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022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022A
KR20120138022A KR1020110057267A KR20110057267A KR20120138022A KR 20120138022 A KR20120138022 A KR 20120138022A KR 1020110057267 A KR1020110057267 A KR 1020110057267A KR 20110057267 A KR20110057267 A KR 20110057267A KR 20120138022 A KR20120138022 A KR 20120138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ath switching
switching unit
washing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2169B1 (ko
Inventor
표준호
정문기
신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16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8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47L15/007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with a plurality of fluid recirculation arrangements, e.g. with separated washing liquid and rinsing liquid recircula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물을 향해 세척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분사부,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 상기 섬프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공급유로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각각 세척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유로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물을 향하여 세척수 등을 공급하여 세척을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분사부를 구비하게 되며, 상기 분사부의 조합에 의해 세척수를 다양한 방향에서 공급하여 세척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런데, 보다 다양한 분사부의 조합, 또는 다양한 방향에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세척수를 분배하는 장치의 대형화가 필요하였다. 하지만, 식기세척기의 체적은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분사부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방향에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단순한 구조에 의해 다양한 방향에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물을 향해 세척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분사부,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 상기 섬프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공급유로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각각 세척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유로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물을 향해 세척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분사암, 상기 수용공간의 소정 구역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 상기 분사암 및 분사노즐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 상기 섬프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분사암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 유로전환부와 상기 분사노즐 중에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유로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서로 연동하여 움직이는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복수개의 유로전환부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방향에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유로전환부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5 내지 도 10은 유로전환부의 회전에 따른 공급유로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을 구비한다. 캐비닛(10)은 전면에 도어(12)를 구비하여, 도어(12)를 개방하여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물을 캐비닛(10)의 내부로 투입하게 된다.
캐비닛(10)의 내부는 먼저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4)을 제공하는 터브(20)를 구비한다. 터브(20)는 세척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므로 캐비닛(10)에서 수용공간(14)의 체적을 최대한 확보하도로고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브(20)의 내부에는 세척대상물을 직접 수용하는 랙(32, 34)을 구비하게 된다. 랙(32, 34)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랙(32)과 하부랙(34)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터브(20)의 내부에는 세척대상물을 향해 세척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분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분사부는 전술한 랙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도 있지만, 랙의 개수에 상관없이 더 많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부는 터브(20)에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분사암(42, 44, 46)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분사암(42, 44, 46)은 터브(20) 내측에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예를 들어 터브(20)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분사암(42, 44, 46)은 전술한 랙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또는 더 많거나 더 적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암(42, 44, 46)은 최상분사암(42), 상부분사암(44) 및 하부분사암(46)을 구비한다. 최상분사암(42)은 터브(20)의 내측 천정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하부를 향하여 세척수를 공급한다. 상부분사암(44)은 상부랙(32)을 향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하부분사암(46)은 하부랙(34)을 향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터브(20)에 움직임 없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분사노즐(50)은 분사암(42, 44, 46)과 달리 터브(20) 내측에 움직임 없이 고정되어 구비된다. 이 경우, 분사노즐(50)은 터브(20) 내부의 소정 구역을 향해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노즐(50)은 터브(20) 내부의 소정 구역을 향해 세척수를 집중적으로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분사노즐(50)에 의해 소정 구역을 향해 집중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소정 구역에 수용된 세척대상물의 세척효과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더욱 빠른 시간 내에 세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소정 구역은 터브(20) 내측에 직접 구비되거나, 전술한 랙(32, 34)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브(20)의 내측에 직접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장치가 구비된 구역을 향해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분사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랙(32, 34)의 일부에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별도의 공간을 구비하고 소위 '집중 세척 구역'으로 정의하여 분사노즐에 의해 집중 세척 구역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식기세척기(100)는 전술한 분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6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섬프(60)는 급수라인(70)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으며 이를 급수펌프(72)의 구동에 의해 분사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섬프(60)는 각 분사부와 연결되는 공급유로(62, 64, 66, 68)를 구비한다. 즉, 분사암(42, 44, 46)과 연결되는 분사암유로(62, 64, 66)와 분사노즐(50)과 연결되는 분사노즐유로(68)가 섬프(60)와 연결된다. 분사암유로(62, 64, 66)는 전술한 분사암(42, 44, 46)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예를 들어, 최상분사암(42), 상부분사암(44) 및 하부분사암(46)을 구비하는 경우에 분사암유로(62, 64, 66)는 최상분사암유로(62), 상부분사암유로(64) 및 하부분사암유로(6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섬프(60)는 세척을 마친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터브(20)에서 세척을 마친 세척수는 하부의 섬프(60)로 집수되어 배수펌프(74)의 구동에 의해 배수라인(76)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배수되는 세척수는 각종 이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지역 또는 나라에 따라 이러한 이물질을 포함한 세척수를 버리는 것이 금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섬프(60)는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부(80)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부(80)는 후속하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섬프(6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섬프(60)는 세척수를 필터링하는 필터부(8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80)는 공급되는 세척수와 배수되는 세척수를 모두 필터링할 수 있다. 즉, 급수라인(70)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는 필터부(80)를 거쳐 필터링 되며, 이어서 급수펌프(72)의 구동에 의해 후술하는 전환챔버(90)를 통해 분사부로 공급된다. 또한, 세척을 마친 세척수는 터브(20)에서 섬프(60)로 낙하하여 필터부(80)로 집수된다. 필터부(80)에서 필터링된 세척수는 배수라인(76)을 통해서 배수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사부와 연결되는 각 공급유로(62, 64, 66, 68)는 섬프(60)에 연결되며, 구체적으로 섬프(60)에 구비된 전환챔버(90)와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80)에서 전환챔버(90)로 공급된 세척수는 전환챔버(90)에서 공급유로(62, 64, 66, 68) 중에 적어도 하나로 공급된다. 즉, 전환챔버(90)의 내부에 유로전환부를 구비하고 유로전환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공급유로(62, 64, 66, 68)를 통해서 세척수를 공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유로전환부는 개구부를 구비하여 전환챔버(9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유로전환부가 회전하는 경우에 유로전환부의 개구부와 공급유로(62, 64, 66, 68) 중에 하나가 연결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공급유로를 향하여 세척수가 공급된다. 반면에 유로전환부의 개구부와 공급유로가 모두 연결되지 않으면 공급유로로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는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복수개의 유로전환부를 구비하여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유로전환부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비하여 보다 다양한 공급모드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공급모드라 함은 예를 들어 분사암을 둘 이상 구비하는 경우에 분사암의 조합에 의한 세척수의 공급을 말한다. 예를 들어, 2개의 분사암, 상부분사암과 하부분사암을 구비한 경우에 상부분사암으로 세척수 공급, 하부분사암으로 세척수 공급 및 상부와 하부분사암으로 동시에 세척수 공급의 3개의 조합이 가능하다. 결국, 복수개의 유로전환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보다 다양한 공급모드에 의한 세척수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은 섬프(60)에서 전환챔버(9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섬프(60)의 일측에 전환챔버(90)가 구비된다. 전환챔버(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80)와 연결되는 연결유로(82)를 구비한다. 연결유로(82)를 통하여 필터링된 세척수가 공급된다. 또한, 전환챔버(90)에는 복수개의 분사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공급유로(62, 64, 66, 68)가 연결된다. 이러한 공급유로(62, 64, 66, 68)는 전환챔버(90)의 소정부위, 예를 들어 측면, 상부 및 하부 중에 적어도 한 곳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공급유로(62, 64, 66, 68)가 전환챔버(90)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전환챔버(90)의 상부에는 회전 가능한 분사암(42, 44, 46)과 연결되는 분사암유로(62, 64, 66)가 연결될 수 있으며, 전환챔버(90)의 하부에는 고정되어 구비되는 분사노즐(50)과 연결되는 분사노즐유로(68)가 연결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전환챔버(90)의 상부에 분사노즐유로가 연결되고 하부에 분사암유로가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전환챔버(90)의 상부를 덮는 커버(99)를 구비하고, 커버(99)에 분사암유로(62, 64, 66)가 연결되는 분사구(92, 94, 96)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 3개의 분사구(92, 94, 96)를 도시한 이유는 3개의 분사암, 즉 최상분사암(42), 상부분사암(44) 및 하부분사암(46)을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 때문이다. 분사암(42, 44, 46)의 개수에 따라서 분사구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커버(99)에 구비된 분사구는 각각 최상분사암유로(62)와 연결되는 최상분사구(92), 상부분사암유로(64)와 연결되는 상부분사구(94) 및 하부분사암유로(66)와 연결되는 하부분사구(9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환챔버(90)의 하부에는 분사노즐유로(68)가 연결되는 분사노즐분사구(98)를 구비할 수 있다. 결국, 전환챔버(90) 내부의 세척수가 전술한 분사구(92, 94, 96, 98)를 통하여 공급유로(62, 64, 66, 68)로 유입되면 대응하는 분사암(42, 44, 46) 또는 분사노즐(50)로 세척수가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복수개의 분사구(92, 94, 96, 98) 또는 복수개의 공급유로(62, 64, 66, 68)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조절하는 수단, 유로전환부(130)를 구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유로전환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유로전환부(130)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로전환부(130)는 전술한 공급유로(62, 64, 66, 68) 중에 적어도 하나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 유로전환부(110)와 제1 유로전환부(110)와 상이한 공급유로(62, 64, 66, 68)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유로전환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유로전환부(110)와 제2 유로전환부(120)는 서로 상이한 공급유로를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로전환부(11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분사암(42, 44, 46)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제2 유로전환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50) 중에 적어도 하나를 향해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챔버(90)의 상부에 분사암유로가 연결되고 하부에 분사노즐유로가 연결되는 구성에서 제1 유로전환부(110)는 전환챔버(90)의 내부에서 상면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유로전환부(120)는 하면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유로전환부(130)를 도시하기 위하여 도 3에서 커버(99)를 제외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환챔버(90)의 내부에서 제1 유로전환부(110)와 제2 유로전환부(120)는 서로 수직한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즉, 제1 유로전환부(110)가 전환챔버(90)의 내부에서 상부에 구비되며 제2 유로전환부(120)가 하부에 구비된다.
제1 유로전환부(110)는 원형을 가지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전환챔버(9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제1 유로전환부(110)는 복수개의 분사암분사구(92, 94, 96)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개구부(112, 114)를 구비한다. 즉, 제1 유로전환부(110)는 제1 개구부(112)와 제2 개구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개구부(114)는 제1 개구부(112)에 비하여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개구부(114)는 원주방향으로 제1 개구부(112)에 비하여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한정된 플레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에 보다 다양한 분사암의 조합에 의해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즉, 플레이트의 크기는 식기세척기의 내부 공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소정 크기 이상으로 키울 수 없다. 또한, 플레이트에 분사구의 개수에 대응하여 개구부를 늘리게 되면 플레이트의 강성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1 유로전환부(110)는 분사암의 개수에 비하여 적은 개수의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각 개구부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로전환부(110)가 회전하는 경우에 제1 개구부(112) 및 제2 개구부(114) 중에 적어도 하나가 최상분사구(92), 상부분사구(94) 및 하부분사구(96) 중에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면 연결된 개구부와 분사구를 통하여 대응하는 분사암으로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유로전환부(120)는 제3 개구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유로전환부(120)가 회전하는 경우에 제3 개구부(122)가 분사노즐분사구(98)와 연결되면 연결된 개구부와 분사구를 통하여 대응하는 분사암으로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유로전환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유로전환부는 서로 연동하여 또는 동일한 위상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제2 유로전환부(120)는 제1 유로전환부(110)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유로전환부(120)는 제1 유로전환부(110)와 서로 동일한 위상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유로전환부(110)와 제2 유로전환부(120)는 서로 동일한 회전축(91, 도 3 참조)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제1 유로전환부(110)와 제2 유로전환부(120)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유로전환부(130)가 회전하면서 적절한 분사구(92, 94, 96, 98)를 통하여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유로전환부(130)의 개구부(112, 114, 122)가 어느 하나의 분사구(92, 94, 96, 98)와 연통하는 경우에 다른 분사구들은 모두 막힌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세척수가 공급되는 경우에 유로전환부(130)가 분사구(92, 94, 96, 98)에 최대한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유로전환부(110)와 제2 유로전환부(120) 중에 적어도 하나는 전환챔버(90)를 향하여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유로전환부(110)와 제2 유로전환부(120)는 회전축을 따라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환챔버(90)의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면 세척수의 압력에 의하여 제1 유로전환부(110)와 제2 유로전환부(120)는 전환챔버(90)의 분사구(92, 94, 96, 98)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유로전환부(110)와 제2 유로전환부(120)는 전환챔버(90)에 밀착하게 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제1 유로전환부(110)와 제2 유로전환부(120)는 전환챔버(90)의 분사구(92, 94, 96, 98)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와 연통하는 공급유로를 통해서만 세척수가 공급되며, 나머지 공급유로는 유로전환부에 의해 막히게 되어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
도 5 내지 도 10은 제1 유로전환부(110)의 회전에 따른 공급유로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유로전환부(110)의 회전에 따른 세척수의 공급관계를 살펴본다. 이하에서는 제1 유로전환부(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도 물론 가능하며, 이하 설명하는 도면을 역순으로 하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해당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유로전환부(110)의 제1 개구부(112)는 커버(99)의 하부분사구(96)와 연통하고, 제2 개구부(114)는 커버(99)의 최상분사구(92)와 상부분사구(94)와 모두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세척수는 최상분사암(42), 상부분사암(44) 및 하부분사암(46)으로 모두 공급된다.
도 5에서 제1 유로전환부(110)가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하여 도 6의 상태가 되면, 제2 개구부(114)가 최상분사구(92)와 연통하게 된다. 하지만, 제1 개구부(112)는 어느 분사구와도 연통하지 않으며 나머지 상부분사구(94) 및 하부분사구(96)는 막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세척수는 최상분사구(92)를 통하여 최상분사암(42)으로만 공급된다.
도 6에서 제1 유로전환부(110)가 다시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하여 도 7의 상태가 되면, 제1 개구부(112)가 상부분사구(94)와 연통하게 되며, 제2 개구부(114)는 어느 분사구와도 연통하기 않는다. 따라서, 세척수는 상부분사구(94)를 통하여 상부분사암(44)으로만 공급된다.
제1 유로전환부(110)가 시계방향으로 다시 회전하여 도 8의 상태가 되면 제1 개구부(112)는 최상분사구(92)와 연통하며 제2 개구부(114)는 하부분사구(96)와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세척수는 최상분사암(42)과 하부분사암(46)으로 공급된다.
도 8의 상태에서 제1 유로전환부(110)가 소정각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9의 상태가 되면, 제2 개구부는 여전히 하부분사구(96)와 연통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제1 개구부(112)는 어느 분사구와도 연통하지 않게 된다. 제1 유로전환부(110)가 회전하여도 제2 개구부(114)가 여전히 하부분사구(96)와 연통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제2 개구부(114)가 원주방향으로 제1 개구부(112)에 비하여 더 길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척수는 하부분사암(46)으로만 공급된다.
이어서, 제1 유로전환부(110)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도 10의 상태가 되면, 제2 개구부(114)가 상부분사구(94)와 연통하고 제1 개구부(112)는 어느 분사구와도 연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세척수는 상부분사암(44)으로만 공급된다.
한편, 전술한 도 5 내지 도 10의 설명은 3개의 분사암(3개의 분사구)을 구비하고 유로전환부에 2개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암의 조합의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분사암의 개수(분사구의 개수), 유로전환부에 구비된 개구부의 개수가 달라지게 되면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는 분사암의 조합도 물론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제2 유로전환부(120)도 마찬가지로 전환챔버(9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유로전환부(120)가 제1 유로전환부(110)와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경우에 제1 유로전환부(110)와 제2 유로전환부(120)는 서로 동일한 회전축(91)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제1 유로전환부(110)와 제2 유로전환부(120)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유로전환부(120)는 하나의 제3 개구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로전환부(120)가 회전하여 제3 개구부(122)가 분사노즐분사구(98)와 연통하는 경우에 세척수가 분사노즐분사구(98)를 통하여 분사노즐(5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1 유로전환부(110)와 제2 유로전환부(120)가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경우에 제1 유로전환부(110)에 의한 세척수의 공급과 제2 유로전환부(120)에 의한 세척수의 공급모드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로전환부(110)에 의해 최상분사암(42)으로 세척수가 공급되는 경우에 제2 유로전환부(120)가 분사노즐(50)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제1 유로전환부(110)와 제2 유로전환부(120)의 배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 유로전환부(110)가 전술한 도 6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 제2 유로전환부(120)의 제3 개구부(122)가 분사노즐분사구(98)와 연통하도록 제1 유로전환부(110)와 제2 유로전환부(120)의 배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모드는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며, 제1 유로전환부(110)에 의해 상부분사암(44)으로 세척수가 공급되는 경우에 제2 유로전환부(120)가 분사노즐(50)로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또는 제1 유로전환부(110)에 의해 하부분사암(46)으로 세척수가 공급되는 경우에 제2 유로전환부(120)가 분사노즐(50)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경우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복수개의 유로전환부는 서로 동일한 위상으로 또는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유로전환부와 제2 유로전환부가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상이한 위상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유로전환부와 제2 유로전환부는 각가 별개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또한 각각 별개의 모터에 연결되어, 제1 유로전환부와 제2 유로전환부가 각각 상이한 위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유로전환부는 그 회전축이 모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환챔버에 구비되는 분사구의 위치에 따라 복수개의 유로전환부 중에 적어도 하나는 회전축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복수개의 유로전환부 중에 적어도 하나는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10...캐비닛 20...터브
32...상부랙 34...하부랙
42...최상분사암 44...상부분사암
46...하부분사암 50...분사노즐
60...섬프 80...필터부
90...전환챔버 110...제1 유로전환부
120...제2 유로전환부

Claims (18)

  1.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물을 향해 세척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분사부;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
    상기 섬프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공급유로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각각 세척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유로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공급유로가 각각 연결되는 전환챔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유로전환부는 상기 전환챔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로전환부는 회전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공급유로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로전환부는 상기 공급유로 중에 적어도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로전환부 중에 적어도 하나는 회전축이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로전환부 중에 적어도 하나는 회전축이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로전환부는 서로 연동하여 동일한 위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로전환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부는 상기 복수개의 공급유로 중에 적어도 하나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 유로전환부와 상기 제1 유로전환부와 상이한 공급유로를 향해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유로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분사부는 상기 터브에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분사암과 상기 터브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소정구역을 향해 세척수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유로전환부는 상기 복수개의 분사암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 유로전환부와 상기 분사노즐 중에 적어도 하나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유로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암과 연결되는 공급유로는 상기 전환챔버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공급유로는 상기 전환챔버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전환부와 상기 제2 유로전환부는 상기 전환챔버의 내부에 수직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전환부와 제2 유로전환부 중에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환챔버를 향하여 소정거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전환부와 제2 유로전환부에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환챔버로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전환챔버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되는 공급구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6.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물을 향해 세척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분사암;
    상기 수용공간의 소정 구역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
    상기 분사암 및 분사노즐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
    상기 섬프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분사암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 유로전환부와 상기 분사노즐 중에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유로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전환부와 상기 제2 유로전환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전환부와 상기 제2 유로전환부는 서로 연동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10057267A 2011-06-14 2011-06-14 식기세척기 KR101812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267A KR101812169B1 (ko) 2011-06-14 2011-06-14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267A KR101812169B1 (ko) 2011-06-14 2011-06-14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022A true KR20120138022A (ko) 2012-12-24
KR101812169B1 KR101812169B1 (ko) 2017-12-26

Family

ID=47904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267A KR101812169B1 (ko) 2011-06-14 2011-06-14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1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939A (ko) * 2013-12-04 2015-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EP3750469A4 (en) * 2018-02-08 2021-11-17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US11330957B2 (en) 2017-03-17 2022-05-17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563B1 (ko) * 1992-09-04 1994-10-15 대우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JP4674523B2 (ja) * 2005-10-13 2011-04-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939A (ko) * 2013-12-04 2015-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11330957B2 (en) 2017-03-17 2022-05-17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750469A4 (en) * 2018-02-08 2021-11-17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US11357383B2 (en) 2018-02-08 2022-06-14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2169B1 (ko)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033B1 (ko) 식기 세척기의 세척 유로 제어 장치
US8858729B2 (en) Fluid flow diverter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8287660B2 (en) Upper spray arm water deflector
US9801522B2 (en) Dish 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90623B1 (ko) 식기세척기
CN203662705U (zh) 洗碗机
KR102007843B1 (ko) 식기세척기
KR20070120392A (ko) 세척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US20130068259A1 (en) Dual direction, double tier spray arm assembly for a dishwashing appliance
KR102334614B1 (ko) 식기세척기
CN103654669A (zh) 洗碗机
US20120285496A1 (en) Dishwasher spray assembly
JP2008073131A (ja) 食器洗い機
KR20130011337A (ko) 식기 세척기
KR20100023176A (ko) 식기 세척기
KR20120138022A (ko) 식기세척기
KR101980706B1 (ko) 식기세척기
KR20120126598A (ko) 식기세척기
KR20120078276A (ko) 식기세척기
JP4483670B2 (ja) 食器洗い機
KR101769377B1 (ko) 식기세척기
US9687136B2 (en) Turbine fluid diverter for an appliance
US9307886B2 (en) Indexing passive diverter for an appliance
JP4770564B2 (ja) 食器洗い機
KR102493157B1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