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5843A -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 Google Patents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843A
KR20120135843A KR1020110054798A KR20110054798A KR20120135843A KR 20120135843 A KR20120135843 A KR 20120135843A KR 1020110054798 A KR1020110054798 A KR 1020110054798A KR 20110054798 A KR20110054798 A KR 20110054798A KR 20120135843 A KR20120135843 A KR 20120135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ink
output
input link
circumscri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54596B1 (en
Inventor
신용철
신현우
Original Assignee
신용철
신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철, 신현우 filed Critical 신용철
Priority to KR1020110054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596B1/en
Priority to PCT/KR2011/004233 priority patent/WO2012011662A2/en
Publication of KR20120135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8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5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 links or levers, and cams, or members of at least two of these ty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intermittently-driving members, e.g. with freewheel action
    • F16H29/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intermittently-driving members, e.g. with freewheel action between one of the shafts and an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intermediate member, not rotating with either of the shafts
    • F16H29/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intermittently-driving members, e.g. with freewheel action between one of the shafts and an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intermediate member, not rotating with either of the shafts in which the transmission ratio is changed by adjustment of a crank, an eccentric, a wobble-plate, or a cam, on one of the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nonstep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is provided to eccentricity-arrange a variable pin in the magnetoelectricity center of an input link by link-coupling the input link and a coupler link. CONSTITUTION: A case(50) is steadily inscribed in a hub of a driving wheel. A fixing central axis(21) has a central axis line same as the rotation center of the driving wheel. The fixing central axis is circumscribed with a variable pin guide unit(21a) by being placed on a one way clutch bearing(21b). One variable pin(P1) link-unites an input link(60) and multiple coupler links(90). A final output axis(85) is steadily inscribed in an output gear(82).

Description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본 발명은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b type CVT.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입력링크, 복수개의 커플러링크 및 상기 커플러링크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의 출력링크를 서로 링크결합하고 있는 레버 크랭크기구를 이용하되, 상기 입력링크가 자전운동되게 하고, 상기 입력링크와 복수개의 커플러링크를 링크결합시키는 가변핀이 상기 입력링크의 자전중심에서 편심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공전 및 자전운동되지 않게 하면서 부하에 따라 상기 입력링크의 자전운동 반경방향에서 탄성적으로 가변되게 하고, 상기 복수개의 커플러링크와 복수개의 출력링크를 링크결합시키는 링크핀과 그리고 일방향클러치베어링을 개재하여 상기 복수개의 출력링크의 출력축에 외접된 복수개의 클러치기어가 상기 입력링크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공전중심을 갖고서 공전되게 하는 구조를 가진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ever crank mechanism for link coupling the input link, the plurality of coupler links and the same number of output links as the number of the coupler links, but the input link is rotated, A variable pin for linking the input link and the plurality of coupler links is elastically fix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of the input link according to the load while preventing the rotation and the rotating movement in the state eccentrically arranged 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input link. And a plurality of clutch gears externally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s of the plurality of output links through link pins for coupling the plurality of coupler links and the plurality of output links and one-way clutch bearings.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with a structure that allows them to revolve with the same center of revolution It relates.

일반적으로, 감속기는 서로 다른 크기의 기어를 서로 조합함으로써 일정한 감속비로 동력을 출력하는 정속감속기와, 원뿔 형태의 감속장치를 적용하여 감속비를 가변시킬 수 있는 무단 변속기로 구분된다.In general, the reducer is divided into a constant speed reducer that outputs power at a constant reduction ratio by combining gears of different sizes with each other, and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at can change the reduction ratio by applying a conical reduction gear.

모터나 엔진 등의 동력 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은 고회전력으로 출력되지만 힘(토크)이 적다. 따라서, 대부분의 산업기계에 있어서는 감속장치를 이용하여 토크를 증가시켜 작동하게 된다.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a power generator such as a motor or an engine is output with high rotational power, but the force (torque) is small. Therefore, in most industrial machines, the torque is increased by using a reduction gear.

여기서, 감속기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대신 토크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상기 감속기는 동력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회전수를 감속시킴과 동시에 토크를 증가시켜 출력하게 되나, 출력축에 가해지는 부하가 출력축의 출력토크보다 클 경우 부하가 동력발생원인 모터나 엔진에 역으로 작용함으로써 모터나 엔진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다.Here, the reducer increases torque instead of slowing down the number of revolutions transmitted from the power generator. However, the speed reducer reduces the rotation speed supplied from the power generator and increases the torque and outputs the torque. However,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output shaft is greater than the output torque of the output shaft, the load is reversed to the motor or engine that is the power source. By acting, there is a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 of a motor or engine.

그리고, 출력축의 출력토크보다 큰 부하가 모터나 엔진에 역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목표하는 출력을 출력축으로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load larger than the output torque of the output shaft acts in a reverse direction to the motor or the engine, thereby preventing a target output from being supplied to the output shaf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무단변속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된 제10-2007-0064349호에 개시되어 있다.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for solving this probl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2007-0064349 filed by the inventor.

상기 특허출원에 의해 개시된 무단변속장치에는 외력(모터 또는 엔진 등)에 의해 일방향회전운동하게 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외부에 그 구동력을 전달하는 출력축 사이에 레버 크랭크기구가 개재되어 있다.In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isclosed by the patent application, a lever crank mechanism is interposed between an input shaft that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a motor or an engine) and an output shaft that receives the driving force of the input shaft and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outside. .

이 레버 크랭크기구는 입력축의 일방향 회전운동을 출력축이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왕복선회운동하게 하는 공지의 기구이며, 이러한 공지의 기구를 이용하여 장치는 예를 들면, 와이퍼 구동장치가 해당 될 수 있다.The lever crank mechanism is a known mechanism for causing the one-way rotational movement of the input shaft to make the output shaft reciprocate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By using such a known mechanism, the device may be, for example, a wiper drive device.

하지만, 상기 레버 크랭크 기구를 이용한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는 동력전달체계가 일측으로 편위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서, 작동중 떨림이나 소음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ing the lever crank mechanism adopts a system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is biased to one sid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vibration or noise is generated during oper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무단변속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된 제10-2008-0092992호에 개시되어 있다.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at solves this problem is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92992 filed by the present inventors.

상기 개시된 무단변속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1); 상기 입력축(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입력축(1)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1)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게 되는 한 쌍의 종동축(2, 2'); 상기 입력축(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가능하게 상기 입력축(1)에 결합되어 있고,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한 쌍의 가변 핀(P1, P2)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반력장치(3a, 4a)를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과 함께 각각 수용하고 있는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에 전달되는 양방향 회전력을 일방향으로만 전달받아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 5', 6')을 개재하여, 일단이 외접되어 결합되어 있는 2쌍의 출력링크(7, 8; 7', 8'); 및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 각각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2쌍의 출력링크(7, 8; 7', 8') 각각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2쌍의 커플러링크(9, 10; 9' 10')를 포함하고 있다.The continuously disclosed variable speed apparatus includes an input shaft (1) rotatably mounted on a frame (not shown) to receive a rotational force input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S. 1 and 2; A pair of driven shafts 2 and 2 arranged parallel to the input shaft 1 with the input shaft 1 interposed therebetween to receive power from the input shaft 1 while being rotatably mounted to the frame. ');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of the pair of variable pins (P1, P2) is coupled to the input shaft (1) so as to receive a rotational force of the input shaft (1), the rotation radius is variable by an external load A pair of variable input links 3 and 4 respectively accommodating a pair of reaction force devices 3a and 4a respectively pressed together with the pair of variable pins P1 and P2; One-way clutch bearings 5 and 6 which receive two-way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each of the pair of driven shafts 2 and 2 'in one direction and rotate each of the pair of driven shafts 2 and 2' in one direction; Two pairs of output links 7, 8; 7 ', 8' having one end circumscribed and coupled via 5 ', 6'); And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variable pins P1 and P2,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two pairs of output links 7, 8; 7 ', 8'. Two pairs of coupler links 9, 10; 9 '10' are included.

여기에서, 상기 입력축(1)과 상기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 간의 구동적 결합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입력축(1)의 양단에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 각각의 일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는 방식이 취해질 수도 있고, 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의 외주면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입력기어(G1)를 마련하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변 입력링크(3, 4)를 일체화한 하나의 원통형 하우징(11)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1차피동기어(G2)를 마련한 상태에서 이들(G1, G2)을 서로 맞물리게 하는 방식이 취해질 수도 있다.Here, the driving coupling method between the input shaft (1) and the pair of variable input links (3, 4), as shown in Figure 1, a pair of variable input links on both ends of the input shaft (1) (3, 4) A manner in which each end is fixedly circumscribed may be taken, or as shown in FIGS. 3 and 4, an input gear G1 fixedly circumscrib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put shaft 1 is provided. And engaging the G1 and G2 with each other in a state where a primary driven gear G2 fixedly circumscribed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housing 11 in which the pair of variable input links 3 and 4 are integrated. The way may be taken.

또한, 상기 한 쌍의 가변 핀(P1, P2)는 서로에 대하여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2쌍의 출력링크들 중 출력링크(7, 7')는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7)가 상기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7') 보다도 회전방향에서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앞선 위상차를 가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다른 출력링크(8, 8')도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8)가 상기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8') 보다도 회전방향에서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앞선 위상차를 가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variable pins P1 and P2 are disposed with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output links 7 and 7 'of the two pairs of output links are the one output link 7. ) May be arranged in such a manner as to have a leading phase difference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180 degree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han the other output link 7 ', and the other output links 8 and 8' are also output in the one output. The link 8 can be arranged in such a way that it has a leading phase difference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180 degrees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than the other output link 8 '.

또한, 상기 2쌍의 출력링크(7, 8; 7', 8')와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간의 구동적 결합 방식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의 양단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 5', 6')을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출력링크(7, 8, 7' 8')의 일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는 방식이 취해질 수 있고, 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을 관형으로 만들고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 각각의 양단에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5, 6; 5' 6')을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출력링크(7, 8; 7' 8')의 일단이 각각 고정적으로 내접되는 방식이 취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coupling between the two pairs of output links (7, 8; 7 ', 8') and the pair of driven shafts (2, 2 '), as shown in Figures 1 and 2, One end of the output link 7, 8, 7 ′ 8 ′ with one-way clutch bearings 5, 6; 5 ′, 6 ′ interposed at each end of each of the pair of driven shafts 2, 2 ′. This fixed circumscribed manner can be taken, or as shown in FIGS. 3 and 4, each of the pair of driven shafts 2, 2 ′ is tubular and the pair of driven shafts 2, 2 ′. ) One end of the output link 7, 8; 7 ′ 8 ′ may be fixedly inscribed with the one-way clutch bearings 5, 6; 5 ′ 6 ′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상기 한 쌍의 종동축(2, 2')에는 한 쌍의 출력기어(G3, G3')가 각각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출력기어(G3, G3') 사이에는 이들과 맞물리게 최종출력기어(G4)가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pair of output gears G3 and G3 'are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pair of driven shafts 2 and 2', respectively, and between the pair of output gears G3 and G3 '. And final output gear (G4) is arranged to mate with.

상기 최종출력기어(G4)에는 동력을 전달해야할 외부기기의 도시되지 않은 종동축과 커플링될 최종출력축(15)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다.The final output gear G4 is fixedly inscribed with a final output shaft 15 to be coupled with a driven shaft (not shown) of an external device to which power is to be transm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는 상기 가변 입력링크를 중심으로 해서, 커플러링크, 출력링크 및 종동축이 좌우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작동중 떨림이 발생되지 않아, 소음이 종래보다 발생되지 않으며, 아울러, 2개의 종동축 사이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한 쌍의 출력기어가 최종출력기어를 개재하여 서로 맞물려 있어서, 상기 최종출력기어를 상기 한 쌍의 출력기어들이 서로 협력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출력기어로 하여금 큰 힘을 가지고서 회전하게 하여, 큰 힘으로 외부의 기기를 구동시킬 수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upler link, the output link, and the driven shaft are symmetrically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ariable input link, so that no vibration occurs during operation, so that noise is generated. In addition, a pair of output gears fixedly circumscribed between two driven shaft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via a final output gear, such that the pair of output gears rotate in one direction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output gear can be rotated with great force, and the external device can be driven with great force.

하지만, 이러한 무단변속장치는 서로 위상차를 두고서 링크 운동하는 제1링크부(3, 9, 9', 7, 7')와 제2링크부(4, 10, 10', 8, 8')간에 입력축(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서, 무단변속장치가 비대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가 서로 위상차를 가지고서 선회운동 즉, 서로 반대방향으로 선회운동함으로써, 상기 입력축(1)에 배가된 비틀림 부하를 주게 되어, 입력축(1)이 내구성에 취약하게 만들고, 심지어는 정확한 시점에서 시계방향운동에는 반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에서 시계방향으로 상기 제1링크부 또는 제2링크부가 선회운동을 전환하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link portions 3, 9, 9 ′, 7, 7 ′ and the second link portions 4, 10, 10 ′, 8, 8 ′, which link with each other with a phase differe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epless transmission is enlarged by being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put shaft 1, and the first link portion and the second link portion have a phase difference with each other, which is a pivoting movement, that is, a pivoting movement in opposite directions. This imparts a torsional load doubled to the input shaft 1, making the input shaft 1 vulnerable to durability, and even at a precise time, the counter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clockwise rotation of the clockwise mo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rst link portion or the second link portion does not switch the swing motion.

더욱이, 상기와 같이 전체적인 크기가 비대해지는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를 자전거, 전기자전거, 전동휠체어, 전동카 등의 구동륜의 허브에 장전하는 경우, 두드러지게 돌출되게 되어, 자전거, 전기자전거, 전동휠체어, 전동카 등의 외관을 해친다고 하는 문제를 상기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는 가지고 있다.Furthermore, when the convention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 which the overall size is enlarged as described above, is loaded into the hub of the driving wheel such as a bicycle,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wheel chair, or an electric car, it protrudes prominently, and thus, a bike, an electric bike, an electric wheel chair, an electric car. The convention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has the problem of spoiling the appearance of the back and the like.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무단변속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공개된 한국공개공보 제10-2010-0076365호 및 10-2010-0090090호에 개시되어 있다.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for overcoming these problem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s. 10-2010-0076365 and 10-2010-0090090.

상기 개시된 무단변속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구동륜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케이스(211)의 일측부에 베어링(B1)을 개재하여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입력축(110)과 상기 케이스(211)의 타측부에 베어링(B2)을 개재하여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아이들축(S2)을 포함하고 있다.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scribed above has an input shaft rotatably mounted to one side of a case 211 fixedly inscribed to a hub of a driving wheel (not shown) via a bearing B1, as shown in FIG. 5. 110 and an idle shaft S2 rotatably mounted through the bearing B2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211.

상기 케이스(211)의 일측부 밖으로 돌출된 상기 입력축(110)의 일측 부분에는 피동 스프로킷(D)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 스프로킷(D)은 도시되지 않은 페달축에 장착된 도시되지 않은 구동 스프로킷에 감겨진 체인(도시되지 않음)에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110)과 함께 회전하게 되어 있다.One side of the input shaft 110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ase 211 has a driven sprocket (D) is fixedly circumscribed, the driven sprocket (D) is not shown mounted on a pedal shaft (not shown) In a state of being wound on a chain (not shown) wound on a drive sprocket, the shaft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input shaft 110.

상기 케이스(211) 내에는 기립된 프레임(F)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F) 중앙에 형성된 구멍(O)에 베어링(B3)을 개재한 상태에서 가변입력링크(130)가 상기 프레임(F)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In the case 211, a standing frame F is embedded, and the variable input link 130 is connected to the frame (B) through a bearing B3 in a hole O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F. It is rotatably inserted with respect to F).

상기 가변입력링크(130)의 일측에는 일방향클러치(C)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110)의 선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On one side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the front end of the input shaft 110 is rotatably inserted in the state through the one-way clutch (C).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입력링크(1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변입력링크(130)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배치되어 9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상기 프레임(F)에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6 and 7, the variable input link 130 is disposed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input link 130, and has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to the frame F.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174 are rotatably mounted.

상기 가변입력링크(130)의 타측에는 회전반경이 외부 부하에 의해 가변가능한 가변 캠(P)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가압하는 반력장치(S)를 내장하고 있다.The other side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has a built-in reaction force (S) for pressing the variable cam (P), the rotation radius is variable by an external load elastically in the radial outward direction.

상기 가변 캠(P)의 선단에는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하게 되는 상기 가변 캠(P)과 함께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식으로 회전하는 디스크판(14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variable input link 130 together with the variable cam P is revolved abou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at the front end of the variable cam P. Disc disk 140, which rotates orbitally about the center of rotation is coupled rotatably.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 각각에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151, 152, 153, 154)를 개재하여 4개의 종동기어(121, 122, 123, 124)가 외접되어 있어서,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 각각에 전달되는 양방향 회전력을 일방향으로만 전달받아 상기 4개의 종동기어(121, 122, 123, 124) 각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다.Each of the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and 174 is externally provided with four driven gears 121, 122, 123, and 124 via one-way clutch bearings 151, 152, 153, and 154. It receives two-way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each of the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and 174 in one direction to rotate each of the four driven gears 121, 122, 123, and 124 in one direction.

상기 디스크판(140)에 9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형성된 4개의 구멍(181, 182, 183, 184) 각각에는 동일한 길이의 4개의 커플러링크(191, 192, 193, 194)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고,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 각각에는 상기 4개의 커플러링크(191, 192, 193, 194)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다.One end of four coupler links 191, 192, 193, and 194 having the same length is rotatably linked to each of the four holes 181, 182, 183, and 184 formed with the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in the disk plate 140. The other end of the four coupler links (191, 192, 193, 194) is rotatably linked to each of the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174).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151, 152; 153, 154)들은 상기 4개의 종동기어(121, 122; 123, 124)에 각각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걸음되어, 상기 종동기어(121, 122; 123, 12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one-way clutch bearings 151, 152; 153, 154 are all walked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four driven gears 121, 122; 123, 124, respectively. 121, 122; 123, 124 ar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또한, 상기 입력축(110)의 기단에는 상기 4개의 종동기어(121, 122, 123, 124) 모두와 맞물림하여 회전되는 하나의 출력기어(G3)가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하나의 출력기어(G3)에는 상기 입력축(110)의 기단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입력축(110)의 회전중심과 동심의 회전축선을 가지는 환형 출력축(G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base end of the input shaft 110, one output gear G3 rotated in engagement with all of the four driven gears 121, 122, 123, and 124 is rotatably circumscribed, and the one output The gear G3 is integrally formed with an annular output shaft G4 protruding toward the proximal end of the input shaft 110 and having a rotation center and a concentric rotation axis of the input shaft 110.

또한, 상기 환형 출력축(G4)은 상기 케이스(211)의 일측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nnular output shaft G4 is fixedly inscribed on one side of the case 211.

상기 프레임(F)은 상기 아이들축(S2)에 일단이 지지되는 제1지지편(220)의 타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환형의 출력축(G4)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상기 케이스(211)의 보스(212)에 기단이 베어링(B4)을 개재하여 기립되어 있는 제2지지편(230)의 선단에 타측이 고정되어 있다.One side of the frame F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pport piece 220,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idle shaft S2, of the case 211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annular output shaft G4.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ront-end | tip of the 2nd support piece 230 in which the base end is standing up via the bearing B4 in the boss 212.

이러한 구성을 가진 무단변속기는 다음같이 동력전달 및 변속된다.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ith this configuration is powered and shifted as follows.

도시되지 않은 체인으로부터 스프로킷(D)을 통하여 동력을 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축(110)은 가변 입력링크(130)을 회전시켜서,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에 편심되어 수용되게 배치된 가변 캠(P)을 회전시키고, 이 가변 캠(P) 회전력은 상기 가변 캠(P)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디스크판(140)을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공전식으로 회전시킨다.The input shaft 110 that rotates in one directi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chain (not shown) through the sprocket D rotates the variable input link 130, and thus the variable cam is arranged to be eccentrically accommodated in the variable input link 130 ( P) and the variable cam (P) rotational force rotates the disk plate (140) rotatably coupled to the variable cam (P) abou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공전식으로 회전되는 상기 디스크판(140)은, 상기 디스크판(140)의 0도 ~ 90도 공전운동에 의해, 상기 디스크판(140)에 링크결합된 4개의 커플러링크(191, 192, 193, 194)를 통해서 상기 4개의 커플러링크(191, 192, 193, 194) 각각에 링크결합된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들중 예를 들면, 하나의 출력링크(171)가 실질의 구동을 위한 일정각도 선회운동되는 경우에,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171)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174)를 정방향으로 진퇴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171)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또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172)를 정방향으로 진입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171)에 대하여 180도 이상의 위상차를 가지는 나머지 하나의 출력링크(173)를 역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키고;The disk plate 140 rotated in an orbital manner is four coupler links 191, 192, 193, which are linked to the disk plate 140 by an orbital motion of 0 to 90 degrees of the disk plate 140. For example, one output link 171 of the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and 174 linked to each of the four coupler links 191, 192, 193, and 194 through 194 is provided. In the case of pivo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driving the real body, the other output link 174 having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ne output link 171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one The other output link 172 has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utput link 171 in the forward turning direction, and the other one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one output link 171. Pivoting the output link 173 in the reverse direction;

계속해서 상기 디스크판(140)의 91도 ~ 180도 공전운동에 의해,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들중 하나의 출력링크(171)에 대하여 +90도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2)가 실질의 구동을 위한 일정각도 선회운동되어서, 상기 출력링크(172)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1)를 정방향으로 진퇴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2)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3)를 정방향으로 진입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2)에 대하여 180도 이상의 위상차를 가지는 나머지 하나의 출력링크(174)를 역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키며;Subsequently, the disk plate 140 has a 91-180 degree orbital motion, which has a +90 degree phase difference with respect to one of the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and 174. The output link 172 is pivo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driving the actual material, and the output link 171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in a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put link 172 with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Entering and pivoting the output link 173 having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ink 172 in a forward direction, and the other output link 174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output link 172. Pivo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계속해서 상기 디스크판(140)의 181도 ~ 270도 공전운동에 의해,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들중 하나의 출력링크(172)에 대하여 +90도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3)가 실질의 구동을 위한 일정각도 선회운동되어서, 상기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2)를 정방향으로 진퇴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4)를 정방향으로 진입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180도 이상의 위상차를 가지는 나머지 하나의 출력링크(171)를 역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키며; 그리고Subsequently, the disk plate 140 has a retardation motion of 181 degrees to 270 degrees, which has a +90 degree phase difference with respect to one of the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and 174. The output link 173 is pivo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driving the actual material, and the output link 172 is pivoted forward and backward in a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put link 173 with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Entering orbiting the output link 174 having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ink 173 in a forward direction, and the other output link 171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output link 173. Pivo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계속해서 상기 디스크판(140)의 271도 ~ 360도 공전운동에 의해, 상기 4개의 출력링크(171, 172, 173, 174)들중 하나의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90도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4)가 실질의 구동을 위한 일정각도 선회운동되어서, 상기 출력링크(174)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3)를 정방향으로 진퇴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상기 출력링크(174)를 정방향으로 진입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출력링크(173)에 대하여 180도 이상의 위상차를 가지는 나머지 하나의 출력링크(171)를 역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킨다.Subsequently, the disk plate 140 has a +90 degree phase difference with respect to one of the output links 173 of the four output links 171, 172, 173, and 174 by 271 degrees to 360 degrees of revolving motion. The output link 174 is pivo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driving the actual material, and the output link 173 is pivot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utput link 174 with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Entering orbiting the output link 174 having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ink 173 in a forward direction, and the other output link 171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output link 173.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상기 출력링크(171, 172, 173, 174)와 상기 종동기어(121, 122, 123, 124) 사이에는 상기 출력링크(171, 172, 173, 174)의 정방향 선회운동에만 그 운동을 상기 종동기어(121, 122, 123, 124)에 각각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151, 152)이 개재되어 있어서, 결국, 상기 4개의 종동기어(121, 122, 123, 124)들과 동시에 맞물려있는 출력기어(G3)는 상기 입력축(110)이 구동되면 항상 정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Between the output link (171, 172, 173, 174) and the driven gear (121, 122, 123, 124) only the forward turning movement of the output link (171, 172, 173, 174) the driven gear One-way clutch bearings 151 and 152 which transmit to 121, 122, 123 and 124, respectively, are interposed, resulting in an output gear that meshes with the four driven gears 121, 122, 123 and 124 simultaneously. G3) always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the input shaft 110 is driven.

결국, 상기 출력기어(G3)는 상기 환형 출력축(G4)에 정방향운동을 전달하게 되어서 상기 환형 출력축(G)에 고정된 케이스(21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자전거의 구동륜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As a result, the output gear G3 transmits the forward motion to the annular output shaft G4 to rotate the case 211 fixed to the annular output shaft G in the forward direction to rotate the driving wheel of the bicycle in the forward direction.

여기에서, 구동륜 및 케이스(211)를 경유하여 환형 출력축(G4)에서 전달되는 큰 부하가 종동기어, 출력링크, 커플러링크 디스크판 및 가변 캠(P)를 통해서 반력장치(S)에 전달되어, 상기 가변 캠(P)이 가변 입력링크(130)의 중심축선에 가까워질 경우에, 상기 가변 캠(P)의 공전반경이 작아져, 상기 출력링크(171, 172, 173, 174)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작아지게 되어서 종동기어(121, 122, 123, 124)는 저속모드가 되고, 반대로 상기 환형 출력축(G4)에서 전달되는 작은 부하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반력장치(S)에 전달되어, 상기 가변 캠(P)이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멀어질 경우에, 상기 가변 캠(P)의 공전반경이 커져 상기 출력링크들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커지게 되어서 상기 종동기어들은 고속모드가 된다. Here, a large load transmitted from the annular output shaft G4 via the driving wheel and the case 211 is transmitted to the reaction force device S through the driven gear, the output link, the coupler link disk plate, and the variable cam P, When the variable cam P approaches the center axis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the revolving radius of the variable cam P becomes small, so that the reciprocating turning of the output links 171, 172, 173, 174 is performed. As the angle of the movement becomes smaller, the driven gears 121, 122, 123, and 124 become a low speed mode, and on the contrary, a small load transmitted from the annular output shaft G4 is transmitted to the reaction force device 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ariable cam P moves away from the center axis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the revolving radius of the variable cam P becomes large, so that the angle of the turning reciprocating motion of the output links increases. The driven gears are in high speed mode.

그리고 상기 환형 출력축에서 전달되는 부하가 반력장치(S)을 압축시켜 상기 가변 캠(P)이 상기 가변 입력링크(130)의 중심축선에 위치될 경우에, 상기 가변 캠(P)의 공전반경이 제로인 상태에서 자전만 하게 되어, 상기 출력링크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제로로 되어서 종동기어들의 속도는 "0"이 되며, 이때, 변속비의 기준이 되는 최저속도가 "0"이 되기 때문에, 이론상 변속비가 0 ~∞으로 되어서 종래의 허브타입의 무단변속기는 무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And when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annular output shaft compresses the reaction device (S) so that the variable cam (P) is located on the center axis of the variable input link 130, the revolving radius of the variable cam (P) is In the state of zero, only rotating, the angle of the turning reciprocating motion of the output link is zero, the speed of the driven gear is "0", at this time, since the minimum speed as the reference of the gear ratio is "0", in theory, Since the transmission ratio is 0 to ∞, the conventional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an be continuously controll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허브타입의 무단변속기는 체적이 소형화되어 자전거 등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may be fixedly inscribed to a hub such as a bicycle by reducing its volume.

요즘에는 차량이 환경오염방지차원에서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식 차량으로 개량되는 실정에 있으며, 더욱이 인력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도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식 자전거로 개량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Nowadays, the vehicle is being improved to an electric vehicle driven by an electric motor in order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n addition, the bicycle driven by a manpower is being improved by an electric bicycle driven by an electric motor.

이러한 실정에 맞추어, 전동기인 모터가 하나의 모듈화된 소형의 유니트로서 결합되어 있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기를 구동륜의 허브에 내장시키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In line with this situation, a method of incorporating a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 which a motor, which is an electric motor, is combined as one modular small unit, has been considered.

하지만, 상기 종래의 무단변속기들은, 입력링크, 복수개의 커플러링크 및 상기 커플러링크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의 출력링크를 서로 링크결합하고 있는 레버 크랭크기구를 이용하되, 상기 입력링크가 자전운동되게 하고, 상기 입력링크와 복수개의 커플러링크를 링크결합시키는 가변핀이 상기 입력링크의 자전중심에서 편심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공전운동되게 하면서 부하에 따라 상기 입력링크의 자전운동 반경방향에서 탄성적으로 가변되게 하고, 상기 복수개의 커플러링크와 복수개의 출력링크를 링크결합시키는 링크핀이 공전되지 않게 하고 그리고 일방향클러치베어링을 개재하여 상기 복수개의 출력링크의 출력축에 외접된 복수개의 클러치기어가 공전운동되지 않게 하면서 자전운동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상기 입력링크와 복수개의 커플러링크를 링크결합시키는 가변핀이 입력링크의 자전운동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하는 것이 무단변속을 위해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이지만, 상기 입력링크가 고정체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자전운동하는 관계로, 베어링의 마모 등의 변수에 따라 입력링크에 의해 공전운동하게 되는 상기 가변핀이 상기 입력링크의 자전운동의 중심에서 편심되는 양이 상이하여 상기 가변핀을 편심되게 위치결정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무단변속기가 소형으로 유니트화됨에 따라 더욱더 상기 가변핀을 편심되게 위치결정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s use a lever crank mechanism for linking an input link, a plurality of coupler links, and an output link equal to the number of coupler links to each other, thereby allowing the input link to rotate. A variable pin for link coupling the input link and the plurality of coupler links is to be resiliently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of the input link according to the load while the idle movement in the state eccentrically arranged in the rotation center of the input link Rotating the link pins for linking the plurality of coupler links and the plurality of output links is not idle and the plurality of clutch gears external to the output shaft of the output link via the one-way clutch bearing is not idle It is structured to exercise, the input link and a plurality of Although the variable pin that couples the coupler link is eccentric in the center of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input link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for continuously variable speed, but the input link is rotated through the bearing through the bearing, The variable pin, which is orbitally moved by the input link according to a variable such as wear, has a different amount of eccentricity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input link. As the unit is compact, it has a problem that it is structurally difficult to eccentrically position the variable pi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무단변속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2011년4월7일자에 특허출원 제10-2011-0031969호에 개시되어 있다.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solving such a problem is disclosed by the inventor in 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31969 dated April 7, 2011.

하지만, 상기 특허출원의 무단변속장치는 전동기에 의해 구동대상인 예를 들면 휠을 정회전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지만, 역회전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the patent application has a problem in that, for example, the wheel to be driven by the electric motor can be driven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but cannot be driven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in solving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전동기의 정회전방향의 구동력이 부여될 시에, 가변핀을 공전과 자전시키지 않으면서 레버크랭크기구에 의해 무단변속이 가능한 상태에서 출력부에 정회전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고, 그리고 전동기의 역회전방향의 구동력이 부여될 시에, 가변핀을 공전시키면서 레버크랭크기구를 지지하고 있는 뭉치를 역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출력부에 역회전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force in the positiv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electric motor is applied, the rotational force in the forward rotation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output unit in a state where the stepless speed change is possible by the lever crank mechanism without rotating the variable pin and idle, and When the driving force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of the electric motor is applied,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by applying the rotation force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to the output unit by rotating the bundle holding the lever crank mechanism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while idling the variable pin.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무단변속을 위해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인 가변 핀, 즉 입력링크와 커플러링크를 링크결합시키는 가변 핀을 입력링크의 자전중심에서 편심되게 위치결정하는 것을 구조적으로 용이하게 하면서, 전동기가 내장된 상태에서 소형으로 유니트화된 무단변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역회전구동력을 출력부에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By the above problem solving means structurally facilitates the eccentric positioning of the variable pi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for the continuously variable, that is, the variable pin for link coupling the input link and the coupler link 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input link.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 a small unit in a state where the electric motor is embedded,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reverse driving force to the output unit.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무단변속장치를 허브타입으로 개량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허브타입의 종래의 무단변속장치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5의 개념에 근거하여 허브타입으로 개조된 종래의 무단변속장치를 도시한 도면, 및
도 8은 본 실시예의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를 도시한 도면.
1 and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3 and 4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 improvement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FIG. 1 to a hub type.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the hub type;
6 and 7 show a conventional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modified to a hub type based on the concept of FIG. 5; and
Fig. 8 is a view showing the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this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인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which is an accompanying drawing.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륜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될 수 있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의 실시예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hat can be fixedly inscribed to a hub of a drive wheel, not shown.

상기 실시예의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는, 고정 중심축(21); 상기 고정 중심축(21)이 관통되어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전동기(30); 및 베어링(41)을 개재하여 상기 전동기(30)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은 구동륜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기(30)를 내장하고 있는 케이스(50)를 포함하고 있다.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the embodiment, the fixed central axis (21); An electric motor (30) through which the fixed central axis (21) penetrates and is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fixed central axis (21); And a case 50 rotatably circumscribed to the electric motor 30 via a bearing 41 and fixedly inscribed to a hub of a driving wheel (not shown) and having the electric motor 30 embedded therein.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축선방향에서 일측으로 뻗어서 상기 케이스(50)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50)의 회전중심축선방향에서 타측으로 뻗어서 상기 케이스(50) 내에 위치되어 있다.One end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extends to on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case 50, protrudes out of the case 50,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is the case 50. It is located in the case 50 extending to the other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axis.

상기 고정중심축(21)의 타단에는 일방향클러치베어링(21b)을 개재하여 가변핀가이드부(21a)가 외접되어 있다. 상기 일방향클러치베어링(21b)은 상기 가변핀가이드부(21a)의 정방향회전에 대해서 걸음상태에 있고 역방향회전에 대해서 비걸음 상태에 있다.At the other end of the fixed center shaft 21, the variable pin guide portion 21a is circumscribed through the one-way clutch bearing 21b. The one-way clutch bearing 21b is in a stepped state with respect to the forward rotation of the variable pin guide portion 21a and a non-stepped state with respect to the reverse rotation.

상기 전동기(30)는, 상기 전동기(30)의 하우징(31)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고정자(32), 상기 고정자(3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배치되어 되어 있고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된 회전자(33), 상기 회전자(33)에 커플링되어 있고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고 상기 가변핀가이드부(21a)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입력기어(34) 및 상기 입력기어(34)에 치합하여 상기 케이스(50) 내에서 상기 입력기어(34)의 자전중심과 편위된 자전중심을 갖고서 자전하게 되는 감속기어(35)를 포함하고 있다.The electric motor 30 is disposed radially inward with respect to the stator 32 and the stator 32 fixedly inscribed in the housing 31 of the electric motor 30, and rotates on the fixed central axis 21. An input gear coupled to the rotor 33, possibly rotatable, the rotor 33 rotatably circumscribed to the fixed central axis 21, and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variable pin guide portion 21a ( 34) and a reduction gear 35 engaged with the input gear 34 and rotating with the rotation center of the input gear 34 and the rotation center biased in the case 50.

상기 가변핀가이드부(21a)에는 베어링(42)을 개재한 상태에서 드럼형 입력링크(60)가 상기 가변핀가이드부(21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드럼형 입력링크(60)은 상기 고정 중심축(21)과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50)의 내면에 형성된 보스(51)에 베어링(44)을 개재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다. The drum-type input link 60 is rotatably circumscribed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pin guide portion 21a in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pin guide portion 21a is interposed with a bearing 42. In addition, the drum-type input link 60 is rotatably circumscribed in a state in which a bearing 44 is interposed between a boss 51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50 facing the fixed central axis 21. .

상기 드럼형 입력링크(60)는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축선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제1토큰형상부(61)과 제2토큰형상부(62) 및 상기 제1 및 제2토큰형상부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63)를 포함하고 있다. The drum-type input link 60 may include a first token shape portion 61 and a second token shape portion 6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fixed central shaft 21, and the first and second token shapes. It includes a fastening member 63 for coupling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감속기어(35)와 마주하는 상기 가변입력링크(60)의 제1토큰형상부(61)의 외면 테두리부에는 내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감속기어(35)와 치합하는 링형상의 랙기어(64)가 장착되어서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자전중심을 가지고서 상기 입력링크(60)와 함께 자전운동한다.A ring-shaped rack gear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oken-shaped portion 61 of the variable input link 60 facing the reduction gear 35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reduction gear 35. 64 is mounted to rotate with the input link 60 to have the same center of rotation a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input link 60.

상기 가변핀가이드부(21a)에는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운동반경방향으로 길다란 가이드레일홈(6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홈(65)에는 상기 가이드레일홈(65)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변핀(P1)이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중심에서 편심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가변핀(P1)은 외부 부하에 의해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운동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변가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변핀(P1)을 탄성적으로 방사바깥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홈(65)에 내장된 스프링 등과 같은 반력장치(S)에 의해 지지를 받고 있다.The variable pin guide portion 21a is formed with a long guide rail groove 65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input link 60, and the guide rail groove 65 along the guide rail groove 65 A movable variable pin (P1) is mounted eccentrically 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input link (60), the variable pin (P1) is elastically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input link 60 by an external load In order to be variable, the variable pin (P1) is supported by a reaction force device (S) such as a spring built in the guide rail groove (65) in the state of elastically pressing radially outward. .

또한, 상기 입력링크(60)에는, 상기 토큰형상부(61)의 내면과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하나의 상기 가변핀(P1)에 일단이 링크결합되어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에서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배치된 4개의 커플러링크(90) 그리고 상기 4개의 커플러링크(90)의 각각의 타단에 일단이 링크핀(P2)를 개재하여 링크결합되어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에서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배치된 4개의 출력링크(70; 도 8에 2개만 도시됨)를 내장하고 있다.In addition, the input link 60, one end is coupled to the one variable pin (P1) in a state arrange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oken-shaped portion 61 is radial in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ase 50 Four coupler links 90 spaced apart in the outward direction with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and one end of each of the four coupler links 90 are linked to each other via a link pin P2 and the case 50. 4 output links 70 (only two are shown in FIG. 8) are arranged at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spaced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상기 4개의 출력링크(70)의 각각의 타단은 상기 입력링크(60)의 상기 제2토큰형상부(62)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에서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배치된 4개의 출력축(80; 도 8에 2개만 도시됨)각각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다. Each other end of the four output links 70 is rotatably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token shape portion 62 of the input link 60 and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ase 50. It is fixedly circumscribed on each of the four output shafts 80 (only two of which are shown in FIG. 8), which are spaced apart by 90 degrees of phase difference.

상기 4개의 출력축(80) 각각에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3)를 개재하여 4개의 클러치기어(81)가 외접되어 있어서, 상기 4개의 출력링크(70) 각각에 전달되는 양방향 회전력을 일방향으로만 전달받아 상기 4개의 클러치기어(81) 각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다.Each of the four output shafts 80 is externally provided with four clutch gears 81 via one-way clutch bearings 43 to receive bidirectional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each of the four output links 70 only in one direction. Each of the four clutch gears 8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또한, 상기 고정 중심축(21)와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50)의 내면에 형성된 보스(51)에는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자전중심을 갖게 최종출력축(85)이 고정장착되어 있고, 상기 최종출력축(85)에는 상기 4개의 클러치기어(81) 모두와 치합되어 있는 출력기어(82)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oss 5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50 facing the fixed center axis 21 is fixed to the final output shaft 85 to have the same rotation center as that of the case 50. The output gear 82 meshes with all of the four clutch gears 81 on the final output shaft 85.

또한, 상기 4개의 출력축(8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86)을 개재하여 제1중간기어(87)가 외접되어 있고, 상기 최종출력축(85)에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88)을 개재하여 제2중간기어(89)가 외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최종출력축(85)에는 제3중간기어(84)가 외접되어 있다.Also, at least one of the four output shafts 80 is externally provided with a first intermediate gear 87 via a one-way clutch bearing 86, and the final output shaft 85 is interposed with a one-way clutch bearing 88. The second intermediate gear 89 is circumscribed, and the third intermediate gear 84 is circumscribed on the final output shaft 85.

상기 제1중간기어(87)는 상기 제2 및 제3중간기어(89, 84)들과 동시에 치합되기 위해 2개의 기어부(87a, 87b)를 구비하고 있다.The first intermediate gear 87 is provided with two gear portions 87a and 87b to be engaged with the second and third intermediate gears 89 and 84 simultaneously.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3)들은 상기 4개의 클러치기어(81)에 각각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걸음되어 있으며, 출력축(80)의 역회전시에 상기 클러치기어(81)에 역회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기어(81)의 정회전시에 상기 출력축(80)에 정회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한다.The one-way clutch bearings 43 are all stepped on the four clutch gears 81 in the same direction, and transmit power to the clutch gear 81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when the output shaft 80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forward rotation of the clutch gear 81, power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shaft 80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86)은 출력축(80)의 역회전시에 상기 제1중간기어(87)에 역회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1중간기어(87)의 정회전시에 상기 출력축(80)에 정회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한다.The one-way clutch bearing 86 transmits power to the first intermediate gear 87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when the output shaft 80 is reversely rotated, and at the forward rotation of the first intermediate gear 87, the output shaft ( 80) to transmit power in the forward direction.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88)은 최종출력축(85)의 정회전시에 상기 제2중간기어(89)에 정회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중간기어(89)의 역회전시에 상기 최종출력축(85)에 역회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한다.The one-way clutch bearing 88 transmits power to the second intermediate gear 89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at the time of forward rotation of the final output shaft 85 and at the end of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econd intermediate gear 89. Power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shaft 85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따라서, 상기 4개의 출력축(80)들중 어느 하나의 출력축(80)이 역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클러치기어(81)가 역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중간기어(87)도 역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에 따라 최종출력축(85)이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refore, when any one of the output shaft 80 of the four output shaft 80 is rotated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the clutch gear 81 is rotated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the first intermediate gear 87 Also rotated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so that the final output shaft 85 is rotated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그리고 상기 최종출력축(85)이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3중간기어(8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최종출력축(85)의 제2중간기어(89)가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s the final output shaft 85 rotates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the third intermediate gear 84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intermediate gear 89 of the final output shaft 85 rotates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Done.

결국, 상기 제1중간기어(87)가 역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중간기어(89)가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중간기어(87, 89)들은 서로 맞물리면서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gears 87 and 89 smoothly mesh with each other as the first intermediate gear 87 rotates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and the second intermediate gear 89 rotates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Will rotate.

또한, 상기 출력축(80)이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클러치기어(81)와 상기 제1중간기어(87)가 정지상태가 되어 상기 최종출력축(85)에 동력을 전달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하지만, 상기 4개의 출력축(80)들중 다른 하나가 역회전상태에 있게 되어, 상기 최종출력축(85)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기어(81)이 상기 최종출력축(85)에 의해 역회전 동력을 전달받지만, 상기 클러치기어(81)와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86) 간에 미끄럼 상태가 되어서 상기 클러치기어(81)는 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하나의 출력축(80)이 정지상태에 있게 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1중간기어(87)도 상기 하나의 출력축(80)에 동력을 전달함 없이 역회전방향으로 헛돌게 되며, 그리고 상기 제2중간기어도(89)도 상기 제1중간기어(87)와 맞물리면서 정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output shaft 80 is rotated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the clutch gear 81 and the first intermediate gear 87 is in a stopped state, the state that can not transmit power to the final output shaft 85 do. However, the other one of the four output shafts 80 is in the reverse rotation state, the final output shaft 85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ccordingly, the clutch gear 81 is the final output shaft 85 By the reverse rotational power, but the clutch gear 81 and the one-way clutch bearing 86 is in a sliding state so that the clutch gear 81 is rotated in reverse and the one output shaft 80 is in a stopped state. In this manner, the first intermediate gear 87 also rotates in a reverse rotation direction without transmitting power to the one output shaft 80, and the second intermediate gear diagram 89 also includes the first intermediate gear diagram 89. The intermediate gear 87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intermediate gear 87.

이러한 구성을 가진 실시예의 무단변속기는 다음같이 동력전달 및 변속된다.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the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owered and shifted as follows.

케이스(50)에 내장된 전동기(30)가 정방향으로 작동되면, 상기 전동기의 동력이 입력기어(34), 감속기어(35)에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상기 감속기어(35)는 상기 입력링크(6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입력링크(60)가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정회전방향으로 자전운동하게 되고, 상기 전동기(30)가 역방향으로 작동되면, 상기 일방향클러치베어링(21b)가 비걸음상태가 되어 상기 입력링크(60)가 역회전방향으로 자전운동하게 된다.When the motor 30 embedded in the case 50 is oper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power of the motor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input gear 34 and the reduction gear 35, and the reduction gear 35 is connected to the input link ( When the input link 60 is rotated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about the center axis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by transmitting power to the 60, and the motor 30 is oper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one-way clutch The bearing 21b is in a non-walking state so that the input link 60 rotates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상기 입력링크(60)가 정방향으로 자전운동함에 따라, 상기 입력링크(60)에 내장된 커플러링크(90), 출력링크(70), 출력축(80) 및 클러치기어(81)가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공전운동하게 된다.As the input link 6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coupler link 90, the output link 70, the output shaft 80, and the clutch gear 81 embedded in the input link 60 are fixed to the central shaft. Orbital movement about the central axis of (21).

상기 커플러링크(90)가 상기 커플러링크(90)의 공전중심에 편심된 상기 가변핀(P1)에 링크결합된 관계로, 상기 커플러링크(90)의 0도 ~ 90도 공전운동, 91도 ~ 180도 공전운동, 181도 ~ 270도 공전운동, 및 271도 ~ 360도 공전운동에 의해, 상기 4개의 커플러링크(90)는, 상기 4개의 커플러링크(90) 각각에 링크결합된 4개의 출력링크(70)들중 하나의 출력링크(70)가 실질의 구동을 위한 일정각도 선회운동되는 경우에,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70)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70)를 정방향으로 진퇴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70)에 대하여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지는 또 다른 하나의 출력링크(70)를 정방향으로 진입 선회운동시키고, 상기 하나의 출력링크(70)에 대하여 180도 이상의 위상차를 가지는 나머지 하나의 출력링크(70)를 역방향으로 선회운동시킨다.The coupler link 90 is coupled to the variable pin (P1) eccentric to the revolving center of the coupler link 90, 0 degrees ~ 90 degrees orbital movement of the coupler link 90, 91 degrees ~ The four coupler links 90 are four outputs linked to each of the four coupler links 90 by 180 degree idle motion, 181 degree 270 degree idle motion, and 271 degree 360 degree idle motion. In the case where one output link 70 of the links 70 is pivoted at an angle for actual driving, the other output link having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ne output link 70. Forward and backward pivoting (70) in the forward direction, another output link (70) having a phase difference within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ne output link (70) in the forward pivoting direction, the one output The other output link 70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or more with respect to the link 70 Turn in the reverse direction.

상기 출력링크(70)의 타단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출력축(80)과 상기 클러치기어(81) 사이에는 상기 출력축(80)의 역방향 선회운동에만 그 운동을 상기 클러치기어(81)에 각각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3)이 개재되어 있어서, 결국, 상기 4개의 클러치기어(81)들과 동시에 맞물려 있는 출력기어(82)는 상기 전동기(30)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항상 정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케이스(50)가 정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되어서, 상기 케이스(50)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구동륜이 정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One direction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 to the clutch gear 81 only in the reverse swing motion of the output shaft 80 between the output shaft 80 and the clutch gear 81 fixedly inscribed at the other end of the output link 70. Since the clutch bearing 43 is interposed, the output gear 82 meshed with the four clutch gears 81 is alway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the electric motor 30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As a result, the case 5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such that the driving wheel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case 5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여기에서, 상기 구동륜을 통하여 상기 출력기어(82)에 전달되는 큰 부하가 클러치기어, 출력링크, 커플러링크 및 핀을 통해서 반력장치(S)에 전달되어, 상기 가변핀(P1)이 입력링크(60)의 중심축선에 가까워질 경우에, 상기 출력링크(70)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작아지게 되어서 상기 클러치기어(81)는 저속모드가 되고, 반대로 상기 출력기어(82)에서 전달되는 작은 부하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반력장치(S)에 전달되어, 상기 가변핀(P1)이 상기 입력링크(60)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멀어질 경우에, 상기 출력링크들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커지게 되어서 상기 클러치기어들은 고속모드가 된다.Here, a large load transmitted to the output gear 82 through the driving wheel is transmitted to the reaction force device S through a clutch gear, an output link, a coupler link, and a pin, so that the variable pin P1 is connected to the input link ( 60, the angle of the turning reciprocating motion of the output link 70 becomes smaller so that the clutch gear 81 is in the low speed mode, and conversely, the small transmission from the output gear 82 When the load is transmitted to the reaction force device 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variable pin P1 moves away from the center axis of the input link 60, the angle of the turning reciprocating motion of the output links is It becomes large so that the clutch gears are in the high speed mode.

그리고 상기 출력기어에서 전달되는 부하가 반력장치(S)을 압축시켜 상기 가변핀(P1)이 상기 입력링크(60)의 중심축선에 위치될 경우에, 커플러링크가 선회운동없이 공전만 하게 되어, 상기 출력링크의 선회왕복운동의 각도가 제로로 되어서 클러치기어들의 속도는 "0"이 되며, 이때, 변속비의 기준이 되는 최저속도가 "0"이 되기 때문에, 이론상 변속비가 0 ~∞으로 되어서 본 실시예의 무단변속기는 무단으로 변속이 가능하다.And when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output gear compresses the reaction device (S) so that the variable pin (P1) is located on the center axis of the input link 60, the coupler link is only idle, without turning motion, Since the angle of the turning reciprocating motion of the output link becomes zero, the speed of the clutch gears becomes "0", and at this time, since the minimum speed as the reference of the speed ratio becomes "0", the shift ratio is theoretically 0 to ∞.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the embodiment can be continuously transmitted.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4개의 커플러링크가 9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상기 가변핀(P1)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대하여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서로에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상기 가변핀(P1)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2개 커플러링크, 서로에 12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상기 가변핀(P1)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3개의 커플러링크, 서로에 72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상기 가변핀(P1)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5개의 커플러링크, 서로에 6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상기 가변핀(P1)에 링크결합되어 있는 6개의 커플러링크 등, 적어도 10개 이내의 커플러링크들이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에 일정각도를 가지고서 상기 가변핀(P1)에 링크결합될 수 있는 구현방법은 당해업자에게는 자명하게 치환될 수 있는 구현방법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although four coupler links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fixed center axis 21 are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coupled to the variable pin P1 with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the fixing in the embodiment Two coupler links coupled to the variable pins P1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21, and a link coupling to the variable pins P1 with a phase difference of 120 degrees with each other. Three coupler links that are connected to the variable pin P1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72 degrees to each other, and five coupler links that are linked to the variable pin P1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60 degrees to each other. At least 10 coupler links, such as coupler links, are coupled to the variable pin P1 at a predetermined angle to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Implemented way is an implementation which may be substituted as apparent to the art agent.

상기 입력링크(60)가 역방향으로 자전운동하게 되면, 상기 입력링크(60)에 내장된 커플러링크(90), 출력링크(70), 출력축(80) 및 클러치기어(81)가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공전운동하게 된다.When the input link 60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coupler link 90, the output link 70, the output shaft 80, and the clutch gear 81 embedded in the input link 60 are fixed to the central shaft. Orbital movement in the reverse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f (21).

이 때, 상기 가변핀(P1)도,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중심축선에서 편심되어 있어서 상기 입력링크(60)의 역방향 자전운동에 의한 부하를 받게 되어, 상기 가변핀(P1)을 수용하고 있는 상기 가변핀가이드부(21a)도 역회전방향으로 부하를 받게 되어서, 상기 일방향클러치베어링(21b)가 비걸음상태가 되어 상기 가변핀(P1)이 역회전방향으로 공전운동하게 되고 상기 가변핀가이드부(21a)가 역회전방향으로 자전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variable pin (P1) is also eccentric from the center axis of the fixed center axis 21 is subjected to a load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input link 60, to accommodate the variable pin (P1) The variable pin guide portion 21a is also subjected to a load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so that the one-way clutch bearing 21b is in a non-walking state, and the variable pin P1 is idle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and the variable The pin guide portion 21a rotates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따라서, 상기 입력링크(60), 커플러링크(90), 출력링크(70), 출력축(80) 및 클러치기어(81)로 이루어진 레버크랭크기구가 링크운동을 하지 않게 되어 상기 클러치기어(81)가 역방향으로 공전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4개의 상기 클러치기어(81)에 동시에 치합되어 있는 최종출력축(85)이 역방향으로 자전운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lever crank mechanism composed of the input link 60, the coupler link 90, the output link 70, the output shaft 80, and the clutch gear 81 does not perform a link movement so that the clutch gear 81 Orbital movement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us the final output shaft 85 that is engaged to the four clutch gear 81 at the same time is to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상기 최종출력축(85)이 역방향으로 자전운동하게 되면, 상기 클러치기어(81)과 제1중간기어(87)가 상기 일방향클러치베어링(43, 86)에 걸림없이 상기 출력축(80)을 중심으로 정방향으로 자전운동하게 되고, 상기 제2중간기어(89)가 상기 일방향클러치베어링(88)에 걸려 역방향으로 자전운동하게 되어, 결국 상기 제1 및 제2중간기어(87, 89)는 서로 맞물리면서 반대방향으로 원활하게 자전운동하게 된다.When the final output shaft 85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clutch gear 81 and the first intermediate gear 87 is in a forward direction about the output shaft 80 without being caught by the one-way clutch bearings 43 and 86. And the second intermediate gear 89 is caught by the one-way clutch bearing 88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gears 87 and 89 mesh with each other and are in opposite directions. It will rotate smoothly.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기(30)가 역회전동력을 부여하면, 최종출력축(85)이 무단변속없이 역방향으로 자전운동하게 되어 케이스(50)가 역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되어서, 상기 케이스(50)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구동륜이 역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electric motor 30 gives the reverse rotational power, the final output shaft 85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out stepless speed, the case 5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case 50 The driving wheel fixedly circumferentially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제1중간기어(87)가 하나의 출력축(80)에 일방향클러치베어링(86)을 개재하여 외접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무단변속기의 안정적인 구동, 즉 밸런스화된 구동을 위해서 상기 하나의 출력축(80)에 대하여 18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서 배치된 다른 하나의 출력축(80)에도 일방향클러치베어링을 개재하여 다른 하나의 제1중간기어가 외접될 수 있으며, 모든 출력축(80)에 일방향클러치베어링을 개재하여 제1중간기어가 외접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intermediate gear 87 is circumscribed with one output shaft 80 via the one-way clutch bearing 86, but for stable driving, that is, balanced driving of th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other first intermediate gear may be circumscribed through the one-way clutch bearing in another output shaft 80 arranged with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ne output shaft 80, and in one direction on all output shafts 80. The first intermediate gear may be circumscribed via the clutch bearing.

21; 고정중심축, 43;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 60; 입력링크, 70; 출력링크, 90; 커플러링크, P1; 가변핀, S; 반력수단21; Fixed center axis, 43; One-way clutch bearing, 60; Input link, 70; Output link, 90; Coupler link, P1; Variable pin, S; Reaction

Claims (6)

하나의 입력링크(60), 복수개의 커플러링크(90) 및 상기 커플러링크(90)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의 출력링크(70)를 서로 링크결합하고 있는 레버 크랭크기구를 이용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에 있어서,
케이스(50)가 구동륜의 허브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구동륜의 회전중심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갖는 고정 중심축(21)이 상기 케이스(50)에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고,
상기 고정중심축(21)에는 일방향클러치베어링(21b)을 개재하여 가변핀가이드부(21a)가 외접되어 있고,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50)에 회전가능하게 내접된 전동기(30)에 의해, 상기 가변핀가이드부(21a)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된 상기 입력링크(60)가 자전운동되고,
상기 입력링크(60)와 복수개의 커플러링크(90)를 링크결합시키는 하나의 가변핀(P1)이, 상기 고정중심축(21)의 반경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가변핀가이드부(21a)에 형성된 가이드레일홈(65)에, 반력수단(S)에 의해 상기 반경방향 바깥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을 받으면서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중심에서 편심되게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커플러링크(90)와 복수개의 출력링크(70)를 링크결합시키는 복수개의 링크핀(P2)과 그리고 일방향클러치베어링(43)를 개재하여 상기 복수개의 출력링크(70)의 복수개의 출력축(80)에 외접된 복수개의 클러치기어(81)가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공전중심을 갖고서 공전되게 상기 입력링크(60)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축(80)에 일방향클러치베어링(43)을 개재하여 외접된 복수개의 클러치기어(81)들이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자전중심을 갖고 자전운동하는 출력기어(82)에 치합되어 있고,
상기 출력기어(82)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최종출력축(85)이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자전중심을 갖고서 상기 케이스(5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축(80)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86)을 개재하여 제1중간기어(87)가 외접되어 있고, 상기 최종출력축(85)에는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88)을 개재하여 제2중간기어(89)가 외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최종출력축(85)에는 제3중간기어(84)가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1중간기어(87)는 상기 제2 및 제3중간기어(89, 84)들과 동시에 치합되기 위해 2개의 기어부(87a, 87b)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ing a lever crank mechanism that links one input link 60, a plurality of coupler links 90, and the same number of output links 70 as the number of coupler links 90 together. To
The case 50 is fixedly inscribed in the hub of the drive wheel,
A fixed center axis 21 having the same center axis a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rive wheel is rotatably inscribed in the case 50,
A variable pin guide portion 21a is circumscribed on the fixed central shaft 21 via a one-way clutch bearing 21b.
The input link 60 which is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fixed central shaft 21 and rotatably circumscribed to the variable pin guide portion 21a by an electric motor 30 which is internally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e 50. ) Is rotated,
One variable pin P1 for linking the input link 60 and the plurality of coupler links 90 extend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xed center shaft 21 to be formed in the variable pin guide part 21a. The rail groove 65 is eccentrically inserted 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input link 60 while being elastically pressed in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by the reaction means S,
A plurality of output shafts of the plurality of output links 70 via a plurality of link pins P2 for link coupling the plurality of coupler links 90 and the plurality of output links 70 and one-way clutch bearings 43. A plurality of clutch gears 81 circumscribed by 80 are mounted on the input link 60 to revolve with the same rotational center as that of the input link 60.
The output gear 82 which rotates with the same rotation center as the rotation center of the input link 60 has a plurality of clutch gears 81 circumscribed via the one-way clutch bearing 43 on the plurality of output shafts 80. Are engaged in,
The final output shaft 85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output gear 82 is fixed to the case 50 with the same rotation center as that of the case 50.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output shafts 80 is externally provided with a first intermediate gear 87 via a one-way clutch bearing 86, and the final output shaft 85 is provided with a one-way clutch bearing 88 therebetween. The second intermediate gear 89 is circumscribed, and the third output gear 85 is circumscribed.
The first intermediate gear 87 is provided with a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gear having two gear parts 87a and 87b to be engaged with the second and third intermediate gears 89 and 84 at the same tim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클러치베어링(21b)은 상기 가변핀가이드부(21a)의 정방향회전에 대해서 걸음상태에 있고 역방향회전에 대해서 비걸음 상태에 있고,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43)들은 상기 복수개의 클러치기어(81)에 각각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걸음되어 있으며, 출력축(80)의 역회전시에 상기 클러치기어(81)에 역회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기어(81)의 정회전시에 상기 출력축(80)에 정회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86)은 출력축(80)의 역회전시에 상기 제1중간기어(87)에 역회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1중간기어(87)의 정회전시에 상기 출력축(80)에 정회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일방향 클러치 베어링(88)은 최종출력축(85)의 정회전시에 상기 제2중간기어(89)에 정회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제2중간기어(89)의 역회전시에 상기 최종출력축(85)에 역회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ne-way clutch bearing 21b is in a stepped state with respect to the forward rotation of the variable pin guide portion 21a and a non-stepped state with respect to the reverse rotation.
The one-way clutch bearings 43 are all stepped in the same direction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lutch gears 81, and transmit power to the clutch gear 81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when the output shaft 80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clutch gear 81 rotates forward, power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shaft 80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The one-way clutch bearing 86 transmits power to the first intermediate gear 87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when the output shaft 80 is reversely rotated, and at the forward rotation of the first intermediate gear 87, the output shaft ( 80) to forward power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one-way clutch bearing 88 transmits power to the second intermediate gear 89 in the forward rotation direction at the time of forward rotation of the final output shaft 85 and at the end of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econd intermediate gear 89.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output shaft 85 in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링크핀(P2)들은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궤적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고서 이격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출력축(80)들도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궤적에서 동일한 위상차를 갖고서 이격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lurality of link pins P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same phase difference in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input link 60, and the plurality of output shafts 80 also have the same phase difference in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input link 60.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with.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50)의 자전중심축선방향에서 일측으로 뻗어서 상기 케이스(50)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50)의 회전중심축선방향에서 타측으로 뻗어서 상기 케이스(50) 내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타단에 외접된 상기 가변핀가이드부(21a)에는 베어링(42)을 개재한 상태에서 드럼형상을 갖는 입력링크(60)가 상기 가변핀가이드부(21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고,
상기 입력링크(60)가 상기 고정 중심축(21)과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50)의 내면에 형성된 보스(51)에 베어링(44)을 개재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One end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extends to on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case 50, protrudes out of the case 50,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is the case 50. Extend in the other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axis of the case 50,
In the variable pin guide portion 21a circumscrib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ed central shaft 21, an input link 60 having a drum shape with the bearing 42 interposed therebetween with respect to the variable pin guide portion 21a. Rotatably circumscribed,
The input link 60 is rotatably circumscribed in a state in which a bearing 44 is interposed between a boss 51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ase 50 facing the fixed central axis 21.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30)는, 상기 전동기(30)의 하우징(31)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고정자(32), 상기 고정자(32)에 대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배치되어 되어 있고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된 회전자(33); 상기 회전자(33)에 커플링되어 있고 상기 고정 중심축(21)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된 입력기어(34) 및 상기 입력기어(34)에 치합하여 상기 케이스(50) 내에서 상기 입력기어(34)의 자전중심과 편위된 자전중심을 갖고서 자전하게 되는 감속기어(35)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lectric motor 30 is disposed radially inward with respect to the stator 32 and the stator 32 fixedly inscribed in the housing 31 of the electric motor 30, and rotates on the fixed central axis 21. A rotor 33 possibly circumscribed; The input gear coupled to the rotor 33 and rotatably circumscribed to the fixed central shaft 21 and the input gear 34 to be engaged with the input gear 34 in the case 50. 34. A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speed gear comprising: a reduction gear (35) which rotates with a rotation center and a biased rotation cent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링크(60)는 상기 고정 중심축(21)의 축선방향에서 서로 이격된 제1토큰형상부(61)과 제2토큰형상부(62) 및 상기 제1 및 제1토큰형상부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체결부재(63)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감속기어(35)와 마주하는 상기 입력링크(60)의 제1토큰형상부(61)의 외면 테두리부에는 내주면에 기어부가 형성된 링형상의 랙기어(64)가 장착되어 상기 입력링크(60)의 자전중심과 동일한 자전중심을 가지고서 상기 입력링크(60)와 함께 자전운동하며,
상기 랙기어(64)는 상기 감속기어(35)에 구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브타입의 무단변속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put link 6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xed central axis 21, the first token shape portion 61 and the second token shape portion 62 and the first and first token shape portion It includes a fastening member 63 for coupling in a state.
A ring-shaped rack gear 64 having gear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mounted on an outer rim of the first token-shaped portion 61 of the input link 60 facing the reduction gear 35 so that the input link 60 Rotating movement with the input link 60 having the same rotation center as the rotation center of the),
The rack gear 64 is a hub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 gear is coupled to the reduction gear (35).




KR1020110054798A 2010-07-19 2011-06-07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KR1012545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98A KR101254596B1 (en) 2011-06-07 2011-06-07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PCT/KR2011/004233 WO2012011662A2 (en) 2010-07-19 2011-06-09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98A KR101254596B1 (en) 2011-06-07 2011-06-07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843A true KR20120135843A (en) 2012-12-17
KR101254596B1 KR101254596B1 (en) 2013-04-15

Family

ID=47903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798A KR101254596B1 (en) 2010-07-19 2011-06-07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59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1363A (en) * 2022-05-25 2022-07-22 宁波继峰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Turnover type automobile seat and turnover method
CN117646787A (en) * 2024-01-29 2024-03-05 江苏泰隆减速机股份有限公司 Lever type self-balancing suspension ring plate speed reducer
CN117646787B (en) * 2024-01-29 2024-05-31 江苏泰隆减速机股份有限公司 Lever type self-balancing suspension ring plate speed reduc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307B1 (en) * 2016-11-23 2018-09-28 이스트바이크 주식회사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2927C2 (en) 1999-08-27 2001-02-28 Skf Eng & Res Centre Bv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system.
KR101006779B1 (en) * 2008-12-26 2011-01-10 신현우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1363A (en) * 2022-05-25 2022-07-22 宁波继峰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Turnover type automobile seat and turnover method
CN114771363B (en) * 2022-05-25 2024-01-30 继峰座椅(合肥)有限公司 Reversible automobile seat and turning method
CN117646787A (en) * 2024-01-29 2024-03-05 江苏泰隆减速机股份有限公司 Lever type self-balancing suspension ring plate speed reducer
CN117646787B (en) * 2024-01-29 2024-05-31 江苏泰隆减速机股份有限公司 Lever type self-balancing suspension ring plate speed redu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596B1 (en)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7822B2 (en) Input synthesis gear system
CN103043171B (en) The driver element of bicycle
JP5372842B2 (en) Vehicle engine starting device
CA2677552C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823308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A2993430C (en) Transmission for motor
KR101354154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006779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254596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JP5695516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029316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KR101327332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KR101327336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O2014119138A1 (en) Transmission
KR101027833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213547B1 (en) Continuously Varible Transmission
JP6854494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20100034066A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0984188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of Hub Type
WO2018224921A1 (en) A vehicle
US8376888B2 (en) Transmission
KR101296614B1 (en) electrically driven two wheel vehicle provided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1213549B1 (en) Continuously Varible Transmission
KR20020089678A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H1137240A (en) Friction roller type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