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063A -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스몰셀 기지국 - Google Patents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스몰셀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063A
KR20120138063A KR1020110057341A KR20110057341A KR20120138063A KR 20120138063 A KR20120138063 A KR 20120138063A KR 1020110057341 A KR1020110057341 A KR 1020110057341A KR 20110057341 A KR20110057341 A KR 20110057341A KR 20120138063 A KR20120138063 A KR 20120138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mall cell
access control
terminals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975B1 (ko
Inventor
곽도영
이종식
김현표
허시영
김정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57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975B1/ko
Priority to PCT/KR2012/004323 priority patent/WO2012173347A2/ko
Publication of KR2012013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6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traf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몰셀 기지국이 제공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용 용량이 포화된 상기 스몰셀 기지국의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의 제1단말로부터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복수의 제2단말 및 상기 호 접속 요청을 송신한 상기 제1단말 각각의 신호품질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이 매크로셀 기지국 또는 다른 스몰셀 기지국으로 접속 유도 또는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스몰셀 기지국{METHOD AND SMALL CELL BASE STATION FOR SMALL CELL ACCESS CONTROL}
본 발명은 펨토셀 등의 스몰셀에서의 액세스 제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펨토셀 기지국, 피코셀 기지국, 마이크로셀 기지국 등의 스몰셀 기지국의 수용 용량이 이미 포화된 상태에서 새로운 호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새로운 호 접속 요청을 송신한 단말에 대하여 어떠한 고려 없이 호 접속을 거절하고 매크로셀 기지국이나 인접한 다른 스몰셀 기지국으로 접속을 유도하였다. 이는, 펨토셀 등의 스몰셀과 매크로셀 간의 간섭을 증가시키고 스몰셀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스몰셀과 매크로셀 간의 간섭을 완화하고 스몰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몰셀에서의 효율적인 액세스 제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스몰셀 기지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펨토셀 등의 스몰셀의 수용 용량이 이미 포화된 상태에서 새로운 호 접속 요청이 수신된 경우 스몰셀과 매크로셀 간의 간섭을 완화하고 스몰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몰셀에서의 효율적인 액세스 제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스몰셀 기지국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스몰셀 기지국이 제공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용 용량이 포화된 상기 스몰셀 기지국의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의 제1단말로부터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복수의 제2단말 및 상기 호 접속 요청을 송신한 상기 제1단말 각각의 신호품질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이 매크로셀 기지국 또는 다른 스몰셀 기지국으로 접속 유도 또는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스몰셀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스몰셀 기지국의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 제1단말로부터 호 접속 요청을 수신되면, 상기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기존 접속 단말 개수가 상기 스몰셀 기지국의 수용 용량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액세스 제어 여부 판단부; 상기 기존 접속 단말 개수가 상기 수용 용량 이상이면, 상기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복수의 제2단말 및 상기 호 접속 요청을 송신한 상기 제1단말 각각의 신호품질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부; 및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이 매크로셀 기지국 또는 다른 스몰셀 기지국으로 접속 유도 또는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액세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스몰셀 기지국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스몰셀 기지국이 제공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몰셀 기지국의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의 단말들 각각의 신호품질정보를 포함하는 참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참조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의 단말들 중에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이 매크로셀 기지국 또는 다른 스몰셀 기지국으로 접속 유도 또는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몰셀과 매크로셀 간의 간섭을 완화하고 스몰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몰셀에서의 효율적인 액세스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펨토셀 등의 스몰셀의 수용 용량이 이미 포화된 상태에서 새로운 호 접속 요청이 수신된 경우 스몰셀과 매크로셀 간의 간섭을 완화하고 스몰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몰셀에서의 효율적인 액세스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매크로셀과 스몰셀이 함께 구축된 이종 네트워크 아키텍처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의 예시 흐름도이다.
도 4는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의 다른 예시 흐름도이다.
도 5는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의 또 다른 예시 흐름도이다.
도 6은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의 또 다른 예시 흐름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스몰셀 기지국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적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적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매크로셀(Macrocell)과 스몰셀(Small Cell)이 함께 구축된 이종(Heterogeneous) 네트워크 아키텍처이다.
여기서, "스몰셀(Small Cell)"은 펨토셀(Femtocell), 피코셀(Picocell) 및 마이크로셀(Microcel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에 있어 하나의 기지국이 담당하는 서비스 구역 단위인 셀(Cell)의 한 종류로서의 의미를 가지거나 기지국 자체의 의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펨토셀, 피코셀, 마이크로셀 등을 포함하는 스몰셀과 매크로셀 등은 서비스 구역 단위의 의미로서 기재하고, 펨토셀 기지국, 피코셀 기지국, 마이크로셀 기지국 등을 포함하는 스몰셀 기지국(110)과 매크로셀 기지국(11) 등은 각각의 서비스 커버리지에서 서비스를 담당하는 기지국의 의미로서 구분하여 기재한다.
통상, 스몰셀 기지국(110)의 커버리지(100)는 매크로셀 기지국(11)의 커버리지(10) 내에 존재하며, 스몰셀 기지국(110)은 실내 또는 실외 음영 지역에 설치되어 서비스 품질 또는 서비스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거나, 혼잡 지역 또는 매크로셀 용량 포화가 발생한 지역에서 데이터 오프로딩(Offloading)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형 기지국이다.
특히, 스몰셀 기지국(110) 중 펨토셀 기지국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의 Home NodeB(HNB) 또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에서의 Home eNodeB(HeN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펨토셀 기지국 등의 스몰셀 기지국(110)은 폐쇄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 이하 "CSG"라 함) 단말에게만 접속을 허용하는 제한 접속 모드(Closed Access Mode), CSG 단말 및 비폐쇄 가입자 그룹(Non-CSG: Non-Closed Subscriber Group, 이하 "Non-CSG"라 함) 단말에게 모두 접속을 허용하는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Hybrid Access Mode) 및 일반적인 기지국처럼 동작하는 개방 접속 모드(Open Access Mode)의 세 가지 접속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셀과 스몰셀이 함께 구축된 이종(Heterogeneous)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는, 스몰셀 및 매크로셀 간의 이동성 또는 스몰셀 간의 이동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매크로셀과 스몰셀이 함께 구축된 이종(Heterogeneous)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기지국(110)이 제공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은, 수용 용량이 포화된 스몰셀 기지국(110)의 스몰셀 커버리지(100) 내에서의 제1단말(111)로부터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200)와, 제1단말(111)로부터의 호 접속 요청 수신 당시에 스몰셀 커버리지(100) 내에서 이미 동작하고 있어 활성화(Active)되어 있는 복수의 제2단말(112) 및 호 접속 요청을 송신한 제1단말(111) 각각의 신호품질정보에 근거하여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단계(S204)와,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이 매크로셀 기지국(11) 또는 인접한 다른 스몰셀 기지국(미도시)으로 접속 유도 또는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206) 등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기지국(110)이 제공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은, 전술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 이전에, 수용 용량이 포화된 스몰셀 기지국(110)이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으로 신호품질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으로부터 신호품질정보가 포함된 신호품질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의 신호품질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신호품질정보 획득 단계(S202)에서 획득되는 신호품질정보는, 일 예로,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CINR: Carrier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수신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Ec/Io 및 수신 레벨(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각 단말(111, 112)과 스몰셀 기지국(110) 간의 통신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일 수도 있다.
이러한 신호품질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스몰셀 기지국(110)에서 새로운 호 접속 요청을 한 제1단말(111)로 송신되는 신호품질정보 요청 메시지는 래디오 리소스 컨트롤 커넥션 요청(RRC(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QUEST) 메시지이고, 새로운 호 접속 요청을 한 제1단말(111)로부터 수신하는 신호품질정보 응답 메시지는 래디오 리소스 컨트롤 커넥션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스몰셀 기지국(110)에서 새로운 호 접속 요청이 있을 당시에 이미 동작하고 있던 복수의 제2단말(112)로 송신되는 신호품질정보 요청 메시지는 측정 리포트(MEASUREMENT REPORT) 메시지이고, 복수의 제2단말(112)로부터 수신하는 신호품질정보 응답 메시지는 측정 리포트(MEASUREMENT REPORT)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일 수 있다. 여기서, 래디오 리소스 컨트롤 커넥션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 및 측정 리포트(MEASUREMENT REPORT) 메시지는 3GPP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또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등에서 정의된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품질정보 요청 메시지는 3GPP UMTS (WCDMA)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 래디오 리소스 컨트롤 커넥션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현재 접속되어 있는 제2단말(112)에 대한 신호품질정보 요청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에 따라 3GPP UMTS (WCDMA)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는 래디오 리소스 컨트롤 커넥션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 내의 옵션 필드(Optional Field)로 포함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measuredResultsOnRACH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또한, 3GPP UMTS(WCDMA)와 유사한 방식으로, 3GPP LTE에서는 새로운 호 접속을 요청한 제1단말(111)의 신호품질정보 요청 메시지는 아래와 같은 래디오 리소스 컨트롤 커넥션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즉, 래디오 리소스 컨트롤 커넥션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에서, 현재는 정의되어 있지 않은 criticalExtensionsFuture 시퀀스에 measResults IE를 포함하도록 수정하여 래디오 리소스 컨트롤 커넥션 요청(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신호품질정보 요청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현재 접속되어 있는 제2단말(112)로의 신호품질정보 요청 메시지는 이벤트 트리거(Event Trigger)에 따라 3GPP LTE에서 정의된 다음과 같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로 이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마지막으로, 측정 결과 정보 엘리먼트(Measurement Results Information Element, measResults IE)는 3GPP에서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06
한편, 스몰셀 기지국(110)은 접속 가능한 단말의 개수 또는 서비스 가능한 단말의 개수 등의 의미를 갖는 수용 용량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스몰셀 기지국(110)는 수용 용량 이하의 단말이 접속한 경우에만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스몰셀 기지국(110)이 수용 용량이 포화되었다는 것은, 정해진 수용 용량과 동일한 개수의 단말이 접속하여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수용 용량이 포화된 스몰셀 기지국(110)의 스몰셀 커버리지(100)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복수의 제2단말(112)의 개수는, 수용 용량이 포화된 스몰셀 기지국(110)의 수용 용량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 수용 용량이 포화된 스몰셀 기지국(110)이 제1단말(111)로부터 새로운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종래에는 수용 용량이 포화된 상태에서 새로운 호 접속 요청을 송신한 제1단말(111)에 대하여, 어떠한 고려 없이 호 접속을 거절하고 매크로셀 기지국(11)이나 인접한 다른 스몰셀 기지국으로 접속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액세스 제어 방식은, 새롭게 호 접속 요청을 한 제1단말(111)과 기존에 이미 접속하여 동작하고 있는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의 상태 또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않고 조건 없이 수용 용량이 포화된 상태에서 새롭게 호 접속 요청을 한 제1단말(111)에 대하여 호 접속을 거절하기 때문에, 오히려, 펨토셀 등의 스몰셀과 매크로셀 간의 간섭을 증가시키고 스몰셀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몰셀 기지국(110)의 수용 용량이 포화된 상태에서 새로운 호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새로운 호 접속 요청을 송신한 제1단말(1110)에 대한 호 접속을 무조건 거절하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호 접속 요청을 한 제1단말(111)과 기존에 이미 접속하여 동작하고 있는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의 상태 또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새롭게 호 접속 요청을 한 제1단말(111)과 기존에 이미 접속하여 동작하고 있는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매크로셀 기지국(11)이나 인접한 다른 스몰셀 기지국으로 접속 유도 또는 이동되도록 제어되는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에서는, 새롭게 호 접속 요청을 한 제1단말(111)과 기존에 이미 접속하여 동작하고 있는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의 신호품질정보에 근거하여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게 되는데,
이때, 새롭게 호 접속 요청을 한 제1단말(111)과 기존에 이미 접속하여 동작하고 있는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의 신호품질정보에 근거하여,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에 대한 접속 우선 순위를 신호품질정보의 높게 낮음에 따라 정하고, 이렇게 정해진 접속 우선 순위에 따라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에서는,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의 신호품질정보 이외에도, 제1단말(111)과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에 대한 긴급 호 관련 여부,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에 대한 CSG 단말 여부 및 수용 용량이 포화된 스몰셀 기지국(110)의 접속 모드 유형 등 중 하나 이상에 더 근거하여,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방식의 몇 가지 예를 각각 도시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의 예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는, 새롭게 호 접속 요청을 한 제1단말(111)과 기존에 이미 접속하여 동작하고 있던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긴급 호(Emergence Call)와 관련된 긴급 단말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S300)와, S300 단계에서의 파악 결과, 긴급 단말이 존재하면,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긴급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S302)와, S300 단계에서의 파악 결과, 긴급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S304) 등을 포함한다.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는, 수용 용량이 포화된 스몰셀 기지국(110)의 접속 모드 유형에 관계없이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기 위한 단계이다.
도 4는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의 다른 예시 흐름도이다.
도 4에 예시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는, 수용 용량이 포화된 스몰셀 기지국(110)의 접속 모드 유형이 제한 접속 모드(Closed Access Mode)인 경우에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기 위한 단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러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는, 새롭게 호 접속 요청을 한 제1단말(111)이 긴급 호와 관련된 긴급 단말인지를 파악하는 단계(S400)와, S400 단계에서의 파악 결과, 제1단말(111)이 긴급 단말이면, 기존에 이미 접속하여 동작하고 있던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S402)와, S400 단계에서의 파악 결과, 제1단말(111)이 긴급 단말이 아니면, 제1단말(111)이 CSG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4)와, S404 단계에서의 파악 결과, 제1단말(111)이 CSG 단말이면,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S406)와, S404 단계에서의 파악 결과, 제1단말(111)이 CSG 단말이 아니면, 제1단말(111)을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S407) 등을 포함한다.
도 5는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의 또 다른 예시 흐름도이다.
도 5에 예시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는, 수용 용량이 포화된 스몰셀 기지국(110)의 접속 모드 유형이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Hybrid Access Mode)인 경우에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기 위한 단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는, 새롭게 호 접속 요청을 한 제1단말(111)이 긴급 호와 관련된 긴급 단말인지를 파악하는 단계(S500)와, S500 단계의 파악 결과 제1단말(111)이 긴급 단말이면, 기존에 이미 접속하여 동작하고 있던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Non-CSG 단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02)와, S502 단계의 판단 결과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Non-CSG 단말이 존재하면, Non-CSG 단말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S504)와, S502 단계의 판단 결과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Non-CSG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S506)와, S500 단계의 파악 결과 제1단말(111)이 긴급 단말이 아니면, 제1단말(111)이 CSG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08)와, S508 단계의 판단 결과 제1단말(111)이 CSG 단말이면, 복수의 제2단말(112) 중 Non-CSG 단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10)와, S510 단계의 판단 결과 복수의 제2단말(112) 중 Non-CSG 단말이 존재하면, Non-CSG 단말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S512)와, S510 단계의 판단 결과 복수의 제2단말(112) 중 Non-CSG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S514)와, S508 단계의 판단 결과 제1단말(111)이 CSG 단말이 아니면, 복수의 제2단말(112) 중 Non-CSG 단말 및 제1단말(111) 중에서 수신 신호 품질이 가장 낮은 단말을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S516) 등을 포함한다.
도 6은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의 또 다른 예시 흐름도이다.
도 6에 예시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는, 수용 용량이 포화된 스몰셀 기지국(110)의 접속 모드 유형이 개방 접속 모드(Open Access Mode)인 경우에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기 위한 단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단계(S204)는, 새롭게 호 접속 요청을 한 제1단말(111)이 긴급 호와 관련된 긴급 단말인지를 파악하는 단계(S600)와, 제1단말(111)이 긴급 단말이면, 기존에 이미 접속하여 동작하고 있던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S602)와, 제1단말(111)이 긴급 단말이 아니면,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S604) 등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들에 따라, 새롭게 호 접속 요청을 한 제1단말(111)과 기존에 이미 접속하여 동작하고 있는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이 선정된 이후, 선정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에 대한 액세스 제어가 수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에 대한 액세스 제어 단계(S206)에서, 스몰셀 기지국(110)은 선정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이 매크로셀 기지국(11) 또는 인접한 다른 스몰셀 기지국(미도시)으로 접속 유도 또는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액세스 제어 단계(S206)에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에 대한 매크로셀 기지국(11) 또는 인접한 다른 스몰셀 기지국(미도시)으로의 접속 유도 또는 이동은, 기존 시스템에서도 이용되고 있는 서빙 래디오 네트워크 서브 시스템 재배치(SRNS(Serving Radio Network Subsystem) Relocation) 절차, 하드 핸드오버(Hard Handover) 등의 핸드오버 절차, 또는 리다이렉션(Redirection) 절차 등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액세스 제어 단계(S206)에서, 스몰셀 기지국(110)은, 초기 설정 또는 스니프(Sniff) 모드 동작 시 측정한 주변 매크로셀 정보에 기반하여 가장 좋은 신호 품질을 갖는 매크로셀 기지국(11)으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이 접속 유도 또는 리다이렉션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매크로셀 기지국(11)로 접속 유도시킬 때는, 스몰셀 기지국(110)이 초기 설정 또는 스니프(Sniff) 모드 동작 시 측정한 주변 매크로셀 정보에 기반하여 가장 좋은 신호 품질을 갖는 매크로셀 주파수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접속 유도시킬 수 있다.
또한 매크로셀 기지국(11)으로의 이동 시 통상적인 SRNS 재배치(Relocation) 절차를 따를 수도 있고,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의 타겟 매크로셀 기지국 선택 절차를 거치지 않고 스몰셀 기지국(110)이 초기 설정 또는 스니프(Sniff) 모드 동작 시 측정한 주변 매크로셀 정보에 기반하여 가장 좋은 신호 품질을 갖는 매크로셀을 타겟 매크로셀로 지정하여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에 대한 이동 절차를 유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스몰셀 기지국(110)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스몰셀 기지국(110)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스몰셀 기지국(110)은, 스몰셀 기지국(110)의 스몰셀 커버리지(100) 내에서 제1단말(111)로부터 호 접속 요청을 수신되면, 스몰셀 커버리지(100)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기존 접속 단말 개수(즉, 제2단말(112)의 개수)가 스몰셀 기지국(110)의 수용 용량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액세스 제어 여부 판단부(710)와, 기존 접속 단말 개수가 수용 용량 이상이면, 스몰셀 커버리지(100)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복수의 제2단말(112) 및 호 접속 요청을 송신한 제1단말(111) 각각의 신호품질정보에 근거하여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중에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부(720)와,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이 매크로셀 기지국(11) 또는 인접한 다른 스몰셀 기지국으로 접속 유도 또는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액세스 제어부(730) 등을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스몰셀 기지국(110)은, 제1단말(111)로부터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할 당시에 스몰셀 기지국(110)에 접속하여 동작하고 있던 제2단말(112)의 개수인 기존 접속 단말 개수가 스몰셀 기지국(110)의 수용 용량 이상이면,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으로 신호품질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으로부터 신호품질정보가 포함된 신호품질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의 신호품질정보를 획득하는 신호품질정보 획득부(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부(720)는,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의 신호품질정보에 근거하여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에 대한 접속 우선 순위를 정하고, 정해진 접속 우선 순위에 따라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전술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부(720)는,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에 대한 긴급 호 관련 여부,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에 대한 CSG 단말 여부 및 스몰셀 기지국(110)의 접속 모드 유형 중 하나 이상과, 제1단말(111) 및 복수의 제2단말(112) 각각의 신호품질정보에 근거하여,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인 선정 방식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전술한 스몰셀 기지국(110)은, 일 예로, 펨토셀 기지국, 피코셀 기지국 및 마이크로셀 기지국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만약, 스몰셀 기지국(110)이 펨토셀 기지국인 경우, 스몰셀 기지국(110)은 3GPP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의 Home NodeB(HNB) 또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에서의 Home eNodeB(HeN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기지국(110)이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은, 스몰셀 기지국(110)의 스몰셀 커버리지(100) 내에서의 단말들 각각의 신호품질정보를 포함하는 참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800)와, 획득된 참조정보에 근거하여 스몰셀 커버리지(100) 내에서의 단말들 중에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단계(S802)와,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이 매크로셀 기지국(10) 또는 다른 스몰셀 기지국으로 접속 유도 또는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8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800)에서, 스몰셀 기지국(110)은 신호품질정보 이외에도, 긴급 호 관련 여부, CSG 단말 여부, 접속 모드 유형 및 등 데이터 전송량 등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S802)에서, 스몰셀 기지국(110)은 획득된 참조정보에 근거하여 스몰셀 커버리지(100) 내에서의 단말들 각각의 접속 우선 순위를 정하고, 정해진 접속 우선 순위에 따라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에 따르면, 스몰셀 기지국(110)은 스몰셀 기지국(110)의 수용용량이 포화된 상태에서 새로운 호 접속 요청이 수신되었을 때 새로운 호 접속 요청을 한 단말(제1단말(111))과 기존에 이미 접속되어 동작 중인 단말(제2단말(112)) 중에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여 매크로셀 기지국(10) 또는 다른 스몰셀 기지국으로 접속 유도 또는 이동시키는 제어를 할 수 있고,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에 따르면, 스몰셀 기지국(110)은 스몰셀 기지국(110)의 수용용량이 포화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의 서비스 성능(예: 데이터 전송 속도, 지연, 트래픽 밸런스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에 이미 접속되어 있던 단말들 중에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여 매크로셀 기지국(10) 또는 다른 스몰셀 기지국으로 접속 유도 또는 이동시키는 제어를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몰셀과 매크로셀 간의 간섭을 완화하고 스몰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몰셀에서의 효율적인 액세스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펨토셀 등의 스몰셀의 수용 용량이 이미 포화된 상태에서 새로운 호 접속 요청이 수신된 경우 스몰셀과 매크로셀 간의 간섭을 완화하고 스몰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몰셀에서의 효율적인 액세스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스몰셀 기지국이 제공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용 용량이 포화된 상기 스몰셀 기지국의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의 제1단말로부터 새로운 호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복수의 제2단말 및 상기 호 접속 요청을 송신한 상기 제1단말 각각의 신호품질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이 매크로셀 기지국 또는 다른 스몰셀 기지국으로 접속 유도 또는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의 신호품질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에 대한 접속 우선 순위를 정하고, 상기 정해진 접속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에 대한 긴급 호 관련 여부,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에 대한 폐쇄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 단말 여부 및 상기 수용 용량이 포화된 스몰셀 기지국의 접속 모드 유형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의 신호품질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긴급 호와 관련된 긴급 단말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긴급 단말이 존재하면,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상기 긴급 단말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긴급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 용량이 포화된 스몰셀 기지국의 접속 모드 유형이 제한 접속 모드인 경우,
    상기 제1단말이 긴급 호와 관련된 긴급 단말인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이 상기 긴급 단말이면,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이 상기 긴급 단말이 아니면, 상기 제1단말이 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이 상기 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이면,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말이 상기 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이 아니면, 상기 제1단말을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 용량이 포화된 스몰셀 기지국의 접속 모드 유형이 하이브리드 접속 모드인 경우,
    상기 제1단말이 긴급 호와 관련된 긴급 단말인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이 상기 긴급 단말이면,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비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Non-CSG: Non-Closed Subscriber Group)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비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이 존재하면, 비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비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이 상기 긴급 단말이 아니면, 상기 제1단말이 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이 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이면,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 비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 비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이 존재하면, 비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 비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말이 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이 아니면,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 비폐쇄 가입자 그룹 단말 및 상기 제1단말 중에서 수신 신호 품질이 가장 낮은 단말을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 용량이 포화된 스몰셀 기지국의 접속 모드 유형이 개방 접속 모드인 경우,
    상기 제1단말이 긴급 호와 관련된 긴급 단말인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1단말이 상기 긴급 단말이면,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말이 상기 긴급 단말이 아니면,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신호품질정보가 가장 낮은 단말을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으로 신호품질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으로부터 신호품질정보가 포함된 신호품질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의 신호품질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로 송신되는 신호품질정보 요청 메시지는 래디오 리소스 컨트롤 커넥션 요청(RRC(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QUEST) 메시지이고,
    상기 복수의 제2단말로 송신되는 신호품질정보 요청 메시지는 측정 리포트(MEASUREMENT REPORT)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초기 설정 또는 스니프(Sniff) 모드 동작 시 측정한 주변 매크로셀 정보에 기반하여 가장 좋은 신호 품질을 갖는 상기 매크로셀 기지국으로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이 접속 유도 또는 리다이렉션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량이 포화된 상기 스몰셀 기지국의 상기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제2단말의 개수는, 상기 수용 용량이 포화된 스몰셀 기지국의 수용 용량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품질정보는,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CINR: Carrier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수신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및 수신 레벨(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
  13.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스몰셀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스몰셀 기지국의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 제1단말로부터 호 접속 요청을 수신되면, 상기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기존 접속 단말 개수가 상기 스몰셀 기지국의 수용 용량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액세스 제어 여부 판단부;
    상기 기존 접속 단말 개수가 상기 수용 용량 이상이면, 상기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 동작하고 있는 복수의 제2단말 및 상기 호 접속 요청을 송신한 상기 제1단말 각각의 신호품질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중에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부; 및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이 매크로셀 기지국 또는 다른 스몰셀 기지국으로 접속 유도 또는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액세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스몰셀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접속 단말 개수가 상기 수용 용량 이상이면,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으로 신호품질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으로부터 신호품질정보가 포함된 신호품질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의 신호품질정보를 획득하는 신호품질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스몰셀 기지국.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부는,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의 신호품질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에 대한 접속 우선 순위를 정하고, 상기 정해진 접속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스몰셀 기지국.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 선정부는,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에 대한 긴급 호 관련 여부,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에 대한 폐쇄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 단말 여부 및 상기 스몰셀 기지국의 접속 모드 유형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복수의 제2단말 각각의 신호품질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스몰셀 기지국.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몰셀 기지국은
    펨토셀 기지국, 피코셀 기지국 및 마이크로셀 기지국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스몰셀 기지국.
  18. 스몰셀 기지국이 제공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스몰셀 기지국의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의 단말들 각각의 신호품질정보를 포함하는 참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참조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의 단말들 중에서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이 매크로셀 기지국 또는 다른 스몰셀 기지국으로 접속 유도 또는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긴급 호 관련 여부, 폐쇄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 단말 여부 및 접속 모드 유형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더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참조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몰셀 커버리지 내에서의 단말들 각각의 접속 우선 순위를 정하고, 상기 정해진 접속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액세스제어대상 단말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몰셀 액세스 제어 방법.
KR1020110057341A 2011-06-14 2011-06-14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스몰셀 기지국 KR101602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341A KR101602975B1 (ko) 2011-06-14 2011-06-14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스몰셀 기지국
PCT/KR2012/004323 WO2012173347A2 (ko) 2011-06-14 2012-05-31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스몰셀 기지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341A KR101602975B1 (ko) 2011-06-14 2011-06-14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스몰셀 기지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063A true KR20120138063A (ko) 2012-12-24
KR101602975B1 KR101602975B1 (ko) 2016-03-11

Family

ID=4735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341A KR101602975B1 (ko) 2011-06-14 2011-06-14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스몰셀 기지국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2975B1 (ko)
WO (1) WO2012173347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9478A1 (ko) * 2013-01-14 2014-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탐색 신호에 기반한 소규모 셀 검출 방법
WO2015020449A1 (ko) * 2013-08-09 2015-0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듀얼 커넥티비티 지원을 위한 pdcp 분산 구조의 보안 키 생성 및 관리 방안
WO2015037940A1 (ko) * 2013-09-12 2015-03-19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무선랜 탐색 방법 및 무선랜 탐색 정보 전달 방법
WO2021070991A1 (ko) * 2019-10-10 2021-04-15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상위 네트워크 접속 품질에 연동한 무선 인터넷 접속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0894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5624A1 (ko) * 2013-07-07 2015-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의 이중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5307243A (zh) * 2014-07-22 2016-02-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接入网及其服务小小区的选择方法和装置
KR102168920B1 (ko) 2018-11-08 2020-10-22 박순구 Led 조명이 결합된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
KR102129750B1 (ko) 2019-03-22 2020-07-06 박순구 영상 획득이 가능한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
KR102129753B1 (ko) 2019-03-29 2020-07-06 박순구 환경 데이터 측정이 가능한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
KR102182207B1 (ko) 2019-04-05 2020-11-24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조명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128377B1 (ko) 2019-04-15 2020-07-08 박순구 비상전력 수단이 구비된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
KR102160418B1 (ko) 2019-06-03 2020-09-29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영상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218258B1 (ko) 2019-06-10 2021-02-22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환경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318990B1 (ko) 2019-09-18 2021-10-29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5g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관리 시스템
KR102302939B1 (ko) 2019-09-25 2021-09-16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5g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빌딩 관리 시스템
KR102199090B1 (ko) 2019-10-02 2021-01-07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교통정보 관리 시스템
KR20210095765A (ko) 2020-01-23 2021-08-03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을 위한 커버형 통합 패키징 시스템
KR102284466B1 (ko) 2020-01-29 2021-08-03 박순구 위급상황 대비를 위한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의 통합 패키징 시스템
KR102348326B1 (ko) 2020-02-11 2022-01-10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의료 관리 시스템
KR102419591B1 (ko) 2020-03-04 2022-07-12 박순구 5세대 이동통신 기반에서의 5g 스몰 셀 기지국 장치를 이용한 교육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592B1 (ko) * 2008-09-24 2010-11-04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 셀에서의 이동 단말의 접속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US20110007712A1 (en) * 2009-07-13 2011-01-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effective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045B1 (ko) * 2008-10-06 2010-12-14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셀 서비스 환경에서의 펨토셀로 접근 불가능한 이동단말을 매크로셀로 접속 유도하기 위한 주파수 천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00126631A (ko) * 2009-05-24 2010-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펨토 기지국에서 단말의 진입 제한 기법
KR20110023723A (ko) * 2009-08-28 2011-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592B1 (ko) * 2008-09-24 2010-11-04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 셀에서의 이동 단말의 접속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펨토 기지국
US20110007712A1 (en) * 2009-07-13 2011-01-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effective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8431B2 (en) 2013-01-14 2018-02-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cting small cell on basis of discovery signal
WO2014109478A1 (ko) * 2013-01-14 2014-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탐색 신호에 기반한 소규모 셀 검출 방법
US10601792B1 (en) 2013-08-09 2020-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ty key gener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PDCP distributed structure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KR20150018265A (ko) * 2013-08-09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커넥티비티 지원을 위한 pdcp 분산 구조의 보안 키 생성 및 관리 방안
US9930016B2 (en) 2013-08-09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ty key gener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PDCP distributed structure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US10142299B2 (en) 2013-08-09 2018-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ty key gener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PDCP distributed structure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US10404666B2 (en) 2013-08-09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ty key gener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PDCP distributed structure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US10601791B2 (en) 2013-08-09 2020-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ty key gener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PDCP distributed structure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WO2015020449A1 (ko) * 2013-08-09 2015-0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듀얼 커넥티비티 지원을 위한 pdcp 분산 구조의 보안 키 생성 및 관리 방안
US11050727B2 (en) 2013-08-09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urity key generation and management method of PDCP distributed structure for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WO2015037940A1 (ko) * 2013-09-12 2015-03-19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무선랜 탐색 방법 및 무선랜 탐색 정보 전달 방법
WO2021070991A1 (ko) * 2019-10-10 2021-04-15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상위 네트워크 접속 품질에 연동한 무선 인터넷 접속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2635A (ko) * 2019-10-10 2021-04-20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상위 네트워크 접속 품질에 연동한 무선 인터넷 접속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0894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무선 통신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73347A3 (ko) 2013-03-28
KR101602975B1 (ko) 2016-03-11
WO2012173347A2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975B1 (ko) 스몰셀 액세스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스몰셀 기지국
US11483720B2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KR101450406B1 (ko) 홈 기지국을 식별하기 위한 ue 방문 셀 히스토리 정보 이용
KR10172220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지원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271258B2 (en) Communication units, integrated circuits and methods therefor
US9179378B2 (en) Femtocell base station, and a method of selecting carrier frequency band of a femtocell base station
KR20130042617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셀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245272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Backhaul Management
EP3925286B1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for adapting relaxed radio measurement procedure
EP2805555B1 (en) Network elemen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measurement configuration at a subscriber unit
US8798630B2 (en) Femtocell base station
US8971910B2 (en) Network element,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24054165A (ja) ハンドオーバを開始するための方法、ノード、およびue
KR2019000561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부하 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4930900A (zh) 用于最小化路测mdt报告的通信装置、基础设施设备、核心网络元件和方法
KR20120067621A (ko) 이기종 망 간의 핸드오버시 역방향 트래픽 채널 할당 방법 및 그를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
KR101639944B1 (ko) 무선통신망 기반 타겟노드에 의한 개선된 핸드오버 수행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기지국
CN113891416A (zh) 小区接入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
US8712469B2 (en) Accessing a base station
KR2013007818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선택적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JP6037147B2 (ja) デュアルモード・フェムトapにおけるフロー制御
JP2013201502A (ja) 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装置、無線基地局装置、管理装置および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GB2490311A (en)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multimode base station
JP2013201632A (ja) 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装置、無線基地局装置、管理装置および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