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0959A - 전극 구조체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전극 구조체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0959A
KR20120130959A KR1020110049068A KR20110049068A KR20120130959A KR 20120130959 A KR20120130959 A KR 20120130959A KR 1020110049068 A KR1020110049068 A KR 1020110049068A KR 20110049068 A KR20110049068 A KR 20110049068A KR 20120130959 A KR20120130959 A KR 20120130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joint surfac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8507B1 (ko
Inventor
정호섭
최상규
이승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1004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50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0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making use of vibrations, e.g. ultrasonic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구조체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양극 탭이 구비된 양극판, 음극 탭이 구비된 음극판 및 분리막이 교호 적층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외장재; 상기 양극 탭과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접합되는 양극 리드; 및 상기 음극 탭과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접합되는 음극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음극 리드와 상기 음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의 밀도가 상기 양극 리드와 상기 양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 밀도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극 용접 접합면에 높은 용접 포인트 밀도를 형성시킴으로써, 이차 전지의 음극 용접 접합면 강도를 양극 용접 접합면의 강도만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전극 구조체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electrode structure strength}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탭과 전극 리드가 용접 접합되는 용접 부위의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며,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가량으로서, 전자 장비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니켈-수소 전지보다 약 3배의 용량을 가지며,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그 활용 정도가 급속도로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구조를 가진 단위 셀을 집합시킨 셀 어셈블리와, 셀 어셈블리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케이스를 구비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셀 어셈블리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셀 어셈블리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된다.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통해 대용량의 전지 팩을 구성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최근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력 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판형으로 이루어진 전극 리드가 접속된 셀 어셈블리가 파우치 케이스에 전해액과 함께 밀봉된 구조를 가진다. 전극 리드의 일부는 파우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전극 리드는 이차 전지가 장착되는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이차 전지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10)는 전극 조립체(30)와, 전극 조립체(3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극 탭들(40, 50)과, 전극 탭들(40, 50)에 용접되어 결합된 전극 리드(60, 70)와, 전극 조립체(30)를 수용하는 파우치 외장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극 조립체(30)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발전소자로서, 스택형, 젤리-롤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젤리-롤형 구조의 전극 조립체(30)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10)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9-88761호(명칭 :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7-47377호(명칭 :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각형 이차전지)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스택/폴딩형 구조의 전극 조립체(30) 또는 이 전극 조립체(30)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10)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8-36250호(명칭 : 혼합형 스택 및 폴딩형 전극조립체와 이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및 한국등록특허 제0987300호(명칭 :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그것의 제조방법)를 예로 들 수 있다.
전극 탭들(40, 50)은 전극 조립체(30)의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전극 리드(60, 70)는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된 복수 개의 전극 탭들(40, 50)과 용접에 의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파우치 외장재(20)의 외부로 일부 노출된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파우치 외장재(20)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와 같은 연포장재로 이루어지며, 전극 조립체(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파우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전극 탭(40, 50)과 전극 리드(60, 70)를 용접할 때, 열영향부(HAZ: Heat-affected zone)가 양호하고 얇은 금속박의 용접에 용이한 초음파 용접 기법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초음파 용접은 10kHz ~ 75kHz의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고, 금속 간의 초음파 진동 마찰열을 통해 금속을 용접하는 기법이다. 즉, 전극 탭(40, 50)과 전극 리드(60, 70)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초음파 용접 장치에 의해 초음파 진동이 가해지면, 전극 탭(40, 50)과 전극 리드(60, 70) 간의 접촉면에서 마찰열이 발생하고, 이 마찰열로 인하여 전극 탭(40, 50)과 전극 리드(60, 70)가 서로 용접된다.
한편, 양극 구조체(40, 60)와 음극 구조체(50, 70)는 서로 다른 성질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양극 구조체(40, 60)는 주로 알루미늄이 사용되며, 음극 구조체(50, 70)는 구리 또는 니켈 도금된 구리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즉, 양극 탭(40)과 양극 리드(60)는 알루미늄 재질로서 형성되고, 음극 탭(50)과 음극 리드(70)는 구리 또는 니켈 도금된 구리로 형성된다.
그런데 이렇게 이원화된 전극 구조체로 인하여, 양극 탭(40)과 양극 리드(60)의 용접 접합면(이하, '양극 용접 접합면'으로 지칭함)과 음극 탭(50)과 음극 리드(70)의 용접 접합면(이하, '음극 용접 접합면'으로 지칭함)은 서로 다른 용접 강도를 갖는다. 부연하면, 동일한 초음파 용접 공정을 통해 각 전극 탭(40, 50)과 전극 리드(60, 70)가 용접된 경우, 알루미늄이 니켈 및 구리보다 녹는 점이 낮아 양극 용접 접합면이 음극 용접 접합면보다 쉽게 용접되고, 이에 따라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가 양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상기 용접 강도는 용접 접합면이 견딜 수 있는 응력을 의미한다.
이렇게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가 낮음으로 인하여, 이차 전지(10)에서는 음극 탭(50)과 음극 리드(70)의 접촉 상태가 쉽게 훼손될 수 있다. 즉, 음극 용접 접합면이 양극 용접 접합면보다 낮은 용접 강도를 가짐에 따라 이차 전지(10)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진 경우, 음극 용접 접합면의 훼손율이 양극 용접 접합면보다 높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극 간의 용접 강도 불균일 현상은 접촉 저항 불균일 현상을 야기한다. 부연하면,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음에 따라(즉, 접촉 상태가 불량함에 따라), 음극 용접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접촉 저항(contact resistance)은 양극 용접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접촉 저항보다 높게 나타난다. 이렇게 음극 용접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높은 접촉 저항은 배터리 셀의 열을 유발함으로써 이차 전지(10)의 전기 전도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게다가, 양 전극 간의 접촉 저항 불균일 현상은 이차 전지(10)의 퇴화를 가속화시키는 부등 발열 현상 또는 부반응 현상을 야기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음극 탭(50)과 음극 리드(70)의 용접 접합면에 대한 용접 강도를 개선하는 해결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극 용접 접합면과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가 균일하게 형성된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음극 탭과 음극 리드의 결합 상태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양극 탭이 구비된 양극판, 음극 탭이 구비된 음극판 및 분리막이 교호 적층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외장재; 상기 양극 탭과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접합되는 양극 리드; 및 상기 음극 탭과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접합되는 음극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음극 리드와 상기 음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의 밀도가 상기 양극 리드와 상기 양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 밀도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극 리드와 상기 음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의 개수는, 상기 양극 리드와 상기 양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리드와 상기 음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개별 용접 포인트의 면적은, 상기 양극 리드와 상기 양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개별 용접 포인트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음극 용접 접합면에 높은 용접 포인트 밀도를 형성시킴으로써, 이차 전지의 음극 용접 접합면 강도를 양극 용접 접합면의 강도만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 간의 용접 강도를 균일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이차 전지 퇴화의 원인이 되는 양 전극 간의 접촉 저항 불균일 현상을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에 의해서 초음파 용접되는 이차 전지의 전극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완료된 음극 구조체와 양극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완료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완료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완료된 음극 구조체와 양극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완료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완료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에 의해서 초음파 용접되는 이차 전지의 전극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100)는 초음파 발진기(110), 초음파 진동자(120), 부스터(booster)(130) 및 혼(horn)(140a, 140b)을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 발진기(110)는 60Hz의 AC 전류를 20kHz 이상의 고주파 전류로 변환시켜 초음파 진동자(120)에게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초음파 진동자(120)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며, 초음파 압전자라고 불리기도 한다. 즉, 초음파 발진기(110)에서 생성된 고주파 전류는 초음파 진동자(120)에 의해 초음파로 변환되고, 이렇게 변환된 초음파는 부스터(130)로 전달된다. 부스터(130)는 전달받은 초음파를 증폭시켜 혼(140a, 140b)으로 전달한다.
혼(140a, 140b)은 앤빌(anvil)(150) 상에 놓인 전극 탭(310, 320)들의 표면을 일정 하중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부스터(130)로부터 전달받은 증폭된 초음파를 전극 탭(310, 320)으로 인가시킴으로써, 복수의 양극 탭(310)과 복수의 음극 탭(320)을 각각 1차 용접한다. 또한, 혼(140a, 140b)은 1차 용접 완료된 전극 탭(310, 320)과 전극 리드(330, 340)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전극 리드(330, 340)의 표면을 일정 하중으로 가압하고 부스터(130)로부터 전달받은 증폭된 초음파를 전극 리드(330, 340)로 인가시킴으로써, 상기 전극 리드(330, 340)와 전극 탭(310, 320)을 2차 용접시킨다. 즉, 혼(140a, 140b)은 전극 탭(310, 320)과 접촉된 전극 리드(330, 340)를 일정 압력으로 누르고 부스터(130)로부터 전달받은 증폭된 초음파를 전극용 리드(330, 340)에 인가시킨다. 이에 따라, 전극 탭(310, 320)과 전극 리드(330, 340)의 접촉 면에서 마찰열이 발생되고, 이 발생된 마찰열을 통해 전극 탭(310, 320)과 전극 리드(330, 340)가 서로 용접된다.
이러한 혼(140a, 140b)은 서로 상이한 가압면 밀도를 가지는 양극용 혼(140a)과 음극용 혼(140b)으로 구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양극용 혼(140a)과 음극용 혼(140b)은 전극 리드(330, 340)로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는 복수의 접촉부재(141a, 141b)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재(141a, 141b)의 끝단은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접촉부재(141a, 141b)의 끝단 면적 총합이 양극용 혼(140a)과 음극용 혼(140b)의 가압면 밀도를 각각 결정한다. 여기서, 혼(140a, 140b)의 가압면 밀도는 전극 리드(330, 340)를 가압하면서 초음파를 발신하는 혼(140a, 140b)의 끝단 면적에 대한 밀도로서, 혼(140a, 140b)의 하면의 단위 면적에 포함되는 접촉부재(141a, 141b)의 끝단 면적을 의미한다.
상기 음극용 혼(140b)과 양극용 혼(140a)에 형성된 접촉부재(141a, 141b)의 끝단 면적은 서로 동일하되, 상기 음극용 혼(140b)에 형성된 접촉부재(이하, '음극용 접촉부재'로 지칭함)(141b)의 개수는 양극용 혼(140a)에 형성된 접촉부재(이하, '양극용 접촉부재'로 지칭함)(141a)의 개수보다 많고, 이에 따라 음극용 혼(140b)은 양극용 혼(140a)보다 높은 가압면 밀도를 갖는다. 즉, 음극용 혼(140b)에는 양극용 혼(140a)보다 많은 개수의 접촉부재(141b)가 밀집되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음극용 접촉부재(141b)의 끝단 면적 총합이 양극용 접촉부재(141a)의 끝단 면적의 총합보다 크게 되어, 결과적으로 음극용 혼(140b)의 가압면 밀도가 양극용 혼(140a)의 가압면 밀도보다 높게 형성된다. 부연하면,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를 양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음극용 혼(140b)은 양극용 혼(140a)보다 높은 용접 가압면의 밀도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완료된 음극 구조체와 양극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완료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완료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도 7 및 도 11에서 용접 포인트(351, 361, 951, 961)의 형상은 완전한 원형이 아니지만 설명의 편의를 돕기 위해서 원형으로 도시하였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혼(140a, 140b)에 의해서 초음파 용접된 용접 접합면(370, 380)에는 복수의 용접 포인트(351, 361)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용접 포인트(351, 361)는 전극 리드(330, 340)의 전체 하면과 전극 탭(310, 320)의 전체 상면 중에서 초음파 진동을 통해 용융되어 접합되는 부위를 의미한다. 또한, 용접 접합면(370, 380)은 용접 포인트(351, 361)를 통해서 서로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리드(330, 340) 하면과 전극 탭(310, 320) 상면의 계면을 의미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 용접 포인트(361)의 밀도와 양극 용접 포인트(351)의 밀도는 음극용 혼(140b)의 가압면 밀도와 양극용 혼(140a)의 가압면 밀도와 각각 대응되어 나타난다. 즉, 상대적으로 높은 가압면 밀도를 가지는 음극용 혼(140b)을 통해 이차 전지의 음극 탭(320)과 음극 리드(340)가 용접되는 경우, 음극 용접 접합면(380)에서 나타나는 용접 포인트(361)의 밀도가 양극 용접 접합면(370)의 용접 포인트(351) 밀도보다 높다.
이렇게 양극용 혼(140a)보다 높은 가압면 밀도가 형성된 음극용 혼(140b)을 이용하여 초음파 공정을 진행한 경우, 음극 용접 접합면(380)의 용접 강도는 양극 용접 접합면(370)의 용접 강도만큼 향상된다. 즉, 전극 리드(330, 340)와 전극 탭(310, 320)의 접합시키는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용접 포인트(351, 361)가 초음파 용접 과정에서 음극 용접 접합면(380)에 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음극 탭(320)과 음극 리드(340)는 종래의 음극 탭(50)과 음극 리드(70)보다 더욱 강하게 접합되어 용접된다. 이 결과, 음극 용접 접합면(380)의 용접강도는 종래의 이차전지(10)에 형성된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강도보다 향상되고, 더불어 양극 용접 접합면(370)의 용접 강도 수준만큼 확보된다.
한편, 양극 용접 접합면(370)과 음극 용접 접합면(380)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351, 361)의 개수는 서로 동일하지만, 음극 용접 접합면(380)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361)의 면적이 양극 용접 접합면(370)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351)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완료된 음극 구조체와 양극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완료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완료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각 혼(840a, 840b)에 형성된 양극용 접촉부재(841a)와 음극용 접촉부재(841b)의 개수는 서로 동일하지만, 음극용 접촉부재(841b)의 끝단 면적이 양극용 접촉부재(841a)의 끝단 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즉, 음극용 접촉부재(841b)와 양극용 접촉부재(841a)의 개수가 서로 동일하지만, 음극용 접촉부재(841b)의 끝단 면적이 양극용 접촉부재(841a)의 끝단 면적보다 넓음에 따라 음극용 혼(840b)의 가압면 밀도가 양극용 혼(840a)의 가압면 밀도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혼(840a, 840b)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 공정을 진행하면,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극 용접 접합면(980)의 용접 포인트(961)가 양극 용접 접합면(970)의 용접 포인트(951)보다 넓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음극 용접 접합면(980)의 용접 강도가 양극 용접 접합면(970)의 용접 강도 수준만큼 향상된다.
즉, 전극 리드(930, 940)와 전극 탭(910, 920)의 접합시키는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개별 용접 포인트(951, 961)가 초음파 용접 과정에서 음극 용접 접합면(980)에 보다 넓게 형성되고, 이러한 용접 포인트(961)에 의해 음극 탭(920)과 음극 리드(940)는 종래의 음극 탭(50)과 음극 리드(70)보다 더욱 강하게 접합되어 용접된다. 이에 따라, 음극 용접 접합면(980)의 용접강도는 종래의 이차전지(10)에 형성된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강도보다 향상되고, 더불어 양극 용접 접합면(970)의 용접 강도 수준만큼 확보된다.
한편, 음극용 접촉부재(141b, 841b)의 끝단 총 면적이 양극용 접촉부재(141a, 741a)의 끝단 총 면적과 대비하여 넓게 형성되도록, 복수의 음극용 접촉부재(141b, 841b)가 음극용 혼(140b, 840b)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음극용 혼(140b, 840b)과 양극용 혼(140a, 840a)에는 크기와 개수와 상이한 접촉부재가 형성되지만, 음극용 혼(140b, 840b)에 분포된 접촉부재의 끝단 면적 총합은 양극 혼(140a, 840a)에 분포된 접촉부재의 끝단 면적 총합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음극용 혼에 의해서 초음파 공정이 진행되면, 음극 용접 접합면(380, 980)과 양극 용접 접합면(370, 970)에 형성되는 용접 포인트는 개수와 크기가 서로 상이하지만, 음극 용접 접합면(380, 980)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의 총 면적은 양극 용접 접합면(370, 970)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의 총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음극 용접 접합면(380, 980)의 용접 포인트 밀도가 양극 용접 접합면(370, 970)의 용접 포인트 밀도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초음파 공정을 진행하면, 이차 전지를 구성하는 음극 용접 접합면(380, 980)의 용접 강도가 양극 용접 접합면(370, 970)의 용접 강도만큼 향상되고, 이에 따라 외부 충격으로부터 음극 용접 접합면(380, 980)의 파손이 예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양 전극 간의 용접 강도가 균일하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양 전극 간의 접촉 저항도 균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접촉부재(141a, 141b, 841a, 841b)의 형상이 핀(pin)이고, 용접 포인트(351, 361, 951, 961)의 형태가 원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기둥 형상, 삼각기둥 형상, 테이퍼 형상, 반구 형상, 뿔 형상, 쐐기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접촉부재(141a, 141b, 841a, 841b)가 채택되고 이에 따라 용접 포인트(351, 361, 951, 961)의 형상이 상기 접촉부재(141a, 141b, 841a, 841b)의 형상과 대응되어 용접 접합면(370, 380, 970, 980)에 형성될 수 있음을 분명히 해 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 파우치 외장재 30 : 전극 조립체
40, 310, 910 : 양극 탭 50, 320, 920 : 음극 탭
60, 330, 930 : 양극 리드 70, 340, 940 : 음극 리드
100 : 초음파 용접 장치 110 : 초음파 발진기
120 : 초음파 진동자 130 : 부스터
140, 840 : 혼 141, 841 : 접촉부재
150 : 앤빌 351, 361, 951, 961 : 용접 포인트
370, 380, 970, 980 : 용접 접합면

Claims (5)

  1. 양극 탭이 구비된 양극판, 음극 탭이 구비된 음극판 및 분리막이 교호 적층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파우치 외장재;
    상기 양극 탭과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접합되는 양극 리드; 및
    상기 음극 탭과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접합되는 음극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음극 리드와 상기 음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의 밀도가 상기 양극 리드와 상기 양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 밀도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리드와 상기 음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의 개수는, 상기 양극 리드와 상기 양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의 개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리드와 상기 음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개별 용접 포인트의 면적은, 상기 양극 리드와 상기 양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개별 용접 포인트의 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리드와 상기 음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의 총 면적은, 상기 양극 리드와 상기 양극 탭의 용접 접합면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의 총 면적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포인트는, 초음파 용접용 혼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KR1020110049068A 2011-05-24 2011-05-24 전극 구조체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 KR101278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068A KR101278507B1 (ko) 2011-05-24 2011-05-24 전극 구조체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068A KR101278507B1 (ko) 2011-05-24 2011-05-24 전극 구조체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959A true KR20120130959A (ko) 2012-12-04
KR101278507B1 KR101278507B1 (ko) 2013-07-02

Family

ID=4751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068A KR101278507B1 (ko) 2011-05-24 2011-05-24 전극 구조체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287A (ko) * 2014-08-11 2016-0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초음파 용접 장치,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제조 방법 및 그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3781B2 (ja) * 1997-03-27 2006-02-08 日本電池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5005642A (ja) 2003-06-16 2005-01-06 Nec Tokin Corp チップ型固体電解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5054419B2 (ja) * 2006-07-06 2012-10-24 エナ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状二次電池
JP4936839B2 (ja) 2006-09-28 2012-05-23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電池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287A (ko) * 2014-08-11 2016-0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초음파 용접 장치,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제조 방법 및 그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8507B1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9536B2 (ja) 補強タブ結合構造及び電極リード曲げ結合構造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電池
KR101387025B1 (ko) 접촉저항이 개선된 이차전지
US10396317B2 (en) Ultrasonic welding apparatus and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electrode structure
JP4936839B2 (ja) 密閉電池の製造方法
JP5054419B2 (ja) シート状二次電池
JP5952402B2 (ja) 製造工程性の向上したジェリーロ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電池セル
CN105364295B (zh) 超声焊接装置、制造可再充电电池的方法以及可再充电电池
US20210119305A1 (en) Electrode Assembly Configured Such that Pressure Welding Portions of Electrode Tab Welding Portions Have Different Sizes and Ultrasonic Welding Apparatus Configured to Manufacture the Same
CN110326130B (zh) 具有改善的电极接片焊接特性的电极及包括该电极的二次电池
KR101367753B1 (ko) 전극 구조체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
KR101520168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1924428B1 (ko) 플렉서블 전지용 금속탭
KR101354142B1 (ko) 초음파 용접 장치
KR101367752B1 (ko) 초음파 용접 장치
KR101277731B1 (ko) 전극 구조체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
KR101278507B1 (ko) 전극 구조체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
JP2012209269A (ja) シート状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1433196B1 (ko) 초음파 용접 장치
JP2000215879A (ja) ポリマ―電解質電池
JP7205723B2 (ja) 超音波接合方法
JP7336287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40005A (ja) 二次電池及び組電池
KR102044404B1 (ko) 전극 탭과 전극 리드 사이에 보강 탭 결합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전지
KR20190061573A (ko) 전극탭과 리드의 접합방법
US20120171568A1 (en) Prismatic battery cell we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