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230A - 전기량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량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230A
KR20120133230A KR1020110051792A KR20110051792A KR20120133230A KR 20120133230 A KR20120133230 A KR 20120133230A KR 1020110051792 A KR1020110051792 A KR 1020110051792A KR 20110051792 A KR20110051792 A KR 20110051792A KR 20120133230 A KR20120133230 A KR 20120133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communication
electrod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2046B1 (ko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김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환 filed Critical 김수환
Priority to KR1020110051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04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속에 존재하는 전도성을 가진 용존 이온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해질을 첨가하지 않고 공급수의 수질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물의 전기적인 저항(Ω)값을 읽어 전력량을 능동적으로 공급하고 제어하여 적정한 전력을 공급해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물의 전기전도도와 TDS값과 물의 유량, 유속, 온도와 같은 전기적인 저항(Ω) 값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전극을 이용하여 감지하거나, 전기적인 저항값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물의 전기전도도. TDS. 유량. 유속. 온도 등의 각종 센서를 장착하여 감지함으로써, 살균이온의 농도의 변화를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물이 통과할 때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이온의 농도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전극을 물의 유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모양의 타공 형상을 갖는 mesh 타입의 전극을 적층시켜 사용하거나, 격자 형태로 적층시킨 것을 사용함으로써, 전극의 물과 접촉하는 단면적을 크게 하여 전력량을 증가시켜 살균농도를 높아지게 함은 물론 적층된 전극으로 유입되는 유량이 전극과 전극에서 정체현상이 일어나게 하여 전극을 통과한 물의 흐름을 변화시켜 살균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전극의 간극은 필터를 통과한 물속의 부유물이 전극 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전극 면과 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전극 간에 short가 발생하지 않고 물의 변화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유해물질이 용출되지 않고, 전극면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 mesh 구조의 절연성을 가진 PC. PE. ABS와 같은 소재를 삽입하여 최적의 간극으로 고정시켜 전기의 효율적인 반응을 일으킬 수 있게 하며, 전극을 티타늄, 백금, 이리듐, 로듐, 텅스텐 또는 이들의 일정한 비율로 만들어진 합금을 소재로 mesh, 판상, 또는 봉 구조의 형태로 하여 소재의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량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of the quantity of electricity}
본 발명은 물속에 존재하는 전도성을 가진 용존 이온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해질을 첨가하지 않고 공급수의 수질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물의 전기적인 저항(Ω)값을 읽어 전력량을 능동적으로 공급하고 제어하여 적정한 전력을 공급해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물의 전기전도도와 TDS값과 물의 유량, 유속, 온도와 같은 전기적인 저항(Ω) 값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전극을 이용하여 감지하거나, 전기적인 저항값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물의 전기전도도. TDS. 유량. 유속. 온도 등의 각종 센서를 장착하여 감지함으로써, 살균이온의 농도의 변화를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물이 통과할 때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이온의 농도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전극을 물의 유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모양의 타공 형상을 갖는 mesh 타입의 전극을 적층시켜 사용하거나, 격자 형태로 적층시킨 것을 사용함으로써, 전극의 물과 접촉하는 단면적을 크게 하여 전력량을 증가시켜 살균농도를 높아지게 함은 물론 적층된 전극으로 유입되는 유량이 전극과 전극에서 정체현상이 일어나게 하여 전극을 통과한 물의 흐름을 변화시켜 살균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전극의 간극은 필터를 통과한 물속의 부유물이 전극 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전극 면과 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전극 간에 short가 발생하지 않고 물의 변화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유해물질이 용출되지 않고, 전극면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 mesh 구조의 절연성을 가진 PC. PE. ABS와 같은 소재를 삽입하여 최적의 간극으로 고정시켜 전기의 효율적인 반응을 일으킬 수 있게 하며, 전극을 티타늄, 백금, 이리듐, 로듐, 텅스텐 또는 이들의 일정한 비율로 만들어진 합금을 소재로 mesh, 판상, 또는 봉 구조의 형태로 하여 소재의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살균하고 정화하는데 있어서 전기분해를 이용한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물을 전기 분해하기 위에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진 전극에 고정된 전압을 공급하고 공급수에 전해질을 첨가하여 전기분해 하는 방법으로서 공급수에 일정양의 전해질을 첨가하여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만들어 공급하는 방식으로 물의 유량, 유속, 온도, 수질에 따라 얻어지는 살균 이온의 농도 및 전력 소모량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얻고자 하는 살균이온의 농도 조절이 불가능하고 때로는 과전류로 인하여 열이 발생하거나, 살균이온 농도가 저하되는 등의 국가와 지역 마다 수질에 따라 차이가 크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살균수로 사용할 경우 사용 목적 및 용도에 따라 실용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일정한 살균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급수의 전기전도도(conductivity)와 TDS(총용존고형물) 또는 유량. 유속. 온도 등에 의해 수질에 변화가 거의 없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용화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공급수의 전기전도도(conductivity)와 TDS(총용존고형물) 즉, 물의 전기저항(Ω)값이 높은 경우에는 공급수의 전기전도도가 상승하여 설정치 이상의 살균수가 만들어지게 되거나 전극에 고정된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의 용량을 넘어서게 되면 전력 장치가 파손되거나 일시적으로 동작을 멈추거나 과열이 되고, 공급수의 전기전도도(conductivity)와 TDS(총용존고형물) 즉, 물의 저항(Ω)값이 낮을 경우에는 공급수의 전기전도도가 내려가 얻고자 하는 살균수의 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공급수의 수질을 측정하여 첨가하는 전해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와 같은 고가의 설비 및 관리비용이 소요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물속에 존재하는 전도성을 가진 용존 이온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해질을 첨가하지 않고 공급수의 수질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물의 전기적인 저항(Ω)값을 읽어 전력량을 능동적으로 공급하고 제어하여 적정한 전력을 공급해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물의 전기전도도와 TDS의 값과 물의 유량, 유속, 온도와 같은 전기적인 저항 값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전극을 이용하여 감지하거나, 전기적인 저항 값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물의 전기전도도. TDS. 유량. 유속. 온도 등의 각종 센서를 장착하고 감지하여 살균이온의 농도의 변화를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물이 통과할 때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이온의 농도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전극을 물의 유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모양의 타공 형상을 갖는 mesh 타입의 전극을 적층시켜 사용하거나, 격자 형태로 적층시킨 것을 사용하여 전극의 물과 접촉하는 단면적을 크게 하여 전력량을 증가시켜 살균농도를 높아지게 함은 물론 적층된 전극으로 유입되는 유량이 전극과 전극에서 정체현상이 일어나게 하여 전극을 통과한 물의 흐름을 변화시켜 살균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서, 물속에 존재하는 전도성을 가진 용존 이온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해질을 첨가하지 않고 공급수의 수질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물의 전기적인 저항(Ω)값을 읽어 전력량을 능동적으로 공급하고 제어하여 적정한 전력을 공급해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의 전기전도도와 TDS값과 물의 유량, 유속, 온도와 같은 전기적인 저항(Ω) 값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전극을 이용하여 감지하거나, 전기적인 저항값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물의 전기전도도. TDS. 유량. 유속. 온도 등의 각종 센서를 장착하여 감지함으로써, 살균이온의 농도의 변화를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이 통과할 때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이온의 농도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전극을 물의 유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모양의 타공 형상을 갖는 mesh 타입의 전극을 적층시켜 사용하거나, 격자 형태로 적층시킨 것을 사용함으로써, 전극의 물과 접촉하는 단면적을 크게 하여 전력량을 증가시켜 살균농도를 높아지게 함은 물론 적층된 전극으로 유입되는 유량이 전극과 전극에서 정체현상이 일어나게 하여 전극을 통과한 물의 흐름을 변화시켜 살균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극의 간극은 필터를 통과한 물속의 부유물이 전극 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전극 면과 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전극 간에 short가 발생하지 않고 물의 변화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유해물질이 용출되지 않고, 전극면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 mesh 구조의 절연성을 가진 PC. PE. ABS와 같은 소재를 삽입하여 최적의 간극으로 고정시켜 전기의 효율적인 반응을 일으킬 수 있게 하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극을 티타늄, 백금, 이리듐, 로듐, 텅스텐 또는 이들의 일정한 비율로 만들어진 합금을 소재로 mesh, 판상, 또는 봉 구조의 형태로 하여 소재의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기량 제어 시스템은 전기량제어시스템의 내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물이 전해조 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로 유입되어 공급관으로 이동 중인 부유물이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정수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이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이온의 농도를 발생시키기 위해 물의 유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모양의 타공 형상을 갖는 mesh 타입의 전극을 적층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격자형태로 적층된 전극과 전극에서 정체현상이 일어나게 하여 전극을 통과한 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살균농도를 증가시키는 전극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이 공급될 때 또는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도 전극부 또는 물에 잔류 전기가 남아 있어 누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 방지해주는 누전차단부와; 상기 전극부의 전극에 흐르는 전류량을 전류센서로 감지하여 공급수의 수질을 감시하는 전류센서부와; 상기 전원부에 공급되는 공급전압을 측정 받아 전기전도도 또는 총용존고형물(TDS)을 유추하는 전압센서부와; 상기 전압센서부에서 유추한 전기전도도 또는 총용존고형물(TDS) 값에 따라 직류전원을 발생하는 직류전원발생부와; 상기 전류센서부와, 전압센서부와, 직류전원발생부를 제어하여 물의 전기전도도와 TDS의 값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인 저항 값을 읽어 필요한 전력량이 발생되게 제어하는 전기제어부와; 상기 전기제어부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나타내는 표시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이 공급관에 흐를 때 물의 양과 유속을 유량계 또는 유속계를 통해 측정하는 유량 또는 유속부와, 상기 유량 또는 유속부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온도센서부; 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어부에서 얻은 전기적인 저항 값의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여 통신할 수 있게 지원하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부; 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선통신부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RS232 통신, RS485 통신, CAN 통신, SPI 통신, I2C 통신이고, 무선통신부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RFID 통신, IrDA 통신, WiFi 통신, 지그비 통신, 블루투스 통신, Wibro 통신, CDMA 장치와의 통신, GSM 장치와의 통신, 위성 DMB를 이용한 통신, TDMB를 이용한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물의 사용량이 늘어날 경우, 전기량제어시스템 내의 전원부의 파워를 병렬로 연결하여 운영 처리가 가능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간극은 필터부를 통과한 물속의 부유물이 전극 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인 0.3 내지 5.0 mm의 간극으로 고정시켜 전기의 효율적인 반응을 일으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티타늄, 백금, 이리듐, 로듐, 텅스텐 중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이들의 일정한 비율로 만들어진 합금을 소재로 하여 mesh, 판상, 봉 구조 중에서 선택되는 형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mesh일 경우, 타공 형상은 원형, 타원형, 마름모형, 사각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극의 단위 면적당 타공된 면적이 4 내지 35% 이내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기량제어시스템은 살균 및 소독을 목적으로 하는 용도로서, 담수를 재순환시켜 살균시키는 사용, 배관에 설치하여 사용, 치과에서 가글하는데 사용, 충전용 또는 일회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야전 수통 또는 뚜껑에 장착하여 휴대용으로 사용,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이동식 살균장치에 사용, 이동식발전기를 이용한 이동식 현장 살균장치에 사용, 살균 및 세척기능을 갖는 세탁기에 사용, 사람. 동물. 축사 의 각종 균의 예방을 위해 샤워 및 소독위생관리시스템에 사용, 선박의 저수탱크의 살균 소독용으로 사용, 냉각탱크의 살균용으로 사용, 간이정수장에 사용, 정수기로 사용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기량 제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물속에 존재하는 전도성을 가진 용존 이온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해질을 첨가하지 않고 공급수의 수질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물의 전기적인 저항(Ω)값을 읽어 전력량을 능동적으로 공급하고 제어하여 적정한 전력을 공급해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물의 전기전도도와 TDS값과 물의 유량, 유속, 온도와 같은 전기적인 저항(Ω) 값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요소들을 전기적으로 전극을 이용하여 감지하거나, 전기적인 저항값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물의 전기전도도. TDS. 유량. 유속. 온도 등의 각종 센서를 장착하여 감지함으로써, 살균이온의 농도의 변화를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물이 통과할 때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이온의 농도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 전극을 물의 유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모양의 타공 형상을 갖는 mesh 타입의 전극을 적층시켜 사용하거나, 격자 형태로 적층시킨 것을 사용함으로써, 전극의 물과 접촉하는 단면적을 크게 하여 전력량을 증가시켜 살균농도를 높아지게 함은 물론 적층된 전극으로 유입되는 유량이 전극과 전극에서 정체현상이 일어나게 하여 전극을 통과한 물의 흐름을 변화시켜 살균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전극의 간극은 필터를 통과한 물속의 부유물이 전극 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전극 면과 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전극 간에 short가 발생하지 않고 물의 변화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며 유해물질이 용출되지 않고, 전극면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 mesh 구조의 절연성을 가진 PC. PE. ABS와 같은 소재를 삽입하여 최적의 간극으로 고정시켜 전기의 효율적인 반응을 일으킬 수 있게 한다.
다섯째, 본 발명은 전극을 티타늄, 백금, 이리듐, 로듐, 텅스텐 또는 이들의 일정한 비율로 만들어진 합금을 소재로 mesh, 판상, 또는 봉 구조의 형태로 하여 소재의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 중에서 적층된 전극의 측면 및 단면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전기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량 제어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 중에서 적층된 전극의 측면 및 단면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기량 제어 시스템(120)은 전기량제어시스템의 내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10)와; 상기 전원부에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물이 전해조 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로 유입되어 공급관으로 이동 중인 부유물이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정수하는 필터부(20)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이 공급관에 흐를 때 물의 양과 유속을 유량계 또는 유속계를 통해 측정하는 유량 또는 유속부(30)와; 상기 유량 또는 유속부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온도센서부(40)와; 상기 유량 또는 유속부를 통과한 물이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이온의 농도를 발생시키기 위해 물의 유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모양의 타공 형상을 갖는 mesh 타입의 전극을 적층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격자형태로 적층된 전극과 전극에서 정체현상이 일어나게 하여 전극을 통과한 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살균농도를 증가시키는 전극부(50)와;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이 공급될 때 또는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도 전극부 또는 물에 잔류 전기가 남아 있어 누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 방지해주는 누전차단부(50-1)와; 상기 전극부의 전극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전류센서로 감지하여 공급수의 수질을 감시하는 전류센서부(60)와; 상기 전원부에 공급되는 공급전압을 측정 받아 전기전도도 또는 총용존고형물(TDS)을 유추하는 전압센서부(70)와; 상기 전압센서부에서 유추한 전기전도도 또는 총용존고형물(TDS) 값에 따라 직류전원을 발생하는 직류전원발생부(80)와; 상기 유량 또는 유속부와, 전류센서부와, 전압센서부와, 직류전원발생부를 제어하여 물의 전기전도도와 TDS의 값과 물의 유량, 유속, 온도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인 저항 값을 읽어 필요한 전력량이 발생되게 제어하는 전기제어부(90)와; 상기 전기제어부에서 얻은 전기적인 저항 값의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여 통신할 수 있게 지원하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부(100)와; 상기 전기제어부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나타내는 표시부(110); 로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인 전기량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원부(10)는 전기량제어시스템(110)의 내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20)는 상기 전원부(10)에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물이 전해조 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로 유입되어 공급관으로 이동 중인 부유물이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정수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20)에 사용되는 필터 제품에는 필터하우징을 장착하고, 캡 부분은 외부에 돌출시켜 필터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유량 또는 유속부(30)는 상기 필터부(20)를 통과한 물이 공급관에 흐를 때 물의 양과 유속을 유량계 또는 유속계를 통해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온도센서부(40)는 상기 유량 또는 유속부(30)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전극부(50)는 상기 유량 또는 유속부(30)를 통과한 물이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이온의 농도를 발생시키기 위해 물의 유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모양의 타공 형상을 갖는 mesh 타입의 전극을 적층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격자형태로 적층된 전극(51)과 전극(51)에서 정체현상이 일어나게 하여 전극을 통과한 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살균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극(51)의 간극(52)은 필터부(20)를 통과한 물속의 부유물이 전극 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인 0.3 내지 5.0mm의 간극으로 고정시켜 전기의 효율적인 반응을 일으킬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상기 전극(51)은 티타늄, 백금, 이리듐, 로듐, 텅스텐 중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이들의 일정한 비율로 만들어진 합금인 것이다. 또한 상기 mesh의 타공 형상은 원형, 타원형, 마름모형, 사각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극의 단위 면적당 타공된 면적이 4 내지 35%인 것이다.
(실시예1)
전극의 타공된 면적이 15%인 타원형 형상의 전극을 격자형으로 적층시켜 TDS 100ppm에서 제어하지 않고 전력을 자유(free)로 공급한 경우에는 440watt의 전력이 공급되었으며, 이때, 잔류염소의 농도는 2.0ppm이었고, 반면에 타공된 면적을 10%로 하여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한 결과, 575watt의 전력이 공급되었으며, 이때, 잔류염소의 농도 값은 3.2ppm이었다.
상기의 실시예1을 통해, mesh type의 전극면에 물을 흘릴 경우, 전극의 단면적이 클수록 전력양은 증가하여 처리수의 얻고자 하는 살균 농도는 높아지며, 전극을 적층시켜 유입되는 유량이 전극과 전극에서 정체현상(즉, 흐름에 저항을 주는 현상)이 일어나 전극을 통과한 물의 유속이 감소하면 살균농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으므로, 전극의 타공된 면적은 유입되는 유량. 유속과 전극을 통과할 때의 저항을 고려하여 4 내지 35%의 타공을 형성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상기 누전차단부(50-1)는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이 공급될 때 또는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도 전극부 또는 물에 잔류 전기가 남아 있어 누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 방지해주는 것이다.
상기 전류센서부(60)는 상기 전극부(50)의 전극(51)에 흐르는 전류량을 전기적으로 전극을 이용하여 감지하거나, 전기적인 저항 값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물의 전기전도도. TDS. 유량. 유속. 온도 등의 각종 센서 로 감지하여 공급수의 수질을 감시하는 것이다.
상기 전압센서부(70)는 상기 전원부(10)에 공급되는 공급전압을 측정 받아 전기전도도 또는 총용존고형물(TDS)을 유추하는 것이다.
상기 직류전원발생부(80)는 상기 전압센서부(70)에서 유추한 전기전도도 또는 총용존고형물(TDS) 값에 따라 직류전원을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전기제어부(90)는 상기 유량 또는 유속부(30)와, 전류센서부(60)와, 전압센서부(70)와, 직류전원발생부(80)를 제어하여 물의 전기전도도와 TDS의 값과 물의 유량, 유속, 온도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인 저항 값을 읽어 필요한 전력량이 발생되게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유선 또는 무선통신부(100)는 상기 전기제어부에서 얻은 전기적인 저항 값의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여 통신할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선통신부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RS232 통신, RS485 통신, CAN 통신, SPI 통신, I2C 통신이고, 무선통신부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RFID 통신, IrDA 통신, WiFi 통신, 지그비 통신, 블루투스 통신, Wibro 통신, CDMA 장치와의 통신, GSM 장치와의 통신, 위성 DMB를 이용한 통신, TDMB를 이용한 통신인 것이다. 모두 나열하지 않은 이외의 유선, 무선으로 통신하는 방식은 모두 가능할 것이다.
상기 표시부(110)는 상기 전기제어부(70)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물의 사용량이 늘어날 경우, 전기량제어시스템 내의 전원부의 파워를 병렬로 연결하여 운영 처리가 가능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전기분해 하면, 양극에서의 산화반응과 음극에서의 환원반응이 일어나는데, 이 경우 극의 반응은,
(양극) 2OH→HO+1/2O+2e
(음극) 2HO+2e→H+2OH
로 전체의 반응은 HO→H+1/2O이다. OH이온이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면서 전류를 운반하며 잔류물은 수소이온(H+)과 수산이온(OH-)농도가 높아져 반응 활성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물 전해 메커니즘에 의하여 물 분자를 이온화하거나 이온화된 물 분자 요소를 결합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음이온 (O-, O3-, OH-, HClO, H2O2)과 같은 살균소독 에이전트의 농도를 극대화하여 급수시설에 장착하여 물을 순간적으로 활성화된 살균소독수로 일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순간살균소독수 발생장치다.
물에서 O3 의 산화반응은 크게 O3 분자에 의한 직접적인 반응과 O3 의 분해에 의해 생성된 OH라디칼의 간접적인 반응으로 나누어진다. 물이 전기 분해되어 형성된 O와 O2 분자가 결합하여 오존(O3)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산소의 전기 분해와 오존의 분해에 의해 생성된 중간 산화물인 OH 라디칼의 결합에 의해서 과산화수소가 생성된다. 그리고 수중에 존재하는 Cl- 이온이 Cl2로 결합한 이후에 H2O와 반응하여 HOCl이 생성된다. 상기 OH 라디칼은 순간적으로 생성되었다가 사라지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측정은 불가능하지만, 오존이 수중에 존재하는 경우, OH- 또는 과산화수소의 염기인 HO2-와 반응하여 라디칼 체인 사이클을 형성하며 최종적으로는OH 라디칼을 생성한다. 살균수와 접촉하는 미생물은 생성된 혼합 산화제에 의하여 불활성화되거나 제거된다. 즉, 박테리아는 전기적 흡착(electrosorption)에 의해 제거되고, 기타 미생물은 e-과의 반응에 의한 직접적인 전기 분해반응으로 제거되는 것이다.
활성이 높은 염소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HOCl은 세포막을 침투하여 hydroxy radical을 생성하고 이 radical은 주요 대사 시스템을 산화시켜 살균 작용을 유발하고, HOCl이 가장 많은 농도와 최대의 효율은 약 pH 4.0~5.0으로 알려져 있으며 ORP가 세포내 전자의 흐름을 변형시키고 산화작용으로 미생물 세포의 불활성화를 야기시켜 미생물을 볼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전기화학 반응에 의한 라디칼 생성 메커니즘을 보면 아래 (표1)와 같다.
생성이온 전기화학 반응에 의한 라디컬 생성 메커니즘
오존(O3) H2O → H+ + (OH)ads + e-
(OH)ads → (O)ads + H+ + e-
2(OH)ads → O2 + 2H+ + 2e-
2(O)ads → O2
(O)ads + O2 → O3
H2O2 Direct formation by electrolysis
O2 + e- → O2-
O2 + 2H+ + 2e- → H2O2
Indirect formation by OH+ combination
OH- + OH+ →H2O2
HOCL 2Cl → Cl2 + 2e-
2H2O + 2e- → H2 + 2OH
Cl2 + H2O → HOCl+H++Cl-
OH- O3 + OH → Radical chain reaction → OH-
O3 + 2OH (conjugate base of H2O2)
→ Radical chain reaction → OH-
산화제에 의한 미생물의 불활성 메커니즘 Direct formation by electrolysis
M(Microorganism) → Electro-sorption → Inactivation
Indirect inactivation by formed Oxidants
M(Microoganism) + O3 → Inactivation
M + OH- → Inactivation
M + HOCl → Inactivation
Direct inactivation by electrolysis
M(Microoganism) + e- → M-
Indirect inactivation by formed Oxidants
M(Microoganism) + O3 → Product
M + OH-→Product
M + HOCl→Product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화학 반응에 의한 라디칼을 효율적으로 생성. 운용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전기량제어시스템은 물속에 전도성을 가진 용존 이온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해질을 첨가하지 않고 사용하고자 하는 물 자체만을 가지고 전기적인 저항 값을 읽어 전력량을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일정한 살균력을 가진 살균수를 제조하기 위해 제어하는 것으로서, 물의 전기전도도(conductivity)와 TDS(총용존고형물) 값과 물의 유량, 유속, 온도 등을 다양하게 변화를 주고 변화할 때마다 소모되는 전력을 측정한 다음 얻고자 하는 살균이온의 농도 값을 설정하여 전력을 가변시키는 방식인 것이다.
이 방식은 물의 저항 값이 높고 전력소모량이 높아 얻고자 하는 살균이온의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전력을 내려 얻고자 하는 살균이온의 농도 값을 맞춰주고, 물의 저항 값이 낮고 전력소모량이 낮아 얻고자 하는 살균이온의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전력을 올려 주거나 전력장치가 가지고 있는 사용 전력 최대치를 적용함으로서 얻고자 하는 살균이온의 농도 값을 일정 농도로 유지시켜 주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량을 제어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아래 실시예2, 실시예3은 TDS값과 전력량 및 살균이온농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실험 데이터이다.
실시예2인 전극의 단면적과 유량을 동일 조건으로 하여 TDS값에 따라 변화되는 살균 이온농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예가 (표 2)에 나타나있다.
TDS 값 전극 단면적 살균농도 유량 전력 살균농도
(mg/L) (원수-ppm) (L/min) (W) (처리수-ppm)
50.0 A일 경우 0.00 7.0 225.60 0.2
70.5 0.00 7.0 306.80 1.0
110.0 0.00 7.0 500.00 3.7
130.0 0.00 7.0 585.20 4.5
150.0 0.00 7.0 668.00 5.0이상
TDS 값 전극 단면적 살균농도 유량 전력 살균농도
(mg/L) (원수-ppm) (L/min) (W) (처리수-ppm)
50.4 B일 경우 0.00 7.0 260.00 0.4
70.0 0.10 7.0 354.00 1.4
90.0 0.10 7.0 438.80 1.8
110.0 0.00 7.0 618.80 4.5
130.0 0.00 7.0 670.00 5.0이상
TDS 값 전극 단면적 살균농도 유량 전력 살균농도
(mg/L) (원수-ppm) (L/min) (W) (처리수-ppm)
50.0 C일 경우 0.00 7.0 300.00 0.7
70.0 0.10 7.0 412.40 1.3
90.0 0.10 7.0 508.40 2.2
110.0 0.10 7.0 654.00 4.5
TDS 값 전극 단면적 살균농도 유량 전력 살균농도
(mg/L) (원수-ppm) (L/min) (W) (처리수-ppm)
50.0 D일 경우 0.00 7.0 356.00 0.8
70.0 0.10 7.0 480.00 1.8
90.0 0.10 7.0 580.40 2.8
100.0 0.00 7.0 700이상 전원차단
166.0 0.00 7.0 700이상 전원차단
실시예3인 동일한 TDS값에서 유량을 고정시키고 전극의 단면적을 달리하여 변화되는 전력량과 살균이온 농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예가 (표 3)에 나타나있다.
TDS 값 전극
단면적
살균농도 유량 전력 살균농도
(mg/L) (원수-ppm) (L/min) (W) (처리수-ppm)
50.0 A일 경우 0.00 7.0 225.60 0.2
B일 경우 0.00 7.0 260.00 0.4
C일 경우 0.00 7.0 300.00 0.7
D일 경우 0.00 7.0 356.00 0.8
TDS 값 전극 단면적 살균농도 유량 전력 살균농도
(mg/L) (원수-ppm) (L/min) (W) (처리수-ppm)
70.0 A일 경우 0.00 7.0 306.80 1.0
B일 경우 0.10 7.0 354.00 1.4
C일 경우 0.10 7.0 412.40 1.3
D일 경우 0.10 7.0 480.00 1.8
TDS 값 전극 단면적 살균농도 유량 전력 살균농도
(mg/L) (원수-ppm) (L/min) (W) (처리수-ppm)
90.0 B일 경우 0.10 7.0 438.80 1.8
C일 경우 0.10 7.0 508.40 2.2
D일 경우 0.10 7.0 580.40 2.8
TDS 값 전극 단면적 살균농도 유량 전력 살균농도
(mg/L) (원수-ppm) (L/min) (W) (처리수-ppm)
90.0 B일 경우 0.20 8.0 428.00 1.2
C일 경우 0.20 8.0 494.00 1.5
D일 경우 0.20 8.0 588.00 2.0
TDS 값 전극 단면적 살균농도 유량 전력 살균농도
(mg/L) (원수-ppm) (L/min) (W) (처리수-ppm)
110.0 A일 경우 0.00 7.0 500.00 3.7
B일 경우 0.00 7.0 618.80 4.5
C일 경우 0.10 7.0 654.00 4.5
상기의 실시예2, 실시예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런 실험을 토대로 공급수의 수질의 따라 변화되는 전기전도도(conductivity)와 TDS(총용존고형물) 값의 변화에 따른 전력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능동적으로 적정한 전력을 가변적으로 공급하여 얻고자 하는 살균이온 농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전기전도도(conductivity)와 TDS(총용존고형물) 값에 따라 수질의 상태도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2에서, 전극의 단면적이 A일 경우를 계산하여 보면,
TDS 50인 공급수의 경우, 소비되는 전력이 225.6W이므로 공급수의 전기저항은
전력(W) = 전압(V) x 전류(I) 에서 225.6 = 40 x I , I = 5.64 A
저항(R) = 전압(V) / 전류(I) 에서 저항(R) = 40 / 5.64 = 7.09Ω 임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TDS 70 인 경우 공급수의 전기 저항(R) = 5.2Ω
TDS 90 인 경우 공급수의 전기 저항(R) = 3.6Ω
TDS 110 인 경우 공급수의 전기 저항(R) = 3.2Ω 임을 알 수 있다.
즉, 공급수의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TDS값을 알 수 있다.
실험을 통하여 공급수에 약 500W의 전력을 공급하였을 때, 잔류염소 농도가 3ppm 인 처리수를 생성할 수 있었다.
TDS 110인 공급수에는 실험과 같은 40V의 전압을 공급하면 됨을 알 수 있고, TDS 90인 공급수에는 전력(W) = 전압(V) x 전류(I), 전류(I) = 전압(V) / 저항(R) 에서
500W = V²/ 3.6Ω , 따라서 V = 42.5V를 공급하면 되고
TDS 70인 공급수의 경우, V = 50.9V를 공급하면 된다.
구동 초기에 공급수의 저항 값을 측정하고자 하여 직류 5OV를 공급하였을 경우,TDS 110인 공급수의 경우 소비되는 전력이 W= VI = Vx(V/R) = (50x50)/3.2 = 781.25W 이므로 전원 공급장치의 공급 용량이 대용량이어야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해지므로 이럴 경우 대용량 전원 공급장치로 인해 비용이 상승한다.
따라서, 구동 초기에 TDS값을 측정하기 위해 직류 18V이하로 공급하여 전류를 정하여(TDS 11O 일 때,5.6A의 전류 소비) 공급수의 전기저항을 계산하여 TDS 11O임을 유추하고, TDS 11O 일 경우 500W의 전력률 공급하면 농도가 3.7ppm인 처리수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공급할 전압을 계산해 보면,
전력(W) = VI = V²/R 에서 V = √WxR =√500*3.2 = 40V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급전압을 40V로 변경하여 공급하면 원하는 농도의 살균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물의 유량, 유속, 온도의 요소의 변화에 따른 전력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능동적으로 적정한 전력을 가변적으로 공급하여 얻고자 하는 살균이온 농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고, 유량에 따라 공급하는 전력을 가변시켜 공급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전도도(conductivity)와 TDS(총용존고형물) 즉, 물의 저항(Ω)값에 대한 측정원리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측정기의 끝에 있는 감응센서(전극) (2개) 사이에 흐르는 물이 성질에 따라 수치가 변화하는데 그것은 물속에 전도성 용존 이온의 양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다. 즉 전도성 용존 이온이 많으면 전기가 잘 흐르게 되고, 전기전도도(conductivity), TDS(총용존고형물), 물의 저항(Ω)값은 높은 수치를 나타내게 된다. 예를 들어,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전기전도도와, TDS(총용존고형물)와, 물의 저항(Ω)값이 거의 0(Zero)에 가까운 물인 증류수나 역삼투압 막을 통과한 물에 우유나 소금물 및 오렌지 쥬스 등을 몇 방울 투입 후 측정하면, 전기전도도(conductivity)와, TDS(총용존고형물)와, 물의 저항(Ω)값이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것도 우유, 소금물, 오렌지 쥬스 등에 전도성 이온물질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전기적인 도전율은 면적 1평방cm의 백금 전극판 2개를 1cm거리에 두고, 이들 사이에 전기를 흘려 수중의 이온을 통하여 전기가 통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용액 중에 전도성 이온물질이 많으면, 전기전도도(conductivity), TDS(총용존고형물), 물의 저항(Ω)값은 증가한다. 또한 물은 증발되지만 이온성 물질은 증발시켜도 남기 때문에 수중의 이온성 물질과 전도율은 비례의 관계에 있으며, 동시에 전기전도도, TDS(총용존고형물), 물의 저항(Ω)값과도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따라서, 전기전도도, TDS(총용존고형물), 물의 저항(Ω)값이 높을수록 전해질의 농도가 높아 전기분해가 더 잘 이루어진다. 여기서, 일정 농도의 살균력을 가진 전기분해 살균수를 만들고자 할 때는 전기전도도(conductivity), TDS(총용존고형물), 물의 저항(Ω)값이 낮으면, 높은 전력을 전기전도도(conductivity), TDS(총용존고형물), 물의 저항(Ω)값이 높으면, 낮은 전력을 공급하여 일정 농도의 살균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량제어시스템은 살균 및 소독을 목적으로 하는 용도로서, 담수를 재순환시켜 살균시키는 사용, 배관에 설치하여 사용, 치과에서 가글하는데 사용, 충전용 또는 일회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야전 수통 또는 뚜껑에 장착하여 휴대용으로 사용,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이동식 살균장치에 사용, 이동식발전기를 이용한 이동식 현장 살균장치에 사용, 살균 및 세척기능을 갖는 세탁기에 사용, 사람. 동물. 축사 등의 각종 균의 예방을 위해 위생관리시스템에 사용, 선박의 저수탱크의 살균 소독용으로 사용, 냉각탱크의 살균용으로 사용, 간이정수장에 사용, 정수기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적용범위가 넓어 다양한 분야는 물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전원부 20 : 필터부
30 : 유량 또는 유속부 40 : 온도센서부
50 : 전극부 51 : 전극
52 : 간극 50-1 : 누전차단부
60 : 전류센서부 70 : 전압센서부
80 : 직류전원발생부 90 : 전기제어부
100 : 유선 또는 무선통신부 110 : 표시부
120 : 전기량제어시스템

Claims (9)

  1. 전기량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량제어시스템의 내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물이 전해조 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로 유입되어 공급관으로 이동 중인 부유물이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정수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이 전기분해를 통해 살균이온의 농도를 발생시키기 위해 물의 유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모양의 타공 형상을 갖는 mesh 타입의 전극을 적층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격자형태로 적층된 전극과 전극에서 정체현상이 일어나게 하여 전극을 통과한 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살균농도를 증가시키는 전극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전원이 공급될 때 또는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도 전극부 또는 물에 잔류 전기가 남아 있어 누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 방지해주는 누전차단부와;
    상기 전극부의 전극에 흐르는 전류량을 전류센서로 감지하여 공급수의 수질을 감시하는 전류센서부와;
    상기 전원부에 공급되는 공급전압을 측정 받아 전기전도도 또는 총용존고형물(TDS)을 유추하는 전압센서부와;
    상기 전압센서부에서 유추한 전기전도도 또는 총용존고형물(TDS) 값에 따라 직류전원을 발생하는 직류전원발생부와;
    상기 전류센서부와, 전압센서부와, 직류전원발생부를 제어하여 물의 전기전도도와 TDS의 값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인 저항 값을 읽어 필요한 전력량이 발생되게 제어하는 전기제어부와;
    상기 전기제어부에 의해 동작되는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나타내는 표시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이 공급관에 흐를 때 물의 양과 유속을 유량계 또는 유속계를 통해 측정하는 유량 또는 유속부와, 상기 유량 또는 유속부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온도센서부; 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어부에서 얻은 전기적인 저항 값의 정보를 외부의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여 통신할 수 있게 지원하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부; 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통신부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RS232 통신, RS485 통신, CAN 통신, SPI 통신, I2C 통신이고, 무선통신부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RFID 통신, IrDA 통신, WiFi 통신, 지그비 통신, 블루투스 통신, Wibro 통신, CDMA 장치와의 통신, GSM 장치와의 통신, 위성 DMB를 이용한 통신, TDMB를 이용한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물의 사용량이 늘어날 경우, 전기량제어시스템 내의 전원부의 파워를 병렬로 연결하여 운영 처리가 가능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간극은 필터부를 통과한 물속의 부유물이 전극 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인 0.3 내지 5.0 mm의 간극으로 고정시켜 전기의 효율적인 반응을 일으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티타늄, 백금, 이리듐, 로듐, 텅스텐 중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이들의 일정한 비율로 만들어진 합금을 소재로 하여 mesh, 판상, 봉 구조 중에서 선택되는 형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mesh일 경우, 타공 형상은 원형, 타원형, 마름모형, 사각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극의 단위 면적당 타공된 면적이 4 내지 35% 이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량제어시스템은 살균 및 소독을 목적으로 하는 용도로서, 담수를 재순환시켜 살균시키는 사용, 배관에 설치하여 사용, 치과에서 가글하는데 사용, 충전용 또는 일회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야전 수통 또는 뚜껑에 장착하여 휴대용으로 사용,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이동식 살균장치에 사용, 이동식발전기를 이용한 이동식 현장 살균장치에 사용, 살균 및 세척기능을 갖는 세탁기에 사용, 사람. 동물. 축사의 각종 균의 예방을 위해 위생관리시스템에 사용, 선박의 저수탱크의 살균 소독용으로 사용, 냉각탱크의 살균용으로 사용, 간이정수장에 사용, 정수기로 사용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량 제어 시스템.
KR1020110051792A 2011-05-31 2011-05-31 전기량 제어 시스템 KR101262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792A KR101262046B1 (ko) 2011-05-31 2011-05-31 전기량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792A KR101262046B1 (ko) 2011-05-31 2011-05-31 전기량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230A true KR20120133230A (ko) 2012-12-10
KR101262046B1 KR101262046B1 (ko) 2013-05-08

Family

ID=4751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792A KR101262046B1 (ko) 2011-05-31 2011-05-31 전기량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0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800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온수 매트 및 살균 모듈
KR20210087225A (ko) * 2020-01-02 2021-07-12 김찬주 수조용 멸균기
KR20210125262A (ko) * 2020-04-08 2021-10-18 수소탑스 주식회사 양변기용 전해위생수 및 비데용 수소수 제조 및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128B1 (ko) * 2014-02-11 2021-04-05 코웨이 주식회사 보호 기능을 구비한 살균기 및 살균기 보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5757A (ja) 2000-07-27 2002-02-05 Toto Ltd 電解水制御装置
KR100858369B1 (ko) 2008-04-23 2008-09-17 주식회사 대은계전 지하수관정감시 및 원격제어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800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온수 매트 및 살균 모듈
KR20210087225A (ko) * 2020-01-02 2021-07-12 김찬주 수조용 멸균기
JP2021109170A (ja) * 2020-01-02 2021-08-02 イーハイジー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Ehygiene Co., Ltd. 水槽用滅菌器
US11655165B2 (en) 2020-01-02 2023-05-23 Ehygiene Co., Ltd. Tank sterilizer
KR20210125262A (ko) * 2020-04-08 2021-10-18 수소탑스 주식회사 양변기용 전해위생수 및 비데용 수소수 제조 및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046B1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0306B2 (en) Electroionic water disinfection apparatus
JP4392354B2 (ja) 高電界電解セル
ES2940889T3 (es) Aparato de filtro electroquímico
JP2012228659A (ja) 水浄化装置
CA2434646C (en) High efficiency electrolysis cell for generating oxidants in solutions
US20130092558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electrolytic reduced wa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10108437A1 (en) Disinfection method and disinfection device
KR101262046B1 (ko) 전기량 제어 시스템
KR20110047702A (ko) 수처리용 전해 살균 시스템 및 전해 살균 방법
CN206127025U (zh) 净水器
EP2331469A1 (en) Device and process for removing microbial impurities in water based liquids as well as the use of the device
JP2009190016A (ja) 水浄化処理用電解キャパシター内のバイオフィルム除去及び防止方法
KR100756662B1 (ko) 순간 살균수 생성장치
JP2013108104A (ja) 電解合成装置、電解処理装置、電解合成方法及び電解処理方法
KR100634760B1 (ko) 과전위전극 전해셀을 이용한 살균산화수 제조장치
JP6122978B2 (ja) 水浄化装置
TR201506030A1 (tr) Bi̇r su aritma si̇stemi̇
KR20060007369A (ko) 고전기장 전해 전지
KR20160127619A (ko) 부분 전원 제어 가능한 전해수 제조장치
JP2012024711A (ja) Ohラジカルおよびオゾンを生成する電気化学的促進酸化処理装置とその処理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液体浄化装置
WO2018100354A1 (en) Electrochemical cell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on of the same
TW200932956A (en) Configurable ozone generators
AU2010339626B2 (en) Water disinfectio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hydroxyl ions by means of hydrolysis of water molecules
US20230132694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oxidant concentration control
WO2018100361A1 (en) Electrochemical cell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on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