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047A -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047A
KR20120139047A KR1020110058580A KR20110058580A KR20120139047A KR 20120139047 A KR20120139047 A KR 20120139047A KR 1020110058580 A KR1020110058580 A KR 1020110058580A KR 20110058580 A KR20110058580 A KR 20110058580A KR 20120139047 A KR20120139047 A KR 20120139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point
icon
are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6599B1 (ko
Inventor
임강석
박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110058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59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9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5Guidance using 3D or perspective road 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 및 화면 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이동아이콘을 화면내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고, 이동아이콘에 대한 터치다운입력이 수신되면, 관련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점인 선택가능지점들을 영상 데이터내에 표시하고, 이동아이콘에 대한 드래그입력이 수신되면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이동아이콘을 이동시키며, 이동아이콘이 선택가능지점들 중 하나인 제 2 지점에서 임계 범위내에 위치할 때 이동아이콘에 대한 터치업입력이 수신되면 제 2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f image data}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드뷰 화면에서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정확한 지도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제 도로를 촬영한 로드뷰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로드뷰 화면에서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갖는 하나의 특징은,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 및 화면 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이동아이콘을 화면내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이동아이콘에 대한 터치다운입력이 수신되면, 관련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점인 선택가능지점들을 상기 영상 데이터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동아이콘에 대한 드래그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아이콘이 상기 선택가능지점들 중 하나인 제 2 지점에서 임계 범위내에 위치할 때 상기 이동아이콘에 대한 터치업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 1 지점에서 하나 이상의 각도로 상기 제 1 지점의 주변 지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의 일부이며, 상기 제 2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 2 지점에서 하나 이상의 각도로 상기 제 2 지점의 주변 지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지점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리를 나타내는 지도 및 상기 지도에서 상기 제 1 지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아이콘을 상기 화면내의 제 2 영역에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이동아이콘이 상기 지도내의 제 3 지점에 위치할 때 상기 이동아이콘에 대한 터치 업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3 지점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3 지점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리를 나타내는 지도를 상기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도에 대한 드래그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지도에 대한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지도에 대한 터치업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이동된 위치아이콘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선택가능지점인 제 3 지점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4 지점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리가 포함된 지도를 상기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 1 지점에서 제 1 각도로 주변 지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 2 지점에서 상기 제 1 각도로 주변 지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 데이터이며, 상기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지점에서 제 2 각도로 주변 지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드래그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지점에서 상기 제 2 각도로 주변 지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투명하게 또는 불투명하게 오버레이된 상기 이동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갖는 하나의 특징은, 영상 데이터, 지도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제 1 지점과 관련된 촬영된 영상 데이터 및 이동이 가능한 이동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내의 제 1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상기 이동아이콘에 대한 터치 다운 입력이 수신되면, 관련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점인 선택가능지점들이 상기 영상 데이터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상기 이동아이콘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이동아이콘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이동아이콘이 상기 선택가능지점들 중 하나인 제 2 지점에서 임계 범위내에 위치할 때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상기 이동아이콘에 대한 터치 업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로드뷰에서 특정 아이콘을 터치하면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점을 표시함으로써, 화면이 작아서 원하는 지점을 정확하게 선택하기 어려운 스마트폰에서도 원하는 지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지도내의 임의의 지점을 드래그하면 드래그에 대응하여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이동시킴으로써, 아이콘을 직접 드래그할 경우 손가락에 지도가 가려져서 원하는 지점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3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4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5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원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간단하게 정의한다.
터치다운입력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화면내의 지점을 선택하는 동작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가 마우스인 경우 마우스의 왼쪽(또는 오른쪽)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터치다운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가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인 경우 터치 도구(예를 들면, 손가락이나 터치펜)를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동작이 터치다운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터치업입력은 터치다운입력의 반대 동작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가 마우스인 경우 마우스의 왼쪽(또는 오른쪽)버튼을 원상태로 복귀하는 동작(즉, 손가락을 버튼에서 떼는 동작)이 터치업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가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인 경우 터치 도구(예를 들면, 손가락이나 터치펜)를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에서 제거하는 동작이 터치업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드래그입력은 터치다운입력을 유지한 상태로 선택된 지점을 이동시키는 입력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가 마우스인 경우 마우스의 왼쪽(또는 오른쪽)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를 이동시키는 동작이 드래그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가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인 경우 터치 도구를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로 터치 도구를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이동시키는 동작이 드래그입력에 해당할 수 있다.
탭입력은 터치다운입력과 터치업입력이 임계 시간이내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터치다운입력이 발생한 지점과 터치업입력이 발생한 지점간의 거리가 임계거리 이내일 경우 터치다운입력과 터치업입력을 합하여 탭입력으로 간주한다.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는 복수 개의 각도(예를 들면, 360도)에 대한 전경을 제공하는 영상 데이터를 의미한다.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는 상이한 각도로 촬영한 복수 개의 영상 데이터를 연결하여 획득할 수 있다.
지도는 주변 지리를 나타내기 위한 영상으로써 항공 사진과 같은 실제 사진이나 주변 지리를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인터페이스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영상이나, 지도, 아이콘등이 디스플레이 된다.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다운입력, 드래그입력 및 터치업입력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인터페이스부(12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센스등과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기구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센스는 전하의 흐름을 감지하여 터치 도구가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정전 용량 방식이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도구가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감압식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터치센스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에 장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1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부(120)로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 될 데이터의 종류 및 위치를 결정한다. 제어부(130)는 특정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변경하는데 사용될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10)의 제 1 영역에 배치한다. 또한,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리를 나타내는 지도를 디스플레이부(110)의 제 2 영역에 배치한다. 이 때, 제 1 영역에 배치되는 아이콘은 영상 데이터에 투명하게 또는 불투명하게 오버레이 되고, 제 2 영역에 배치되는 아이콘은 지도에 투명하게 또는 불투명하게 오버레이 될 수 있다.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일부 또는 전부가 상호간에 오버레이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0) 전체이고, 제 2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단의 일부 영역인 경우와 같이 제 2 영역이 제 1 영역에 오버레이 될 수도 있고, 제 1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단의 일부 영역이고 제 2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단의 일부 영역인 경우와 같이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이 오버레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특정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는 특정 지점에서 주변을 촬영한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특히, 특정 지점에서 복수 개의 각도(예를 들면 360도)를 촬영하여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 또는 지도를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내부의 저장 공간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제어부(13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부(130)의 동작은 일 예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터페이스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로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로 구현되고, 디스플레이부(110)의 제 1 영역에는 제 1 지점에서 제 1 각도로 주변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며, 이동아이콘은 영상 데이터에 오버레이 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제 2 영역에는 제 1 지점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리에 대한 지도가 디스플레이 된다. 제 1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0)전체이며, 제 2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일부에 오버레이 된다.
I. 제 1 실시예(이동 아이콘을 영상 데이터내에서 드래그)
먼저, 사용자가 이동아이콘을 터치한다. 사용자가 이동아이콘을 터치하면 제어부(130)는 영상 데이터내에서 관련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점(예를 들면, 해당 지점에서 주변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점 또는 해당 지점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점)을 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관련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점을 선택가능지점으로 명명한다.
로드뷰나 스트리트뷰를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차량 등에 카메라를 부착하고 차량이 주행 경로를 따라 진행하면서 주변 지역을 촬영하거나, 일부 지역에 고정 카메라를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주변 지역을 촬영하여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다. 모든 지점에서 주변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선택된 일부 지점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만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이동아이콘을 드래그한다. 사용자가 이동아이콘을 드래그하면, 제어부(130)는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이동아이콘을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이동아이콘을 선택가능지점들 중 하나로 근접시켜 선택가능지점과 이동아이콘과의 거리가 임계 거리 이내가 되면 제어부(130)는 이동아이콘을 근접한 선택가능지점으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아이콘이 원하는 선택가능지점까지 위치할 때까지 드래그입력을 지속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이동아이콘이 원하는 선택가능지점에 위치하면 터치를 종료한다. 사용자가 이동아이콘이 제 2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터치를 종료하였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30)는 제 2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예를 들면, 해당 지점에서 주변 지역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 2 지점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역에 대한 지도를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II. 제 2 실시예(이동아이콘을 지도상으로 드래그)
먼저, 사용자가 이동아이콘을 터치한다. 사용자가 이동아이콘을 터치하면 제어부(130)는 선택가능지점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이동아이콘을 드래그한다. 사용자가 이동아이콘을 드래그하면, 제어부(130)는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이동아이콘을 이동시킨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이동아이콘이 지도위에 위치할 때까지 드래그를 지속한 후, 이동아이콘이 원하는 지점에 위치할 때 터치를 종료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터치를 종료한 지점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선택가능지점을 검색한다. 제어부(130)는 검색된 선택가능지점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검색된 선택가능지점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리를 나타내는 지도를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한다.
III. 제 3 실시예(이동아이콘이 없는 영상 데이터를 드래그)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즉, 이동아이콘이 없는 지점)를 터치하여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드래그의 방향과 길이에 따라 제 1 지점에서 다른 각도를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영역을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면 제 1 지점에서 우측(또는 좌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주변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고, 왼쪽으로 드래그하면 제 1 지점에서 좌측(또는 우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주변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고, 위쪽으로 드래그하면 제 1 지점에서 상측(또는 하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며, 아래쪽으로 드래그하면 제 1 지점에서 하측(또는 상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된다.
제어부(130)는 위치아이콘을 이용하여 지도 상에서 영상 데이터가 촬영된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30)는 위치아이콘의 정면과 후면을 구분하고 위치아이콘의 정면을 영상데이터를 촬영한 방향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영상데이터가 지도상에서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각도를 통하여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를 드래그하면 제어부(130)는 드래그에 대응하여 위치아이콘을 회전시킴으로써 영상 데이터를 촬영한 방향에 위치아이콘의 정면을 배치하거나, 위치아이콘은 고정한 상태에서 지도를 회전시킬 수 있다.
IV. 제 4 실시예(지도를 드래그)
사용자가 지도내의 임의의 위치를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제어부(130)는 위치아이콘과 터치된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생성한다. 위치아이콘과 터치된 지점을 연결하는 선은 사용자가 위치아이콘을 조작할 수 있음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써,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사용자가 지도를 드래그하면, 제어부(130)는 드래그의 길이 및 방향에 대응하여 위치아이콘을 이동시킨다. 일 예로, 사용자가 오른쪽 방향으로 1cm만큼 드래그하였다면, 제어부(130)는 위치아이콘을 1cm만큼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지도에서 손가락을 떼면, 제어부(130)는 위치아이콘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선택가능지점을 검색하고, 검색된 선택가능지점으로 위치아이콘을 이동시킨다.
제어부(130)는 검색된 선택가능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 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검색된 선택가능지점을 중심으로서 한 주변 지리를 나타내는 지도를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한다.
V. 제 5 실시예(지도를 탭)
사용자가 한손가락으로 지도내의 임의의 위치를 더블탭하면 제어부(130)는 지도를 확대(또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두 손가락으로 지도내의 임의의 위치를 탭하면 제어부(130)는 지도를 축소(또는, 확대)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멀티 터치를 이용하여 손가락간의 간격을 줄이거나 늘림으로써 지도를 축소 또는 확대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한손가락으로 지도내의 임의의 위치를 탭하면 제어부(130)는 제 2 영역을 확장하고, 사용자가 지도 내의 임의의 위치를 한번 더 탭하면 제어부(130)는 제 2 영역을 축소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공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a는 제 1 지점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211), 이동아이콘(212), 미니지도(213) 및 위치아이콘(214)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다.
도 2a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동아이콘(212)에 터치하면 도 2b와 같이 영상 데이터(211)내에 선택가능지점들이 표시된다. 상술한바와 같이 선택가능지점들은 관련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점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이동아이콘(212)을 드래그하면, 도 2b와 같이 이동아이콘(212)이 이동한다. 이동아이콘(212)이 선택가능지점들 중 하나인 제 2 지점(215)에 위치할 때 사용자가 화면에서 손가락을 떼면 도 2c와 같이 제 2 지점(215)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216)가 디스플레이 된다. 동시에, 제 1 지점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리를 나타내는 지도(213)는 제 2 지점(215)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리를 나타내는 지도(217)로 변경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공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2a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동아이콘(212)에 터치하면, 선택가능지점들이 표시된다.
도 3과 같이, 사용자는 이동아이콘(212)이 지도(213)에 위치할 때까지 이동아이콘(212)를 드래그한다. 사용자가 화면에서 손가락을 떼면 사용자가 손가락을 뗀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선택가능지점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3에서, 사용자는 도 2b의 제 2 지점(215)에 해당하는 지도상의 위치로 이동아이콘(212)를 드래그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면 도 2c와 같이 제 1 영역에는 제 2 지점(215)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216)가 디스플레이 되고, 제 2 영역에는 제 2 지점(215)를 중심으로 주변을 촬영한 지도(217)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공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3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a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지도(213)내의 임의의 지점(410)에 터치하면, 도 4와 같이 터치된 지점(410)과 위치아이콘(214)을 연결하는 선이 표시된다. 터치된 지점(410)과 위치아이콘(214)을 연결하는 선은 위치아이콘(214)을 이동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지도(213)를 드래그하면, 사용자가 지도(213)를 드래그하는 방향 및 길이와 동일하게 위치아이콘(214)이 이동된다. 사용자가 화면에서 손가락을 떼면, 위치아이콘(214)이 배치된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선택가능지점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4에서, 사용자가 터치를 종료한 시점에서 위치아이콘(214)은 도 2b의 제 2 지점(215)에 해당하는 지도상의 위치로 이동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면 도 2c와 같이 제 1 영역에는 제 2 지점(215)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216)가 디스플레이 되고, 제 2 영역에는 제 2 지점(215)를 중심으로 주변을 촬영한 지도(217)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공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4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a에서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211)내의 임의의 영역을 터치한 후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제 1 지점에서 왼쪽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주변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지도(213)가 오른쪽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영상 데이터(515)가 촬영된 각도를 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제공 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5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2a에서, 사용자가 지도(213)내의 임의의 지점을 두 손가락으로 탭 하면, 도 6a에서와 같이 축소된 지도가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축소된 지도내의 임의의 지점을 한 손가락으로 더블 탭 하면, 도 2a에서와 같이 확대된 지도가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지도(213)내의 임의의 지점을 두 손가락으로 탭 하면 확대된 지도가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가 지도(213)내의 임의의 지점을 한 손가락으로 더블 탭 하면 축소된 지도가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2a에서, 사용자가 지도(213)를 한 손가락으로 탭하면 도 6b에서와 같이 제 2 영역이 축소되고, 도 6b에서 사용자가 지도를 다시 한 손가락으로 탭하면 도 2a에서와 같이 제 2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단계 s710에서는,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 및 화면 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이동아이콘을 화면내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720에서는, 이동아이콘에 대한 터치다운입력이 수신되면 관련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점인 선택가능지점들을 영상 데이터내에 표시한다.
단계 s730에서는, 이동아이콘에 대한 드래그입력이 수신되면,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이동아이콘을 이동시킨다.
단계 s740에서는, 이동아이콘이 선택가능지점들 중 하나인 제 2 지점에서 임계 범위 내에 위치할 때 이동아이콘에 대한 터치업입력이 수신되면, 제 2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Claims (10)

  1.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 및 화면 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이동아이콘을 상기 화면내의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이동아이콘에 대한 터치다운입력이 수신되면, 관련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점인 선택가능지점들을 상기 영상 데이터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이동아이콘에 대한 드래그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아이콘이 상기 선택가능지점들 중 하나인 제 2 지점에서 임계 범위내에 위치할 때 상기 이동아이콘에 대한 터치업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 1 지점에서 하나 이상의 각도로 상기 제 1 지점의 주변 지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의 일부이며,
    상기 제 2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 2 지점에서 하나 이상의 각도로 상기 제 2 지점의 주변 지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지점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리를 나타내는 지도 및 상기 지도에서 상기 제 1 지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아이콘을 상기 화면내의 제 2 영역에 더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아이콘이 상기 지도내의 제 3 지점에 위치할 때 상기 이동아이콘에 대한 터치업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3 지점에 관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3 지점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리를 나타내는 지도를 상기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에 대한 드래그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지도에 대한 드래그 입력의 방향 및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아이콘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지도에 대한 터치업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이동된 위치아이콘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선택가능지점인 제 3 지점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3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3 지점을 중심으로 한 주변 지리가 포함된 지도를 상기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 1 지점에서 제 1 각도로 주변 지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 2 지점에서 상기 제 1 각도로 주변 지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 데이터이며,
    상기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지점에서 제 2 각도로 주변 지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2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드래그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지점에서 상기 제 2 각도로 주변 지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이동아이콘을 투명하게 또는 불투명하게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8. 영상 데이터, 지도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이동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내의 제 1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상기 이동아이콘에 대한 터치 다운 입력이 수신되면 관련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점인 선택가능지점들이 상기 영상 데이터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상기 이동아이콘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드래그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기 이동아이콘이 이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이동아이콘이 상기 선택가능지점들 중 하나인 제 2 지점에서 임계 범위내에 위치할 때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상기 이동아이콘에 대한 터치 업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가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 1 지점에서 하나 이상의 각도로 상기 제 1 지점의 주변 지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의 일부이며,
    상기 제 2 지점과 관련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 2 지점에서 하나 이상의 각도로 상기 제 2 지점의 주변 지역을 촬영하여 획득한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10058580A 2011-06-16 2011-06-16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96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580A KR101296599B1 (ko) 2011-06-16 2011-06-16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580A KR101296599B1 (ko) 2011-06-16 2011-06-16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047A true KR20120139047A (ko) 2012-12-27
KR101296599B1 KR101296599B1 (ko) 2013-08-14

Family

ID=47905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580A KR101296599B1 (ko) 2011-06-16 2011-06-16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5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7054A3 (en) * 2013-03-15 2015-02-19 Pictometry International Corp. System and method for early access to captured images
KR20150073692A (ko) * 2013-12-23 201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31217A (ko) * 2014-09-12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CN111652802A (zh) * 2020-05-19 2020-09-11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全景图制作方法、基于全景图的交互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3408B2 (en) 2008-11-19 2013-07-23 Apple Inc. Techniques for manipulating panorama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7054A3 (en) * 2013-03-15 2015-02-19 Pictometry International Corp. System and method for early access to captured images
US10311089B2 (en) 2013-03-15 2019-06-04 Pictometry International Corp. System and method for early access to captured images
KR20150073692A (ko) * 2013-12-23 201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031217A (ko) * 2014-09-12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CN111652802A (zh) * 2020-05-19 2020-09-11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全景图制作方法、基于全景图的交互方法及装置
CN111652802B (zh) * 2020-05-19 2024-03-05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全景图制作方法、基于全景图的交互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599B1 (ko)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3368B1 (en) Foldable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45485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method of changing into augmented reality service screen
US7865301B2 (en) Secondary map in digital mapping system
KR1008359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102161510B1 (ko)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386199B2 (en) Navigation guidance apparatus and method using wide-angle lens camera image
EP4138368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46675A (ko) 경로 중단이 감소된 내비게이션 검색 결과의 제공 기법
KR20130088935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40104709A (ko) 휴대 단말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합성하는 방법,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EP2747057A1 (en) Text-enlargement display method
KR20140108995A (ko) 페이지의 일부 영역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230129821A1 (en) Navigation Application with Novel Declutter Mode
KR20140136732A (ko) 파노라마 사진의 썸네일 이미지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08180786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7005924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296599B1 (ko)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159774A1 (ja)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
WO2014102455A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trieving views extending a user´s line of sight
KR101307349B1 (ko) 모바일 단말기의 지도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6254803B2 (ja) 地図画像表示装置
JP200334405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地図表示装置、プログラム
US8731824B1 (en) Navigation control for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US20160253088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5413593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