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491A -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491A
KR20120134491A KR1020110053414A KR20110053414A KR20120134491A KR 20120134491 A KR20120134491 A KR 20120134491A KR 1020110053414 A KR1020110053414 A KR 1020110053414A KR 20110053414 A KR20110053414 A KR 20110053414A KR 20120134491 A KR20120134491 A KR 20120134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tion detection
swipe
camera module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건준
박승용
서종철
주윤선
주효민
조유숙
조성미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10053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4491A/ko
Publication of KR20120134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장치; 및 상기 움직임 감지장치로부터 스와이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와이프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 손가락의 스와이프 변위를 검출하고, 검출된 스와이프 변위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PHOTOGRAPHING MODE USING MOVEMENT SENSING DEVICE AND APPARATUS THEREFOF}
본 발명은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에서 사용자가 움직임 감지장치를 조작하여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들은 점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더불어 디자인의 수려함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강조되는 것은 키보드 혹은 키패드로 대표되던 입력장치에서 표시부과 같은 입력장치로의 변화이다.
특히,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폰 등의 휴대 단말의 경우, 직관적인 사용자 입력, 사용자 편의성, 및 사용자의 심미감을 위해 부가적인 하드웨어적인 키보드, 키패드, 버튼 등을 최소화하고 표시부과 같은 사용자 입력장치를 메인 입력장치로 많이 채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터치 스크린은 스크린에 센서를 내장하고, 손이나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을 사용하여 터치 스크린 상의 특정 오브젝트를 '터치'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는 방식에 의하여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지는 입력장치이다.
한편, 휴대용 전자 기기의 다양한 기능들이 하나의 휴대 단말에 집적화되고, 스마트폰과 같이 인터넷과 통신 정보검색 등의 컴퓨터 기능을 지원하는 지능형의 고성능 휴대 단말이 급속도로 보편화 됨에 따라 휴대 단말의 작동 모드에 따라 다양한 특정 컨텐츠 또는 프로그램 등과 관련된 세부적인 데이터들을 보다 쉽고 빠르게 이용, 확인, 접근, 및 제어할 수 있는 입력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입력장치를 메인 입력장치로 채용하는 휴대 단말의 경우, 다양한 작동 모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입력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지만, 다양한 컨텐츠 또는 파일 등과 관련된 세부적인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보다 쉽고 빠르게 이용, 확인, 접근,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이러한 터치 스크린과 포인팅 디바이스가 하나의 단말기에 장착되는 추세에 있다.
여기서, 포인팅 디바이스는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의 접촉면 상에서 손가락을 움직이면 손가락 움직임 방향에 따라 커서(또는 포인터)가 화면 상에서 이동한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적외선, 레이저, 전기장 센서, 캐피시터, 또는 서미스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에서 사용자가 움직임 감지장치를 조작하여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장치; 및 상기 움직임 감지장치로부터 스와이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와이프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 손가락의 스와이프 변위를 검출하고, 검출된 스와이프 변위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에서 사용자가 움직임 감지장치를 조작하여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모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2에서 참조부호 11은 휴대 단말의 하우징, 참조부호 12는 표시부의 화면, 참조부호 100은 포인팅 디바이스(움직임 감지장치)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은 움직임 감지장치(100), 표시부(110), 카메라 모듈(120), 메모리(130), 통신부(140), 및 제어부(160)를 구비한다.
표시부(110)는 휴대 단말(10)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상태, 동작결과 및 다수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부(160)의 제어를 받는다. 그리고, 표시부(110)는 카메라 모듈(120)을 통해 촬영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10)는 터치 패널(도시생략)과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12) 상에서의 사용자 터치 동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표시부(110)는 화면(12) 상의 특정 위치에 사용자 손가락이 접촉되면, 접촉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좌표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LCD, OLED, LE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는 화면(12) 상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위치, 터치 강도, 터치 방향 등에 따른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전류 감지 방식, 압력 감지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카메라 모듈(12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촬영 모드로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을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기능요소들 사이에 연계되고,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장치(100) 조작에 대응하여 표시부(110) 를 통해 표시되는 촬영 모드(예컨대, White Balance)를 변경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카메라 모듈(1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저장된다.
통신부(140)는 휴대 단말(10)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블록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움직임 감지장치(100)로부터 스와이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입력 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실행되도록 한다. 여기서, 움직임감지신호는 사용자 손가락의 스와이프 움직임(Swipe gesture)에 따른 스와이프감지신호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60)는, 카메라 모듈(12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4 참조), 움직임 감지장치(100)로부터 움직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카메라 모듈(120)의 촬영 모드(예컨대, White Balance)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현재 White Balance가 'Shade'인 상태에서(도 5 참조), 움직임 감지장치(100)로부터 움직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White Balance를 'Cloudy'로 변경한다(도 6 참조). White Balance는 움직임 감지장치(100)로부터 움직임감지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도 3에 도시한 모드 들 중 어느 하나로 White Balance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때, White Balance의 변경은 도 3에 기재된 번호 순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무작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UTO > DAYLIGHT > CLOUDY > SHADE > TUNGSTEN > FLUORESCENT > FLASH > CUSTOM 순으로 촬영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감지장치(100)는 피사체(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움직임감지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이러한 움직임 감지장치(100)는 터치패드, 표시부, 트랙볼, 스크롤 휠, 또는 적외선(IR), 레이저(laser), 전기장(electric field), 캐피시터(capacitaor), 또는 서미스터(thermistor)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바일 포인팅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피사체는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로 이해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굳이 신체가 아니라도 움직임 감지장치(100)가 움직임을 파악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다른 대체 가능한 모든 물체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움직임 감지장치(100)는 표시부(110)의 화면 상의 커서(Cursor) 또는 포인터(Pointer)를 피사체의 움직임을 통해 생성 및 이동시켜 PC(Personal Computer)에서와 동일한 포인팅 기술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움직임 감지장치(100) 위에 손가락(피사체)을 올린 후 손가락을 움직이면 움직인 방향에 따라 화면 상의 커서(또는 포인터)가 이동한다. 이때, 움직임 감지장치(100)는 피사체의 물리적 접촉을 감지하거나 또는 피사체에 반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움직임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휴대 단말 100: 움직임 감지장치
110: 표시부 130: 메모리
140: 통신부 120: 카메라 모듈
160: 제어부

Claims (1)

  1.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장치; 및
    상기 움직임 감지장치로부터 스와이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와이프감지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 손가락의 스와이프 변위를 검출하고, 검출된 스와이프 변위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드 제어 장치.
KR1020110053414A 2011-06-02 2011-06-02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134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414A KR20120134491A (ko) 2011-06-02 2011-06-02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414A KR20120134491A (ko) 2011-06-02 2011-06-02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491A true KR20120134491A (ko) 2012-12-12

Family

ID=4790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414A KR20120134491A (ko) 2011-06-02 2011-06-02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44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0767B1 (ko) 제스처를 감지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US10248217B2 (en) Motion detection system
US20140282278A1 (en) Depth-based user interface gesture control
KR101999119B1 (ko) 펜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입력 방법 및 그 단말
US9727147B2 (en) Unlock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20119440A (ko) 전자기기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
EP39335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bending state of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20262369A1 (en) Hand-mountable device for providing user input
US20200034032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140130798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디스플레이 및 터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210045B1 (ko) 전자장치의 입력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363661B1 (ko) 엣지 슬라이딩 ui가 적용된 스마트 리모트 컨트롤러
JP2013114645A (ja) 小型情報機器
TW201516806A (zh) 三維觸控裝置
KR20120134491A (ko)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촬영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135126A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165388B1 (ko) 이종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
KR20120134469A (ko)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휴대 단말의 포토 앨범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장치
CA2773900A1 (en) Hand-mountable device for providing user input
KR20120134374A (ko)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맵의 3d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134399A (ko)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일정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134485A (ko)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인덱스 리스트 탐색 방법 및 장치
KR101888902B1 (ko)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휴대 단말의 포토 앨범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204495B1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장치
KR20120134398A (ko)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메뉴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