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538A - 업체의 주소와 업종을 이용하여 온라인 지역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업체의 주소와 업종을 이용하여 온라인 지역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538A
KR20120140538A KR1020110060342A KR20110060342A KR20120140538A KR 20120140538 A KR20120140538 A KR 20120140538A KR 1020110060342 A KR1020110060342 A KR 1020110060342A KR 20110060342 A KR20110060342 A KR 20110060342A KR 20120140538 A KR20120140538 A KR 20120140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advertiser
name
advertisement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660B1 (ko
Inventor
김상목
김동욱
추형준
강혜진
송재빈
이용민
이융성
심종경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0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660B1/ko
Publication of KR20120140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업체의 주소와 업종을 이용하여 온라인 지역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광고 제공 시스템은 키워드를 구매하고자 하는 광고주로부터 입력된 업체의 주소 및 업체의 업종을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 및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하는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 결정된 구매가능 키워드를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구매가능 키워드 제공부 및 제공된 구매가능 키워드 중 광고주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구매가능 키워드인 관심 키워드를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업체의 주소와 업종을 이용하여 온라인 지역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ADVERTISEMENT PROVIDING SYSTEM AND MEHTOD FOR PROVIDING ON-LINE LOCAL AVERTISEMENT USING ADDRESS AND TYPE OF BUSINES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업체의 주소와 업종을 이용하여 온라인 지역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역광고(local advertising)는 어떤 소매점의 판매구역이나 어떤 업종의 일정한 서비스 구역 안에서만 하는 광고를 총칭한다. 이때, 인터넷 광고에서도 광고주의 업체에 대해서 이러한 지역광고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검색어 '논현동 맛집'을 입력하는 경우,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근처의 '맛집'에 대한 검색 결과나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 근처의 '맛집'에 대한 검색 결과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광고주는 업체에 알맞은 키워드를 구매하여 키워드에 대해, 업체 정보가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인터넷 지역광고에서는 광고주가 구매하는 키워드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의 키워드에 따라 광고주의 광고 또는 업체 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광고주가 어떠한 키워드를 구매하는가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와는 전혀 무관한 지역광고가 사용자에게 검색결과로서 제공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에 위치한 업체명 "강남포차"의 광고주가 키워드 "강남맛집"을 구매한다면, 사용자가 검색어로 키워드 "강남맛집"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에 위치한 업체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보다 효과적으로 지역광고를 온라인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광고주가 입력한 업체의 주소와 업종을 이용하여 광고주가 구매 가능한 키워드들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보다 적합한 지역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업체의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와 업체의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간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키워드들을 광고주가 구매 가능한 키워드로서 결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보다 적합한 지역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업체의 업종에 따라, 지역 키워드에 대응하는 지역의 구매 가능한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지역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제공된다.
키워드를 구매하고자 하는 광고주로부터 입력된 업체의 주소 및 업체의 업종을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 및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하는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 결정된 구매가능 키워드를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구매가능 키워드 제공부 및 제공된 구매가능 키워드 중 광고주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구매가능 키워드인 관심 키워드를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측에 따르면,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가 광고주의 관심 키워드에 대응하는 경우, 관심 키워드와 연관하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역 키워드는, (1) 주소에 포함된 행정구역의 명칭, (2) 행정구역의 상위 행정구역의 명칭, (3) 행정구역의 명칭과 연관되어 기저장된 행정구역 명칭의 다른 명칭, (4) 행정구역내에 기설정된 스팟(spot)의 명칭, (5) 스팟의 명칭과 연관되어 기저장된 명칭, (6) 광고주에 의해 신청된 명칭 중 검수를 통해 구매가 허용된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소에 포함된 행정구역이 기설정된 단위의 행정구역이고 허용된 명칭이 행정구역과 인접한 단위의 행정구역의 명칭인 경우, 주소에 포함된 행정구역과 동일한 행정구역을 주소에 포함하는 모든 광고주에 대해, 인접한 행정구역의 명칭이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역 키워드는,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행정구역의 명칭들 중 업종에 따라 기설정된 지역 범위내의 행정구역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광고 제공 시스템은 업종에 따라 판매 가능한 업종 키워드를 업종과 연관하여 테이블에 저장하는 업종 키워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는 테이블에서 업종과 연관된 업종 키워드를 추출하여 업종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는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키워드들 각각의 검색 횟수(Query Count, QC)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는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키워드들 중 전년도의 월별 최고 검색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광고 플랫폼으로 전달하는 키워드 전달부, 키워드에 대응하는 지역광고의 정보를 광고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하는 광고 정보 수신부 및 수신된 지역광고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광고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지역광고의 정보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관심 키워드는, 광고주에 의해 입력된 업체의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와 광고주에 의해 더 입력된 업체의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구매가능 키워드 중 상기 광고주에 의해 선택되는 구매가능 키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키워드를 구매하고자 하는 광고주로부터 입력된 업체의 주소 및 업체의 업종을 제공하는 단계,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 및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구매가능 키워드를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제공된 구매가능 키워드 중 광고주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구매가능 키워드인 관심 키워드를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광고 플랫폼으로 전달하는 단계, 키워드에 대응하는 지역광고의 정보를 광고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지역광고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지역광고의 정보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관심 키워드는, 광고주에 의해 입력된 업체의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와 광고주에 의해 더 입력된 업체의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구매가능 키워드 중 상기 광고주에 의해 선택되는 구매가능 키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광고주가 입력한 업체의 주소와 업종을 이용하여 광고주가 구매 가능한 키워드들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보다 적합한 지역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업체의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와 업체의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간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키워드들을 광고주가 구매 가능한 키워드로서 결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보다 적합한 지역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업체의 업종에 따라, 지역 키워드에 대응하는 지역의 구매 가능한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지역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주, 광고 플랫폼, 퍼블리셔 및 사용자간의 관계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주로부터 업체의 주소 및 업종을 입력받는 페이지를 나타낸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구매가능 키워드와 광고주로부터 선택된 구매가능 키워드인 관심 키워드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나타낸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주, 광고 플랫폼, 퍼블리셔 및 사용자간의 관계를 개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1은 광고주(110), 광고 플랫폼(120), 퍼블리셔(130) 및 사용자(140)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광고주(110)와 사용자(140)는 실질적으로는 광고주(110)나 사용자(140)가 이용하는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1에 나타난 화살표는 광고주(110)가 이용하는 단말기, 광고 플랫폼(120), 퍼블리셔(130) 및 사용자(140)가 이용하는 단말기간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광고 플랫폼(120)은 광고주(110)의 광고에 대한 입찰, 광고와 키워드간의 매칭, 광고나 광고주의 정렬, 퍼블리셔(130)로의 광고 제공 및 광고의 노출에 따른 과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광고 플랫폼(120)의 일반적인 기술적인 사항들에 관하여,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검색광고 및/또는 배너 광고 플랫폼에 관한 종래 기술들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는 사항들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퍼블리셔"라는 용어는 "사이트"라는 용어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사이트라는 용어를 사용한 설명이,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등, 일반적인 PC의 웹 사이트 접속이 아닌 환경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역으로, "사이트"라는 용어는 퍼블리싱 사이트 또는 상술한 퍼블리셔라는 용어로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각의 사이트는 개별 퍼블리셔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사이트"라는 용어는 광고의 노출이 가능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모든 종류의 웹사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하나의 웹페이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광고의 "노출"은 사이트(퍼블리셔)를 통해 그 광고주와 연관된 텍스트, 이미지 등, 소리, 동영상, 하이퍼 링크 등의 홍보성 컨텐츠가 해당 사이트의 방문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광고에 대한 "선택"은 사용자(사이트 방문자)가 제공된 텍스트, 이미지 등의 홍보성 컨텐츠에 대해 마우스 클릭 등의 반응을 보임으로써, 광고주가 홍보성 컨텐츠의 전달을 통해 달성하고자 한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광고주가 유도한 상황은 일례로, 광고주와 연관된 페이지를 광고를 선택한 사용자에게 노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퍼블리셔(130)는 사용자(140)에게 자신의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고, 사이트를 통해 사이트가 포함하는 페이지들을 제공하거나 입력되는 키워드를 통해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퍼블리셔(130)는 광고 플랫폼(120)으로 페이지들을 통해 노출하기 위한 광고들을 전달받아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퍼블리셔(130)는 사용자(140)가 입력한 키워드를 광고 플랫폼(120)으로 전달할 수 있고, 광고 플랫폼(120)으로부터 키워드에 대한 광고를 전달받아 검색 결과로서 사용자(1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퍼블리셔(130)는 사용자(140)가 광고를 직접 제공 받는 경로(화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온라인 환경에서 광고들은 웹 사이트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플랫폼(12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광고 플랫폼들(제1 광고 플랫폼, 제2 광고 플랫폼, ???) 각각은 퍼블리셔(130)가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퍼블리셔들(제1 퍼블리셔, 제2 퍼블리셔, ???)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퍼블리셔를 통해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개별 퍼블리셔들 각각은 사용자(140)에게 적어도 하나의 사이트를 통해 상술한 광고의 노출을 포함하여 통합검색, 키워드 검색, 블로그 서비스 등과 같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 플랫폼(120)이 포함하는 개별 광고 플랫폼들 중 하나의 개별 광고 플랫폼과 연관된 시스템일 수 있다. 즉, 광고 제공 시스템은 개별 퍼블리셔를 통해 입력되는 키워드와 광고주가 구매한 키워드에 기초하여 지역광고를 해당 개별 퍼블리셔로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이때, 광고 제공 시스템은 키워드를 구매하고자 하는 광고주로부터 입력된 업체의 주소 및 상기 업체의 업종에 기초하여 광고주가 구매 가능한 키워드들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부(210),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220), 구매가능 키워드 제공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공부(210)는 키워드를 구매하고자 하는 광고주로부터 입력된 업체의 주소 및 업체의 업종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정보 제공부(210)는 광고주가 지역광고를 위한 키워드를 구매하기 위해 업체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광고주로부터 업체명이나 업체 전화번호 등과 함께 입력되는 업체의 주소 및 업체의 업종 정보를 확인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업체의 주소는 광고주에 의해 텍스트의 형태로 입력될 수 있고, 업체의 업종은 다양한 업종 카테고리 중에서 광고주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업종 카테고리는 상위 카테고리 및 하위 카테고리와 같이 복수의 깊이(depth)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220)는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 및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한다. 즉,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220)는 기본적으로, 지역 키워드와 업종 키워드가 결합된 형태로 구매가능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 키워드 "분당"과 업종 키워드 "맛집"을 결합한 "분당맛집"이 광고주의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지역 키워드는 광고주에 의해 입력된 업체의 주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업종 키워드는 광고주에 의해 선택 입력된 업종 키워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지역 키워드는 기본적으로, 업체의 주소상에 포함된 행정구역(administrative district)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행정구역은 정치적으로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국가의 영역을 국가 행정상의 목적에 따라 구획한 행정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대한민국은 현재 특별시, 광역시, 도, 시, 군, 구, 읍, 면, 동, 이로 구획되어 있다. 일례로, 광고주가 입력한 주소가 "강원도 강릉시 회산동"인 경우, "회산", "강릉" 및 "강원"이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역 키워드에는 기본적으로, 행정구역의 단위, "동, 읍, 면"만을 기준으로 명칭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고주가 입력한 주소가 "강원도 강릉시 회산동"인 경우, "회산"이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역 키워드는 주소에 포함된 행정구역의 상위 행정구역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입력한 주소가 "영등포구 여의도동"인 경우, "영등포" 및 "여의도"뿐만 아니라, "영등포"의 행정구역인 "구"의 상위 행정구역인 "시"에 대응하는 명칭인 "서울"이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역 키워드는 주소에 포함된 행정구역의 명칭과 연관되어 기저장된 행정구역 명칭의 다른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입력한 주소가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인 경우, "서울"뿐만 아니라, "서울"에 대한 다른 명칭인 "서울시" 및 "서울특별시"가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관악"뿐만 아니라, "관악"에 대한 다른 명칭인 "관악구"가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신림"뿐만 아니라, "신림"에 대한 다른 명칭인 "신림동", 신림1동", "신림동1동" 등이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역 키워드는 주소에 포함된 행정구역내에 기설정된 스팟(spot)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입력한 주소가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인 경우, "논현동"내에 설정되어 있는 스팟의 명칭인 "논현역"이나 "논현동사무소"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역 키워드는 스팟의 명칭과 연관되어 기저장된 명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스팟의 정식 명칭과 관용적인 명칭이 서로 연관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고, 서로 연관하여 저장된 명칭들이 모두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팟의 정식 명칭이 "수내역"이고, "수내역"과 관용적인 명칭 "수내"가 서로 연관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수내" 역시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역 키워드는 광고주에 의해 신청된 명칭 중 검수를 통해 구매가 허용된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광고주는 업체가 속한 행정구역과 인접한 행정구역의 명칭 또는 행정구역의 명칭이나 스팟의 명칭에 대한 별칭 등에 대해 구매를 신청할 수 있으며, 이때, 검수를 통해 광고주에 의해 신청된 명칭의 구매가 허용되는 경우, 신청된 명칭이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입력한 업체의 주소가 "수내동"이고, 광고주가 인접한 동의 명칭 "서현동"의 구매를 신청하는 경우, 검수를 통해 명칭 "서현동"의 구매 허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구매가 허용되는 경우, "서현동"은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동 단위와 같이 기설정된 단위의 행정구역과 인접한 행정구역의 명칭을 구매하고자 하는 광고주의 신청이 접수되고, 검수를 통해 해당 명칭의 구매가 허용된 경우, 구매가 허용된 명칭은 해당 광고주와 동일한 단위의 행정구역에 속한 모든 광고주에게 지역 키워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예에서 "서현동"의 구매가 한번 허용된 후에는, 별도의 검수 없이, 업체의 주소가 "수내동"인 다른 모든 광고주들에게 "서현동"이 지역 키워드로서 제공될 수 있다. 구매가 요청된 명칭의 행정구역이 기설정된 단위의 행정구역이 아닌 경우에는, 검수를 통해 해당 명칭의 구매가 허용되더라도, 해당 광고주에게만 해당 명칭의 구매가 허용될 뿐, 상술한 다른 모든 광고주들에게는 자동적으로 구매가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행정구역의 명칭이나 스팟의 명칭에 대한 별칭도, 광고주에 의해 구매가 신청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검수를 통해 구매의 허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팟의 명칭 "서울대입구역"은 "설입" 또는 "입구역"과 같은 별칭으로 많이 이용된다. 이 경우, "설입" 또는 "입구역"과 같은 별칭이 지역 키워드로 이용될 수 있는지 여부가 검수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검수를 통해 구매가 허용되는 스팟의 명칭에 대한 별칭은 상술한 스팟의 관용적인 명칭으로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고, 검수를 통해 구매가 허용되는 행정구역의 명칭에 대한 별칭은 행정구역의 명칭과 연관되어 기저장된 행정구역 명칭의 다른 명칭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모든 지역 키워드는 띄어쓰기가 없는 키워드들로 한정될 수 있다.
업체 키워드는 광고주가 업체 등록 시 선택 입력한 업체의 업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업종과 키워드를 서로 매칭시킨 테이블을 이용하여 광고주가 선택 입력한 업종에 대응하는 키워드들이 검색될 수 있고, 검색된 키워드들이 업체 키워드로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종 "식품/음료 > 식당/출장요리/음식 > 중식당"과 키워드 "맛집"이 서로 매칭되어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주가 업종 "식품/음료 > 식당/출장요리/음식 > 중식당"를 카테고리별로 선택 입력하면, 업체 키워드로서 적어도 키워드 "맛집"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업종에 따라 업체 키워드를 결정하기 위해,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업종에 따라 판매 가능한 업종 키워드를 업종과 연관하여 테이블에 저장하는 업종 키워드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220)는 테이블에서 업종과 연관된 업종 키워드를 추출하여 업종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220)는 지역 키워드와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키워드들 각각의 검색 횟수(Query Count, QC)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220)는 지역 키워드와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키워드들 중 전년도의 월별 최고 검색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전년도의 월별 최고 검색 횟수가 30회 이상인 키워드들만이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판매될 수 있다.
이에 더해,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220)는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행정구역의 명칭들 중 업종에 따라 기설정된 지역 범위내의 행정구역의 명칭을 포함하도록 지역 키워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포함된 업체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업체의 업종에 따라 원하는 지역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논현역" 주변의 "맛집"을 검색하는 경우와 "설악산" 주변의 "팬션"을 검색하는 경우를 비교해 보면, 사용자가 원하는 "논현역"과 "맛집"간의 거리 범위는 "설악산"과 "팬션"간의 거리 범위보다 매우 짧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220)는 업종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역 범위를 설정하고, 해당 업종에 대해 기설정된 지역 범위내의 지역에 대해 지역 키워드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220)는 "맛집"과 관련된 업종의 경우, 반경 2 km 이내에 포함되는 행정구역의 명칭을 지역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고, "팬션"과 관련된 업종의 경우, 반경 30 km 이내에 포함되는 행정구역의 명칭을 지역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광고주로부터 입력된 업체의 주소와 업체의 업종을 이용하여 구매가능 키워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주소와 업종뿐만 아니라 광고주에 의해 입력된 업체정보와 같이, 추가적인 요소를 더 이용하여 구매가능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220)는 업체정보 중 메뉴정보를 이용하여 "육개장"이 메뉴에 없는 광고주에게는 업체 키워드 "한식집"이 포함된 키워드가 구매가능 키워드에 포함될 수 없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220)는 주소와 업종 이외에 다양한 추가적인 요소를 더 이용하여 구매가능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구매가능 키워드 제공부(230)는 결정된 구매가능 키워드를 광고주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키워드를 구매하기 위해 광고주 사이트에서 주소와 업종을 입력하면, 상술한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220)를 통해 구매가능 키워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구매가능 키워드 제공부(230)는 광고주 사이트를 통해 결정된 구매가능 키워드를 노출함으로써, 광고주에게 결정된 구매가능 키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공된 구매가능 키워드 중 광고주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구매가능 키워드인 관심 키워드를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와 연관하여 저장한다.
또한, 광고 제공 시스템(22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가 상기 광고주의 관심 키워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관심 키워드와 연관하여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 정보 제공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광고주에 의해 입력되는 업체의 주소와 업체의 업종에 기초하여 광고주가 구매 가능한 키워드를 제한할 수 있고, 제한된 구매가능 키워드 중에서 광고주에 의해 선택되는 키워드들을 광고주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때, 퍼블리셔의 사이트에 접근한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퍼블리셔는 검색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광고 플랫폼을 통해 광고 제공 시스템(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전달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키워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관심 키워드와 연관하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해당 페이지의 URL 정보)를 퍼블리셔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퍼블리셔는 제공받은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페이지로의 링크를 사용자에게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광고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광고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광고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310)에서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키워드를 구매하고자 하는 광고주로부터 입력된 업체의 주소 및 업체의 업종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광고주가 지역광고를 위한 키워드를 구매하기 위해 업체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광고주로부터 업체명이나 업체 전화번호 등과 함께 입력되는 업체의 주소 및 업체의 업종 정보를 확인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업체의 주소는 광고주에 의해 텍스트의 형태로 입력될 수 있고, 업체의 업종은 다양한 업종 카테고리 중에서 광고주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업종 카테고리는 상위 카테고리 및 하위 카테고리와 같이 복수의 깊이(depth)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320)에서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 및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한다. 즉,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기본적으로, 지역 키워드와 업종 키워드가 결합된 형태로 구매가능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 키워드 "분당"과 업종 키워드 "맛집"을 결합한 "분당맛집"이 광고주의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지역 키워드는 광고주에 의해 입력된 업체의 주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업종 키워드는 광고주에 의해 선택 입력된 업종 키워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지역 키워드는 기본적으로, 업체의 주소상에 포함된 행정구역(administrative district)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행정구역은 정치적으로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국가의 영역을 국가 행정상의 목적에 따라 구획한 행정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대한민국은 현재 특별시, 광역시, 도, 시, 군, 구, 읍, 면, 동, 이로 구획되어 있다. 일례로, 광고주가 입력한 주소가 "강원도 강릉시 회산동"인 경우, "회산", "강릉" 및 "강원"이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역 키워드에는 기본적으로, 행정구역의 단위, "동, 읍, 면"만을 기준으로 명칭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고주가 입력한 주소가 "강원도 강릉시 회산동"인 경우, "회산"이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역 키워드는 주소에 포함된 행정구역의 상위 행정구역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입력한 주소가 "영등포구 여의도동"인 경우, "영등포" 및 "여의도"뿐만 아니라, "영등포"의 행정구역인 "구"의 상위 행정구역인 "시"에 대응하는 명칭인 "서울"이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역 키워드는 주소에 포함된 행정구역의 명칭과 연관되어 기저장된 행정구역 명칭의 다른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입력한 주소가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인 경우, "서울"뿐만 아니라, "서울"에 대한 다른 명칭인 "서울시" 및 "서울특별시"가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관악"뿐만 아니라, "관악"에 대한 다른 명칭인 "관악구"가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신림"뿐만 아니라, "신림"에 대한 다른 명칭인 "신림동", 신림1동", "신림동1동" 등이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역 키워드는 주소에 포함된 행정구역내에 기설정된 스팟(spot)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입력한 주소가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인 경우, "논현동"내에 설정되어 있는 스팟의 명칭인 "논현역"이나 "논현동사무소"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역 키워드는 스팟의 명칭과 연관되어 기저장된 명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스팟의 정식 명칭과 관용적인 명칭이 서로 연관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될 수 있고, 서로 연관하여 저장된 명칭들이 모두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팟의 정식 명칭이 "수내역"이고, "수내역"과 관용적인 명칭 "수내"가 서로 연관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수내" 역시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역 키워드는 광고주에 의해 신청된 명칭 중 검수를 통해 구매가 허용된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광고주는 업체가 속한 행정구역과 인접한 행정구역의 명칭 또는 행정구역의 명칭이나 스팟의 명칭에 대한 별칭 등에 대해 구매를 신청할 수 있으며, 이때, 검수를 통해 광고주에 의해 신청된 명칭의 구매가 허용되는 경우, 신청된 명칭이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입력한 업체의 주소가 "수내동"이고, 광고주가 인접한 동의 명칭 "서현동"의 구매를 신청하는 경우, 검수를 통해 명칭 "서현동"의 구매 허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구매가 허용되는 경우, "서현동"은 지역 키워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동 단위와 같이 기설정된 단위의 행정구역과 인접한 행정구역의 명칭을 구매하고자 하는 광고주의 신청이 접수되고, 검수를 통해 해당 명칭의 구매가 허용된 경우, 구매가 허용된 명칭은 해당 광고주와 동일한 단위의 행정구역에 속한 모든 광고주에게 지역 키워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예에서 "서현동"의 구매가 한번 허용된 후에는, 별도의 검수 없이, 업체의 주소가 "수내동"인 다른 모든 광고주들에게 "서현동"이 지역 키워드로서 제공될 수 있다. 구매가 요청된 명칭의 행정구역이 기설정된 단위의 행정구역이 아닌 경우에는, 검수를 통해 해당 명칭의 구매가 허용되더라도, 해당 광고주에게만 해당 명칭의 구매가 허용될 뿐, 상술한 다른 모든 광고주들에게는 자동적으로 구매가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행정구역의 명칭이나 스팟의 명칭에 대한 별칭도, 광고주에 의해 구매가 신청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검수를 통해 구매의 허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팟의 명칭 "서울대입구역"은 "설입" 또는 "입구역"과 같은 별칭으로 많이 이용된다. 이 경우, "설입" 또는 "입구역"과 같은 별칭이 지역 키워드로 이용될 수 있는지 여부가 검수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검수를 통해 구매가 허용되는 스팟의 명칭에 대한 별칭은 상술한 스팟의 관용적인 명칭으로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될 수 있고, 검수를 통해 구매가 허용되는 행정구역의 명칭에 대한 별칭은 행정구역의 명칭과 연관되어 기저장된 행정구역 명칭의 다른 명칭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모든 지역 키워드는 띄어쓰기가 없는 키워드들로 한정될 수 있다.
업체 키워드는 광고주가 업체 등록 시 선택 입력한 업체의 업종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업종과 키워드를 서로 매칭시킨 테이블을 이용하여 광고주가 선택 입력한 업종에 대응하는 키워드들이 검색될 수 있고, 검색된 키워드들이 업체 키워드로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종 "식품/음료 > 식당/출장요리/음식 > 중식당"과 키워드 "맛집"이 서로 매칭되어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주가 업종 "식품/음료 > 식당/출장요리/음식 > 중식당"를 카테고리별로 선택 입력하면, 업체 키워드로서 적어도 키워드 "맛집"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업종에 따라 업체 키워드를 결정하기 위해,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업종에 따라 판매 가능한 업종 키워드를 업종과 연관하여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미도시)를 단계(320)내에 포함하여 더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테이블에서 업종과 연관된 업종 키워드를 추출하여 업종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지역 키워드와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키워드들 각각의 검색 횟수(Query Count, QC)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지역 키워드와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키워드들 중 전년도의 월별 최고 검색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전년도의 월별 최고 검색 횟수가 30회 이상인 키워드들만이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판매될 수 있다.
이에 더해,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행정구역의 명칭들 중 업종에 따라 기설정된 지역 범위내의 행정구역의 명칭을 포함하도록 지역 키워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지역에 포함된 업체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할 때, 업체의 업종에 따라 원하는 지역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논현역" 주변의 "맛집"을 검색하는 경우와 "설악산" 주변의 "팬션"을 검색하는 경우를 비교해 보면, 사용자가 원하는 "논현역"과 "맛집"간의 거리 범위는 "설악산"과 "팬션"간의 거리 범위보다 매우 짧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업종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역 범위를 설정하고, 해당 업종에 대해 기설정된 지역 범위내의 지역에 대해 지역 키워드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맛집"과 관련된 업종의 경우, 반경 2 km 이내에 포함되는 행정구역의 명칭을 지역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고, "팬션"과 관련된 업종의 경우, 반경 30 km 이내에 포함되는 행정구역의 명칭을 지역 키워드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광고주로부터 입력된 업체의 주소와 업체의 업종을 이용하여 구매가능 키워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주소와 업종뿐만 아니라 광고주에 의해 입력된 업체정보와 같이, 추가적인 요소를 더 이용하여 구매가능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업체정보 중 메뉴정보를 이용하여 "육개장"이 메뉴에 없는 광고주에게는 업체 키워드 "한식집"이 포함된 키워드가 구매가능 키워드에 포함될 수 없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주소와 업종 이외에 다양한 추가적인 요소를 더 이용하여 구매가능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결정된 구매가능 키워드를 광고주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광고주가 키워드를 구매하기 위해 광고주 사이트에서 주소와 업종을 입력하면, 상술한 단계(320)를 통해 구매가능 키워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결정된 구매가능 키워드를 광고주 사이트를 통해 광고주에게 노출함으로써, 결정된 구매가능 키워드를 광고주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제공된 구매가능 키워드 중 광고주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구매가능 키워드인 관심 키워드를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와 연관하여 저장한다.
또한, 광고 제공 시스템(22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가 상기 광고주의 관심 키워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관심 키워드와 연관하여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고 제공 방법에서는 광고주에 의해 입력되는 업체의 주소와 업체의 업종에 기초하여 광고주가 구매할 수 있는 키워드들이 제한될 수 있고, 제한된 구매가능 키워드 중에서 광고주에 의해 선택되는 키워드들이 광고주에게 판매될 수 있다. 이때, 퍼블리셔의 사이트에 접근한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퍼블리셔는 검색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광고 플랫폼을 통해 광고 제공 시스템(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전달된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키워드를 검색하고, 검색된 관심 키워드와 연관하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 시스템(200)은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해당 페이지의 URL 정보)를 퍼블리셔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퍼블리셔는 제공받은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페이지로의 링크를 사용자에게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광고주로부터 업체의 주소 및 업종을 입력받는 페이지를 나타낸 일례이다. 도 4에 나타난 광고주 페이지(400)는 지역광고를 하고자 하는 광고주로부터 광고 진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광고주에게 제공되는 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1 점선 박스(410)는 광고주로부터 업체의 주소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2 점선 박스(420)는 광고주로부터 광고 카테고리를 입력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때, 광고 카테고리는 광고주의 업체의 업종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구매가능 키워드와 광고주로부터 선택된 구매가능 키워드인 관심 키워드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나타낸 일례이다. 도 5에 나타나 광고주 페이지(500)는 광고주가 입력한 업체의 주소 및 업종에 따라 결정된 구매가능 키워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구매가능 키워드 중 광고주에 의해 선택된 구매가능 키워드들이 광고주의 관심 키워드로서 결정될 수 있고, 광고주의 관심 키워드들은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와 연관하여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는 광고주로부터 입력된 다양한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페이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체 정보 페이지는, 업체의 건물 사진, 주소, 전화번호, 분류, 소개, 홈페이지 링크,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주 페이지(500)는 단순히 구매가능 키워드와 관심 키워드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해당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키워드들의 월 예상 조회수나 일 최저입찰가 또는 30일 기준 월 최저입찰가와 같이 광고주가 구매가능 키워드 중에서 구매하기 위한 키워드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들을 함께 노출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퍼블리셔(130)가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퍼블리셔들 중 하나의 개별 퍼블리셔와 연관된 시스템일 수 있다. 즉, 광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해당하는 개별 광고 플랫폼으로 전달하고, 해당 광고 플랫폼으로부터 키워드에 대응하는 지역광고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워드 전달부(610), 광고 정보 수신부(620) 및 광고 정보 제공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키워드 전달부(6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광고 플랫폼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광고 플랫폼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광고 플랫폼(12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광고 플랫폼들 중 하나의 개별 광고 플랫폼에 대응될 수 있다.
광고 정보 수신부(620)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지역광고의 정보를 광고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지역광고의 정보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심 키워드는 광고주에 의해 입력된 업체의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와 광고주에 의해 더 입력된 상기 업체의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구매가능 키워드 중 광고주에 의해 선택되는 구매가능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매가능 키워드는 광고 플랫폼에서 결정되어 광고주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매가능 키워드, 관심 키워드 및 관심 키워드와 연관하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이미 자세히 설명하였기에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광고 정보 제공부(630)는 수신된 지역광고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광고 제공 시스템(600)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해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검색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광고의 정보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URL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광고 정보 제공부(630)는 상기 URL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결과 페이지에 해당 페이지로의 링크를 설정하고, 검색결과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지역광고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정보 제공부(630)는 해당 업체의 쿠폰 정보나 홈페이지 정보 또는 위치 정보 등을 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해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도상에 해당 업체의 위치가 표시된 약도가 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광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도 6을 통해 설명한 광고 제공 시스템(6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광고 제공 시스템(60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광고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710)에서 광고 제공 시스템(6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광고 플랫폼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광고 플랫폼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광고 플랫폼(120)이 포함하는 복수의 개별 광고 플랫폼들 중 하나의 개별 광고 플랫폼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720)에서 광고 제공 시스템(600)은 키워드에 대응하는 지역광고의 정보를 광고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서, 지역광고의 정보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심 키워드는 광고주에 의해 입력된 업체의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와 광고주에 의해 더 입력된 상기 업체의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구매가능 키워드 중 광고주에 의해 선택되는 구매가능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매가능 키워드는 광고 플랫폼에서 결정되어 광고주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매가능 키워드, 관심 키워드 및 관심 키워드와 연관하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이미 자세히 설명하였기에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730)에서 광고 제공 시스템(600)은 수신된 지역광고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광고 제공 시스템(600)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해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검색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광고의 정보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의 URL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광고 제공 시스템(600)은 상기 URL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결과 페이지에 해당 페이지로의 링크를 설정하고, 검색결과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지역광고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 시스템(600)은 해당 업체의 쿠폰 정보나 홈페이지 정보 또는 위치 정보 등을 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해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도상에 해당 업체의 위치가 표시된 약도가 검색결과 페이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고주가 입력한 업체의 주소와 업종을 이용하여 광고주가 구매 가능한 키워드들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보다 적합한 지역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업체의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와 업체의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간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키워드들을 광고주가 구매 가능한 키워드로서 결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보다 적합한 지역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업체의 업종에 따라, 지역 키워드에 대응하는 지역의 구매 가능한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지역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광고 제공 시스템
210: 정보 제공부
220: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
230: 구매가능 키워드 제공부
240: 저장부

Claims (13)

  1. 키워드를 구매하고자 하는 광고주로부터 입력된 업체의 주소 및 상기 업체의 업종을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상기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 및 상기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하는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
    상기 결정된 구매가능 키워드를 상기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구매가능 키워드 제공부; 및
    상기 제공된 구매가능 키워드 중 상기 광고주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구매가능 키워드인 관심 키워드를 상기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상기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가 상기 광고주의 관심 키워드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관심 키워드와 연관하여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 정보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키워드는, (1) 상기 주소에 포함된 행정구역의 명칭, (2) 상기 행정구역의 상위 행정구역의 명칭, (3) 상기 행정구역의 명칭과 연관되어 기저장된 상기 행정구역 명칭의 다른 명칭, (4) 상기 행정구역내에 기설정된 스팟(spot)의 명칭, (5) 상기 스팟의 명칭과 연관되어 기저장된 명칭, (6) 상기 광고주에 의해 신청된 명칭 중 검수를 통해 구매가 허용된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에 포함된 행정구역이 기설정된 단위의 행정구역이고 상기 허용된 명칭이 상기 행정구역과 인접한 상기 단위의 행정구역의 명칭인 경우, 상기 주소에 포함된 행정구역과 동일한 행정구역을 주소에 포함하는 모든 광고주에 대해, 상기 인접한 행정구역의 명칭이 상기 지역 키워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키워드는, 상기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행정구역의 명칭들 중 상기 업종에 따라 기설정된 지역 범위내의 행정구역의 명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종에 따라 판매 가능한 상기 업종 키워드를 상기 업종과 연관하여 테이블에 저장하는 업종 키워드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는,
    상기 테이블에서 상기 업종과 연관된 상기 업종 키워드를 추출하여 상기 업종 키워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는,
    상기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키워드들 각각의 검색 횟수(Query Count, QC)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상기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가능 키워드 결정부는,
    상기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키워드들 중 전년도의 월별 최고 검색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상기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9.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광고 플랫폼으로 전달하는 키워드 전달부;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지역광고의 정보를 상기 광고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하는 광고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지역광고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광고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광고의 정보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상기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 키워드는, 상기 광고주에 의해 입력된 업체의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와 상기 광고주에 의해 더 입력된 상기 업체의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구매가능 키워드 중 상기 광고주에 의해 선택되는 구매가능 키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 키워드는, (1) 상기 주소에 포함된 행정구역의 명칭, (2) 상기 행정구역의 상위 행정구역의 명칭, (3) 상기 행정구역의 명칭과 연관되어 기저장된 상기 행정구역 명칭의 다른 명칭, (4) 상기 행정구역내에 기설정된 스팟(spot)의 명칭, (5) 상기 스팟의 명칭과 연관되어 기저장된 명칭, (6) 상기 광고주에 의해 신청된 명칭 중 검수를 통해 구매가 허용된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11. 키워드를 구매하고자 하는 광고주로부터 입력된 업체의 주소 및 상기 업체의 업종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 및 상기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키워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구매가능 키워드로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구매가능 키워드를 상기 광고주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구매가능 키워드 중 상기 광고주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구매가능 키워드인 관심 키워드를 상기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상기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와 연관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 방법.
  12.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광고 플랫폼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지역광고의 정보를 상기 광고 플랫폼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지역광고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광고의 정보는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관심 키워드를 구매한 광고주의 광고 페이지 및 상기 광고주에게 할당되는 업체 정보 페이지 중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 키워드는, 상기 광고주에 의해 입력된 업체의 주소에 따라 결정되는 지역 키워드와 상기 광고주에 의해 더 입력된 상기 업체의 업종에 따라 결정되는 업종 키워드의 조합을 통해 구성되는 구매가능 키워드 중 상기 광고주에 의해 선택되는 구매가능 키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110060342A 2011-06-21 2011-06-21 업체의 주소와 업종을 이용하여 온라인 지역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30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342A KR101730660B1 (ko) 2011-06-21 2011-06-21 업체의 주소와 업종을 이용하여 온라인 지역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342A KR101730660B1 (ko) 2011-06-21 2011-06-21 업체의 주소와 업종을 이용하여 온라인 지역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538A true KR20120140538A (ko) 2012-12-31
KR101730660B1 KR101730660B1 (ko) 2017-04-27

Family

ID=4790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342A KR101730660B1 (ko) 2011-06-21 2011-06-21 업체의 주소와 업종을 이용하여 온라인 지역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6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660B1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6425B2 (en) Claiming real estate in panoramic or 3D mapping environments for advertising
JP5650792B2 (ja) オンライン地図広告
KR101336687B1 (ko) 사용자 관심 정보 및 지도-기반 위치 정보를 사용한 광고 결정
US20100156933A1 (en) Virtualized real world advertising system
US20090319187A1 (en) Generating Geocoded Targeted Web Advertisements
US10152728B2 (en) Informational and advertiser links for use in web mapping services
KR101888123B1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한 광고 타겟팅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64484B1 (en) Attributing preferences to locations for serving content
US20150339716A1 (en) Online classified website for specific geographic regions and method for marketing the same
CN103337026A (zh) 利用嵌入式地图的广告系统和方法
US201501994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our plan service
KR101722670B1 (ko) 간접클릭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
Yayli et al. Web-based destination marketing: Do official city culture and tourism websites’ in Turkey consider international guidelines?
KR101783297B1 (ko) 업체정보로부터 추출된 확장 키워드를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91716B1 (ko) 광고주가 구매 가능한 키워드를 제한하여 업체의 주소와 업종을 이용한 온라인 지역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온라인 지역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22379B1 (ko) 사용자 중심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30660B1 (ko) 업체의 주소와 업종을 이용하여 온라인 지역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32419B1 (ko) 타겟 정보 조합에 따른 소재 타겟팅 광고 방법 및 그 시스템
Joshi-Gole Geo-Targeting for Enhanced Customer Experience
KR101574161B1 (ko) 예약된 광고를 노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340737B1 (ko) 핫키 등록을 이용한 광고 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23474A (ko) 업체정보를 활용하여 온라인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55129B1 (ko) 키워드 광고 판매 장치 및 키워드 광고 가격 결정 방법
KR101827864B1 (ko) 사용자의 검색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검색광고를 추가 노출 및 과금하는 검색 히스토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Hazimeh Important Aspects Of Location In Marke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