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953A -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953A
KR20120139953A KR1020110059514A KR20110059514A KR20120139953A KR 20120139953 A KR20120139953 A KR 20120139953A KR 1020110059514 A KR1020110059514 A KR 1020110059514A KR 20110059514 A KR20110059514 A KR 20110059514A KR 20120139953 A KR20120139953 A KR 20120139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receipt
dimensional code
receipt
mobile terminal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정민
이영렬
Original Assignee
와이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9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9953A/ko
Publication of KR20120139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electronic receip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원 코드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전자영수증을 발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구매목록 영수증에 기초하여 이차원 코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면 휴대단말기가 이차원 코드를 스캔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목록 영수증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매목록 영수증의 관리는 가계부 서버를 통해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국세청 서버와 연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Method for issuing electronic receipt using 2D code}
본 발명은 이차원 코드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전자영수증을 발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자영수증 발급기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영수증을 관리할 수 있는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그리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갖춘 휴대용 기기를 널리 말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을 갖추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단말기에 의해 다양한 부가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한편, 소비자가 마트나 백화점 등에서 쇼핑을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종이에 인쇄된 형태의 구매목록 영수증을 제공받기 때문이 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구매목록 영수증에 기초하여 이차원 코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면 휴대단말기가 이차원 코드를 스캔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목록 영수증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은,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구매목록 영수증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단계;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위 생성된 구매목록 영수증 정보를 이차원 코드에 삽입하여 전자영수증을 생성하는 제 2 단계;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위 생성된 전자영수증에 해당하는 이차원 코드를 출력하는 제 3 단계; 휴대단말기가 전자영수증 발급기에서 생성된 이차원 코드를 획득하는 제 4 단계; 휴대단말기는 위 획득한 이차원 코드를 저장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에서, 제 3 단계는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이차원 코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제 4 단계는 휴대단말기가 전자영수증 발급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차원 코드를 카메라로 촬상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에서, 제 3 단계는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이차원 코드를 영수증에 인쇄하여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제 4 단계는 휴대단말기가 영수증에 인쇄하여 표시된 이차원 코드를 카메라로 촬상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에서, 제 3 단계는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이차원 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제 4 단계는 휴대단말기가 이차원 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은, 휴대단말기가 위 획득한 이차원 코드를 디코딩하여 구매목록 영수증을 획득하는 제 6 단계; 휴대단말기가 디코딩에 의해 획득된 구매목록 영수증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 7 단계; 휴대단말기가 디코딩에 의해 획득한 구매목록 영수증을 무선 인터넷을 통해 가계부 서버로 전송하는 제 8 단계;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위 생성된 전자영수증을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는 제 9 단계;를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에 따르면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구매목록 영수증에 기초하여 이차원 코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면 휴대단말기가 이차원 코드를 스캔하여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목록 영수증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에 따르면 개별 구매 행위에서 생성된 전자영수증이 국세청 서버로 제공함으로써 매출 관련 정보를 좀더 광범위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영수증 발급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 코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시스템은 전자영수증 발급기(100), 휴대단말기(200) 및 국세청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영수증 발급기(100)는 구매목록 영수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매목록 영수증 정보를 이차원 코드에 삽입하여 전자영수증을 생성한다. 전자영수증 발급기(100)는 대형 마트, 슈퍼마켓, 백화점 등의 계산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매목록 영수증 정보는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들의 목록과 각 상품의 가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차원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일 수 있으며, QR 코드는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로 종횡의 정보를 가져서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반 바코드는 한쪽 방향으로 숫자 정보가 저장 가능한 반면 QR 코드는 종횡으로 2차원 형태를 가져서 더 많은 정보를 가질 수 있으며 숫자 외에 알파벳과 한자 등 문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자영수증 발급기(100)는 이차원 코드로 생성한 전자영수증을 국세청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국세청 서버(300)에서 개별 사업장에서의 매출 관련 정보를 좀더 광범위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합리적인 과세 정책을 수행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전자영수증 발급기(100)는 전자영수증에 해당하는 이차원 코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예컨대 매장에 설치된 전자영수증 발급기(100)를 통해 자신의 구매 행위에 대하여 전자영수증이 발급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소비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단말기(200)는 전자영수증 발급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차원 코드를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하며, 그 획득한 이차원 코드를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지금까지 매장의 매출관리 시스템에서 관리되고 있던 매출관련 정보가 소비자가 관리하는 시스템, 즉 소비자의 휴대단말기(200)로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영수증 발급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이차원 코드를 휴대단말기(200)의 카메라로 촬상하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으나, 다른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영수증 발급기(100)에서 매출전표(영수증)에 이차원 코드를 출력하면, 소비자가 영수증에 인쇄된 이차원 코드를 휴대단말기(200)의 카메라로 촬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자영수증 발급기(100)에서 소비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인터넷으로 전송하면, 이차원 코드가 휴대단말기(2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차원 코드의 전송과정은 관리시스템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아니면 예컨대 MMS 등을 통해 전자영수증 발급기(100)에서 휴대단말기(20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중요한 사항은 전자영수증 발급기(100)에서 생성한 이차원 코드가 소비자의 휴대단말기(200)로 전달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휴대단말기(200)는 이렇게 획득한 이차원 코드를 디코딩하여 구매목록 영수증을 획득하고, 디코딩에 의해 획득된 구매목록 영수증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200)는 디코딩에 의해 획득한 구매목록 영수증을 무선 인터넷을 통해 가계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영수증 발급기(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수증 발급기(100)는 구매목록 영수증 생성부(102), 이차원 코드 생성부(104), 이차원 코드 표시부(106), 통신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목록 영수증 생성부(102)는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들의 목록과 각 상품의 가격을 포함하는 구매목록 영수증 정보를 생성하고, 이차원 코드 생성부(104)는 생성된 구매목록 영수증 정보를 이차원 코드에 삽입하여 전자영수증을 생성한다. 또한, 이차원 코드 표시부(106) 전자영수증에 해당하는 이차원 코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통신부(108)는 이차원 코드 생성부(104)에서 생성한 전자영수증을 국세청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 코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 코드(1)는 3개의 위치 결정용 심볼(2), 데이터 영역(3), 타이밍 셀(4), 정정 검출용 셀(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체는 셀 수가 바람직하게는 종횡 동수 21x21의 정방형 모양으로 배치되고, 각 셀은 광학적으로 다른 2 종류의 셀(예 : 흰색 셀, 검은색 셀)로 형성될 수 있다. 타이밍 셀(4)은 경사의 교대 명암 셀이고, 정정 검출용 셀(5)은 타이밍 셀도 겸하고 있다.
이때, 이차원 코드(1)의 위치 결정용 심볼(2)은 코드의 4개의 모서리 중 바람직하게는 3개에 배치될 수 있다. 그 셀의 명암 배치는 검은색 정방형(2a) 내의 중심에 희색의 축소 정방형(2b)이 형성되고, 그 안의 중심에 검은색 축소 정방형(2c)이 형성될 수 있다.
위치 결정용 심볼(2)의 중심을 대표적인 각도에서 가로지르는 주사선 3개에 의한 명암 검출 패턴에 따르면 각 주사선에 대한 주파수 성분비는 어둡다:희다:어둡다:희다:어둡다에 대해 예컨대 1:1:3:1:1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차원 코드가 회전되어 있어도 일정 방향의 주사 처리만으로 위치 결정용 심볼의 주파수 성분비를 검출할 수 있다. 위치 결정용 심볼의 중심 위치가 용이하게 조기에 판명되기 때문에 이차원 코드의 위치를 신속히 특정할 수 있다.
타이밍 셀(4)은 이차원 코드의 한 모서리로부터 대각선상에 흰색 셀(4a), 검은색 셀(4b)을 교대로 배치한 구조이다. 즉, 타이밍 셀(4)은 이차원 코드의 데이터 영역(3) 내에 형성되는데, 각 데이터 셀의 좌표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영역(3)의 각 데이터 셀(6)의 좌표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 타이밍 셀의 중심 좌표를 구하고, 이차원 코드 근처에 각 셀의 중심 좌표를 통과하는 가상선을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가상선의 교점을 각 데이터 셀의 좌표로 이용할 수 있다. 타이밍 셀을 이상과 같이 배치하여 데이터 셀의 좌표를 구한다면 타이밍 셀을 나란히 배치하는 것보다 데이터 비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3) 중 돌출하고 있는 영역(3a, 3b)에 대해서는 타이밍 셀(4)로부터 종횡의 가상선을 긋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협소한 범위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문제가 없다. 또한, 영역 3a, 3b는 위치 결정용 심볼(2)들 사이에 끼어 있는 영역이기 때문에 그 위치 결정용 심볼의 명암으로부터 가상선을 긋기 시작하여 교점을 획득하여 정확한 좌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3) 내에 표시되어 있는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코드의 더로움이나 파손 등에 대해서도 복원할 수 있는 오류 정정 부호와 오류 검출을 하는 CRC 부호를 부가하여 코드화되어 있다. 특히, 코드의 더러움이나 파손에 대해서는 버스트 오류 정정 부호가 적당하고, 정정 효율이 좋은 리드 솔로몬 부호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스트 오류 정정 부호로 코드화되는 각 캐릭터 데이터(복수 비트)를 데이터 셀 영역에 할당한다. 각각의 캐릭터는 각 비트에 해당하는 셀(6a)을 정방형에 가깝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캐릭터의 데이터가 8비트와 패리티가 1비트의 9셀(b0~b8)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캐릭터의 각 셀군을 정방형에 가까워지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더러움이나 파손에 대한 캐릭터 단위의 손상이 적고 오류 정정이 쉽고 판독 성능이 높아진다.
또한, 데이터 영역(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매목록 영수증 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카메라부(220), 조작부(230), 인터페이스부(240), 저장부(250), 디스플레이부(260), 제어부(270) 및 전원 공급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모듈(211),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10)는 외부 가계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이차원 코드의 디코딩에 의해 획득한 구매목록 영수증을 가계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1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고, 근거리 통신 모듈(215)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카메라부(220)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60)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부(22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25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220)는 전자영수증 발급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이차원 코드를 촬상하여 해당 화상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220)는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2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 모듈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 모듈과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은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 모듈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카메라 모듈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 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 모듈의 촬상 방향까지 촬상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조작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2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6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40)는 휴대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즉, 인터페이스부(24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제어부(2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2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50)는 카메라부(220)에 의해 획득된 전자영수증에 해당하는 이차원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0)는 휴대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상 모드인 경우, 촬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6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6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26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단말기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70)로 전송하여, 제어부(27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60)는 이차원 코드가 디코딩되어 획득된 구매목록 영수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370)는 전자영수증 발급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차원 코드가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되면, 획득된 이차원 코드를 저장부(250)에 저장하도록 하며, 이차원 코드를 디코딩하여 구매목록 영수증을 획득하고, 디코딩에 의해 획득된 구매목록 영수증이 디스플레이부(26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280)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영수증 발급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에 대한 기술적 구성의 대부분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프로세스의 흐름에 대해서만 간략히 설명한다. 프로세스 순서는 [도 5]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일부 단계가 서로 순서를 바꾸어 구성되거나 일부 수정하여 구현될 수 있다.
(S502) 단계 : 전자영수증 발급기(100)는 구매목록 영수증을 이차원 코드로 생성한다.
(S504) 단계 : 이어서, 전자영수증 발급기(100)가 위 생성된 이차원 코드를 표시한다. 이때, 이차원 코드를 표시하는 방법은 전자영수증 발급기(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고, 별도의 인쇄물, 예컨대 영수증이나 복권, 이벤트권 등에 인쇄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S506) 단계 : 휴대단말기(200)는 카메라부(220)를 통해 전자영수증 발급기(100)가 표시한 이차원 코드를 획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휴대단말기(200)의 카메라(220)로 이차원 코드를 촬상하여 이차원 코드를 획득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기술적 수단, 예컨대 네트워크로 이차원 코드가 휴대단말기(200)로 전달되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거나 영수증에 인쇄된 이차원 코드를 휴대단말기(200)의 카메라(220)로 촬상하는 방식이 별도의 기술적 수단과 연동되지 않더라도 구현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한 실시예가 될 수 있다.
(S508) 단계 : 휴대단말기(200)는 그 획득한 이차원 코드를 저장부(250)에 저장한다. 휴대단말기(200)는 일반적으로 상당한 크기의 플래시메모리를 내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차원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S510) 단계 : 휴대단말기(200)는 카메라부를 통해 획득한 이차원 코드를 디코딩하여 구매목록 영수증을 획득한다.
(S512) 단계 : 이어서, 휴대단말기(200)는 그 획득한 구매목록 영수증을 화면에 표시하는데, 이를 통해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구매목록 영수증 정보를 생성하는 제 1 단계;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상기 생성된 구매목록 영수증 정보를 이차원 코드에 삽입하여 전자영수증을 생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상기 생성된 전자영수증에 해당하는 이차원 코드를 출력하는 제 3 단계;
    휴대단말기가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기에서 생성된 이차원 코드를 획득하는 제 4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 획득한 이차원 코드를 저장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상기 이차원 코드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차원 코드를 카메라로 촬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상기 이차원 코드를 영수증에 인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영수증에 인쇄하여 표시된 이차원 코드를 카메라로 촬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상기 이차원 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이차원 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은,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획득한 이차원 코드를 디코딩하여 구매목록 영수증을 획득하는 제 6 단계;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디코딩에 의해 획득된 구매목록 영수증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은,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디코딩에 의해 획득한 구매목록 영수증을 무선 인터넷을 통해 가계부 서버로 전송하는 제 8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은,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기가 상기 생성된 전자영수증을 국세청 서버로 전송하는 제 9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KR1020110059514A 2011-06-20 2011-06-20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KR20120139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514A KR20120139953A (ko) 2011-06-20 2011-06-20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514A KR20120139953A (ko) 2011-06-20 2011-06-20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953A true KR20120139953A (ko) 2012-12-28

Family

ID=4790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514A KR20120139953A (ko) 2011-06-20 2011-06-20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99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0317B2 (en) Barcode rendering device
EP3053104B1 (en) Data transmission using optical codes
CN103761062B (zh) 一种在二维码区域显示对应素材的方法及移动终端
US20130001296A1 (en) Article with visual code, visual code genera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conveying method
AU2014331291A1 (en) Data transmission using optical codes
CN106599758A (zh) 一种画质处理方法及终端
TWI608428B (zh) 利用影像辨識產生相對應資訊之影像處理系統及其相關方法
CN102902943A (zh) 一种二维码扫描的方法、处理装置及终端
CN104751094A (zh) 带有可视化代码的物品、可视化代码读取设备及信息传递方法
US10395155B2 (en) Billboard containing encoded information
KR101116582B1 (ko)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방법
KR102159712B1 (ko) Qr 코드가 저장된 단말
US20230134627A1 (en) Two-dimensional barcodes for greater storage capacity
KR20130139716A (ko) 이차원코드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10223626B2 (en) High ambient light electronic screen communication method
US11593580B1 (en) Securing private information using two-dimensional barcodes
TW201715429A (zh) 資料傳遞裝置、資料讀取裝置、資料編解碼系統及其方法
KR20120139953A (ko) 이차원 코드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발급 방법
JP2008262521A (ja) 復元機能を利用したqrコード
JP2015036947A (ja) 情報再生表示システムおよび情報表示装置
CN108712570B (zh) 增强智能移动设备检测隐藏图像的实况性与真实性的方法
WO2020129307A1 (ja) 読み取り装置、読み取り方法及び読み取りプログラム並びに決済処理方法
US9979977B2 (en) Methods and devices of generating and decoding image streams with respective verification data
US11657242B2 (en) Information code reading system, information code reader, and information code
WO2024024437A1 (ja) 学習データ生成方法、学習モデル、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