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673A -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673A
KR20120136673A KR1020110055743A KR20110055743A KR20120136673A KR 20120136673 A KR20120136673 A KR 20120136673A KR 1020110055743 A KR1020110055743 A KR 1020110055743A KR 20110055743 A KR20110055743 A KR 20110055743A KR 20120136673 A KR20120136673 A KR 20120136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amp
straight
led
heat sink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8627B1 (ko
Inventor
윤철구
Original Assignee
미미라이팅주식회사
루멘전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미라이팅주식회사, 루멘전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미라이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5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62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37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rod-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being retractable, i.e. having two fixed positions, one recessed, e.g. in a wall, floor or ceiling, and one extended when in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the fastening being onto or by the lamp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5Optical design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되 하부면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부(111)가 천장벽에 설치된 고정부(1)에 체결되어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0);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측으로 오목한 복수 개의 오목홈부(121)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입사되는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120); 상기 오목홈부(121)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양측에 장착된 램프 커넥터(112)에 체결핀(131)이 결합되어 배치되며, 구동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직관형 LED 램프(130);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판(120)은, 상기 복수 개의 오목홈부(121)가 형성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어 모서리진 형태를 갖는 모서리부(122)가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단 수평라인(L1)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D1)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LED 조명광이 소정각도(θ1)로 확산되며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Lighting Apparatus For Straight Type LED Lamp}
본 발명은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ED 조명광의 확산범위 및 광반사율을 증대시켜 보다 넓은 조명구역을 균일한 조도로 조명할 수 있는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는, 고정프레임이 천장벽 등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다수의 LED 광원이 장착된 파이프 형태의 직관형 LED 램프가 통상 2개가 장착되며, 고정프레임과 직관형 LED 램프의 사이에는 상측으로 입사되는 조명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측으로 오목한 2개의 오목홈부가 형성된 반사판이 배치된다.
또한, LED 광원의 고휘도 및 직진성으로 인해 발산되는 조명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프레임의 일측에는 LED 광원의 조명광을 분산시키고 광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광확산판이 장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광확산판이 장착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2개의 오목홈부가 접촉되는 모서리부 또는 직관형 LED 램프의 상측에 장착되는 히트싱크에 의해 LED 광원의 일부가 가려지면서 LED 조명광의 확산각도가 좁아지게 됨은 물론, 반사판이 미러(Rirror) 타입의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전체 광반사율의 90% 이상이 정반사되어 LED 조명광이 균일하게 분산되는 효율이 저하될 수 밖에 없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LED 조명광의 확산범위가 제한되며 불균일한 광량으로 발산됨에 따라, 일정 조명구역을 적절 수준의 광량으로 조명하기 위해서는 필요 이상의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를 다수 개 장착해야 했기 때문에, 조명기구의 설치비용은 물론 유지 관리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LED 조명광의 확산범위 및 광반사율을 증대시켜 보다 넓은 조명구역을 균일한 조도로 조명할 수 있는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되 하부면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부(111)가 천장벽에 설치된 고정부(1)에 체결되어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0);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측으로 오목한 복수 개의 오목홈부(121)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입사되는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120); 상기 오목홈부(121)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양측에 장착된 램프 커넥터(112)에 체결핀(131)이 결합되어 배치되며, 구동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직관형 LED 램프(130);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판(120)은, 상기 복수 개의 오목홈부(121)가 형성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어 모서리진 형태를 갖는 모서리부(122)가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단 수평라인(L1)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D1)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LED 조명광이 소정각도(θ1)로 확산되며 투과되고,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는, 발열된 열을 방출시키는 히트싱크(132)와, 상기 히트싱크(132)의 하측면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LED 광원(133)이 실장된 PCB(134) 및, 상기 히트싱크(132)의 양측에 체결되어 LED 조명광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커버부(135)를 포함하되, 상기 히트싱크(132)는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의 중심 수평라인(L2)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D2)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LED 조명광이 소정각도(θ3)로 확산되며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는, 상기 반사판(120)에 의한 광반사율이 증대되도록, 상기 커버부(135)의 하단이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단 수평라인(L1)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D3)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는, 상기 반사판(120)에 의해 반사되는 LED 조명광의 광량이 증대되도록,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의 중심(C)이 상기 오목홈부(121)의 중심 수직라인(L3)으로부터 상기 모서리부(122) 방향으로 일정거리(D4)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반사판(120)은, 90 내지 95%의 광반사율을 갖되, 확산반사율은 80 내지 85%의 범주에 속하며 정반사율은 10 내지 15%의 범주에 속하도록, 백색의 도료가 도포되거나 백색의 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직관형 LED 램프(130)에 구비된 히트싱크(132)가 직관형 LED 램프(130)의 중심 수평라인(L2)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D2)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LED 광원(133)의 외측방향으로 발산되는 LED 조명광의 확산범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반사판(120)의 모서리부(122)가 고정프레임(110)의 하단 수평라인(L1)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D1)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LED 광원(133)의 내측방향으로 발산되는 LED 조명광의 확산범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직관형 LED 램프(130)의 커버부(135) 하단이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단 수평라인(L1)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D3)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의 중심(C)이 상기 오목홈부(121)의 중심 수직라인(L3)으로부터 상기 모서리부(122) 방향으로 일정거리(D4) 이격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반사판(120)에 의해 반사되는 LED 조명광의 광량이 증대되어 광반사율 중 확산반사율의 비중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넷째, 상기 반사판(120)의 표면에는 백색의 도료가 도포되거나 백색의 시트가 부착되어, 90 내지 95%의 광반사율을 가지며, 이 중 확산반사율은 80 내지 85%의 범주에 속하며 정반사율은 10 내지 15%의 범주에 속하게 되며, 균일한 광량으로 LED 조명광을 확산시켜 발산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와 같이 LED 조명광의 확산범위를 증대시키며 균일한 광량으로 발산할 수 있으므로 보다 넓은 조명구역을 균일한 조도로 조명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크기의 조명구역에 장착되는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의 설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명기구의 설치비용 및 유지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여섯째, 대전방지부에 의해 정전기의 발생이 최소화되어 조명기구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이물질에 의해 조명기구의 광효율이 감소되지 않으며 조명기구의 유지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사판(120)을 장착시키는 고정프레임(110)의 테두리부가 금속재질로 형성된 경우, 접지연결부에 의해 상기 테두리부가 접지(earth)접속되므로, 상기 정전기의 발생을 더욱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접지연결부가 상기 테두리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테두리부의 벽면을 관통 삽입하는 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용이하게 접지연결부의 설치가 용이하며, 상기 고정프레임과 테두리부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가 천장벽에 설치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모서리부가 고정프레임의 하단 수평라인(L1)으로부터 일정거리(D1)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 램프의 내측방향으로의 확산각도(θ1)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 램프의 히트싱크가 중심 수평라인(L2)으로부터 일정거리(D2)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 램프의 커버부 하단이 고정프레임의 하단 수평라인(L1)으로부터 일정거리(D3)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 램프가 오목홈부의 중심 수직라인(L3)으로부터 모서리부(122) 방향으로 일정거리(D4)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의 대전방지부 및 접지연결부의 구성과, 상기 대전방지부 및 접지연결부에 의해 정전기 발생이 최소화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에 따른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이하에서는 '조명기구(100)'라 함)는, 천장벽에 설치된 고정부(1)에 의해 지지되어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벽면 또는 별도의 고정설치용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조명장치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조명기구(100)를 고정 설치시키는 고정부(1)는 제1수평바(3), 제2수평바(4) 및 행거부재(2)를 포함하여, 상기 조명기구(100)를 고정설치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조명기구(100)가 매입 설치되는 천장은 건물의 슬래브에서 소정간격 이격 설치된 복수 개의 수직바 형태의 행거부재(2)에 일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제1수평바(3)가 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바(3)의 저면에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제2수평바(4)가 크로스 결합되며, 상기 제2수평바(4)의 저면에 텍스(5)가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제1수평바(3)를 통상 C채널이라 하고 제2수평바(4)를 통상 M바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바(3)는 통상 텍스(5)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조명기구(100)는 텍스(5)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수평바(3)는 조명장치의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100)는, 고정프레임(110), 반사판(120) 및 직관형 LED 램프(1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10)은,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되 하부면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부(111)가 천장벽에 설치된 고정부(1)에 체결되어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일방향으로 긴 상면판 및 측면판으로 이루어져서 하면이 개방된 케이스 형상이며, 폭방향의 길이는 한 쌍의 제2수평바(4)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양 측면판이 제2수평바(4)의 측면에 면접촉된다.
또한, 각 측면판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111)는 인접한 텍스(5)의 저면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때, 폭방향의 양측 테두리부(111)에는 제2수평바(4)의 저면에 면접촉되는 단턱이 형성되며, 이 단턱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나사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프레임(110)이 제2수평바(4)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반사판(120)은,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 끼움 장착되며, 상측으로 오목한 복수 개의 오목홈부(121)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입사되는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표면에 도료가 도포되거나 백색의 시트가 부착되어 LED 조명광이 균일하게 분산되며 발산하도록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반사판(120)이 미러(Mirror) 타입으로 반사시키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경우, LED 조명광의 전체 광확산율은 95% 정도 나타낼 수 있겠으나, 이중 정반사율은 93%이며 확산반사율은 2% 정도로 반사되면서 확산된다. 그러나, 정반사율이 높을수록 LED 광원(133)이 갖는 고유의 고휘도 및 직직성에 대한 특성 때문에 분산되지 못하고 특정 부분에 광량이 집중된 형태로 발산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반사판(120)의 표면에 백색의 도료가 도포되거나 백색의 시트가 부착되면 전체 광확산율은 90 내지 95%의 광반사율을 가지나, 확산반사율은 80 내지 85%의 범주에 속하며 정반사율은 10 내지 15%의 범주에 속하게 되어 상기 미러 타입의 반사판과 비교하여 볼 때, LED 조명광을 균일한 광량으로 분산시켜 발산하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120)은, 복수 개의 오목홈부(121)가 형성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어 모서리진 형태를 갖는 모서리부(122)가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단 수평라인(L2)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D2)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LED 조명광이 소정각도(θ3)로 확산되며 투과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 수평라인(L2)은 고정프레임(110)의 하단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뻗은 연장선으로서, 도 4와 같이, 상기 반사판(120)의 모서리부(122)가 상기 하단 수평라인(L1)이 나타내는 위치 이하로 배치될 경우, LED 광원(133)에 의한 LED 조명광의 확산각도는 소정각도(θ2)와 같게 된다. 즉, 상기 모서리부(122)가 하단 수평라인(L1)보다 상측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LED 광원(133)의 내측방향으로 발산되는 LED 조명광의 확산범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는, 반사판(120)의 오목홈부(121)의 내측에서 고정프레임(110)의 양측에 장착된 램프 커넥터(112)에 체결핀(131)이 결합되어 배치되며, 구동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구성요소로서, 종래의 형광 램프와 전체적인 외형 및 크기는 유사하되, 상측에 LED 광원(133)의 구동에 따른 발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히트싱크(132)가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는,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히트싱크(132)와, 히트싱크(132)의 하측면에 밀착되어 배치되며 복수 개의 LED 광원(133)이 실장된 PCB(134) 및, 상기 히트싱크(132)의 양측에 체결되어 LED 조명광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커버부(13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트싱크(132)는,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의 중심 수평라인(L2)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D2)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LED 조명광이 LED 조명광이 소정각도(θ3)로 확산되며 투과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 수평라인(L2)은 직관형 LED 램프(13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수평으로 뻗은 연장선으로서, 상기 히트싱크(132)가 상기 중심 수평라인(L2)이 나타내는 위치 이하로 배치될 경우, 상기 LED 광원(133)에 의한 LED 조명광의 확산각도는 소정각도(θ4)와 같게 된다. 즉, 상기 히트싱크(132)가 중심 수평라인(L2)보다 상측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LED 광원(133)의 외측방향으로 발산되는 확산범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135)의 하단이 고정부(1)의 하단 수평라인(L1)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D3)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직관형 LED 램프(130)의 중심(C)이 상기 반사판(120)의 오목홈부(121)의 중심 수직라인(L3)으로부터 상기 모서리부(122) 방향으로 일정거리(D4)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가 반사판(120)에 근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반사판(120)에 의해 반사되는 LED 조명광의 광량을 증대시켜 광반사율 중 확산반사율의 비중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100)는, 정전기로 인해 반사판(120) 및 고정프레임(110)의 테두리부(111) 표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어 조명효율이 감소되지 않도록 상기 정전기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방지부(140) 및 접지연결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대전방지부(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120) 및 고정프레임(110)의 테두리부(111)의 외부면을 연하여 도포되어 표면저항을 감소시켜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대전방지제로서, 조명장치의 광속을 유지하여 광효율이 감소되지 않도록 무색 투명의 박막 코팅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대전방지부(33)는 상기 반사판(120) 및 고정프레임(110)의 테두리부(111)의 외부면에 10μm 이하로 박막 코팅되며, 투색 투명 상태를 유지하도록 Tr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hloride polymer와, Methylmethacrylate polymer와, Ethylmethacrylate polymer 및, Hydroxypropyl methacrylate polymer 등의 대전방지물질로 이루어진 대전방지제가 IPA(n-propyl alcohol) 및 증류수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전방지물질들과 IPA 및 증류수는 각각 1:1:1의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대전방지부(140)는, 상기 반사판(120)과 테두리부(111)의 체결부위에 끊김없이 코팅된 형태로 형성되도록, 상기 반사판(120)과 테두리부(111)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도포되어 박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판(120)에는 광확산투과용 재료인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아크릴(Acrylic) 등의 유기물 재질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표면저항이 1012/㎠ 내지 1013 Ω/㎠ 정도 유지하게 되나, 상기 대전방지부(140)를 상기 반사판(120) 및 고정프레임(110)의 테두리부(111)에 도포하게 되면, 상기 대전방지부(140)를 구성하는 대전방지제의 특성으로 인하여 표면저항이 109 Ω/㎠ 내지 1010 Ω/㎠ 로 감소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반사판(120) 및 테두리부(111)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는 공기중으로 분산되어 사라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10) 및 테두리부(111)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그 표면에 내식성 또는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페인트 등의 유기물이 도포된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100)에서는, 상기 대전방지부(140)에 의해 표면저항을 감소시키는 구성 이외에 접지연결부(150)를 통해 상기 반사판(120) 및 테두리부(111)의 표면저항을 더욱 감소되도록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조명기구는, 외부에 노출된 금속재질의 부분품이 금속재질로 형성될 경우, 유입전류가 상기 부분품을 따라 누설되지 않도록 부분품의 일측을 접지(Ground)접속시키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조명기구의 외부로 누출된 부분품 즉, 고정프레임(110)의 일측은 접지접속되도록 회로구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일측과 테두리부(111)의 각 벽면(110a,111a)이 접촉되는 부분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벽면(110a) 내부와 상기 테두리부(111)의 벽면(111a) 내부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지연결부(1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지연결부(150)는, 머리부분(151)과 몸체부분(152)으로 구분되는 나사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접지연결부(150)의 머리부분(151은 상기 테두리부(111)의 벽면(111a)의 외부에 노출되어 상기 테두리부(111)의 외부면에 접촉되며, 상기 접지연결부(150)의 몸체부분(152)은 상기 테두리부(111)의 벽면(11a)과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벽면(110a)을 연속 관통하여 삽입 장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120) 및 테두리부(111)에 형성된 정전기의 전하는 도면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대전방지부(140)의 표면을 따라 흐르게 되어 상기 접지연결부(150)의 내부를 통해 고정프레임(110)의 내부 금속재질부분을 따라 접지되므로 반사판(120) 및 테두리부(111)의 표면저항은 더욱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100)의 각 구성에 의해, LED 광원(133)의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발산하는 LED 조명광의 확산범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균일한 광량으로 LED 조명광을 확산시켜 발산하며, 반사판(120)에 의한 광반사율 중 확산반사율의 비중을 보다 증대시킴으로써, 보다 넓은 조명구역을 균일한 조도로 조명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크기의 조명구역에 장착되는 조명기구(100)의 설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명기구의 설치비용 및 유지 관리비용을 절감 가능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120) 및 고정프레임(110)의 테두리부(111)의 외부면을 연하여 도포되어 표면저항을 감소시켜 정전기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조명장치의 광속을 유지하여 광효율이 감소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조명기구 110...고정프레임
120...반사판 121...오목홈부
122...모서리부 130...직관형 LED 램프
132...히트싱크 133...LED 광원
134...PCB 135...커버부
140...대전방지부 150...접지연결부

Claims (4)

  1.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되 하부면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부(111)가 천장벽에 설치된 고정부(1)에 체결되어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0);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측으로 오목한 복수 개의 오목홈부(121)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입사되는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120); 및
    상기 오목홈부(121)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양측에 장착된 램프 커넥터(112)에 체결핀(131)이 결합되어 배치되며, 구동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직관형 LED 램프(130);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판(120)은, 상기 복수 개의 오목홈부(121)가 형성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어 모서리진 형태를 갖는 모서리부(122)가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단 수평라인(L1)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D1)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LED 조명광이 소정각도(θ1)로 확산되며 투과되고,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는, 발열된 열을 방출시키는 히트싱크(132)와, 상기 히트싱크(132)의 하측면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LED 광원(133)이 실장된 PCB(134) 및, 상기 히트싱크(132)의 양측에 체결되어 LED 조명광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커버부(135)를 포함하되, 상기 히트싱크(132)는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의 중심 수평라인(L2)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D2)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LED 조명광이 소정각도(θ3)로 확산되며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는,
    상기 반사판(120)에 의한 광반사율이 증대되도록, 상기 커버부(135)의 하단이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하단 수평라인(L1)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D3)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는,
    상기 반사판(120)에 의해 반사되는 LED 조명광의 광량이 증대되도록, 상기 직관형 LED 램프(130)의 중심(C)이 상기 오목홈부(121)의 중심 수직라인(L3)으로부터 상기 모서리부(122) 방향으로 일정거리(D4)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111)과 반사판(120)의 외부면을 연하여 도포된 형태로 표면저항을 감소시키는 대전방지부(1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테두리부(111)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일측은 접지(Ground)되도록 회로구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테두리부(111)의 각 벽면(110a,111a)이 접촉되는 부분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벽면(110a) 내부와 상기 테두리부(111)의 벽면(111a) 내부를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지연결부(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
KR1020110055743A 2011-06-09 2011-06-09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 KR101258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743A KR101258627B1 (ko) 2011-06-09 2011-06-09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743A KR101258627B1 (ko) 2011-06-09 2011-06-09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673A true KR20120136673A (ko) 2012-12-20
KR101258627B1 KR101258627B1 (ko) 2013-04-26

Family

ID=4790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743A KR101258627B1 (ko) 2011-06-09 2011-06-09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6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3467A (zh) * 2019-06-24 2019-09-17 江苏省建筑工程质量检测中心有限公司 一种道路照明检测用测试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7667B1 (ko) * 2017-02-16 2018-10-15 주식회사 아이이씨티 방폭 led 등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0579B2 (ja) * 1998-12-28 2000-10-16 株式会社テレビ東京 照明装置
JP2002015604A (ja) * 2000-06-29 2002-01-18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JP2010198927A (ja) * 2009-02-25 2010-09-09 Ssec Kk Ledラン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3467A (zh) * 2019-06-24 2019-09-17 江苏省建筑工程质量检测中心有限公司 一种道路照明检测用测试架
CN110243467B (zh) * 2019-06-24 2024-01-23 江苏省建筑工程质量检测中心有限公司 一种道路照明检测用测试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627B1 (ko) 201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5749B2 (ja) 照明装置
EP2916063B1 (en) Led lighting apparatus
US9857069B2 (en) Spherical lamp with easy heat dissipation
CA2826903C (en) Blade of light luminaire
KR101038189B1 (ko) 오염방지 기능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JP5217789B2 (ja) 照明器具
KR101258627B1 (ko) 직관형 led 램프용 매입개방 조명기구
US10731826B2 (en) Low profile LED luminaire with low bright to dark ratio
JP3176534U (ja) ウォールウォッシュライトおよび照明システム
KR100983645B1 (ko) 형광등 대체용 엘이디 조명 장치
KR101357322B1 (ko) 엘이디 조명 장치
KR20120007312U (ko) 엘이디를 이용한 다색 실내등
JP5717095B2 (ja) 看板用直管蛍光灯型ledランプ
KR101652783B1 (ko) 조명 장치
KR101047441B1 (ko) 조명 장치
KR101105162B1 (ko) 다중 반사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130102852A (ko) 형광등형 엘이디 조명기구
KR101054839B1 (ko) 조명 장치
KR101652816B1 (ko) 조명 장치
JP2018147563A (ja) 発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KR101741152B1 (ko) 조명부 착탈형 엘이디 조명기구
KR20140108093A (ko) 엘이디 조명 장치
CN203703648U (zh) 面板灯
KR101300890B1 (ko) 열방출 및 광원확산이 우수한 엘이디형광등
KR101652807B1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