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745A - 터치 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745A
KR20120136745A KR20110055878A KR20110055878A KR20120136745A KR 20120136745 A KR20120136745 A KR 20120136745A KR 20110055878 A KR20110055878 A KR 20110055878A KR 20110055878 A KR20110055878 A KR 20110055878A KR 20120136745 A KR20120136745 A KR 20120136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voltage
signal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55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6064B1 (ko
Inventor
하상권
이주형
박상진
이지공
황희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5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064B1/ko
Priority to US13/454,934 priority patent/US9189100B2/en
Publication of KR20120136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92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pass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접속되는 화소들을 포함하는 화소부; 구동전극들 및 감지전극들을 포함하는 터치센싱부; 상기 주사선들을 통해 각 화소에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주사구동부; 다수의 계조전압들을 입력받아 영상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전압을 상기 데이터선들을 통해 각 화소에 공급하는 데이터전압출력부 및 상기 구동전극들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부; 및 상기 감지전극들에서 출력되는 센싱신호를 검출하는 터치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센싱 특성이 향상되고, 별도의 승압회로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센싱 특성이 향상되고, 별도의 승압회로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손 또는 물체를 이용한 터치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활성영역에 분산되어 형성되는 센싱전극들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지점을 검출하여 접촉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는 터치 구동을 제어하는 터치콘트롤러와 화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타이밍제어부가 동기화없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되었고, 이에 따라 터치 센싱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콘트롤러와 타이밍제어부의 동기화 구동을 통해 터치 센싱 특성을 향상시키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조전압 생성에 사용되는 최상위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별도의 승압회로가 필요없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접속되는 화소들을 포함하는 화소부, 구동전극들 및 감지전극들을 포함하는 터치센싱부, 상기 주사선들을 통해 각 화소에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주사구동부, 다수의 계조전압들을 입력받아 영상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전압을 상기 데이터선들을 통해 각 화소에 공급하는 데이터전압출력부 및 상기 구동전극들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부 및 상기 감지전극들에서 출력되는 센싱신호를 검출하는 터치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치콘트롤러는, 외부로부터 터치동기신호가 공급되면 제 1제어신호와 제 2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신호출력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신호출력부는, 상기 제 1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전압가변부 및 상기 구동신호를 상기 제 2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각 구동전극에 분배하는 분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구동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최상위 전압을 분압하여 상기 다수의 계조전압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계조전압들을 상기 데이터전압출력부로 공급하는 계조전압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압가변부는, 상기 제 1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상기 최상위 전압과 동일하게 승압시켜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전압출력부는, 순차적으로 샘플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쉬프트레지스터부, 상기 샘플링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샘플링래치부, 상기 샘플링래치부에 저장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홀딩래치부, 상기 계조전압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계조전압들 중 상기 홀딩래치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데이터에 대응되는 계조전압을 선택하고, 이를 데이터전압으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전압을 상기 데이터선들로 전달하기 위한 버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사구동부 및 데이터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는, 상기 타이밍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동기신호는, 상기 타이밍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제어신호의 폭은, 상기 제 1제어신호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소부와 상기 터치센싱부는, 중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전극들과 상기 감지전극들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거나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전극들과 상기 감지전극들은,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콘트롤러와 타이밍제어부의 동기화 구동을 통해 터치 센싱 특성을 향상시키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목적은 계조전압 생성에 사용되는 최상위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별도의 승압회로가 필요없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센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동기신호와 제어신호들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동신호출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신호출력부의 구동 동작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조전압생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전압출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인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주사선들(S1 내지 Sn) 및 데이터선들(D1 내지 Dm)과 접속되는 다수의 화소들(10)을 포함하는 화소부(20),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센싱부(30), 주사선들(S1 내지 Sn)을 통해 각 화소(10)에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주사구동부(40), 데이터선들(D1 내지 Dm)을 통해 데이터전압을 각 화소(10)에 공급하며, 터치센싱부(30)에 구동신호(Mtx)를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부(50) 및 터치센싱부(30)에서 출력되는 센싱신호(Nrx)를 검출하여 터치 위치를 파악하는 터치콘트롤러(60)를 포함한다.
또한, 주사구동부(40)와 데이터구동부(50)를 제어하는 타이밍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소부(20)는 다수의 화소(10)를 구비하여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터치센싱부(30)와 중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화소들(10)은 주사구동부(40)로부터 공급되는 주사신호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화소들(10)은 데이터구동부(50)로부터 데이터전압을 공급받게 되고, 그에 대응되는 휘도로 발광한다.
이 때, 화소들(10)은 유기발광다이오드 또는 액정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센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터치센싱부(30)는 사용자의 터치를 센싱하기 위하여 정전용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구동신호(Mtx)를 공급받는 다수의 구동전극들(Tx)과 센싱신호(Nrx)를 출력하는 다수의 감지전극들(Rx)을 포함한다.
또한, 터치센싱부(30)는 화소부(20)로 입력되는 터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화소부(20)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센싱부(30)를 구성하는 구동전극들(Tx)과 감지전극들(Rx)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CNT(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전극들(Tx)과 감지전극들(Rx)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bar)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이아몬드 형태 등과 같이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전극들(Tx)과 감지전극들(Rx)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각각 서로 상이한 층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구동전극들(Tx)과 감지전극들(Rx)은 상호간 교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도 2에서는 j개의 구동전극들(Tx1 내지 Txj)과 k개의 감지전극들(Rx1 내지 Rxk)을 도시하였다.
주사구동부(40)는 타이밍제어부(70)의 주사구동부 제어신호(SCS)에 응답하여 주사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사신호를 주사선들(S1 내지 Sn)을 통해 각 화소들(10)로 공급한다.
일례로, 주사구동부(40)는 주사선들(S1 내지 Sn)에 순차적으로 주사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부(50)는 타이밍제어부(70)의 데이터구동부 제어신호(DCS)에 따라 데이터전압을 주사신호에 동기하여 행 단위로 각 화소(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구동부(50)는 타이밍제어부(70)로부터 영상 데이터(Data)를 공급받아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전압을 생성하는 데이터전압출력부(120)를 포함한다.
일례로, 데이터전압출력부(120)는 계조전압생성부(130)로부터 공급되는 다수의 계조전압(V1 내지 Vg) 중 해당 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계조전압을 선택하여, 이를 데이터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계조전압생성부(13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최상위 전압(VDD; 도 6 참조)을 분압하여 다수의 계조전압(V1 내지 Vg)을 생성하고, 생성된 다수의 계조전압(V1 내지 Vg)을 데이터전압출력부(12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구동부(50)는 터치센싱부(30)의 구동전극들(Tx)로 구동신호(Mtx)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구동부(50)는 상기 구동전극들(Tx)에 구동신호(Mtx)를 공급하는 구동신호출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구동신호출력부(110)는 터치콘트롤러(6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구동신호(Mtx)를 각 구동전극들(Tx)에 공급할 수 있다.
터치콘트롤러(60)는 감지전극들(Rx)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신호(Nrx; 소정의 전류 또는 전압)를 측정함으로써, 정전용량의 변화를 파악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터치콘트롤러(60)는 소정의 제어신호들을 구동신호출력부(110)로 공급함으로써, 구동신호(Mtx)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제어부(7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데이터(RGB)를 화소부(20)의 구동에 알맞도록 정렬하고, 이를 영상데이터(Data)로서 데이터구동부(50)의 데이터전압출력부(12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제어부(7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도트클럭(D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Vsync, Hsync)를 이용하여 주사구동부 제어신호(SCS)와 데이터구동부 제어신호(DCS)를 생성하고, 이를 주사구동부(40)와 데이터구동부(50)로 공급함으로써 각 구동부(40, 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동기신호와 제어신호들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일례로 도 3을 참조하면, 터치콘트롤러(60)는 외부로부터 터치동기신호(Tsync)가 공급되는 경우 제 1제어신호(C1)과 제 2제어신호(C2)를 구동신호출력부(110)로 공급한다.
이 때, 터치동기신호(Tsync)는 터치센싱부(30)의 구동 시작을 결정하는 신호로서, 바람직하게는 타이밍제어부(7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타이밍제어부(70)와 터치콘트롤러(60)의 동기화는 상기 터치동기신호(Tsync)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 1제어신호(C1)는 구동신호(Mtx)의 주파수와 각 구동전극(Tx)마다 공급되는 구동신호(Mtx)의 개수를 결정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제 2제어신호(C2)는 구동신호(Mtx)가 각 구동전극들(Tx)로 분배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각 구동전극(Tx)이 선택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제 1제어신호(C1)는 소정의 전압(Vc1)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동신호출력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신호출력부의 구동 동작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신호출력부(110)는 전압가변부(112) 및 분배부(114)를 포함한다.
전압가변부(112)는 터치콘트롤러(60)로부터 공급되는 제 1제어신호(C1)의 전압 레벨을 가변함으로써, 구동신호(Mtx)를 생성한다.
일례로, 제 1제어신호(C1)의 전압(Vc1)을 소정의 전압(Vtx)으로 증폭시켜 구동신호(Mtx)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구동신호들(Mtx)은 제 1제어신호(C1)의 전압(Vc1)에서 상승된 전압(Vtx)로 설정될 수 있다.
분배부(114)는 전압가변부(112)에서 생성된 구동신호(Mtx)를 제 2제어신호(C2)에 대응해 각 구동전극(Tx)에 분배한다.
일례로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제 2제어신호(C2)와 중첩되어 공급되는 구동신호들(Mtx)을 각각의 구동전극들(Tx)에 배분하여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첫번째 제 2제어신호(C2)의 공급이 시작되면 그 후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들(Mtx)은 제 1구동전극(Tx1)으로 공급되고, 첫번째 제 2제어신호(C2)의 공급이 완료되면 구동신호(Mtx)의 공급 역시 중단된다.
일정한 포치(porch) 구간 후 다시 두번째 제 2제어신호(C2)가 공급되면 그 후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들(Mtx)은 제 2구동전극(Tx2)으로 공급되고, 두번째 제 2제어신호(C2)의 공급이 완료되면 구동신호(Mtx)의 공급 역시 중단된다.
그 후,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나머지 구동전극들(Tx3 내지 Txj)에 대하여도 구동신호(Mtx)를 공급하게 된다.
제 2제어신호(C2)의 폭은 제 1제어신호(C1)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는 하나의 제 2제어신호(C2)에 다섯개의 제 1제어신호(C1)가 중첩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중첩되는 제 1제어신호(C1)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계조전압생성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계조전압생성부(1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최상위 전압(VDD)을 분압하여 다수의 계조전압들(V1 내지 Vg)을 생성하고, 생성된 다수의 계조전압들(V1 내지 Vg)을 데이터전압출력부(120)로 공급할 수 있다.
일례로 도 6을 참조하면, 계조전압생성부(130)는 직렬 연결된 다수개의 저항(R)을 구비하는 저항 스트링 어레이(R-string array)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최상위 전압(VDD)과 최하위 전압(VSS) 사이에 존재하는 저항들(R)로 인하여, 최상위 전압(VDD)이 다수의 계조전압(V1 내지 Vg)으로 분압될 수 있다.
또한, 최상위 전압(VDD)과 최하위 전압(VSS)은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와 같은 전원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전압가변부(112)는 제 1제어신호(C1)의 전압(Vc1)을 상기 최상위 전압(VDD)으로 승압시킬 수 있다. 즉, 구동신호(Mtx)의 전압(Vtx)은 최상위 전압(VDD)과 동일하게 된다.
이 경우, 계조전압생성부(130)에서 사용되는 최상위 전압(VDD)을 이용해 제 1제어신호(C1)의 승압을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구동신호(Mtx) 생성에 필요한 별도의 승압회로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전압출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전압출력부(120)는 쉬프트레지스터부(210), 샘플링래치부(220), 홀딩래치부(230),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40; Digital to Analog Converter) 및 버퍼부(250)를 포함한다.
쉬프트레지스터부(210)는 타이밍제어부(70)로부터 소스 쉬프트 클럭(SSC) 및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공급받으며, 상기 소스 쉬프트 클럭(SSC)의 1주기 마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를 쉬프트 시키면서 순차적으로 m개의 샘플링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쉬프트레지스터부(210)는 m개의 쉬프트레지스터를 구비한다.
샘플링래치부(220)는 쉬프트레지스터부(210)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샘플링신호에 응답하여 영상데이터(Data)를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여기서, 샘플링래치부(220)는 m개의 디지털 영상데이터(Data)를 저장하기 위하여 m개의 샘플링래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각각의 샘플링래치들은 영상데이터(Data)의 비트수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영상데이터(Data)들이 k비트로 구성되는 경우 샘플링 래치 각각은 k비트의 크기로 설정된다.
상기 소스 쉬프트 클럭(SSC)과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구동부 제어신호(DCS)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데이터(Data)는 타이밍제어부(70)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홀딩래치부(230)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SOE) 신호가 입력될 때 샘플링래치부(220)로부터 영상데이터(Data)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그리고, 홀딩래치부(230)는 소스 출력 인에이블(SOE) 신호가 입력될 때 자신에게 저장된 영상데이터(Data)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40)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홀딩 래치부(230)는 m개의 영상데이터(Data)를 저장하기 위하여 m개의 홀딩래치를 구비한다.
또한, 각각의 홀딩래치들은 영상데이터(Data)의 비트수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홀딩래치들 각각은 영상데이터(Data)들이 저장될 수 있도록 k비트로 설정된다.
상기 소스 출력 인에이블(SOE) 신호는 데이터구동부 제어신호(DCS)에 포함될 수 있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40)는 상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데이터(Data)의 비트 값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40)는 홀딩래치부(230)로부터 공급되는 영상데이터(Data)의 비트 값에 대응하여 상기 계조전압생성부(130)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계조전압들(V1 내지 Vg)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그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버퍼부(250)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40)로부터 공급되는 m개의 데이터전압을 m개의 데이터선(D1 내지 Dm) 각각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버퍼부(250)는 데이터선(D1 내지 Dm)에 각각 대응되는 m개의 버퍼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화소 20: 화소부
30: 터치센싱부 40: 주사구동부
50: 데이터구동부 60: 터치콘트롤러
70: 타이밍제어부 110: 구동신호출력부
120: 데이터전압출력부 130: 계조전압생성부

Claims (13)

  1.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접속되는 화소들을 포함하는 화소부;
    구동전극들 및 감지전극들을 포함하는 터치센싱부;
    상기 주사선들을 통해 각 화소에 주사신호를 공급하는 주사구동부;
    다수의 계조전압들을 입력받아 영상데이터에 대응되는 데이터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데이터전압을 상기 데이터선들을 통해 각 화소에 공급하는 데이터전압출력부 및 상기 구동전극들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부; 및
    상기 감지전극들에서 출력되는 센싱신호를 검출하는 터치콘트롤러;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콘트롤러는,
    외부로부터 터치동기신호가 공급되면 제 1제어신호와 제 2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신호출력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출력부는,
    상기 제 1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가변하여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전압가변부; 및
    상기 구동신호를 상기 제 2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각 구동전극에 분배하는 분배부;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구동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최상위 전압을 분압하여 상기 다수의 계조전압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계조전압들을 상기 데이터전압출력부로 공급하는 계조전압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가변부는,
    상기 제 1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상기 최상위 전압과 동일하게 승압시켜 상기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압출력부는,
    순차적으로 샘플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쉬프트레지스터부;
    상기 샘플링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샘플링래치부;
    상기 샘플링래치부에 저장된 상기 영상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홀딩래치부;
    상기 계조전압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계조전압들 중 상기 홀딩래치부로부터 공급되는 영상데이터에 대응되는 계조전압을 선택하고, 이를 데이터전압으로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전압을 상기 데이터선들로 전달하기 위한 버퍼부;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구동부 및 데이터구동부를 제어하는 타이밍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데이터는,
    상기 타이밍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동기신호는,
    상기 타이밍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제어신호의 폭은, 상기 제 1제어신호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부와 상기 터치센싱부는,
    중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극들과 상기 감지전극들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거나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극들과 상기 감지전극들은,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110055878A 2011-06-10 2011-06-10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776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878A KR101776064B1 (ko) 2011-06-10 2011-06-10 터치 스크린 패널
US13/454,934 US9189100B2 (en) 2011-06-10 2012-04-24 Touch screen panel with integrated touch and data driv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878A KR101776064B1 (ko) 2011-06-10 2011-06-10 터치 스크린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745A true KR20120136745A (ko) 2012-12-20
KR101776064B1 KR101776064B1 (ko) 2017-09-08

Family

ID=4729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878A KR101776064B1 (ko) 2011-06-10 2011-06-10 터치 스크린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89100B2 (ko)
KR (1) KR1017760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0345A (zh) * 2013-12-27 2014-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
KR20170020650A (ko) * 2015-08-13 2017-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70045436A (ko) * 2015-10-16 2017-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75441B (zh) * 2012-10-19 2015-03-01 Au Optronics Corp 內嵌式觸控顯示面板及其驅動方法
CN103034365B (zh) * 2012-12-13 2016-03-09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触控显示电路结构及其驱动方法、阵列基板和显示装置
TWI507957B (zh) * 2013-07-22 2015-11-11 Chunghwa Picture Tubes Ltd 驅動觸控顯示器的方法及提升訊雜比的觸控顯示器
CN103617774A (zh) * 2013-11-30 2014-03-05 无锡博一光电科技有限公司 触摸及显示一体化检查方法及装置
KR102081253B1 (ko) * 2013-12-09 2020-0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679129B1 (ko) * 2014-12-24 2016-1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갖는 표시장치
CN104658432B (zh) * 2015-03-11 2017-08-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双面显示装置、驱动方法和电子设备
TWI566141B (zh) * 2015-06-09 2017-01-11 宏碁股份有限公司 觸控裝置及其操作方法
CN106775040B (zh) * 2015-11-20 2019-09-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致发光触控显示面板的控制装置、触摸屏及显示装置
CN107886908B (zh) * 2016-09-30 2021-05-04 珠海中科锐博医疗科技有限公司 触摸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07888756B (zh) * 2016-09-30 2021-04-30 珠海中科锐博医疗科技有限公司 手机
KR20180079088A (ko) * 2016-12-30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및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구동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489B1 (ko) * 2006-02-09 2007-1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US8552989B2 (en) * 2006-06-09 2013-10-08 Apple Inc. Integrated display and touch screen
KR101509116B1 (ko) * 2007-11-13 2015-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1542397B1 (ko) * 2007-12-10 2015-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00048236A (ko) 2008-10-30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싱 감도를 향상시킨 터치 콘트롤러, 터치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5484109B2 (ja) * 2009-02-09 2014-05-0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
US8314779B2 (en) * 2009-02-23 2012-11-20 Solomon Systech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touch panel
JP5519349B2 (ja) 2009-05-19 2014-06-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接触検出装置
KR101392336B1 (ko) * 2009-12-30 2014-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TWI420363B (zh) * 2010-04-21 2013-12-2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面板控制裝置與其操作方法
JP2011257831A (ja) * 2010-06-07 2011-12-22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
KR101788767B1 (ko) 2011-02-10 2017-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0345A (zh) * 2013-12-27 2014-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像素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
US9626035B2 (en) 2013-12-27 2017-04-1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OLED pixel circuit,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
KR20170020650A (ko) * 2015-08-13 2017-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70045436A (ko) * 2015-10-16 2017-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89100B2 (en) 2015-11-17
US20120313866A1 (en) 2012-12-13
KR101776064B1 (ko)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06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513314B1 (ko) 터치 회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터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US9916035B2 (en) Display device with an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571769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8876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360411B1 (ko) 터치센서 내장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637174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101537435B1 (ko) 터치센서를 가지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200004367A1 (en) Touch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ler,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TW201423521A (zh) 具有積體觸控螢幕之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KR102020282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254891B2 (en) Touch sensitive display device having resistance to noise, and control methods therefor
KR20190073632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9696987A (zh) 触摸显示装置、驱动电路和驱动方法
KR102375270B1 (ko) 구동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35497B1 (ko) 표시장치
KR20190048189A (ko) 터치 센싱 방법, 터치 센싱 회로 및 터치 표시장치
KR102202869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63348B1 (ko) 게이트 드라이버,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84000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40140935A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60202818A1 (en) Touch screen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70078926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