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259B1 - 알에프 태그 투표용지와 투표시스템 - Google Patents

알에프 태그 투표용지와 투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259B1
KR101231259B1 KR1020090116346A KR20090116346A KR101231259B1 KR 101231259 B1 KR101231259 B1 KR 101231259B1 KR 1020090116346 A KR1020090116346 A KR 1020090116346A KR 20090116346 A KR20090116346 A KR 20090116346A KR 101231259 B1 KR101231259 B1 KR 101231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ting
ballot
information
ta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916A (ko
Inventor
김경중
Original Assignee
김경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중 filed Critical 김경중
Priority to KR102009011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2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G07C13/005Voting apparatus operating mechani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동시선거시 한장의 검증용 투표용지에 직능별 선택자의 투표정보가 기록되며, 투표정보입력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투표소 내 보안서버에 투표정보들이 분류/합산/취합/기록되며, 투표 종료시, 구역집계소, 광역집계소, 중앙집계소로 단계별 합산 취합된 투표정보가 전송되어, 선거 당락을 투표종료시점과 가깝게 확인시키며, 사후에 투표검증시스템을 통해 신속히 투표집계결과를 정확히 입증할 수 있는 "동시선거용 RF-TAG 투표용지와 투표시스템"
RFID, RFID TAG, 선거, 동시선거, 지방선거, 투표, 투표용지, 투표함, 투표기계, 투표장치, 투표시스템, RF투표시스템, RF TAG 인식투표함

Description

알에프 태그 투표용지와 투표시스템 { Vote system and RF TAG vote paper }
투표시스템기술, RFID기술, RF-TAG제작기술, 투표용지제작기술
투표에 있어서 온라인을 통한 편리한 방법이 있음에도, 투명성과 진정성이 보장되지 않음으로, 중요한 선거에서는 전통적으로 선거자(투표자)가 소중한 한표를 행사하기 위해, 오프라인의 정해진 투표소를 방문하여 투표용지에 기표한 후 투표하고 있으며, 투표종료후 투표구역마다 투표집계기를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광판독 및 RFID 판독기술이며, RF-TAG 투표용지와 이를 처리하는 투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투표방식은 기표후 투표되어 투표용지가 보관된 투표함을 집계소로 이동하여, 투표함내의 투표용지를 꺼내어 투표 집계장치에 재 투입하며, 상기 투표집계장치가 투표용지의 기표를 검색하여 집계함으로, 투표결과(당락)를 확인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투표용지의 부정사용을 막는 방법은 오직 감시인에 의존하는 방법이었다.
동시선거시 한장의 검증용 투표용지에 직능별 선택자의 투표정보가 기록되는 RF-TAG투표용지, RF-TAG투표용지에 투표정보를 입력하거나 인쇄하며, 투표소 내 보안집계서버에 연동되는 투표정보입력기, 투표정보입력기가 전송한 투표정보를, 분류/합산/취합/기록하는 실시간 보안집계서버, 투표 종료시 보안집계서버의 온라인 또는 무선통신로를 개방하여, 집게된 투표정보를 구역집계소로 전송하며, 광역/중앙집계소로 선거집계 결과가 순차 전송되어, 선거 당락을 투표종료시점과 가깝게 확인시키며, 사후에 투표검증시스템을 통해 신속히 투표집계결과를 정확히 입증 한다. 추가적으로 거소용 포터블 투표정보입력기를 제공한다.
국가, 단체, 기업, 교육기관 등에서 선거 및 의사 결정을 위해 선거자(투표자)가 지정된 투표구역에서 직접투표를 할 경우, 투표 및 선출결과가 투표종료와 함께 집계완료 전송되는 투표시스템으로, 특히 공적인 인물을 선출하는 투표에 있어서, 많 은 출마자와 투표자(선거자)에게 신속한 투표결과정보를 제공하므로, 온 국민이나 선거관련인이 투표결과를 초조하게 기다리며 애태우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종래에 선거에 동원되는 인원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투표시스템은 경량화 제작이 가능하고, 그 편리성과 보안성에 의해 소단위의 선거에도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동시선거용 투표시스템의 구조/동작/방법은 이러하다.
동시선거시 한장의 검증용 투표용지에 투표정보가 기록되며, 투표정보입력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투표소 내 보안서버에 투표정보들이 분류/합산/취합/기록되며, 투표 종료시, 구역집계소, 광역집계소, 중앙집계소로 투표정보가 전송되어, 선거 당락을 투표종료와 함께 동시에 확인시키는 선거시스템 으로 투표용지의 종류, 투표정보의 입력방법, 수동기표, 자동기표/ 선택된 직능별고유번호의 인쇄에 따라 다음과 같이 A,B,C방식으로 구분 실시할 수 있다.
A: "제1유형의 투표용지를 이용한 A방식의 투표시스템"은 이러하다.
[도 1,2,3,4,5,6]과 같이,
제1유형의 동시선거용 RF-TAG투표용지(100)를 수령하여 기표소 내 설치된 자동기표도장(152)으로 제시된 직능별 투표번호(14)중 기표자리(15) 한곳에 기표(151)하는 단계,
투표용지(100)에 기표(151)된 현황을 보면서, 투표정보입력기(300)의 화면(330)에 투표요령안내(331)와 직능별로 출마자를 나열 제시(332)하며, 선택을 요청하는 안내문과, 선택시 선택된 1명의 정보가 화면 하단에 표시되며, 직능별로 1명을 선택하는 순차적 과정을 모두 완료하여, 각기 선택된 직능별 후보자를 모두 나열 제시하는 단계,
제시된 투표정보가 맞을시, 투표정보입력기(300)의 투표용지투입구(32)에 기표(151)된 제1류형의 RF-TAG투표용지(100)를 투입하는 단계,
투표정보입력기(300)의 투표용지투입구(32)에 제1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를 투입시, 투표용지에 기록된 바코드(22)와 RF-TAG(21) 정보를 투표정보입력기(300)의 바코드리더(310)와 RF리더(320)가 비교분석(311,321)하여, 부정당한 투표용지가 투입될 시는 스피커(351)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정상투표용지 일시는, 직능별 후보자가 선택되어 나열 제시(332)된 투표정보입력기(300)의 화면(330) 일측에 확인보튼을 추가 제시하는 단계,
화면(330)에 제시된 확인보튼을 터치시 선택 제시된 투표정보가 제1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에 기록되며, 동시에 투표소 내 보안집계서버(500)로 투표정보가 전송되어, 투표정보들이 실시간으로 분류/합산/취합/기록되는 단계,
투표정보입력 완료 안내에 의해, 투표정보입력기(300)의 투표용지투입구(32)에서 RF-TAG투표용지(100)를 꺼내어, [도 18]의 RF-TAG인식투표함(410)에 투입하는 단계,
투표마감시 [도 19,20,21,22]와 같이 보안집계서버(500)의 온라인 전송로(580)와 무선통신 전송로(590)를 선택 개방하여 지역구 집계서버(600)/ 광역 집계서버(700)/ 중앙집계서버가 일시에 투표정보를 분류/합산/취합/기록하여 선거당락을 방송하는 단계,
선거당락 방송후 [도 24]와 같이 지역구 별로 설치된, 투표검증시스템(900~992)을 이용하여 최종 투표검증과 검증자료를 분류/합산/취합/기록하여 지역구 집계서버(600)에 전송하거나, 지역구 집계서버의 투표집계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로 수행되는 A방식의 투표시스템.
B: "제1유형의 투표용지를 이용한 B방식의 투표시스템"은 이러하다.
[도 1,2,7,8,9,10]과 같이,
제1유형의 동시선거용 RF-TAG투표용지(100)를 수령하여 기표소 내 설치된 자동기표도장(152)으로 제시된 직능별 투표번호(14)중 기표자리(15) 한곳에 기표(151)하는 단계,
투표정보입력기(300)의 투표용지투입구(32)에 기표(151)된 제1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를 투입하는 단계,
투표정보입력기(300)의 투표용지투입구(32)에 제1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를 투입시, 투표용지에 기록된 바코드(22)와 RF-TAG(21) 정보를 투표정보입력기(300)의 바코드리더(310)와 RF리더(320)가 비교분석(311,321)하여, 부정당한 투표용지가 투입될 시는 스피커(351)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정상투표용지 일시는, 투표정보입력기(300)의 기표정보분석기(311,313)가 기표날인(151)을 광조사 감지하여, 감지된 직능별 후보자를 투표정보입력기(300)의 화면(330)에 나열 제시(332)하며, 화면(330) 일측에는 확인보튼을 추가 제시하는 단계,
화면(330)에 제시된 확인보튼을 터치시 선택 제시된 투표정보가 제1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에 기록되며, 동시에 투표소 내 보안집계서버(500)로 투표정보가 전송되어, 투표정보들이 실시간으로 분류/합산/취합/기록되는 단계,
투표정보입력 완료 안내에 의해, 투표정보입력기(300)의 투표용지투입구(32)에서 RF-TAG투표용지(100)를 꺼내어, [도 18]의 RF-TAG인식투표함(410)에 투입하는 단계,
투표마감시 [도 19,20,21,22]와 같이 보안집계서버(500)의 온라인 전송로(580)와 무선통신 전송로(590)를 선택 개방하여 지역구 집계서버(600)/ 광역집계서버(700)/ 중앙집계서버가 일시에 투표정보를 분류/합산/취합/기록하여 선거당락을 방송하는 단계,
선거당락 방송후 [도 24]와 같이 지역구 별로 설치된, 투표검증시스템(900~992)을 이용하여 최종 투표검증과 검증자료를 분류/합산/취합/기록하여 지역구 집계서버(600)에 전송하거나, 지역구 집계서버의 투표집계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로 수행되는 B방식의 투표시스템.
C: "제1,2유형의 투표용지를 이용한 C방식의 투표시스템"은 이러하다.
[도 1,2,11,12,13,14,15,16,17]과 같이,
제1유형 또는 제2유형의 동시선거용 RF-TAG투표용지(100)를 수령하여 투표정보입력기(300)의 투표용지투입구(32)에 투입하는 단계,
투표정보입력기(300)의 투표용지투입구(32)에 제1유형 또는 제2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를 투입시, 투표용지에 기록된 바코드(22)와 RF-TAG(21) 정보를 투표정보입력기(300)의 바코드리더(310)와 RF리더(320)가 비교분석(311,321)하여, 부정당한 투표용지가 투입될 시는 스피커(351)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정상투표용지 일시는, 투표정보입력기(300)의 화면(330)에 투표요령안내(331)와 직능별로 출마자를 나열 제시(332)하며, 선택을 요청하는 안내문과, 선택시 선택된 1명의 정보가 화면 하단에 표시되며, 직능별로 1명을 선택하는 순차적 과정을 모두 완료하여, 각기 선택된 직능별 후보자를 모두 나열 제시하며, 선택되어 나열 제시된 직능별 후보자 일측에, 확인보튼을 추가 제시하는 단계,
투표정보입력기(300) 화면(330)에 제시된 확인보튼을 터치시, 선택 나열 제시된 투표정보가 제1유형 또는 제2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에 상기 투표정보가 기록되며, 동시에 투표소 내 보안집계서버(500)로 투표정보가 전송되어, 투표정보들이 실시간으로 분류/합산/취합/기록된다. 이때 투표정보입력기(300)의 인쇄출력부(370)가 작동되어, 제1유형의 투표용지에는 동그란 기표로 인쇄되며, 제2유형의 투표용지에는 직능별 고유번호가 인쇄하는 단계,
투표정보입력 및 인쇄 완료 안내에 의해, 투표정보입력기(300)의 투표용지투입구(32)에서 RF-TAG투표용지(100)를 꺼내어, [도 18]의 RF-TAG인식투표함(410)에 투입하는 단계,
투표마감시 [도 19,20,21,22]와 같이, 보안집계서버(500)의 온라인 전송로(580)와 무선통신 전송로(590)를 선택 개방하여 지역구 집계서버(600)/ 광역 집계서버(700)/ 중앙집계서버가 일시에 투표정보를 분류/합산/취합/기록하여 선거당락을 방송하는 단계,
선거당락 방송후 [도 24]와 같이 지역구 별로 설치된, 투표검증시스템(900~992)을 이용하여 최종 투표검증과 검증자료를 분류/합산/취합/기록하여 지역구 집계서버(600)에 전송하거나, 지역구 집계서버의 투표집계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로 수행되는 C방식의 투표시스템.
상기 A,B,C 방식에 사용되는 투표용지는 다음과 같이 제작한다.
D: 상기 제1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는 [도 1,2]와 같이, 종이/수지 등으로 제작된 투표용지(11) 위에 선거명(12), 선거관리인 참관인 날인란(13), 직능별로 부여된 출마고유번호(14), 기표자리 또는 기표인쇄자리(15), 투표정보/주의사항(16), 하단 절취부(17), 파단선(18), 절취부 일련번호(19), 선거별/구역별 또는 용지별 바코드(22), 바코드 일련번호(23)가 인쇄된다. 또한 투표용지(11) 일측에 투표정보입력을 위한 RF-TAG부(20)가 부착 또는 인쇄되며, RF-TAG부(20)는 RF-TAG(21)를 구비하여 완성한다.
E: 상기 제2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는 [도 11,12,13]과같이, 종이/수지 등으로 제작된 투표용지(11) 위에 선거명(12), 선거관리인 날인란(13), 직능별로 부여된 출마고유번호(14), 직능별 선택고유정보 인쇄자리(15), 투표정보/주의사항(16), 하단 절취부(17), 파단선(18), 절취부 일련번호(19), 선거별/구역별 또는 용지별 바코드(22), 바코드 일련번호(23)가 인쇄된다. 또한 투표용지(11) 일측에 투표정보입력을 위한 RF-TAG부(20)가 부착 또는 인쇄되며, RF-TAG부(20)는 RF-TAG(21)를 구비하여 완성한다.
F: 상기 투표용지와 RF-TAG부(20), RF-TAG(21)의 부착과 인쇄는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다.
a. RF-TAG와 스티커라벨이 일체화된 RF-TAG라벨을 투표용지(11)에 부착하거나,
b. RF안테나와 RF칩이 일체화된 RF-TAG(21)를 투표용지사이에 투입(용지사이에 RF-TAG삽입후 합지)하거나,
c. RF안테나와 RF칩이 일체화된 RF-TAG(21)만을 투표용지(11)의 전면이나 배면에 직접부착하거나,
d. RF안테나를 별도 인쇄한후 RF칩을 부착하거나,
e. 투표용지와 RF-TAG부를, RFID 프린팅 방식(반도체/유전체/도체 성질을 띤 유기물 혹은 유무기 복합 물질들을 이용하여 전자회로, 안테나, 메모리의 인쇄)으로, 투표용지인쇄사항과 함께 일체 출력하거나,
f. RF-TAG부를 특수 전도성잉크/반도체잉크/절연잉크를 사용하여 직접 투표용지(11)에 인쇄(RF안테나/칩 100%인쇄)하거나,
g. 투표용지전체와 RF-TAG부를 특수 폴리머와 특수잉크를 사용하여 일체로 제작한다.
RF투표용지에 투표정보를 입력하거나 인쇄하는 투표정보입력기는 다음과 같이 제작된다.
G: 상기 A항의 투표정보입력기(300)의 구성과 작동은 이러하다.
[도 6]과 같이, 본체(31)에 투표용지투입구(32), 터치스크린(330), CCTV카메라(35), 경보스피커(351), 전원 및 보조밧데리(360)가 장착 구비되며, 내부로 중앙처리장치(341)와 가동 펌웨어, 바코드 비교감식 프로그램(311), RF 비교감식 프로그램(321)이 탑재된 데이터저장부(342~344)와 바코드리더모듈(310,311,312), RF리더/라이터모듈 (320,321,322,323)이 장착 구비되어, 회로기판, 회로선, 전류선 등에 의해 상호작용하여,
투표용지의 기표를 보며, 직능별로 후보자중 1인을 순차 선택하여 선택된 후보가 화면(330)에 나열제시(332)된 상황에서, 투표용지투입구(32)에 제1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를 투입시, 투표용지에 기록된 바코드(22)와 RF-TAG(21) 정보를 바코드리더(310)와 RF리더(320)가 비교분석(311,321)하여, 부정당한 투표용지가 투입될 시는 스피커(351)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정상투표용지 일시는, 직능별 선택자가 나열제시(332)된 화면(330) 일측에, 확인보튼을 추가 제시한다.
화면(330)에 제시된 확인보튼을 터치시, 선택 제시된 투표정보가 제1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에 기록되며, 동시에 투표소 내 보안집계서버(500)로 투표정보가 전송되어, 투표정보들이 실시간으로 분류/합산/취합/기록되게 하는 투표정보입력기.
H: 상기 B항의 투표정보입력기(300)의 구성과 작동은 이러하다.
[도 10]과 같이, 본체(31)에 투표용지투입구(32), 터치스크린(330), CCTV카메라(35), 경보스피커(351), 전원 및 보조밧데리(360)가 장착 구비되며, 내부로 중앙처리장치(341)와 가동 펌웨어, 광신호 비교감식 프로그램(311), RF 비교감식 프로그램(321)이 탑재된 데이터저장부(342~344)와, 바코드와 기표날인을 감지분석하는 광신호리더모듈(310,311,312,313), RF리더/라이터모듈 (320,321,322,323)이 장착 구비되어, 회로기판, 회로선, 전류선 등에 의해 상호작용하여,
투표정보입력기(300)의 투표용지투입구(32)에 기표(151)된 제1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를 투입시, 투표용지에 기록된 바코드(22)와 RF-TAG(21) 정보를 투표정보입력기(300)의 바코드리더(310)와 RF리더(320)가 비교분석(311,321)하여, 부정당한 투표용지가 투입될 시는 스피커(351)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정상투표용지 일시는, 투표정보입력기(300)의 기표정보분석기(311,313)가 기표날인(151)을 광조사 감지하여, 감지된 직능별 후보자를 화면(330)에 나열 제시(332)하며, 화면(330) 일측에는 확인보튼을 추가 제시한다.
화면(330)에 제시된 확인보튼을 터치시 선택 제시된 투표정보가 제1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에 기록되며, 동시에 투표소 내 보안집계서버(500)로 투표정보가 전송되어, 투표정보들이 실시간으로 분류/합산/취합/기록되게 하는 투표정보입력기.
I: 상기 C항의 투표정보입력기(300)의 구성과 작동은 이러하다.
[도 17]과 같이, 본체(31)에 투표용지투입구(32), 인쇄후 투표용지 반환구(33), 터치스크린(330), CCTV카메라(35), 경보스피커(351), 선택 입력된 투표정보를 자동기표 하거나 직능별 고유번호를 인쇄하는, 인쇄출력부(370) 및 전원/보조밧데리(360)가 장착 구비되며, 내부로는 중앙처리장치(341)와 가동 펌웨어, 광신호 비교감식 프로그램(311), 투표정보와 투표자리 광신호에 의해 인쇄자리를 지정하는 인쇄콘트롤 프로그램(371), RF 비교감식 프로그램(321)이 탑재된 데이터저장부(342~344)와, 바코드/광신호리더모듈(310,311,312), RF리더/라이터모듈 (320,321,322,323)이 장착 구비되어, 회로기판, 회로선, 전류선 등에 의해 상호작용하여,
투표용지투입구(32)에 제1유형 또는 제2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를 투입시, 투표용지에 기록된 바코드(22)와 RF-TAG(21) 정보를 바코드리더(310)와 RF리더(320)가 비교분석(311,321)하여, 부정당한 투표용지가 투입될 시는 스피커(351)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정상투표용지 일시는, 투표정보입력기(300)의 화면(330)에 투표요령안내(331)와 직능별로 출마자를 나열 제시(332)하며, 선택을 요청하는 안내문과, 선택시 선택된 1명의 정보가 화면 하단에 표시되며, 직능별로 1명을 선택하는 순차적 과정을 모두 완료하여, 각기 선택된 직능별 후보자를 모두 나열 제시하며, 선택되어 나열 제시된 직능별 후보자 일측에, 확인보튼을 추가 제시한다.
화면(330)에 제시된 확인보튼을 터치시, 선택 나열 제시된 투표정보가 제1유 형 또는 제2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에 상기 투표정보가 기록되며, 동시에 투표소 내 보안집계서버(500)로 투표정보가 전송되어, 투표정보들이 실시간으로 분류/합산/취합/기록된다. 이때 투표정보입력기(300)의 인쇄출력부(370)가 작동되어, 제1유형의 투표용지에는 동그란 기표로 인쇄(151)되며, 제2유형의 투표용지에는 직능별 고유번호르 인쇄(151)하는 투표정보입력기.
J: 투표시 부정투표용지가 투표함에 투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RF-TAG인식투표함(410)의 구성과 작동은 이러하다.
[도 18]과 같이, 투표함 본체(410) 상단에 CCTV모듈(421,422)이 투표상황을 연속촬영하며, RF리더모듈(430,431)이 투입하려는 투표용지를 감지(432)하여, 비정상 투표용지의 경우 경고스피커(423)가 작동하며, 정상투표용지일 경우만 투표입구 자동개폐부(424,425)가 열리는, 부정투표방지판독모듈(420)이 장착되며, 투표함 본체(410) 안에 착탈식보안투표함(412)이 장착되며, 전원/비상용밧데리(470)에 연결되며, 내부로는 중앙처리장치(441)와 데이터저장부(442~443))에 가동펌웨어, RF 비교감식 프로그램(431), 투표정보 집계/전송프로그램(445), 보안프로그램, 녹화프로그램 등이 탑재되어, 회로기판, 회로선, 전류선, 통신선 등으로 연계된다.
필요에 따라 RF-TAG인식투표함(410)은 온라인(580)과 무선통신(590)로를 개방하여 통해 투표소내 실시간 보안집계서버(640)나 지역구집계서버(740)에 투표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RF-TAG인식투표함.
K: 상기 실시간 보안집계서버(500)의 구성과 작동은 이러하다.
[도 19]과 같이, 기표소내 설치된 투표정보입력기(300)와 상시 연계되어, 투표정보입력기(300)가 보내오는 투표용지(100)별로 기록된 투표정보를, 실시간으로 분류/합산/취합/기록하며, 내부로는 중앙처리장치(541)와 데이터저장부(542~544)를, 외부로는 보안모니터(551), 키보드/마우스(552,553), 전원/비상밧데리(570)에 구비한다. 데이터저장부(542~544)는 가동펌웨어, 실시간 투표집계 및 전송 프로그램(560), 보안프로그램 등을 탑재하며, 회로기판, 회로선, 전류선, 통신선 등으로 연계된다.
실시간 보안집계서버(500)는 투표종료후 온라인(580)과 무선통신(590)로를 선택 개방하여 지역구집계서버(600)/ 광역집계서버(700)/ 중앙집계서버(800)에 투표집계정보를 전송하는 실시간 보안집계서버.
본 발명은 전자적으로 선 집계하여 당락발표후, 사후에 신속히 투표집계결과를 정확히 입증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L: 투표집계결과를 입증하는 투표정보검증/집계시스템(900~992)의 구성과 작동은 이러하다.
선거당락 방송후, [도 24]와 같이 투표용지의 투표정보를 최종 검증하기 위하여, 검증/계수기(900), 검증집계서버(990), 모니터,키보드,마우스(992)로 구성되며,
검증계수기(900)는 상황 디스플레이 화면(930), 기표/인쇄정보나 RF투표정보 를 택일검출 하거나 동시검출을 위한, 검출모드전환보톤(931), 시작/멈춤용 보튼(932), 투표용지일련번호 표기부(933), 직능별선택투표정보(934), 집계된 총수량 표시부(935), 집계단위표시부(936), 오류투표용지의 출현시 LED발광 및 경고음 발생부(937), 기표/선택인쇄번호/바코드를 검출하기위한 광판독 리더(910)와 RF투표정보 리더기(920), 기계적 구동부(950), 중앙처리장치(941), 데이터저장부(942~944)로 구성된다. 데이터저장부엔 자체가동 펌웨어와 광판독 비교감식프로그램(911)과 RF비교감식프로그램(924)이 탑재되며, 실시간으로 검증집계서버(990) 에 전송된다.
지역구 별로 설치되는 투표검증시스템(900~992)은, 투표재집계 프로그램(991)을 이용하여 최종 투표검증과 검증자료를 분류/합산/취합/기록하여 지역구 집계서버(600)에 전송하거나, 지역구 집계서버의 투표집계정보와 비교할 수있는 투표검증시스템.
특별히 본 발명은 병원이나, 교도서, 함정등에서 편리하게 투표할 수 있는 거용 투표정보입력기를 제공한다.
M: [도 23]의 거소투표용 포터블 투표정보 입력기(200)의 구성과 작동은 이러하다.
거소자를 위한 투표정보입력기로, 본체(200)에 투표용지(100) 투입과 인쇄후 투표용지반환구(255), 터치스크린(230), CCTV모듈(260,261), 안내 및 경고음 발생 스피커(270), 선택 입력된 투표정보를 자동기표 하거나 직능별 고유번호를 인쇄(151)하는, 인쇄출력부(250,252), 전원/보조밧데리(280)가 장착 구비되며, 내부로는 중앙처리장치(241)와 가동 펌웨어, 광신호 비교감식 프로그램(211), 투표정보와 투표자리 광신호에 의해 인쇄자리를 지정하는 인쇄콘트롤 프로그램(251), RF 비교감식 프로그램(221)이 탑재된 데이터저장부(242~244)와, 바코드/광신호리더모듈(210,211,212), RF리더/라이터모듈 (220,221,222,223)이 장착 구비되어, 회로기판, 회로선, 전류선 등에 의해 상호작용하여,
투표용지투입구(255)에 제1유형 또는 제2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를 투입시, 투표용지에 기록된 바코드(22)와 RF-TAG(21) 정보를 바코드리더(210)와 RF리더(220)가 비교분석(211,221)하여, 부정당한 투표용지가 투입될 시는 스피커(270)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정상투표용지 일시는, 투표정보입력기(200)의 화면(230)에 투표요령안내와 직능별로 출마자를 나열 제시하며, 선택을 요청하는 안내문과, 선택시 선택된 1명의 정보가 화면 하단에 표시되며, 직능별로 1명을 선택하는 순차적 과정을 모두 완료하여, 각기 선택된 직능별 후보자를 모두 나열 제시하며, 선택되어 나열 제시된 직능별 후보자 일측에, 확인보튼을 추가 제시한다.
화면(230)에 제시된 확인보튼을 터치시, 선택 나열 제시된 투표정보가 제1유형 또는 제2유형의 RF-TAG투표용지(100)와 플레시 메모리(244)에 투표정보가 기록되며, 이때 투표정보입력기(200)의 인쇄출력부(250)가 작동하여, 제1유형의 투표용지에는 동그란 기표로 인쇄(151)되며, 제2유형의 투표용지에는 직능별 고유번호가 인쇄(151)되며, 부재자 및 거소자투표 집계시 구역집계서버에 연결하여 투표정보를 전송하는 거소투표용 투표정보입력기.
도 1: 제1유형의 RF-TAG를 구비한 동시선거용 투표용지.
도 2: 관리자/참관인 날인, 기표, 하단 일련번호가 절취된, 제1유형 RF-TAG를 구비한 동시선거용 투표용지의 예.
도 3: (제1유형 투표용지의 A방식 투표)에서, 기표를 마친후 직능별로 선택 투표를 위한, 투표정보입력기의 안내 초기화면의 예.
도 4: (제1유형 투표용지의 A방식 투표)에서, 투표정보입력기 화면이 제1직능(도지사/시장) 출마자 모두를 제시하며, 선택시 선택한 후보를 하단에 표시하는 예.
도 5: (제1유형 투표용지의 A방식 투표)의 투표정보입력 단계.
도 6: (제1유형 투표용지의 A방식 투표)에 사용되는, 투표정보입력기와 시스템 블록도.
도 7: (제1유형 투표용지의 B방식 투표)로, 사전에 선택 기표한 날인잉크를 광조사에 의하여 화면에 일괄 제시하기 위한, 투표정보입력기의 안내 초기화면의 예.
도 8: (제1유형 투표용지의 B방식의 투표)에서, 광조사에 의하여 사전 선택 기표한 직능별 모두를 제시하고, 투표정보입력기가 투표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최종 확인을 요청하는 예.
도 9: (제1유형 투표용지의 B방식의 투표)의 기표분석 및 투표정보입력 단계
도 10:(제1유형 투표용지의 B방식의 투표)에 사용되는 투표정보입력기와 시스템 블록도.
도 11: 직능별로 선택자 고유번호를 인쇄하기 위한, RF-TAG를 구비한 제2유형 동시 선거용 투표용지.
도 12: 관리자 날인 및 하단 일련번호 절취가 된, 선택자 고유번호를 인쇄하기 위한 제2유형 동시선거용 투표용지.
도 13: 직능별로 선택된 고유번호가 RF투표용지에 기록되며 인쇄된, 제2유형 동시선거용 투표용지의 예.
도 14: (제1,2유형 투표용지 모두 이용이 가능한 - C방식의 투표)로, 인쇄장치가 구비된 투표정보입력기 화면의 초기 안내의 예.
도 15: (제1,2유형 투표용지 모두 이용이 가능한 - C방식의 투표)로, 인쇄장치가 구비된 투표정보입력기 화면이 제1직능(도지사/시장) 출마자를 제시하며, 선택에 의해 하단에 선택된 제1직능 후보를 표시하는 예.
도 16: (제1,2유형 투표용지 모두 이용이 가능한 - C방식의 투표)의, 투표정보입력 및 자동기표 또는 선택 고유번호 인쇄 단계.
도 17: (제1,2유형 투표용지 모두 이용이 가능한 - C방식의 투표)에 사용되는 인쇄장치가 구비된 투표정보입력기와 시스템 블록도.
도 18: 부정투표 방지용 RF-TAG 인식 투표함과 시스템 블록도.
도 19: 실시간 투표집계시스템의 블록도
도 20: 상위 투표집계서버와의 연계도/ 투표절차도
도 21: 투표정보의 입력/분류저장/집계/당락방송/검증 단계
도 22: 투표정보의 검출/분류저장/집계/당락방송/검증 처리도
도 23: 거소투표용 이동용 포터블 투표정보입력기와 시스템 블록도
도 24: 투표용지 계수 및 투표정보 검증/집계기와 시스템 블록도
도면부호; 11:투표용지, 12:동시선거명, 13:관리인/참관인 날인란, 14:출마자정보/고유번호 또는 직능별 명칭, 15:기표자리 또는 인쇄자리, 16:참고사항, 17:하단 절취부, 18:파단선, 19:절취부 일련번호, 20:RF-TAG부, 21:RF-TAG, 22:바코드, 23:바코드 일련번호, 31:투표정보입력기의 본체, 32:투표용지 투입구, 33: 인쇄후 투표용지 반환구, 35:CCTV카메라, 100:RF 투표용지, 131:관리인/참관인 날인, 151:수동기표인/ 자동인쇄기표 또는 고유번호인쇄, 152:수동기표용 인장, 200:거소투표용 포터블 투표정보입력기, 300:투표정보입력기, 310:광판독기/ 바코드리더, 311,313:기표정보분석기, 320:RF 리더, 330:투표안내스크린, 331~332:투표안내/ 직능별출마자/ 선택투표정보 확인, 341:중앙처리장치, 342~344:데이터저장부, 350:CCTV모듈, 351:스피커, 360:전원/비상밧데리, 370:인쇄출력부, 410:RF-TAG 인식투표함, 411:투표용지 투입구, 412:착탈식보안투표함, 420:부정투입 방지모듈, 421~422:CCTV모듈, 423:경고음발생 스피커, 424:투표입구 자동개폐부, 430~432: RF리더 모듈, 500:실시간 보안투표집계시스템, 510:보안투표집계서버, 541:중앙처리장치, 542~544:데이터저장부, 551:보안모니터, 552~553:키보드/마우스, 560:복합프로그램, 570:전원/비상밧데리, 580:온라인전송부, 590:무선통신전송부, 600:지역구집계서버, 700:광역집계서버, 800:중앙집계서버, 900: 투표용지계수 및 투표정보검증기, 910:광판독기/ 바코드리더, 920:RF 리더, 930: 검증기화면, 931:검색모드선택보튼, 932:시작/멈춤보튼, 933:투표용지일련번호, 934:직능별투표정보, 935:총계수표시부, 936:계수수량지정부, 937:경고스피커, 941:중 앙처리장치, 942~944:데이터저장부, 950:구동부, 960:전원/비상밧데리, 990~991:검증집계서버, 992:모니터/키보드/마우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동시선거용 RF-TAG투표용지를 이용한 투표정보 인쇄 방식 RF투표시스템은,
    1) 동시선거용 제1유형 RF-TAG투표용지(도 1의 100) 또는 제2유형 RF-TAG투표용지(도 11의 100)와,
    2) 투표정보를 RF-TAG투표용지에 기표 또는 기호/이름으로 인쇄하고, RF-TAG투표용지의 RF-TAG(21)에 기록하는 투표정보입력기(300)와,
    3) 투표정보입력기(300)가 보내오는 개별 투표정보를 취합/통계하는 투표소내의 보안투표집계서버(510)와,
    4) 투표용지 부정투입 방지와 투표집계 및 전송하는 RF-TAG인식투표함(410)과,
    5) 각 투표소의 보안투표집계시스템(500)의 일괄 투표집계정보를 전송받아 취합/통계하는 지역구 집계서버(600)와,
    6) 각 지역구 집계서버(600)의 투표 집계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취합/통계하는 광역 집계서버(700)와,
    7) 각 광역 집계서버(700)의 투표 집계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취합/통계하는 중앙 집계서버(800)와,
    8) 중앙 집계서버(800)에 연동 되는 각 방송국 서버와,
    9) 선거 당락 방송 후, 투표용지의 투표정보를 최종 검증하기 위하여, 검증/계수기(900), 검증집계서버(990)로 이루어지는,
    동시선거용 RF-TAG투표용지를 이용한 투표정보 인쇄 방식 RF투표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90116346A 2009-11-30 2009-11-30 알에프 태그 투표용지와 투표시스템 KR101231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346A KR101231259B1 (ko) 2009-11-30 2009-11-30 알에프 태그 투표용지와 투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346A KR101231259B1 (ko) 2009-11-30 2009-11-30 알에프 태그 투표용지와 투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916A KR20110059916A (ko) 2011-06-08
KR101231259B1 true KR101231259B1 (ko) 2013-02-07

Family

ID=4439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346A KR101231259B1 (ko) 2009-11-30 2009-11-30 알에프 태그 투표용지와 투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2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533A (ko) * 2003-10-09 2003-11-10 (주) 아이디퓨처 무선인식 전자투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533A (ko) * 2003-10-09 2003-11-10 (주) 아이디퓨처 무선인식 전자투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916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730B2 (en) Electronic vo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8261985B2 (en) Manual recount process using digitally imaged ballots
US6799723B2 (en) Automated voting system
US7431209B2 (en) Electronic vo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7243846B2 (en) Computer enhanced voting system including voter verifiable, custom printed ballots imprinted to the specifications of each voter
US8096471B2 (en) Ballot marking device having attached ballot box
US20030062411A1 (en) Electronic vo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ly scanned ballot
US20040046021A1 (en) Electronic vo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0994079B1 (ko) 전자개표장치
KR10064318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투표시스템
US8136729B2 (en) Ballot tabulation device and method for tabulating paper ballots printed according to ballot style
KR20120083030A (ko) 투표정보가 기록되는 투표용지와 투표시스템
KR101231259B1 (ko) 알에프 태그 투표용지와 투표시스템
KR101031335B1 (ko) 전자개표장치
KR101096319B1 (ko) 알에프 투표 시스템
KR20120138722A (ko) 기표 광판독분석집계 및 알에프아이디 투표검증시스템의 투표기
KR20060083454A (ko) 전자투개표 및 전자선거시스템
US200801737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voting, using existing ATM network and ATMs associated therewith
Nigar et al. A proposed framework for fingerprint-based voting system in Bangladesh
KR102549184B1 (ko) 펀칭기를 이용한 투표시스템 및 투표방법
KR20110106478A (ko) 기표 광판독분석집계 및 알에프아이디 투표검증시스템
KR101474993B1 (ko) 고유번호 인쇄부가 구비된 전자 개표장치
KR20180065337A (ko) 다종의 nfc내장카드 및 식별코드 스캔 기능을 이용한 투표 및 개표장치
US11113915B1 (en) Vote counting station
WO2010010564A2 (en) Electronic vo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