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372A -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372A
KR20120139372A KR1020110059150A KR20110059150A KR20120139372A KR 20120139372 A KR20120139372 A KR 20120139372A KR 1020110059150 A KR1020110059150 A KR 1020110059150A KR 20110059150 A KR20110059150 A KR 20110059150A KR 20120139372 A KR20120139372 A KR 20120139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apacitor
bobbin
shuttle
circular l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2038B1 (ko
Inventor
구광일
Original Assignee
구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일 filed Critical 구광일
Priority to KR1020110059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03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9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7/00Circular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52Shuttle boxes
    • D03D49/54Braking means; Swells
    • D03D49/56Shuttle relief mechanisms, i.e. reducing shuttle swell pressure before pick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18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34Weft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06Controlling a group of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5/00Shuttles
    • D03J5/02Construction of shuttle bod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2700/00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looms; Weavening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Shuttles
    • D03J2700/04Efficiency control of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2700/00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looms; Weavening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Shuttles
    • D03J2700/06Auxiliary devices for inspecting, counting or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직기 보빈(12)의 실풀림 회전력을 이용한 자가발전방식으로 셔틀(2)의 북실상태를 감지함에 있어 제너다이오드(ZD1)(ZD2,ZD3)를 이용하여 발전전압을 조절하되 정류소자인 제1 다이오드(D1)에 정류된 발전전압을 제너다이오드(ZD1)을 이용하여 정전압으로 조절하거나 아니면 발전기(G)에 발전된 교류 발전전압을 제너다이오드(ZD2,ZD3)를 이용하여 정전압으로 조절하는 방식으로 발전전압을 조절하여 충전소자인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하고 회로작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공급함으로써, 보빈(12)에 감겨있는 실이 거의 다 풀려나가서 북실의 실꾸리가 작아져 보빈(12)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더라도 북실의 상태를 정상으로 감지하고, 보빈(12)에 감겨진 북실의 실꾸리가 너무 굵어 그 보빈(12)이 천천히 돌아가거나 새로 제작된 직기가 뻑뻑한 상태로 초기 가동되면서 보빈(12)이 천천히 돌더라도 북실의 상태를 정상으로 감지하여서 직기가 정상 작동하도록 해준다.

Description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CIRCUIT FOR PROTECTING MAL-FUNCTION ON SHUTTLE CIRCULAR LOOM}
본 발명은 통상물(筒狀物)을 제직하는 원형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형상의 셔틀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며 북실(shuttle thread)을 인출시키는 셔틀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원형직기 셔틀의 오작동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상의 셔틀가이드레일에는 셔틀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짝수개의 셔틀들이 설치되고, 셔틀가이드레일을 따라서는 다수의 종광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원형직기는 셔틀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셔틀로부터 인출되는 북실(위사)와 각 종광에 계합된 경사를 교직하여서 소방호스, 동선피복, 물건담는 자루와 같은 통상물을 제직하게 된다.
이러한 원형직기에서 셔틀로부터 인출되는 북실(위사)이 끊어지거나 소진이 되어지면 이를 감지하여 원형직기를 정지토록 해야하는데, 이를 자기유도방식으로 구현한 일 예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고번호 제1987-705호 "자기유도방식에 의한 직기의 북실감시장치"가 있다.
상기한 특허공고번호 제1987-705호의 북실감시장치는 감지부의 감지작용이 정확하여 오동작을 하는 일이 없고 전문 기술자가 아니라도 누구나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발신거리가 짧아 타 직기나 다른 전자기기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자체 발전으로 고정이 없어 사용이 반 영구적인 등의 장점이 있었다.
또 본원 출원인 구광일이 특허권자로 되어 있는 국내 등록특허 제988871호 "원형직기의 위사 검지구 및 그 검지회로"에서는 원형직기의 셔틀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셔틀로부터 인출되는 위사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고, 위사 검지구가 하나의 뭉치로 일체화되어 셔틀의 본체와 동떨어진 본체 양단에 부상시켜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마찰열로 인한 전자부품 열화나 전기연결선 절단으로부터 위사 검지구가 안정성을 갖도록 해주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원형직기의 셔틀 북실상태를 감지하는 장치는 외부의 전원공급이 없이 북실을 감고 있는 보빈의 실풀림 회전력을 이용한 자가발전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데, 이러한 자기발전방식은 보빈에 감겨있는 실이 거의 다 풀려나가서 보빈의 실꾸러미가 작아지면 보빈의 회전속도가 빨라져서 북실의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가 오동작하는 경우를 야기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자기발전방식은 보빈에 감겨진 북실의 실꾸러미가 너무 굵어 그 보빈이 천천히 돌아가거나 새로 제작된 직기가 뻑뻑한 상태로 초기 가동되면서 보빈을 천천히 돌리더라도 직기는 정상 작동해야 함에도 감지장치의 오작동으로 그 직기를 정지시키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직기 보빈의 실풀림 회전력을 이용한 자가발전방식으로 셔틀의 북실상태를 감지함에 있어 셔틀의 보빈에 감겨 있는 북실의 굵기 등에 관계없이 직기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는, 원형직기 보빈(12)의 실풀림 회전력을 이용한 자가발전방식으로 셔틀(2)의 북실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북실(W)이 감겨진 보빈(12) 실풀림회전에 따른 자석식 스핀들(10)의 회전에 의해 유도코일(L1)에 유기된 발전전압(Vg)을 정류소자인 정방향의 제1 다이오드(D1)를 통과후 제1 커패시터(C1)에 정전압충전되게 하고 정류소자인 역방향의 제2 다이오드(D2)를 통과후 제2 커패시터(C2)에 부전압 충전되게 하며 제2 커패시터(C2)의 충전 부전압에 의해 제1 트랜지스터(TR1)가 비도통되고 보빈(12) 비회전에 따른 제1 커패시터(C1)의 충전 정전압에 의해 제1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게하는 제어에 의거하여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가 북실상태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다이오드(D1)와 제1 커패시터(C1) 사이에 제1 커패시터(C1)와 병렬하는 제너다이오드(ZD1)를 연결한 발전전압 조절회로부를 형성하여 발전전압(Vg)의 진폭을 조절후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는, 원형직기 보빈(12)의 실풀림 회전력을 이용한 자가발전방식으로 셔틀(2)의 북실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북실(W)이 감겨진 보빈(12) 실풀림회전에 따른 자석식 스핀들(10)의 회전에 의해 유도코일(L1)에 유기된 발전전압(Vg)을 정류소자인 정방향의 제1 다이오드(D1)를 통과후 제1 커패시터(C1)에 정전압충전되게 하고 정류소자인 역방향의 제2 다이오드(D2)를 통과후 제2 커패시터(C2)에 부전압 충전되게 하며 제2 커패시터(C2)의 충전 부전압에 의해 제1 트랜지스터(TR1)가 비도통되고 보빈(12) 비회전에 따른 제1 커패시터(C1)의 충전 정전압에 의해 제1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게하는 제어에 의거하여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가 북실상태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두개의 제너다이오드(ZD2)(ZD3)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렬 연결한 발전전압 조절회로부를 형성하고 양단을 제1 다이오드(D1) 전단부 유도코일(L1)의 양단에 연결하여서 발전전압조절회로부로 발전전압(Vg)의 진폭을 조절한 후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발전전압조절회로부를 구성하는 제너다이오드의 제너전압(Vz)이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의 내부 회로동작을 가능케 하는 전압범위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고,
또 스핀들(10) 최저속 회전에 대응하여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되는 전압이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의 동작전압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코일(L1)의 감는 횟수를 설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형직기 보빈의 실풀림 회전력을 이용한 자가발전방식으로 셔틀의 북실상태를 감지함에 있어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발전전압을 조절해줌으로써 셔틀의 보빈에 감겨 있는 북실의 굵기에 관계없이 직기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즉 보빈에 감겨있는 실이 거의 다 풀려나가서 북실의 실꾸리가 작아지면 보빈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더라도 북실의 상태를 정상으로 감지하고, 보빈에 감겨진 북실의 실꾸리가 너무 굵어 그 보빈이 천천히 돌아가거나 새로 제작된 직기가 뻑뻑한 상태로 초기 가동되면서 보빈이 천천히 돌더라도 북실의 상태를 정상으로 감지하여서 직기가 정상 작동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예로 적용된 원형직기용 셔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 회로도,
도 4는 도 2에 관련된 전압 파형도,
도 5는 도 3에 관련된 전압 파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원형직기용 셔틀(2)에서, 참조번호 "6"은 본체(4)에 장착된 4개의 안내롤로서 셔틀(2)이 상하 가이드레일을 따라 롤링주행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본체(4)의 최외측단에 설치된 참조번호 "8"는 셔틀(2)이 움직이게 밀어주는 푸쉬롤러이다.
본체(4)의 양측 고정부에는 다수 마그네트들이 표면 매립된 자석식 스핀들(10)과 반대측 테일스핀들(10a)이 회전가능하게 장치되며, 자석식 스핀들(10)과 테일스핀들(10a)간에는 위사로 사용되는 북실(W)이 감겨진 보빈(12)이 장탈가능하게 삽입된다. 보빈(12)이 삽입된 상방의 본체(4)에는 회전되는 보빈(12)에 권취된 실꾸리의 관성력을 줄어주기 위해 텐션브레이크(14)가 설치된다. 텐션브레이크(14)는 용수철(16)에 의한 바이어스력이 작용하여 보빈(12)의 실꾸리를 눌러준다.
그리고, 본체(4)의 자석식 스핀들(10) 부근에는 보빈(12)에 감긴 북실(W)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모듈(20)이 설치된다. 또 텐션브레이크(14)의 내측방에는 보빈(12)에 감긴 북실 소진을 사전에 감지하기 위한 도전스위치편(도 2 및 도 3의 18)이 장치되고 도전스위치편(18)에는 신호선(22)이 연결된다.
도 1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전기 언급한 국내 등록특허 제988871호에 자세히 설명되고 있다.
도 1의 감지부모듈(20)은 외부의 전원공급 없는 자가발전방식으로, 도 2 및 도 3의 회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를 갖는 자석식 스핀들(10)과 감지부모듈(20)의 철심(34)에 감긴 코일(L)이 발전기(G)를 구성하며, 자석식 스핀들(10)의 회전에 따른 발전기(G)의 발전으로 발전전압(Vg)이 생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 회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부(100)의 구성적 특징은 보빈(12)에 감겨 있는 북실의 굵기 등에 관계없이 원형직기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제너다이오드(ZD1,ZD2,ZD3)를 채용한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부(100)는, 크게 북실상태 신호생성부(40)와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로 구성하며,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의 회로 구성은 국내 등록특허 제988871호에 기술된 검출신호 송신부(42)의 회로 구성과 동일하다.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에서, 참조부호 '44'는 발진집적회로, 'R3,R4,R5'는 저항, 'C4,C5'는 커패시터, 'L2'는 출력코일, 'Sm'은 자계검출신호이다.
보빈(12)에 감긴 북실(W)이 절사되거나 보빈(12)의 북실(W)이 소진된 경우, 북실(W) 소진이 거의 다 되어갈 즈음이나, 보빈(12)의 북실(W)이 절사된 후 실꼬리가 다른 구동체에 휘말려 다시 보빈(12)이 회전할 경우에 대해서는 국내 등록특허 제988871호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의 회로도에서는 보빈(12)의 북실(W)이 절사된 후 실꼬리가 다른 구동체에 휘말려 다시 보빈(12)이 회전할 경우에 대한 회로 구성요소들은 생략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부(100)가, 보빈(12)에 감겨있는 북실(W)이 거의 다 풀려나가서 보빈(12)의 실꾸러미가 작아지면서 보빈(12)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더라도 북실(W)의 상태를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있고, 보빈(12)에 감겨진 북실(W)의 실꾸러미가 너무 굵어 그 보빈(12)이 천천히 돌아가거나 새로 제작된 원형직기가 뻑뻑한 상태로 초기 가동되면서 보빈(12)이 천천히 돌더라도 북실(W)의 상태를 정상으로 감지하여서 직기가 정상 작동하도록 해주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할 것이다.
먼저 북실(W)이 감겨진 보빈(12)으로부터 북실(W)이 정상적으로 인출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실풀림으로 보빈(12)이 회전함에 따라 보빈(12)를 물고 있는 자석식 스핀들(10)이 회전하게 되면 자석식 스핀들(10)에 표면 매립된 마그네트들에 의해서 북실상태 신호생성부(40)의 철심(34)에 감겨있는 유도코일(L1)로 교류성의 발전전압(Vg)이 유기된다. 유기된 발전전압(Vg)는 정류소자인 제1 다이오드(D1)를 통과하면서 반파정류되어 (+)성분의 정전압 V(+)가 노드N2에서 분기된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되며, 또 발전전압(Vg)의 (-)성분인 노드N3의 부전압V(-)은 노드N1에서 분기되어 역방향 연결된 정류소자인 제2 다이오드(D2)의 반파정류에 의해서 형성되어 제2 커패시터(C2)에 충전되어진다. 제1 커패시터(C1)는 충전소자로서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부(100)내 외부 전원 공급없이 동작하는 능동회로소자들이 정상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정전압V(+)의 동작전원을 충전하며, 제2 커패시터(C2)는 보빈(12)의 비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부전압V(-)의 전원을 충전한다.
제1 커패시터(C1)는 직기의 감지센서가 감지부(도 1의 20)로부터 송신되는 자계검출신호(Sm)를 검출할 수 있을 때까지 감지부모듈(20)의 능동회로소자들이 충분히 동작할 수 있을 만큼의 충전용량을 갖고 있으며, 제2 커패시터(C2)는 제1 커패시터(C1)보다 훨씬 낮은 충전용량을 갖고 있다. 제1,제2 커패시터(C1)(C2) 사이의 노드N4에는 제로(zero) 전위가 형성된다.
충전용량이 제1 커패시터(C1)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2 커패시터(C2)는 제1 커패시터(C1)보다 빠르게 충전완료되며, 충전된 부전압V(-)는 역방향 연결된 제3 다이오드(D3)를 통해서 NPN형의 제1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B)에 인가되므로 제1 트랜지스터(TR1)은 비도통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 트랜지스터(TR1)의 도통에 의해서 동작되는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의 발진IC(44)는 동작하지 않게되며, 발진IC(44)의 출력단(O)에 커패시터(C4)를 통해서 연결된 출력코일(L2)로부터의 자계검출신호(Sm)도 발생하지 않게된다. 즉, 제1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단(C)은 발진IC(44)의 연결단(P)와 연결되고, 제1 트랜지스터(TR1)의 이미터단(E)은 제로전위 노드N4의 라인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커패시터(C1)로부터 동작전압을 받는 발진IC(44)는 제1 트랜지스터(TR1)가 도통하게되면 제1 트랜지스터(TR1)로 전류패스가 형성되어서 동작을 하게된다.
그런데, 보빈(12)에 감겨있는 북실(W)이 거의 다 풀려나가서 보빈(12)의 실꾸러미가 작아지면서 보빈(12)의 회전속도가 빨라지게 되며 그에 따라 정상보다 높은 전압이 충전소자인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되면서 제1 커패시터(C1)가 과열되고 그로 인해 열화되며, 이러한 상태를 수 개월(2~3달) 지속하면 제1 커패시터(C1)가 소손되어버린다. 또 제1 커패시터(C1)에 지속적으로 과충전이 장시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과전압에 의한 미약한 전류라 할지라도 트랜지스터(TR1)이나 발진IC(44)에 무리를 주어 회로 오동작을 일으키게 한다.
만일 제1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터 용량을 충분히 큰 것을 채용하면 문제가 이러한 문제가 최소화될 수 있으나 전압이 높을 것을 수용하려면 가격이 비쌀뿐 아니라 제1 커패스터(C1)의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도 1에 도시된 감지부모듈(20)로서 셔틀(2)에 장착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보빈(12)의 회전이 느릴 때에는 발전전압(Vg)이 충분하지 못하여 회로가 기본적으로 소모를 제외해 버리면 회로부(100)의 회로동작을 못하게 할 수 있다.
발전부(G)의 발전전압(Vg)이 회전체인 자석식 스핀들(10)의 회전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증가되더라도 공지된 정전압IC를 사용하면 제1 커패시터(C1)에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정전압IC의 부피가 큰 관계로 셔틀(2)내의 감지부모듈(20)에 들어갈 수가 없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정전압소자인 제너다이오드(ZD1)(ZD2,ZD3)를 이용하여서 충전소자인 제1,제2 커패시터(C1)(C2)의 충전용량을 적정한 것으로 채용하면서도 그 커패시터(C1)(C2)에는 과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해준다.
이를 위해 본원 출원인은 셔틀(2)의 회로부(100)에서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의 회로 특히 발진IC(44)의 정격동작에 요구되는 전압범위를 확인하고, 또 회전체인 자석식 스핀들(10)의 최고회전시 발전기(G)의 손실전압을 제외하고 정류한 전압값이 어떠한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았다. 이는 정전압소자인 제너다이오드(ZD1)(ZD2,ZD3)의 제너전압(Vz)을 설정하는데 활용된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원형직기로 짜는 자루중 소형자루의 접은 개구 길이는 340mm내외이고 보통자루의 접은 개구길이는 520mm내외이다. 이를 비율로 표현하면 1:1.53가 된다. 그리고, 보빈(12)에 북실(W)이 많이 풀렸을 때의 실꾸리 직경은 4cm내외이고 보빈(12)에 북실(W)이 많이 감겨있을 때의 실꾸리 직경은 11cm내외이다. 이를 비율로 표현하면 1:2.75가 된다.
이를 근거로 하면 발전기(G)의 회전체인 스핀들(10)의 최저속과 최고속의 회전비율은 1:4.2가 된다. 이 회전비율을 활용해서 발생되는 최소 및 최대전압값을 가늠할 수 있다.
회전체인 자석식 스핀들(10)의 최고회전시 발전기(G)의 손실전압을 제외하고 정류한 전압값이 18~20V이었다. 그리고, 셔틀(2)의 회로부(100)에서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의 회로 특히 발진IC(44)의 정격동작에 요구되는 전압범위는 예컨대 최저 5V와 최고 13V이다. 그러므로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에 요구되는 최저 5V 이상의 전압이 공급되도록 설계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발전기(G)의 회전체인 스핀들(10)이 느리게 돌아갈 때에도 최저 5V의 전압이상이 공급될 수 있도록 발전기(G)의 유도코일(L1)의 감는 횟수를 정하면 된다. 예컨대 스핀들 최저속 회전시 6V의 전압이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에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코일(L1)의 감는 횟수를 정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원형직기의 회로부(100)에 부피 등이 고려되어 적합하게 현실적으로 채용된 제1 커패시터(C1)의 용량은 1000~2000㎌으로서 10~13V내외의 전압을 수용하는데 적절하다. 이를 고려할 때 제1 커패시터(C1)가 과전압 차단으로 최대한 견딜 수 있고 최대한 성능이 나게 하는 것은 12~13V 제너전압(Vz)을 갖는 제너다이오드(VZ1)(VZ2,VZ3)를 채용하는 것이다. 즉 13~20V의 과전압은 제1 커패시터(C1)에 공급되는 것이 차단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첫번째 실시예에서는 정류된 발전전압을 정전압으로 조절하는 방식이고, 도 3에 도시된 두번째 실시예에서는 교류 발전전압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도 4는 도 2에 관련된 전압 파형도이고, 도 5는 도 3에 관련된 전압 파형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제1 다이오드(D1)와 제1 커패시터(C1) 사이에 제1 커패시터(C1)와 병렬하는 제너다이오드(ZD1)를 연결하여서 발전전압 조절회로부를 형성한다. 즉 제너다이오드(ZD1)의 (+)극을 N2노드에 연결하고 제너다이오드(ZD1)의 (-)극을 N4노드에 연결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도 4의 (a)에서와 같은 발전전압(Vg)은 정류소자인 다이오드(D1)를 통과하면서 도 4의 (b)와 같은 반파 정류된 전압값이 되고 반파정류된 전압 Vr은 발전전압 조절회로인 제너다이오드(ZD1)에 의해서 도 4의 (c)와 같은 최대 제너전압(Vz)만큼만이 통과되도록 발전전압의 진폭을 조절한 전압값 V(+)로 된 후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두개의 제너다이오드(ZD2)(ZD3)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렬 연결한 발전전압 조절회로부를 형성하고 발전전압 조절회로부의 양단을 제1 다이오드(D1) 전단부에 위치한 유도코일(L1)의 양단에 연결한 것이다. 즉 제너다이오드(ZD2)(ZD3)의 (-)극을 서로 연결하고 제너다이오드(ZD2)(ZD3)의 각 (+)극을 유도코일(L1)의 양단에 연결한다.
그에 따라 도 5의 (a)에서와 같은 발전전압(Vg)은 두개의 제너다이오드(ZD2)(ZD3)를 이용한 발전전압 조절회로부를 통과하면서 정전압과 부전압이 각각 도 5의 (b)와 같은 최대 제너전압(Vz)만큼만이 통과되도록 발전전압의 진폭을 조절한 전압값 Vr1로 된 후, 정류소자인 다이오드(D1)를 통과하면서 도 5의 (c)와 같은 반파 정류된 전압값 V(+)이 되어서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되는 것이다.
충전소자인 제1 커패시터(C1)는 최저 6V 내지 최대 13V의 전압값을 갖는 발전전압에는 과열되지 않으므로 열화되거나 소손되지 않게 되어 오래 사용이 가능하며, 13V와 같은 제너전압(Vz)을 넘어서는 전압값은 커트되므로 기기의 동작에 이상이 없다. 또 발전기(G)의 회전체인 스핀들(10)이 최저 회전을 하더라도 그에 맞게 감긴 유도코일(L1)에 의해서 회로 동작에 필요한 적정한 전압이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원형직기로 제직하는 제품의 크기에 따라 북실(W)의 풀어지는 속도가 다르고 북실(W)이 보빈(12)이 많이 감겨있던 적게 감겨 있든 상관없이 또 원형직기가 새롭게 도입되어 질이 잘나지 않아 느리게 돌아거나 오래되어서 느리게 돌아가더라도 오동작방지회로부(100)가 관여하여서 기기를 정상 작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회로도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통상물을 짜는 원형직기에 관련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원형직기를 이용해서 소방호스, 동선피복, 물건 담는 자루 등과 같은 통상물을 제직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2)-- 셔틀 (4)-- 본체
(10)-- 자석식 스핀들 (12)-- 보빈
(W)-- 북실 (14)-- 텐션브레이크
(18)-- 도전스위치편 (20))-- 감지부모듈
(22)-- 리드선 (G)-- 발전기
(40)-- 북실상태 신호생성부 (42)-- 북실상태 신호송신부
(100)--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방지회로부

Claims (4)

  1. 원형직기 보빈(12)의 실풀림 회전력을 이용한 자가발전방식으로 셔틀(2)의 북실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북실(W)이 감겨진 보빈(12) 실풀림회전에 따른 자석식 스핀들(10)의 회전에 의해 유도코일(L1)에 유기된 발전전압(Vg)을 정류소자인 정방향의 제1 다이오드(D1)를 통과후 제1 커패시터(C1)에 정전압충전되게 하고 정류소자인 역방향의 제2 다이오드(D2)를 통과후 제2 커패시터(C2)에 부전압 충전되게 하며 제2 커패시터(C2)의 충전 부전압에 의해 제1 트랜지스터(TR1)가 비도통되고 보빈(12) 비회전에 따른 제1 커패시터(C1)의 충전 정전압에 의해 제1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게하는 제어에 의거하여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가 북실상태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다이오드(D1)와 제1 커패시터(C1) 사이에 제1 커패시터(C1)와 병렬하는 제너다이오드(ZD1)를 연결한 발전전압 조절회로부를 형성하여 발전전압(Vg)의 진폭을 조절후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
  2. 원형직기 보빈(12)의 실풀림 회전력을 이용한 자가발전방식으로 셔틀(2)의 북실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북실(W)이 감겨진 보빈(12) 실풀림회전에 따른 자석식 스핀들(10)의 회전에 의해 유도코일(L1)에 유기된 발전전압(Vg)을 정류소자인 정방향의 제1 다이오드(D1)를 통과후 제1 커패시터(C1)에 정전압충전되게 하고 정류소자인 역방향의 제2 다이오드(D2)를 통과후 제2 커패시터(C2)에 부전압 충전되게 하며 제2 커패시터(C2)의 충전 부전압에 의해 제1 트랜지스터(TR1)가 비도통되고 보빈(12) 비회전에 따른 제1 커패시터(C1)의 충전 정전압에 의해 제1 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게하는 제어에 의거하여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가 북실상태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두개의 제너다이오드(ZD2)(ZD3)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직렬 연결한 발전전압 조절회로부를 형성하고 양단을 제1 다이오드(D1) 전단부 유도코일(L1)의 양단에 연결하여서 발전전압 조절회로부로 발전전압(Vg)의 진폭을 조절한 후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발전전압 조절회로부를 구성하는 제너다이오드의 제너전압(Vz)이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의 내부 회로동작을 가능케 하는 전압범위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핀들(10) 최저속 회전에 대응하여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되는 전압이 북실상태 신호송신부(42)의 동작전압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코일(L1)의 감는 횟수를 설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
KR1020110059150A 2011-06-17 2011-06-17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 KR101262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150A KR101262038B1 (ko) 2011-06-17 2011-06-17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150A KR101262038B1 (ko) 2011-06-17 2011-06-17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372A true KR20120139372A (ko) 2012-12-27
KR101262038B1 KR101262038B1 (ko) 2013-05-08

Family

ID=4790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150A KR101262038B1 (ko) 2011-06-17 2011-06-17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0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3652A (zh) * 2017-06-13 2017-12-08 上海神源电气有限公司 织机及其进行超启动的控制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238B1 (ko) 2019-09-19 2021-01-29 한영주 북실의 실풀림을 이용한 자가발전 장치
KR102158485B1 (ko) 2019-09-19 2020-09-22 한영주 자가발전을 이용한 원형직기 북실 상태 감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1065B (de) 1994-10-20 1996-06-25 Starlinger & Co Gmbh Ein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schussfäden an einer rundwebmaschine
KR100868871B1 (ko) 2007-05-17 2008-11-14 구광일 원형직기의 위사 검지구 및 그 검지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3652A (zh) * 2017-06-13 2017-12-08 上海神源电气有限公司 织机及其进行超启动的控制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038B1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038B1 (ko) 원형직기 셔틀 오동작 방지회로
US4617971A (en) Loom control system
US11235945B2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diameter of a yarn balloon formed by a continuous yarn at a workstation of a yarn balloon forming textile machine
TW200920886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nsion of the yarn unwinding from a negative yarn-feeder for textile machine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uch method
JPH07502789A (ja) 糸使用繊維機械のための糸供給装置
JPS63282341A (ja) 自動糸計測部付織機用よこ糸蓄積装置
CN106460262A (zh) 输纬器装置
JPH05222637A (ja) 糸の走行を検出し糸の破断を信号で表示する装置
ITMI990063A1 (it) Freno ad isteresi elettromagnetico in particolare come freno del filoper macchine tessili
KR100868871B1 (ko) 원형직기의 위사 검지구 및 그 검지회로
CN105683074B (zh) 导丝盘和导丝盘控制方法
ES2912727T3 (es) Procedimiento para alimentar una pluralidad de hilos a una máquina textil mediante unos respectivos alimentadores de hilo positivos
JP5997174B2 (ja) 織機用ウェフトフィーダー
US4232714A (en) Traveling yarn dispensers
US2597133A (en) Control system
US4234021A (en) Circular looms
ITMI961216A1 (it) Sistema di azionamento per un filatoio specialmente per un filatoio ad anelli
KR940011468B1 (ko) 정방기 등의 실 끊김 검출장치
US3844498A (e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winding speed of cross-winders
CN109991908B (zh) 一种基于stm32单片机的储纬器控制系统
CN206956271U (zh) 圆编织机纬纱限束控制装置
KR100544960B1 (ko) 선형 재료의 인출 꼬임 방지 장치
GB2218117A (en) Monitoring an electromotor-operated textile machine unit
KR920006726Y1 (ko) 레피어직기용 위사공급기의 위사자동확보장치
KR200337296Y1 (ko) 선형 재료의 권출 꼬임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