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218A -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218A
KR20120134218A KR1020110052996A KR20110052996A KR20120134218A KR 20120134218 A KR20120134218 A KR 20120134218A KR 1020110052996 A KR1020110052996 A KR 1020110052996A KR 20110052996 A KR20110052996 A KR 20110052996A KR 20120134218 A KR20120134218 A KR 20120134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uration
input image
value
color space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5621B1 (ko
Inventor
김연진
곽영신
박세혁
이수연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2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621B1/ko
Priority to US13/347,887 priority patent/US9083919B2/en
Publication of KR2012013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02Corrections within particular colour systems
    • H04N1/6005Corrections within particular colour systems with luminance or chrominance signals, e.g. LC1C2, HSL or YU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7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matr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3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the chrominance signal, e.g. by means of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입력 영상의 밝기 성분 및 채도 성분 중,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의 채도값에 대해 채도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의 채도 값 및 밝기 성분의 밝기 값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 정보와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된 채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 값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hroma of input image}
본 발명은 영상 출력 장치,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프린터, 디지털 카메라 등에 적용하기 위한 채도(chroma) 향상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영상 출력 장치에서 색재현력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입력 영상의 각 픽셀별 색상(hue), 밝기(brightness), 채도(chroma)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채도를 조절하는 경우 밝기나 색상 성분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종래에는 밝기와 채도 신호로 이루어진 색공간으로 YCbCr 등의 장치 종속적 색공간(device dependent color space)을 주로 이용하는 경우, YCbCr값들과 인지되는 색상, 밝기, 채도 값들은 서로 독립적이지 않아, CbCr 신호를 이용한 채도 조절 방식은 원하는 색재현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YCbCr 색공간에서 CbCr값들을 조절하여 채도를 변화시킬 경우 영상의 밝기 또한 영향을 받아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영상의 디테일과 텍스쳐 정보의 손실을 야기하여 영상의 선명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CIELAB이나 CIECAM02와 같은 장치 독립적 색공간(device independent color space)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장치 독립적 색공간에서의 채도 조절 방식은 계산 과정이 복잡해 실시간 계산이 요구되는 영상 출력 기기, 예를 들어 디지털 디스플레이, 프린터, 디지털 카메라 등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입력 영상의 채도를 장치 종속적 색공간 상에서 변환 시키기 위한 채도 변환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방법은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 성분 및 채도 성분 중,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의 채도값에 대해 채도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의 채도 값 및 밝기 성분의 밝기 값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 정보와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된 채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 값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방법에서는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되는 색 공간은 장치 종속적 색공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방법에서는 상기 장치 종속적 색공간은 YCbCr 색공간, HSV 색공간, 및 HSI 색공간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방법에서는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되는 색공간이 YCbCr인 경우, 밝기 성분은 Y, 채도 성분은 Cb, Cr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방법에서는 상기 채도 변환 및 상기 밝기 보상이 수행되는 색공간은 장치 종속적 색공간이며, 장치 독립적 색공간에서의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 값 및 밝기 성분 값은 상기 채도 변환 및 상기 밝기 보상이 수행된 채도 성분 값 및 밝기 성분 값을 장치 독립적 색공간으로 변환한 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방법에서는 상기 채도 변환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에 의해 수행되거나,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되는 영상 장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방법에서는 상기 채도 변환 및 상기 밝기 보상은 입력 영상의 픽셀 단위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방법에서는 상기 입력 영상이 R, G, B 영상인 경우, 상기 R, G, B 영상에 대해 색공간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밝기 성분과 채도 성분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방법에서는 상기 입력 영상 정보는 상기 입력 영상의 색상 성분의 색상값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장치에서는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 성분 및 채도 성분 중,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의 채도 값에 대해 채도 변환을 수행하는 채도 변환부와;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이 채도 값 및 밝기 성분의 밝기 값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 정보와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된 채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 값을 보상하는 밝기 보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 영상의 밝기 성분 및 채도 성분 중,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의 채도 값에 대해 채도 변환을 수행하는 채도 변환부와;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이 채도 값 및 밝기 성분의 밝기 값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 정보와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된 채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 값을 보상하는 밝기 보상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입력 영상의 밝기 성분 및 채도 성분 중,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의 채도값에 대해 채도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의 채도 값 및 밝기 성분의 밝기 값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 정보와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된 채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 값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도 향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변환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변환부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을 위한 채도 변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변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변환 방법을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변환 방법을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향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영상'은 정지 영상뿐만 아니라 비디오와 같은 동영상을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변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채도 변환 장치는 채도 변환부(110) 및 밝기 보상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YCbCr 색공간에서의 영상 신호가 채도 변환 장치로 입력되는 경우 및 영상 출력 장비는 디스플레이 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YCbCr 뿐 아니라 임의의 밝기 정보와 채도 정보로 나누어지는 장치 종속적 색공간, 예를 들어 HSV(Hue, Saturation, Value), HSI(Hue, Saturation, Intensity), HSL(Hue, Saturation, Lightness)와 같은 색공간을 이용할 수 있고, 영상 출력 장치 또한 프린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 다른 종류의 영상 출력 장치일 수 있다.
채도 변환부(110)에서는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 값, 즉 C1_in, C2_in 신호의 채도를 증가 혹은 감소시켜,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의 값, 즉 채도값을 변환한다. YCbCr 색공간의 경우, C1_in, C2_in은 입력 영상의 Cb, Cr 값 즉 Cb_in, Cr_in 값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채도 변환부(110)에서 변환된 채도 성분 값이 밝기 보상부(120)로 출력된다. 하지만,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변환된 채도 성분값이 밝기 보상부(120)로 출력됨과 동시에 채도 변환 장치(100)로부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된다 (도시되지 않음).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도 변환부(1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채도 변환부(110)는 채도값 계산부(210), 채도 변환값 계산부(220), 및 좌표 변환부(230)를 포함한다.
채도값 계산부(210)에서는 입력 영상의 하나의 픽셀의 Cb, Cr 값으로부터 채도값, 즉 (Cb2 + Cb2)1/2을 계산한다. 이때, 채도값은 (Cb + Cr)/2의 형태로 계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채도값 계산부(210)에서 색상값 Cr/Cb 값을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며, 채도값 계산부(210)에서 계산된 색상값은 밝기 보상부(120)에서 밝기 보상을 수행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색상값은 ATAN(Cb/Cr)의 형태로도 계산될 수 있다.
채도 변환값 계산부(220)에서는 채도값 계산부(210)에서 계산된 채도값을 이용하여 채도값 변환을 수행한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값 변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채도 변환 예, 즉 S 모양 커브(301), 역 S 모양 커브(302), 및 직선(303)은 아래의 수학식 1 내지 3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커브 모양은 아래 수학식 1 및 2의 K1, K2값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색상(hue) 영역별로 서로 다른 K1, K2값들을 적용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I, 즉 Input Chroma는 입력 채도 값이고, 출력 채도 값은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결정된다.
수학식 3
출력 채도값 = F + G - I
도 3의 채도 변환 실시예에 나타난 S 모양 커브(301)는 색이 약한 경우, 예를 들어 연한 빨간색인 경우 입력 채도값 (C_in)에 비해 출력 채도값(C_out)이 감소한다. 한편, 색이 강한 경우, 예를 들어 진한 빨간색인 경우 입력 채도값 (C_in)에 비해 출력 채도값(C_out)이 증가한다.
반대로, 역 S 모양 커브(302)는 색이 약한 경우, 예를 들어 연한 빨간색인 경우 입력 채도값 (C_in)에 비해 출력 채도값(C_out)이 증가한다. 한편, 색이 강한 경우, 예를 들어 진한 빨간색인 경우 입력 채도값 (C_in)에 비해 출력 채도값(C_out)이 감소한다.
한편, 직선(303)에 따라 채도 변환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입력 채도값 (C_in)에 비례해서 출력 채도값(C_out)이 변환된다.
좌표 변환부(230)에서는 채도 변환값 계산부(220)에서 생성된 채도값을 CbCr 좌표로 변환하여 변환된 C1_out 및 C2_out, 즉 변환된 Cb, Cr 값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채도 변환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다른 방식 예를 들어 채도 변환이 수행되는 영상 장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행되거나,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밝기 보상부(120)에서는 채도 변환부(110)를 거치는 동안 발생하게 된 밝기 변화를 예측하여 이를 보상하기 위한 밝기의 변화 정도 △Y값을 계산하고 입력 Y_in에 계산된 △Y 값을 더하여 출력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서는 입력 영상 신호를 밝기 성분과 채도 성분으로 분리한 후, 채도 성분만을 변환하고 있지만, 밝기 성분과 채도 성분이 완전히 독립적으로 나누어 지는 색공간이 아닌 경우, 예를 들어 장치 종속적 색공간인 경우에는 채도 변환부(110)에서 채도 변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밝기도 함께 변화되기 때문에 이러한 밝기 보상이 필요하다.
이는, YCbCr과 같은 장치 종속적 색공간은 밝기와 색 성분 분리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색 성분만을 변화시키더라도 인지되는 밝기가 변화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밝기 보상부(120)에서는 채도 변환부(110)에서 수행된, 입력 영상의 채도의 변화율과 입력 영상의 밝기 정도를 고려하여 밝기 보상 정도를 결정하여, 입력 영상의 밝기 성분의 값, 즉 밝기 값을 보상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YCbCr 색공간에서의 채도 변환이 수행되는 경우, 밝기 보상 값은 아래의 수학식 4를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3
여기에서, △Y는 밝기 보상값이다. 또한, YCC_chroma는 YCbCr 색공간에서의
입력 영상의 Cb, Cr 값들인 Cb_in, Cb_in로 계산된 채도값, 즉 (Cb_in2+Cr_in2)1/2 를 의미한다. Chroma_weight는 입력 채도값 대 출력 채도값의 비율, 즉 (Cb_in2+Cr_in2)1/2/(Cb_out2+Cr_out2)1/2 을 의미한다.  Hue 값은 채도 변환부(110)에서 생성된 값을 이용하거나, 밝기 보상부(120)에서 입력 영상의 Cb, Cr 값으로부터 생성된 Hue 값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6개의 파라미터들, 즉 a1 내지 a6는 색상(hue)영역에 따라 달라지는 값들인데,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밝기 보상부(120)를 통해 최종 출력되는 밝기 값은 입력 영상의 각 픽셀 별 출력 Y값 Y_out으로 Y_in + △Y 값으로 결정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입력 영상의 색상, 채도, 밝기값과, 입력 채도값 대 출력 채도값에 기초해서 밝기 보상 값을 계산했지만, 입력 영상의 밝기값과 채도값의 변화율에 기초해서 밝기 보상 값을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장치 종속적 색공간, 예를 들어 YCbCr과 같은 밝기와 채도 성분으로 구성된 색공간을 이용하여 채도를 변환할 때 발생 가능한 영상의 밝기 변화에 의한 선명도 화질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YCbCr 색공간에서 수행되는 채도 향상을 위한 채도 변환 방식이 설명되었지만, 장치 종속적 색공간들 예를 들어 HSV, HSI, HSL 색공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영상의 색상, 밝기, 채도 성분을 장치 독립적 색공간에서 변환한 것과 동일한 색재현 효과를 장치 종속적 색공간에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채도 변환 장치에서 수행되는 채도 변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410에서는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 값, 즉 C1_in, C2_in 신호의 채도를 증가 혹은 감소시켜,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의 값, 즉 채도값을 변환한다. YCbCr 색공간에서 채도 변환이 수행되는 경우, C1_in, C2_in은 입력 영상의 Cb, Cr 값 즉 Cb_in, Cr_in 값을 의미한다.
단계 420에서는 채도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밝기 변화를 예측하여 이를 보상하기 위한 밝기의 변화 정도인 △값을 계산하고, 입력 Y-in에 계산된 △값을 더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입력 영상의 채도의 변화율과 입력 영상의 밝기 정도를 고려하여 밝기 보상 정도를 고려하여 입력 영상의 밝기 값을 보상한다. 선택적으로, 수학식 4에 따라 밝기의 변화 정도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YCbCr 색공간에서 수행되는 채도 향상을 위한 채도 변환 방식이 설명되었지만, 장치 종속적 색공간들 예를 들어 HSV, HSI, HSL 색공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430에서는 채도 변환된 채도 값과 밝기 보상된 밝기 값을 출력한다.
도 5(a)는 장치 종속적 색공간인 YCbCr 색공간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샘플링된 색들을 장치 독립적 색공간인 CIELAB 색공간, 즉 L*a*b* 색공간에 표시한 것으로 동일한 Y값을 갖더라도 CbCr값의 변화에 따라 밝기 값인 L*값은 크게 달라지는 것을 보여준다.
L*a*b* 색공간에서 L*는 밝기를 나타내며, a*는 빨간색(RED)에서 초록색(GREEN)까지의 색영역을 나타내고, b*는 노란색(YELLOW)에서 파란색(BLUE)까지의 색영역을 나타낸다. 도 5(a)에서 C*는 (a* 2+b* 2)1/2 값을 의미한다.
또한, 도 5(b)는 종래의 장치 종속적 색공간에서의 채도 변환 방식을 이용하여 A, B에 위치한 색의 채도를 증가시킬 경우 A’, B’ 위치로 변화한 경우를 보여준다. 이때, Y값의 변화가 없다 하더라도 결과로 나타나는 색 A’, B’의 밝기 값인 L*값이 원래의 L*값보다 모두 증가한 것을 보여준다. 특히, Y 값이 낮은 색의 밝기 증가 폭이, Y 값이 높은 색의 밝기 증가 폭보다 더 크며, 이에 따라 A, B 값의 밝기 차이가 A', B'의밝기 차이보다 더 큰 것을 보여준다. 즉, AB > A’B’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A, B 두 색의 밝기 콘트라스트가 채도 증가 후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5 (b)는 본원의 일시예에 따라, A, B 위치의 색의 채도를 증가할 경우 A’, B’이 아닌 A'', B'' 위치로 매핑되어, 종래의 장치 종속적 색공간에서의 채도 변화에 따른 밝기 변화 및 밝기 콘트라스트 저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변환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의 채도 변환 장치는 도 1의 채도 변환 장치에 포함된 채도 변환부(110) 및 밝기 보상부(120)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채도 변환부(610) 및 밝기 보상부(620)와 파라미터(parameter) 저장부(6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단을 위해 채도 변환부(610) 및 밝기 보상부(62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파라미터 저장부(630)에서는 채도 변환부(610)에서 채도 변환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 및 밝기 보상부(620)에서 밝기 보상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저장한다.
채도 변환부(610) 및 밝기 보상부(620)는 파라미터 저장부(630)에 저장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채도 변환 및 밝기 보상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변환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의 채도 변환 장치는 도 1의 채도 변환 장치에 포함된 채도 변환부(110) 및 밝기 보상부(120)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채도 변환부(720) 및 밝기 보상부(730)와, 색공간 변환부(710)를 포함한다.
색공간 변환부(710)은 채도 변환 장치로 입력되는 RGB 색공간을 YCbCr 색공간으로 변환한다. RGB 색공간의 색 신호는 아래 수학식 5를 통해 YCbCr 색공간의 색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수학식 5
Y = (0.257*R) + (0.504*G) + (0.098*B) + 16
Cb = -(0.148*R) - (0.291*G) + (0.439*B) + 128
Cr = (0.439*R) - (0.368*G) - (0.071*B) + 128
본원의 실시예에서는 YCbCr 색공간에서의 채도 향상 방법을 설명하고 있지만, HSV, HSI, HSV 색공간과 같은 색 공간에서도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향상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색공간 변환부(710)는 RGB 색공간을 HSI 색공간 또는 HSV 색공간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채도 변환 장치에서 수행되는 채도 변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810에서는 채도 변환 장치로 입력되는 RGB 색공간을 YCbCr 색공간으로 변환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서는 YCbCr 색공간에서의 채도 향상 방법을 설명하고 있지만, HSV, HSI, HSV 색공간과 같은 색 공간에서도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향상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단계 810에서는 RGB 색공간을 HSI 색공간 또는 HSV 색공간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계 820에서는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 값, 즉 C1_in, C2_in 신호의 채도를 증가 혹은 감소시켜,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의 값, 즉 채도값을 변환한다. YCbCr 색공간에서 채도 변환이 수행되는 경우, C1_in, C2_in은 입력 영상의 Cb, Cr 값 즉 Cb_in, Cr_in 값을 의미한다.
단계 930에서는 채도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밝기 변화를 예측하여 이를 보상하기 위한 밝기의 변화 정도 △값을 계산하고, 입력 Y-in에 계산된 △값을 더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입력 영상의 채도의 변화율과 입력 영상의 밝기 정도를 고려하여 밝기 보상 정도를 고려하여 입력 영상의 밝기 값을 보상한다. 선택적으로, 수학식 4에 따라 밝기의 변화 정도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YCbCr 색공간에서 수행되는 채도 향상을 위한 채도 변환 방식이 설명되었지만, 장치 종속적 색공간들 예를 들어 HSV, HSI, HSL 색공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840에서는 채도 변환된 채도 값과 밝기 보상된 밝기 값을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20)

  1.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 성분 및 채도 성분 중,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의 채도값에 대해 채도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의 채도 값 및 밝기 성분의 밝기 값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 정보와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된 채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 값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되는 색 공간은 장치 종속적 색공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종속적 색공간은 YCbCr 색공간, HSV 색공간, 및 HSI 색공간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되는 색공간이 YCbCr인 경우, 밝기 성분은 Y, 채도 성분은 Cb, C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변환 및 상기 밝기 보상이 수행되는 색공간은 장치 종속적 색공간이며,
    장치 독립적 색공간에서의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 값 및 밝기 성분 값은 상기 채도 변환 및 상기 밝기 보상이 수행된 채도 성분 값 및 밝기 성분 값을 장치 독립적 색공간으로 변환한 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변환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에 의해 수행되거나,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되는 영상 장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변환 및 상기 밝기 보상은 입력 영상의 픽셀 단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이 R, G, B 영상인 경우, 상기 R, G, B 영상에 대해 색공간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밝기 성분과 채도 성분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정보는 상기 입력 영상의 색상 성분의 색상값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방법.
  10.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 성분 및 채도 성분 중,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의 채도 값에 대해 채도 변환을 수행하는 채도 변환부와;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이 채도 값 및 밝기 성분의 밝기 값을 포함하는 입력 영상 정보와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된 채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밝기 값을 보상하는 밝기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되는 색 공간은 장치 종속적 색공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종속적 색공간은 YCbCr 색공간, HSV 색공간, 및 HSI 색공간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되는 색공간이 YCbCr인 경우, 밝기 성분은 Y, 채도 성분은 Cb 및 C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변환 및 상기 밝기 보상이 수행되는 색공간은 장치 종속적 색공간이며,
    장치 독립적 색공간에서의 상기 입력 영상의 채도 성분 값 및 밝기 성분 값은 상기 채도 변환 및 상기 밝기 보상이 수행된 채도 값 및 밝기 값을 장치 독립적 색공간으로 변환한 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변환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에 의해 수행되거나, 상기 채도 변환이 수행되는 영상 장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변환 및 상기 밝기 보상은 입력 영상의 픽셀 단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이 R, G, B 영상인 경우, 상기 R, G, B 영상에 대해 색공간 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밝기 성분과 채도 성분으로 분리하는 제1 색공간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정보는 상기 입력 영상의 색상 성분의 색상값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향상 장치.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채도 향상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채도 향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52996A 2011-06-01 2011-06-01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장치 및 방법 KR101805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996A KR101805621B1 (ko) 2011-06-01 2011-06-01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장치 및 방법
US13/347,887 US9083919B2 (en) 2011-06-01 2012-01-11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hroma of input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996A KR101805621B1 (ko) 2011-06-01 2011-06-01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218A true KR20120134218A (ko) 2012-12-12
KR101805621B1 KR101805621B1 (ko) 2017-12-08

Family

ID=4726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996A KR101805621B1 (ko) 2011-06-01 2011-06-01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83919B2 (ko)
KR (1) KR101805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092A (ko) 2019-12-16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부 동작 방법
WO2022066931A1 (en) 2020-09-24 2022-03-31 Granger Edward M Image transformat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7398B2 (ja) 2001-09-12 2009-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処理方法、画像データ処理装置、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4189328B2 (ja) 2004-01-16 2008-1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0691466B1 (ko) 2004-09-20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에서 색상 및 휘도를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CN100437744C (zh) * 2005-12-21 2008-11-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终端色彩调整方法和系统
KR20070066030A (ko) 2005-12-21 200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색 농도 조절 장치 및 방법
TW200830271A (en) 2007-01-04 2008-07-16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and apparatus of color adjustment
US20080266314A1 (en) 2007-04-26 2008-10-30 Mark Melvin Butterworth Nonlinearly extending a color gamut of an image
KR101321396B1 (ko) 2007-07-20 2013-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색 향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의 색 향상 방법.
JP4906627B2 (ja) 2007-07-31 2012-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9239418A (ja) 2008-03-26 2009-10-15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83919B2 (en) 2015-07-14
US20120308133A1 (en) 2012-12-06
KR101805621B1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312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4979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JP4313032B2 (ja) 映像の輝度制御装置及び方法
KR100736939B1 (ko) 지능형 색역 관리 방법
JP446442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06032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30322747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correcting color of border region between object and background in image
US79696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gmenting an output device color gamut and mapping an input device color gamut to the segmented output device color gamut
US8477366B2 (en) Apparatus, method and medium outputting wide gamut space image
JP439349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015201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及び記録媒体
JP2012165204A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撮像装置及び撮像処理方法
US20160379595A1 (en) Color gamut mapping based on the mapping of cusp colors defined in a linear device-based color space
KR20140122605A (ko) 입력 영상의 밝기 조절 장치 및 방법
JP2014033273A (ja) 色域変換装置、デジタルカメラ、色域変換プログラムおよび色域変換方法
KR101410703B1 (ko) 칼라 신호 처리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US20100328343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signal processing program
KR101805621B1 (ko)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장치 및 방법
WO2023241339A1 (zh) 色偏校正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US78809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color coefficients between color spaces
JP201211981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030031161A (ko) 칼라 강조 방법
KR101009367B1 (ko) 영상의 색상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300051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JP417665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