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571A -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 Google Patents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571A
KR20120131571A KR1020110049844A KR20110049844A KR20120131571A KR 20120131571 A KR20120131571 A KR 20120131571A KR 1020110049844 A KR1020110049844 A KR 1020110049844A KR 20110049844 A KR20110049844 A KR 20110049844A KR 20120131571 A KR20120131571 A KR 20120131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frequency
resonance
frequency
coil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홍
이주혁
박청수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to KR1020110049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1571A/ko
Publication of KR20120131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2Excitation or detection systems, e.g. using radio frequency signals
    • G01R33/34Constructional details, e.g. resonators, specially adapted to MR
    • G01R33/34007Manufacture of RF coils, e.g. using printed circuit board technology; additional hardware for providing mechanical support to the RF coil assembly or to part thereof, e.g. a support for moving the coil assembly relative to the remainder of the M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은 제1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 상기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과 상호 인덕턴스가 작용하지 않고, 제2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 상기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과 연결되는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과 연결되는 제2 신호선을 포함하여, 유사한 공명 주파수를 갖는 복수 종의 원소에 대하여도 자기공명영상을 취득할 수 있고, 서로 다른 공명 주파수를 갖는 코일 간의 간섭이 없어 상이한 공명 주파수를 복수 개 포함하는 라디오 주파수 코일의 설계 및 제작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MULTIPLE RESONANCE RADIO FREQUENCY COILS}
본 발명은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수의 공명 주파수를 갖는 라디오 주파수 코일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영상장비 중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을 이용한 영상장비는 원자핵의 스핀이 자기장 내에서 일으키는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얻는 것으로, 주로 인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수분에 포함된 수소의 자기 모멘트 성질을 이용하여 주변 조직의 상태에 따라 변화되는 물 분자의 자기 공명학적 성질과 그 농도를 반영하는 자기 공명신호 크기의 공간적 분포를 영상화한다.
자기공명영상장비는 뇌, 간, 척수 등의 연부 조직에 대한 영상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방사능 노출에 대한 위험성이 없어서 임상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진단 징후를 명확히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수소 및 그 외의 원소를 이용한 자기공명영상을 조합하는 영상장비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를 위해 복수 종의 원소의 공명 주파수에 따른 복수의 공진 주파수가 생기도록, 라디오 주파수 코일에 다수의 LC 공진 회로를 부가하거나, 가변 콘덴서 또는 가변 인덕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수소와 공명 주파수의 차이가 크지 않은 원소(예를 들면, 불소)의 경우 LC 공진 회로를 부가하여 실현하는 것이 어렵고, 가변 콘덴서 또는 가변 인덕터를 이용하는 경우는 원소의 종류를 변환하여 영상을 취득할 때마다 주파수 튜닝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 뿐 아니라 그 이외의 원소와도 공명할 수 있으며 설계와 제작이 용이한 라디오 주파수 코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은 일단과 타단에 각각 위치하는 엔드링, 상기 엔드링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제1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제1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제1 레그, 상기 엔드링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제2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제2 커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레그와 상호 인덕턴스가 작용하지 않는 제2 레그, 상기 복수 개의 제1 레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되는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레그와 연결되는 제2 신호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1 레그는 상기 제2 신호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레그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레그는 상기 제1 신호선과 90도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진 주파수는 수소(H) 원자의 공명 주파수(Larmor Frequency)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진 주파수는 불소(F) 원자의 공명 주파수(Larmor Frequency)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진 주파수는 인(P) 원자의 공명 주파수(Larmor Frequency)일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은 제1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 상기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과 상호 인덕턴스가 작용하지 않고, 제2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 상기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과 연결되는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과 연결되는 제2 신호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신호선은 복수 개의 상기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신호선은 복수 개의 상기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공진 주파수는 수소(H) 원자의 공명 주파수(Larmor Frequency)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진 주파수는 불소(F) 원자의 공명 주파수(Larmor Frequency)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진 주파수는 인(P) 원자의 공명 주파수(Larmor Frequency)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은 유사한 공명 주파수를 갖는 복수 종의 원소에 대하여도 자기공명영상을 취득할 수 있고,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 코일 간의 간섭이 없어 상이한 복수 개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라디오 주파수 코일의 설계 및 제작을 용이하게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을 불소와 수소 신호 측정용으로 설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을 인과 수소 신호 측정용으로 설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을 이용한 불소의 자기공명영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을 이용한 수소의 자기공명영상에 불소의 자기공명영상을 융합한 영상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100)은 일단과 타단에 위치하는 엔드링(111,112)과 양단의 엔드링(111,112)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레그(121~130,141,142)를 구비하는 새장형 코일(birdcage coil) 타입으로 형성된다.
레그(121~130,141,142)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계된 복수 개의 제1 레그(121~130)와 제2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계된 복수 개의 제2 레그(141,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그(121~130)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중앙부에 제1 커패시터(161)가 결합될 수 있고, 제2 레그(141,142)는 제2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중앙부에 제2 커패시터(151)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레그(141,142)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레그(141,142)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레그(121~130)는 제2 레그(141,142)의 양측으로 총 4N-2개(N은 양의 정수)가 대칭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레그(121~130)와 제2레그(141,142)는 총 4N개가 양단의 엔드링(111,112)사이에 등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레그(121~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그(121)에는 제1 신호선(181)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신호선(181)은 제1 레그(121~130)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1 공진 주파수에 공명하는 원소의 공명을 유도하고, 해당 공명 신호를 외부의 신호처리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레그(141,142) 역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그(141)에는 제2 신호선(182)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신호선(182)은 제2 레그(141,142)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2 공진 주파수에 공명하는 원소의 공명을 유도하고, 해당 공명 신호를 외부의 신호처리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1 신호선(181)은 제2 레그(141,142)와 90도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새장형 코일의 경우, 레그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류를 입력/출력하며 각 레그의 전류분포를 살펴보면, 전류를 입력/출력하는 레그를 기준으로 90도 회전한 곳에 위치한 레그에는 전류의 흐름이 측정되지 않는다.
새장형 코일에서 레그 중 하나를 통해 전류를 입력/출력하게 되면, 새장형 코일이 폐루프를 형성하여 복수 개의 레그에 대칭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전류를 입력/출력하는 레그를 기준으로 90도 회전한 곳에 위치한 레그에는 전류의 흐름이 측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류의 흐름이 측정되지 않는 레그를 제거하더라도 제거 전후의 코일의 작동 상태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즉 새장형 코일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상호 인덕턴스가 작용하지 않는 독립적인 두 코일 군이 존재할 수 있다.
새장형 코일의 상기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독립적인 두 코일 군을 각각 이종 원소의 공명 주파수에서 공진되도록 튜닝하여도 상호 영향이 없어 간편하게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을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을 불소와 수소 신호 측정용으로 설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그(121~130)는 불소(F) 신호 측정용으로, 제2 레그(141,142)는 수소(H) 신호 측정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불소의 Larmor Frequency는 40.0541(MHz/T)이고, 수소의 Larmor Frequency는 42.5759(MHz/T)이므로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100)이 사용되는 자기장의 세기에 맞게 제1 커패시터(161)와 제2 커패시터(151)의 용량을 선택하여 제1 레그(121~130)와 제2 레그(141,142)의 공진주파수를 각각 튜닝할 수 있다.
종래의 자기공명영상장비는 주로 수소의 자기공명을 이용한 영상을 이용했으나, 핵의학 영상장비에 비해 민감도가 낮아 질병 진단에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Gd(Gadolinium)을 이용한 T1-조영제나 산화철 나노입자를 이용한 T2-조영제 등의 영상 조영제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는 간접적인 영상효과이므로, 조영제의 정량분석과 조영제의 생체 내 분포 등에 대한 정보취득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해, 불소는 자연 존재비가 100%이므로 방사선이 없고, 인체 내에 존재하지 않으며, 불소 원자의 자기공명신호는 수소에 비해 약 83%정도 강하다. 따라서 불소를 생체 내에 주입하고 불소의 자기공명영상 신호를 얻어 영상을 획득하면 민감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다만 불소의 신호가 수소나 다른 원소의 것에 비해 매우 강한 편이나, 인체 내에 주입할 수 있는 양의 한계가 있고, 인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수분에 포함된 수소 신호에 비해 출력되는 신호가 약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그(141,142)보다 많은 레그를 갖는 제1 레그(121~130)를 불소 신호 측정용으로 튜닝하고, 제2 레그(141,142)를 수소신호 측정용으로 튜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을 인과 수소 신호 측정용으로 설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그(121~130)는 인(P) 신호 측정용으로, 제2 레그(141,142)는 수소(H) 신호 측정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의 Larmor Frequency는 17.235(MHz/T)이고, 수소의 Larmor Frequency는 42.5759(MHz/T)이므로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이 사용되는 자기장의 세기에 맞게 제1 커패시터(161)와 제2 커패시터(151)의 용량을 선택하여 제1 레그(121~130)의 제1 공진 주파수와 제2 레그(141,142)의 제2 공진 주파수를 각각 튜닝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 레그(121~130)는 인(P)이외에도, 리튬(Li), 나트륨(Na), 요오드(I)의 신호 측정용으로 튜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을 이용한 불소의 자기공명영상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을 이용한 수소의 자기공명영상에 불소의 자기공명영상을 융합한 영상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쥐의 체내에 불소를 주입한 후, 제1 신호선(181)을 통해 전류를 입력하고 불소 공명 신호를 측정하여 불소에 의한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신호선(182)을 통해 전류를 입력하고 수소 공명 신호를 측정하여 수소에 의한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영상처리를 통해 불소의 자기공명영상과 수소의 자기공명영상을 융합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융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200)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200)은 제1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계된 복수 개의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과, 복수 개의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되는 제1 신호선(281)와, 제2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설계된 복수 개의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221~224)과, 복수 개의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221~224)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되는 제2 신호선(282)를 포함하는 어레이 코일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은 제1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중앙부에 제1 커패시터(231)가 결합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221~224)은 제2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중앙부에 제2 커패시터(241)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과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221~224)의 입/출력단에는 각각 제1 매칭부(251)와 제2 매칭부(261)가 구비될 수 있다. 각 매칭부(251,261)는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과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221~224)의 공진 주파수를 튜닝하거나, 전력 전달의 효율을 위해 임피던스 매칭을 할 수 있다.
한편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221~224)은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의 사이사이에 위치하여,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과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221~224)이 교대로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과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221~224)은 서로 상호 인덕턴스가 작용하지 않도록 제작되어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과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221~224)이 서로 독립적으로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을 특정 원소의 공명 주파수에서 공진되도록 튜닝하고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221~224)을 이종 원소의 공명 주파수에서 공진되도록 튜닝을 하더라도,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과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221~224)이 상호 간에 영향이 없으므로 정확하게 각각의 공진 주파수를 튜닝 할 수 있고, 간편하게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을 설계하고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은 불소(F) 신호 측정용으로,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221~224)은 수소(H) 신호 측정용으로 설계될 수 있다. 불소의 Larmor Frequency는 40.0541(MHz/T)이고, 수소의 Larmor Frequency는 42.5759(MHz/T)이므로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200)이 사용되는 자기장의 세기에 맞게, 제1 매칭부(251) 또는 제1 커패시터(231)의 용량을 조절하여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의 제1 공진주파수를 불소의 Larmor Frequency에 대응되도록 하고, 제2 매칭부(261) 또는 제2 커패시터(241)의 용량을 조절하여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221~224)의 제2 공진주파수를 수소의 Larmor Frequency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은 인(P) 신호 측정용으로,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221~224)은 수소(H) 신호 측정용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인의 Larmor Frequency는 17.235(MHz/T)이고, 수소의 Larmor Frequency는 42.5759(MHz/T)이므로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이 사용되는 자기장의 세기에 맞게, 제1 매칭부(251) 또는 제1 커패시터(231)의 용량을 조절하여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의 제1 공진주파수를 인의 Larmor Frequency에 대응되도록 하고, 제2 매칭부(261) 또는 제2 커패시터(241)의 용량을 조절하여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221~224)의 제2 공진주파수를 수소의 Larmor Frequency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211~214)은 리튬(Li), 나트륨(Na), 요오드(I)의 신호 측정용으로 튜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은 상호 인덕턴스가 작용하지 않는 복수 개의 라디오 주파수 코일을 이용하여, 복수 종의 원소의 특성에 따른 공명 주파수에 대응하여 공진되도록 한다. 상호 인덕턴스가 작용하지 않는 라디오 주파수 코일 간에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서로를 독립된 라디오 주파수 코일로 보고 공진 주파수를 설계할 수 있어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의 설계가 간편하다.
특히 불소와 수소처럼 공명 주파수가 인접한 경우에도 불소와 공명하는 라디오 주파수 코일과 수소와 공명하는 라디오 주파수 코일을 독립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200: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111,112: 엔드링 121~130: 제1 레그
141,142: 제2 레그 151: 제2 커패시터
161: 제1 커패시터 181,281: 제1 신호선
182,282: 제2 신호선 211~214: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
221~224: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
251: 제1 매칭부 261: 제2 매칭부

Claims (13)

  1. 일단과 타단에 각각 위치하는 엔드링;
    상기 엔드링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제1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제1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제1 레그;
    상기 엔드링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제2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제2 커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레그와 상호 인덕턴스가 작용하지 않는 제2 레그;
    상기 복수 개의 제1 레그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되는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레그와 연결되는 제2 신호선을 포함하는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레그는 상기 제2 레그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그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레그는 상기 제1 신호선과 90도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진 주파수는 수소(H) 원자의 공명 주파수(Larmor Frequenc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 주파수는 불소(F) 원자의 공명 주파수(Larmor Frequenc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 주파수는 인(P) 원자의 공명 주파수(Larmor Frequenc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8. 제1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
    상기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과 상호 인덕턴스가 작용하지 않고, 제2 공진 주파수를 갖는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
    상기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과 연결되는 제1 신호선; 및
    상기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과 연결되는 제2 신호선을 포함하는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신호선은 복수 개의 상기 제1 라디오 주파수 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은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신호선은 복수 개의 상기 제2 라디오 주파수 코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진 주파수는 수소(H) 원자의 공명 주파수(Larmor Frequenc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 주파수는 불소(F) 원자의 공명 주파수(Larmor Frequenc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 주파수는 인(P) 원자의 공명 주파수(Larmor Frequenc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KR1020110049844A 2011-05-26 2011-05-26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KR20120131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844A KR20120131571A (ko) 2011-05-26 2011-05-26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844A KR20120131571A (ko) 2011-05-26 2011-05-26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571A true KR20120131571A (ko) 2012-12-05

Family

ID=4751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844A KR20120131571A (ko) 2011-05-26 2011-05-26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157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935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알에프 코일 장치
WO2017191860A1 (ko) * 2016-05-02 2017-11-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WO2021112454A1 (ko) * 2019-12-04 2021-06-10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자기공명영상시스템 내에서 타핵종 핵자기공명신호를 얻을 수 있는 고주파코일장치 및 동작방법
KR20220149136A (ko) * 2021-04-30 2022-11-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정 핵종의 몰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자기공명영상용 rf 코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935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알에프 코일 장치
WO2017191860A1 (ko) * 2016-05-02 2017-11-0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WO2021112454A1 (ko) * 2019-12-04 2021-06-10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자기공명영상시스템 내에서 타핵종 핵자기공명신호를 얻을 수 있는 고주파코일장치 및 동작방법
KR20220149136A (ko) * 2021-04-30 2022-11-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정 핵종의 몰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자기공명영상용 rf 코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mon et al. Skeletal muscle diffusion tensor‐MRI fiber tracking: rationale,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methods, ap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JP4749417B2 (ja) 磁気共鳴を用いた検査装置および核磁気共鳴信号受信用コイル
US5041790A (en) Dual-tuned RF coil for MRI spectroscopy
Bulumulla et al. Conductivity and permittivity imaging at 3.0 T
Tao et al. Gradient nonlinearity calibration and correction for a compact, asymmetr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gradient system
KR102237827B1 (ko) 유전 구조체를 포함하는 rf 코일부 및 이를 포함하는 자기공명영상 시스템
Chi et al. Adaptive cylindrical wireless metasurfaces in clinic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KR20120131571A (ko) 다중 공명 라디오 주파수 코일
Fantasia et al. Numerical and workbench design of 2.35 T double-tuned (¹H/²³Na) nested RF birdcage coils suitable for animal size MRI
US11740301B2 (en) Eigenmode transmit array coil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9689939B2 (en) Split birdcage coil, devices, and methods
Brand et al. Design and performance of a transformer‐coupled double resonant quadrature birdcage coil for localized proton and phosphorus spectroscopy in the human calf muscle at 7 T
Mahmutovic et al. A 64-channel brain array coil with an integrated 16-channel field monitoring system for 3T MRI
Giovannetti et al. Magnetic resonance butterfly coils: Design and application for hyperpolarized 13C studies
Brui et al. Volumetric wireless coil for wrist MRI at 1.5 T as a practical alternative to Tx/Rx extremity coil: a comparative study
Farag et al. Unshielded asymmetric transmit‐only and endorectal receive‐only radiofrequency coil for 23Na MRI of the prostate at 3 tesla
Puddu et al. An asymmetrical whole‐body birdcage RF coil without RF shield for hyperpolarized 129Xe lung MR imaging at 1.5 T
CN115856736A (zh) 一种磁共振双核成像系统及其异形鸟笼线圈装置
Zhu et al. Detunable wireless Litzcage coil for human head MRI at 1.5 T
Heo et al. A study on multiple array method of birdcage coils to improve the signal intensity and homogeneity in small‐animal whole‐bod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t 7 T
Villalon-Reina et al. Alternative diffusion anisotropy measures for the investigation of white matter alterations in 22q11. 2 deletion syndrome
Park et al. Sensitivity and uniformity improvement of phased array MR images using inductive coupling and RF detuning circuits
Malzacher Simulation and development of RF resonators for preclinical and clinical 1H and X-nuclei MRI
Malzacher et al. Evaluating the effects of receive-only arrays in specific absorption rate simulations at 3 and 7 T
He et al. The design of an open MRI 4-channel receive-only phased array knee c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