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0417A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for self-directed learning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for self-directed lear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0417A
KR20120130417A KR1020110048325A KR20110048325A KR20120130417A KR 20120130417 A KR20120130417 A KR 20120130417A KR 1020110048325 A KR1020110048325 A KR 1020110048325A KR 20110048325 A KR20110048325 A KR 20110048325A KR 20120130417 A KR20120130417 A KR 20120130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schedule
time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3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45372B1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김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환 filed Critical 김정환
Priority to KR102011004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372B1/en
Publication of KR2012013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4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3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schedule managing terminal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a schedule managing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asily manage and store a study plan of a learner by directly and easily inputting a study schedule. CONSTITUTION: An input unit(20) receives study schedule data from a user according to each study schedule. A storage unit(70) stores the inputted study schedule data. An image output unit(30) displays a completed schedule by referring to the stored study schedule data. A voice output unit(40) outputs an alarm voice at a start time of a study schedule. A code reading unit(60) obtains an identification code image to store the same in the storage unit. [Reference numerals] (10) Control unit; (20) Input unit; (30) Image output unit; (40) Voice output unit; (50) Location sensing unit; (60) Code reading unit; (70) Storage unit; (80) Communication unit

Description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FOR SELF-DIRECTED LEARNING}Schedule management terminal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sam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FOR SELF-DIRECTED LEARNING}

본 발명은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 계획을 직접 세우고, 계획에 포함된 학습 일정의 수행 여부를 편리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hedule management terminal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self-directed learning that directly establishes a learning plan and conveniently evaluates whether the learning schedule included in the plan is performed. It relates to a schedule management terminal and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주입식 교육의 폐해를 시정하고 보다 자율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학생들을 보다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성인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최근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 스스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과정 및 전력, 학습자원을 결정하여 학습을 수행하고 학습 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일련의 학습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방법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학습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의욕이 있어야 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을 가져야 하며, 문제 해결시에 새로운 방식을 적용해 보려는 창의적인 학습태도가 필요하다.In recent years, interest in self-directed learning has been increasing to make students more independent and subjective adults by correcting the obstacles of infusion education and creating a more autonomous learning environment. Here, self-directed learning refers to a series of learning processes in which learners set their own learning goals, determine their learning process, power, and learning resources to conduct learning and evaluate the learning results themselves. For these methods to be effective, learners must have a high interest and motivation for learning, have a positive belief in their abilities, and have a creative learning attitude to apply new ways in solving problems.

그러나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가 스스로 모든 일정과 자원을 관리하는 방식으로서 학습 일정의 관리, 감독이 어렵고, 학습 수행 결과를 평가하기도 난해하다. 따라서 학생들 스스로 학습 일정을 계획하고, 계획된 일정을 소화하여 일정 수행 결과를 평가한 후, 평가 결과를 다음 일정에 반영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울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어 왔다.However, self-directed learning is a way for learners to manage all schedules and resources on their own, and it is difficult to manage and supervise learning schedules and to evaluate the results of learning. Therefore, there has been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help a series of processes for students to plan their own learning schedule, digest the planned schedule, evaluate the outcome of the schedule, and then reflect the assessment results in the next schedule.

하지만 일반적인 스케줄 관리 방법이나 시스템은, 단순히 입력된 계획을 보여주는 시스템이고, 각각의 일정을 관리하여 평가하고, 평가된 결과를 다시 일정에 반영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However, a general schedule management method or system is simply a system that shows an input plan, and it is not enough to manage and evaluate each schedule and reflect the evaluated results back to the schedule.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 스스로 용이하게 학습 일정을 입력할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hedule management terminal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that the learner can easily enter the learning schedu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습자가 입력한 학습 일정의 수행 여부를 학습자 스스로의 평가와 더불어 보다 객관적인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hedule management terminal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which enables the learner to evaluate whether the learning schedule input by the learner is performed in a more objective manner.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학습자의 학습 수행 여부 평가 결과를 다음 일정을 계획하는데 반영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학습자의 일정을 자동으로 스케줄에 반영하고 학습자가 세운 계획이 최대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flect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learner's learning performance in the next schedule, to automatically reflect the schedule of the learner, which can vary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schedule and the plan set by the learner can be performed as much as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hedule management terminal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학습 내용, 학습 제목, 학습 범위, 학습 우선순위, 학습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와 학습시간을 포함하는 학습 일정 데이터를 각각의 학습 일정별로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학습 일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일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완성된 스케줄을 표시하는 화상출력부와; 학습 일정의 시작시간이 도래하면 알람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식별 코드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코드독출부; 그리고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arning schedule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learning content, learning title, learning range, learning priority, learning importance and learning time from the user, respectively An input unit to receive input for each learning schedule; A storage unit storing learning schedule data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An image output unit which displays a completed schedule by referring to the learning schedul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voi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n alarm voice when a start time of the study schedule arrives; A code reading unit which obtains an identification code image and stores the identification code image; And

상기 코드독출부에서 독출된 식별 코드를 각각의 학습 일정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일정에 대하여 코드독출부를 구동하여 식별 코드 이미지를 새로 수신받고 새로 수신된 식별 코드가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 일정에 대응하여 저장된 식별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학습 일정의 수행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identification code read by the code reading unit i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learning schedule, and the code reading unit is driven for the learning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to newly receive the identification code image, and the newly received identification code is stored at the current time.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s to a corresponding learning schedule and evaluating performance of the learning schedul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학습 일정 수행의 평가 결과에 따라 각 학습 일정의 재스케줄링 여부를 결정하고, 스케줄 내의 빈 시간 또는 휴식일정이 등록된 시간에 재스케줄링이 결정된 학습 일정을 이동시켜 다시 등록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to reschedule each learning schedul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of performing the learning schedule, and register again by moving the learning schedule for which rescheduling is determined at the time when the free time or the rest schedule is registered. .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시간에 대응한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학습 일정에 학습 위치를 대응시켜 저장하고,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일정에 대하여 상기 위치감지부를 구동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단말기의 위치가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 일정에 대응하여 저장된 학습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학습 일정 수행의 평가 결과에 반영할 수도 있다.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detect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store a location of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a time, and the controller may store the learning location in correspondence with each learning schedule and store the current time. Driving the position sensing unit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learning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dentified position of the terminal coincides with the stored learn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It may be reflected in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schedul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학습 일정에 대한 학습자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학습자 평가 데이터를 상기 학습 일정 수행의 평가 결과에 반영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may receive learner evaluation data on a learning schedule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and reflect the received learner evaluation data to an evaluation result of performing the learning schedule.

상기 단말기는, 학습 일정 데이터와 각 학습 일정 수행의 평가 결과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학습 일정과 학습 일정 수행의 평가 결과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raining schedule data and an evaluation result of each training schedule performance to a server, and to receive statistical data on the training schedule and an evaluation result of the training schedule performance from the serv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일정에 대하여 상기 코드독출부를 두 번 이상 구동하여, 두 번 이상 식별 코드 이미지를 새로 수신받고, 각각 새로 수신된 식별 코드 이미지가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 일정에 대응하여 저장된 식별 코드와 일치하면, 최초 수신된 식별 코드의 입력시간과 최종 수신된 식별 코드의 입력시간 사이의 차를 이용하여 학습 일정 수행의 평가 결과로서 학습 수행시간을 추산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rive the code reader two or more times for a learning schedule corresponding to a current time to receive a new identification code image more than once, and each newly received identification code image corresponds to a current schedule. If it matches with the stored identification code, the learning execution time may be estimated as an evaluation result of the learning schedule performance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time of the first received identification code and the input time of the last received identification code.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일정에 대하여 상기 위치감지부를 지속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단말기의 위치가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 일정에 대응하여 저장된 학습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시간을 추산된 상기 학습 수행시간에서 차감할 수도 있다. Further, the controller continuously drives the position sensing unit with respect to the learning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confirm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stores the learning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arning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The time that does not match the position may be subtracted from the estimated learning execution time.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학습 일정에 대한 학습자 평가 데이터로부터 0 이상이고, 1보다 큰 최대값 이하의 수치를 산출하여 추산된 상기 학습 수행시간에 곱하여 최종적인 학습 수행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a final learning execution time by multiplying the estimated learning execution time by calculating a numerical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a maximum value from the learner evaluation data for the learning schedul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Can be.

또한 상기 제어부는, 경과된 학습 일정에 대하여 최종 평가된 학습 수행시간을 전체 학습시간에서 차감하여 연산된 시간을 학습시간으로 갖는 동일한 학습일정을 스케줄 내의 빈 시간 또는 휴식일정이 등록된 시간에 이동시켜 다시 등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move the same learning schedule having the calculated time as the learning time by subtracting the last evaluated learning execution time for the elapsed learning schedule from the total learning time to the time when the free time or the rest schedule is registered. You can register again.

한편 본 발명은 스케줄 관리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고, (A) 하나 이상의 학습 일정을 등록하여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에서 생성된 스케줄 내에 포함된 학습 일정의 시작시간이 도래하면 학습 일정의 시작을 통보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 시작된 학습 일정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이미지 식별 코드, 상기 단말기의 위치,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평가 수치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단계와; (D) 상기 (B)단계에서 시작된 학습 일정이 종료되면, 상기 (C)단계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 수행시간을 추산하는 단계; 그리고 (E) 학습 일정의 전체 학습시간에서 상기 (D)단계에서 추산된 학습 수행시간을 차감한 시간을 새로운 학습시간으로 갖는 동일한 학습 일정을 상기 스케줄의 빈 시간 또는 휴식시간에 재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hedule management terminal, comprising: (A) generating a schedule by registering one or more learning schedules; (B) notifying the start of the learning schedule when the start time of the learning schedule included in the schedule generated in step (A) arrives; (C) receiving at least one of an image identification code, a position of the terminal, and an evaluation value input from a learner as data for evaluating a performance of the learning schedule started in the step (B); (D) estimating the learning execution time by using the data input in the step (C) when the learning schedule started in the step (B) ends; And (E) rescheduling the same learning schedule having the new learning time as the time of subtracting the learning execution time estimated in step (D) from the total learning time of the learning schedule at the free time or the rest time of the schedule. It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A)단계는, 등록될 학습일정의 기본정보로서 학습내용과 학습시간을 입력받고, 학습일정 수행의 평가를 위한 비교데이터로서 학습일정에 대응하는 학습 교재 코드와 학습일정에 대응하는 학습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in step (A), the learning content and the learning time are input as basic information of the learning schedule to be registered, and the learning material code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schedule and the learning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schedule as comparison data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learning schedule. It may include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또한 상기 (D)단계는, (D1)상기 이미지 식별 코드를 두 번 이상 입력받아 각각 상기 학습 교재 코드와 일치하면 식별 코드가 최초 입력된 시점과 최종 입력된 시점 사이의 시간을 학습 수행시간에 반영하는 단계와; (D2)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학습위치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가 일치하는 시간을 학습 수행시간에 반영하는 단계; 그리고 (D3)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평가 수치를 학습 수행시간에 반영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step (D), if the image identification code is inputted two or more times and each coincides with the learning textbook code, the time between the first input time and the last input time is reflected in the learning execution time. Making a step; (D2) continuousl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and reflecting the time at which the learning position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n the learning execution time; And (D3) at least one of reflecting an evaluation value input from the learner in a learning execution time.

여기서 상기 (A)단계는, 등록될 학습일정의 중요도 정보 또는 우선순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중요도 정보가 입력되면 중요도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될 학습일정의 재스케줄링 가능 횟수를 결정하고, 우선순위 정보가 입력되면 복수의 학습일정의 재스케줄링 우선 순위를 상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A) may include receiving importance information or priority information of a learning schedule to be registered; When the importance information is input, determining the reschedulable number of times of the learning schedule to be registered by using the importance information, and when the priority information is input, may relatively determine the rescheduling priority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schedule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chedule management terminal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즉, 학습자 스스로 용이하게 학습 일정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학습 계획을 기억하고 관리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That is, since the learner can easily enter the learning schedule by himself, it is easy to memorize and manage his own learning pla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에 따르면 학습자가 입력한 학습 일정의 수행 여부를 다 객관적인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 일정 수행여부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여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평가가 용이하고 평가의 신뢰성이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chedule management terminal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learner to evaluate whether the learning schedule is input in a multi-objective manner, more objective evaluation of whether the learning schedule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easily evaluate self-directed learning and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에 따르면, 상황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학습자의 일정이 자동으로 스케줄에 반영되어 한 번 세운 계획은 최대한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스케줄 관리가 용이하고 학습 효과가 높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schedule management terminal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hedule of the learner tha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s automatically reflected in the schedule so that the plan set up once can be performed as much as possible. It has the advantage of easy schedule management and high learn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단말기의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방법에서 일정 생성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방법에서 일정 수행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방법을 이용한 일정관리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chedule management terminal for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dule generation method step by step in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for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schedule step by step in the schedule management method for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hedule management interface using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for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케줄 관리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Hereinafter, a schedule management terminal and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단말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으로 동작하는 모바일(Mobile) 정보처리장치로서,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Tablet) 컴퓨터, 전자사전, 미디어(Media) 재생장치 등이 될 수 있고, 스케줄 관리만을 위해 별도로 구성된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chedule management terminal 100 for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00 is a mobi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operates on a power charged in a battery, and includes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mart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tablet computer, an electronic dictionary, and a media. It may be a playback device, or may be a terminal separately configured for schedule management.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어부(10)는 명령어의 해석과 자료의 연산과 비교처리, 자료의 입출력 등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단말기(10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각종 학습 일정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일정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명령을 처리하고, 일정을 수정, 삭제하는 등 스케줄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의 처리를 담당한다.The terminal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0 which is in charge of overall control of the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10 is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interpretation of a command and the operation and comparison of data, input / output of data, and the like. to be. The controller 10 receives and stores various learning schedules received by the terminal 100 from a user, processes a preset command according to the stored schedule, and corrects or deletes a schedule. It is in charge of the processing.

상기 단말기(100)는 또한 입력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2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받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키나 버튼, 터치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입력부(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The terminal 100 also includes an input unit 20. The input unit 20 is a device that receives a command or data from a user, and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keys, buttons, or a touch pad. The controller 10 receives a command or data necessary from a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0.

그리고 상기 단말기(10)에는 화상출력부(30)가 구비된다. 상기 화상출력부(30)는 통상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의 입력 결과를 보여주거나 명령 처리 결과를 이미지나 영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한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명령의 처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상출력부(30)는 상기 입력부(20)에 포함된 터치패드와 함께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어 데이터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10 is provided with an image output unit 30. The image output unit 30 is a normal display means, which shows an input result of data input by a user or displays a command processing result as an image or an image so as to confirm data input by the user or to display a result of processing a command. Make sure to check. In addition, the image output unit 30 may be provided as a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touch pad included in the input unit 20 to facilitate selection of data.

한편 상기 단말기(10)에는 음성출력부(40)를 더 구비하여 일정의 시작이나 종료 등을 사용자에게 소리로 통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erminal 10 may further include a voice output unit 40 to notify the user of the start or end of a schedule by sound.

또한 상기 단말기(10)는 위치감지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위치감지부(50)는 상기 단말기(10)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10)의 현재의 위치 좌표를 연산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감지부(50)에서 연산된 위치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일정의 수행 장소를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계획된 일정의 수행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10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detecting unit 50. The position detecting unit 50 is a device for detect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global positioning systems (GPS). Receive a signal from the satellite to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coordinates of the terminal (10). The controller 10 may check the execution place of the schedule input by the user by using the position coordinat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position detecting unit 50, and accordingly, may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the scheduled schedule is performed.

그리고 상기 단말기(10)는 코드독출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코드독출부(60)는 상기 단말기(10) 외부의 이미지를 독출하여, 외부의 이미지 내에 포함된 식별 코드를 인식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식별 코드는 각각의 학습 대상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일반적인 바코드(Bar Code)나 QR코드(Quick Response Code), 학습 교재의 특정 부분의 이미지, 그 밖의 고유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는 독출된 식별코드를 미리 저장된 식별코드와 비교하여 학습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의 상기 코드독출부(60)를 이용하여 원하는 식별코드를 독출한 후 이를 특정한 일정과 매칭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추후 해당 일정 수행시 다시 식별코드를 독출하면 상기 제어부(10)가 해당 일정 수행시 독출된 식별코드를 해당 일정에 미리 등록된 식별코드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계획된 일정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다. And the terminal 10 includes a code reading unit 60. The code reader 60 reads an image of the outside of the terminal 10 and recognize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image of the outside. Here, the identification code is information for distinguishing each learning object, and may be, for example, a general bar code or a QR code, an image of a specific part of the learning text, and other unique information. The controller 10 may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learning by comparing the read identification code with a previously stored identification code. That is, the user reads a desired identification code using the code reading unit 60 of the terminal and registers it by matching it with a specific schedule. If the identification code is read again later, the control unit 10 may monitor whether the user performs the scheduled schedule by comparing the identification code rea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schedule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schedule. have.

또한 상기 단말기(100)에는 저장부(70)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부(70)는 상기 입력부(20), 위치감지부(50), 코드독출부(60) 등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상기 저장부(70)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각종 일정 정보가 저장되고, 일정 관리와 관련된 그 밖의 정보가 함께 저장된다. In addition, the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70. The storage unit 70 is a device for storing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0, the position detecting unit 50, the code reading unit 60, and the like. The storage unit 70 stores various schedul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other information related to schedule management.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에는 통신부(8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통신부(80)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스케줄 관리 서버(도면 미도시)와 통신하여,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 등을 통해 입력한 일정 정보를 웹사이트에 등록하면 상기 웹사이트에 등록된 일정 정보를 상기 스케줄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에서 학습 일정의 수행 여부나 평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스케줄 관리 서버가 이를 수신하여 웹사이트 상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선생님이나 부모 등의 학습 지도자가 학생들의 일정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80. The communication unit 80 communicates with a schedule management server (not shown)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is input by a user through a personal computer. When the schedule information is registered on the website, the schedule information registered on the website may be transmitted from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to the terminal 100. In addition, when the learning schedule is performed or evaluation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terminal 100,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check schedule and checks on the website so that a learning leader such as a teacher or a parent can check whether the schedule of students is performed. can do.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방법에서 일정 생성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방법에서 일정 수행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방법을 이용한 일정관리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dule generation method step by step in the schedule management method for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for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dule performing method step by step, and FIGS. 4A and 4B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hedule management interface using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for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스케줄 관리 방법에서는 새로운 학습 일정을 생성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화상출력부(30)에 제공되는 타임 테이블에서 특정 날짜와 특정 시간대를 선택하거나, 직접 날짜나 시간을 입력함으로써 새로 학습 일정을 생성할 시간을 선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00). 여기서 학습 일정은, 학교 수업 등 다른 사람에 의한 수동적인 학습 일정을 의미하기 보다는 학생 스스로 공부하는 자율 학습, 즉 자습 일정이 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2, in the schedule management method for self-directed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date and a specific time zone are first displayed in a time table provided to the image output unit 30 to generate a new learning schedule. Selecting or directly inputting a date or time to select a time to create a new learning schedule is performed (S100). Here, the learning schedule may be a self-study, that is, a self-study schedule, in which a student himself studies, rather than a passive learning schedule by another person such as a school class.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입력부(20)를 통해 일정이 표시될 때 표제로서 나타날 제목을 입력받는다(S110).In addition, the terminal 100 receives a title to be displayed as a title when a schedule is displayed through the input unit 20 (S110).

그 후 상기 단말기(100)에서는 사용자에게 새로 생성할 일정에 함께 등록될 식별코드를 입력받기 위하여 상기 코드독출부(60)를 활성화하여 사용자에게 코드등록을 요청한다(S120). 여기서 상기 식별코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새로 생성될 일정에서 학습 대상이 될 학습 교재에 표시된 바코드, QR코드 등의 식별자나 학습 교재의 표지 등과 같이 학습 교재의 특정 부분의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식별코드가 독출되면 이를 상기 저장부(70)에 저장하여 등록한다. Thereafter, the terminal 100 requests the user to register the code by activating the code reading unit 60 in order to receive an identification code to be registered together in a schedule to be newly generated by the user (S120). Here, 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an image of a specific portion of the learning textbook, such as an identifier such as a barcode, a QR code, or the like displayed on the learning textbook to be learned in the schedule to be newly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read, the control unit 10 stores the registration code in the storage unit 70 and registers it.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생성될 일정의 세부 내용,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목표한 학습 범위 등을 상세하게 입력받는다(S130). 입력된 세부 내용은 생성될 일정과 매칭되어 저장된다.In addition, the terminal 100 receives details of a schedule to be generated, for example, a learning range targeted by the user in detail (S130). The details entered are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schedule to be generated.

나아가 상기 단말기(100)는 선택적으로 사용자로부터 학습 위치를 선택받는다(S140). 즉, 새로 생성될 학습 일정을 수행할 특정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화상출력부(30)에 출력된 지도 상에서 특정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고, 주소나 전화번호 등을 입력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미리 저장된 복수의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학습 위치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는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좌표를 검색하여, 검색된 좌표를 새로 생성될 학습 일정에 대응시켜 함께 저장한다. 예를 들어 선택되는 학습 위치는, 사용자의 집이나 학교, 독서실 등이 될 수 있다. Further, the terminal 100 selectively receives a learning position from the user (S140). That is, it is possible to select a specific location to perform a new learning schedule to be generated, which may be made by selecting a specific location on the map output to the image output unit 30 of the terminal 100, address or telephone number, etc. It may be made by inputting, or may be made by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stored positions. When the user selects the learning position, the controller 10 searches for the position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stores the searched coordinates in association with the newly created learning schedule. For example, the selected learning position may be a user's home, school, or reading room.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새로 생성되는 학습 일정의 중요도 및/또는 우선순위 등을 입력받아 저장한다(S150). 여기서 학습 일정의 중요도나 우선순위는 지정된 시간대에 수행되지 못한 학습 일정을 다른 시간대에 재스케줄링할 때 사용된다. The terminal 100 receives and stores the importance and / or priority of the newly created learning schedule (S150). Here, the importance or priority of the learning schedule is used when rescheduling a learning schedule that is not performed in a specified time zone in another time zone.

예를 들어 학습 일정의 중요도와 관련하여, 특정 학습 일정이 최초 계획된 시간대에 수행되지 못하여, 다른 시간대로 1차 이동하고, 다시 이동된 시간대에도 수행되지 못하여 또 다른 시간대로 2차 이동될 수 있는데, 중요도가 높은 학습 일정은 3차 이상 이동 가능하게 설정하고 중요도가 낮은 학습 일정은 바로 삭제되도록 하는 등, 중요도에 따라 재스케줄링 여부를 달리할 수 있다. 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importance of a learning schedule, a particular learning schedule may not be performed in the originally planned time zone, so it may be moved to another time zone, and not moved to another time zone, so that it may be moved to another time zone. Rescheduling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importance, such as setting a high importance learning schedule to be movable three or more times and deleting a low importance learning schedule immediately.

또한 학습 일정의 우선순위와 관련하여, 복수의 학습 일정이 각각 최초 계획된 시간대에 수행되지 못하여, 다른 시간대로 이동시켜 재스케줄링하는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학습 일정부터 재스케줄링하고, 우선순위가 낮은 학습 일정은 더 나중 시간대로 재스케줄링되거나, 빈 시간이 없는 경우 재스케줄링에서 제외될 수 있다.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priority of the learning schedule, when a plurality of learning schedules cannot be performed in the originally scheduled time zones and are rescheduled by moving to a different time zone, the rescheduling of the high priority learning schedule is performed and the low priority learning is performed. The schedule may be rescheduled for a later time zone, or may be excluded from rescheduling if there is no free time.

그리고 위와 같은 일련의 단계에서 상기 단말기(100)에서 요구한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저장부(70)에 새로운 학습 일정을 등록한다. When the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terminal 100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0 in the above-described series, the controller 10 registers a new learning schedule in the storage unit 70.

이와 같이 등록된 학습 일정은 상기 제어부(10)에 의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화상출력부(30)에 디스플레이된다. 하루 중 일부 또는 전부 시간대에 대하여 일반적인 반복일정은 매일 또는 요일별로 한번 입력되면 각 날마다 자동으로 먼저 등록될 수 있다. 그리고 빈 시간대에는 학습자의 학습(자습) 일정이나 기타 일정을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휴식 시간을 따로 입력하거나 별도의 일정을 등록하지 않음으로써 휴식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일정을 등록하는 경우, 자동 또는 수동으로 해당 일정이 어느 카테고리(예를 들어, 반복일정, 자습, 휴식, 기타 등)에 속하는지 여부가 함께 등록될 수 있다. The learning schedule registered in this way is displayed on the image output unit 30 by the controller 10 in a manner as shown in FIG. 4A. General recurring schedules for some or all of the day's time zone can be automatically registered first for each day once entered every day or every day. In the free time zone, a learner's learning schedule or other schedule can be registered. Here, the user can determine a break time by entering a break time or by not registering a separate schedule. When registering a schedule in this way, the category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selected in a category (for example, recurring schedule or self-study). , Rest, etc.) may be registered together.

그리고 사용자가 학습 일정을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해당 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5시에서 7시 사이에 등록된 과학 학습 일정을 선택하면, 해당 학습 일정의 범위와 학습 시간, 중요도와 우선순위, 상태, 평가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중요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점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그 밖에 복수의 단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우선순위는, 그날의 전체 학습 일정의 수에 대해 상대적인 순위로서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user clicks or touches the learning schedul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chedule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if a science study schedule is registered between 5 and 7 o'clock, the range and study time, importance and priority, status, and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study schedule may be displayed. Here, the importance may be set as a star point as shown, or may be performed by sel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teps. The priority may be determined as a relative rank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learning schedules of the day.

그리고 "상태" 항목은, 현재 시간이 학습 일정의 시작시간 이전인 경우 "학습 전"으로, 현재 시간이 학습 일정이 등록된 시간 범위 내이면 "학습 중"으로, 그리고 현재 시간이 학습 일정의 종료시간 이후이면, 학습 결과의 평가에 따라 "학습 완료"로 되거나 "학습 미완료"로 되어 재스케줄링 될 수 있다. And the "status" item is "before learning" if the current time is before the start time of the learning schedule, "learning" if the current time is within the time range in which the learning schedule is registered, and the current time is the end of the learning schedule. After time, depending on the evaluation of the learning results, it may be re-scheduled to be "learned completed" or "learned not completed."

그리고 "평가" 항목은 상기 제120단계에서 입력받아 해당 학습 일정에 등록된 학습 교재 코드와 일치하는 코드가 학습 일정의 시작시간과 중간, 종료시간 중 적어도 한 시점 이전에 상기 코드독출부(80)에서 독출되었는지 여부와 더불어,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감지부(50)에 의해 감지된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가 학습 일정이 등록된 시간 범위 중에 상기 제140단계에서 선택된 학습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와 일치하거나 오차범위 내인지 여부에 의하여 학습이 완료되었는지 또는 미완료되었는지, 미완료되었다면 등록된 학습 일정의 전체 학습 시간에서 부족한 시간분량이 얼마나 되는지 등이 판단되어 상기 평가 항목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사용자의 스스로의 평가 점수를 더 반영하여 평가 항목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스로 백분율로 학습 만족도나 집중도를 평가하면, 학습 교재 코드의 입력 여부와, 위치 확인 여부와 함께 사용자가 평가한 학습 완성도가 함께 반영된 하나 이상의 평가 결과 수치가 상기 평가 항목에 표시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evaluation" item is input in step 120 and the code reading unit 80 before the code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material code registered in the learning schedule is at least one of a start time, a middle time, and an end time of the learning schedul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selectively sensed by the position detecting unit 50 coincides with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position selected in step 140 in the time range in which the learning schedule is registered. Or whether the learning is completed or incomplete based on whether the error is within an error range, and if it is incomplete, how much time is insufficient in the entire learning time of the registered learning schedule and the like may be determined and displayed on the evaluation item. In addition, the evaluation item may be displayed by further reflecting the user's own evaluation score. For example, if the user evaluates learning satisfaction or concentration as a percentage, one or more evaluation result numbers including whether the textbook code is input, the location check, and the learning completion rate that the user evaluated are displayed in the evaluation item. It may b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학습일정을 등록한 후, 등록된 일정에 따라 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Meanwhile, after registering a learning sche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process of performing learning according to the registered schedu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먼저 상기 제어부(10)는 그날에 설정된 학습일정과 현재시간을 비교하여, 각각의 일정의 시작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200). 특히 미리 등록된 학습일정 시작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화상출력부(30)나 상기 음성출력부(40), 그리고 그 밖의 출력수단(예를 들어, 진동모터 등(도면 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켜 사용자에게 학습일정의 시작을 알린다.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사용자에게 일정 수행 여부를 별도로 질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을 수행할 것인지 미룰 것인지를 미리 질의하여, 수행할 것을 학습자가 선택하면 다음 단계를 진행하고, 미룰 것을 학습자가 선택하면 해당 학습 일정을 그대로 다른 시간대(휴식시간 등 자투리 시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First, the control unit 10 compares the learning schedule set in the day with the current time, and notifies the user of the start of each schedule (S200). In particular, when the pre-registered learning schedule start time arrives, at least one of the image output unit 30, the audio output unit 40, and other output means (for example, a vibration motor, etc. (not shown)) Run it to inform the user of the start of the learning schedul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0 may separately query the user whether to perform a schedule. For example, if the learner chooses to perform the schedule in advance, the learner chooses to perform the next step, and if the learner chooses to postpone, the training schedule is moved to another time zone (eg, break time). You can.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코드독출부(60)를 이용하여 코드 이미지가 독출되면, 독출된 코드 이미지에 포함된 코드가 현재의 학습일정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학습 교재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학습 교재 코드를 입력받는다(S210). 이와 같은 단계는 상기 제어부(10)가 경우에 따라 한번 이상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이 단계는 상기 제어부(10)가 학습 일정이 등록된 시간 범위 내에서 사용자에 대한 학습 교재 코드 입력 요청을 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코드 입력 메뉴를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code image is read by the user using the code reading unit 60, the controller 10 determines whether the code included in the read code image matches the pre-stored learning textbook cod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earning schedule. After receiving a series of processes to check the learning text code is input (S210). Such a step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0 more than once in some cases. In particular, this step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0 requesting a learning textbook code input for the user within a time range in which the learning schedule is registered or by directly selecting a code input menu.

그리고 상기 제어부(10)가 상기 위치감지부(50)를 구동시켜 상기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S220)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에도 상기 제어부(10)는 학습 일정이 등록된 시간 범위 내에서 한번 이상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may drive the position sensing unit 50 to check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S22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0 may be performed by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at least once within a time range in which a learning schedule is registered.

그리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학습 일정의 종료시간이 도래하면(S230), 학습자에게 학습 만족도를 평가하는 데이터를 수신받아 저장한다(S240). 이때 학습 만족도는 설정된 복수의 만족도 레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면 백분율로 입력될 수 있다. When the end time of the current learning schedule arrives (S230), the learner receives and stores data evaluating learning satisfaction (S240). In this case, the learning satisfaction may be achieved by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set satisfaction levels, for example, may be input as a percentage.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이와 같이 학습 일정의 종료시간이 도래한 후에, 상기 제210단계와 상기 제220단계에서 확인된 학습 교재 코드와 상기 단말기(10)의 위치에 따라 학습 수행시간을 추산한다(S250). In addition, after the end of the learning schedule arrives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0 estimates the learning execution time according to the learning material code identified in steps 210 and 220 and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 (S250).

하나의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학습 일정의 시작시간으로부터 종료시간 사이에 두 번에 걸쳐 학습 교재 코드를 상기 코드독출부(60)에 인식시키면, 상기 제어부(10)는 첫 번째로 학습 교재 코드가 인식된 시간을 실제 학습 시작시간으로, 두 번째로 학습 교재 코드가 인식된 시간을 실제 학습 종료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1시간의 학습 일정이 계획된 경우, 학습 일정 시작시간으로부터 10분 후에 미리 등록된 학습 교재 코드가 처음 인식되고, 학습 일정 종료시간으로부터 10분 전에 미리 등록된 학습 교재 코드가 두 번째로 인식되면, 총 학습 수행시간은 40분으로 추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user recognizes the learning textbook code to the code reading unit 60 twice between the start time and the end time of the learning schedule, the controller 10 firstly displays the learning textbook code. The recognized time may be recognized as the actual learning start time, and the second time when the textbook code is recognized as the actual learning end time. In other words, if a learning schedule of one hour is planned, the pre-registered learning textbook code is first recognized 10 minutes after the start of the learning schedule, and the pre-registered learning textbook code is recognized a second time 10 minutes before the end of the learning schedule. The total learning execution time can be estimated at 40 minutes.

이와 더불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220단계에서 감지된 학습 위치를 평가에 반영하는 경우, 두 번에 걸쳐 학습 교재 코드가 인식된 시점 사이에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이탈한 경우, 이탈된 시간만큼 전체 학습 수행시간에서 제외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earning position sensed in step 220 is optionally reflected in the evalua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is separated from a preset position between two points of time when the teaching material code is recognized, the departure is performed. It can be excluded from the total learning execution time by the set time.

이와 더불어 학습자 스스로 평가한 학습 만족도를 추산된 학습 수행시간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교재 코드 인식 여부와 학습 위치 감지 결과에 따라 추산된 학습시간이 계획된 학습시간보다 적더라도 학습자가 평가한 학습 완성도가 높으면 전체적으로 평가되는 학습 수행시간은 추산된 학습 수행시간보다 길어질 수 있다. 반대로 학습 교재 코드 인식 여부와 학습 위치 감지 결과에 따라 추산된 학습 수행시간이 계획된 학습시간과 같더라도 학습자가 평가한 학습 완성도가 낮으면 전체적으로 평가되는 학습 수행시간은 추산된 학습 수행시간보다 짧아질 수도 있다. 이는 학습자가 입력한 학습 만족도, 또는 완성도를 0 이상이고 1보다 큰 최대값을 갖는 수치로 환산하여 현재까지 추산된 학습 수행시간에 곱함으로써 연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 이상 2 이하로 학습 완성도를 수치화하여 추산된 학습 수행시간에 곱함으로써 최종적인 학습 수행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arning satisfaction evaluated by the learner can be reflected in the estimated learning execution time. For example, even if the estimated learning time is less than the planned learning time according to whether the learning text code is recognized and the learning position detection result, if the learning completion rate evaluated by the learner is high, the overall learning execution time may be longer than the estimated learning execution time. . On the contrary, even if the estimated learning execution time is equal to the planned learning time according to whether the learning material code is recognized and the learning position detection result, if the learning completion rate evaluated by the learner is low, the overall learning execution time may be shorter than the estimated learning execution time. have. This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or completion rate input by the learner to a value having a maximum value of 0 or more and greater than 1 and multiplying the learning execution time estimated to date. For example, the final learning execution time can be obtained by quantifying the learning completion level from 0 to 2 or less and multiplying the estimated learning execution time.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 교재 코드 인식 여부 및 인식 시간, 학습 위치 감지 결과, 그리고 학습자 스스로의 평가 수치를 반영하여 이를 학습시간 개념으로 평가하는 알고리즘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algorithm for evaluating the teaching material code based on the concept of learning time by reflecting whether or not the recognition time and the recognition time, the learning position detection result, and the evaluation value of the learner can be variously modified.

그리하여 이미 수행된 학습 일정에 대한 최종적인 평가는 추산된 학습 수행시간으로 수치화된다. 즉, 단순한 평가를 넘어서서 그 평가 결과로 학습 수행시간을 추산함으로써, 수행된 학습 일정에 대해 보충해야할 시간을 산정할 수 있도록 한다. Thus, the final assessment of the learning schedule already performed is quantified by the estimated learning execution time. In other words, by estimating the learning execution time from the evaluation result beyond the simple evalua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time to supplement the learning schedule performed.

다만 학습 수행시간을 추산함에 있어서, 등록된 학습 일정의 미리 설정된 학습시간, 예를 들어 1시간이면, 학습 일정의 수행/미수행만이 평가되도록 하여, 추산된 학습 수행시간은 0시간 또는 1시간이 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학습 교재 코드가 인식된 시간 사이의 차이가 설정된 학습 시간의 70% 이상이면 학습 수행시간을 1시간으로 추산하여 학습이 완료된 것으로 평가하고, 설정된 학습 시간의 70% 미만이면 학습 수행시간을 0시간으로 추산하여 학습이 미수행된 것으로 평가하여 해당 학습 일정이 재스케줄링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학습 일정 시작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예를 들어 5분) 내에 학습 교재 코드가 입력되지 않으면, 학습 미수행으로 판단하여 학습 수행시간을 0시간으로 추산하고, 학습 일정 시작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 내에 학습 교재 코드가 입력된 이후에는 설정시간 내에 학습 종료를 등록하기 위한 또 한 번의 학습 교재 코드 입력을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However, in estimating the learning execution time, if the predetermined learning time of the registered learning schedule, for example, 1 hour, only the performance / non-performance of the learning schedule is evaluated, the estimated learning execution time is 0 hours or 1 hour It may be set to be. That is, for exampl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learning textbook code is recognized is 70% or more of the set learning time, the learning execution time is estimated as one hour, and the learning is completed, and when less than 70% of the set learning time, the learning is performed. By estimating the time as 0 hours, the learning can be evaluated as not performed so that the learning schedule can be rescheduled. Alternatively, if the learning textbook code is not input within a certain time (for example, 5 minutes) from the start time of the study schedule, the learning performance time is estimated as 0 hours by determining that the work is not performed, and the study textbook is set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from the start time of the study schedule. After the code is input, it is possible to disable another learning text code input for registering the learning end within the set time.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추산된 학습 수행시간에 기초하여 부족한 학습 시간을 계산하고, 그에 따라 학습 일정을 재조정한다(S260). 즉, 도 4a에 표시된 바와 같은 휴식시간 또는 스케줄 상의 공백에, 수행된 학습 일정에 대해 계산된 부족분을 다시 재스케줄링한다. 이때 부족분이 설정시간 이하이면 재스케줄링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고, 부족분은 등록된 학습 일정에 대해 최초 설정된 학습시간을 넘지 못한다. The controller 10 calculates insufficient learning time based on the estimated learning execution time, and readjusts the learning schedule accordingly (S260). In other words, the recalculation of the deficit calculated for the performed learning schedule is re-scheduled in the break or schedule gap as indicated in FIG. 4A. In this case, if the shortag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time, it may be excluded from the rescheduling target, and the shortage may not exceed the initially set learning time for the registered learning schedule.

예를 들어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간이 오후 7시이면, 그 이전에 스케줄링 되었던 일정들은 색깔 등의 표시 방식이 기존과 다르게 바뀌도록 할 수 있고, 이 중에서 오후 5시 내지 6시 사이에 계획되어 있던 학습 일정에 대한 학습자 스스로의 평가가 매우 낮거나, 사용자가 해당 일정에 대해 미리 등록된 학습 교재 코드를 입력하지 못하였거나, 학습 위치가 미리 등록된 위치를 벗어나는 등의 원인으로 상기 제250단계에서 추산된 학습 수행시간이 0시간인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다시 해당 일정의 전체 학습시간 1시간을 휴식시간 중 어느 하나로 재스케줄링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비어있던 시간 즉, 오후 7시 내지 8시의 시간 범위 내에 일정을 다시 자동으로 기입하고, 해당 시간이 도래하였을 때 알람으로 알려주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오후 7시 내지 8시에 재스케줄링된 일정에 대한 평가 데이터는 다시 비워지고, 8시가 경과하였을 때 재평가되어, 또 다른 재스케줄링 여부가 결정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B, when the current time is 7:00 pm, previously scheduled schedules may change the display method of color, etc., from 5 pm to 6 pm. The learner's own evaluation of the planned learning schedule is very low, the user fails to input a pre-registered learning textbook code for the schedule, or the learning location is out of the pre-registered location. If the learning execution time estimated in step 250 is 0 hours, the controller 10 reschedules the entire learning time 1 hour of the schedule to any one of the rest time. For example, in FIG. 4A, the schedule may be automatically re-entered within the time range of vacant time, that is, from 7 pm to 8 pm, and the alarm may be notified when the corresponding time arrives. In this case, the evaluation data for the schedule rescheduled at 7 pm to 8 pm is emptied again, and is re-evaluated at 8 pm to determine another rescheduling.

여기서 상기 제260단계의 재스케줄링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가 직접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학습자가 스스로 특정 학습 일정을 다른 시간대로 변경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아직 도래하지 않은 학습 일정을 계획된 시간 이전의 휴식시간 등 자투리 시간에 드래그하거나 시간대를 다시 입력하여 일정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rescheduling of operation 260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the controller 10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learner may change the specific learning schedule to another time zone as needed.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schedule by dragging a learning schedule that has not yet arrived to the edge time such as a break before the planned time or re-entering the time zone.

또한 상기 제260단계에서 재스케줄링 전에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화상출력부(30)를 통해 사용자에게 학습 일정 재스케줄링 여부를 질의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재스케줄링을 선택하면 설정된 바에 따라 휴식시간 등의 자투리 시간에 일정에 대한 학습 시간의 부족분만큼 다시 일정을 옮겨 생성하고, 재스케줄링을 선택하지 않으면 해당 일정을 재스케줄링하지 않고, 원래 시간대에 미수행상태로 남겨둘 수도 있다. In addition, before rescheduling in step 260, the controller 10 may query the user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30 whether to reschedule a learning schedule. If the user selects rescheduling, the schedule is re-created by the lack of learning time for the schedule in the break time, such as break time, if the user selects rescheduling. You can leave it running.

또한 이와 같은 학습 일정의 등록 상황과 그에 대한 평가 결과 등은 상기 통신부(80)를 통해 상기 스케줄 관리 서버로 전달되어, 웹사이트 상에서 학습자나 지도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gistration status of such a learning schedule and the evaluation result thereof may be transmitted to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80, so that the learner or the leader can view the website.

나아가 상기 스케줄 관리 서버는 전체 학습 일정(자습 일정)과 그에 대한 수행 결과, 학습 일정이 재스케줄링되는 비율 등의 통계를 산출하여 관리하고, 산출된 통계를 다시 상기 단말기(100)로 제공하여 단말기(100)에서도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주일 또는 한 달 단위로 전체 학습 일정을 기초로 평가된 전체 자습량과, 각 과목별 자습량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특정 과목에만 계획이 편중되거나 특정 과목에 대해 학습 수행 비율이 낮은 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계획에 참고하도록 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calculates and manages statistics such as a total learning schedule (study schedule), a result of performing the same, a ratio of rescheduling the learning schedule, and provides the calculated statistics to the terminal 100 again. 100 can also be confirm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total self-study amount evaluated based on the entire learning schedule on a weekly or monthly basis, and the self-study amount for each subject, so that the plan is focused on only a specific subject or the learning performance ratio is low for a specific subject. You can also check whether it is possible to refer to future plans.

이와 같이 도 2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저장부(70)에 설치된 스케줄 관리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학습 일정 생성 및 수행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나 상기 스케줄 관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별도의 위젯(Widget)을 포함함으로써, 계획된 일정들이 설정에 따라 일정 단위/일 단위/주 단위/월 단위 등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control unit 10 executes a schedule management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70 of the terminal 100. The learning schedule may be generated and performed by the method. The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from a general application store or the schedule management server. In addition, the application program may include a separate widget, so that the scheduled schedules may be displayed in a schedule unit / day unit / week unit / month unit according to a setting.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00: 단말기 10: 제어부
20: 입력부 30: 화상출력부
40: 음성출력부 50: 위치감지부
60: 코드독출부 70: 저장부
80: 통신부
100: terminal 10: control unit
20: input unit 30: image output unit
40: audio output unit 50: position detection unit
60: code reading unit 70: storage unit
80: communication unit

Claims (13)

사용자로부터 학습 내용, 학습 제목, 학습 범위, 학습 우선순위, 학습 중요도 중 적어도 하나와 학습시간을 포함하는 학습 일정 데이터를 각각의 학습 일정별로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학습 일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 일정 데이터를 참조하여 완성된 스케줄을 표시하는 화상출력부와;
학습 일정의 시작시간이 도래하면 알람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와;
식별 코드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코드독출부; 그리고
상기 코드독출부에서 독출된 식별 코드를 각각의 학습 일정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일정에 대하여 코드독출부를 구동하여 식별 코드 이미지를 새로 수신받고 새로 수신된 식별 코드가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 일정에 대응하여 저장된 식별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학습 일정의 수행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케줄 관리 단말기.
An input unit configured to input learning schedule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learning content, a learning title, a learning range, a learning priority, a learning importance, and a learning time from each user by each learning schedule;
A storage unit storing learning schedule data inputted from the input unit;
An image output unit which displays a completed schedule by referring to the learning schedul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voice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an alarm voice when a start time of the study schedule arrives;
A code reading unit which obtains an identification code image and stores the identification code image; And
The identification code read by the code reading unit i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learning schedule, and the code reading unit is driven for the learning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to newly receive the identification code image, and the newly received identification code is stored at the current time.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learning schedule and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learning sche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학습 일정 수행의 평가 결과에 따라 각 학습 일정의 재스케줄링 여부를 결정하고, 스케줄 내의 빈 시간 또는 휴식일정이 등록된 시간에 재스케줄링이 결정된 학습 일정을 이동시켜 다시 등록하는, 스케줄 관리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The schedule management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o reschedule each learning schedul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learning schedule, and re-registers by shifting the learning schedule determined by the rescheduling at the time when the free time or the rest schedule is register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여 시간에 대응한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학습 일정에 학습 위치를 대응시켜 저장하고,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일정에 대하여 상기 위치감지부를 구동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단말기의 위치가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 일정에 대응하여 저장된 학습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학습 일정 수행의 평가 결과에 반영하는, 스케줄 관리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terminal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location detecting unit for sens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to stor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ime,
The control unit,
Correspondingly stored in the learning schedule to each learning schedule, driving the position detection unit for the learning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the learning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of the identified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corresponds to the stored learning position and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learning schedu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학습 일정에 대한 학습자 평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학습자 평가 데이터를 상기 학습 일정 수행의 평가 결과에 반영하는, 스케줄 관리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And receiving learner evaluation data on a learning schedule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and reflecting the received learner evaluation data in an evaluation result of performing the learning schedul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학습 일정 데이터와 각 학습 일정 수행의 평가 결과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학습 일정과 학습 일정 수행의 평가 결과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스케줄 관리 단말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terminal comprises: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raining schedule data and an evaluation result of each training schedule performance to a server, and receive statistical data on the training schedule and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training schedule performance from the serv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일정에 대하여 상기 코드독출부를 두 번 이상 구동하여, 두 번 이상 식별 코드 이미지를 새로 수신받고, 각각 새로 수신된 식별 코드 이미지가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 일정에 대응하여 저장된 식별 코드와 일치하면, 최초 수신된 식별 코드의 입력시간과 최종 수신된 식별 코드의 입력시간 사이의 차를 이용하여 학습 일정 수행의 평가 결과로서 학습 수행시간을 추산하는, 스케줄 관리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The code reading unit is driven two or more times for a learning schedule corresponding to a current time to receive a new identification code image more than once, and each newly received identification code image i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arning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If the code matches, the schedule management terminal estimates the learning execution time as an evaluation result of the learning schedule performance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ut time of the first received identification code and the input time of the last received identification co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일정에 대하여 상기 위치감지부를 지속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단말기의 위치가 현재 시간에 대응하는 학습 일정에 대응하여 저장된 학습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시간을 추산된 상기 학습 수행시간에서 차감하는, 스케줄 관리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ntrol unit,
The location detecting unit is continuously driven with respect to the learning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thereby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the location of the identified terminal does not match the learning location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earning schedul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time. And subtracts time from the estimated learning execution ti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학습 일정에 대한 학습자 평가 데이터로부터 0 이상이고, 1보다 큰 최대값 이하의 수치를 산출하여 추산된 상기 학습 수행시간에 곱하여 최종적인 학습 수행시간을 산출하는, 스케줄 관리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calculating a final learning execution time by multiplying the estimated learning execution time by calculating a numerical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zero and less than or equal to a maximum value greater than one from learner evaluation data for the learning schedul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경과된 학습 일정에 대하여 최종 평가된 학습 수행시간을 전체 학습시간에서 차감하여 연산된 시간을 학습시간으로 갖는 동일한 학습일정을 스케줄 내의 빈 시간 또는 휴식일정이 등록된 시간에 이동시켜 다시 등록하는, 스케줄 관리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unit,
The schedule that re-registers by moving the same learning schedule having the calculated time as the learning time by subtracting the last evaluated learning execution time from the total learning time with respect to the elapsed learning schedule to the time when the free time or the rest schedule is registered. Management terminal.
스케줄 관리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고,
(A) 하나 이상의 학습 일정을 등록하여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A)단계에서 생성된 스케줄 내에 포함된 학습 일정의 시작시간이 도래하면 학습 일정의 시작을 통보하는 단계와;
(C) 상기 (B)단계에서 시작된 학습 일정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이미지 식별 코드, 상기 단말기의 위치,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평가 수치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단계와;
(D) 상기 (B)단계에서 시작된 학습 일정이 종료되면, 상기 (C)단계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 수행시간을 추산하는 단계; 그리고
(E) 학습 일정의 전체 학습시간에서 상기 (D)단계에서 추산된 학습 수행시간을 차감한 시간을 새로운 학습시간으로 갖는 동일한 학습 일정을 상기 스케줄의 빈 시간 또는 휴식시간에 재스케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줄 관리 방법.
A schedule management terminal, which is performed by the terminal,
(A) registering at least one learning schedule to generate a schedule;
(B) notifying the start of the learning schedule when the start time of the learning schedule included in the schedule generated in step (A) arrives;
(C) receiving at least one of an image identification code, a position of the terminal, and an evaluation value input from a learner as data for evaluating a performance of the learning schedule started in the step (B);
(D) estimating the learning execution time by using the data input in the step (C) when the learning schedule started in the step (B) ends; And
(E) rescheduling the same learning schedule having the new learning time as the time of subtracting the learning execution time estimated in step (D) from the entire learning time of the learning schedule at the free time or the rest time of the schedule. How to manage schedu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등록될 학습일정의 기본정보로서 학습내용과 학습시간을 입력받고, 학습일정 수행의 평가를 위한 비교데이터로서 학습일정에 대응하는 학습 교재 코드와 학습일정에 대응하는 학습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줄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Step (A) is
Receiving learning content and learning time as basic information of a learning schedule to be registered, and receiving at least one of a learning material code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schedule and a learning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schedule as comparison data for evaluating learning schedule performance; Including, schedule management metho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상기 이미지 식별 코드를 두 번 이상 입력받아 각각 상기 학습 교재 코드와 일치하면 식별 코드가 최초 입력된 시점과 최종 입력된 시점 사이의 시간을 학습 수행시간에 반영하는 단계와;
(D2)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학습위치와 상기 단말기의 위치가 일치하는 시간을 학습 수행시간에 반영하는 단계; 그리고
(D3)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되는 평가 수치를 학습 수행시간에 반영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스케줄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Step (D),
(D1) receiving the image identification code more than once and reflecting the time between the first input time and the last input time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corresponds to the learning textbook code, respectively, in the learning execution time;
(D2) continuously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and reflecting the time at which the learning position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n the learning execution time; And
And (D3) at least one of reflecting an evaluation value input from the learner in a learning execution tim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등록될 학습일정의 중요도 정보 또는 우선순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중요도 정보가 입력되면 중요도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될 학습일정의 재스케줄링 가능 횟수를 결정하고, 우선순위 정보가 입력되면 복수의 학습일정의 재스케줄링 우선 순위를 상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케줄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Step (A) is
Receiving importance information or priority information of a learning schedule to be registered;
Determining the reschedulable number of learning schedules to be registered using the importance information when the importance information is input, and relatively determining the rescheduling priorities of the plurality of learning schedules when priority information is input. Way.
KR1020110048325A 2011-05-23 2011-05-23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for self-directed learning KR1012453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325A KR101245372B1 (en) 2011-05-23 2011-05-23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for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325A KR101245372B1 (en) 2011-05-23 2011-05-23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for self-directed lear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417A true KR20120130417A (en) 2012-12-03
KR101245372B1 KR101245372B1 (en) 2013-03-19

Family

ID=47514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325A KR101245372B1 (en) 2011-05-23 2011-05-23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for self-directed lear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37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403B1 (en) * 2018-08-20 2019-07-05 유민권 Working hours measurement device, Working hours calculation device and Working hours calculation system
KR20200000423A (en) * 2019-12-24 2020-01-02 한국과학기술원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micro spare time using sensor of mobile apparatus
KR20200055454A (en) * 2018-11-13 2020-05-21 곽지현 Time memo board for learning ai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237A (en)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도움팩토리 Self-directed learn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65B1 (en) * 2005-06-30 2012-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schedule
KR20070024894A (en) * 2005-08-29 2007-03-08 (주)미디어파워하우스 The study continuity grant method of an off-line textbook and mobile fusion
KR100959503B1 (en) * 2007-11-09 2010-05-25 주식회사 일신산업 Automatic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KR20090049744A (en) * 2007-11-14 2009-05-19 (주)아윌패스 Method for managing the studying schedu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403B1 (en) * 2018-08-20 2019-07-05 유민권 Working hours measurement device, Working hours calculation device and Working hours calculation system
KR20200055454A (en) * 2018-11-13 2020-05-21 곽지현 Time memo board for learning aid
KR20200000423A (en) * 2019-12-24 2020-01-02 한국과학기술원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micro spare time using sensor of mobil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372B1 (en)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99541B (en) Topic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deep learning and storage medium
US20210398054A1 (en) Automated generation of condition state information for one or more machines, devices, or systems associated with service or repair events
US11113987B1 (en) Training and management of technicians in the service or repair of machines, devices, or systems
US20080187893A1 (en) Determining developmental progress for preschool children
US20110306028A1 (en) Educational decision suppor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2571069B1 (en) User knowledge tracking devi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KR10124537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for self-directed learning
US20150332355A1 (en) Asset estimate generation system
US113090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ngagement
KR1023222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learning contents
CN110377827B (en) Course training scene pushing method and devic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JP6397146B1 (en) Learning support apparatus and program
EP3267376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ly relevant servicing
Hunt PMI-ACP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Agile Certified Practitioner Exam Study Guide
US20060073464A1 (en) Location determinative electronic training methodology and related architecture
KR102041562B1 (en) Online english library reading coac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13050564A (en) Learning device,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learning system
KR1019589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curriculum schedule
CN112308744A (en) Learning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data
KR102431279B1 (en) Method for improving learning concentration
KR20120012559A (en) Learning objectiv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1816639B2 (en) Providing an interface for interview sessions
KR102499770B1 (en)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cours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KR102600353B1 (en) Method for checking attendance at real time video communication system for education
JP749513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