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530A -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530A
KR20120134530A KR1020110053476A KR20110053476A KR20120134530A KR 20120134530 A KR20120134530 A KR 20120134530A KR 1020110053476 A KR1020110053476 A KR 1020110053476A KR 20110053476 A KR20110053476 A KR 20110053476A KR 20120134530 A KR20120134530 A KR 20120134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file
terminal
user
stu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1398B1 (ko
Inventor
사정민
김용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3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39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91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reading, e.g. e-boo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에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단말기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전자서재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기화 파일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동기화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의 동기화 파일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파일은 단말기에 렌더링되는 리소스 파일 및 상기 리소스 파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서재 제공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Book Shelf}
본 발명은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자서재를 디스플레이하여 전자책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전자서재의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일반 소비자들에게 급격히 확산되면서 전자책(E-Book)이 이러한 스마트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전자책(E-Book)은 오프라인의 종이책을 디지털화하여 PC, 휴대폰, 전용 리더기 등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기기를 통해 읽을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를 말하며, 현재 많은 종류의 전자책이 국제표준으로 정해진 EPUB 또는 PDF 파일 형태로 온라인 상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책 시장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가 부족하거나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기존 종이책을 모바일 기기로 대체하고 온라인 유통구조로 변화된 것 외에는 소비자의 기대수요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예를들어 아마존 킨들(Kindle)의 경우 킨들 사용자가 남긴 메모 등을 공유하여 읽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애플의 아이북스(iBooks)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전자책을 다운로드하고 읽는 등의 서비스는 갖추어져 있지만, 다수의 사용자 사이의 상호 네트워킹을 가능케 하는 소셜 서비스 부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온라인 전자책 시장은, 오프라인 종이책을 구매해서 각 독자가 개별적으로 해당 책을 읽고 그것으로 끝나는 것과 마찬가지로, 독자가 전자책을 구매한 후 그것을 개인적으로 읽는 것으로 끝나버리고, 시간과 공간을 뛰어 넘어 사용자들이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온라인의 가장 큰 장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오프라인의 종이책을 단순히 디지털화한 것에 그치는 것이다. 따라서, 언제 어디서나 온라인에 접속 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특성을 살려서, 기존 전자책에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기능을 적용하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전자책의 폐쇄성과 한계를 극복하고 독자간 다양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서재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자서재를 디스플레이하여 전자책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를 다른 사람과 공유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능하게 전자서재의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단말기에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단말기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전자서재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기화 파일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동기화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의 동기화 파일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파일은 단말기에 렌더링되는 리소스 파일 및 상기 리소스 파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서재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가 단말기에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가, 제1 단말기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전자책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자책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전자서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전자책 데이터베이스를 각각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전자서재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기화 파일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된 제1 사용자의 동기화 파일을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파일은 단말기에 렌더링되는 리소스 파일 및 상기 리소스 파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서재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서재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말기로서,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전자서재의 정보를 저장한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전자서재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기화 파일을 파싱하여 전자서재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렌더링 모듈; 및 전자책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전자책 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파일은 단말기에 렌더링되는 리소스 파일 및 상기 리소스 파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에 전자서재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네트워크망을 통해 단말기가 상기 전자서재의 정보를 저장한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기능; 단말기에 렌더링되는 리소스 파일 및 상기 리소스 파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정보를 가지는 동기화 파일을 파싱하여 전자서재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렌더링 기능; 및 전자책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전자책 뷰어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서재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하거나 집필한 전자책을 가상의 서재를 통해 보여주고 온라인상의 다른 사용자는 해당 서재를 방문하여 전자책에 관한 콘텐츠를 둘러보고 전자책을 구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순히 개별적으로 전자책을 구매하여 읽기만 하였던 기존 전자책 분야에 SNS 기능이 부가된 새로운 형태의 전자서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북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북 애플리케이션의 예시적인 화면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3a의 BCS 파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북 제공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
도5는 도4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메뉴를 선택했을 때 실행가능한 하위메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6a 내지 도6d의 각각은 도5의 하위메뉴 중 서평관리, 친구서재, 방명록, 및 알림 메뉴를 각각 선택했을 때의 예시적인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소셜북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다른 사람의 서재를 방문하여 메뉴를 선택했을 때 실행가능한 하위메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재테마 제작 툴의 예시적인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저작툴의 예시적인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셜북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서재를 방문하는 예시적인 흐름도.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인이 집필한 전자책을 소셜북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확인하고 대여 또는 구매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부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책'은 컴퓨터, 휴대폰, 전용 리더기 등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기기를 통해 읽을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를 의미한다. 전자책은 EPUB 또는 PDF 등과 같은 표준 형식의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전자책이 EPUB 파일로 저장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서재'는 도3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화면상에 서재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서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서재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는 서버에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는 단말기에 전자서재를 디스플레이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뒤 이를 실행하고, 사용자가 전자서재의 요청시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서버로부터 전자서재의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 화면에 전자서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전자서재를 통해 전자책 관련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책 관련 콘텐츠'는 전자책 자체 및 전자책에 관련된 콘텐츠를 의미하며, 전자책에 관련된 콘텐츠는 전자책에 관한 서지정보나 서평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전자책 관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즉, 서버의 각 사용자 계정마다 저장되는 정보로서, 사용자의 회원정보, 서재 정보, 구입한 전자책 리스트, 집필한 전자책 리스트, 동기화 파일, 친구서재 리스트, 방명록 내용, 각종 알림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소셜북 서비스'는 네트워크 상에서 이와 같은 전자책 관련 콘텐츠의 생성, 저장, 수정, 열람, 공유 등을 가능하게 하는 소셜 서비스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소셜북 제공 서버'는 사용자 계정별로 전자책 관련 콘텐츠를 저장하고 전자서재를 통해 사용자에게 소셜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고, '소셜북 애플리케이션'은 각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전자서재를 디스플레이하여 소셜북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단말기에 설치하여 실행하고 소셜북 제공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각 용어에 대한 자세한 기술구성은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은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10)와 개인용 컴퓨터(PC)(20), 소셜북 제공 서버(30), 그리고 이들을 유/무선으로 연결하는 이동통신망(40)과 인터넷(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상기 모든 구성요소들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 구성요소들의 변경이나 추가 또는 생략이 행해질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는 이동통신망(40) 및/또는 인터넷(50)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휴대용 단말기(10)는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넷북, 노트북 컴퓨터 등의 이동통신기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통신기기와 휴대용 컴퓨터를 합하여 휴대용 단말기(10)라고 부르기로 하며, 휴대용 단말기로서 이동통신기기가 사용될 경우 이동통신망(40)을 통해 연결되고 휴대용 컴퓨터인 경우 인터넷(50)과 바로 연결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20)는 인터넷(50)에 연결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를 비롯하여 노트북 컴퓨터, 넷북, 태블릿 PC 등 휴대용 컴퓨터 기기도 포함할 수 있다.
소셜북 제공 서버(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개개인 별로 계정을 만들어 개인별 전자서재를 제공하고 이 전자서재를 통해 사용자가 전자책에 관한 콘텐츠를 생성, 저장,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통신망(40)은 이동통신기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1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인터넷(50)과도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인 네트워크망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인터넷(50)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근거리망, 원거리망 등도 포함될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10), 개인용 컴퓨터(20), 서버(30)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통신망(40)과 인터넷(5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합하여 '네트워크망'이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을 포함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용 애플리케이션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은 단말기의 하드웨어(300) 및 OS(200) 위에 설치된다.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OS(200) 위에 자바 가상 머신과 같은 특정 프레임워크가 더 존재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은 송수신 모듈(101),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03), 서재 렌더링 모듈(105), 전자책 뷰어(107)을 포함한다.
송수신 모듈(101)은 네트워크망(10)을 통해 소셜북 제공 서버(30, 도1)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모듈로서, 하드웨어(300)와 OS(200)를 거쳐 들어오는 전자책 관련 콘텐츠를 수신하여 서재 렌더링 모듈(105)이나 전자책 뷰어(107) 등 다른 기능부로 전달하고 소셜북 제공 서버에 송신할 각종 요청(request)을 OS(200)나 하드웨어(300) 단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03)은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로서는 예컨대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 터치를 인식하거나 키패드의 문자 입력을 수신하는 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출력부로서는 화면 출력 및 스피커 출력 기능을 포함한다.
서재 렌더링 모듈(107)은 소셜북 제공 서버(30)로부터 수신한 파일을 휴대용 단말기(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예컨대 서버(30)로부터 사용자의 전자서재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동기화 파일을 수신하고 이를 파싱하여 단말기(10)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HTML 파일 등 서버(30)로부터 수신한 각종 응답(response) 파일을 화면에 렌더링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동기화 파일'은 단말기에 렌더링되는 전자서재의 리소스 파일 및 이 리소스 파일을 렌더링하는데 필요한 렌더링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이다. 동기화 파일에 대해서는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전자책 뷰어(107)는 소셜북 제공 서버(30)로부터 전자책 파일을 수신하였을 때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전자책 파일은 EPUB 또는 PDF 등 전자책의 표준 파일 형식으로 휴대용 단말기(10)로 전송되며, 전자책 뷰어(107)는 단말기(10) 내에 별도의 전자책 뷰어 애플리케이션이 없더라도 본 발명의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 내에서 실행되어 사용자가 전자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은 서재 테마 제작 모듈(109) 및/또는 전자책 저작 모듈(111)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서재 테마 제작 모듈(109)은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서재의 배경을 사용자가 임의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로서,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과는 별도의 프로그램으로서 개인용 컴퓨터(20, 도1) 등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고, 도2에서와 같이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 내의 서브 프로그램으로 삽입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책 저작 모듈(111)은 사용자가 직접 전자책을 집필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로서, 역시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과 별도의 프로그램으로서 개인용 컴퓨터(20)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고, 도2에서와 같이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 내의 서브 프로그램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서재 테마 제작 모듈(109) 및 전자책 저작 모듈(111)에 대해서는 각각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3은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북 애플리케이션의 예시적인 화면구성이고, 도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파일의 구성을 설명하고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북 제공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설명하고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을 실행하여 소셜북 제공 서버(30)에 로그인을 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서재(400)가 사용자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는 전자서재(400)를 통해 사용자 자신의 계정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책 관련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전자서재(400)에서, 메뉴버튼(401), 화면의 상단에 사용자의 서재임을 표시하는 분류 바(403), 전자책 표지(405), 선반(407), 및 배경(409)을 각각 표시하는 각종 리소스 파일이 한 화면에 레이아웃되어 전자서재(400) 화면을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3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메뉴버튼(401)을 누르면 해당 화면에서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각종 작업 종류가 나타나며, 이에 대해서는 도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분류바(403)는 사용자가 작업하고 있는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도3은 사용자가 로그인을 한 후 사용자 자신의 계정의 전자책 관련 콘텐츠를 보여주는 '나의 서재'에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만약 사용자가 메뉴버튼(401)을 눌러 '방명록'을 선택하면 분류바(403)에는 '방명록' 이라고 표시가 될 수 있다.
전자책 표지(405)는 사용자가 구매한 전자책 및 사용자가 직접 집필한 전자책의 표지를 나타낸다. 도3의 화면상에서 전자책 표지(405)는 구매한 전자책이나 집필한 전자책의 레이아웃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해당 전자책에 대한 서버(30)의 서평 데이터베이스(DB) 내의 고유키 정보 또는 집필한 책의 전자책 DB 내의 고유키 정보와 링크되어 있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전자책 표지(405)를 화면 터치 등의 방식으로 선택할 때, 선택된 전자책이 사용자가 구매한 전자책인 경우,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은 해당 전자책에 대한 서평을 소셜북 제공 서버(30)에 요청하고, 서버(30)는 이 요청에 따라 해당 전자책의 서지사항 및/또는 서평 데이터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송신하고, 소셜북 애플리케이션이 이 데이터를 송신받아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서버(3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전자책 DB에서 해당 전자책 파일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만약 선택된 전자책 표지(405)가 사용자가 직접 집필한 전자책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전자책 표지(405)를 선택하면 해당 전자책 파일 자체가 전송될 수 있다.
서재 선반(407)은 전자서재(400)의 선반 이미지의 리소스 파일이 렌더링된 것으로, 전자서재(400) 내의 레이아웃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서재 배경(409)은 전자서재(400)의 배경 이미지의 리소스 파일이 렌더링된 것이다.
이와 같이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은 서버(30)로부터 분류 바(403), 전자책 표지(405), 선반(407), 및 배경(409) 등 전자서재(400)를 구성하는 각종 리소스 파일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받아 렌더링함으로써 전자책 관련 콘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각종 리소스의 리소스 파일 및 이 리소스 파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동기화 파일이라고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동기화 파일은 전자서재(400)를 렌더링할 때 필요한 설정 파일의 한 종류일 수 있고, 스크립트 파일의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동기화 파일을 '서재정보 스크립트 설정 파일'(Book Shelf Configuration Script File)이라고 부르며, 이하에서 간단히 BCS 파일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BCS 파일의 일 실시예가 도4a에 나타나 있는데, BCS 파일은 전자서재를 구성하는 리소스들의 리소스 파일 및 해당 리소스 파일의 위치 정보 등 리소스 파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정보를 포함하며,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렌더링 정보는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마크업 언어 파일이다. 리소스 파일은 도3에서 설명하였듯이 책 분류 바(403)의 리소스 파일, 서재 선반(407)의 리소스 파일, 서재 배경(409)의 리소스 파일을 포함한다. 마크업 언어 파일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XML 파일이며, 상기 각종 리소스의 위치 레이아웃 배치 정보, 서재(400) 상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는 리소스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책 표지(405)에 대해서는 전자책에 대한 서평 데이터의 DB 테이블 고유키 및 본인 집필의 전자책의 DB 테이블 고유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BCS 파일은 JAR 형식의 파일이다. 일반적으로 JAR 파일은 자바(JAVA)의 클래스 파일들을 하나로 묶어 만든 단일의 압축파일을 의미하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서버로부터 전송될 각종 데이터를 JAR 파일로 압축하여 전송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셜북 제공 서버(3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서버(30)에는 사용자의 계정별로 소정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데, 실시 형태에 따라 도면에 나타나 있는 항목 중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고 다른 항목이 추가될 수도 있다.
계정별 항목 중 '회원정보'는 사용자가 소셜북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로그인할 때 필요한 정보로서, 예컨대 아이디(ID), 패스워드(PW), 휴대폰 번호 등이 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10)는 전화번호를 의미하는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또는 단말기에 유일하게 할당되는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등 자신과 다른 단말기를 구분하는 고유의 식별번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휴대폰 번호 또는 다른 고유 식별번호가 회원인증을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계정별 항목 중 '서재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서재(400)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할 때 필요한 각종 정보들로서, 예를 들어 단말기에 렌더링되는 리소스 파일 및 렌더링을 위한 렌더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도3에서의 분류 바(403), 전자책 표지(405), 서재 선반(407), 서재 배경(409) 등의 리소스 파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계정에서 '전자책 서평'은 사용자가 임의의 전자책에 대해 작성한 서평으로서, 사용자가 작성한 모든 서평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서평 데이터는 별도의 DB에 저장될 수 있다. 즉 모든 사용자가 작성한 서평이 하나의 DB에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도3에서의 전자책 표지(405)가 해당 전자책에 대한 서평 데이터의 DB 내에서의 고유키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임의의 전자책 표지(405)를 선택하여 해당 서평을 확인할 수 있다.
계정에서 '구매 전자책'은 사용자가 구매한 전자책의 리스트를 의미한다. 구매한 전자책 파일 자체를 이 항목에 저장할 수도 있지만, 일 실시예에서 전자책 파일은 전자책 파일을 저장 및 관리하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 테이블로 존재하고, 예컨대 전자책을 판매하는 온라인 서점의 전자책 DB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3의 계정별 DB에는 전자책 리스트만 있으나 전자책 DB와 상호 관계가 되어 참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사용자가 전자책 리스트 내의 임의의 전자책을 선택하면 전자책 DB의 해당 전자책이 참조되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구매한 전자책의 모두 또는 일부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계정의 '개인 집필책'은 사용자가 직접 집필한 전자책의 리스트이다. 집필한 전자책 파일 자체를 이 항목에 저장할 수도 있지만, 위의 '구매 전자책'과 마찬가지로, 집필한 전자책 파일은 별도의 DB 테이블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모든 사용자들이 집필한 전자책 파일을 별도의 DB(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 DB를 '마이 북 스토어'(My Book Store)라고 칭하기로 함)로서 별도의 DB로 관리하며, 도3의 계정별 DB의 개인 집필책 리스트와 마이북 스토어 DB가 상호 관계가 되어 참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이북 스토어는 통상의 온라인 서점과 같은 형태로 운영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이 집필한 전자책에 대해 소정 가격을 책정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나 대여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전자서재(400)에 자신이 집필한 전자책을 전자책 표지(405)로서 표시하고 해당 전자서재에 방문한 방문자가 이 전자책 표지(405)를 선택하였을 때 마이북 스토어 화면으로 이동하여 전자책의 서지정보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집필한 전자책에 대해 판매 및 대여에 대한 가격을 책정하여 마이북 스토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신의 전자서재는 자신이 집필한 전자책을 보여주고 판매하거나 대여하는 상점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전자서재(400)가 개인별 온라인 서점의 개념도 갖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소셜북 서비스의 SNS 관련 기능이 한층 확장되는 효과를 가진다.
계정의 '친구서재 정보'는 사용자가 즐겨찾기를 등록한 다른 사용자의 서재에 대한 리스트이다. 계정에서 '알림'은 사용자에게 공지한 각종 알림 내용을 저장된다. 알림 내용의 예로서는 도6d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계정의 '동기화 파일'은 도4a의 서재정보 스크립트 설정 파일(BCS 파일)을 의미한다. BCS 파일은 전자서재를 구성하는 각종 리소스들의 리소스 파일 및 이를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정보를 포함하는 마크업 언어 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서재의 배경(409)을 바꾼다든지 전자책을 새로 구매할 수 있으므로 해당 사용자 계정의 내용이 바뀔 수 있고 전자서재(400)의 화면도 항상 변경될 수 있다. 소셜북 제공 서버(30)는 사용자가 소셜북 서비스에 접속할 때마다 서버와 단말기 사이의 동기화, 즉 항상 최신의 서재 화면을 단말기에 제공해야 하므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서버(30)는 동기화 파일(BCS 파일)을 소정 주기나 소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업데이트한다. 여기서 소정 이벤트는 동기화 파일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분류 바(403), 전자책 표지(405), 서재 선반(407), 및 서재 배경(409)를 포함하는 리소스 파일, 전자책 표지(405)와 참조로 연결되는 구매 전자책에 대한 서평 데이터 및 본인 집필의 전자책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변경되는 것이 이벤트가 될 수 있고, 이 이벤트가 발생하면 서버(30)는 해당 사용자 계정을 업데이트하고 새로운 계정 내용을 반영하기 위해 동기화 파일도 업데이트한다.
그러므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A가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10)에서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을 실행할 때 A의 서재의 최신 정보를 동기화 파일 형태로 받아 단말기 화면에 렌더링하기 때문에 서버(30)와 자신의 단말기 화면의 내용을 항상 동기화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A가 사용자 B의 서재에 접속(방문)한다는 것은 사용자 B의 최신 동기화 파일을 서버(30)로부터 전송받아 이 파일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A의 단말기 애플리케이션(100) 상에서 사용자 B의 서재를 렌더링 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사용자 A가 다시 자신의 서재로 돌아가기 위해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은 이전에 전송받은 A의 서재의 동기화 파일을 폐기하고 새로운 동기화 파일을 서버(30)에 요청하고, 이에 따라 A의 서재의 최신 동기화 파일을 다시 전송받아 단말기(10) 화면에 렌더링 함으로써 서버(30)와의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다.
이제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이 제공하는 기능을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되고 이하에 설명되는 기능들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일부 기능이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5는 사용자가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에서 자신의 전자서재('나의 서재')에 위치하고 있을 때 실행할 수 있는 메뉴들을 열거한 것으로, 도4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메뉴버튼(401)을 선택했을 때 나타나는 하위메뉴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5를 참조하면, 하위 메뉴로서 서평관리(501), 마이 북(My Book)(502), 서재 찾기(503), 친구서재(504), 방명록(505), 및 알림(506) 메뉴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외에 회원정보, 환경설정, 방문기록, 통계, 메모, 공동구매 올리기 등 기타 메뉴(5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평관리(501) 메뉴는 자신이 전자책에 대한 서평을 관리하는 기능으로,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기존의 서평을 읽거나 새로운 서평을 작성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도6a는 서평관리(501)를 선택했을 때의 예시적인 화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화면의 상단부(601)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서 '서평관리'가 표시되고, 그 아래에 새로운 서평을 작성하는 영역(603) 및 기존 서평을 표시하는 영역(605)이 보여질 수 있다.
마이 북(502) 메뉴는 자신이 집필한 전자책을 관리하는 기능으로,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자신이 집필한 전자책 리스트가 보여지고 임의의 전자책을 선택하여 읽을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마이 북(502) 메뉴는 전자책을 집필하거나 수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도2에서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이 전자책 저작 모듈(111)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로서, 사용자가 마이 북(502) 내에서 특정 하위메뉴를 선택하면 전자책을 집필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서브프로그램이 실행되어 휴대용 단말기(10) 상에서 바로 집필이나 수정을 행할 수 있다.
서재 찾기(503) 메뉴는 현재 소셜북 제공 서버(30)의 계정이 등록된 모든 전자서재 중 사용자가 원하는 전자서재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친구서재(504) 메뉴는 사용자가 즐겨찾기를 등록한 다른 사용자의 전자서재를 보여주는 기능이다. 도6b는 친구서재를 선택했을 때의 예시적인 화면 구성으로,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화면의 상단부(601)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서 '친구서재'가 표시되고, 그 아래에 친구서재로 등록된 서재를 검색하는 영역(607) 및 현재 친구서재로 등록된 서재 리스트가 표시되는 영역(609)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임의의 친구를 선택하면 해당 친구의 전자서재로 이동하여 방문할 수 있다.
방명록(505) 메뉴는 다른 사용자가 나의 서재를 방문하여 내 서재에 남긴 글을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6c는 방명록(505) 메뉴를 선택했을 때의 예시적인 화면 구성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서 '방명록'이 표시되는 영역(601) 및 다른 사용자가 나의 서재에 남긴 글들이 표시되는 영역(611)이 제공될 수 있다.
알림(506) 메뉴는 소셜북 제공 서버(30)에서 사용자에게 공지하는 각종 알림 내용을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6d는 이 메뉴를 선택했을 때의 예시적인 화면 구성인데,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영역(601)과 그 아래에 각종 알림 내용을 표시하는 영역이 제공된다. 알림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가능한데, 예시적으로 알림(613)은 다른 사용자가 나의 서재의 방명록에 글을 남긴 사실을 알리는 알림이고, 알림(615)은 다른 사용자가 나에게 선물(전자책)을 보내었음을 알려주는 것이고, 알림(617)은 다른 사용자가 나의 서재를 그 사용자의 친구서재로 등록하였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메뉴버튼(401)의 하위 메뉴로서 상술한 각종 메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며 그 외에도 필요에 따라 여러 하위 메뉴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정보, 환경설정, 방문기록, 통계, 메모, 공동구매 올리기 등의 메뉴가 포함될 수 있는데, 방문기록 메뉴는 나의 서재를 방문한 사람의 서재 링크 및 방문 시간, 방문 글 건수를 보이도록 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링크를 통해서 방문자의 서재도 들어가 볼 수 있도록 한다. 공동구매 올리기는 소셜북 서비스 이용자들이 특정 전자책을 공동구매할 수 있는 기능으로, 특정 책을 기준 인원수 이상이 모여 구매하게 되면 특정 할인율만큼 할인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소셜북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다른 사용자의 전자서재를 방문할 수 있다. 방문자는 서재 주인이 꾸민 서재 모습과 구매하여 읽은 전시된 책들의 표지와 소개 정도를 볼 수 있고, 서재 주인이 책을 읽으면서 남긴 문장들과 메모나 서평들도 열람할 수 있다.
도7은 사용자가 소셜북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다른 사람의 서재를 방문하여 메뉴를 선택했을 때 실행가능한 메뉴들을 나타낸다. 도7을 참조하면, 서재 화면의 메뉴버튼(401)을 눌렀을 때 선택할 수 있는 하위메뉴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하위 메뉴로서 나의 서재 돌아가기(701), 즐겨찾기 등록(702), 서평관리(703), 마이 북(704), 방명록(705), 책 선물하기(706), 및 서재테마 구매(707) 메뉴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외에 여러 기타 메뉴(70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나의 서재 돌아가기(701) 메뉴는 자신의 전자서재로 다시 돌아가고자 할 때 선택하는 메뉴이다. 이 메뉴를 선택하면 소셜북 애플리케이션은 소셜북 제공 서버(30)에 해당 사용자의 동기화 파일을 요청하고, 서버(30)로부터 최신의 동기화 파일을 전송받아 단말기 화면에 렌더링하고 기존의 동기화 파일은 폐기함으로써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동기화가 항시 이루어진다.
즐겨찾기 등록(702) 메뉴는 현재 방문하고 있는 전자서재를 자신의 친구서재로 등록하는 기능이다.
서평관리(703) 메뉴는 해당 전자서재의 주인이 남긴 서평을 읽을 수 있는 메뉴이다.
마이 북(704) 메뉴는 해당 전자서재의 주인이 집필한 전자책을 관리하는 기능으로, 이 메뉴를 선택하면 서재의 주인이 집필한 전자책 리스트가 보여지고 임의의 전자책을 선택하면 서재 주인의 허가 여부에 따라 책 내용을 읽을 수도 있다.
방명록(705) 메뉴는 현재 방문중인 전자서재에 방문 글을 남기는 기능을 제공한다.
책 선물하기(706)는 방문자가 현재 방문하고 있는 전자서재의 주인에게 전자책을 선물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소셜북 제공 서버(30)와 전자책을 판매하는 온라인 서점이 미리 연계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방문자가 이 메뉴를 선택하면 온라인 서점의 웹페이지로 이동하여 임의의 전자책을 구매할 수 있고, 이 구매 정보가 알림(도5의 506) 기능을 통해 해당 전자서재의 주인에게 통지된다. 즉 전자서재의 주인은 알림(506)을 통해 특정 방문자가 자신에게 책을 선물했음을 알게 되고, 알림에 포함된 구매된 전자책의 URL 주소를 따라 책을 다운로드하여 읽을 수 있다.
서재테마 구매(707) 메뉴는 현재 방문중인 전자서재를 구성하는 서재 테마(분류 바(403), 전자책 표지(405), 선반(407), 배경(409) 등의 아이콘)를 방문자가 구매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서재의 주인이 서재테마 제작툴(도8을 참조하여 후술함)을 이용하여 직접 분류바(403), 서재 선반(407), 배경(409)을 만들어 자신의 전자서재(400)를 꾸밀 수 있는데, 해당 전자서재의 방문자가 이러한 서재 테마가 마음에 들 경우 해당 서재 테마를 구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서재테마 제작툴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서재 테마는 소셜북 제공 서버(30)내의 해당 사용자의 계정의 '서재 정보'(도4b 참조)에 저장될 수 있지만 이와 동시에 계정 DB와 별도로 서재 테마만을 저장하는 DB(이하에서 '서재테마 스토어'라고 칭함)에도 업로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재 방문자가 메뉴의 서재테마 구매(707)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서재테마 스토어로 이동할 수 있고 방문자는 자신이 방문했던 서재 및 모든 사용자가 업로드한 다양한 종류의 서재 테마를 둘러보고 구매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메뉴들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메뉴버튼(401)의 다른 하위메뉴들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재테마 제작 툴의 예시적인 화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8을 참조하면, 서재테마 제작툴은 도3에 도시된 서재(400)를 사용자 자신이 직접 꾸밀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서재(400)를 구성하는 분류 바(403), 전자책 표지(405), 선반(407), 배경(409), 및 기타 아이콘을 제작,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8의 예시적인 화면을 참조하면, 서재테마 제작툴은 크게 두 개의 분할화면, 즉 현재 제작 또는 수정 중인 서재 화면(801) 및 서재를 구성하는 서재테마 구성요소(분류바(403), 전자책 표지(405), 선반(407), 배경(409) 등)를 제작하는 제작화면(803)을 포함한다.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제작화면(803)에는 각 서재테마 구성요소에 대해 서재테마 제작툴이 차제적으로 제공해주는 기본 테마(805) 및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여 저장해 놓은 사용자 테마(807)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기본 테마(805) 또는 사용자 테마(807)에서 어느 특정 구성요소를 선택하면 서재테마 구성요소 정렬창(809)에 해당 구성요소가 다양한 종류의 형태와 색상의 이미지로 정렬되고 각 구성요소 이미지에 대한 리소스 이미지 정보가 별도의 분할화면(81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구성요소 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서재(400)의 구성요소로 사용하거나 이를 수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서재테마 제작툴은 네트워크망을 통해 소셜북 제공 서버(30)와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가 서재테마 제작툴 상에서 작업한 서재테마 구성요소들이 서버(30) 내의 자신의 계정에 업로드 하여 서재정보(도4b 참조) 항목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서버내 계정이 변경되면 계정 내 동기화 파일에도 이 변경사항이 반영된다. 동기화 파일은 이벤트 발생시마다 자동 업데이트를 거치므로, 해당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로 소셜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서버(30)로부터 최신의 동기화 파일을 전송받아 화면에 렌더링 함으로써 전자서재(400)가 재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서재테마 제작툴은 사용자의 작업 편의를 위해 여러 분할화면(801, 803, 811)을 한 화면에 표시해야 하므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서재테마 제작툴은 네트워크망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도1의 2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서재테마 제작툴이 예컨대 제작기능은 없고 편집기능만 갖는 등 일부 기능만 갖도록 하여 모바일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10) 내에서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과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서재테마 제작 모듈(109)로서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의 일부 구성요소로 기능할 수도 있다.
한편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서재테마 제작툴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서재 테마는 소셜북 제공 서버(30)내의 자신의 계정의 서재 정보에 저장될 뿐만 아니라 '서재테마 스토어'에도 업로드될 수 있고, 이 경우 전자서재 방문자가 서재테마 구매(707)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서재테마 스토어로 이동하여 다양한 종류의 서재 테마를 둘러보고 구매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저작툴의 예시적인 화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9를 참조하면, 전자책 저작툴은 사용자가 전자책을 직접 집필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예컨대 컴퓨터상에서 문서를 작성하여 EPUB 형식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문서작성 프로그램의 한 종류일 수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저작툴은 문서를 편집하는데 필요한 메뉴를 보여주는 문서편집 메뉴 영역(901), 현재 작업중인 문서를 보여주는 문서 표시 영역(903), 집필 완성된 전자책을 서버(30)에 업로드하는 서버 업로드 메뉴(905), 및 작업중인 문서를 미리 볼 수 있는 미리보기 영역(907)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책 저작툴은 네트워크망을 통해 소셜북 제공 서버(3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집필 완료된 전자책은 소셜북 제공 서버(30)로 업로드 될 수 있다. 이 때 전자책을 사용자의 개별 계정별로 업로드하여 저장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이 전자책은 모든 사용자들이 집필한 전자책 파일을 저장하는 별도의 DB, 즉 '마이북 스토어'에 업로드하여 관리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집필한 전자책에 소정 가격을 책정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판매하거나 대여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책을 집필하여 서버(30)에 업로드하면 자신의 서재(400) 화면에 표시되는 전자책 표지(405)이 새로 추가가 되므로 자신의 계정의 서재 정보도 변하게 된다. 따라서 계정의 변경에 따라 계정내 동기화 파일에도 이 변경사항이 반영되도록 업데이트 된다.
도8의 서재테마 제작툴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전자책 저작툴 역시 사용자의 작업 편의를 위해 여러 메뉴와 분할창을 한 화면에 표시해야 하므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전자책 저작툴은 네트워크망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2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자책 저작툴의 경우에도 일부 기능만 갖도록 하여 모바일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10) 내에서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과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전자책 저작모듈(111)로서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의 일부 구성요소로 기능할 수도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셜북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서재를 방문하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10을 참조하면, A라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에서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을 실행하고(단계 S101) 소셜북 제공 서버(30)에 로그인을 한다. 로그인은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별도로 수행할 수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동시에 자동 로그인도 가능하다. 이 때 해당 휴대용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할 수 있고 MIN, ESN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고유 식별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로그인 과정에서 사용자 A의 회원 확인을 거친 소셜북 제공 서버(30)는 A의 계정에서 A의 전자서재를 렌더링 하기 위해 동기화 파일을 검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화 파일은 전자서재의 렌더링에 필요한 리소스 파일과 렌더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서재정보 스크립트 설정 파일, 즉 BCS 파일이다. 서버(30)는 이 BCS 파일을 검색하여 이를 A의 휴대용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단계(S104)로 나타내었듯이 소셜북 제공 서버(30)는 소정 주기나 소정 이벤트 발생시마다 사용자 계정을 업데이트하고 그에 따라 최신의 BCS 파일을 생성하고 있으므로, 사용자 A에게 BCS 파일을 전송한 이후에도 A의 계정 내용에 변동이 발생하면 즉시 최신 BCS 파일을 생성하고 있다.
BCS 파일을 전송받은 휴대용 단말기(10)는 서재 렌더링 모듈(105)을 통해 A의 전자서재를 화면에 렌더링한다(단계 S103). 그 후 사용자 A는 자신의 서재에서 도5 및 도6에서 설명한 다양한 메뉴 기능을 실행하며 전자서재를 둘러보고 관리할 수 있다. 그 중 단계(S105) 이하에서는 사용자 A가 여러 메뉴 중 친구 서재(예컨대, 사용자 B의 전자서재)를 방문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도6b의 '친구서재' 메뉴에 '친구 B'가 표시되어 있다고 하면, 사용자 A가 '친구 B'의 아이콘을 누르면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 B의 전자서재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B 서재의 BCS 파일을 서버(30)에 요청한다. 이를 요청받은 서버(30)는 사용자 B의 계정에서 BCS 파일을 검색하여 A의 휴대용 단말기(10)로 전송하고, 단계(S106)에서 휴대용 단말기(10)는 서재 렌더링 모듈(105)를 통해 B의 서재를 화면에 렌더링한다. 이 때 단말기(10) 화면에 B 서재가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A 서재는 배경에서 실행되고 있으며,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B 서재를 렌더링하는 즉시 A 서재에 관한 BCS 파일을 폐기하면서 A 서재의 실행을 종료할 수도 있다.
사용자 A가 B의 전자서재를 둘러본 후 다시 자신의 서재로 돌아가고자 예컨대 도7의 '나의 서재 돌아가기'를 선택하면,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은 사용자 A의 서재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A 서재의 BCS 파일을 서버(30)에 요청한다. 그러면 서버(30)는 A의 계정에서 BCS 파일을 다시 검색하여 최신의 BCS 파일을 휴대용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이와 같이 BCS 파일을 통해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과 서버(30)는 항시 동기화 과정을 거치므로 최신의 BCS 파일을 기반으로 A의 서재를 화면상에 재구성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인이 집필한 전자책을 소셜북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확인하고 대여 또는 구매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1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A가 개인용 컴퓨터(20)에 설치된 전자책 저작툴(900)을 이용하여 전자책을 집필한다(단계 S111).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전자책 집필은 휴대용 단말기(10)의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에 포함된 전자책 저작 모듈(111) 또는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과 구별되는 별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A가 집필을 완료하고 해당 전자책을 업로드하기 위해 소셜북 제공 서버(30)와 연결되면 서버(30)는 회원확인을 거치고(단계 S112), 마이북 스토어에 해당 전자책이 업로드 됨에 따라 A의 서재 정보 및 마이북 스토어 DB를 업데이트 한다(단계 S113).
그 후 사용자 B가 휴대용 단말기(10)를 통해 소셜북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단계 S114) 사용자 A의 서재를 방문하기 위해 서버(30)에 A 서재의 BCS 파일을 요청하면(단계 S115) 서버(30)는 업데이트된 최신의 A의 BCS 파일을 B의 휴대용 단말기(10)로 전송하고, 단말기(10)는 해당 BCS 파일에 기초하여 A의 서재를 렌더링한다(단계 S116).
사용자 B가 사용자 A의 전자서재를 둘러보다가 A가 집필한 전자책을 선택하면(단계 S117), 소셜북 제공 서버(30)는 마이북 스토어 DB를 검색하여 해당 전자책을 B에게 전송하고(단계 S118), 이에 따라 사용자 B는 전자책의 전부나 일부 내용을 읽을 수 있다(단계 S119).
그 후 사용자 B가 해당 전자책을 대여하거나 구매하기 원하면 대여 또는 구매의 요청을 서버(30)에 할 수 있고, 단계 S120으로 표시된 통상적인 온라인 결제 과정을 거쳐 결제가 이루어지면, 단계 S121에서 결제 완료와 함께 B의 전자서재에 해당 전자책의 표지(405)를 올리기 위해 B 서재의 서재 정보가 업데이트되고, 이에 기초하여 B 서재의 BCS 파일도 업데이트된다.
따라서 상기 결제절차 후 B가 자신의 전자서재로 돌아가고자 B 서재의 BCS 파일을 서버(30)에 요청하게 되면 서버(30)는 B의 계정에서 BCS 파일을 다시 검색하여 최신의 BCS 파일을 휴대용 단말기(10)로 전송하고, B는 기존의 BCS 파일을 폐기하고 최신의 BCS 파일을 기반으로 B의 서재를 화면상에 재구성한다(단계 S12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소셜북 애플리케이션(100) 및 소셜북 제공 서버(30)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하거나 집필한 전자책을 가상의 서재를 통해 보여주고 온라인상의 다른 사용자는 해당 서재를 방문하여 전자책에 관한 콘텐츠를 둘러보고 전자책을 구매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단순히 개별적으로 전자책을 구매하여 읽기만 하였던 기존 전자책 분야에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기능이 부가된 새로운 형태의 SNS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휴대용 단말기 20: 개인용 컴퓨터
30: 소셜북 제공 서버 40: 이동통신망
50: 인터넷
100: 소셜북 애플리케이션 101: 통신모듈
103: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105: 서재 렌더링 모듈 107: 전자책 뷰어
109: 서재테마 제작 모듈 111: 전자책 저작 모듈
400: 서재 403: 분류 바
405: 전자책 표지 407: 서재 선반
409: 서재 배경

Claims (15)

  1. 서버가 단말기에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전자서재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기화 파일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동기화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의 동기화 파일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파일은 단말기에 렌더링되는 리소스 파일 및 상기 리소스 파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서재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 주기 또는 소정 이벤트 발생시마다 상기 서버가 상기 동기화 파일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서재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2 사용자의 전자서재를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기화 파일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의 동기화 파일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제2 사용자의 동기화 파일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1 사용자의 동기화 파일의 재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된 제1 사용자의 동기화 파일을 검색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동기화 파일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서재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동기화 파일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변경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서재 제공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파일은, 전자서재의 책 분류 바의 리소스 파일, 서재 배경의 리소스 파일, 및 서재 선반의 리소스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서재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 정보는, 상기 전자서재 내에서의 리소스의 위치 레이아웃 배치 정보, 전자서재 상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는 리소스 위치정보, 전자책에 대한 서평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DB) 테이블 고유키, 및 본인 집필 전자책의 DB 테이블 고유키를 갖는 마크업 언어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서재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각 사용자의 전자서재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계정별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전자서재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회원정보, 상기 동기화 파일, 사용자가 구매 또는 집필한 전자책의 리스트, 친구서재 리스트, 및 방명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서재 제공 방법.
  8. 서버가 단말기에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제1 단말기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전자책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자책 파일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전자서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전자책 데이터베이스를 각각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의 전자서재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기화 파일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된 제1 사용자의 동기화 파일을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파일은 단말기에 렌더링되는 리소스 파일 및 상기 리소스 파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서재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제2 사용자의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의 전자책 파일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자책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전자책 파일을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자책 파일의 대여 또는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여 또는 구매 요청을 승인하고, 제2 사용자의 전자서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의 전자서재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기화 파일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서재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말기의 각각은 휴대용 단말기 또는 네트워크망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컴퓨터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서재 제공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파일은 전자서재의 책 분류 바의 리소스 파일, 서재 배경의 리소스 파일, 및 서재 선반의 리소스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렌더링 정보는, 상기 전자서재 내에서의 리소스의 위치 레이아웃 배치 정보, 전자서재 상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는 리소스 위치정보, 전자책에 대한 서평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DB) 테이블 고유키, 및 본인 집필 전자책의 DB 테이블 고유키를 갖는 마크업 언어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서재 제공 방법.
  12. 전자서재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전자서재의 정보를 저장한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101);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02);
    전자서재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동기화 파일을 파싱하여 전자서재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렌더링 모듈(103); 및
    전자책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전자책 뷰어(104);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파일은 단말기에 렌더링되는 리소스 파일 및 상기 리소스 파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서재의 리소스의 리소스 파일을 제작하는 서재테마 제작 모듈(105); 및
    전자책을 집필하는 전자책 저작 모듈(10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파일은 전자서재의 책 분류 바의 리소스 파일, 서재 배경의 리소스 파일, 및 서재 선반의 리소스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렌더링 정보는, 상기 전자서재 내에서의 리소스의 위치 레이아웃 배치 정보, 전자서재 상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는 리소스 위치정보, 전자책에 대한 서평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DB) 테이블 고유키, 및 본인 집필 전자책의 DB 테이블 고유키를 갖는 마크업 언어 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단말기에 전자서재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네트워크망을 통해 단말기가 상기 전자서재의 정보를 저장한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기능;
    단말기에 렌더링되는 리소스 파일 및 상기 리소스 파일을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정보를 가지는 동기화 파일을 파싱하여 전자서재를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렌더링 기능; 및
    전자책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전자책 뷰어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110053476A 2011-06-02 2011-06-02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91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476A KR101291398B1 (ko) 2011-06-02 2011-06-02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476A KR101291398B1 (ko) 2011-06-02 2011-06-02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530A true KR20120134530A (ko) 2012-12-12
KR101291398B1 KR101291398B1 (ko) 2013-07-30

Family

ID=4790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476A KR101291398B1 (ko) 2011-06-02 2011-06-02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3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989B1 (ko) * 2013-07-04 2014-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수도관 누수 탐지장치 및 누수탐지를 위한 누수신호 처리방법
WO2017048300A1 (en) * 2015-09-18 2017-03-23 Rifl Media Llc Social network for curating and contextual discussion of hosted multi-media content
KR102115348B1 (ko) * 2019-07-12 2020-05-26 주식회사 팬터스 책 기반의 개인화 소셜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2610A1 (en) * 2003-11-06 2005-05-12 Wei Jie Visual electronic library
US8244051B2 (en) * 2006-03-15 2012-08-14 Microsoft Corporation Efficient encoding of alternative graphic sets
KR20090010527A (ko) * 2007-07-23 2009-0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전자 도서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시스템, 서버 및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989B1 (ko) * 2013-07-04 2014-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수도관 누수 탐지장치 및 누수탐지를 위한 누수신호 처리방법
WO2017048300A1 (en) * 2015-09-18 2017-03-23 Rifl Media Llc Social network for curating and contextual discussion of hosted multi-media content
KR102115348B1 (ko) * 2019-07-12 2020-05-26 주식회사 팬터스 책 기반의 개인화 소셜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1010691A1 (ko) * 2019-07-12 2021-01-21 주식회사 팬터스 책 기반의 개인화 소셜 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398B1 (ko) 201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6851B2 (en) Electronic publishing mechanisms
US10979483B2 (en) Applications on top of a web site
US9621622B2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network system
JP2016501411A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自動配信
CN103907127A (zh) 用于为相片和帖子中的所有物加标签的系统和方法
CN105683887B (zh) 与用户生成内容相关的辅助内容建议
US20160103568A1 (en) E-menu service method using web editor and system therefor
US114814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and delivery of shoppable content data
Vossen et al. The web at graduation and beyond: business impacts and developments
KR101291398B1 (ko) 전자서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51966B1 (ko) 오브젝트를 이용한 템플릿 생성 및 프로모션 콘텐츠 제작 방법과 그 시스템
US10585547B2 (en) Customizing the visual and functional experience of an application
KR101584276B1 (ko) 어플리케이션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20425B1 (ko) 전자 명함 및 소셜 네트워크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97290B1 (ko) 웹 브라우저에서 구현되는 웹사이트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6732A (ko) 지오해시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서버 및 방법
Gaylord et al. Professional Asp. net 4.5 in C# and VB
KR101516210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콘텐츠 생성 및 상품 정보 공유 방법 및 시스템
US10452683B2 (en) Selectively synchronizing data on computing devices based on selective sync templates
US20150019641A1 (en) Automatically Creating Companionship Based on Selectable Objects in a Social Environment
JP2019122047A (ja) パーソナライズド動画を提供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そ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含まれる情報処理装置、その情報処理装置におい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そ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含まれるユーザ装置において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
Schnell The Mobile Medical Library–Is There an App for That?
KR102336676B1 (ko) 웹 페이지 작성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40029117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 dynamically manageable qr driven information platform
US20140279260A1 (en) Business promotion system and method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