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664A - 개별 분리장치 및 개별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개별 분리장치 및 개별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664A
KR20120137664A KR1020110056641A KR20110056641A KR20120137664A KR 20120137664 A KR20120137664 A KR 20120137664A KR 1020110056641 A KR1020110056641 A KR 1020110056641A KR 20110056641 A KR20110056641 A KR 20110056641A KR 20120137664 A KR20120137664 A KR 20120137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ection
drum
rotating drum
adsor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옥
Original Assignee
김귀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귀옥 filed Critical 김귀옥
Priority to KR102011005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7664A/ko
Publication of KR2012013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Landscapes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개별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개별 분리장치는, 진공 형성 수단과 연결되는 진공드럼과, 진공드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수 개의 대상물이 내부에 투입되는 회전드럼을 포함한다. 그리고 진공드럼의 내주면에는 진공구간 및 비진공구간을 갖는 내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드럼은 내부홈의 진공구간 및 비진공구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연통되는 다수 개의 섹션부를 구비한다. 섹션부가 진공구간을 통과하는 경우, 대상물은 진공 흡착력에 의해 섹션부에 하나씩 흡착되고 나머지 대상물은 회전드럼의 회전에 의해 회전드럼의 내부로 낙하한다. 그리고 섹션부가 비진공구간을 통과하는 경우, 진공 흡착력이 해제되면서 진공 흡착된 하나의 대상물이 반송부로 낙하한다.

Description

개별 분리장치 및 개별 분리방법{DEVICE AND METHOD FOR INDIVIDUAL SEPARATION}
본 발명은 개별 분리장치 및 개별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낱개로 공급할 필요가 있는 다수 개의 대상물을 개별로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다수 개의 대상물을 하나씩 낱개로 공급 또는 투입 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면, 라면 용기 또는 포장에는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다수 개의 스프가 하나씩 분리되어 공급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자제품 조립라인의 경우에도 적재된 다수 개의 부품을 하나씩 분리하여 조립 라인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다수 개의 대상물을 하나씩 분리하는 종래의 장치는, 다수 개의 대상물이 무질서하게 동시에 이송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센서가 구비된 로봇 암이 영상 처리를 통해서 하나씩 집어서 외부로 공급하는 구성을 이용하고 있다. 라면에 투입되는 다시마를 예로 들면, 다수 개의 다시마가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무작위로 이송되고 이를 센서가 구비된 로봇 암이 하나씩 집어서 다른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옮기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분리장치는, 개별적으로 분리되어야 할 대상물이 대량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센서 및 영상 처리장치를 이용하는 등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면서도 대상물을 낱개로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는 개별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화된 개별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개별 분리장치는, 진공 형성 수단과 연결되는 진공드럼과, 진공드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수 개의 대상물이 내부에 투입되는 회전드럼을 포함한다. 그리고 진공드럼의 내주면에는 진공구간 및 비진공구간을 갖는 내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드럼은 내부홈의 진공구간 및 비진공구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연통되는 다수 개의 섹션부를 구비한다. 섹션부가 진공구간을 통과하는 경우, 대상물은 진공 흡착력에 의해 섹션부에 하나씩 흡착되고 나머지 대상물은 회전드럼의 회전에 의해 회전드럼의 내부로 낙하한다. 그리고 섹션부가 비진공구간을 통과하는 경우, 진공 흡착력이 해제되면서 진공 흡착된 하나의 대상물이 반송부로 낙하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분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공구간 및 비진공구간은 내부홈에 형성된 제1블럭 및 제2블록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진공구간은 섹션부가 상승하는 구간에 형성되어 있고, 비진공구간은 섹션부가 하강하는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드럼은, 구동수단과 결합되는 후면부와, 대상물이 반출입 되는 회전 센터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부와, 전면부 및 후면부 사이에 위치하고, 내부홈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둘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섹션부에는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섹션부는 둘레부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 개의 파티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진공드럼은 전면 플레이트 및 후면 플레이트 사이에서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후면 플레이트에는 구동 수단이 결합되어 회전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반송부는, 회전드럼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대상물이 반송벨트 상으로 낙하 하게 하는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를 포함하고, 제1가이드는 진공구간의 끝부분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개별 분리방법은, 다수 개의 대상물이 다수 개의 섹션부로 구분된 회전드럼에 투입되는 단계와, 하나의 섹션부에 하나의 대상물만 진공 흡착되고 나머지 대상물은 섹션부의 회전에 의해 낙하하도록 하는 단계와, 섹션부에 제공된 진공 흡착력이 해제되면서 하나의 대상물이 반송부로 낙하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진공드럼의 회전에 의해, 섹션부에 진공 흡착된 하나의 대상물은 반송부에 연속적으로 낙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면서도 대상물을 낱개로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는 개별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화된 개별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개별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예시된 개별 분리장치에서 구동수단 및 반송부가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예시된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진공드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진공드럼에 대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8은 회전드럼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회전드럼에서 전면부가 제거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반송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리장치에서 대상물을 낱개로 분리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또는 전, 후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낱개로 분리하고자 하는 대상물은 일정한 형태를 갖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대상물은 다시마, 김치블럭 또는 포장된 스프와 같이 라면에 투입되는 첨가물일 수 있다. 그리고 대상물은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전자 부품 또는 플라스틱 카드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리장치(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개별 분리장치(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리장치(100)는, 전면 플레이트(170) 및 후면 플레이트(180), 진공드럼(120), 회전드럼(140), 구동수단(194) 및 반송부(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진공드럼(120)의 측면에 형성된 연결돌기(135)에는 진공 형성 수단이 연결되어 진공드럼(120)의 내부홈(122) 중 일부에 진공구간(128)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리장치(100)는, 진공 흡착력에 의해서 회전드럼(140)의 내부에 형성된 섹션부(164)에 낱개로 분리되어야 할 대상물(210)을 하나씩 흡착한다. 섹션부(164)에는 하나의 대상물(210)만 흡착될 수 있고 나머지 대상물(210)은 회전드럼(140)의 회전에 의해 자유 낙하한다. 그리고 회전드럼(140)이 회전하면서 비진공구간(132)에 진입하게 되면 진공 흡착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대상물(210)이 반송부(200)로 하나씩 자유 낙하면서 낱개로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리장치(100)는, 회전드럼(14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섹션부(164)에 하나의 대상물(210)만 흡착되어 반송부(200)로 떨어지기 때문에, 다수 개의 대상물(210)을 낱개로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드럼(140)의 회전 속도를 높여서 작업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리장치(100)는 진공 형성 수단(도시하지 않음), 전면 및 후면 플레이트(170, 180), 진공드럼(120) 및 회전드럼(140)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성이 간소하고 고장 가능성이 낮다는 장점도 갖는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예시된 개별 분리장치(100)에서 구동수단(194) 및 반송부(200)를 제거한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3은 대상물(210)이 투입 및 반출되는 고정센터홀(172)이 상면에 위치하는 상태를 예시하고, 도 4는 구동수단(194)의 구동축(198)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회전드럼(140)은 진공드럼(1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진공드럼(120)은 전면 플레이트(170) 및 후면 플레이트(180) 사이에 위치하면서, 진공드럼 고정부재(192)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드럼(120)은 회전하지 않고 회전드럼(140)만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전면 플레이트(170) 및 후면 플레이트(180)는 스페이서(190)에 의해 상호 결합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진공드럼(1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진공 형성 수단(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는 연결돌기(135)는 전면 플레이트(170) 및 후면 플레이트(180) 사이로 노출된다. 그리고 회전드럼(140)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수단(194)의 구동축(198)은 후면 플레이트(180)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개별 분리장치(100)의 전면 플레이트(170) 및 후면 플레이트(18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전면 플레이트(170) 및 후면 플레이트(180)는 사각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스페이서(190)에 의해 일정 간격을 가지고 상호 평행하게 위치한다. 전면 플레이트(170) 및 후면 플레이트(180)는 사이에는 진공드럼(120)이 진공드럼 고정부재(192)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전면 플레이트(170)의 중앙에는 원형의 고정센터홀(17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센터홀(172)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회전드럼(140)의 전면부(146)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센터홀(148)과 연통되는 것으로, 고정센터홀(172) 및 회전센터홀(148)을 통해서 대상물(210)이 회전드럼(140)의 내부에 투입되거나 반출된다.
전면 플레이트(170)의 네 개의 모서리에는 스페이서(190)가 결합하는 플레이트 결합홀(17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면 플레이트(170)의 고정센터홀(172) 주변에는 진공드럼 고정부재(192)가 결합하는 진공드럼 고정홀(176)이 형성되어 있다.
후면 플레이트(180)의 중앙에는 구동축(198)이 관통하는 축관통홀(182)이 형성되어 있다. 축관통홀(182)을 통과한 구동축(198)은 회전드럼(140)의 후면부(142)에 형성된 축결합홀(144)에 나사 결합하게 된다.
후면 플레이트(180)에는 전면 플레이트(170)의 플레이트 결합홀(174) 및 진공드럼 고정홀(176)에 대응하는 위치에 플레이트 결합홀(184) 및 진공드럼 고정홀(186)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면 플레이트(170)에는 반송부(200)가 결합되어 있다. 반송부(200)는 회전드럼(140)의 회전에 의해 낱개로 떨어지는 대상물(210)을 외부로 하나씩 반출한다. 그리고 후면 플레이트(180)에는 구동수단(194)이 결합되어 있다. 구동수단(194)은 구동축(198)으로 연결된 회전드럼(140)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회전드럼(140)이 회전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진공드럼(1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진공드럼(12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진공드럼(120)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참고로 도 7에서 점선은 진공드럼(120)의 내주면(121)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내부홈(122) 그리고 내부홈(122)을 진공구간(128) 및 비진공구간(132)으로 구분하는 제1블럭(124) 및 제2블럭(126)을 나타낸다.
진공 형성 수단(도시하지 않음)는 진공드럼(140)의 내주면(121)에 형성된 내부홈(122)의 일부(진공구간(128))에 진공을 형성한다. 그리고 진공 형성 수단에 의한 진공 흡착력은 진공드럼(120)의 내주면(121)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회전드럼(140)에 전달되어 섹션부(164)에 하나의 대상물(210)만이 흡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진공 드럼(120)의 내부홈(122)에는 진공 흡착력이 전달되지 않거나 약하게 전달되는 비진공구간(132)이 존재한다. 회전드럼(140)은 진공드럼(120)의 비진공구간(132)을 통과하면, 섹션부(164)에 흡착되어 있는 하나의 대상물(210)은 반송부(200)로 자유 낙하한다.
진공드럼(12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ring)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내주면(121)에는 내부홈(1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조절홀(134) 및 연결돌기(135)가 형성되어 있다. 진공드럼(120)의 내주면(121)은 회전드럼(140)의 둘레부(152) 외주면(154)과 밀착된다. 따라서 회전드럼(140)은 진공드럼(120)의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진공드럼(120)의 내부홈(122)과 회전드럼(140)의 둘레부(152) 외주면(15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한다.
내부홈(122)은 진공드럼(120)의 내주면(121)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내주면(121)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홈(122)에는 제1블럭(124) 및 제2블럭(126)이 구비되어 있다. 제1블럭(124) 및 제2블럭(126)은 내부홈(122)의 저면에서 내주면(121)까지 돌출되어, 원형으로 형성된 내부홈(122)을 진공구간(128) 및 비진공구간(132)으로 구분한다. 즉, 도 7을 참고하면, 제1블럭(124)에서 시계 방향으로 제2블럭(126)까지의 내부홈(122) 구간은 진공구간(128)에 해당하고, 제2블럭(126)에서 시계 방향으로 제1블럭(124)까지의 내부홈(122) 구간은 비진공구간(132)에 해당한다. 그리고 진공구간(128)은 진공 형성 수단(도시하지 않음)와 결합되는 연결돌기(135)와 연통된다. 이와 같이, 제1블럭(124) 및 제2블럭(126)은 연결돌기(135)를 통해 전달되는 진공 형성 수단의 진공 흡착력이 비진공구간(132)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블럭(124)은 원형의 진공드럼(120)에 대해 약 7시 방향에 형성되어 있고, 제2블럭(126)은 약 1시 방향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블럭(124) 및 제2블럭(126)의 형성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 형성 위치는 반송부(200)의 제1가이드(204) 및 제2가이드(206)의 위치 및 형상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예들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드럼(140)이 도 7에서와 같이 그 높이가 최대로 되는 최고점(137)에 근접하여 제2블럭(126)이 형성될 수 있고, 그 높이가 최저로 되는 최저점(138)에 근접하여 제1블럭(124)이 형성될 수 있다.
조절홀(134)은 진공드럼(120)의 최고점(137)에서 그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내부홈(122)의 진공구간(128)과 연통되어 있다. 조절홀(134)에는 볼 밸브 또는 스피드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 등이 결합되는데, 이들은 진공구간(128)의 진공 흡착력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진공드럼(1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돌기(135)의 일단부는 외부로 돌출되어 진공 형성 수단과 결합하고 타단부는 내부홈(122)의 진공구간(128)과 연통되어 있다. 진공 형성 수단은 연결돌기(135)를 통해서 진공 흡착력을 진공구간(128)에 제공한다.
진공 형성 수단으로는, 링 블로워(ring blower), 진공 펌프(vacuum pump) 또는 진공 이젝터(vacuum eject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진공드럼(120)의 상면 및 하면에는 결합홀(136)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홀(136)은 전면 플레이트(170)에 형성되어 있는 진공드럼 고정홀(176) 및 후면 플레이트(180)에 형성되어 있는 진공드럼 고정홀(18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홀(136)에는 진공드럼 고정부재(192)가 결합되어, 진공드럼(120)을 전면 플레이트(170) 및 후면 플레이트(180) 사이에 위치 고정 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9를 참고하면서, 회전드럼(14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회전드럼(14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회전드럼(140)에서 전면부(146)을 제거한 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회전드럼(140)은 그 외주면(154)이 진공드럼(120)의 내주면(121)에 밀착되어 회전운동을 한다. 따라서 회전드럼(140)의 외주면(154)에 의해 내부홈(122)이 밀폐되어 진공구간(128)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드럼(140)의 내부에는 낱개로 분리되어야 할 다수 개의 대상물(210)이 투입된 후 회전드럼(140)의 회전에 의해서 낱개로 분리되어 반송부(200)로 반출된다.
회전드럼(140)은 전면부(146), 후면부(142), 둘레부(152) 그리고 다수 개의 파티션(162)에 의해 구분되는 섹션부(164)를 포함한다.
전면부(146)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회전센터홀(148)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센터홀(148)은 전면 플레이트(170)에 형성된 고정센터홀(172)에 대응하는 것으로, 회전센터홀(148)을 통해서 대상물(210)이 투입되거나 반출된다. 그리고 회전센터홀(148)을 통해서 반송부(200)의 일부도 회전드럼(14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후면부(142)는 전면부(146)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원판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구동축(198)이 결합하는 축결합홀(144)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198)의 일단부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축결합홀(144)에 결합하여, 회전드럼(140)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전면부(146) 및 후면부(142) 사이에 위치하는 둘레부(152)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링(ring) 형상을 갖는 것으로, 그 둘레에는 외주면(154) 및 내주면(156)을 관통하여 형성된 다수 개의 관통공(158)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58)은 내부홈(122)의 진공구간(128) 또는 비진공구간(132)과 연통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둘레부(152)의 외주면(154)은 진공드럼(120)의 내주면(121)와 밀착되어 회전하는데, 이로 인해 진공드럼(120)과 회전드럼(140)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어 진공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58)은 진공 형성 수단에 의한 진공 흡착력이 진공구간(128)에서 둘레부(152)의 내주면(156)까지 미치게 한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섹션부(164)에는 하나의 관통공(158)이 존재한다. 따라서 관통공(158) 및 섹션부(164)의 개수는 동일하다.
둘레부(152)의 내부에는 사각 판 형상의 파티션(162)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파티션(162)에 의해서 섹션부(164)가 형성된다. 도 8 내지 도 9에서는 둘레부(152)의 내부에 16개의 파티션(162)이 위치하고 있으며, 파티션(162)과 파티션(162) 사이의 각도는 22.5도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파티션(162)의 개수 및 이로 인해 형성되는 섹션부(164)의 개수는 16개 미만이거나 16개를 초과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파티션(162)은 섹션부(164)의 좌우측 경계를 형성한다. 그리고 파티션(162)은 섹션부(164)가 최저점(138)을 통과하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승할 때, 섹션부(164)에 2개 이상의 대상물(210)이 모여 있을 수 있게 함으로써, 섹션부(164)에 대상물(210)이 흡착되지 않아서 누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파티션(162)의 높이는 둘레부(152)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둘레부(152)의 중심 방향으로 파티션(162)의 돌출 길이는 개별로 분리하고자 하는 대상물(210)의 크기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섹션부(164)는 인접하는 한 쌍의 파티션(162) 및 둘레부(152)의 내주면(156)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섹션부(164)의 중앙에는 관통공(158)이 형성되어 있다. 섹션부(164)의 크기는 개별로 분리하고자 하는 대상물(210)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물론, 섹션부(164)는 파티션(162) 없이 관통공(158)만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대상물(210)은 관통공(158)을 통해 전달되는 진공 흡착력에 의해 섹션부(164)에 진공 흡착된다.
하나의 섹션부(164)는 진공드럼(140)의 회전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진공구간(128) 및 비진공구간(132)을 연속적으로 통과한다. 진공구간(128)을 통과하는 섹션부(164)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하나의 대상물(210a)이 진공 흡착되며, 진공구간(128)을 지나 비진공구간(132)에 진입하게 되면 진공 흡착력이 제거되면서 대상물(210)이 반송부(200) 방향으로 자유 낙하하게 된다.
회전드럼(140)은 진공드럼(120)의 내주면(121)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을 하기 때문에, 회전드럼(140)과 진공드럼(120)의 접촉면에는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진공드럼(120)이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회전드럼(140)의 둘레부(152)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NC 나일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고하면서, 반송부(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반송부(2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반송부(200)는 회전드럼(140)의 내부에 일부가 위치하면서 낱개로 분리되어 자유 낙하하는 대상물(210a)을 외부로 반출하는 역할을 한다. 반송부(200)는 반송벨트(202), 제1가이드(204), 제2가이드(206) 그리고 모터(208)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204)는 회전드럼(14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2가이드(206)는 제1가이드(204)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일정한 경사면을 갖는다. 제1가이드(204) 및 제2가이드(206)는 자유 낙하하는 대상물(210a)이 반송벨트(202) 방향으로 낙하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2가이드(206)의 일부를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비진공구간(132)에 진입하여 바로 떨어지지 않고 일정 각도로 회전한 후 낙하하는 대상물(210)이 반송벨트(202) 방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반송벨트(202)는 모터(208)에 의해 작동하면서 개별로 분리되어 떨어진 대상물(210)을 외부로 반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리장치(100)의 작동 및 개별 분리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분리장치(100)에서 대상물(210)을 낱개로 분리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진공드럼(120) 및 회전드럼(140)이 결합된 정면의 상태를 예시한다. 그리고 도 11에서 진공드럼(120)의 내부홈(122), 회전드럼(140) 및 파티션(162)은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11을 참고하면, 진공드럼(120)의 내주면에는 회전드럼(140)의 둘레부(152)가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드럼(12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홈(122)은 회전드럼(120)의 둘레부(152) 외주면(154)에 의해서 밀폐되고, 이로 인해 내부홈(122)의 진공구간(128)에서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에서, 진공구간(128)은 제1블럭(124)에서 시계 방향으로 제2블럭(126)에 이르는 내부홈(122)의 구간이고, 비진공구간(132)은 제2블럭(126)에서 시계 방향으로 제1블럭(124)에 이르는 내부홈(122)의 구간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회전드럼(120)의 둘레부(152)에는 관통공(158)이 형성되어 있는데, 관통공(158)으로 인해 내부홈(122)과 섹션부(164)가 연통된다. 따라서 진공 발생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한 진공 흡착력은 내부홈(122)의 진공구간(128)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관통공(158)을 통해서 섹션부(164)에 제공된다.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진공 흡착력이 작용하는 관통공(158)에는 하나의 대상물(210a)이 흡착되어 있으며, 나머지 대상물(210)에는 진공 흡착력이 작용하지 않아서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함을 알 수 있다.
관통공(158)과 관통공(158) 사이에는 파티션(162)이 내부로 돌출되어 있다. 파티션(162)으로 인해서 섹션부(164)의 경계가 결정된다.
반송부(200)의 제1가이드(204)는 회전드럼(140)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위치하고 제2가이드(206)는 제1가이드(204)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한다. 제1가이드(204)는 진공구간(128)이 끝나는 지점(제2블럭(126)이 형성된 지점)이 비해 다소 좌측에 위치하여, 비진공구간(132)을 통과하는 섹션부(164)에서 낙하하는 대상물(210)이 반송벨트(202) 방향으로 안전하게 낙하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분리방법은, 다수 개의 대상물(210a)이 다수 개의 섹션부(164)로 구분된 회전드럼(140)에 투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상물(210)은 전면부(146)의 회전센터홀(148)을 통해서 회전드럼(140)의 내부에 투입되고, 투입된 대상물(210)은 최저점(138) 부근에 위치하는 섹션부(164)에 쌓이게 된다. 그리고 대상물(210)은 회전드럼(140)이 정지된 상태뿐만 아니라 회전하고 있는 중에도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 분리방법은, 하나의 섹션부(164)에 하나의 대상물(210a)만 진공 흡착되고 나머지 대상물(210b)은 섹션부(164)의 회전에 의해 낙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섹션부(164)에는 하나의 관통공(158)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158)을 통해서 진공 흡착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섹션부(164)에는 하나의 대상물(210a)만 진공 흡착된다. 그리고 섹션부(164)에 있는 나머지 대상물(210b)은 회전드럼(140)이 최저점(138)에서 최고점(137)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중력에 의해 낙하하게 된다. 낙하한 대상물(210b)은 최저점(138) 부근을 통과하는 섹션부(164)에 쌓이게 된다.
하나의 대상물(210a)만이 흡착된 섹션부(164)는 회전드럼(140)의 회전에 의해 최고점(137)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진공 흡착력이 작용하는 진공구간(128)은 최고점(137) 부근에 있는 제2블럭(126)의 위치에서 끝나기 때문에, 섹션부(164)가 제2블럭(126)을 통과하여 비진공구간(132)으로 진입하게 되면 진공 흡착력이 해제되면서 하나의 대상물(210a)이 반송부(200)로 낙하하게 된다.
반송부(200)로 낙하하는 하나의 대상물(210a)은 제1가이드(204) 및 제2가이드(206)에 의해 가이드 되어 반송벨트 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진공 흡착된 하나의 대상물(210a)이 떨어져 나간 섹션부(164)는 다시 최저점(138)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섹션부(164)에는 대상물(210)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섹션부(164)가 최저점(138) 부근에 도달하게 되면, 새롭게 투입되는 대상물(210) 및 진공 흡착되지 않고 떨어지는 대상물(210b)이 그 내부에 다시 쌓이게 된다.
반송부(200)는 개별로 분리되어 반출되는 대상물(210a)의 개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반출된 대상물(210a)의 수량이 투입된 수량에 대해 일정 정도에 도달하는 경우, 대상물(210)은 회전드럼(140)에 더 투입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개별 분리장치 122: 내부홈
124: 제1블럭 126: 제2블럭
128: 진공구간 132: 비진공구간
137: 최고점 138: 최저점
140: 회전드럼 142: 후면부
146: 전면부 152: 둘레부
158: 관통공 162: 파티션
164: 섹션부 170: 전면 플레이트
180: 후면 플레이트 190: 스페이서
192: 진공드럼 고정부재 194: 구동수단
198: 구동축 200: 반송부
204: 제1가이드 206: 제2가이드
210, 210a, 210b: 대상물

Claims (11)

  1. 진공 형성 수단과 연결되는 진공드럼; 및
    상기 진공드럼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수 개의 대상물이 내부에 투입되는 회전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드럼의 내주면에는 진공구간 및 비진공구간을 갖는 내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드럼은 상기 내부홈의 진공구간 및 비진공구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연통되는 다수 개의 섹션부를 구비하고,
    상기 섹션부가 상기 진공구간을 통과하는 경우, 대상물은 진공 흡착력에 의해 상기 섹션부에 하나씩 흡착되고 나머지 대상물은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의해 낙하하며,
    상기 섹션부가 상기 비진공구간을 통과하는 경우, 진공 흡착력이 해제되면서 진공 흡착된 하나의 대상물이 반송부로 낙하하는 개별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구간 및 비진공구간은 상기 내부홈에 형성된 제1블럭 및 제2블록에 의해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구간은 상기 섹션부가 상승하는 구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비진공구간은 상기 섹션부가 하강하는 구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은,
    구동수단과 결합되는 후면부와,
    대상물이 반출입 되는 회전 센터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홈과 연통되는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둘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분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부에는 하나의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분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부는 상기 둘레부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 개의 파티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분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드럼은 전면 플레이트 및 후면 플레이트 사이에서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분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플레이트에는 구동 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분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대상물이 반송벨트 상으로 낙하 하게 하는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는 상기 진공구간의 끝부분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분리장치.
  10. 대상물이 다수 개의 섹션부로 구분된 회전드럼에 투입되는 단계;
    하나의 상기 섹션부에 하나의 대상물만 진공 흡착되고 나머지 대상물은 상기 섹션부의 회전에 의해 낙하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섹션부에 제공된 진공 흡착력이 해제되면서 하나의 대상물이 반송부로 낙하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별 분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섹션부에 진공 흡착된 하나의 대상물은 상기 반송부에 연속적으로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분리방법.
KR1020110056641A 2011-06-13 2011-06-13 개별 분리장치 및 개별 분리방법 KR20120137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641A KR20120137664A (ko) 2011-06-13 2011-06-13 개별 분리장치 및 개별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641A KR20120137664A (ko) 2011-06-13 2011-06-13 개별 분리장치 및 개별 분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664A true KR20120137664A (ko) 2012-12-24

Family

ID=4790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641A KR20120137664A (ko) 2011-06-13 2011-06-13 개별 분리장치 및 개별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76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R20130102A1 (it) * 2013-12-18 2015-06-19 Raytec Vision S P A Metodo e sistema di espulsione in apparati di controllo e selezione di prodotti alimentari
KR101722155B1 (ko) * 2016-05-26 2017-03-31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회전형 다시마 정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시마 공급시스템
KR101722154B1 (ko) * 2016-06-30 2017-04-03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회전형 다시마 정렬장치가 포함된 다시마 공급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R20130102A1 (it) * 2013-12-18 2015-06-19 Raytec Vision S P A Metodo e sistema di espulsione in apparati di controllo e selezione di prodotti alimentari
EP2886214A1 (en) * 2013-12-18 2015-06-24 Raytec Vision S.p.A. Method and system for expelling food products in control and selection apparatuses
KR101722155B1 (ko) * 2016-05-26 2017-03-31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회전형 다시마 정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시마 공급시스템
KR101722154B1 (ko) * 2016-06-30 2017-04-03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회전형 다시마 정렬장치가 포함된 다시마 공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76499B (zh) 一种硬币自动分拣计数包装机及其分拣计数包装方法
EP2773564B1 (en) Cup feeder
US20090139836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Unscrambling and Aligning Bulk Plastic Containers
EP3476777B1 (en) Feeding system
CN111032538B (zh) 排列输送装置
TWM445574U (zh) 電子元件之搬運載盤構造
CN109310577A (zh) 用于自动配药装置的给药罐
KR20120137664A (ko) 개별 분리장치 및 개별 분리방법
KR20140144121A (ko) 소자핸들러
US8297431B2 (en) Apparatus for unscrambling and aligning bulk plastic containers
CN106005569B (zh) 一种塑料瓶计数填充包装装置及方法
JP2014152021A (ja) ワーク搬送装置
JP2005035736A (ja) 搬送機構及び定量充填機
EP4010256A1 (en) Machine for making capsules
CN105292564A (zh) 物料搬送包装方法及装置
JP6754571B2 (ja) 物品供給装置
JP5824324B2 (ja) 平面研削盤のワーク投入装置
JP6093184B2 (ja) 物品供給装置
JPH0688656B2 (ja) 搬送装置
KR101195229B1 (ko) 정제검사기용 이송디스크
CN104369923A (zh) 一种多列药丸计数装置
KR101622837B1 (ko) 선별장치
CN109533412B (zh) 一种食品包装设备
CN210665524U (zh) 一种齿盘进料瓶盖检测装置
CA2560777A1 (en) Apparatus for feeding pouches and their respective spouts to a rotary machine for the processing of the same and relativ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