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853A -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및 수소저장합금 - Google Patents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및 수소저장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853A
KR20120134853A KR1020110054049A KR20110054049A KR20120134853A KR 20120134853 A KR20120134853 A KR 20120134853A KR 1020110054049 A KR1020110054049 A KR 1020110054049A KR 20110054049 A KR20110054049 A KR 20110054049A KR 20120134853 A KR20120134853 A KR 20120134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hydrogen storage
alloy
storage alloy
elastic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영
이준민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4853A/ko
Priority to PCT/KR2011/008273 priority patent/WO2012165728A1/ko
Publication of KR2012013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01M8/04216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for a specific material, e.g. carbon, hydride, absorb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01B3/0031Intermetallic compounds; Metal alloys;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01B3/0084Solid storage mediu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pellets, sintered shaped bodies, sheets, porous compacts, spongy metals, hollow particles, solids with cavities, layered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5/00Alloys based on noble metals
    • C22C5/04Alloys based on a platinum group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6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magnesium or alloys bas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3Hydrogen absorbing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1/00Use of gas-solvents or gas-sorbents in vessels
    • F17C11/005Use of gas-solvents or gas-sorbents in vessels for hydro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및 수소저장합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탄성기판을 마련하는 제1 공정; 상기 기판상에 Mg 또는 Mg합금의 제1 박막을 형성하는 제2 공정; 상기 제1 박막상에 Ti, Ni, Al, Fe, Pd, Cu, V, Sc, Co, Mm 및 Ce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제 2 합금 박막을 형성하는 제3 공정; 상기 제2 공정과 제3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탄성기판상에 상기 제2 박막을 최외층으로 하는 다수의 제1 박막-제2 박막의 배열체를 형성하는 제4 공정; 및 상기 탄성 기판에 인장력을 작용시켜 상기 탄성 기판 표면에 형성된 상기 박막 배열체의 표면에서 내부로 다수의 나노 갭을 형성하는 제5 공정;을 포함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수소저장합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및 수소저장합금{Method for manufacturing hydrogen storage alloy having nano gap, and hydrogen storage alloy therefrom}
본 발명은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표면에서 내부로 형성된 다수의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주된 연료로 사용되는 화석연료의 경우에 여러 가지 환경문제에 수반하여 자원고갈문제가 대두 되면서 새로운 에너지 자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에너지 자원중 수소는 연소 시 공해를 유발하지 않으며,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지구의 70%를 차지하는 물을 분해하여 제조할 수 있어 자원이 무한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수소는 상온과 상압에서 기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체적당 에너지밀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저장과 운반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수소저장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수소저장기술은 압축기체 저장법, 액체수소 저장법과 수소 저장재를 이용하는 방법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목적에 맞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중 수소 저장재를 이용하는 방법은 저장밀도가 크며 저장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이 상대적으로 작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방면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
한편 수소 저장재 중에서 마그네슘계 수소저장합금은 중량당 수소저장량이 매우 높고 자원이 풍부하여 경제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경량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마그네슘계 수소저장합금은 수소와 강한 이온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안정성이 높아 저온에서 수소 흡,탈착 반응이 느릴 뿐만 아니라 활성화에너지가 높은 단점이 있다. 즉, 순수 마그네슘의 경우 수소 저장에 350도 정도의 높은 온도가 필요하게 되고 시간도 굉장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팔라듐 또는 니켈을 멀티레이어로 하여 수소 저장량이 조금 줄어드는 대신에 낮은 온도와 빠른 반응속도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이 문헌상 보고되고 있으나, 우수한 수소 저장능 및 빠른 반응속도 측면에서 이용에 다소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상에 다수의 박막층의 배열체를 형성한 후 상기 기판에 인장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금속층에 나노 갭을 형성시켜 우수한 수소 저장능 및 빠른 반응속도를 갖는 수소저장합금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그 표면에서 내부로 형성된 다수의 나노갭을 수소저장합금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성 기판을 마련하는 제1 공정;
상기 기판상에 Mg 또는 Mg합금의 제1 박막을 형성하는 제2 공정;
상기 제1 박막상에 Ti, Ni, Al, Fe, Pd, Cu, V, Sc, Co, Mm 및 Ce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제 2 합금 박막을 형성하는 제3 공정;
상기 제2 공정과 제3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탄성 기판상에 상기 제2 박막을 최외층으로 하는 다수의 제1 박막-제2 박막의 배열체를 형성하는 제4 공정; 및
상기 탄성 기판에 인장력을 작용시켜 상기 탄성 기판 표면에 형성된 상기 박막 배열체의 표면에서 내부로 다수의 나노 갭을 형성하는 제5 공정;을 포함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장력의 인가 시에, 상기 박막층은 인장력이 작용한 방향으로 인장되는 동시에, 인장력이 작용한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압축되고, 상기 인장력의 회수 시에, 상기 박막층은 인장력이 회수된 방향으로 다시 압축되는 동시에, 인장력이 회수된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다시 인장되는 것에 의해 상기 나노 갭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 기판은 0.3~0.7의 프와송 비(poisson's ratio)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력은 상기 탄성기판이 1.05 내지 1.50배로 신장되도록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기판을 이루는 탄성 소재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폴리머 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합성고무는 부타디엔계 고무, 이소프렌계 고무, 클로로프렌계 고무, 니트릴계 고무, 폴리우레탄계 고무, 및 실리콘계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실리콘계 고무는 PDMS(polydimethylsiloane)일 수 있다.
상기 Mg합금은 Mg와, Ti, Ni, Al, Fe, Pd, Cu, V, Sc, Co, Mm 및 Ce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의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 배열체의 전체 두께는 100nm~1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막 배열체를 이루는 제1 박막과 제2 박막은 그 두께가 각각 1nm ~ 100㎛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nm ~ 100nm,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nm ~ 15nm범위에 있는 것이다.
상기 나노갭은 그 폭이 1nm ~ 10㎛범위에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기판;
상기 탄성 기판상에 형성된 Mg 또는 Mg합금의 제1 박막과, 상기 제1 박막상에 형성된 Ti, Ni, Al, Fe, Pd, Cu, V, Sc, Co, Mm 및 Ce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제 2 합금 박막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 박막을 최외층으로 하는 다수의 제1 박막-제2 박막의 배열체; 및
상기 박막 배열체의 표면에서 내부로 형성된 다수의 나노갭;을 포함하는 나노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수소저장합금은 나노 갭의 형성에 따라 넓은 표면적으로 수소와의 접촉 면적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수소 저장능을 나타내며, 아울러 Mg기반 합금이용으로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그 표면에 Pd 등 박막층을 형성함으로써 표면산화물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활성화에너지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보다 낮은 온도에서 수소의 저장이 가능하다.
아울러, co-sputtering공정으로 상기 박막 배열체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기술로 평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소저장합금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공정개략도이다.
도 2는 탄성 기판에 인장력을 작용시킬 때, 탄성 기판 및 상기 탄성 기판에 형성된 박막 배열체가 변형되는 양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장응력 인가방향에 따른 나노 갭 형성패턴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용된 Mg-Pd 박막 배열체가 형성된 PDMS기판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100℃에서 수소흡수능을 비교예에 대비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서 100℃에서 시간에 따른 수소흡수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소저장합금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공정 개략도이다.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먼저 탄성 기판(10)을 마련한다. 상기 기판(10)은 인장력을 인가할 때 그 방향으로 신장 될 수 있고, 다시 인장력을 제거하면 본래의 형상으로 회복될 수 있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 기판(10)을 이루는 탄성 소재로는 인장력을 인가할 때 그 방향으로 신장 될 수 있고, 다시 인장력을 제거하면 본래의 형상으로 회복될 수 있는 어떠한 소재라도 사용 가능한데, 그 예로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폴리머를 이용하는 것 등이 있다.
상기 합성 고무의 예로는 부타디엔계 고무, 이소프렌계 고무, 클로로프렌계 고무, 니트릴계 고무, 폴리우레탄계 고무, 및 실리콘계 고무중 선택된 1종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접촉 자유 에너지(interfacial free energy)가 낮아 후속하는 공정에서 기판상에 형성된 박막 배열체를 성형 가공하기 좋고, 내구성이 좋은 실리콘재 고무 탄성재인 PDMS(polydimethylsiloan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DMS 이외에도 폴리이미드(Polyimide)계 고분자 물질,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고분자 물질, 플로로카본(Fluorocarbon)계 고분자 물질, 아크릴(Acrylic)계 고분자 물질, 폴리아닐린(Polyaniline)계 고분자 물질,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고분자 물질 등도 상기 박막 배열체에 인장력을 전달할 수 있다면 탄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탄성 소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소재를 종 방향(x 방향)으로 인장할 때, 종 방향의 인장변형율 성분 이외에, 다른 아무런 조건이 없는 한, 탄성 소재는 종 방향으로 늘어남에 따라 횡 방향(y 방향)의 수축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상기 횡 방향(y 방향)의 수축변형율은 종 방향 인장변형율과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면서 수축하게 된다. 다시 인장된 탄성 소재에 인가된 인장력을 회수하거나, 탄성 소재를 단축방향으로 압축시키는 경우, 횡 방향으로는 인장변형율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횡 방향 인장변형율과 종 방향 수축변화율 사이에도 인장시와 동일한 일정비를 유지하면서 변형되게 된다. 이러한 횡 방향 인장변형율과 종 방향 수축변화율이 갖는 일정 비의 값을 탄성 소재의 프와송 비(poisson's ratio)라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기판(10)은 0.2내지 0.8의 프와송 비(poisson's ratio)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0.3 내지 0.7 의 프와송 비(poisson's ratio)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5의 프와송 비(poisson's ratio)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상에 Mg 또는 Mg합금의 제1 박막(3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박막(31)상에 Ti, Ni, Al, Fe, Pd, Cu, V, Sc, Co, Mm 및 Ce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제 2 합금 박막(33)을 형성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정들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탄성기판(10)상에 상기 제2 박막(33)을 최외층으로 하는 다수의 제1 박막-제2 박막의 배열체(30)를 형성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박막 배열체(30)는 제1 박막(31)과 제2 박막(33)이 다수로 교대 배열되어 있으며, 그 최외층은 표면층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박막(3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박막 배열체(30)는 이루는 제1 박막(31)과 제2 박막(33)을 탄성기판(10)상에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방법도 사용 가능하며, 그 예로는 통상 사용되는 스퍼터링(Sputtering), 이베포레이션(Evaporation) 등의 물리적 증착법과, 화학기상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원자층 증착법(ALD: atomic layer deposition) 등의 화학적 증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 기판(10)상에 제1 박막층(31)과 제2 박막층(33)을 번갈아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박막 배열체(30)에 이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박막(31)을 이루는 Mg합금은 Mg와, Ti, Ni, Al, Fe, Pd, Cu, V, Sc, Co, Mm 및 Ce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의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박막 배열체(30)의 전체 두께는 100nm~10 mm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만일 그 두께가 너무 크면 하층의 탄성 기판의 인장 응력 부여에도 나노갭의 크렉의 형성이 곤란하고, 너무 작으면 수소 저장능이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형성되는 제1 박막(31)층과 제2 박막(33)층의 두께를 각각 1nm ~ 100㎛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nm ~ 100nm,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nm ~ 15nm범위에 있는 것이다.
후속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1(c)와 같이 탄성기판(10)에 인장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박막 배열체(30)의 표면에서 내부로 나노 갭(50)을 형성하며, 이때, 상기 나노 갭은 100㎚ 내지 100㎛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탄성기판(10)에 형성된 상기 박막 배열체(30)는 인장력 작용방향으로 인장됨과 동시에 그 수직 방향으로는 압축된다. 또한, 상기 탄성 기판(10)에 인가된 인장력을 다시 회수하게 되면, 상기 박막 배열체(30)는 인장력이 회수된 방향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그 수직방향으로는 다시 인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탄성 기판(10)에 인장력을 부과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박막 배열체에 물리적인 스트레인을 부과하며, 이를 통해 단시간에 값싸고 손쉽게 나노 갭을 갖는 박막 배열체(30)를 제조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탄성 기판(10)에 인장력을 부과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탄성 기판(10)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박막 배열체(30)에 물리적인 스트레인을 부과할 수 있고, 물리적인 스트레인이 부과된 상기 박막 배열체(30)에는, 수직으로 교차하여, 나노 갭(11)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탄성 기판(10)에 작용된 인장력은 상기 박막 배열체(30)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 기판(10)이 갖는 프와송 비(poisson's ratio)에 의해 상기 박막 배열체(30)의 인장방향(x 방향), 또는 그 수축 방향(y 방향)으로의 인장과 수축의 비율이 결정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박막 배열체는 인장력이 작용한 x 방향으로 인장됨과 동시에, 인장력이 작용한 방향의 수직 방향인 y 방향으로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박막 배열체(30)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스트레인, 및 스트레인에 의한 나노 갭(50)의 효율적인 형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탄성 기판(10)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탄성 기판(10)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상기 탄성 기판의 특성과 상기 탄성 기판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박막 배열체(30)의 두께, 재질 및 성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배열체(30)에 균일하게 나노 갭(50)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 기판(10)이 인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성 기판(10)이 1.05 내지 1.50 배로 신장되도록 인가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박막 배열체(30)가 형성된 탄성 기판(10)에 인장력을 인가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박막 배열체(30)는 인장력이 인가된 x 방향으로 인장함과 동시에 y 방향으로 수축하여 물리적인 스트레인을 받게 되어 나노 갭(5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단 1회라도 인장력을 인가하더라도 상기 박막 배열체에는 나노 갭(50)이 형성될 수 있으나, 나노 갭(50)이 형성될 때의 방향성 및 균일성을 고려하면, 상기 탄성 기판(10)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1회 이상 반복하여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력의 인가는 단순히 하나의 특정 방향으로만 인가될 수 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방향, 예를 들면, 2 방향, 3 방향으로 인장력을 인가하여 상기 박막 배열체에 나노 갭이 형성하는 것을 촉진할 수도 있다.
상기 3 방향으로 인장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제1방향, 상기 제1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제2방향, 및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이루는 제3방향으로 1회 이상 반복하여, 상기 박막 배열체에 작용하는 스트레인을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박막 배열체에 나노 갭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인장력이 인가되는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과 90°의 각도를 갖고, 상기 인장력이 인가되는 제3방향은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0° 보다 크거나 ±90°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경우에 상기 박막 배열체에 작용하는 스트레인을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나노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은, 탄성 기판(10); 상기 탄성 기판(10)상에 형성된 Mg 또는 Mg합금의 제1 박막(31)과, 상기 제1 박막상에 형성된 Ti, Ni, Al, Fe, Pd, Cu, V, Sc, Co, Mm 및 Ce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제 2 합금 박막(33)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 박막(33)을 최외층으로 하는 다수의 제1 박막-제2 박막의 배열체(30); 및 상기 박막 배열체(30)의 표면에서 내부로 형성된 다수의 나노 갭(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PDMS 기판상에 Co-sputtering 공정을 이용하여 그 최외층을 Pd박막으로 하는 Mg-Pd 박막을 365개 교대로 적층하여 도 4와 같이, Mg-Pd박막 배열체를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적층된 Mg-Pd 박막 배열체의 총 두께는 1㎛로 관리하였으며, Pd막과 Mg(82%)막의 두께는 각각 1.0nm와 4.5nm로 관리하였다.
한편 비교를 위하여 상기와 동일한 조건으로 Mg-Pd 박막 배열체를 Si기판상에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그 상부에 Mg-Pd 박막 배열체가 형성된 PDMS기판을 일방으로 20% 인장시켜, 그 상부에 형성된 Mg-Pd 박막 배열체의 표면에서부터 내부로 나노갭 크렉을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나노 갭이 형성된 Mg-Pd 박막 배열체를 갖는 PDMS기판의 수소흡수능을 100℃에서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으며, 이때 비교를 위하여 Si 기판을 이용하고 나노 갭이 형성되지 않은 Mg-Pd 박막 배열체에 대한 수소흡수능도 동시에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에서 그 표면에서 내부로 나노 갭이 형성된 Mg-Pd 박막 배열체를 갖는 PDMS기판이 Si기판의 경우보다 우수한 수소흡수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100℃에서 1MPa에서 PDMS기판의 경우가 Si 기판에 비해 3.5배, 최대 3.7배의 수소 흡수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은 나노 갭이 형성된 Pd-Mg 박막 배열체를 갖는 PDMS기판의 시간에대한 수소흡수능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모두 3분이내의 짧은 시간내에 수소가 급격한 속도로 저장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탄성 기판 30....... 박막 배열체
31........제1 박막 33....... 제2 박막
50........나노 갭

Claims (17)

  1. 탄성 기판을 마련하는 제1 공정;
    상기 기판상에 Mg 또는 Mg합금의 제1 박막을 형성하는 제2 공정;
    상기 제1 박막상에 Ti, Ni, Al, Fe, Pd, Cu, V, Sc, Co, Mm 및 Ce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제 2 합금 박막을 형성하는 제3 공정;
    상기 제2 공정과 제3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탄성 기판상에 상기 제2 박막을 최외층으로 하는 다수의 제1 박막-제2 박막의 배열체를 형성하는 제4 공정; 및
    상기 탄성 기판에 인장력을 작용시켜 상기 탄성 기판 표면에 형성된 상기 박막 배열체의 표면에서 내부로 다수의 나노 갭을 형성하는 제5공정;을 포함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의 인가 시에, 상기 박막층은 인장력이 작용한 방향으로 인장되는 동시에, 인장력이 작용한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압축되고, 상기 인장력의 회수 시에, 상기 박막층은 인장력이 회수된 방향으로 다시 압축되는 동시에, 인장력이 회수된 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다시 인장되는 것에 의해 상기 나노 갭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기판은 0.3~0.7의 프와송 비(poisson's ratio)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은 상기 탄성기판이 1.05 내지 1.50배로 신장되도록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기판을 이루는 탄성 소재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는 부타디엔계 고무, 이소프렌계 고무, 클로로프렌계 고무, 니트릴계 고무, 폴리우레탄계 고무, 및 실리콘계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실리콘계 고무는 PDMS(polydimethylsilo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g합금은 Mg와, Ti, Ni, Al, Fe, Pd, Cu, V, Sc, Co, Mm 및 Ce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의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배열체의 전체 두께는 100nm~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배열체를 이루는 제1 박막과 제2 박막은 그 두께가 각각 1nm ~ 100㎛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갭은 그 폭이 1nm ~ 10㎛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11. 탄성 기판;
    상기 탄성 기판상에 형성된 Mg 또는 Mg합금의 제1 박막과, 상기 제1 박막상에 형성된 Ti, Ni, Al, Fe, Pd, Cu, V, Sc, Co, Mm 및 Ce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제 2 합금 박막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 박막을 최외층으로 하는 다수의 제1 박막-제2 박막의 배열체; 및
    상기 박막 배열체의 표면에서 내부로 형성된 다수의 나노 갭;을 포함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기판은 PDMS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Mg합금은 Mg와, Ti, Ni, Al, Fe, Pd, Cu, V, Sc, Co, Mm 및 Ce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의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배열체의 전체 두께는 100nm~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배열체를 이루는 제1 박막과 제2 박막은 그 두께가 각각 1nm ~ 100㎛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배열체를 이루는 제1 박막과 제2 박막은 그 두께가 각각 3nm ~ 100nm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갭은 그 폭이 1nm ~ 10㎛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
KR1020110054049A 2011-06-03 2011-06-03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및 수소저장합금 KR20120134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049A KR20120134853A (ko) 2011-06-03 2011-06-03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및 수소저장합금
PCT/KR2011/008273 WO2012165728A1 (ko) 2011-06-03 2011-11-02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및 수소저장합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049A KR20120134853A (ko) 2011-06-03 2011-06-03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및 수소저장합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853A true KR20120134853A (ko) 2012-12-12

Family

ID=4725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049A KR20120134853A (ko) 2011-06-03 2011-06-03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및 수소저장합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134853A (ko)
WO (1) WO20121657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670B1 (ko) * 2012-12-21 2014-09-17 주식회사 포스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소저장합금
KR102389205B1 (ko) * 2020-11-13 2022-04-21 한국과학기술원 마그네슘 나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소 저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0937B (zh) * 2019-08-28 2021-11-05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变厚度梯度零泊松比结构的电动汽车电池箱
CN110660938B (zh) * 2019-08-28 2021-11-05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基于零泊松比材料的电动汽车电池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13550A4 (en) * 2003-04-17 2007-02-07 Kyungwon Entpr Co Ltd METAL-CARBON-COMPOSITE MATERIAL WITH NANO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7781109B2 (en) * 2004-09-03 2010-08-24 Gross Karl J Hydrogen storage and integrated fuel cell assembly
JP2007296421A (ja) * 2006-04-27 2007-11-15 Nissan Motor Co Ltd 水素吸蔵材料、水素吸蔵体、水素貯蔵装置及び燃料電池車両
KR100972391B1 (ko) * 2008-03-24 2010-07-27 전자부품연구원 나노센서를 이용한 질병검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670B1 (ko) * 2012-12-21 2014-09-17 주식회사 포스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소저장합금
KR102389205B1 (ko) * 2020-11-13 2022-04-21 한국과학기술원 마그네슘 나노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소 저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65728A1 (ko)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i et al. Strain engineering of 2D materials: issues and opportunities at the interface
Yin et al. Boron nitride nanostructures: fabrication, functionalization and applications
Jiang et al. Two-dimensional MXenes: From morphological to optical, electric, and magnetic properties and applications
Du et al. Mechanoelectrochemical catalysis of the effect of elastic strain on a platinum nanofilm for the ORR exerted by a shape memory alloy substrate
Tiwari et al. Progress in diamanes and diamanoids nanosystems for emerging technologies
Sha et al. Mechanical properties and fracture behavior of single-layer phosphorene at finite temperatures
CN109310954B (zh) 用于制备多孔石墨烯膜的方法和使用该方法制备的膜
Osborn et al. Ab initio simulations of silicene hydrogenation
US9359211B2 (en) Methods of fabricating graphene using alloy catalyst
Jana et al. Progress in CVD synthesis of layered hexagonal boron nitride with tunable properties and their applications
Kim et al. Strain Engineering of Low‐Dimensional Materials for Emerging Quantum Phenomena and Functionalities
JP2019125793A (ja) 基板上の窒化ホウ素およびグラフェンの直接および連続形成
Hees et al. Piezoelectric actuated micro-resonators based on the growth of diamond on aluminum nitride thin films
KR20120134853A (ko) 나노 갭을 갖는 수소저장합금의 제조방법, 및 수소저장합금
Kim et al. Selective atomic layer deposition of metals on graphene for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 application
KR20120119789A (ko) 그래핀 다중층의 제조방법
Yi et al. Stability of hydrogenated graphene: a first-principles study
JP2017533121A (ja) 冶金学的ボンドおよび密度低減金属コア層を有する金属積層体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Gu et al. Atomically dispersed Pd catalysts in graphyne nanopore: formation and reactivity
Halle et al. Filling the gap: Li-intercalated graphene on Ir (111)
Zhu et al. Defective germanene as a high-efficiency helium separation membrane: a first-principles study
Yang et al. Probing buckling and post-buckling deformation of hollow amorphous carbon nanospheres: In-situ experiment and theoretical analysis
Castelli et al. Carbon sp chains in graphene nanoholes
Podsiadły-Paszkowska et al.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trolling of the kinetic and magnetic properties of hydrogen atoms on free-standing silicene
Anzalone et al. Low stress heteroepitaxial 3C-SiC films characterized by microstructure fabrication and finite elements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