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5838A -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여 결제 또는 인증을 중계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여 결제 또는 인증을 중계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838A
KR20120135838A KR1020110054782A KR20110054782A KR20120135838A KR 20120135838 A KR20120135838 A KR 20120135838A KR 1020110054782 A KR1020110054782 A KR 1020110054782A KR 20110054782 A KR20110054782 A KR 20110054782A KR 20120135838 A KR20120135838 A KR 20120135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authentication
user terminal
information
rela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재
Original Assignee
브이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4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5838A/ko
Publication of KR20120135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결제 중계 서버가 결제 또는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결제 중계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이 결제 또는 인증에 사용할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고, 결제 중계 서버가, 선택된 인증결제수단에 대응하는 인증결제모듈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 후, 결제 중계 서버가 인증결제모듈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또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결제 수행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여 결제 또는 인증을 중계하는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of payment by providing integration platform}
본 발명은 결제 또는 인증을 중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합 결제 플랫폼을 제공하여 결제 또는 인증을 중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결제 수단이 등장하고 있다. 사용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결제 모듈을 수신하고, 이를 통하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결제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결제 모듈의 일부는 사용자 단말의 종류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는 운영 체재의 종류에 따라서 지원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다른 버전의 결제 모듈을 수신하거나 다른 결제 모듈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였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결제 또는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통합인증결제모듈을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의 사양에 적응적으로 결제 또는 인증을 중계하는 방법 및 서버와 결제 또는 인증을 중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갖는 하나의 특징은,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결제 또는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결제 또는 인증에 사용할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선택된 인증결제수단에 대응하는 인증결제모듈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인증결제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또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종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하는 운영 체제의 종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보안 수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인증결제수단에 대한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속하는 유사 사용자 단말 그룹에서 인증결제모듈을 선택한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수단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수단로 구성된 결제수단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제수단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결제수단리스트내의 하나 이상의 인증결제수단이 선택됨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인증결제수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결제 또는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또는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인증 또는 결제를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인증결제내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인증결제내역정보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적용할 마케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마케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갖는 하나의 특징은,
사용자 단말에 대한 결제 또는 인증 수행을 중계하는 결제 중계 서버에 있어서, 결제 또는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제 1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결제 또는 인증에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결제 모듈 선택부; 상기 선택된 인증결제수단에 대응하는 인증결제모듈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결제 모듈 제공부; 및 상기 인증결제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정보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다양한 결제 수단에 연동되는 통합 결제/인증 플랫폼을 통하여 편의성을 확보하고 개별 수단별 플랫폼 개발에 소요되는 개발 비용을 최소화한다.
결제 정보를 이용하여 마케팅 정보를 획득하고 마케팅 정보를 통합 결제/인증 플랫폼에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부가 서비스와 연동된 신규 수익 모델을 고안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OS, 장치 특성, 브라우저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적응적인 플러그인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210)과 사용자 단말(220)간의 맵핑 정보를 나타낸다.
도 3은 결제 시스템내에서 결제 중계 서버(320)가 결제를 중계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결제플랫폼(400)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결제플랫폼(500)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 서버(620)가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 서버(700)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단계 s110에서는, 결제 중계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또는 인증을 요청받으면, 결제 중계 서버는 결제 또는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는 결제 또는 인증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결제 중계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데스크탑, 태블릿 PC,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는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데 필요한 어떠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에는 사용자 단말의 타입(예를 들면, 스마트폰), 사용자 단말의 모델명(예를 들면, 아이폰),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는 운영 체제 정보,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하는 브라우져 정보, 사용자 단말이 요구하는 보안 수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결제 중계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이 결제 또는 인증에 사용할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한다. 결제 중계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사양(예를 들면, 모델명, 운영 체재, 브라우져, 보안 수준)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사용가능한 인증결제수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결제 중계 서버는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수단을 포함하는 결제수단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결제수단리스트를 인증결제플랫폼으로 명명하도록 한다. 결제 중계 서버는 인증결제수단에 대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인증결제플랫폼에 인증결제수단을 배치할 수 있다. 일 예로, 결제 중계 서버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인증결제수단을 인증결제플랫폼내의 최 상위에 배치한다. 결제 중계 서버가 인증결제수단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결제 중계 서버는 사용자 단말과 유사한 사양을 갖는 유사 사용자 그룹을 검색하고 유사 사용자 그룹에서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한 내역에 기초하여 인증결제수단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거나, 사용자 단말에서 요구하는 보안 수준에 기초하여 인증결제수단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인증결제수단의 명칭에 따라 가나다(또는 ABC)순으로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는 인증결제플랫폼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인증결제플랫폼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음성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결제플랫폼내에서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면 결제 중계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인증결제수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130에서는, 단계 s120에서 선택된 인증 결제 수단에 대응하는 인증결제모듈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인증결제모듈은 인증이나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써 하드웨어 모듈,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모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단계 s120에서 결제 중계 서버가 인증결제플랫폼을 출력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모듈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단계 s140에서는, 인증결제모듈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결제 중계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결제/인증 정보를 결제 서버(예를 들면, 카드사 서버)에 전송하고 결제/인증 결과를 수신한다.
결제 중계 서버는 결제/인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과 마케팅 서버에 전송한다.
결제/인증 정보에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 결제자에 대한 정보, 구매 물품에 대한 정보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마케팅 서버는 이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이 속하는 유사 사용자 단말 그룹에 대한 마케팅 정보를 생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210)과 사용자 단말(220)간의 맵핑 정보를 나타낸다. 플러그인(210)은 웹 브라우저에서, 제3자가 만든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가 표시할 수 없는 각종 형식의 파일을 웹 브라우저의 윈도우 내에 표시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써 웹 브라우저와 일체로 동작하므로 응용 윈도를 열지 않아도 마치 웹 브라우저 자체가 그 파일 표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같이 동작한다. 도 2에서는, 인증결제수단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인증결제모듈의 일 예로써 웹 브라우저의 윈도우 내에 인증 결제창을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인증/결제 정보를 수신하도록 프로그램된 플러그인을 사용한다.
플러그인(210)과 사용자 단말(220)간의 맵핑 정보는 결제 중계 서버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될 플러그인(210)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안전 결제(ISP)(212)는 액티브엑스를 지원하는 운영 체재 및 브라우져를 채용한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윈도우(Windows)를 운영 체재로써 사용하며, 인터넷 익스플로러(IE)를 브라우저로써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안전 결제(ISP)(212), WEB ISP(214), 안심클릭(216), MobileISP(218)은 인증결제수단에 관한 일 예에 불과하며, USIM, OTP, 공인인증, 생체 인증등의 다양한 인증결제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결제 시스템내에서 결제 중계 서버(320)가 결제를 중계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단계 s310에서, 사용자 단말(301)은 결제 또는 인증 요청을 결제 중계 서버(302)로 전송한다.
단계 s320에서, 결제 중계 서버(302)는 결제 또는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301)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운영 체재의 종류, 모델명, 브라우저 종류)를 획득한다.
단계 s330에서, 결제 중계 서버(302)는 사용자 단말(301)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 또는 결제 수단을 선택한다. 결제 중계 서버(302)는 사용자 단말(301)이 선택할 수 있는 인증 또는 결제 수단이 리스트 형태로 포함된 인증결제플랫폼을 생성하고, 인증결제플랫폼을 사용자 단말(301)로 전송하여 인증 결제 수단을 선택받을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결제 중계 서버(302)는 인증결제모듈을 사용자 단말(301)에 전송한다.
단계 s350에서, 사용자 단말(301)은 인증결제모듈을 통하여 결제/인증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360에서, 결제 중계 서버(302)는 결제/인증 정보를 결제 서버(303)에 전송한다.
단계 s370에서, 결제서버(303)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결제/인증을 수행하고 결과를 결제 중계 서버(302)에 전송한다.
단계 s380에서, 결제 중계 서버(302)는 결제/인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301)에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301)에서는 결제/인증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390에서, 결제 중계 서버(302)는 결제/인증 결과를 쇼핑몰(304)과 같은 마케팅 서버에 전송한다. 쇼핑몰(304)에서는 하나 이상의 결제/인증 결과를 분석하여 마케팅 정보를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결제플랫폼(400)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다.
인증결제플랫폼(400)은 결제정보영역(410), 결제수단영역(420) 및 광고영역(430)로 구성된다.
결제정보영역(410)에는 사용자가 결제하고자하는 상품명, 거래 대금, 할부 기간등과 같은 결제 정보가 표시된다.
결제수단영역(420)에는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결제 수단만이 표시되거나, 지원되는 모든 결제 수단이 표시되지만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결제 수단과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없는 결제 수단이 상이하게 표시(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결제 수단은 실선으로 표시되고,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없는 결제 수단은 점선으로 표시된다.)될 수 있다.
사용자가 결제수단영역(420)에 표시된 결제 수단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결제 수단에 대한 인증결제모듈이 수신된다. 인증결제모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결제플랫폼과 함께 수신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 인증결제모듈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증결제모듈을 수신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광고영역(430)에는 이벤트나 광고가 표시된다. 광고영역(430)에는 인증/결제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 광고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증결제플랫폼(500)에 관한 일 예를 나타낸다.
인증결제플랫폼(500)은 고객정보영역(510), 결제수단영역(520) 및 광고영역(530)로 구성된다.
고객정보영역(510)에는 고객명, 주민번호, 신용카드번호와 같은 고객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도 5의 인증결제플랫폼(500)은 고객정보영역(510)을 제외하면 도 4의 인증결제플랫폼(400)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 서버(620)가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결제 중계 서버(620)는 인증결제플랫폼(610)으로부터 수신되는 결제/인증 결과를 수신한다.
결제 중계 서버(620)는 결제/인증 결과를 소정의 기준(예를 들면, 이름, 성별, 나이, 지역, 이용 시간, 선호 상품, 선호 가맹점, 카드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621)를 구축한다. 결제 중계 서버(620)는 데이터베이스(621)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마케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결제 중계 서버(620)는 마케팅 정보를 쇼핑몰이나 PG(Payment Gateway)등에 전송하거나, 쇼핑몰이나 PG(Payment Gateway)에게 요청받아 인증결제플랫폼(610) 또는 신용카드위젯(630)내의 광고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신용카드위젯(630)은 신용카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써, 사용자는 신용카드위젯(630)을 통하여 결제, 인증, 포인트내역등을 조회하거나, 결제/인증 결과를 확인하거나, 쇼핑 정보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 서버(700)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결제 중계 서버(700)는 하드웨어 모듈로써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로써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결제 중계 서버(700)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중계 서버(700)는 제 1 정보 획득부(710), 결제 수단 선택부(720), 결제 모듈 제공부(730) 및 제 2 정보 획득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정보 획득부(710)는 결제 또는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701)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사용자 단말(701)에 대한 정보는 결제 또는 인증을 요청하는데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거나, 요청 메시지와는 별개의 경로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701)에 대한 정보에는, 사용자 단말(701)의 종류, 사용자 단말(701)이 사용하는 운영 체제의 종류, 및 사용자 단말(701)의 보안 수준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결제 수단 선택부(720)는 사용자 단말(701)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701)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한다.
결제 중계 서버(700)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와 인증결제수단간의 맵핑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제 수단 선택부(720)는 사용자 단말(701)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 단말(701)이 사용할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결제 중계 서버(7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예로, 결제 수단 선택부(720)는 우선순위결정부(미도시), 리스트생성부(미도시) 및 선택신호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순위결정부(미도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수단이 복수 개인 경우, 소정의 기준에 따라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리스트생성부(미도시)는 결제 수단 선택부(720)는 사용자 단말(701)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수단들의 리스트가 포함된 인증결제플랫폼을 사용자 단말(701)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701)로부터 어떤 인증결제수단이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결제 모듈 제공부(730)는 사용자 단말(701)이 사용할 인증결제모듈을 사용자 단말(701)에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701)이 사용할 인증결제모듈이 사용자 단말(701)에 이미 다운로드 된 경우에는 결제 모듈 제공부(730)가 인증결제모듈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정보 획득부(740)는 사용자 단말(701)에 제공된 인증결제모듈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701)로부터 인증 또는 결제 정보를 획득한다.
결제 중계 서버(700)는 결제 수행부(미도시), 정보 생성부(미도시) 및 정보제공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수행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701)로부터 수신한 인증 또는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또는 결제를 수행한다.
정보 생성부(미도시)는 인증 또는 결제를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인증결제내역정보를 생성하고 인증결제내역정보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적용할 마케팅 정보를 생성한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 또는 사용자 단말과 유사한 소비 특성을 갖는 유사 사용자 그룹내의 단말에 대한 인증결제내역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에 대한 맞춤 광고를 생성한다.
정보 제공부(미도시)는 마케팅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마케팅 정보는 사용자 단말(701)에서 인증결제플랫폼이 출력되거나, 인증결제모듈의 실행 화면이 출력되거나, 신용 카드 위젯이 출력될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정보 제공부(미도시)는 마케팅 정보를 홈쇼핑등과 같은 다른 서버에 제공하여 사용자 맞춤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결제 중계 서버를 경유하여 결제 또는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결제 또는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결제 또는 인증에 사용할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선택된 인증결제수단에 대응하는 인증결제모듈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인증결제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또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또는 인증 수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종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하는 운영 체제의 종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보안 수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인증결제수단에 대한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또는 인증 수행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속하는 유사 사용자 단말 그룹에서 인증결제모듈을 선택한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및 결제 수행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수단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수단로 구성된 결제수단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제수단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결제수단리스트내의 하나 이상의 인증결제수단이 선택됨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인증결제수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또는 인증 수행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결제 또는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또는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인증 또는 결제를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인증결제내역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인증결제내역정보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적용할 마케팅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중계 서버가, 상기 마케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또는 인증 수행 방법.
  6. 사용자 단말에 대한 결제 또는 인증 수행을 중계하는 결제 중계 서버에 있어서,
    결제 또는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제 1 정보 획득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결제 또는 인증에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결제 모듈 선택부;
    상기 선택된 인증결제수단에 대응하는 인증결제모듈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결제 모듈 제공부; 및
    상기 인증결제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정보 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중계 서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종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하는 운영 체제의 종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보안 수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 중계 서버는, 하나 이상의 인증결제수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 수단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인증결제수단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또는 인증 중계 서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수단 선택부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수단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우선 순위 결정부;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인증결제수단로 구성된 결제수단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
    상기 인증결제수단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결제수단리스트내의 하나 이상의 인증결제수단이 선택됨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인증결제수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또는 인증 중계 서버.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중계 서버는,
    상기 결제 또는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또는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수행부;
    상기 인증 또는 결제를 수행한 결과에 기초하여 인증결제내역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결제내역정보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적용할 마케팅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선택된 인증결제모듈의 실행 화면에 상기 마케팅 정보가 함께 제공되도록 상기 마케팅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또는 인증 중계 서버.
  10. 결제 또는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이 결제 또는 인증에 사용할 인증결제수단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인증결제수단에 대응하는 인증결제모듈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결제모듈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결제 또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증 및 결제 수행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10054782A 2011-06-07 2011-06-07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여 결제 또는 인증을 중계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20135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82A KR20120135838A (ko) 2011-06-07 2011-06-07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여 결제 또는 인증을 중계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82A KR20120135838A (ko) 2011-06-07 2011-06-07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여 결제 또는 인증을 중계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838A true KR20120135838A (ko) 2012-12-17

Family

ID=4790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782A KR20120135838A (ko) 2011-06-07 2011-06-07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여 결제 또는 인증을 중계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58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326A1 (en) * 2017-03-29 2018-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payment using utterance
KR20220080904A (ko) 2020-12-08 2022-06-15 이니텍(주) 인증수단/전자서명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326A1 (en) * 2017-03-29 2018-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payment using utterance
KR20180110348A (ko) * 2017-03-29 2018-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발화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0462662A (zh) * 2017-03-29 2019-11-15 三星电子株式会社 使用话语进行支付的设备和方法
US11004075B2 (en) 2017-03-29 2021-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payment using utterance
CN110462662B (zh) * 2017-03-29 2023-01-03 三星电子株式会社 使用话语进行支付的设备和方法
KR20220080904A (ko) 2020-12-08 2022-06-15 이니텍(주) 인증수단/전자서명 통합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1211B2 (ja) 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に依存しない電子支払トークンの提供
JP6457095B2 (ja) ピア・ツー・ビジネスの支払いの送信および受信の促進
US11037202B2 (en) Contextual data in augmented reality processing for item recommendations
KR102112063B1 (ko) 전자상거래 결제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090259499A1 (en) Method and system employing a mobile device for soliciting user experience sharing
US20090024530A1 (en) Automatic gift messaging system
US201703302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al marketing service
US1193506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messaging-based communications using custom-generated deeplinks and based on the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
KR102129371B1 (ko) 제3자 체크아웃 옵션의 동적 제공
US20140337711A1 (en) Automatic Website Generation
KR102163116B1 (ko) 기부 서비스 플랫폼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19198B1 (ko) 단말이나 디바이스 내 개인정보 및 지불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천 시스템
US20130218675A1 (en) Mobile dedicated gift token management system
US11461759B1 (en) System for transmitting customer data from a device
USRE49889E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or modifying electronic shopping lists from digital advertisements
US20160239859A1 (en) Representation and dissemination of user preferences
KR101109720B1 (ko) 대기화면 어플리케이션 기반 전자지갑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Ho et al. Leveraging NFC and LBS technologies to improve user experiences
US20130204708A1 (en) Providing targeted offers based on dynamic attributes of users
US10360600B1 (en) Big tree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user reviews
KR20120135838A (ko)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여 결제 또는 인증을 중계하는 장치 및 방법
US10657195B2 (en) Method, system, apparatus, and program for identifying and rewarding sender and receiver of shared URLs and recommendations by using double-sided affiliate link
KR101458374B1 (ko) 마케팅 캠페인 채널을 통한 소셜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 인지 기반 웹 메시징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1348A (ko) 단말기 상의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알림 페이지를 렌딩하는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기와 시스템
KR20140026194A (ko)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