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858A - Apparatus for filtering extracted solu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iltering extracted solu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34858A KR20120134858A KR1020110054055A KR20110054055A KR20120134858A KR 20120134858 A KR20120134858 A KR 20120134858A KR 1020110054055 A KR1020110054055 A KR 1020110054055A KR 20110054055 A KR20110054055 A KR 20110054055A KR 20120134858 A KR20120134858 A KR 201201348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ntrifugal filter
- filtration
- extract
- filtering
- fil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20259 Rapha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120 nichrom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출액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한약재, 과일 또는 수분 함량이 높은 농산물로부터 가열 또는 분쇄에 의하여 추출된 용액을 여과하는 추출액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과 장치는 수용 하우징(11); 모터가 설치되고 수용 하우징(11)에 결합되는 덮개(13); 및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내부의 추출액이 외면에 형성된 여과 수단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원심 여과기(12)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ract liquid filte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tract liquid filtering device for filtering a solution extracted by heating or pulverizing from a herbal, fruit or agricultural product with high water content. The filtration device comprises a receiving housing 11; A cover 13 on which a motor is installed and coupled to the receiving housing 11; And a centrifugal filter 12 which i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and is formed such that the extract therein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ing mea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Description
본 발명은 추출액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한약재, 과일 또는 수분 함량이 높은 농산물로부터 가열 또는 분쇄에 의하여 추출된 용액을 여과하는 추출액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ract liquid filte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tract liquid filtering device for filtering a solution extracted by heating or pulverizing from a herbal, fruit or agricultural product with high water content.
일반적으로 약재는 열을 가하여 달이면서 추출된 성분이 일정량으로 포장이 되어 제품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과일 또는 무와 같은 농산물은 가열되면서 분쇄가 되고 다시 일정량으로 포장이 되어 제품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추출된 한약재 또는 농산물은 불순물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방법 또는 장치를 통하여 여과가 될 필요가 있다. In general, the medicine is made by applying heat to the decoction of the extracted ingredients in a certain amount of packaging. In addition,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fruits or radishes may be crushed while being heated, and then packaged in a certain amount to produce a product. Herbal medicines or agricultural products extracted through such a process may contain impurities. Therefore, it needs to be filtered through a suitable method or apparatus.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 추출된 약재 또는 농산물의 여과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filtration of medicines or agricultural products extracted as an active ingredient has the following object.
본 발명의 목적은 약재 또는 농산물로부터 추출된 액의 여과를 위한 추출액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tract liquid filtration device for filtration of liquids extracted from medicinal herbs or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추출액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 장치는 수용 하우징; 모터가 설치되고 수용 하우징에 결합되는 덮개; 및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내부의 추출액이 외면에 형성된 여과 수단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원심 여과기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extracts comprises a receiving housing; A cover in which the motor is installed and coupled to the receiving housing; And a centrifugal filter which i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and rotated so that the extrac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ing mea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용 하우징(11)에 설치된 가열 수단을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heating means provided in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여과 수단은 섬유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가 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ration means is a filter consisting of fibers or nonwovens.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추출액의 유입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inflow of the extract.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원심 여과기는 내부 면에 교환 가능한 섬유 또는 부직포 필터가 설치된 속이 빈 원통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장치.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ifugal filter is a hollow cylindrical shape provided with a replaceable fiber or nonwoven filter on an inner surface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는 미세한 불순물의 제거가 가능하여 약재 또는 농산물 추출액의 섭취에 따른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는 필요에 따라 살균이 가능하여 별도의 살균 공정이 요구되지 않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는 다른 장치와 쉽게 연결이 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fine impurities to increase the safety according to the intake of the medicine or agricultural extracts. In addition,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sterilized as needed so that no separate sterilization process is required. In addition,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connected and used with other devic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의 실시 예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의 수용 하우징에 대한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에 적용되는 원심 여과기의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에 적용되는 원심 여과기가 덮개에 고정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의 실시 예에서 추출액이 여과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overall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a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of a receiving housing of a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of a centrifugal filter applied to the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entrifugal filter applied to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lid.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extract is filtered in the embodiment of the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의 실시 예에 대한 전체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overall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a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추출액의 여과 장치(10)는 지지 프레임이 되면서 이와 동시에 중앙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 하우징(11), 수용 하우징(11)의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13) 및 덮개(13)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원심 여과기(1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수용 하우징(11)은 여과 장치(10)의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장치가 설치되는 한편 추출액이 여과되는 원심 여과기(12)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프레임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수용 하우징(11)은 스테인리스, 플라스틱 또는 유리와 같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육면체 또는 원통형이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수용 하우징(11)의 적어도 일부 면이 유리와 같은 투명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수용 하우징(11)은 내부에서 진행되는 여과 과정이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는 투명 창(도시되지 않음)을 가질 수 있다. The
수용 하우징(11)은 몸체(111), 몸체(111)의 한쪽에 설치되는 제어 수단(115), 이동을 위한 손잡이(117) 및 추출액 유입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용 하우징(11)의 윗면에 입구가 형성되어 원심 여과기(12)가 몸체(11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The
제어 수단(115)은 여과가 진행되는 과정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버튼(115a) 및 여과가 진행되는 과정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창(115b)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 버튼(115a)은 예를 들어 원심 여과기(12)의 회전 속도, 회전 시간, 추출액의 유입 또는 추출액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창(115b)은 여과 시간, 원심 여과기(12) 내부 잔존 양 또는 온도와 같은 것을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 means 115 may include an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10)는 여과 과정을 제어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러한 장치의 설치 여부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추출액 유입 장치는 외부 연결 튜브(114a, 114b)와 유입 튜브(116a, 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연결 튜브(114a, 114b)는 예를 들어 약재의 추출을 위한 추출기에 연결될 수 있고 다수 개가 될 수 있다. 연결 튜브(114a, 114b)를 통하여 여과 장치(10)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여과가 요구되는 추출액은 유입 튜브(116a, 116b)를 경유하여 원심 분리기(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외부 연결 튜브(114a, 114b) 또는 유입 튜브(116a, 116b)를 통한 추출액의 전송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펌프 또는 이송 수단이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펌프 또는 이송 수단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The extract liquid inlet device may comprise
원심 여과기(12)는 덮개(13)의 아래쪽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입구를 통하여 수용 하우징(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원심 여과기(12)는 위쪽 면이 개방되면서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원심 여과기(12)의 특별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원심 여과기(12)는 수용 부분(121)과 여과 부분(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 부분(121)은 여과가 되어야 할 추출액이 수용되는 공간을 말하고 여과 부분(122)은 필터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메시로 이루어진 그물 형상의 판 또는 아래쪽과 위쪽에 테두리가 형성된 개방 구조가 될 수 있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여과 수단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이 될 수 있다. 원심 여과기(12)에 대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된다. The
원심 여과기(12)는 회전 축(133)에 의하여 덮개(13)의 아래쪽에 고정될 수 있다. The
회전 축(133)의 회전을 위한 모터(도시되지 않음)는 덮개(13)에 형성된 돌출 부분(13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지만 모터의 설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원심 여과기(12)는 회전 축(133)에 고정되어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축(133)은 원심 여과기(12)의 내부를 관통하여 바닥 면까지 연장될 수 있고 원심 여과기(12)는 회전 축(133)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A motor (not shown) for rotation of the rotating
덮개(13)는 연장 부분(131)과 돌출 부분(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연장 부분(131)은 수용 하우징(11)에 형성된 입구를 밀봉하기 위하여 형성되고 돌출 부분(132)은 모터와 같은 장치의 수용을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덮개(13)는 입구를 밀봉하는 임의의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덮개의 형상에 의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도 1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유입 튜브(116a, 116b)는 외부 연결 튜브(114a, 114b)와 연결되고 돌출 부분(132)에 연결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유입 튜브(116a,116b)는 다양하게 형성되어 원심 여과기(12)의 내부로 추출액을 전달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10)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의 수용 하우징에 대한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2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of a receiving housing of a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수용 하우징(11)은 몸체(111), 몸체(11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수용 공간(112), 수용 공간(112)의 바닥 면에 설치된 가열 수단(22) 및 추출액의 배출을 위한 배출 공(2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수단(22)은 원심 분리기(12)로부터 배출되어 여과된 추출액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가열 수단(22)은 밴드 히터, 니크롬선 또는 적외선 히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히터가 될 수 있고 바닥 면 또는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배출 공(21)은 수용 공간(112)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배출 공(21)은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져 여과된 추출액을 예를 들어 포장기와 같은 장치로 이송하기 위한 관로와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면에 제어 수단(115)이 설치된 직육면체 형상의 수용 하우징(11)이 제시되어 있지만 수용 하우징(11)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장치를 가질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에 적용되는 원심 여과기의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of a centrifugal filter applied to the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가)는 원심 여과기(12)가 고정되는 덮개(13)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나)는 원심 여과기(12)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3A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축(133)은 덮개(13)의 아래쪽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 부분(131)과 돌출 부분(132)으로 이루어진 덮개(13)의 경우 모터는 돌출 부분(132)에 설치될 수 있고 돌출 부분(132)은 고정 홀(31)에 의하여 덮개(13)의 위쪽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 축(133)의 끝 부분에 볼트 홀(32)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홀(32)은 원심 여과기(12)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3, the
도 3의 (나)에 도시된 것처럼, 원심 여과기(12)는 위쪽 면이 개방되고 속이 빈 원통 형상이 될 수 있고 내부에 고정 부분(35)이 형성될 수 있다. 속이 빈 내부에 여과가 되어야 할 추출액이 수용되고 고정 부분(35)에 회전 축(133)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축(133)의 끝 부분이 관통 홀(36)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볼트와 같은 고정 수단을 볼트 홀(32)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원심 여과기(12)가 회전 축(133)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축(133)의 회전에 의하여 원심 여과기(12)가 회전될 수 있다. 원심 여과기(12)의 둘레 면은 메시가 형성된 그물 형태가 되거나 개방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원심 여과기(12)의 내부 둘레 면에 여과 수단(33)이 설치되고 원심 여과기(12)의 위쪽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고정 날개(34)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b) of FIG. 3, the
여과 수단(33)은 예를 들어 활성탄 필터 또는 탄소 필터와 같이 임의의 소재로 만들어지는 필터가 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섬유 필터 또는 부직포 필터가 될 수 있다. 부직포 필터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부터 제조된 부직포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여과 수단(33)은 띠 형상이 될 수 있고 분리 가능한 구조 또는 교환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띠 형상의 여과 수단(33)은 여과 부분(122)의 내부 둘레 면에 대응되는 길이로 만들어져 여과 부분(122)에 부착되고 고정 날개(34)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정 날개(34)는 여과 부분(122)의 아래쪽 둘레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추출액의 여과가 진행되고 여과 수단(33)의 여과 기능이 약해지면 회전 축(133)으로부터 원심 여과기(12)가 분리된다. 그리고 여과 부분(122)에 설치된 여과 수단(33)을 교체하고 다시 원심 여과기(12)를 회전축(133)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과 수단(33)은 교환 가능하도록 원심 여과기(12)에 설치될 수 있다. The filtering means 33 may be a filter made of any material, for example an activated carbon filter or a carbon filter, but preferably a fiber filter or a nonwoven filter. The nonwoven filter can be,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a nonwoven fabric made from polypropylene (PP)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s shown in Fig. 3, the filtering means 33 may be band-shaped and may be of a separable or replaceable structure. Specifically, the band-shaped filtration means 33 may be made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도 3에 제시된 여과 수단(33)의 고정 방법 또는 분리 가능한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xing method or detachable structure of the filtering means 33 shown in FIG. 3 is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여과 수단(33)은 일정 길이의 띠 형상을 가지면서 하나의 층으로 만들어진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여과 수단(33)은 다층이 될 수 있고 항균 기능 또는 특정 유해 성분의 흡수 기능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여과 부분(122)은 프레임 형태, 개방 형태 또는 일부 개방 형태가 될 수 있고 일정한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여과 부분(122)은 여과 수단(33)이 고정될 수 있고 원심 여과기(12)의 회전과 함께 추출액이 원심 여과기(1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구조가 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the filtering means 33 has a strip shape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tructure made of one layer is shown. This is exemplary and the filtration means 33 can be multilayered and have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ntibacterial function or absorption of certain harmful components. In addition, the
덮개(13)에 설치된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 축(133)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회전 축(133)에 고정된 원심 여과기(12)가 회전된다. 원심 여과기(12)의 내부에 수용된 추출액은 원심 여과기(12)의 회전과 함께 여과 부분(122)에 설치된 여과 수단(33)을 통하여 원심 여과기(1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여과 수단(33)은 여과 부분(122)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원심 여과기(12)의 외부로 배출된 여과된 추출액은 수용 하우징(11)의 수용 공간(112)에 수집되어 배출 공(21)을 통하여 예를 들어 포장기로 이송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수용 공간(112)에 수집되어 일정 온도로 가열이 되면서 살균이 될 수 있다.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에 적용되는 원심 여과기가 덮개에 고정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4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entrifugal filter applied to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lid.
도 4를 참조하면, 원심 여과기는 덮개의 아래쪽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원심 여과기의 바닥 면(41) 중앙 부분에 고정 부분(35)이 형성되어 축 고정 수단(42)에 의하여 원심 여과기가 회전 축(도 3 참조)에 고정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축 고정 수단(42)은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볼트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축 고정 수단(42)은 원심 여과기가 회전 축(도 3 참조)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여과 부분(122)에 설치되는 여과 수단(도 3 참조)의 교환을 위한 것이다. 만약 여과 수단이 여과 부분(122)의 외부에 고정된다면 원심 여과기가 반드시 분리 가능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원심 여과기의 내부 청소 또는 수리를 위하여 분리 가능한 구조가 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원심 여과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덮개에 고정될 수 있고 덮개의 연장 부분(131)은 수용 하우징을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덮개의 형상 또는 연장 부분의 형상은 덮개에 모터가 설치되는 구조 또는 원심 여과기가 덮개에 고정되는 구조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entrifugal filter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bottom of the cover. A fixing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에서 추출액이 여과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filtering the extract liquid in the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의 실시 예에서 추출액이 여과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extract is filtered in the embodiment of the filte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연결 튜브(114a, 114b)는 약재의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기의 저장 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외부 연결 튜브(114a, 114b)를 통하여 서로 다른 약액이 유입될 수 있고 약액의 유입은 개폐 밸브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외부 연결 튜브(114a, 114b)의 개폐는 제어 수단(115)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외부 연결 튜브(114a, 114b)가 개방되면 약액은 펌프와 같은 수단에 의하여 유입 튜브(116)를 경유하여 원심 분리기의 내부로 이송될 수 있다. 약액의 유입과 함께 또는 일정한 양의 약액이 원심 여과기의 내부로 유입되면 돌출 부분(132)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 수 또는 회전 시간이 제어 수단(115)에서 결정될 수 있다. 제어 수단(115)에 의하여 원심 분리기의 작동이 개시되면 약액은 여과되어 원심 여과기에 설치된 여과 수단을 경유하여 몸체(111)에 형성된 수용 공간의 내부에 수집될 수 있다. 수용 공간에 수집된 여과된 추출액은 배출 수단(52)에 의하여 예를 들어 포장기와 같은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배출 수단(52)은 배출구(51a, 51b)를 통한 여과된 추출액의 배출을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펌프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고 제어 수단(115)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출구(51a, 51b)의 개폐 여부는 제어 수단(115)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배출구(51a, 51b)를 통하여 배출되는 여과된 추출액은 곧바로 섭취되거나 또는 포장기로 이송되어 레토르트 파우치와 같은 포장지에 수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여과 장치(10)는 손잡이(117)를 이용하여 이송이 되거나 바닥 면에 설치된 이송 바퀴(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덮개를 고정하기 위한 덮개 고정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The
유입 튜브(116)에 센서가 설치되어 추출액이 원심 여과기로 유입되는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고 또한 유입 시간의 측정에 의하여 유입량이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원심 여과기의 내부로 추출액이 유입되거나 일정량의 추출액이 유입되면 모터가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원심 여과기는 유입과 동시에 작동하거나 일정량이 유입이 된 이후에 작동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일정량이 유입된 이후에 원심 여과기가 작동하도록 만들어지기 위하여 원심 여과기는 일정량이 저장될 수 있도록 여과 부분의 아래쪽 둘레 면을 따라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심 여과기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다. A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는 미세한 불순물의 제거가 가능하여 약재 또는 농산물 추출액의 섭취에 따른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는 필요에 따라 살균이 가능하여 별도의 살균 공정이 요구되지 않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장치는 다른 장치와 쉽게 연결이 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fine impurities to increase the safety according to the intake of the medicine or agricultural extracts. In addition,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sterilized as needed so that no separate sterilization process is required. In addition, the fil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connected and used with other devices.
위에서 본 발명의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Although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only limit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여과 장치 11: 수용 하우징
12: 원심 여과기 13: 덮개
111: 몸체 112: 수용 공간
114a, 114b: 외부 연결 튜브 115: 제어 수단
115a: 조절 버튼 115b: 디스플레이 창
116, 116a, 116b: 유입 튜브 117: 손잡이
121: 수용 부분 122: 여과 부분
131: 연장 부분 132: 돌출 부분
133: 회전 축
21: 배출 공 22: 가열 수단
31: 고정 홀 32: 볼트 홀
33: 여과 수단 34: 고정 날개
35: 고정 부분 36: 관통 홀
41: 바닥 면 42: 축 고정 수단
51a, 51b: 배출구 52: 배출 제어 수단10: Filtration device 11: accommodating housing
12: centrifugal filter 13: cover
111: body 112: accommodation space
114a, 114b: external connection tube 115: control means
115a:
116, 116a, 116b: inlet tube 117: handle
121: receiving portion 122: filtration portion
131: extension portion 132: protrusion portion
133: axis of rotation
21: discharge hole 22: heating means
31: fixing hole 32: bolt hole
33: filter means 34: fixed wing
35: fixing part 36: through hole
41: bottom surface 42: shaft fixing means
51a, 51b: outlet 52: discharge control means
Claims (5)
수용 하우징(11);
모터가 설치되고 수용 하우징(11)에 결합되는 덮개(13); 및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내부의 추출액이 외면에 형성된 여과 수단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원심 여과기(12)를 포함하는 추출액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 장치. A filtration apparatus for filtering an extract,
A receiving housing 11;
A cover 13 on which a motor is installed and coupled to the receiving housing 11; And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the extract, including a centrifugal filter (12) formed so as to be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ing mea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trac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4055A KR20120134858A (en) | 2011-06-03 | 2011-06-03 | Apparatus for filtering extracted solu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4055A KR20120134858A (en) | 2011-06-03 | 2011-06-03 | Apparatus for filtering extracted solu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4858A true KR20120134858A (en) | 2012-12-12 |
Family
ID=4790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4055A Ceased KR20120134858A (en) | 2011-06-03 | 2011-06-03 | Apparatus for filtering extracted solu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34858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11295A (en) * | 2020-01-06 | 2020-05-08 | 南京中医药大学 |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extraction device |
KR102143788B1 (en) | 2019-09-27 | 2020-08-12 | 박형성 | Apparatus for Crushing Fruit and Apparatus of Extract Manufacture using the same |
-
2011
- 2011-06-03 KR KR1020110054055A patent/KR20120134858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3788B1 (en) | 2019-09-27 | 2020-08-12 | 박형성 | Apparatus for Crushing Fruit and Apparatus of Extract Manufacture using the same |
CN111111295A (en) * | 2020-01-06 | 2020-05-08 | 南京中医药大学 |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extrac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65004B2 (en) | Capsule processing equipment | |
JP5548831B2 (en) | Formulated beverage equipment and method | |
JP5854705B2 (en) | Beverage cartridge | |
RU2010135729A (en) | SYSTEM, METHOD AND CAPSULE FOR PREPARATION OF BEVERAGE | |
JP3139358U (en) | Used paper diaper crushing and separating recovery device | |
CN101959446A (en) | Method and system for preparing a liquid extract from a cell using centrifugal forces | |
BR102012030108B1 (en) | DEVICE AND PROCESS FOR RECYCLING ABSORBENT SANITARY HYGIENE PRODUCTS | |
PT2316310E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food liquid from a food substance contained in a receptacle by centrifugation | |
KR20120134858A (en) | Apparatus for filtering extracted solution | |
CN209108138U (en) | A kind of tea polyphenols coarse extraction device | |
WO2010000885A1 (en) | Machine for obtaining oil | |
KR101634932B1 (en) | Fluid filtering apparatus | |
KR20160080517A (en) | Filtering apparatus | |
ES2769857T3 (en) | Equipment for the separation and treatment of domestic waste | |
JP5177631B2 (en) | Crushing separation system | |
CN208017792U (en) | A kind of Chinese medicine preparation steaming plant | |
CN212091223U (en) | A kind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separation and extraction equipment | |
KR20160044185A (en) | A juice secession and packing apparatus | |
CN205461347U (en) | Novel extraction is filtered device | |
CN207086142U (en) | Multifunctional filtering centrifuge with reactive tank | |
KR20100067206A (en) | The extracting medicinal liquid automatic packing machine for with water purifiction supply means | |
CN209575830U (en) | A kind of vegetable constituent extract equipment preparing Noodles with Vegetables | |
KR101479873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garbage | |
KR20120053387A (en) | The extracting medicinal liquid automatic packing machine with automatic drain device | |
CN110292789A (en) | A kind of circulatory displace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4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2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