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344A -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344A
KR20120139344A KR1020110059103A KR20110059103A KR20120139344A KR 20120139344 A KR20120139344 A KR 20120139344A KR 1020110059103 A KR1020110059103 A KR 1020110059103A KR 20110059103 A KR20110059103 A KR 20110059103A KR 20120139344 A KR20120139344 A KR 20120139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punch
screw head
hollow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739B1 (ko
Inventor
민경진
민태홍
권영호
Original Assignee
민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진 filed Critical 민경진
Priority to KR1020110059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73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9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44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 B21K1/54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with grooves or no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4Frame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2Die forging; Trimming by making use of special dies ; Punching during fo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44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 B21K1/46Making machine elements bolts, studs, or the like with heads
    • B21K1/48Machines working with hammers, e.g. beating in a radial direction, for forming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간편하게 나사의 모재에 나사머리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생산시간 및 생산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나사머리홈 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는 상하로 개방되는 제 1중공이 형성되는 제 1몸체와, 상기 제 1중공에 연통되는 제 2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몸체와, 상기 제 2중공에 연통되어 나사의 모재가 안착되는 모재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2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3몸체와, 상기 제 1중공에 삽입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 1몸체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프레스기에 의해 가압되는 제 1펀치와, 상기 제 2중공에 삽입되고 하단에 나사머리홈의 형태에 대응되는 펀치헤드가 형성되어 상기 제 1펀치에 의해 가압되는 제 2펀치와, 상기 제 2펀치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나사머리홈 형성장치{Apparatus for forming groove on the head of screw}
본 발명은 나사머리홈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의 모재에 나사머리홈을 형성하는 나사머리홈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사는 나사몸체와 나사머리로 구성된다. 나사몸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나사머리에는 나사머리홈이 형성된다. 나사머리홈은 나사를 체결하는 데 사용되는 드라이버(driver)의 돌기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나사몸체에 형성되는 나사부 및 나사머리는 선반 등을 이용한 절삭가공, NC선반(numerically controlled lathe; 또는 자동선반) 등에 의해 제조된다.
한편, 나사머리홈은 나사머리홈 전체의 크기보다 작은 미세한 펀칭헤드, 또는 절삭날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육각형의 나사머리홈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미세한 펀칭헤드, 또는 미세한 절삭날을 이용하여 육각형의 각 모서리에 6개의 홀을 형성하고, 6개의 홀을 기준으로 하여 나사머리홈 전체 면적에 대한 펀칭 작업, 또는 절삭 작업을 반복한다. 이렇게 반복되는 펀칭 작업, 또는 절삭 작업을 마치고 나면, 나사머리홈의 내부면을 다듬는 작업을 거쳐 나사머리홈이 마무리된다.
하지만, 나사머리홈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 자체가 고가로 형성되고, 생산시간의 과다하게 소비될 뿐만 아니라 나사의 단위 생산원가가 과다하게 증가되어 생산성에서의 실익이 상쇄되는 문제가 있어 결국 그 실효성이 반감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간편하게 나사의 모재에 나사머리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생산시간 및 생산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는 상하로 개방되는 제 1중공이 형성되는 제 1몸체와, 상기 제 1중공에 연통되는 제 2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몸체와, 상기 제 2중공에 연통되어 나사의 모재가 안착되는 모재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2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3몸체와, 상기 제 1중공에 삽입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 1몸체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프레스기에 의해 가압되는 제 1펀치와, 상기 제 2중공에 삽입되고 하단에 나사머리홈의 형태에 대응되는 펀치헤드가 형성되어 상기 제 1펀치에 의해 가압되는 제 2펀치와, 상기 제 2펀치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는 상기 제 2몸체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턱과, 상기 제 2펀치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스톱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지턱과 상기 스톱링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펀치의 외경부에 설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제 3몸체에는 상기 모재수용홈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몸체의 하단으로 개방되는 모재제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는 상기 제 2몸체를 지지하는 지지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틀에는 상기 제 3몸체가 상기 제 2몸체의 하측에 정렬되도록 상기 제 3몸체가 수용되는 몸체수용홈과, 상기 몸체수용홈에 출납되는 상기 제 3몸체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는 상기 가이드홈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3몸체에 결합되는 이송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몸체에는 상기 모재수용홈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몸체의 하단으로 개방되는 모재제거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틀에는 상기 제 3몸체가 상기 몸체수용홈을 이탈함에 따라 상기 모재제거홀에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는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제 3몸체를 이송하는 제 1리니어액츄에이터와, 상기 연통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홀과 상기 모재제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 3몸체로부터 상기 모재를 이탈시키는 제 2리니어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 3몸체를 지지하는 회전판과,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판의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2몸체가 상기 회전판에 지지되는 상기 제 3몸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몸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회전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처짐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몸체에는 상기 모재수용홈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몸체의 하단으로 개방되는 모재제거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모재제거홀에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는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어 상기 제 3몸체가 상기 몸체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홀과 상기 모재제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 3몸체로부터 상기 모재를 이탈시키는 리니어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중공의 내경은 상기 모재의 상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3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2몸체가 상기 모재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도, 간편하게 나사머리홈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나사머리홈을 형성하는 데 소요되는 생산시간이 단축되어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에 의해 나사머리홈이 형성되는 상태를 단면도이다.
도 4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3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3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의 제 3몸체 이송동작 및 모재제거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4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4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5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제 3몸체 이송동작 및 모재제거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제 1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101)는 제 1몸체(110), 제 2몸체(120), 제 3몸체(130), 제 1펀치(140), 제 2펀치(150), 탄성체(160) 및 스톱링(170)을 포함한다.
제 2몸체(120)는 제 1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제 3몸체(130)는 제 2몸체(120)의 하부에 결합된다. 제 1몸체(110)와 제 2몸체(120), 제 2몸체(120)와 제 3몸체(130)는 상하로 작용하는 압력에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제 1몸체(110)에는 상하로 개방되는 제 1중공(111)이 형성된다. 제 2몸체(120)에는 제 1중공(111)에 연통되는 제 2중공(121)이 형성된다. 제 3몸체(130)에는 제 2중공(121)에 연통되며, 나사의 모재(10)가 수용되는 모재수용홈(131)이 형성된다. 또한 제 3몸체(130)에는 모재수용홈(13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제 3몸체(130)의 하단으로 개방되는 모재제거홀(132)이 형성된다.
제 1펀치(140)는 제 1중공(111)에 삽입되며, 제 2펀치(150)는 제 2중공(121)에 삽입된다. 제 1펀치(140)는 상단이 제 1몸체(110)의 상단으로부터 노출된다. 제 1펀치(140)는 프레스기(미도시)에 의해 가압된다. 제 2펀치(150)는 제 1펀치(140)가 프레스기(미도시)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제 1펀치(140)에 의해 가압되어 모재(10)를 가압한다. 제 2펀치(150)의 하단에는 나사머리홈(11)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돌출되는 펀치헤드(15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모재(10)에 육각형의 나사머리홈(11)을 형성할 경우, 제 2펀치(150)의 하단에는 육각기둥 형태의 펀치헤드(151)가 형성되며, 모재에 십자형의 나사머리홈(11)을 형성할 경우, 제 2펀치(150)의 하단에는 십자형기둥의 펀치헤드(151)가 형성된다.
한편, 제 2몸체(120)의 내부에는 제 2펀치(15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160)가 설치된다. 즉, 제 2몸체(120)의 내측벽에는 지지턱(122)이 돌출되며, 제 2펀치(150)의 상단에는 스톱링(170)이 설치된다. 탄성체(160)는 지지턱(122)과 스톱링(17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 2펀치(150)의 외경부에 설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중공(111)의 상단부는 제 펀치()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제 1펀치(140)와 제 2펀치(150)가 서로 편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 1펀치(14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내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턱(122)은 제 2펀치(15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되, 제 2펀치(150)와 모재(10)가 서로 편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 2펀치(15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는 범위에서 그 내경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턱(122)은 탄성체(16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 2펀치(15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중공(121)의 내경은 모재(10)의 상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프레스기(미도시)에 의한 압력이 해제되면 모재(10)를 가압하는 제 2펀치(150)는 탄성체(16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는데, 모재(10)는 제 2펀치(150)와 함께 상승되어 모재수용홈(13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중공(121)의 내경이 모재(10)를 상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 2몸체(120)는 모제(10)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모재(10)가 모재수용홈(13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에 의해 나사머리홈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스기(미도시)에 의해 제 1펀치(140)가 가압되고, 제 1펀치(140)에 의해 가압되는 제 2펀치(150)가 모재수용홈(131)에 수용된 모재(10)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모재(10)의 상단면에 나사머리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중공(111)은 제 1펀치(140)의 승강을 가이드하고, 지지턱(122)은 제 2펀치(150)의 승강을 가이드한다. 따라서 제 1펀치(140)와 제 2펀치(150) 및 모재(10)는 서로 편심이 발생되지 않고 동축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고품질의 나사머리홈(11)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단을 제외한 제 1펀치(140), 제 2펀치(150), 탄성체(160), 스톱링(170) 및 모재(10)는 제 1몸체(110), 제 2몸체(120) 및 제 3몸체(130)의 내부에 수용된다. 다시 말해, 제 1몸체(110), 제 2몸체(120) 및 제 몸체(130)는 제 1중공(111)의 상단과 모재제거홀(132)을 제외한 나머지가 폐쇄되어 모재(10)가 모재수용홈(131)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작업자의 손가락이 제 1펀치(140)와 제 2펀치(150)의 사이, 또는 제 2펀치(150)와 모재(10)의 사이에 위치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폐쇄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제 1몸체(110), 제 2몸체(120) 및 제 몸체(10)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 방지하므로, 제 1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101)의 유지관리의 편의를 제공한다.
한편, 제 1실시예에 따르면, 모재(10)에 나사머리홈(11)이 형성되면, 작업자는 제 2몸체(120)와 제 3몸체(130)를 분리하고, 제 3몸체(130)로부터 모재(10)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모재(10)는 모재제거홀(132)로 삽입되는 별도의 막대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는 상술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와 그 구성이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술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4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2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102)는 지지틀(200)을 더 포함한다.
제 1몸체(110)와 제 2몸체(120)는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제 3몸체(130)는 제 2몸체(120)의 하측으로부터 출납될 수 있도록 제 3몸체(130)의 하측에 배치된다. 즉, 제 3몸체(130)는 지지틀(200)의 바닥면에 지지될 뿐, 제 2몸체(120)에 결합되지는 않는다.
지지틀(200)은 제 2몸체(120)를 지지한다. 즉, 제 2몸체(120)의 외벽에는 지지돌기(125)가 돌출된다. 지지틀(200)은 지지돌기(125)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지돌기(125)를 지지함으로써, 제 2몸체(1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틀(200)의 내측에는 몸체수용홈(210)이 형성된다. 몸체수용홈(210)은 제 2몸체(120)의 하측에 제 3몸체(130)가 수용됨에 따라, 제 3몸체(130)가 제 2몸체(120)의 하부에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지틀(200)의 일측에는 가이드홈(220)이 형성된다. 가이드홈(220)은 몸체수용홈(210)에 연통되어 몸체수용홈(210)에 출납되는 제 3몸체(130)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이에 따라 제 3몸체(130)에는 가이드홈(2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제 3몸체(130)에 결합되는 이송손잡이(135)가 결합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이송손잡이(135)를 잡고 제 3몸체(130)를 가이드홈(220)을 따라 몸체수용홈(210)에 이송함으로써, 제 3몸체(130)는 제 2몸체(120)의 하측에 정렬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 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재(10)에 나사머리홈(11)이 형성되면, 작업자가 이송손잡이(135)를 잡고 몸체수용홈(210)에 수용된 제 3몸체(130)를 가이드홈(220)을 따라 이송함으로써, 제 3몸체(130)는 제 2몸체(120)의 하측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실시예는 작업자가 제 3몸체(130)를 제 2몸체(120)에 정렬하는 작업, 제 3몸체(130)를 제 2몸체(120)의 하측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제 3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제 3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의 제 3몸체 이송동작 및 모재제거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 3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103)는 지지틀(200) 및 제 1, 2리니어액츄에이터(230, 240)를 더 포함한다.
제 3실시예는 상술된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틀(200)은 제 2몸체(120)와 제 3몸체(130)를 지지하며, 지지틀(200)에는 몸체수용홈(210)과 가이드홈(220)이 형성된다. 제 1리니어액츄에이터(230)는 제 3몸체(130)를 가이드홈(220)을 따라 이송한다. 즉, 제 1리니어액츄에이터(230)는 제 3몸체(130)가 몸체수용홈(210)에 수용되도록 제 3몸체(130)를 가이드홈(220)을 따라 이송한다. 반대로, 제 1리니어액츄에이터(230)는 몸체수용홈(210)에 위치하는 제 3몸체(130)를 제 2몸체(120)의 하측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제 3몸체를 가이드홈(220)을 따라 이송한다.
이때, 제 3몸체(130)가 제 2몸체(120)의 하측으로부터 이탈되는 지지틀(200)의 바닥면에는 모재제거홀(132)에 연통되는 연통홀(241)이 형성된다. 제 2리니어액츄에이터(240)는 연통홀(241)과 모재제거홀(132)을 관통하여 모재(10)를 가압하여 제 3몸체(130)로부터 모재(10)가 제거되도록 한다.
상술된 제 1, 2리니어액츄에이터(230, 240)는 유/공압 실린더와 실린더로드의 조합, 회전모터와 엘엠가이드의 조합, 회전모터와 랙앤피니언의 조합 등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제 3실시예에 따르면, 제 3몸체(130)는 제 1리니어액츄에이터(230)에 의해 가이드홈(220)을 따라 이송됨으로써, 제 2몸체(120)의 하측에 정렬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 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재(10)에 나사머리홈(11)이 형성되면, 제 3몸체(130)는 제 1리니어액츄에이터(230)에 의해 제 2몸체(120)의 하측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모재(10)는 제 2리니어액츄에이터(240)에 의해 제 3몸체(13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실시예는 제 3몸체(130)를 제 2몸체(120)에 정렬하는 작업, 제 3몸체(130)를 제 2몸체(120)의 하측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업 및 제 3몸체(130)부터 모재(10)를 제거하는 작업을 자동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제 4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제 4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및 도 을 참조하면, 제 4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104)는 베이스(300), 회전판(310) 및 지지프레임(320)을 더 포함한다.
베이스(300)의 중심부에는 회전축(311)이 설치된다. 회전판(310)은 베이스(300)의 상측에 배치되며, 회전축(311)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축(311)에 결합된다.
지지프레임(320)은 베이스(300)의 테두리부에 결합된다. 지지프레임(320)은 회전판(31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베이스(30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회전판(31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 2몸체(120)는 회전판(3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320)의 단부에 지지된다. 즉, 제 2몸체(120)에는 지지돌기(125)가 형성되며, 지지프레임(320)은 지지돌기(125)를 지지함으로써, 제 2몸체(1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몸체(110)와 제 2몸체(120)는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제 3몸체(130)는 제 2몸체(120)의 하측으로부터 출납될 수 있도록 제 3몸체(130)의 하측에 배치된다. 즉, 제 3몸체(130)는 회전판(310)의 상부면에 지지될 뿐, 제 2몸체(120)에 결합되지는 않는다.
한편, 회전판(310)이 회전가능하게 회전축(311)에 결합됨에 따라, 회전판(310)은 베이스(300)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는데, 프레스기(미도시)에 의한 가압력이 회전판(310)으로 전달되어 회전판(310)이 처지는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회전판(310)의 하측에는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하는 링 형상의 처짐방지부재(312)가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처짐방지부재(312)는 베이스(300)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처짐방지부재(312)는 회전판(310)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 4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회전판(3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 3몸체(130)는 제 2몸체(120)의 하측에 정렬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 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재(10)에 나사머리홈(11)이 형성되면, 작업자가 회전판(3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 3몸체(130)는 제 2몸체(120)의 하측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제 4실시예는 작업자가 제 3몸체(130)를 제 2몸체(120)에 정렬하는 작업, 제 3몸체(130)를 제 2몸체(120)의 하측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제 5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제 3몸체 이송동작 및 모재제거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5실시예에 따른 나사머리홈 형성장치(105)는 베이스(300), 회전판(310), 지지프레임(320), 회전모터(330) 및 리니어액츄에이터(350)를 더 포함한다.
제 5실시예는 상술된 제 4실시예와 같이, 제 2몸체(120)가 지지프레임(320)에 지지되며, 제 3몸체(130)는 회전판(310)에 지지된다. 회전모터(330)는 베이스(300)의 내부에 배치된다. 회전모터(330)는 베벨 기어(340)에 의해 회전축(311)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회전모터(330)는 회전판(310)에 지지되는 130가 제 2몸체(120)의 하측에 정렬될 수 있도록 회전판(310)을 회전시킨다. 이와 반대로, 회전모터(330)는 제 2몸체(1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3몸체(130)가 제 2몸체(120)의 하측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회전판(310)을 회전시킨다.
이때, 제 3몸체(130)를 지지하는 회전판(310)에는 모재제거홀(132)에 연통되는 제 1연통홀(351)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판(310)이 회전되어 제 2몸체(120)로부터 이탈되는 제 3몸체(130)가 위치하는 베이스(300)의 상부벽에는 제 1연통홀(352)에 연통되는 제 2연통홀(352)이 형성된다. 리니어액츄에이터(350)는 베이스(3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리니어액츄에이터(350)는 제 1, 2연통홀(351, 352)과 모재제거홀(132)을 관통하여 모재(10)가 제 3몸체(130)로부터 제거되도록 한다.
제 5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모터(330)에 의해 회전판(310)이 회전됨에 따라, 제 3몸체(130)는 제 2몸체(120)의 하측에 정렬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 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재(10)에 나사머리홈(11)이 형성되면, 회전모터(330)에 의해 회전판(310)이 회전됨에 따라, 제 3몸체(130)는 제 2몸체(120)의 하측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모재(10)는 리니어액츄에이터(350)에 의해 제 3몸체(13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5실시예는 제 3몸체(130)를 제 2몸체(120)에 정렬하는 작업, 제 3몸체(130)를 제 2몸체(120)의 하측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업 및 제 3몸체(130)부터 모재(10)를 제거하는 작업을 자동화 할 수 있도록 한다.
101 :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110 : 제 1몸체
120 : 제 2몸체 130 : 제 3몸체
140 : 제 1펀치 150 : 제 2펀치
160 : 탄성체 170 : 스톱링

Claims (10)

  1. 상하로 개방되는 제 1중공이 형성되는 제 1몸체와,
    상기 제 1중공에 연통되는 제 2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 1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몸체와,
    상기 제 2중공에 연통되어 나사의 모재가 안착되는 모재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2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3몸체와,
    상기 제 1중공에 삽입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 1몸체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프레스기에 의해 가압되는 제 1펀치와,
    상기 제 2중공에 삽입되고 하단에 나사머리홈의 형태에 대응되는 펀치헤드가 형성되어 상기 제 1펀치에 의해 가압되는 제 2펀치와,
    상기 제 2펀치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몸체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턱과,
    상기 제 2펀치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스톱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지턱과 상기 스톱링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펀치의 외경부에 설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몸체에는 상기 모재수용홈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몸체의 하단으로 개방되는 모재제거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몸체를 지지하는 지지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틀에는
    상기 제 3몸체가 상기 제 2몸체의 하측에 정렬되도록 상기 제 3몸체가 수용되는 몸체수용홈과,
    상기 몸체수용홈에 출납되는 상기 제 3몸체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3몸체에 결합되는 이송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몸체에는 상기 모재수용홈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몸체의 하단으로 개방되는 모재제거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틀에는 상기 제 3몸체가 상기 몸체수용홈을 이탈함에 따라 상기 모재제거홀에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제 3몸체를 이송하는 제 1리니어액츄에이터와,
    상기 연통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홀과 상기 모재제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 3몸체로부터 상기 모재를 이탈시키는 제 2리니어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 3몸체를 지지하는 회전판과,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판의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 2몸체가 상기 회전판에 지지되는 상기 제 3몸체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몸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링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회전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처짐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몸체에는 상기 모재수용홈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몸체의 하단으로 개방되는 모재제거홀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모재제거홀에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어 상기 제 3몸체가 상기 몸체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홀과 상기 모재제거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 3몸체로부터 상기 모재를 이탈시키는 리니어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중공의 내경은 상기 모재의 상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 3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 2몸체가 상기 모재의 상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KR1020110059103A 2011-06-17 2011-06-17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KR101276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103A KR101276739B1 (ko) 2011-06-17 2011-06-17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103A KR101276739B1 (ko) 2011-06-17 2011-06-17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344A true KR20120139344A (ko) 2012-12-27
KR101276739B1 KR101276739B1 (ko) 2013-06-19

Family

ID=4790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103A KR101276739B1 (ko) 2011-06-17 2011-06-17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341B1 (ko) * 2023-04-05 2024-02-28 (주)코리아파워 나사 및 볼트류 재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0498B2 (ja) * 1981-10-24 1984-07-27 川崎油工株式会社 リング体の鍛造成形方法
KR100222131B1 (ko) * 1997-07-21 1999-10-01 오영하 볼트 또는 리벳 머리 성형 펀치
KR100455072B1 (ko) * 2002-03-29 2004-11-06 주식회사 코우 타이로드 엔드 냉간 가공방법
JP4108620B2 (ja) 2004-01-30 2008-06-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熱間鍛造装置及び熱間鍛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341B1 (ko) * 2023-04-05 2024-02-28 (주)코리아파워 나사 및 볼트류 재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739B1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0226B2 (en) Work transfer apparatus
EP2756919B1 (en) Machine tool pallet changer, changing method and machine tool
JP2008290173A (ja) 押圧力検出装置付ローラバニシング装置
CN110405103B (zh) 一种刹车盘生产线
TWI617404B (zh) 物品保持具、搬送機器人及物品搬送方法
KR101276739B1 (ko) 나사머리홈 형성장치
US9302305B2 (en) Tool retention devices and related machine tools and methods
WO2014103561A1 (ja) レーザ加工機の面押しツールおよびその面押し方法
KR102026224B1 (ko) 공작기계용 더블 그립형 워크홀더장치
KR20170009060A (ko) 터닝 센터의 소재 교환 장치
KR101608615B1 (ko) 휴대폰 케이스 가공 장치
JP2007167944A (ja) プレス金型の上型
CN112077678A (zh) 一种刀片自动加工设备
KR101873173B1 (ko) 복합 밀링 장치
KR20180103434A (ko) 더블 펀칭기
CN206998660U (zh) 一种适用范围广的加工底座
WO2020030692A3 (de) Ausrichtvorrichtung zum justieren eines werkstücks auf einem maschinentisch einer numerisch gesteuerten werkzeugmaschine
KR102107856B1 (ko) 자동 공구 교환 장치
JPH07265971A (ja)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
CN204220736U (zh) 冲压机
CN105313484A (zh) 一种新型的芯片固定装置
KR101456996B1 (ko) 주축 위치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축 가공기계
CN220409051U (zh) 手动夹紧的上模组件
CN220278781U (zh) 一种汽车厂转台螺丝铆接装配线
CN117300047B (zh) 衔铁、轭铁与弹簧支架铆接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