 갖는 슬라이딩수단;
    상기 용기본체의 틸팅공간부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뚜껑을 틸팅시키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부로 밀어주는 푸시부재와, 상기 푸시부재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을 갖는 틸팅수단;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상기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 화장도구 등이 수납되는 화장도구수납부의 상부로 일측이 축결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부커버를 갖는 뚜껑; 을 포함하는 콤팩트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평판형을 이루는 판재의 일측에 마련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홈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끼움돌기와, 상기 판재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이동시키는 탄성부재이동돌기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하부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이동돌기에 끼워지고, 타단이 상기 마감부재의 탄성부재고정돌기에 끼워져 피벗회전이동 가능한 탄성부재; 및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 일측에 상기 탄성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탄성부재고정돌기가 형성된 마감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틸팅공간부 상면에 일단이 축결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뚜껑의 가이드홈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가이드부재;
    상기 틸팅공간부에 내재 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밀어주는 푸시부재; 및
    상기 푸시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푸시부재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틸팅공간부 상면에 일단이 축결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뚜껑의 가이드홈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가이드부재; 및
    상기 틸팅공간부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부재가 결합된 동일한 축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토션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내부에 화장도구 등이 수납되는 화장도구수납부;
    상기 화장도구수납부의 상부에 일측이 축결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납부커버;
    상기 수납부커버의 상부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거울;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 및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용기.
KR2020110005945U 2011-06-30 2011-06-30 콤팩트 용기 KR200466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45U KR200466011Y1 (ko) 2011-06-30 2011-06-30 콤팩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45U KR200466011Y1 (ko) 2011-06-30 2011-06-30 콤팩트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194U true KR20130000194U (ko) 2013-01-09
KR200466011Y1 KR200466011Y1 (ko) 2013-03-25

Family

ID=5135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945U KR200466011Y1 (ko) 2011-06-30 2011-06-30 콤팩트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0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958B1 (ko) * 2013-11-13 2015-04-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N110448032A (zh) * 2018-05-08 2019-11-1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容纳凝胶类化妆品并具有能够滑动开闭的容器盖的粉盒容器
KR20220126888A (ko) * 2021-03-10 2022-09-19 비플랫(주) 슬라이딩 방식의 칫솔살균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084Y1 (ko) 2007-03-13 2008-03-19 (주)연우 거울 인출식 컴팩트 용기
KR200452234Y1 (ko) 2009-01-06 2011-02-16 (주)아모레퍼시픽 콤팩트 케이스
KR200456827Y1 (ko) 2009-02-27 2011-11-24 (주)아모레퍼시픽 콤팩트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958B1 (ko) * 2013-11-13 2015-04-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N110448032A (zh) * 2018-05-08 2019-11-15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容纳凝胶类化妆品并具有能够滑动开闭的容器盖的粉盒容器
KR20220126888A (ko) * 2021-03-10 2022-09-19 비플랫(주) 슬라이딩 방식의 칫솔살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011Y1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7888B2 (ja) コンパクトケース
US7604142B2 (en) Container system
CN211431425U (zh) 化妆品容器
JP2009527317A (ja) 化粧品容器
KR100860288B1 (ko) 화장품 용기
KR200466011Y1 (ko) 콤팩트 용기
JP2013090873A (ja) 化粧料容器
US7021318B2 (en) Portable cosmetics case
US20170265622A1 (en) Double fold compact
KR200456827Y1 (ko) 콤팩트 케이스
US7314052B2 (en) Vanity case
KR101478294B1 (ko) 화장품 용기
KR200466892Y1 (ko) 콤팩트 용기
KR200468895Y1 (ko) 콤팩트 용기
KR20200005140A (ko) 이중 수납형 화장품 수납용기
KR200404621Y1 (ko) 뚜껑 개폐가 용이한 콤팩트
KR200452234Y1 (ko) 콤팩트 케이스
WO2015155228A1 (en) Packaging device for at least one cosmetic product and associated packaging method
KR200495442Y1 (ko) 화장품 용기
KR200477196Y1 (ko) 틸팅되는 거울을 포함한 아이새도우 용기
JP2005192709A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190143562A (ko) 콤팩트 메탈 케이스.
KR102440955B1 (ko) 화장품 용기
KR20200005141A (ko) 수평회전 틸트 개방형 화장품 수납 용기
JP6006481B2 (ja) 化粧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