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855A -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855A
KR20120129855A KR1020120126807A KR20120126807A KR20120129855A KR 20120129855 A KR20120129855 A KR 20120129855A KR 1020120126807 A KR1020120126807 A KR 1020120126807A KR 20120126807 A KR20120126807 A KR 20120126807A KR 20120129855 A KR20120129855 A KR 20120129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user
type
index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혜
Original Assignee
(주)천재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재교육 filed Critical (주)천재교육
Priority to KR1020120126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9855A/ko
Publication of KR20120129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학습 적성 수준을 평가하여 사용자의 학습 적성 수준에 따라 사용자의 학습 유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학습 유형에 대응하는 학습 계획을 생성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하여 수립된 학습 계획에 대응하는 개인화된 교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Stud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n aptitude test}
본 발명은 학습 관리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1-0077749호(2001. 08. 20) 등과 같이,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학습 능력을 평가하여 각 사용자의 학습 능력에 따라 적정한 수준의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개인화된 학습 기술들이 있어왔다.
그러나, 학습 능력만을 평가할 경우, 사용자의 학습 동기와는 무관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할 수 밖에 없어 학습 효율이 높지 않고, 체계화된 교육 컨텐츠 제공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사용자의 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를 동시에 고려하여 교육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효율이 높고, 체계화된 교육이 가능한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1-0077749호(2001. 08. 20)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의 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를 동시에 고려하여 학습 적성 수준을 평가하고, 평가된 학습 적성 수준에 따라 개인화된 학습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의 학습 적성 수준을 평가하여 사용자의 학습 적성 수준에 따라 사용자의 학습 유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학습 유형에 대응하는 학습 계획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이 생성된 학습 계획에 대응하는 개인화된 교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를 동시에 고려하여 학습 적성 수준을 평가하고, 평가된 학습 적성 수준에 따라 개인화된 학습 계획을 수립하여 학습 계획에 대응하는 개인화된 교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 효율이 높고, 체계화된 교육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개요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의 학습 유형 결정을 위한 2차원 x-y 그래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의 교육 컨텐츠 제공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 개요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100)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200)들과 연결되어, 각 사용자 단말(200)들과 양방향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학습 계획에 기반하여 각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100)은 진단 문제 관리부(110)와, 사용자 평가부(120)와, 학습 유형 결정부(130)와, 학습 계획 생성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진단 문제 관리부(110)는 진단 문제들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해당 진단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다. 이를 위해 미리 다수의 진단 문제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진단 문제 관리부(110)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수의 진단 문제들 중에서 임의 또는 특정의 선택 규칙에 따라 선택된 다수의 진단 문제들을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진단 문제들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200)은 이를 화면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진단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입력받고, 해당 진단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진단 문제 관리부(110)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해당 진단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수신한다.
이 때, 상기 진단 문제가 사용자의 학습 능력 지수 산출을 위한 학습 능력 지수 산출 문제와, 사용자의 학습 동기 지수 산출을 위한 학습 동기 지수 산출 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능력 지수는 사용자의 학습 능력 수준을 수치화한 것이고, 학습 동기 지수는 사용자의 학습 동기 수준을 수치화한 것이다. 상기 학습 능력 지수 산출 문제와, 학습 동기 지수 산출 문제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예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 평가부(120)는 상기 진단 문제 관리부(110)에 의해 수신되는 진단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 응답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학습 적성 수준을 평가한다. 이 때, 상기 사용자 평가부(120)가 상기 학습 능력 지수 산출 문제와 학습 동기 지수 산출 문제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평가하여 해당 사용자의 학습 능력 지수 및 학습 동기 지수를 산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학습 적성 수준을 평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학습 능력 지수 산출 문제와 학습 동기 지수 산출 문제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평가부(120)가 학습 능력 지수 산출 문제와 학습 동기 지수 산출 문제에 대한 사용자 응답과 미리 저장된 정답 정보를 비교해 학습 능력 지수 산출 문제와 학습 동기 지수 산출 문제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정답인지 또는 오답인지 검사하여 각각 점수로 환산하고, 환산된 점수에 따라 학습 능력 지수 및 학습 동기 지수를 산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학습 능력 지수 산출 문제와 학습 동기 지수 산출 문제에 대한 사용자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평가부(120)가 학습 능력 지수 산출 문제와 학습 동기 지수 산출 문제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분석해 각 문제에 대해 척도 기준으로 최하점부터 최고점 사이의 점수를 부여하고, 이들을 합산하여 학습 능력 지수 및 학습 동기 지수를 산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학습 유형 결정부(130)는 상기 사용자 평가부(120)에 의해 평가된 사용자의 학습 적성 수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학습 유형을 결정한다. 예컨대, 상기 학습 유형 결정부(130)가 상기 사용자 평가부(120)에 의해 산출된 사용자의 학습 능력 지수를 x 값으로, 사용자의 학습 동기 지수를 y 값으로 하여 2차원 학습 적성 수준 좌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학습 적성 수준 좌표가 학습 유형 결정을 위한 2차원 x-y 그래프상의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해당 사용자의 학습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학습 유형 결정부(130)에 의해 결정되는 학습 유형이 학습 능력도 낮고, 학습 동기도 낮은 제1유형과, 학습 능력은 낮으나, 학습 동기는 높은 제2유형과, 학습 능력은 높으나, 학습 동기는 낮은 제3유형과, 학습 능력도 높고, 학습 동기도 높은 제4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평가부(120)에 의해 환산된 학습 능력 지수 산출 문제 및 학습 동기 지수 산출 문제에 대한 점수가 0점에서 9점까지는 학습 능력 지수 및 학습 동기 지수가 각각 -5, 10점에서 19점까지는 학습 능력 지수 및 학습 동기 지수가 각각 -4, 20점에서 29점까지는 학습 능력 지수 및 학습 동기 지수가 각각 -3, 30점에서 39점까지는 학습 능력 지수 및 학습 동기 지수가 각각 -2, 40점에서 49점까지는 학습 능력 지수 및 학습 동기 지수가 각각 -1, 50점은 학습 능력 지수 및 학습 동기 지수가 각각 0, 51점에서 60점까지는 학습 능력 지수 및 학습 동기 지수가 각각 1, 61점에서 70점까지는 학습 능력 지수 및 학습 동기 지수가 각각 2, 71점에서 80점까지는 학습 능력 지수 및 학습 동기 지수가 각각 3, 81점에서 90점까지는 학습 능력 지수 및 학습 동기 지수가 각각 4, 91점에서 100점까지는 학습 능력 지수 및 학습 동기 지수가 각각 5로 산출되도록 구현되었다 가정하자.
그러면,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학습 유형 결정부(130)가 상기 사용자 평가부(120)에 의해 산출된 사용자의 학습 능력 지수를 x 값으로, 사용자의 학습 동기 지수를 y 값으로 하여 2차원 학습 적성 수준 좌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학습 적성 수준 좌표가 학습 유형 결정을 위한 2차원 x-y 그래프상의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해당 사용자의 학습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의 학습 유형 결정을 위한 2차원 x-y 그래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를 참조해 보면, 학습 유형 결정을 위한 2차원 x-y 그래프상에서 학습 능력 지수와 학습 동기 지수가 모두 음수인 경우에는 상기 학습 유형 결정부(130)가 학습 능력도 낮고, 학습 동기도 낮은 제1유형으로 해당 사용자의 학습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학습 유형 결정을 위한 2차원 x-y 그래프상에서 학습 능력 지수는 음수이고, 학습 동기 지수는 양수인 경우에는 상기 학습 유형 결정부(130)가 학습 능력은 낮으나, 학습 동기는 높은 제2유형으로 해당 사용자의 학습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학습 유형 결정을 위한 2차원 x-y 그래프상에서 학습 능력 지수는 양수이고, 학습 동기 지수는 음수인 경우에는 상기 학습 유형 결정부(130)가 학습 능력은 높으나, 학습 동기는 낮은 제3유형으로 해당 사용자의 학습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학습 유형 결정을 위한 2차원 x-y 그래프상에서 학습 능력 지수와 학습 동기 지수 모두가 양수인 경우에는 상기 학습 유형 결정부(130)가 학습 능력도 높고, 학습 동기는 높은 제4유형으로 해당 사용자의 학습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학습 유형 결정부(130)가 제1유형 내지 제4유형을 메인유형으로 하고, 각 메인유형에 포함되는 서브 학습유형들 중에서 사용자의 학습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학습 계획 생성부(140)는 상기 학습 유형 결정부(130)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의 학습 유형에 대응하는 학습 계획을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를 동시에 고려하여 학습 적성 수준을 평가하고, 평가된 학습 적성 수준에 따라 개인화된 학습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100)이 교육 컨텐츠 제공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육 컨텐츠 제공부(150)는 상기 학습 계획 생성부(14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의 학습 유형에 대응하는 학습 계획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200)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를 동시에 고려한 사용자의 학습 적성 수준에 맞도록 수립된 개인화된 학습 계획에 따라 개인화된 교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학습 효율이 높고, 체계화된 교육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100)이 회원 관리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 관리부(16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등록하고, 등록된 회원 정보를 관리한다.
이 실시예는, 회원 관리부(160)에 의해 관리되는 회원을 대상으로 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를 동시에 고려하여 학습 적성 수준을 평가하고, 평가된 학습 적성 수준에 따라 개인화된 학습 계획을 수립하여 회원에게 개인화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회원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100)이 과금 처리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금 처리부(170)는 상기 교육 컨텐츠 제공부(150)에 의해 제공되는 교육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처리한다.
즉, 이 실시예는 사용자의 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를 동시에 고려하여 학습 적성 수준을 평가하고, 평가된 학습 적성 수준에 따라 개인화된 학습 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학습 계획에 따라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대가로 상기 과금 처리부(170)를 통해 과금을 처리하여 수익 발생이 가능하도록 한 실시예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100)이 학습 계획 관리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 계획 관리부(180)는 학습 계획이 생성된 시점부터 특정 기간 경과 후,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학습 적성 수준을 재평가하여 해당 사용자의 학습 계획을 갱신한다. 예컨대, 상기 특정 기간이 학습 계획 생성시 설정된 기간일 수 있다.
즉, 이 실시예는 개인화된 학습 계획에 따라 교육 컨텐츠를 제공받아 학습하는 사용자의 학습 적성 수준이 특정 기간의 학습을 통해 변화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학습 계획 관리부(180)를 통해 학습 계획이 생성된 시점부터 특정 기간 경과 후, 해당 사용자에 대한 학습 적성 수준을 재평가하여 해당 사용자의 학습 계획을 갱신하고, 갱신된 학습 계획에 따라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여 학습에 따른 사용자의 학습 적성 수준 변화에 적응적인 교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의 교육 컨텐츠 제공 동작을 도 4 를 통해 알아본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의 교육 컨텐츠 제공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410에서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이 진단 문제들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해당 진단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진단 문제와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S420에서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진단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 응답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학습 적성 수준을 평가한다. 상기 학습 적성 수준을 평가와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S430에서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이 상기 단계 S420에 의해 평가된 사용자의 학습 적성 수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학습 유형을 결정한다. 상기 학습 유형 결정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S440에서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이 상기 단계 S430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의 학습 유형에 대응하는 학습 계획을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를 동시에 고려하여 학습 적성 수준을 평가하고, 평가된 학습 적성 수준에 따라 개인화된 학습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단계 S450에서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이 상기 단계 S440에 의해 생성된 학습 계획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를 동시에 고려하여 학습 적성 수준을 평가하고, 평가된 학습 적성 수준에 따라 개인화된 학습 계획을 수립하여 학습 계획에 대응하는 개인화된 교육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 효율이 높고, 체계화된 교육이 가능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학습 관리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학습 관리 시스템 110 : 진단 문제 관리부
120 : 사용자 평가부 130 : 학습 유형 결정부
140 : 학습 계획 생성부 150 : 교육 컨텐츠 제공부
160 : 회원 관리부 170 : 과금 처리부
180 : 학습 계획 관리부 200 : 사용자 단말

Claims (1)

  1. 진단 문제들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해당 진단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 응답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진단 문제 관리부와;
    상기 진단 문제 관리부에 의해 수신되는 진단 문제들에 대한 사용자 응답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학습 능력 지수 및 학습 동기 지수를 산출하여 해당 사용자의 학습 적성 수준을 평가하는 사용자 평가부와;
    상기 사용자 평가부에 의해 산출된 사용자의 학습 능력 지수를 x 값으로, 사용자의 학습 동기 지수를 y 값으로 하여 2차원 학습 적성 수준 좌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학습 적성 수준 좌표가 학습 유형 결정을 위한 2차원 x-y 그래프상의 어느 영역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해당 사용자의 학습 유형을 결정하되, 2차원 x-y 그래프상에서 학습 능력 지수와 학습 동기 지수가 모두 음수인 경우에는 제1유형으로, 학습 능력 지수는 음수이고, 학습 동기 지수는 양수인 경우에는 제2유형으로, 학습 능력 지수는 양수이고, 학습 동기 지수는 음수인 경우에는 제3유형으로, 학습 능력 지수와 학습 동기 지수 모두가 양수인 경우에는 제4유형으로 해당 사용자의 학습 유형을 결정하는 학습 유형 결정부와;
    상기 학습 유형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의 학습 유형에 대응하는 학습 계획을 생성하는 학습 계획 생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
KR1020120126807A 2012-11-09 2012-11-09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 KR20120129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807A KR20120129855A (ko) 2012-11-09 2012-11-09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807A KR20120129855A (ko) 2012-11-09 2012-11-09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657A Division KR20120096315A (ko) 2011-02-22 2011-02-22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855A true KR20120129855A (ko) 2012-11-28

Family

ID=4751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807A KR20120129855A (ko) 2012-11-09 2012-11-09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98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06645A1 (de) 2012-11-16 2014-05-22 Hyundai Motor Company Aluminiumrad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06645A1 (de) 2012-11-16 2014-05-22 Hyundai Motor Company Aluminiumrad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 Costa et al. Assigning priorities for maintenance, repair and refurbishment in managing a municipal housing stock
Larson et al. Nonfixed retirement age for university professors: modeling its effects on new faculty hires
Luo et al. Design opportunity conception using the total technology space map
Jagers et al. The environmental psychology of the ecological citizen: Comparing competing model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Cooper et al. Qualitative work and the testing and development of theory: Lessons from a study combining cross-case and within-case analysis via Ragin's QCA
Yip et al. Characterising product-service systems in the healthcare industry
KR102374156B1 (ko) 사용자 피드백 기반의 부동산 매물 추천 방법
Raviselvam et al. Demographic factors and their influence on designer creativity and empathy evoked through user extreme conditions
Elmunsyah et al. UX Validation of Village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User Experience Questionnaire (UEQ) and Usability Testing
JP6397146B1 (ja) 学習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20129855A (ko)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
CN112381291A (zh) 行为预测、信息推送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aner et al. Engineering design of a service system: An empirical study
KR20120096315A (ko) 학습 적성 수준에 기반한 학습 관리 시스템
KR20150130666A (ko) 멀티플랫폼 반응형 학생 행동 평가 점수 시스템 및 학생 행동 평가 방법
Singh et al. Towards fine grained human behaviour simulation models
Shankari et al. The CanBikeCO Mini Pilot: Preliminary Results and Lessons Learned
Heller et al. Exploiting prior information in stochastic knowledge assessment
Jain Teaching of simulation at business schools
KR20210041427A (ko) 온톨로지와 딥 러닝에 기반한 사회 맞춤형 역량 기반 교육 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Stiel On the use of discrete event simulation in green is research-Developing a conceptual framework
Benning et al. Transit Networks, Social Contacts, and Open Data Meet Public Transportation Plans for Post-COVID-19: A Canadian Case Study
CN112884449B (zh) 用户引导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Bohner Decision-support systems for sustainable urban planning
Chowdhury et al. Crowd-sourcing for smart c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