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858A -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 - Google Patents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858A
KR20120137858A KR1020110056987A KR20110056987A KR20120137858A KR 20120137858 A KR20120137858 A KR 20120137858A KR 1020110056987 A KR1020110056987 A KR 1020110056987A KR 20110056987 A KR20110056987 A KR 20110056987A KR 20120137858 A KR20120137858 A KR 20120137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dium
point
anchor bolt
point pollutant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706B1 (ko
Inventor
고해선
Original Assignee
피씨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씨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씨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6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70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7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흐르는 배수로관의 바닥에 물에 함유된 비점오염물질을 흡착, 여과시키는 흡수용 매트를 설치하여 흡수용 매트를 통한 미생물적 분해를 통해 하천이나 호수의 유입되는 수질을 개선하도록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형성된 측벽으로 형성되어 물이 흐르는 배수로를 가지는 수로관 본체와;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에서 복 수개로 돌출되는 앵커 볼트; 및 상기 앵커 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앵커 볼트에 관통되어 상기 바닥면에 밀착, 고정이 되면서 배수로로 유입되는 물에 함유된 비점오염물질을 흡착, 여과시키는 흡수용 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물이 유입되어 흐르는 배수로관 내에 비점오염물질을 침전, 흡착시키는 볏짚 등이 내장된 흡수용 매트를 설치하여 볏짚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의 생물학적 분해를 통해 비점오염물질에 의한 수질을 개선하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Device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of waterway duct}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흐르는 배수로관의 바닥에 물에 함유된 비점오염물질을 흡착, 여과시키는 흡수용 매트를 설치하여 흡수용 매트를 통한 미생물적 분해를 통해 하천이나 호수의 유입되는 수질을 개선하도록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물질은 주로 비가 올 때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서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침식물, 축사유출물, 교통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동물 및 식물의 잔여물, 지표면에 떨어진 대기오염물질 등을 말한다.
따라서, 모든 오염물질을 포함한 채 배출되는 빗물이 실제로 주된 비점오염원이 된다. 비점오염물질은 대개 많은 비가 와야 유출되기 때문에 일간, 계절간 배출량의 차이가 크고 예측과 정량화가 어려우며, 인위적 조절이 어려운 기상조건, 지질, 지형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을 지니고 있고,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초기 강우에는 비점오염원의 농도가 높아 환경 파괴가 빈번히 일어나는 등의 문제가 있어 별도로 분리하여 정화 후 방류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그리고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강우시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구 및 배수관이 마련되어야하며, 배수관으로 흘러들어온 물은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 초기에 떨어진 빗물은 도로나 교량 또는 지붕 등의 오염물질과 섞여 배수관으로 유입되게 되어, 초기의 우수를 정화하기 위한 비점오염저감장치들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배수관으로 유입된 초기우수를 비점오염저감장치로 보내기 위한 초기우수 분리장치가 배수관 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초기우수 분리장치는 단순히 배수관의 일측면에 비점오염저감장치로 보내기 위한 배수구를 따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배수구에 격벽을 설치하여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장치들이 마련되었다.
이 경우에는 빗물이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구성이 있으나, 전원이 공급되어야만 초기우수 분리장치가 작동을 하게 되어, 강우량이 큰 집중호우나 폭우 등이 발생하면 과부하에 의한 역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도로상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이 대부분 초기 우수에 씻겨져서 비점오염저감장치로 보내지기 위한 배수구로 유입시 전원이 차단되거나 작동의 오류로 인해 격벽이 작동하지 않게 되면, 오염물질을 포함하지 않은 우수가 지속적으로 비점오염저감장치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우수처리장치는 농경지, 목장, 삼림 벌채지, 광산, 도시의 각종 공사장, 주차장, 도로 등에서 흘러내린 우수를 저장하면서 그 중에 포함된 비점 오염원을 제거한 후 하천으로 방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우수처리장치에는 유입되는 우수 중에 포함된 협잡물이나 유분 등의 비점 오염원을 수거하기 위해서 망이나 필터와 같은 형태의 수거부재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비점 오염원 수거부재는 우수처리장치 내부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부상된 오염물질이 우수와 함께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우수처리장치에 고정 설치된 비점 오염원 수거부재의 경우 오염물질이 쌓이면서 우수가 빠져나갈 수 있는 구멍을 차단하기 때문에 흐름을 방해받고, 그로 인해 우수처리의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종래의 비점 오염원 수거부재들은 미세한 입자나 유분은 우수와 함께 유입되어 처리되지 않고 방류되는 경우도 허다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가 유입되어 흐르는 배수로관 내에 비점오염물질을 흡착, 여과시키는 흡수용 매트를 설치하여 미생물의 생물학적 분해를 통해 비점오물질에 의한 수질을 개선하도록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로로 유입되는 초기 강우를 동력원이 필요 없고 간단한 미생물 서식을 통한 생물학적 초기 우수 분해를 통하여 다양한 오염원이 다량 함유된 초기 우수를 용이하게 분해하고 정화할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동력으로 초기 비점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여과할 수 있는 초기 우수 비점오염저감을 통하여 전원의 공급이 없이도 빗물에 씻겨 내려오는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한 초기우수를 용이하게 정화할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탈부착이 가능하여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가 편리한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연친화적이며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착 여과함과 아울러, 탈부착이 가능하여 일정주기마다 교체하여 생물학적 분해를 하는 미생물의 번식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일반 퇴비로도 재활용을 할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형성된 측벽으로 형성되어 물이 흐르는 배수로를 가지는 수로관 본체와;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에서 복 수개로 돌출되는 앵커 볼트; 및 상기 앵커 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앵커 볼트에 관통되어 상기 바닥면에 밀착, 고정이 되면서 배수로로 유입되는 물에 함유된 비점오염물질을 흡착, 여과시키는 흡수용 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흡수용 매트는 상기 수로관 본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바닥면에서 여과재를 흔들림없이 고정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재는 볏짚, 갈대, 또는 보릿대 중 어느 하나를 가마니형태로 엮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여과재에 밀착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로관 본체의 바닥면과 측벽이 마주하는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기 위한 사각테두리와; 상기 사각테두리의 안쪽에 상기 여과재의 전면이 보이도록 개방된 개방홀과; 상기 사각테두리의 일면에 다수 개로 관통되어 상기 앵커 볼트가 관통하는 관공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수로관 본체의 바닥면은 상기 측벽과 맞닿는 가장자리에서 안쪽 바닥면을 향해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수용 매트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바닥홈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형성된 측벽으로 형성되어 물이 흐르는 배수로를 가지는 수로관 본체와;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에서 복 수개로 돌출되는 앵커 볼트; 및 상기 앵커 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와; 상기 앵커 볼트에 관통되어 상기 바닥면에 밀착, 고정이 되면서 배수로로 유입되는 물에 함유된 비점오염물질을 흡착, 여과시키는 흡수용 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물이 유입되어 흐르는 배수로관 내에 비점오염물질을 침전, 흡착시키는 볏짚 등이 내장된 흡수용 매트를 설치하여 볏짚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의 생물학적 분해를 통해 비점오염물질에 의한 수질을 개선하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로관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안쪽의 바닥면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바닥홈에 의해 흡수용 매트의 견고한 고정을 유지하도록 하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로관 본체의 바닥면과 측벽이 마주하는 가장자리에서 앵커 볼트가 돌출되며, 상기 흡수용 매트는 상기 수로관 본체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바닥면에서 여과재를 흔들림없이 고정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므로, 무동력으로 초기 비점오염물질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는 초기 우수 비점오염물질의 저감을 통하여 전원의 공급이 없이도 빗물에 씻겨 내려오는 비점오염원을 포함한 초기우수를 용이하게 정화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탈부착이 가능하여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가 편리한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로로 유입되는 초기 강우를 동력원이 필요 없고 간단한 미생물 서식을 통한 생물학적 초기 우수 분해를 통하여 다양한 오염원이 다량 함유된 초기 우수를 용이하게 분해하고 정화할 수 있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체가 용이한 볏짚 등의 매트 부재를 통하여 자연친화적이며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침전, 분해하며, 탈부착이 가능하여 일정주기마다 교체하여 생물학적 분해를 하는 미생물의 번식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일반 퇴비로도 재활용을 할 수 있는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의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의 배수로가 보이는 쪽을 측면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의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은, 물이 흐르는 배수로(105)를 가지는 수로관 본체(100)와, 상기 수로관 본체(100)의 바닥에 설치되는 흡수용 매트(2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수로관 본체(100)는 강우시 도로나 주변 지역의 오염물질 등이 유입되어 흐르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보급되고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로관 본체(100)는 바닥면(101)과, 상기 바닥면(101)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양 측벽(103)이 맞닿아 물이 유입되어 흐르는 배수로(105)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로관 본체(100)는 바닥면(101)과 측벽(103)이 마주하는 가장자리(104)에는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수로관의 제작시 미리 매설되는 앵커 볼트(107)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로관 본체(100)는 바닥면(101)과 측벽(103)이 마주하는 가장자리(104)에서 안쪽 바닥면(101)으로 소정 폭으로 단차 지도록 바닥홈(101a)이 마련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홈(101a)은 상기 매트 부재(200)가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일정 폭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용 매트(200)는 상기 수로관 본체(100)의 바닥홈(101a)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에 함유된 비점오염물질을 흡착, 여과시키는 것으로, 상기 수로관 본체(100)의 바닥홈(101a)에 안착되는 여과재(210)와; 상기 여과재(210)를 고정하는 지지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여과재(210)는 상기 지지프레임(220)의 사각테두리(221)의 안쪽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로관 본체(100)의 가장자리(104)와, 바닥홈(101a) 내에 안착이 이루어지며, 상기 여과재(210) 위로 상기 지지프레임(220)이 포개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로관 본체(100)의 바닥홈(101a)에 상기 흡수용 매트(200)가 안착이 이루어진 후, 상기 수로관 본체(100)의 가장자리(104)에서 돌출된 앵커 볼트(107)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0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흡수용 매트(200)의 여과재(210)는 흡착, 여과되는 물에 함유된 비점오염물질을 미생물이 번식하여 생물학적 분해를 일으키는 곳으로, 통상의 볏짚, 갈대 또는 보릿대 등을 가마니 형태로 엮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20)의 사각프레임(221)으로 고정하는 형태로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수용 매트(200)의 여과재(210)는 다종의 미생물이 서식하기에 좋은 곳으로, 하천 유입 전에 비점오염물질들을 상당히 저감시키는 것으로서, 하천이나 호수로 유입되는 물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수용 매트(200)가 볏짚, 갈대 또는 보릿대를 엮어서 가마니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친환경소재 매트로 다른 석유화학 제품의 매트보다는 탁월하게 비점오염물질을 침전, 흡착시키며, 미생물서식의 생물학적 분해를 통해 질소, 인, 고농의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정화하여 수질 개선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수용 매트(200)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 일정주기마다 교체가 가능하여 미생물의 번식을 촉진할 수 있으며, 더불어 교체된 흡수용 매트(200)의 여과재(210)는 일반 퇴비로 재활용이 또한 가능한 것으로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상기 수로관 본체(100)의 바닥면(101)과 측벽(103)이 마주하는 가장자리(104)에 안착되는 사각테두리(221)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각테두리(221)의 안쪽에 상기 여과재(210)의 전면이 보이도록 개방된 개방홀(2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20)의 사각테두리(221)에는 복 수개로 각각 관통되어 상기 수로관 본체(100)의 가장자리(104)에서 돌출되는 앵커 볼트(107)가 삽입, 관통되기 위한 관공(22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관의 설치에 따른 탈?부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흡수용 매트(200)의 여과재(210)를 상기 수로관 본체(100)의 가장자리(104)와 바닥면(101)의 바닥홈(101a)에 정당한 폭을 유지하도록 깐다.
그런 다음, 상기 수로관 본체(100)의 바닥면(101)과 측벽(103)이 마주하는 가장자리(104)에 안착되는 사각테두리(221)를 가지는 고정프레임(220)을 상기 여과재(210)의 상부로 안착한다. 이때 상기 수로관 본체(100)의 가장자리(104)에서 돌출되는 앵커 볼트(107)는 상기 여과재(210)를 뚫고 지나가며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관공(225)을 관통하게 된다.
끝으로 상기 수로관 본체(100)의 바닥홈(101a)에 상기 흡수용 매트(200)가 안착이 이루어진 후, 상기 지지프레임(220)의 관공(225)을 관통하는 앵커 볼트(107)에 고정너트(109)를 체결하는 것으로 설치를 마무리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프레임(220)의 간단한 분해로 여과재(210)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로관 본체(100)에서 흡수용 매트(200)의 교체 작업은 설치작업의 역순으로 이하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수로관 본체 101 : 바닥면
101a : 바닥홈 103 : 측벽
104 : 가장자리 105 : 배수로
107 : 앵커 볼트 109 : 고정너트
200: 흡수용 매트 210 : 여과재
220 : 지지프레임 221 : 사각테두리
223 : 개방홀 225 : 관공

Claims (5)

  1. 바닥면(101)과, 상기 바닥면(101)의 양측에 형성된 측벽(103)으로 형성되어 물이 흐르는 배수로(105)를 가지는 수로관 본체(100)와;
    상기 바닥면(101)의 가장자리에서 복 수개로 돌출되는 앵커 볼트(107); 및
    상기 앵커 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09)와;
    상기 앵커 볼트(107)에 관통되어 상기 바닥면(101)에 밀착, 고정이 되면서 배수로(105)로 유입되는 물에 함유된 비점오염물질을 흡착, 여과시키는 흡수용 매트(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용 매트(200)는
    상기 수로관 본체(100)의 바닥면(101)에 안착되는 여과재(210)와;
    상기 여과재(21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바닥면(101)에서 여과재(210)를 흔들림없이 고정하기 위한 지지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210)는 볏짚, 갈대, 또는 보릿대 중 어느 하나를 가마니형태로 엮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상기 여과재(210)에 밀착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로관 본체(100)의 바닥면(101)과 측벽(103)이 마주하는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되기 위한 사각테두리(221)와;
    상기 사각테두리(221)의 안쪽에 상기 여과재(210)의 전면이 보이도록 개방된 개방홀(223)과;
    상기 사각테두리(221)의 일면에 다수 개로 관통되어 상기 앵커 볼트(107)가 관통하는 관공(225)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 본체(100)의 바닥면(101)은
    상기 측벽(103)과 맞닿는 가장자리에서 안쪽 바닥면(101)을 향해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수용 매트(200)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바닥홈(101a)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

















KR1020110056987A 2011-06-13 2011-06-13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 KR101345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987A KR101345706B1 (ko) 2011-06-13 2011-06-13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987A KR101345706B1 (ko) 2011-06-13 2011-06-13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858A true KR20120137858A (ko) 2012-12-24
KR101345706B1 KR101345706B1 (ko) 2013-12-27

Family

ID=4790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987A KR101345706B1 (ko) 2011-06-13 2011-06-13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7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5698A (zh) * 2018-09-27 2019-01-15 西南大学 一种利用作物秸秆过滤养殖污水的装置
KR102215279B1 (ko) * 2020-11-03 2021-02-15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다공성 필터를 구비한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배수트렌치
KR102447229B1 (ko) * 2021-10-01 2022-09-27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비점 오염 저감용 필터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배수 트렌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565B1 (ko) * 2015-06-17 2017-08-25 주식회사 광익기술단 미생물 흡착기술을 이용한 내부 돌기형 유공관
KR102448419B1 (ko) * 2021-10-01 2022-09-29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침투식 빗물 저류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939B1 (ko) 2005-08-30 2007-02-05 배순순 생태환경보호 및 수질정화용 수로
KR100814790B1 (ko) 2007-10-02 2008-03-1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5698A (zh) * 2018-09-27 2019-01-15 西南大学 一种利用作物秸秆过滤养殖污水的装置
CN109205698B (zh) * 2018-09-27 2023-10-10 西南大学 一种利用作物秸秆过滤养殖污水的装置
KR102215279B1 (ko) * 2020-11-03 2021-02-15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다공성 필터를 구비한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배수트렌치
KR102447229B1 (ko) * 2021-10-01 2022-09-27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비점 오염 저감용 필터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배수 트렌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5706B1 (ko) 201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5599B2 (en) Prefilter for water treatment
KR101235008B1 (ko) 비점 오염 저감 시설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1345706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 기능을 가지는 배수로관
KR101249741B1 (ko)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KR101239389B1 (ko) 자연형 침투도랑형 재이용수 활용 비점오염저감시설
CN109250821A (zh) 分级生物过滤滞留系统
KR101579235B1 (ko) 유분 흡착 스크린을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565593B1 (ko) 비점오염 처리장치
CN211774428U (zh) 一种截污式雨水口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471180B1 (ko) 유분 흡착 스크린이 적용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493478B1 (ko) 스크린 배열을 이용한 비점 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907843B1 (ko) Lid 토양침투 우수처리장치
KR101041593B1 (ko) 우수 정화장치
KR100939325B1 (ko) 자연친화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471181B1 (ko) 유분 흡착 스크린이 분리 가능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0952117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자연형 비점오염 처리 시스템
KR101436334B1 (ko) 편심형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N114457900A (zh) 一种柔性多功能雨水口截污袋及雨水井
JP2003286741A (ja) 雨水浄化構築物
KR101219791B1 (ko) 정화유닛을 이용한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923234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정화 방법
KR101889907B1 (ko) 비점오염 처리를 위한 모듈형 여과 장치
KR20150049154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