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722A - 기표 광판독분석집계 및 알에프아이디 투표검증시스템의 투표기 - Google Patents

기표 광판독분석집계 및 알에프아이디 투표검증시스템의 투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722A
KR20120138722A KR1020120127789A KR20120127789A KR20120138722A KR 20120138722 A KR20120138722 A KR 20120138722A KR 1020120127789 A KR1020120127789 A KR 1020120127789A KR 20120127789 A KR20120127789 A KR 20120127789A KR 20120138722 A KR20120138722 A KR 20120138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ting
ballot
rfid
information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중
Original Assignee
김경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중 filed Critical 김경중
Priority to KR1020120127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8722A/ko
Publication of KR20120138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5Fus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a wireless interrogation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device for optically marking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xic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투표소 내 보안집계서버에 연동되는 투표기이며, 유권자가 기표된 RFID TAG 투표용지(개인별 또는 동시선거시 한장의 투표용지에 개인별 또는 직능별로 후보자를선택 기표할 수 있는 RFID TAG 투표용지)를 투입시, 투표용지별 바코드정보와 기표정보를 투표기가 광학스켄 검출하여, 투표용지별 투표정보를 분류 및 취합통계하여 기록하는 실시간 보안집계서버로 전송하며, RFID 라이터가 가동되어 동일한 투표용지에 구비된 RFID TAG에, 투표용지별 바코드번호와 기표정보를 기록되며 실시간으로 가동되는 투표기로,
투표에서 가장 중요한 투명성과 진정성을 보장하며 실시간 투표집계와 투표마감 후 매우 빠른 검증을 할 수 있는 "기표 광판독분석집계 및 RFID 투표검증시스템(유권자가 직접기표한 RFID 투표용지와 투표기와 보안집계서버와 RFID 투표검증시스템)"에 이용된다.

Description

기표 광판독분석집계 및 알에프아이디 투표검증시스템의 투표기 { RF Vote system }
투표시스템기술, 광학(OMR,OCR,바코드)판독기술, RFID기술, RFID TAG제작기술, 투표용지제작기술, 투표검증시스템기술
투표에 있어서 온라인을 통한 편리한 방법이 있음에도, 투명성과 진정성이 보장되지 않음으로, 중요한 선거에서는 전통적으로 선거자(투표자)가 소중한 한표를 행사하기 위해, 오프라인의 정해진 투표소를 방문하여 투표용지에 기표한 후 투표하고 있으며, 투표 종료 후 투표 구역마다 투표집계기를 사용하여 투표결과를 집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유권자가 직접기표한 RFID 투표용지를 투표기{광판독(OMR,OCR), RFID TAG에 투표정보기록}, 보안집계서버, RFID 투표검증시스템을 통하여 실시함으로, 투표에서 가장 중요한 투명성과 진정성을 보장하며 실시간 투표집계와 투표마감 후 매우 빠른 검증을 할 수 있는, 기표 광판독분석집계 및 RFID 투표검증시스템의 투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투표방식은 기표후 투표되어, 투표용지가 보관된 투표함을 집계소로 이동하여, 투표함 내의 투표용지를 꺼내어 투표 집계장치에 재 투입하며, 상기 투표집계장치가 투표용지의 기표를 검색하여 집계함으로, 투표결과(당락)를 확인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투표용지의 부정사용을 막는 방법은 오직 감시인에 의존하였으며, 동시선거시 투표 용지를 직능별로 인쇄하고 직능별로 투표해야 하는 큰 불편함이 있었다.
투표소 내 보안집계서버에 연동되는 투표기이며, 유권자가 기표된 RFID TAG 투표용지(개인별 또는 동시선거시 한장의 투표용지에 개인별 또는 직능별로 후보자를선택 기표할 수 있는 RFID TAG 투표용지)를 투입시, 투표용지별 바코드정보와 기표정보를 투표기가 광학스켄 검출하여, 투표용지별 투표정보를 분류 및 취합통계하여 기록하는 실시간 보안집계서버로 전송하며, RFID 라이터가 가동되어 동일한 투표용지에 구비된 RFID TAG에 투표용지별 바코드번호와 기표정보를 기록하며 실시간으로 가동되는 투표기를 제공한다.
국가, 단체, 기업, 교육기관 등에서 선거 및 의사 결정을 위해 선거자(투표자)가 지정된 투표구역에서 직접투표를 할 경우 투표 및 선출결과가 투표종료와 함께 집계완료 전송되는 투표시스템의 투표기로, 특히 공적인 인물을 선출하는 투표에 있어서, 많은 출마자와 투표자(선거자)에게 신속한 투표결과정보를 제공하므로, 온 국민이나 선거관련인이 투표결과를 초조하게 기다리며 애태우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종래에 선거에 동원되는 인원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투표기는 경량화 제작이 가능하고, 그 편리성과 보안성에 의해 소단위의 선거에도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 RFID-TAG를 구비한 기본형 투표용지
도 2: RFID-TAG를 구비한 동시선거용 투표용지
도 3: 투표기(투표정보검출기/투표정보기록기), 투표완료용지적재함, 설치데스크
도 4: 투표기(투표정보검출기/투표정보기록기)의 사시도
도 5: 투표기(투표정보검출기/투표정보기록기)의 시스템 블럭도
도 6: 실시간 투표집계시스템의 시스템 블럭도
도 7: 실시간 투표집계시스템 및 투표 흐름도
도 8: 투표정보의 검출/분류저장/집계전송/검증 처리도
도 9: 투표용지 계수 및 투표정보 검증/집계 시스템의 기본형
도 10:투표용지 계수 및 투표정보 검증/집계 시스템의 제2의 유형
도 11: 투표용지 계수 및 투표정보 검증/집계 시스템의 제3의 유형
개인별 또는 동시선거시 한장의 투표용지에 개인별 또는 직능별로 후보자를선택 기표할 수 있는 RFID TAG 투표용지를 제공하며, 투표소 내 보안집계서버에 연동되는 투표기에, 유권자가 기표된 RFID TAG 투표용지를 투입시, 투표용지별 바코드정보와 기표정보를 투표기가 광학스켄 검출하여, 투표용지별 투표정보를 분류 및 취합통계하여 기록하는 실시간 보안집계서버로 전송하며, 실시간으로 가동되는 투표기 내의 RFID 라이터가 가동되어 동일한 투표용지에 구비된 RFID TAG에, 투표용지별 바코드번호와 기표정보를 기록한다.
투표 종료시 보안집계서버의 온라인 또는 무선통신로를 개방하여, 집게된 투표정보를 구역집계소로 전송하며, 광역집계소를 거쳐 중앙집계소로 선거집계 결과가 순차 전송되어, 선거 당락을 투표종료시점과 가깝게 확인시키며, 사후에 RFID 투표검증시스템에 RFID TAG 투표용지를 투입하여, 신속히 투표집계결과를 정확히 입증한다. 보안의 필요에 따라 투표 종료시 보안집계서버의 온라인 또는 무선통신로를 개방치 않고, 투표결과가 집계저장된 메모리카드를 투표용지보관함과 함께, 선거보안요원이 직접 투표집계소로 운송할 수도 있다.
가. 투표 및 투표집계와 당선확정 및 검증방법
A: 투표단계
a. [도 7]과 같이, 유권자는 신분대조석에서 [도 1,2]와 같은 RFID 투표용지(100)를 수령하여,
b. 선거관리인이나 참관인의 날인(21)을 받아,
c. 기표소 내 설치된 기표도장(22)으로 투표용지에 제시된 개인별 또는 각 직능별 투표번호(14)중 기표자리(15) 한곳에 기표(23)하여,
d. 기표(23)된 RFID 투표용지(100)를, [도 3,4,5]의 투표기(200)에 투입함으로 투표가 완료됨.
B: 투표기(200)의 투표정보 검출 및 작동단계
투표기(200)에 유권자가 RFID 투표용지(100)를 직접 투입하거나, 노령의 유권자나 장애인을 대리하여 투표 도우미선거요원이 투표기(200)에 RFID 투표용지(100)를 투입할 시,
[도 1,2]와 같이 투표용지에 인쇄된 바코드(12), 바코드일련번호(13), RFID-TAG(17)에 사전에 기록하여 제공한 선거암호정보를, [도 3,4,5]와 같이 투표기(200)의 RFID 모듈(230,231)과 광판독 스케너(251, 252)가 투표 정보를 검출하여, 자체보관된 비교분석프로그램(250,235)과 대조하여, 부정당한 투표용지시엔 경보스피커(291)를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투표기 모니터(240)에 비정상 투표용지임을 표기하며,
정상투표용지 일시는, 투표기(200)의 광판독 스케너(251, 252)가 스켄한 바코드일련번호(13)와 기표(23) 정보를 자체 보관된 비교분석프로그램(250)으로 비교분석하여 추출된 투표용지별 바코드일련번호(13)와 기표(23)정보를, 투표소 내 설치된 실시간 보안집계서버(510)와 RFID 기록모듈(230, 232~234)에 동시에 전송하여, 동일한 투표용지(100)의 RFID TAG(17)에 검출된 바코드일련번호(13)와 기표(23)정보를 추가적으로 기록하며, 투표기 모니터(240)에 정상,오류,합계 등의 투표현황을 표기한다.
C: 투표집계정보 전송 단계
투표마감시, [도 6,7,8]와 같이 허가된 선관위 요원이 보안집계서버(510)의 온라인 전송로(580)와 무선통신 전송로(590)를 선택 개방하여, 지역구집계서버(600), 광역집계서버(700), 중앙집계서버(800)로 투표집계정보를 순차 전송됨으로 순차적으로 지역구집계서버(600)와 광역집계서버(700)와 중앙집계서버(800)가 투표정보를 분류 및 취합통계하고 기록하여 선거당락을 방송함.
*.보안의 필요에 따라 투표 종료시 실시간 보안집계서버의 온라인 또는 무선통신로를 개방치 않고, 투표결과가 집계저장된 메모리카드를 투표용지보관함과 함께, 선거보안요원이 직접 지역구 투표집계소로 운송할 수도 있다.
D: 투표정보 검증 단계
선거당락 방송 후, 지역구 별로 설치된, [도 9,10,11]와 같은 투표검증시스템(900~992)을 이용하여 최종 투표검증과 검증자료를 분류 및 취합통계하여 지역구 집계서버(600)에 전송하거나, 사전에 저장된 지역구 집계서버의 투표집계정보와 새로이 작성한 투표검증집계정보와 비교함으로 투표정보 검증을 완료한다.
나. RFID 투표용지(100)의 구성과 제작방법
A: 상기 RFID TAG 투표용지(100)는 [도 1,2]와 같이, 적정 두께의 종이 또는 수지 등으로 제작되는 투표용지(11) 위에 바코드(12), 바코드일련번호(13), 선거관리인 참관인 날인란(21), 개인별 또는 직능별로 부여된 출마인정보 및 출마고유번호(14), 기표자리(15), 투표정보 및 주의사항(16)이 인쇄되며, 투표용지별 투표정보기록과 투표검증을 위하여 투표용지(11) 일측에 구비되는 RF-TAG부(18)는 RFID TAG(17), RF-TAG인쇄부(19), 홀로그램 또는 요철도무송(20)로 구성하여 제공한다.
*1. 필요에 따라 RF-TAG부(18), RFID TAG(17)는 투표정보기록과 투표정보검출향상을 위해, [도 1,2]의 그림 비례보다 현저히 커질 수 있으며, 홀로그램 또는 요철도무송(20)은 생략할 수도 있다.
*2. 필요에 따라 투표용지 내에서 광판독 위치를 정확히 결정짓기 위하여 [도 1,2]에 미표기된 광판독용 표시를 추가로 인쇄할 수도 있다.
B: 투표용지에 RF-TAG부(18)와 RFID TAG(17)의 구비방법
a. RF안테나, RF칩, 스티커가 일체화된 RFID TAG 스티커라벨을 투표용지(11)에 부착하거나,
b. RF안테나와 RF칩이 일체화된 RFID TAG(17)를 투표용지 사이에 투입(용지사이에 RFID TAG 삽입후 합지)하거나,
c. RF안테나와 RF칩이 일체화된 RFID TAG(17)만을 투표용지(11)의 전면이나 배면에 직접부착하거나,
d. 투표용지(11)의 전면이나 배면에 RF안테나를 별도 인쇄한후 RF칩을 부착하거나,
e. 투표용지와 RFID TAG(17)를, RFID 프린팅 방식(반도체, 유전체, 도체 성질을 띤 유기물 혹은 유무기 복합 물질들을 이용하여 전자회로, 안테나, 메모리의 인쇄)으로, 투표용지인쇄사항과 함께 일체 출력하거나,
f. RFID TAG(17)를 특수 전도성잉크, 반도체잉크, 절연잉크를 사용하여 직접 투표용지(11)에 인쇄(RF안테나, 칩 100%인쇄)하거나,
g.특수 전도성잉크/반도체잉크/절연잉크를 사용하여 직접 인쇄(RF안테나, 칩 100%인쇄)한 RFID TAG(17)를 투표용지(11)에 부착하거나,
h. 투표용지전체와 RFID TAG(17)를 특수 폴리머와 특수잉크를 사용하여 일체로 제작한다.
다. RFID 투표용지(100)를 투입하는 투표기(200)의 구성과 작동
A. [도 3,4,5]와 같이, 투표기 하부본체(210)와 투표기 상부본체에는 RFID 리더 및 라이터 모듈(230), RFID 센서(231), RFID 기록기(232~234), RFID 비교감식프로그램(235), 작동상황 및 계수 모니터(240), 중앙처리장치(241), 데이터저장부(242~244), 광신호 비교감식프로그램(250), 하부 광판독스케너(251), 상부 광판독스케너(252), 서버구동모터 및 구동축 및 구동벨트(260), 구동롤러(261~263), 회전롤러(264~266), 투표용지 1차 감지센서(271), 투표용지 2차 감지센서(272), 투표용지 3차 감지센서(273), CCTV 카메라모듈(280), 경보스피커(291), 작동상황 표시램프(292,293), 전원비상밧데리(299)가 장착 구비되어, 회로기판, 회로선, 전류선 등에 의해 상호작용하여,
B. 투표기(200)에 RFID 투표용지(100)가 투입될 시, 투표용지 1차 감지센서(271)가 투표용지를 감지하여 서버구동모터 및 구동축 및 구동벨트(260), 구동롤러(261~263), 회전롤러(264~265)를 가동시켜, RFID 투표용지(100)를 투표기 하부본체(210)와 투표기 상부본체(220) 사이로 흐르게 하며, 이때 RFID 모듈(230), RFID 1차센서(231), 광판독 상하부스케너(251, 252)가 작동하여, RFID TAG(17)에 사전에 기록된 선거암호정보와 투표용지에 인쇄된 바코드(12), 바코드일련번호(13) 정보를 검출하여, 자체보관된 비교분석프로그램(250,235)과 대조하여,
a. 부정당한 투표용지시엔 경보스피커(291)를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투표기 모니터(240)에 비정상 투표용지임을 표기하며,
b. 정상투표용지 일시는 투표용지 2차 감지센서(272), 투표용지 3차 감지센서(273), 광판독 상하부스케너(251, 252)와 광비교분석프로그램(250)이 연동되어, 투표용지별 바코드일련번호(13)와 기표(23)정보를 검출하여 투표소 내 설치된 실시간 보안집계서버(510)와 RFID 모듈(230)에 동시에 전송하여, 동일한 투표용지(100)의 RFID TAG(17)에, 검출된 바코드일련번호(13)와 기표(23) 정보를 RFID 기록기(232~234)로 추가적으로 기록하며, 투표기 모니터(240)에 정상,오류,합계 등의 투표현황을 표기한다.
추가적인 부정투표 방지를 위해 투표기 상부본체(220)에 CCTV카메라모듈 (280)을 구비하여 투표 종료 시점까지 상시 녹화시킨다.
라: 실시간 보안집계시스템(500)의 구성과 작동
[도 6,7]과 같이, 기표소 내 설치된 실시간 보안집계시스템(500)은 투표기(200)와 상시 연계되어, 투표기(200)가 투표용지(100)별로 보내오는 투표정보를, 실시간으로 분류 및 취합통계하여 기록하며, 내부로는 중앙처리장치(541)와 데이터저장부(542~544)를, 외부로는 보안모니터(551), 키보드(552), 마우스(553), 메모리카드(554), 전원비상밧데리(570)에 구비한다. 데이터저장부(542~544)는 가동펌웨어, 실시간 투표집계 및 전송프로그램(560), 보안프로그램 등을 탑재하며, 회로기판, 회로선, 전류선, 통신선 등으로 연계된다.
실시간 보안집계서버(500)는 투표종료후 온라인(580)과 무선통신(590)로를 선택 개방하여 지역구집계서버(600), 광역집계서버(700), 중앙집계서버(800)에 투표집계정보를 순차적 전송되며,
*.보안의 필요에 따라 투표 종료시, 실시간 보안집계서버(510)의 온라인 또는 무선통신로를 개방치 않고, 투표결과가 집계저장된 메모리카드(554)를 투표완료용지보관함(400)과 함께, 선거보안요원이 직접 지역구 투표집계소로 운송할 수도 있다.
마: [도 8]과 같이, 본 투표시스템은 전자적으로 선 집계하여 당락발표후, 사후에 신속히 투표집계결과를 정확히 검증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바: 투표집계결과를 검증하는 투표용지계수 및 투표정보검증집계시스템(900~992)의 구성과 작동
선거당락 방송후, 투표정보검증 및 집계구역에서 [도 9,10,11]와 같이 투표용지(100)의 투표정보를 최종 검증하기 위하여, 투표용지계수 및 투표정보검증집계시스템(900~992)을 사용하며,
A:[도 9]는 투표용지계수 및 투표정보검증집계시스템의 기본형으로,
검증계수기(900), 검증집계서버(990), 모니터,키보드,마우스(992)로 구성되며, 검증계수기(900)는 상황 디스플레이 화면(930), 기표 또는 인쇄정보나 RFID 투표정보를 택일검출 하거나 동시검출을 위한, 검출모드전환보톤(931), 시작멈춤용 보튼(932), 투표용지일련번호 표기부(933), 개인별 또는 직능별선택투표정보(934), 집계된 총수량 표시부(935), 집계단위표시부(936), 오류투표용지의 출현시 LED발광 및 경고음 발생부(937), 기표, 선택번호, 바코드를 검출하기위한 광판독 리더(910)와 RFID 투표정보 리더기(920), 기계적 구동부(950), 중앙처리장치(941), 데이터저장부(942~944)로 구성된다. 데이터저장부엔 자체가동 펌웨어와 광판독 비교감식프로그램(911)과 RFID 비교감식프로그램(924)이 탑재되며, 검출된 투표검증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검증집계서버(990) 에 전송된다.
지역구 별로 설치되는 투표용지계수 및 투표정보검증집계시스템(900~992)은, 투표재집계 프로그램(991)을 이용하여 최종 투표검증과 검증자료를 분류 및 취합통계하여 지역구 집계서버(600)에 전송하거나, 사전에 집계된 지역구 집계서버의 투표집계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B: [도 10]은 투표용지계수 및 투표정보검증집계시스템의 제2의 유형으로,
RFID 동시검출리더(970)로 투표함(400)에 적재되 있는 RFID 투표용지(100)의 RFID TAG 정보 전체를 일시에 검출하여, 투표정보 및 가동 모니터(930) 내부의 데이터저장부(942~944)에 기록하며, 검출된 투표검증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검증집계서버(990) 에 전송된다.
지역구 별로 설치되는 투표검증서버(990)는, 투표재집계 프로그램(991)을 이용하여 최종 투표검증과 검증자료를 분류 및 취합통계하여 지역구 집계서버(600)에 전송하거나, 사전에 집계된 지역구 집계서버의 투표집계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C: [도 11]은 투표용지계수 및 투표정보검증집계시스템의 제3의 유형으로,
서보구동모터(983)와 벨트가동 회전롤(984)에 의해 가동되는 콘베어벨트(985) 상에, 파셜(임의의 수량)로 적재되어 흐르거나 정지되는 RFID 투표용지(100) 파셜뭉치의 RFID TAG 정보 전체를, RFID 동시검출리더(970)로 일시에 검출하여, 투표정보 및 가동 모니터(930) 내부의 데이터저장부(942~944)에 기록하며, 검출된 투표검증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검증집계서버(990) 에 전송된다.
지역구 별로 설치되는 투표검증서버(990)는, 투표재집계 프로그램(991)을 이용하여 최종 투표검증과 검증자료를 분류 및 취합통계하여 지역구 집계서버(600)에 전송하거나, 사전에 집계된 지역구 집계서버의 투표집계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11:투표용지, 12:바코드, 13:바코드일련번호, 14:출마자정보/고유번호, 15:기표자리, 16:투표관련인쇄사항/참고사항, 17:RFID TAG, 18:RF-TAG부, 19:RF-TAG인쇄부, 20:홀로그램 또는 요철도무송, 21:선거관리인/참관인 날인란, 22:기표용인장, 23:기표, 100:RFID 투표용지, 200:투표기(투표정보검출기/투표정보기록기), 210:투표기 하부본체, 220:투표기 상부본체, 230:RFID 리더/라이터 모듈, 231:RFID 센서, 232~234:RFID기록기, 235:RFID 비교감식프로그램, 240:작동상황/계수 모니터, 241:중앙처리장치, 242~244:데이터저장부, 250a:바코드 비교감식프로그램, 250b::기표 위치 및 이미지 비교감식프로그램, 251:하부 광판독스케너, 252:상부 광판독스케너, 260:서보구동모터/구동축/구동벨트, 261~263:구동롤러, 264~265:회전롤러, 271:투표용지 1차 감지센서, 272:투표용지 2차 감지센서, 273:투표용지 3차 감지센서, 280:CCTV 카메라모듈, 291:경보스피커, 292~293:작동상황 표시램프, 299:전원/비상밧데리, 300:투표기/투표함 데스크, 400:투표완료용지 보관함, 410:투표함 뚜껑, 500:실시간 보안투표집계시스템, 510:보안투표집계서버, 541:중앙처리장치, 542~544:데이터저장부, 551:보안모니터, 552~554:키보드/마우스/메모리카드, 560:복합프로그램, 570:전원/비상밧데리, 580:온라인전송부, 590:무선통신전송부, 600:지역구집계서버, 700:광역집계서버, 800:중앙집계서버, 900:투표용지계수 및 투표정보검증기, 910:광판독기/ 바코드리더, 911:광판독 비교감식프로그램, 920:RFID 리더, 924:RFID 비교감식프로그램, 930:검증기모니터, 931:검색모드선택보튼, 932:시작/멈춤보튼, 933:투표용지일련번호, 934:직능별투표정보, 935:총계수표시부, 936:계수수량지정부, 937:경보스피커, 941:중앙처리장치, 942~944:데이터저장부, 950:구동부, 960:전원/비상밧데리, 970:RFID 동시검출리더, 980:RFID 동시검출리더 지지판, 981:RFID 동시검출리더 지지봉(상하이동봉), 982:RFID 동시검증기 본체, 983:서보구동모터, 984:벨트가동 회전롤, 985:콘베어벨트, 990~991:검증집계서버 및 검증집계프로그램, 992:모니터/키보드/마우스

Claims (1)

  1. 투표소 내 보안집계서버에 연동되는 투표기에 유권자가 기표된 RFID TAG 투표용지를 투입시, 투표용지별 바코드정보와 기표정보를 투표기가 광학스켄 검출하여 투표용지별 투표정보를 분류 및 취합통계하여 기록하는 실시간 보안집계서버로 전송하며, 실시간으로 가동되는 투표기 내의 RFID 라이터가 가동되어 동일한 투표용지에 구비된 RFID TAG에 투표용지별 바코드번호와 기표정보를 기록하는 투표기(200)로;
    투표기 하부본체(210)와 투표기 상부본체에는 RFID 리더 및 라이터 모듈(230), RFID 센서(231), RFID 기록기(232~234), RFID 비교감식프로그램(235), 작동상황 및 계수 모니터(240), 중앙처리장치(241), 데이터저장부(242~244), 광신호 비교감식프로그램(250), 하부 광판독스케너(251), 상부 광판독스케너(252), 서버구동모터 및 구동축 및 구동벨트(260), 구동롤러(261~263), 회전롤러(264~266), 투표용지 1차 감지센서(271), 투표용지 2차 감지센서(272), 투표용지 3차 감지센서(273), CCTV 카메라모듈(280), 경보스피커(291), 작동상황 표시램프(292,293), 전원비상밧데리(299)가 장착 구비되어, 회로기판, 회로선, 전류선 등에 의해 상호작용하여,
    투표기(200)에 RFID TAG 투표용지(100)가 투입될 시,
    1) 투표용지 1차 감지센서(271)가 투표용지를 감지하여 서버구동모터 및 구동축 및 구동벨트(260), 구동롤러(261~263), 회전롤러(264~265)를 가동시켜, RFID 투표용지(100)가 투표기 하부본체(210)와 투표기 상부본체(220) 사이로 흐르며,
    2) 이때 RFID 모듈(230)과 RFID 1차센서(231)와 광판독 상하부스케너(251, 252)가 작동하여, RFID TAG(17)에 사전에 기록된 선거암호정보와 투표용지에 인쇄된 바코드(12) 및 바코드일련번호(13) 정보를 검출하여, 자체보관된 비교분석프로그램(250,235)과 대조하여,
    a.부정당한 투표용지시엔 경보스피커(291)를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투표기 모니터(240)에 비정상 투표용지임을 표기하며,
    b.정상투표용지 일시는 투표용지 2차 감지센서(272), 투표용지 3차 감지센서(273), 광판독 상하부스케너(251, 252)와 광비교분석프로그램(250)이 연동되어, 투표용지별 바코드일련번호(13)와 기표(23)정보를 검출하여 투표소 내 설치된 실시간 보안집계서버(510)와 투표기(200)의 RFID 모듈(230)에 동시에 전송하여,
    c.동일한 투표용지(100)의 RFID TAG(17)에, 검출된 바코드일련번호(13)와 기표(23) 정보를 RFID 기록기(232~234)로 추가적으로 기록하고, 투표기 모니터(240)에 정상,오류,합계 투표현황을 표기하며,
    3) 부정투표 방지를 위해 투표기 상부본체(220)에 CCTV카메라모듈 (280)을 구비하여 투표 종료 시점까지 상시 녹화시키는 투표기인,
    "기표 광판독분석집계 및 알에프아이디 투표검증시스템의 투표기"
KR1020120127789A 2012-11-13 2012-11-13 기표 광판독분석집계 및 알에프아이디 투표검증시스템의 투표기 KR20120138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789A KR20120138722A (ko) 2012-11-13 2012-11-13 기표 광판독분석집계 및 알에프아이디 투표검증시스템의 투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789A KR20120138722A (ko) 2012-11-13 2012-11-13 기표 광판독분석집계 및 알에프아이디 투표검증시스템의 투표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503A Division KR20110106478A (ko) 2010-03-23 2010-03-23 기표 광판독분석집계 및 알에프아이디 투표검증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722A true KR20120138722A (ko) 2012-12-26

Family

ID=4790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789A KR20120138722A (ko) 2012-11-13 2012-11-13 기표 광판독분석집계 및 알에프아이디 투표검증시스템의 투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87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2286A (zh) * 2017-06-29 2017-11-24 南京理工大学 基于无源双频rfid技术应用于采矿业追踪雷管的方法及装置
CN107679589A (zh) * 2017-08-18 2018-02-09 宁波腾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rfid智能读写的装置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2286A (zh) * 2017-06-29 2017-11-24 南京理工大学 基于无源双频rfid技术应用于采矿业追踪雷管的方法及装置
CN107679589A (zh) * 2017-08-18 2018-02-09 宁波腾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rfid智能读写的装置及方法
CN107679589B (zh) * 2017-08-18 2020-06-30 宁波腾智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rfid智能读写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8047B2 (en) Method for decoding an optically readable sheet
US82619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ding an optically readable markable sheet and markable sheet therefor
US7635087B1 (en) Method for processing a machine readable ballot and ballot therefor
US20060196939A1 (en) System for electronically voting, counting, and examining ballots
KR100994079B1 (ko) 전자개표장치
US20030062411A1 (en) Electronic vo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ly scanned ballot
US20100252628A1 (en) Manual recount process using digitally imaged ballots
US90929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voting devices
US8136729B2 (en) Ballot tab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tabulating paper ballots printed according to ballot style
KR20120083030A (ko) 투표정보가 기록되는 투표용지와 투표시스템
KR20120138722A (ko) 기표 광판독분석집계 및 알에프아이디 투표검증시스템의 투표기
US91051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election results
KR101031335B1 (ko) 전자개표장치
JPH09212699A (ja) 選挙投票券および選挙投票券処理装置
KR20110106478A (ko) 기표 광판독분석집계 및 알에프아이디 투표검증시스템
KR100637872B1 (ko) 전자투표용 개, 검표 시스템 및 방법
KR101096319B1 (ko) 알에프 투표 시스템
KR20060083454A (ko)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KR101231259B1 (ko) 알에프 태그 투표용지와 투표시스템
KR101474993B1 (ko) 고유번호 인쇄부가 구비된 전자 개표장치
US200801737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voting, using existing ATM network and ATMs associated therewith
KR101460750B1 (ko) 각각의 분류챔버에 카운팅 유닛이 구비된 전자 개표장치
KR102549184B1 (ko) 펀칭기를 이용한 투표시스템 및 투표방법
KR200305961Y1 (ko) 투.개표장치
CA3200136A1 (en) A tamperproof voting machine (tpv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