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442A - Dental unit chair - Google Patents

Dental unit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442A
KR20120133442A KR1020110052075A KR20110052075A KR20120133442A KR 20120133442 A KR20120133442 A KR 20120133442A KR 1020110052075 A KR1020110052075 A KR 1020110052075A KR 20110052075 A KR20110052075 A KR 20110052075A KR 20120133442 A KR20120133442 A KR 20120133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hair
unit chair
dental uni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0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염현철
Original Assignee
염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현철 filed Critical 염현철
Priority to KR1020110052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3442A/en
Publication of KR2012013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4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8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combined with anaesthetis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3/00Means for making patients feel at ease during dental treatment, e.g. dental instruments in the form of to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dental unit chair is provided to make possible correct and precise diagnosis and treatment and to improve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CONSTITUTION: A dental unit chair comprises a chair unit(300) in which a patient sits, a unit chair main body(110) for accommodating a computer, a display(180)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by an image, a bracket for diagnosis for accommodating a keyboard connected to the computer by wire or wirelessly, and a frame(120) which connects the bracket and display to the main body. The bracket for diagnosis comprises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sliding of the keyboard support unit.

Description

치과용 유닛체어{DENTAL UNIT CHAIR}Dental Unit Chair {DENTAL UNIT CHAIR}

본 발명은 치과용 유닛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를 내부에 수용하고, 진료용 브라켓이 입력장치를 내부에 수용하며, 출력장치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과 처치가 가능한 치과용 유닛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unit chair, and more specifically, to accommodate a computer therein, the treatment bracket accommodates the input device therein, and to minimize the space of the output device for rapid and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Relates to a dental unit chair.

또한, 본 발명은 체어부에 안마기구와 스피커를 설치함으로써 환자가 심리적으로 안정하여 처치를 받을 수 있는 치과용 유닛체어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unit chair in which the patient is psychologically stable and can be treated by providing a massage device and a speaker in the chair.

일반적으로 치과용 유닛체어는 치과 진료행위에 필요한 장비를 종합적으로 갖추어 각종 치과 진단 및 처치에 사용되는 의료기구로서, 환자가 체어에 눕게 되면 의사가 환자의 입 속을 용이하게 볼 수 있는 상태에서 진료를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In general, a dental unit chair is a medical device used for diagnosing and treating various dental devices by comprehensively equipping equipment for dental practice. When a patient lies on a chair, the doctor can easily see the patient's mouth. It is structured to be possible.

이러한 장치에는 진료용 브라켓, 타구대, 조명기구 등이 설치되어 의사가 진료를 원활히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특히, 진료용 브라켓의 경우 여러 가지의 장비를 올려두거나 수납하기 위한 일종의 선반의 역할을 하게 된다. Such a device is provided with a treatment bracket, a batting ball, a lighting fixture, etc., which helps the doctor to facilitate the treatme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edical treatment brackets to act as a kind of shelf for placing or storing a variety of equipment.

최근에는 환자의 상태와 정보들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모니터가 치과용 유닛체어에 배치되는데, 별도로 마련되는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환자나 의사가 볼 수 있도록 유닛체어의 프레임에 결합된다. 따라서, 각각의 유닛체어에는 별도의 모니터가 제공되어 각각 다른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Recently, a monitor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and information of the patient is disposed in the dental unit chair, which is coupled to the frame of the unit chair so that the patient or the doctor can see the data provided from the separately provided mainframe. Therefore, each unit chair is provided with a separate monitor so that different information can be monitored.

그런데, 정보의 입출력 등을 제어하기 위해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해야 하는데, 상기의 진료용 브라켓은 각종 장비와 도구를 거치하기 때문에 공간의 한계를 가진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must be used to control input and output of information, and the above-described medical care bracket has a problem of space limitation because it passes through various equipment and tools.

또한, 유닛체어는 많은 장비들이 시스템화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데, 상기 모니터의 경우 많은 면적을 차지하여 시야나 거동을 방해할 우려가 있었다.In addition, the unit chair has a complicated structure because many devices are systemized and configured, the monitor occupies a large area, which may interfere with vision or behavior.

한편, 치과의 경우 환자들이 처치를 받는 두려움과 불안감을 많이 가지게 되는 문제가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진료실 내부의 인테리어를 바꾸거나 실내에 음악을 제공하는 등 현실적으로 많은 시도들이 있다. 최근에는 이렇게 진료의 용이성이나 효율성에서 나아가 환자의 안심감을 줄 수 있는 구조적인 필요성이 제기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dentistry, there is a problem that patients have a lot of fear and anxiety of being treated. To solve this problem, there are many attempts to realistically change the interior of the office or provide music to the room. In recent years,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al necessity that can provide a sense of security in addition to the ease and efficiency of treatment.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치과용 유닛체어 내부에 컴퓨터를 구비하고 진료용 브라켓에 수납할 수 있는 입력장치와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상출력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신속하면서 정확한 진료와 치료가 가능하고 정보 활용능력이 향상된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computer inside the dental unit chair and having an input device that can be stored in the treatment bracket and an image output device that can minimize the spa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ntal unit chair that can accurately treat and treat and improve information literacy.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편안하게 진료 및 처치를 받을 수 있도록 편의장치가 제공되는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ntal unit chair provided with a convenient device so that the patient can receive the treatment and treatment comfortab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는, 환자가 앉는 체어부, 내부에 컴퓨터를 수용하는 유닛체어 본체, 진료정보를 화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컴퓨터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키보드를 수용하는 진료용 브라켓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진료용 브라켓을 본체로부터 상하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한다.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atient sitting seat, the unit chair body for accommodating a computer therein, the display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information, wireless or wired to the computer It provides a dental unit chair including a medical bracket for receiving a keyboard connected to the frame, and a frame for connecting the display and the medical bracket to be rotated up, down, left and right from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는, 상기 진료용 브라켓은 상기 키보드를 지지하는 키보드 지지부 및 상기 키보드 지지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al bracket provides a dental unit chair including a keyboard support for supporting the keyboard and a guide rail for slidingly moving the keyboard suppo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는, 상기 키보드는 감압식 터치패드인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board provides a dental unit chair is a pressure-sensitive touchpa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는, 상기 키보드는 트랙볼 마우스를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board provides a dental unit chair comprising a trackball mou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는, 상기 체어부는 환자가 착좌하는 좌판,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및 환자의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기 컴퓨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r is composed of a seat plate on which the patient seats, a backres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patient and a headrest for supporting the neck of the patient, the headrest is wireless or the computer Provided is a dental unit chair including a speaker connected by wi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는, 상기 스피커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수용되는 진동스피커인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provides a dental unit chair which is a vibration speaker accommodated inside the headres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는,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롤기스플레이를 인출 또는 수납하는 롤프레임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is connected to the frame provides a dental unit chair including a roll frame for drawing or receiving the roll gas displa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는, 상기 체어부는 내부에 장착되며 전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안마기구를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ir unit provides a dental unit chair including a massage device mounted therein and oper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는, 상기 진료용 브라켓과 연결되고, 진료장비거치홈이 형성되는 거치대 그리고, 상기 진료용 브라켓 일측에 설치되는 자동마취장치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treatment bracket, the cradle is formed medical treatment groove is formed, and the dental unit chair further comprises an automatic anesthesia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eatment bracket.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는, 상기 자동마취장치가 손잡이부, 손잡이부 상부에 장착되며 개구된 일측으로 앰플이 내부에 삽입되는 앰플삽입체, 앰플삽입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니들부, 니들부를 관통하며 설치되고 일측은 앰플삽입체 타측으로 삽입되어 앰플을 뚫고 들어가며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는 니들을 포함하며, 상기 진료용 브라켓과 케이블 연결되고 상기 진료장비거치홈에 거치되는 주입기를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anesthesia device is mounted on the handle por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ampoule insert inserted into the ampoules into the open side, the needl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mpoule insert I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the needle portion and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ampoule insert penetrates the ampoule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needl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injector is connected to the medical bracket and mounted on the treatment equipment placement groove It provides a dental unit chai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는, 상기 앰플삽입체의 상기 니들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인접한 외주면에 형성되는 니들결합지시선 및 상기 니들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니들부결합지시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니들결합지시선과 상기 니들부결합지시선의 위치관계를 통해 상기 앰플삽입체와 상기 니들부의 결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needle coupling indicator lin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djacent to the portion of the ampoule insert is coupled to the needle portion and the needle portion coupling indicator lin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edle portion, Provided is a dental unit chair capable of confirming whether the ampoule insert and the needle portion are coupled through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le coupling leader and the needle portion coupling lead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는, 상기 앰플삽입체가 손잡이부에 삽입 결합시 손잡이부의 상단부의 위치의 상기 앰플삽입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앰플삽입체결합지시선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mpoule insert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ortion, the dental unit chair further comprises an ampoule insert coupling leader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mpoule insert at the position of the upper end of the handle portion To provid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는 유닛체어 본체 내부에 컴퓨터를 구비하고 서랍식으로 작업대 프레임에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입력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computer inside the unit chair body and having an input device that can be pulled out and stored in the workbench frame in the drawer type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space and improve the work efficiency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또한, 터치패드, 트랙볼 마우스나 핑거마우스와 같은 공간 활용력이 우수한 입력장치들을 사용함으로써 진료와 치료의 신속성과 정보처리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using input devices having excellent space utilization such as a touch pad, a trackball mouse, or a finger mouse,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spee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of medical treatment and treatment.

또한, 체어의 등받이와 헤드레스트부위에 음향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와 안마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진료와 치료의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of medical treatment and treatment is improved by providing a speaker and a massage device capable of sound output on the back of the chair and the headrest portion.

또한, 진료용 브라켓에 자동마취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치료의 효율과 마취의 신속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of treatment and the speed of anesthesia is improved by providing an automatic anesthesia device in the treatment bracke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입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니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니들제거기가 설치된 치과용 유닛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니들제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니들제거기의 덮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니들제거기와 니들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의 키보드가 배치된 진료용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어부의 등받이와 헤드레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의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unit chair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ra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an inj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needle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dental unit chair having a needle remover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needle rem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of the needle rem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needle remover and the needle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unit chair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al bracket on which a keyboard of a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ckrest and a headrest of a chair uni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holder of the dental unit chair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치과용 유닛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의 외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ra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입기의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니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n exploded view of the inj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needle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1)는 유닛체어본체(110), 체어부(300), 진료용 브라켓(200), 타구대(111), 조명기구(117), 디스플레이(180), 거치대(130) 및 자동마취장치(400)를 포함한다.Dental unit chai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nit chair body 110, the chair unit 300, the treatment bracket 200, the mallet 111, the lighting fixture 117, the display ( 180), the cradle 130 and the automatic anesthesia device 400.

체어부(300)는 환자가 앉거나 누워서 진료를 받는 의자이고, 이때 체어부(300)는 베이스부(315)에 의해 지면에 지지되고 있다.The chair 300 is a chair where the patient is treated by sitting or lying down, and the chair 300 is supported on the ground by the base 315.

유닛체어본체(110)는 다수개의 프레임(120)을 이용하여 각종 장치들과 연결되어, 각종 장치들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unit chair body 110 is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by using the plurality of frames 120 to fix various devices.

타구대(111)는 타구통을 구비하여 환자가 진료를 다 받은 후나 진료 중에 입에 고인 타액이나 이물질을 뱉을 수 있도록 유닛체어본체(110) 상에 설치된다.The ball batting 111 is provided on the unit chair body 110 to be provided with a spout barrel so that the patient can spit out saliva or foreign substances in the mouth during or after the treatment.

조명기구(117)는 유닛체어본체(110)와 프레임(120) 연결되어 진료시에 환자의 환부를 환하게 비추도록 되어 있다.The lighting fixture 117 is connected to the unit chair body 110 and the frame 120 is to illuminate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at the time of treatment.

디스플레이(180)는 역시 프레임(120)에 의해 유닛체어본체(110)에 고정 설치되며, 진료시에 의사와 환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The display 180 is also fixedly installed to the unit chair body 110 by the frame 120, and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to the doctor and the patient at the time of treatment.

진료용 브라켓(200)은 유닛체어본체(110)와 프레임(120) 연결되고, 상면에는 치과진료용 장치들을 조작하는 조작하는 조작패널(12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우스 등 진료에 필요한 다양한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다.The treatment bracket 200 is connected to the unit chair body 110 and the frame 120, the upper surfac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manipulation panel 121 for manipulating the devices for dental care, various necessary for medical treatment, such as a mouse You can put things on i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30)는 프레임(120)에 의해 상기 진료용 브라켓(200)과 연결 설치되고, 진료장비거치홈(35)을 형성한다.As shown in FIG. 2, the holder 130 is connected to the treatment bracket 200 by the frame 120 and forms the treatment equipment mounting groove 35.

따라서, 진료장비거치홈(35)에는 석션(suction), 핸드피스 등과 같은 치과진료용 장비(36)가 거치되며, 추후 주입기(410)가 거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dental care equipment groove 35 is equipped with dental care equipment 36 such as suction, handpiece, etc., and the injector 410 may be mounted later.

자동마취장치(400)는 치과 치료시에 사용되는 마취액과 같은 주사액을 환자에게 주입하는 기계로서, 상기 진료용 브라켓(200) 일측에 설치된다.Automatic anesthesia device 400 is a machine for injecting an injection solution, such as anesthesia solution used in the dental treatmen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eatment bracket 200.

따라서, 기존의 치과용 유닛체어에 환자의 환부에 대한 마취를 수행하는 자동마취장치(400)를 진료용 브라켓(200)에 일체로 장착하여, 의사가 진료시 보다 간편하게 환부에 대한 마취를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anesthesia device 400 for performing anesthesia on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in the existing dental unit chair is integrally mounted on the treatment bracket 200, so that the doctor can easily perform anesthesia on the affected part at the time of examination. Can be.

또한, 자동마취장치(400)는 그 자동마취장치(400)와 케이블(401) 연결되어 제어되는 주입기(41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anesthesia apparatus 400 includes an injector 410 connected and controlled by the automatic anesthesia apparatus 400 and a cable 40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마취장치(400)의 주입기(410)는 손잡이부(457), 앰플삽입체(453), 니들부(452), 니들(451)을 포함한다.The injector 410 of the automatic anesthesia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portion 457, an ampoule insert 453, a needle portion 452, and a needle 451.

손잡이부(457)는 주입기(410)의 하부 외형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앰플삽입체(45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홈이 형성된다.The handle portion 457 forms a lower outline of the injector 410, and an open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ampoule insert 453 may be inserted.

앰플삽입체(453)는 손잡이부(457) 상부에 장착되며, 개구홈에 삽입되는 일측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앰플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The ampoule insert 453 may be mounted on the handle 457, and an opening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ampoule insert 457 to insert the ampoule.

니들부(452)는 앰플삽입체(453)의 상단과 결합되고, 내부에 니들(451)을 포함하는 외체를 형성한다.The needle part 452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mpoule insert 453 and forms an outer body including the needle 451 therein.

니들(451)은 니들부(452) 상면을 관통하며 고정 설치되고, 그 일측은 앰플삽입체(453)의 타측으로 삽입되어 앰플삽입체(453)의 내부에 삽입된 앰플을 뚫고 들어가며, 그 반대 방향의 타측은 외부로 노출된다.The needle 451 is fixedly install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needle part 452, and one side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ampoule insert 453 to penetrate the 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insert 453, and vice versa. The other side of the dir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즉, 니들(451)은 앰플삽입체(453)에 삽입된 앰플을 뚫어 앰플내의 앰플액을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That is, the needle 451 penetrates the 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insert 453 to discharge the ampoule liquid in the ampoule to the outside.

또한, 케이블(401)은 주입기(410)의 하단부와 상기 진료용 브라켓(200)을 연결하고, 진료용 브라켓(200) 내부를 통해 자동마취장치(40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able 40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jector 410 and the treatment bracket 200,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to the automatic anesthesia apparatus 400 through the treatment bracket 200.

상기 케이블(401)은 바람직하게는 나선으로 감긴 형상으로 연장되어 길이 조절에 따라 탄성력으로 늘어짐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취 과정에서 케이블에 의해 작업 동선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cable 401 may be preferably extended in a spiral wound shape to prevent sagging due to elastic force according to length adjustment.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working copper wire is disturbed by the cable during the anesthesia process.

그리고, 이러한 주입기(410)는 거치대(130)에 형성된 진료장비거치홈(35)에 거치되는 다른 진료장비들과 마찬가지로, 진료장비거치홈(35)에 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jector 410 may be mounted on the treatment equipment mounting groove 35, like other treatment equipment mounted on the treatment equipment mounting groove 35 formed on the holder 130.

따라서, 진료용 브라켓(200)에 주입기(410)가 연결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거치대(130)에 주입기(410)를 거치할 수 있어 진료시 의사가 보다 편하게 주입기(410)를 다룰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injector 410 is connected to the treatment bracket 200 to be more stably supported, and the injector 410 can be mounted on the cradle 130 so that the doctor can handle the injector 410 more comfortably during the treatment.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1)에 있어서, 상기 앰플삽입체(453)는 니들삽입관(455) 및 니들걸림돌기(454)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부(452)는 니들걸림턱(460)을 포함한다.In the dental unit chai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poule insert 453 includes a needle insertion tube 455 and a needle catching protrusion 454, the needle portion 452 is A needle catching jaw 460 is included.

니들삽입관(455)은 앰플삽입체(453)의 상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니들삽입관(455)의 상단으로부터 삽입되는 니들(451)을 관 내부로 통과시켜 앰플삽입체(453)의 앰플에 도달시킨다.The needle insertion tube 455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ampoule insert 453 and passes through the needle 451 inser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needle insertion tube 455 into the tube to the ampoule of the ampoule insert 453. To reach.

니들걸림돌기(454)는 상기 니들삽입관(455)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서로 대향한 두개의 니들걸림돌기(454)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하나 이상이면 무방하다.Needle engaging projection 454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edle insertion tube 455, referring to Figure 3 is shown two needle engaging projections 454 facing each other, the number is more than one Do.

니들걸림턱(460)은 니들부(452) 하면에 형성되되, 니들부(452) 내부에 니들삽입관(455) 및 니들걸림돌기(45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462)를 형성한다.The needle catching jaw 46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eedle portion 452, and forms an insertion hole 462 so that the needle insertion tube 455 and the needle engaging protrusion 454 can be inserted into the needle portion 452. .

이러한 삽입공(462)은, 니들삽입관(455) 및 니들걸림돌기(454)가 삽입공(462)의 형상과 일치되는 경우에만 삽입되도록 니들삽입관(455) 및 니들걸림돌기(454)의 상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ertion hole 462 of the needle insertion tube 455 and the needle engaging projection 454 is inserted only when the needle insertion tube 455 and the needle engaging projection 454 match the shape of the insertion hole 462.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surface shape.

따라서, 니들부(452)가 앰플삽입체(453)에 결합되는 경우, 니들삽입관(455) 및 니들걸림돌기(454)가 니들걸림턱(460) 내부의 삽입공(462)으로 삽입되고, 손잡이부(457)의 회전에 의해 앰플삽입체(453), 니들삽입관(455)이 회전되면 니들걸림돌기(454)도 회전하게 되고, 니들걸림돌기(454) 하면은 니들걸림턱(460)의 상면과 접하여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needle part 452 is coupled to the ampoule insert 453, the needle insertion pipe 455 and the needle catching protrusion 454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62 inside the needle catching jaw 460. When the ampoule insert 453 and the needle insertion pipe 455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457, the needle catching protrusion 454 is also rotat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needle catching protrusion 454 is the needle catching jaw 460.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eparture to the outside is prevented.

따라서, 니들부(452)를 일정 각도만 회전시키면 착탈이 이루어지므로,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니들부(452)의 교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needle part 452 is rotated only by a predetermined angle, detachment is made, and thus the replacement of the needle part 452 used for single use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simply.

한편, 도 3에 나타난 지시선(471, 472)는 앰플삽입체에 표시된 결합 지시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앰플삽입체(453)에 니들걸림돌기(454)가 형성되고 니들부(452)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니들부(452)가 회전하면 니들걸림턱(460)에 지지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결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 요청된다. 즉, 상기 니들걸림돌기(454)가 니들걸림턱(460)에 제대로 지지되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의도하지 않게 니들부(45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eader lines 471 and 472 shown in FIG. 3 represent a coupling leader line displayed on the ampoule inser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edle engaging projection 454 is formed in the ampoule insert 453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needle portion 452 so that the needle portion 452 is supported by the needle engaging jaw 460 when the needle portion 452 rotates. It has a structure, and a configuration for confirming the coupling is requested. That is, the needle catching protrusion 454 should be visually confirmed whether it is properly supported by the needle catching jaw 460, thereby preventing the needle part 452 from being inadvertently detached.

따라서, 앰플삽입체(453) 및 니들부(452)는 결합 지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앰플삽입체(453)의 원기둥 형상의 몸체의 외주면 상에 니들 걸림돌기(454)가 형성된 부위에는 니들 결합 지시선(471)이 형성된다. 또한, 니들부(452)의 상기 니들 걸림돌기(454)가 삽입되는 삽입공(462)의 부위에는 마찬가지로 지시선이 형성된다. 이 경우 결합을 위해 최초 삽입하는 경우 상기 지시선들의 위치를 일치시키면 용이하게 삽입되고, 회전에 따라 축방향으로 결합이 지지되는 경우에는 두 지시선 사이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어 결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mpoule insert 453 and the needle portion 452 include a coupling indicating portion. The needle coupling leader 471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needle engaging protrusion 454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of the ampoule insert 453. In addition, a leader line is similarly formed at a portion of the insertion hole 462 into which the needle engaging protrusion 454 of the needle part 452 is inserted. In this case, when the first insertion for the coupling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leader line is easily inserted, if the coupling is supported in the axial direction by rotation, the position between the two leader line is shifted to visually confirm the coupling .

상기 니들부(452)에 형성되는 지시선은 이하 설명할 돌출편(440)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출편(440)은 삽입공(462)의 니들 걸림돌기(454)가 삽입되는 부위에 일치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편(440)과 니들 결합 지시선(471)의 상기한 위치관계를 통해 결합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leader line formed on the needle part 452 may be replaced by the protrusion 440 to be described below. In this case, the protruding piece 440 is disposed to match the portion at which the needle engaging protrusion 454 of the insertion hole 462 is inserted. Therefore, the coupling between the protrusion 440 and the needle coupling leader 471 can be easily confirm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ositional relationship.

상기 니들 결합 지시선(471)과 니들부에 형성되는 결합 지시선 또는 돌출편(440)의 개수는 니들걸림돌기(454)의 개수에 따라 정해질 수 있고, 한 개씩 배치되어도 무방하다.The number of the needle coupling leader 471 and the coupling leader or the protrusion pieces 440 formed on the needle par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needle engaging protrusions 454, and may be arranged one by one.

또한, 손잡이부(457)과 앰플삽입체(453)의 결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지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앰플삽입체(453)은 손잡이부(457)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소정 깊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앰플삽입체(472)의 외주면 상에 손잡이부(457)의 개구측 단부의 높이 즉, 앰플삽입체(472)가 완전하게 결합되는 높이에서 앰플삽입체 결합 지시선(472)이 형성된다. 따라서, 앰플삽입체(472)의 손잡이부(457)에 결합시 앰플삽입체 결합 지시선(472)이 손잡이부(457)의 상측 단부와 위치가 일치하게 되면 결합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dicator part for confirming whether the handle part 457 and the ampoule insert 453 are coupled is formed, and the ampoule insert 453 has a predetermined depth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part 457. Since it is formed to be inserted, the ampoule insert leader 472 at the height of the open end of the handle portion 457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mpoule insert 472, that is, the height of the ample insert 472 is fully engaged ) Is formed. Accordingly, when the ampoule insert coupling line 472 coincides with the upper end of the handle part 457 when it is coupled to the handle part 457 of the ampoule insert body 472,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coupled.

상기 지시선(471, 472)는 앰플삽입체(453)에 인쇄 또는 도장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음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선택에 따라 화살표, 실선 및 다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eader lines 471 and 472 may be formed by a method of printing or painting on the ampoule insert 453, or may be formed in an intaglio form,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rrows, solid lines, and polygons according to a selection. .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도시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12 shows a cra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거치대(140)는 소정 홈이 형성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주입기(410)가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cradle 140 is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predetermined groove,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injector 410 can be mounted.

따라서, 거치대(140)의 소정 부위에는 주입기(410)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대략 주입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인 주입기 거치홈(145)이 형성된다.Therefore, the injection hole 145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radle 140, which is a groove rough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jector so that the injector 410 can be stably mounted.

상기 주입기(410)는 앰플삽입체(453)과 앰플 및 니들로 구성되는데, 상기 구성들은 분리되어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jector 410 is composed of an ampoule insert 453, an ampoule and a needle, and the components are preferably stored separately.

따라서, 상기 거치대(140)는 앰플과 니들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141)를 구비한다.Therefore, the holder 140 has an accommodating part 141 for storing the ampoule and the needle separately.

상기 수납부는 앰플과 니들의 형상에 대응되는 홈 또는 홀 형상의 수납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홀은 주입기(410) 본체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된다.Th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accommodating hole and a accommodating hole having a groo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needle, and the accommodating hole is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main body of the injector 410.

이때, 상기 거치대(140)는 마취액의 주입속도 및 주입량 등을 조정하기 위한 컨트롤러(150)을 더 거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수납부는 컨트롤러(150)와 주입기 거치홈(14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lder 140 may be made to further mount the controller 150 for adjusting the injection speed and the injection amount of the anesthetic liquid,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controller 150 and the injector mounting groove 145 Can be.

다만, 상기와 같이 수납홀이 배치되는 경우 작업간에 장애를 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거치대(140)는 측부에 수납부(141)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when the storage hole is dispos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risk of obstacles between the work, it is preferable that the cradle 14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receiving portion 141 on the side.

따라서, 도 12에 나타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납부(141)가 거치대(140)의 일측에 형성되되 홀 또는 홈 형상의 수납홀(142)을 구비한다.Therefor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 12, the accommodating part 14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lder 140, and includes an accommodating hole 142 having a hole or a groove shape.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부(141)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거치대(14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단차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작업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데 이점을 가진다.
In addition, more preferably, the accommodating part 141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disposed to be stepped down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radle 140 to have an advantage of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tasks.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니들제거기가 설치된 치과용 유닛체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니들제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dental unit chair having a needle remover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needle rem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니들제거기의 덮개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니들제거기와 니들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7 is a view showing a cover portion of the needle rem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needle remover and the needle por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1)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452)는 돌출편(440)을 더 포함하고, 치과용 유닛체어(1)는 니들제거기(500)를 더 포함한다.In the dental unit chai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edle portion 452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440, the dental unit chair 1 further comprises a needle remover 500 Include.

돌출편(440)은 니들부(452)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니들부(452)의 외주면에 대향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두개의 돌출편(440)이 형성되어 있으나, 돌출편(44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The protruding pieces 440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edle part 452. Referring to FIG. 6, two protruding pieces 440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edle part 452. The number of the protruding pieces 440 may vary.

또한, 돌출편(440)의 모양은 다수의 니들제거날개(530) 사이마다 형성되는 틈에 끼어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protruding piece 440 is formed to be sandwiched in the gap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needle removal blades (530).

니들제거기(500)는 진료용 브라켓(200)에 설치되는데, 프레임(120) 등에 의해 연결 설치될 수도 있고, 나사(미도시) 등을 통해 진료용 브라켓(200)의 일측면에 바로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Needle remover 500 is installed in the treatment bracket 200, it may be connected by the frame 120, etc., may be directly fixed to one side of the treatment bracket 200 through a screw (not shown) or the like. It may be.

니들제거기(500)는 덮개부(510) 및 몸통부(520)을 포함한다.The needle remover 500 includes a cover 510 and a body 520.

몸통부(520)는 덮개부(510)의 하부와 결합되어, 앰플삽입체(453)와 분리된 니들부(452)가 쌓여 모아지는 부분이다.The body part 52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art 510 and is a part where the needle part 452 separated from the ampoule insert 453 is accumulated.

덮개부(510)는 덮개부(510) 상면에 형성되는 관통공(528) 및 다수의 니들제거날개(530)를 포함한다.The cover part 510 includes a through hole 528 and a plurality of needle removal blades 530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10.

니들제거날개(530)는 관통공(528)으로부터 관통공(528)의 중심을 향해 대각 방향으로 뻗어나오되,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그 폭은 중심으로 향할수록 좁아져 각 니들제거날개(530) 사이마다 틈이 형성된다.Needle removal wing 530 extends from the through hole 528 in the diagonal dir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528, but the width is narrowed toward the center so as not to collide with each other, the gap between each needle removal wing (530) Is formed.

따라서, 주입기(410)를 잡아 관통공(528)에 니들부(452)를 삽입시킬 때, 사용자는 니들부(452)의 돌출편(440)이 니들제거날개(530) 사이에 형성되는 틈에 끼워지도록 니들부(452)를 조정하여 삽입하고, 그러면 니들부(452)는 다수의 니들제거날개(530)의 각 말단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needle part 45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28 by holding the injector 410, the user may insert the needle 452 into a gap formed between the needle removing blades 530. The needle part 452 is adjusted to be inserted to be fitted, and then the needle part 452 is fitted between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needle removing blades 530.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부(457) 또는 앰플삽입체(453)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다수의 니들제거날개(530)의 각 말단 사이에 끼워진 니들부(452)는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니들부(452)는 앰플삽입체(453)로부터 분리되어 다수의 니들제거날개(530)의 각 말단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잔존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portion 457 or the ampoule insert 453 by hand and rotates the needle portions 452 sandwiched between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needle removing wings 530, the needle portion ( 452 is separated from the ampoule insert 453 and remains sandwiched between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needle removal blades 530.

그 후, 다시 사용자는 또 다른 니들부를 관통공(528)에 삽입하면, 니들제거날개(530)는 아래로 휘게 되고, 잔존하던 니들부(452)는 몸통부(520)로 떨어진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원복된다.Then, when the user inserts another needle part into the through hole 528 again, the needle removing wing 530 is bent downward, and the remaining needle part 452 falls to the body part 520 and then returns to the original part. Is restored to position.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니들제거날개(530)는 니들 제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Needle removal wing 530 that performs this role is preferably a plastic or metal material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remove the needle.

따라서, 니들부(452)를 앰플삽입체(453)로부터 분리 시, 주사 바늘에 의해 발생되는 위험 사고를 방지하고, 한 손으로도 간편하게 니들부(452)의 분리를 할 수 있으며, 폐기될 니들부(452)를 제거와 동시에 한 곳으로 수거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needle part 452 is separated from the ampoule insert 453, a dangerous accident caused by the injection needle can be prevented, and the needle part 452 can be easily separated with one hand, and the needle to be discarded The unit 452 can be removed and collected in one place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520)은 덮개걸림돌출부(522)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510)는 덮개걸림턱(512)를 더 포함한다.In the dental unit chair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520 includes a cover locking protrusion 522, the cover 510 further includes a cover locking jaw 512 Include.

상기 덮개걸림돌출부(522)는 몸통부(520)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덮개걸림턱(512)과 회전 결합을 하는 것으로, 도 6에는 세 개의 덮개걸림돌출부(522)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 가능하다.The cover locking protrusion 522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top of the body portion 520, and is coupled to the cover locking jaw 512, three cover locking projections 522 are formed in Figure 6, but the number Can vary.

또한, 도 6에는 몸통부(520) 상단에서 수직하게 다소 뻗어나온 뒤 다시 외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꺾여 있는 모양을 갖는 덮개걸림돌출부(522)가 도시되어 있으나, 니들걸림턱(460)과 회전 결합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모양으로도 충분히 변화 가능하다.In addition, Figure 6 is shown in the cover engaging projection 522 having a shape that extends slightly vertically from the top of the body portion 520 and then vertically folded in the outward direction, the needle engaging jaw 460 and rotation coupling Other shapes that can be performed are also sufficiently variable.

덮개걸림턱(512)은 덮개부(510)의 하면에 형성되되, 덮개걸림돌출부(522)가 덮개부(5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114)를 형성한다.The cover catching jaw 51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510, and forms the insertion hole 114 to allow the cover catching protrusion 522 to be inserted into the cover part 510.

상기 삽입구(114)는 덮개걸림돌출부(522)가 삽입공(514)의 형상과 일치되는 경우에만 삽입되도록 덮개걸림돌출부(522)의 상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ertion hole 114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locking protrusion 522 so that the cover locking protrusion 522 is inserted only when the cover locking protrusion 522 matches the shape of the insertion hole 514.

따라서, 덮개걸림돌출부(522)가 덮개부(510)가 결합되는 경우, 덮개걸림돌출부(522)를 삽입공(514)에 맞추어 삽입공(514)에 삽입하고, 덮개부(510)를 회전시키면 덮개걸림돌출부(522)가 덮개걸림턱(512)의 상면에 접하여 덮개부(51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over locking protrusion 522 is coupled to the cover 510, the cover locking protrusion 52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14 in accordance with the insertion hole 514, and the cover 510 is rotated. The cover locking protrusion 52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locking jaw 512 to prevent the cover portion 510 is separated.

이에 따라, 덮개부(510)를 몸통부(520)에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고, 몸통부(520) 내부에 쌓여 수거된 니들부(452)를 외부로 꺼내 폐기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d 51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520, and the needles 452 collected and stacked inside the body 520 can be taken out and discarded.

한편, 상기 손잡이부(457)에는 조명장치가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손잡이부(457)의 상기 앰플삽입체(453)와 결합되는 단부측에는 조명수단(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조명수단의 제어전압은 상기 케이블(401)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ing device is further disposed on the handle portion 457. More specifically, an end portion coupled to the ampoule insert 453 of the handle portion 457 may be provided with a lighting means (not shown), the control voltage of the lighting means through the cable 401 Can be suppli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수단은 LED로 구성되어 단부에서 니들(451)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조명수단은 단부측에 2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uminaire is comprised of LEDs and arranged to direct the needle 451 direction at the end. In addition, two or more lighting means may be disposed on the end side.

상기한 바와 같이, 주입기(410)에 주명수단이 구비되면, 구강 내에서 작업시 그림자의 방해를 받지 않고 침습 부위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고, 또한 구강 내부에서 주입 과정에서도 앰플삽엡체(453)의 앰플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jector 410 is provided with the main mean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nvasion site without disturbing the shadow when working in the oral cavity, so that the correct procedure is possible, and also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in the oral ampoule insert body (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mpoule remaining in 453) can be easily confirmed.

한편, 상기 조명수단은 유닛체어의 본체에 내장된 컴퓨터에 의해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입기(410)는 선형 모터에 의해 마취액이 자동 주입되는 자동 마취액 주입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조명수단과 상기 주입기는 별도의 컨트롤러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지만, 상기 컴퓨터에 의해 케이블(401)로 함께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입력 받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ing means is preferably received a control signal by a computer built in the body of the unit chair. In addition, the injector 410 may be composed of an automatic anesthetic injector in which anesthesia liquid is automatically injected by a linear motor. The lighting means and the injector may be connected by a separate controller, but the cable 401 may be connected to the computer. It is more preferable to be connected together in) to receive a control signal.

또한, 상기 주입기(410)의 손잡이부(457)에는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소형의 LED 또는 LCD 창으로 구비되고, 마취액의 주입량이나 주입속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457 of the injector 4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isplay (not shown). The display may be provided as a small LED or LCD window, and may be displayed to visually check an injection amount or an injection rate of an anesthetic solution.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457)에 주입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경우, 마취 작업시에 시선을 돌리지 않고 바로 주입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조작이 가능하고 의료사고의 가능성도 현저히 낮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If the handle portion 457 is provided with a display for confirming the injection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jection information can be immediately confirmed without turning the eye at the time of anesthesia operation, accurate operation is possible and the possibility of medical accident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Note that there are advantages.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닛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패널방식의 고정된 디스플레이가 제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롤 스크린 방식의 모니터인 롤디스플레이(190)가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 fixed display of a general panel type is presented, but in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ll display 190, which is a roll screen type monitor, is used.

롤디스플레이(190)는 환자와 의사가 확인하기 쉽도록 유닛체어(1)의 전방 상부의 프레임(120)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180)와 같다. 다만,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롤디스플레이(190)는 디스플레이 상부의 원통형상의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권취되는 방식으로 수납된다. 따라서, 화상을 확인할 필요가 없거나 거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롤디스플레이(190)를 권취하여 수납함으로써 공간적인 활용성이 향상됨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roll display 190 is disposed on the frame 120 of the front upper part of the unit chair 1 so that the patient and the doctor can easily check. This arrangement is the same as the general display 180. However,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 display 190 is accommodated in a manner of being wound in a cylindrical display fram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Therefore, when it is not necessary to confirm the image or when the behavior is necessar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patial utility is improved by winding and storing the roll display 190.

상기와 같은 롤디스플레이(190)는 플렉시블(flexible)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되는데, 액정표시장치(Liquid Paper Display)나 전자종이(Elecrtronic Paper)가 사용된다. 이 중 전자종이는 수많은 미세한 구슬이 기름 구멍 안에 뿌려져 있는 유연한 박형의 플라스틱 기판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소자를 의미한다. 최근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롤 방식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박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롤디스플레이(190)는 상기의 방식은 물론 다양한 플렉시블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the roll display 190, a flexible display device is used, and a liquid paper display or an electronic paper is used. Among these, electronic paper refers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on a flexible thin plastic substrate in which a number of fine beads are scattered in oil holes. According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the display device as described above may be manufactured in a thin shape so as to be wound in a roll manner, and the roll display 190 may be applied to various flexible display devices as well as the above manner.

디스플레이 프레임은 프레임(120)에 상하 및 좌우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거나 볼조인트 결합되고, 내부에 롤디스플레이(190)을 권취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이나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의 내부에는 롤디스플레이(190)가 수납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롤디스플레이(190)의 하단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거나 소정 두께를 가진 프레임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frame is hinged or ball joint coupled to the frame 120 so as to be rotatabl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a polygonal pillar having a cylindrical shape or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so as to receive and roll the roll display 190 therein. It is made of a shape. It is preferable that an elastic member is provided inside the display fram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rot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ll display 190 is accommodated. More preferably, a handle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oll display 190 or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may be additionally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화상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 롤디스플레이(190)의 하단을 손으로 당겨서 모니터링을 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자동으로 수납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image, the lower end of the roll display 190 may be pulled out by hand to monitor, and when not in use, it is automatically recei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 본체가 유닛체어본체(110)의 내부에 수용된다. 유닛체어본체(110)의 내부에는 컴퓨터 본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며, 필요한 경우에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도어가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본체는 외부의 메인프레임이나 네트워크 장치와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er body is housed inside the unit chair body 110. The interior of the unit chair body 110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mputer body, the door may be separately arranged to withdraw to the outside if necessary. The computer main body is connected to an external mainframe or a network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유닛체어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컴퓨터 본체는 외부의 디스플레이(190)나 후술할 입력장치등과 연결되어 신호를 입출력하게 된다. 또한, 네트워킹이나 입출력장치등과 연결시에는 배선의 정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 연결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puter body accommodated in the unit chair body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isplay 190 or an input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to input and output signals. In addition, when connecting with networking or input and output devices, such as a wireless connection can be used to solve the difficulty of arranging the wiring.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진료용 브라켓(200)은 키보드(600)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종래기술에서 입력장치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작업공간의 협소함에 따르는 문제점은 상기한 바와 같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키보드(600)은 서랍 방식으로 진료용 브라켓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treatment bracket 200 has a structure that can accommodate the keyboard 600. In the prior art, when the input device is provided separately, the problem caused by the narrowness of the workspace is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keyboard 600 is preferably accommodated in the treatment bracket in a drawer manner.

따라서, 진료용 브라켓(200)의 하부 또는 내부에는 서랍 방식으로 인출할 수 있는 키보드 지지부인 키보드 선반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키보드(600)는 상기 키보드 선반에 안착되어 키보드 선반과 함께 필요한 경우 진료용 브라켓(200)의 외부로 인출된다.Therefore, a keyboard shelf, which is a keyboard support that can be pulled out in a drawer manner, is disposed below or inside the treatment bracket 200. Therefore, the keyboard 600 is seated on the keyboard shelf and is drawn out of the treatment bracket 200 when necessary together with the keyboard shelf.

상기 키보드 선반이 삽입되는 진료용 브라켓(200)의 내부 또는 하부에는 키보드 선반의 슬라이드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side or lower portion of the treatment bracket 200 into which the keyboard shelf is inserted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ail for guiding a slide operation of the keyboard shelf.

또한, 진료용 브라켓(200)의 이동이나 회동 동작시 키보드가 전후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키보드 선반의 인출 또는 수납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로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킹부재는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수납시 외부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걸림장치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로킹부재는 푸시-원터치 방식으로 잠금하는 잠금장치나 탄성력을 가진 걸림턱 외에 서랍에 적용되는 다양한 잠금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keyboard from flowing back and forth during the movement or rotation of the medical treatment bracket 20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locking member that can fix the position in the withdrawal or storage state of the keyboard shelf. The locking member is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to be drawn out and a lock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flow to the outside during storage. Such a locking member may be applied to various locking devices applied to a drawer in addition to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in a push-one-touch method or a locking jaw having elastic force.

한편, 진료용 브라켓(200)의 공간적인 한계로 인해 마우스의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진료용 브라켓(200)에 배치되는 키보드(600)는 트랙볼(6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랙볼(610)은 키보드의 하우징 외부에 외주 일부가 노출된 볼 형상의 입력장치로서, 볼의 회전에 따라 2차원적으로 좌표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On the other hand, the keyboard 600 is disposed on the medical treatment bracke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use of the mouse is difficult due to the space limitation of the medical treatment bracket 200 preferably includes a trackball 610. Do. The track ball 610 is a ball-shaped input device in which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is exposed outside the housing of the keyboard, and is a device that can input coordinates two-dimensionally as the ball rotates.

따라서, 키보드(600)가 트랙볼(610)을 포함하므로 마우스와 같은 별도의 좌표입력 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공간적인 활용성이 향상된다. Therefore, since the keyboard 600 includes the track ball 610, a separate coordinate input means such as a mouse may not be used, thereby improving spatial usability.

상기 트랙볼(610)을 대신하여 키보드(600)의 자판 배열 사이에 레버 형상의 핑거마우스(finger mouse)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핑거마우스는 손가락 끝으로 포인터동작을 할 수 있으므로, 공간적인 활용이 더욱 우수해지는 이점이 있다.
A lever-shaped finger mous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keyboard layout of the keyboard 600 instead of the trackball 610. Since the finger mouse can operate the pointer with the fingertip,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patial utilization is further excellent.

또한, 상기 키보드(600)는 푸시타입의 자판이 배열된 키보드가 아닌 화상에 터치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는 터치패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패드를 사용하는 경우 환자와 공유할 수 없는 정보를 용이하게 화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180, 190)을 화상 자체로 제어할 수도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keyboard 600 may be a touch pad capable of inputting an image by a touch method instead of a keyboard on which a push type keyboard is arranged. As such, when the touch pad is used, information that cannot be shared with the patient can be easily confirmed as an image, and the display 180 and 190 may be controlled by the image itself.

터치패드는 일반적으로 정전기를 이용하는 정전식과 터치 압력을 인식하는 감압식이 사용되는데, 의료용 장갑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금속장비들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갑압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general, touch pads use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and pressure sensitive type for detecting touch pressure, and medical gloves are often used and exposure to metal equipment is preferable.

도 11은 유닛체어(1)의 등받이(320)와 헤드레스트(3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최근의 치과병원에서 감성적으로도 만족감을 줄 수 있도록 구조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는 상기한 바와 같고, 도 11에는 감성적으로 편안하게 진료 및 처치를 받을 수 있는 유닛체어의 실시예를 나타낸다.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backrest 320 and the headrest 330 of the unit chair 1. In recent years, a trend in which structural efforts have been made to provide emotional satisfaction in dental hospitals is as described above, and FIG. 11 shows an embodiment of a unit chair that can receive treatment and treatment emotionally and comfortably.

유닛체어(1)에서 환자가 누워서 머리가 안착되는 부위인 헤드레스트(33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750)이 배치된다. 상기 스피커(750)는 상기 유닛체어 본체(110) 내부에 수용된 컴퓨터와 연결되어 편안한 음악 등을 출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A speaker 750 capable of outputting sound may be disposed in the headrest 330, which is a part of the unit chair 1 where the patient lays down and rests his head. The speaker 750 is connected to a computer accommodated in the unit chair main body 110 and serves to output comfortable music.

따라서, 환자의 양쪽 귀가 배치되는 부위에 인접하여 헤드레스트(330)의 내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be received and coupled inside the headrest 330 adjacent to the position where both ears of the patient are disposed.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스피커(750)가 헤드레스트(330)에 매립되는 경우 소리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스피커홀(76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ir of speakers 750 are embedded in the headrest 330, a plurality of speaker holes 760 may be formed to facilitate the emission of sound.

상기한 스피커(750)는 본체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 무선연결 즉,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speaker 75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in a wired manner and may be connected in a wireless connection, that is, in a Bluetooth manner.

또한, 상기 스피커(750)은 일반적인 떨림판이 마련되는 스피커가 사용될 수 있지만, 진동스피커가 사용될 수 있다. 진동스피커는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을 하는 장치이며, 스피커의 떨림판에 대응하여 질량을 제공하여 진동력을 높일 수 있는 웨이트가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speaker 750 may be a speaker provided with a general shaking plate, a vibration speaker may be used. Vibration speaker is a device that vibrates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between the magnet and the coil, the weight is provided to increase the vibration force by providing a mass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plate of the speaker.

따라서, 상기 진동스피커의 진동대역폭을 다양하게 설정하는 경우 상기 진동스피커는 헤드레스트(330)에 매립된 상태에서 머리를 통해 진동으로 음악 등의 음향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vibration bandwidth of the vibration speaker is variously set, the vibration speaker may provide sound effects such as music by vibrating through the head while being embedded in the headrest 330.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등받이(320)는 안마기구(70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받이(320)의 안마기구(700)는 환자의 척추를 중심으로 안마를 수행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데, 모터와 제어기판이 배치되는 구동제어부(710),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하지지축(720) 및 상하지지축(720)의 좌우에 각각 배열되어 회동하는 회동부(730)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rest 320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 massage device 700. Massage mechanism 700 of the backrest 320 is arranged to perform the massage around the spine of the patient, the drive control unit 710, the motor and the control plate is disposed, rotated by the motor and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and lower limbs 720 and the upper and lower limbs 720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nd the rotating part 730 rotates.

상기 회동부(730)는 각각 척추부위의 양측에서 회동하는 편심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회전에 따라 안마기능을 하게 된다. 상하지지축(720)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회동부(730)는 상하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등 전반에 걸쳐서 고른 안마가 가능하다. The pivoting portion 730 has an eccentric shape that rotates on both sides of the spine, respectively, and functions as a massage function as the rotation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shaft 720, the pivoting portion 730 is mov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allowing even massage over the entire back.

또한, 상기 제어부는 컴퓨터와 연결되어 진료용 브라켓(200)에 지지되는 키보드(600) 또는 조작패널(121)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고, 헤드레스트(330) 부위에도 안마기구가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can be controlled by the keyboard 600 or the operation panel 121 supported on the treatment bracket 200, the massage device may be disposed in the headrest 330 portion. Of cours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닛체어는 유닛체어 본체내부에 구비되는 컴퓨터와 진료용 브라켓의 내부에 수용되는 입력장치 및 롤디스플레이가 적용된 출력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공간활용성이 극대화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진료와 치료가 가능한 치과용 유닛체어가 제공된다.The dental unit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computer provided in the unit chair main body and an input device accommodated inside the medical treatment bracket and an output device to which a roll display is applied, thereby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and speed. The dental unit chair is provided for accurate and accurate medical treatment.

또한, 스피커와 안마기구와 같은 편의장치가 체어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환자의 안심감을 향상시켜 치료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치과용 유닛체어가 제공된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convenient device such as a speaker and a massage device inside the chair is provided a dental unit chair that improves the safety of the patien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reatment.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치과용 유닛체어 110...유닛체어 본체
111...타구대 117...조명기구
120...프레임 121...조작패널
130...거치대 135...진료장비 거치홈
136...진료장비 180...디스플레이
190...롤디스플레이 200...진료용 브라켓
300...체어부 310...좌판
315...베이스부 320...등받이
330...헤드레스트 401...케이블
410...주입기 500...니들제거기
600...키보드 610...트랙볼
700...안마기구 710...구동제어부
720...상하지지축 730...회동부
750...스피커 760...스피커홀
1.Dental unit chair 110 ... Unit chair body
111 ... batting table 117 ... lighting equipment
120 ... frame 121 ... operation panel
130 ... Mounting Platform 135 ...
136 ... medical equipment 180 ... display
190.Roll display 200 ... Medical bracket
300 ... chair 310 ... seat
315 Base base 320 Backrest
330 ... headrest 401 ... cable
410 ... Injector 500 ... Needle remover
600 ... keyboard 610 ... trackball
700 Massage device 710 Drive control unit
720 ... upper and lower limb 730 ... pivoting part
750 Speakers 760 Speaker Holes

Claims (15)

환자가 앉는 체어부;
내부에 컴퓨터를 수용하는 유닛체어 본체;
진료정보를 화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컴퓨터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키보드를 수용하는 진료용 브라켓;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진료용 브라켓을 본체로부터 상하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진료용 브라켓은 상기 키보드가 안착되는 키보드 지지부 및 상기 키보드 지지부를 상기 진료용 브라켓의 내부로 수납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키보드 지지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
A chair seated by the patient;
A unit chair body accommodating a computer therein;
A display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in an image;
A medical bracket for receiving a keyboard wirelessly or wired to the computer; And,
And a frame that connects the display and the medical bracket to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The medical bracket includes a keyboard support on which the keyboard is seated and a guide rail for guiding a slide movement of the keyboard support to receive or withdraw the keyboard support into the medical bra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감압식 터치패드인 치과용 유닛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keyboard is a dental unit chair is a pressure sensitive touch p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트랙볼 마우스 또는 핑거마우스를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keyboard is a dental unit chair comprising a trackball mouse or a finger mo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부는 환자가 착좌하는 좌판, 환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및 환자의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레스트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컴퓨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ir is composed of a seat plate seated by the patient, a backrest supporting the back of the patient, and a headrest supporting the neck of the patient,
The dental unit chair accommodated in the headrest and including a speaker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to the compu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수용되는 진동스피커인 치과용 유닛체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peaker is a dental unit chair is a vibration speaker accommodated inside the headrest.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프레임에 상하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롤프레임과 상기 롤프레임 내부에 권취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롤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치과용 유닛체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display unit comprises a roll fram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and a roll displa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be wound and stored inside the roll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안마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마기구는 구동제어부,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회동하며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하지지축 및 상기 상하지지축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척추의 양측에서 회동하여 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회동부로 이루어진 치과용 유닛체어.
The method of claim 1,
And a massage device mounted inside the chair and operated by a driving force of an electric motor.
The massage mechanism is composed of a driving control unit, a lower and lower shaft with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a pair of pivoting units which rotate in both directions of the spine and apply pressure by rotating on both sides of the spine. Dental unit 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용 브라켓과 연결되고, 진료장비거치홈이 형성되는 거치대; 그리고,
상기 진료용 브라켓 일측에 설치되는 자동마취장치;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
The method of claim 1,
A cradle connected to the treatment bracket and having a treatment equipment holding groove formed therein; And,
Dental unit chair further comprising; anesthesia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eatment brack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마취장치는,
손잡이부, 손잡이부 상부에 장착되며 개구된 일측으로 앰플이 내부에 삽입되는 앰플삽입체, 앰플삽입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니들부, 니들부를 관통하며 설치되고 일측은 앰플삽입체 타측으로 삽입되어 앰플을 뚫고 들어가며 타측은 외부로 노출되는 니들을 포함하며, 상기 진료용 브라켓과 케이블 연결되고 상기 진료장비거치홈에 거치되는 주입기를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utomatic anesthesia device,
The ampoule insert is mounted on the handle part,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part, and the ampoule insert body is inserted into the open side, the needle par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mpoule insert body, and the needle part is installed. The other side includes a needle penetrating through the outside, the dental unit chair including an injector connected to the medical bracket and mounted to the treatment equipment placement groov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는,
상기 앰플삽입체의 상기 니들부가 결합되는 부위에 인접한 외주면에 형성되는 니들결합지시선 및 상기 니들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니들부결합지시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니들결합지시선과 상기 니들부결합지시선의 위치관계를 통해 상기 앰플삽입체와 상기 니들부의 결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치과용 유닛체어.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njector,
And a needle coupling guide lin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mpoule insert adjacent to a portion to which the needle portion is coupled, and a needle portion coupling leader lin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edle portion, 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needle coupling leader line and the needle portion coupling leader line Dental unit chairs through which the ampoule insert and the needle portion can be confirmed whether the coupl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는,
상기 앰플삽입체가 손잡이부에 삽입 결합시 손잡이부의 상단부의 위치의 상기 앰플삽입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앰플삽입체결합지시선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njector,
And an ampoule insert coupling leader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mpoule insert at a position of an upper end of the handle when the ampoule insert is inserted into the handle par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앰플삽입체가 삽입되는 단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니들부 방향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는 조명수단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njector,
And a lighting means disposed at an end side of the handle portion in which the ampoule insert is inserted, and arranged to face the needle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수단은,
LED로 이루어지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치과용 유닛체어.
The method of claim 12,
The lighting means,
Dental unit chair made of LED, and receives the control signal by the comput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배치되고, 상기 앰플로부터 주입되는 마취액의 주입량과 주입속도가 표시되는 표시장치를 더 구비하는 치과용 유닛체어.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injector,
And a display device coupled to the handle part and configured to display an injection amount and an injection speed of an anesthetic solution injected from the ampo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용 브라켓 일측에 배치되는 자동마취장치;
상기 진료용 브라켓과 연결되고, 상기 자동마취장치의 주입기 거치홈이 형성되는 거치대; 그리고,
상기 거치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앰플 또는 니들이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홀이 형성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
The method of claim 1,
Automatic anesthesia devic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reatment bracket;
A cradle connected to the treatment bracket and formed with an injector mounting groove of the automatic anesthesia device; And,
And a receiving unit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holder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in which ampoules or needles are stored.
KR1020110052075A 2011-05-31 2011-05-31 Dental unit chair KR201201334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075A KR20120133442A (en) 2011-05-31 2011-05-31 Dental unit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075A KR20120133442A (en) 2011-05-31 2011-05-31 Dental unit 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442A true KR20120133442A (en) 2012-12-11

Family

ID=47516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075A KR20120133442A (en) 2011-05-31 2011-05-31 Dental unit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3442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026B1 (en) * 2013-01-29 2015-05-21 메디허브주식회사 Dental unit chair having auto anesthesia apparatus
KR102079347B1 (en) 2018-11-30 2020-02-19 문현규 Dental unit chair
KR20210048710A (en) * 2019-10-24 2021-05-04 이승환 Mirror suction applian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026B1 (en) * 2013-01-29 2015-05-21 메디허브주식회사 Dental unit chair having auto anesthesia apparatus
KR102079347B1 (en) 2018-11-30 2020-02-19 문현규 Dental unit chair
KR20210048710A (en) * 2019-10-24 2021-05-04 이승환 Mirror suction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3128B1 (en) Dental care and imaging apparatus
KR100369960B1 (en) Dialysis machine with control panel
JPWO2008023464A1 (en) Medical training device
KR20120133442A (en) Dental unit chair
JP7444823B2 (en) Foot controllers and medical treatment devices
EP3073923B1 (en) Mammography apparatus
KR101512026B1 (en) Dental unit chair having auto anesthesia apparatus
FI122877B (en) Dental equipment
WO2017104744A1 (en) Medical care system, medical care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medical care device operational error prevention method
CN111493844A (en) Pulse feeling device
JP6280163B2 (en) Medical examination device
KR101187636B1 (en) Dental unit chair with automatic anesthesia apparatus
CN1322841C (en) Tongue tenesmus proof device for patient under surgery
CN219323526U (en) Dental unit convenient to operate
JP2022013068A (en) Operator chair and dental treatment unit
JP2003038532A (en) Medical treatment system with monitor of dental therapeutic apparatus
CN211095715U (en) Interventional operation bracket
CN220477780U (en) Head fixing device
KR102634334B1 (en) Unit chair with access from both sides
CN216495374U (en) Ultrasonic image probe positioning device
CN220293796U (en) Instrument taking and placing rack for oral cavity diagnosis and treatment
CN211634342U (en) Acupuncture device
KR200466347Y1 (en) Integrated apparatus based on personal computer for root canal treatement
KR101183020B1 (en) Contribution table for dental examination
JP3087141U (en) Medical handpiece holder and medical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