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079A -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와 전단보강 복합파일 및 선단 확장 파일 - Google Patents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와 전단보강 복합파일 및 선단 확장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079A
KR20120129079A KR1020110047125A KR20110047125A KR20120129079A KR 20120129079 A KR20120129079 A KR 20120129079A KR 1020110047125 A KR1020110047125 A KR 1020110047125A KR 20110047125 A KR20110047125 A KR 20110047125A KR 20120129079 A KR20120129079 A KR 20120129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ile
steel wire
connect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덕
Original Assignee
(주) 포유엔지니어링
최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포유엔지니어링, 최영덕 filed Critical (주) 포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47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9079A/ko
Publication of KR20120129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 E04B2/84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the form leaf comprising a wire netting, lattic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견고하게 피에이치씨 파일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중공부가 관통 형성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강선이 일정한 간격으로 내재되는 피에이치씨 파일과;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의 일단부에 고정 결합되며 그 중심에 상기 제1중공부와 연통되는 제2중공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전단보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를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의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상호 연결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 연결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와 전단보강 복합파일 및 선단 확장 파일{PHC PILE ASSEMBBLY HAVING CONNECTING PART, SHEAR ENFORCING COMPLEX PILE AND VERTICAL HEM EXPANDING PILE}
본 발명은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에이치씨 파일을 상호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에이치씨 파일은 PC 파일보다 축방향 하중 지지력이 우수하고, 타격에 강하며, 휨내력이 크다는 장점을 갖추고 있어서, 지반 기초 공사를 위한 파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피에이치씨 파일은 콘크리트 기둥의 내부에 인장된 와이어를 내설함으로써, 보다 강한 하중 지지력을 가지도록 한다.
피에이치씨 파일은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양끝단의 형상이 달라진다. 즉, 최선단에 항타되는 피에이치씨 파일은 선단에 슈캡이 설치된다. 슈캡이 결합된 피에이치씨 파일을 제조하는 방법은, 내설되는 강선의 일단을 상기 슈캡에 고정한 상태에서,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강선를 인장 하여 피에이치씨 파일을 완성하게 된다. 이때, 슈캡에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강선을 고정하여야 한다.
또한, 여러 파일을 연결하여야 하는 곳에는, 피에이치씨 파일의 끝단에 연결 플레이트가 고정된다. 이의 제조방법도, 동일하게 내설되는 강선의 일단을 연결 플레이트에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강선을 인장한 후 피에이치씨 파일을 완성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가 상호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는 피에이치씨 파일(10)과, 피에이치씨 파일(10)의 일단에 볼트(30)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 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피에이치씨 파일(10)은 콘크리트로 형성된 본체(11)와, 본체(11) 양 단면에 다수 고정된 강선 고정용 너트(12)와, 양단이 강선 고정용 너트(12)에 고정되는 다수의 강선(13)으로 이루어진다.
강선 고정용 너트(12)는 내주면에 나사산(12a)이 형성되며, 강선 걸림턱(12b)이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며, 강선(13)은 양단에 강선 걸림턱(12b)과 걸릴 수 있는 돌출부(13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연결 플레이트(20)는 링 형상의 플레이트 본체(21)에 다수의 볼트 결합공(22)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피에이치씨 파일(10)과 접하는 반대면인 상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는 모따기 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를 상호 연결하는 방법은 상기한 모따기 된 부분이 서로 만나도록 연결 플레이트(20)의 판면을 상호 접촉시킨 상태에서 피에이치씨 파일을 수직으로 배치하고, 모따기 된 부분을 용접하여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를 상호 연결한 구조는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의 전체 크기에 비하여 극소한 부분(모따기 부위)에만 용접이 이루어져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가 상호 연결되므로 외부의 조그만 충격에도 연결 부위가 파손되어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의 연결이 해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의 전체 둘레 방향을 따라 용접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를 연결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며, 그에 따른 공사 기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를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의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상호 연결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 연결 강성을 높일 수 있는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는,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이 관통 형성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강선이 일정한 간격으로 내재되는 피에이치씨 파일과;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과 피에이치씨 파일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환형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부재를 상호 결합시키도록 상기 연결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강선의 단부는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의 단부에 설치되는 강선 고정용 너트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의 일단면에 구비되어 상기 강선 고정용 너트와 접촉되는 강선 지지영역과 상기 강선 지지영역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선 지지영역에는 상기 강선 고정용 너트에 체결되는 볼트가 체결되는 제1체결공과, 상기 볼트의 두부를 수용하는 볼트 수용공이 그 둘레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체결공과 상기 볼트 수용공은 상호 교번적으로 상기 강선 지지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영역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2체결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2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가 구비된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 단부의 둘레면에는 그 둘레면을 감싸는 별도의 보강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는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를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상호 연결함으로써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의 연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상호 연결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 연결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가 상호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가 상호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의 구도를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의 연결 구조가 전단보강 복합파일에 적용된 실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의 연결 구조가 선단 확장 파일에 적용된 실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에 결합리브가 구비되어 전단보강 복합파일에 적용된 실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에 결합리브가 구비되어 선단 확장 파일에 적용된 실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가 상호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의 구도를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의 연결 구조가 전단보강 복합파일에 적용된 실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의 연결 구조가 선단 확장 파일에 적용된 실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에 결합리브가 구비되어 전단보강 복합파일에 적용된 실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에 결합리브가 구비되어 선단 확장 파일에 적용된 실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는,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110)이 관통 형성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강선(120)이 일정한 간격으로 내재되는 피에이치씨 파일(100)과, 피에이치씨 파일(100)과 피에이치씨 파일(100)을 상호 연결하도록 피에이치씨 파일(110)의 단부에 결합되며 피에이치씨 파일(10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환형의 연결부재(210)와, 연결부재(210)와 연결부재(210)를 상호 결합시키도록 연결부재(21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수단(220)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피에이치씨 파일(100)은 지반의 기초 공사를 위하여 지반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지반의 상태에 따라 지반에 삽입되는 깊이와 그 길이가 다양하게 적용되며, 지반에 삽입된 상태에서 그 저부면이 지반과 접촉되어 선단지지력이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측면이 지반과 접촉되어 주면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그 상측에 놓여지는 건물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피에이치씨 파일(100)의 중심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110)이 관통 형성되며, 그 내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환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강선(120)이 내재되어 있다.
강선(120)의 단부는 피에이치씨 파일(100)의 단부에 설치되는 강선 고정용 너트(130)에 고정되며, 강선 고정용 너트(130)가 피에이치씨 파일(100)의 단부에 설치되는 깊이에 따라서 강선(120)의 인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강선 고정용 너트(130)는 피에이치씨 파일(100)의 양단에 구비되어 후술할 연결부재(210)를 피에이치씨 파일(100)의 단부에 고정 결합시키는 볼트(140)를 그 중심에 체결할 수 있도록 중심에는 볼트체결홈(131)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볼트(140)에 의하여 피에이치씨 파일(100)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연결부재(210)는 강선 고정용 너트(130)와 접촉되는 강선 지지영역(211)과 강선 지지영역(211)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피에이치씨 파일(10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영역(212)을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재(210)의 강선 지지영역(211)에는 강선 고정용 너트(130)에 체결되는 볼트(140)가 삽입되는 제1체결공(211a)과, 볼트(140)의 두부를 수용하는 볼트 수용공(211b)이 그 둘레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제1체결공(211a)의 직경은 볼트(140)가 체결된 후 피에이치씨 파일(100)의 단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볼트(140)의 두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볼트 수용공(211b)은 피에이치씨 파일(100)에 연결할 다른 피에이치씨 파일의 단부에 체결된 볼트의 두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볼트의 두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체결공(211a)은 피에이치씨 파일(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볼트 수용공(211b)도 피에이치씨 파일(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제1체결공(211a)과 볼트 수용공(211b)는 상호 교번적으로 강선 지지영역(210)에 배치됨으로써 피에이치씨 파일(100)과 피에이치씨 파일(100)의 결합력이 그 단면에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도록 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강선 지지영역(211)의 직경 방향을 따라 외측에는 연결영역(212)이 구비되는데 연결영역(212)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체결수단(220)이 체결되는 제2체결공(212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체결공(212a)에 체결되는 체결수단(220)은 체결볼트(221)와 체결볼트(221)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222)로 구성되며, 체결수단(220)은 연결부재(21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지만, 연결부재(210)가 상호 연결된 후 유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볼트(221)와 체결너트(222)로 구성한다.
그리고, 연결부재(210)가 고정 결합되는 피에이치씨 파일(100)의 단부 둘레면에는 그 둘레면을 감싸는 별도의 보강밴드(150)가 구비될 수 있는데, 보강밴드(150)는 피에이치씨 파일(100)에 결합된 강선 고정용 너트(130)가 피에이치씨 파일(100)에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피에이치씨 파일(100) 단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을 상호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피에이치씨 파일(100)의 단부에 고정 결합된 연결부재(210)의 강선 지지영역(211)에 형성된 볼트 수용공(211b)에 연결할 피에이치씨 파일에 결합된 볼트의 두부를 삽입하면, 연결영역(220)에 관통 형성된 제2체결공(212a)가 상호 중첩배치된다.
이렇게 중첩 배치된 제2체결공(212a)에 체결볼트(221)를 삽입한 후에 체결볼트(221)의 단부에 체결너트(222)를 체결하면 피에이치씨 파일(100)과 피에이치씨 파일(100)의 연결이 완료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0)는 직경이 균일한 일반적인 피에이치씨 파일(100) 뿐만 아니라, 지반에 관입시에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직경이 그 하부에 위치하는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전단보강 복합파일(300)과, 지반에 관입시에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직경이 그 하부에 위치하는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선단 확장 파일(400)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0)가 구비된 전단보강 복합파일(300)과 선단 확장 파일(400)의 경우에는 보강밴드(150) 대신에 연결부(200)가 구비되는 파일(300, 400)의 선단에 연결부(200)와 파일(300, 40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연결부(200)와 결합되는 별도의 결합리브(5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결합리브(500)는 파일(300, 4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개소에 상호 이격되어 등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종단면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일(300, 40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연결부(200)에는 용접에 의하여 접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시공자는 피에이치씨 파일(100), 전단보강 복합파일(300), 선단 확장 파일(400)을 원하는 길이로 견고하게 연결하여 지반 기초 공사에 사용함으로써, 지반의 상측에 건설되는 건물뿐만 아니라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반 공사를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의 연결부(2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술한 설명을 참고하기로 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0 : 피에이치씨 파일 110 : 중공
120 : 강선 130 : 강선 고정용 너트
131 : 볼트체결홈 140 : 볼트
150 : 보강밴드 200 : 연결부
210 : 연결부재 211 : 강선 지지영역
211a : 제1체결공 211b : 볼트수용공
212 : 연결영역 212a : 제2체결공
220 : 체결수단 221 : 체결볼트
222 : 체결너트

Claims (10)

  1.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이 관통 형성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강선이 일정한 간격으로 내재되는 피에이치씨 파일과;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과 피에이치씨 파일을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환형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부재를 상호 결합시키도록 상기 연결부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의 단부는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의 단부에 설치되는 강선 고정용 너트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에치씨 파일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의 일단면에 구비되어 상기 강선 고정용 너트와 접촉되는 강선 지지영역과 상기 강선 지지영역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 지지영역에는 상기 강선 고정용 너트에 체결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제1체결공과, 상기 볼트의 두부를 수용하는 볼트 수용공이 그 둘레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공과 상기 볼트 수용공은 상호 교번적으로 상기 강선 지지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영역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제2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2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구비된 상기 피에이치씨 파일 단부의 둘레면에는 그 둘레면을 감싸는 별도의 보강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
  9. 지반에 관입시에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직경이 그 하부에 위치하는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전단보강 복합파일에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전단보강 복합파일.
  10. 지반에 관입시에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직경이 그 하부에 위치하는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선단 확장 파일에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선단 확장 파일.
KR1020110047125A 2011-05-19 2011-05-19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와 전단보강 복합파일 및 선단 확장 파일 KR20120129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125A KR20120129079A (ko) 2011-05-19 2011-05-19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와 전단보강 복합파일 및 선단 확장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125A KR20120129079A (ko) 2011-05-19 2011-05-19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와 전단보강 복합파일 및 선단 확장 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079A true KR20120129079A (ko) 2012-11-28

Family

ID=47513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125A KR20120129079A (ko) 2011-05-19 2011-05-19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와 전단보강 복합파일 및 선단 확장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90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1665A (zh) * 2019-02-20 2019-06-14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高性能预制uhpc~phc组合桩柱一体结构及其制备方法
KR102439463B1 (ko) 2022-05-23 2022-09-02 최경선 Phc 파일 선단부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phc 파일 선단부 보강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1665A (zh) * 2019-02-20 2019-06-14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高性能预制uhpc~phc组合桩柱一体结构及其制备方法
CN109881665B (zh) * 2019-02-20 2023-11-24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高性能预制uhpc~phc组合桩柱一体结构及其制备方法
KR102439463B1 (ko) 2022-05-23 2022-09-02 최경선 Phc 파일 선단부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phc 파일 선단부 보강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777B1 (ko) 림 결합식 말뚝 이음장치
KR100835777B1 (ko) 콘크리트파일과 강관 파일의 이음장치
KR101423613B1 (ko) 지지력 보강부 및 이를 구비한 파일
JP5236152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造柱梁の接合方法
KR101466068B1 (ko) 선단 지지력이 강화된 복합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말뚝 매입공법
KR20190048500A (ko) 볼트 체결식 결합부재를 이용해 연결된 phc 말뚝과 강관으로 이루어진 복합말뚝
JP2016132868A (ja) 棒状金物
KR102069419B1 (ko) 내부가 강관으로 보강된 복합말뚝
KR100786360B1 (ko) 복합파일용 콘크리트 파일
KR20120129079A (ko) 연결부를 구비한 피에이치씨 파일 조립체와 전단보강 복합파일 및 선단 확장 파일
KR101448145B1 (ko) 기둥 일체형 기초
KR101773434B1 (ko)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 결합용 이음장치
KR20170139186A (ko) 강관기둥과 기초구조체의 연결구조
KR20180007292A (ko) Phc 말뚝 연결장치
KR20100052847A (ko) 말뚝연결장치
KR101205893B1 (ko) Phc 파일의 단부 결합장치
KR100803658B1 (ko) 복합파일용 콘크리트 파일
ZA201006310B (en) Fastening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fastening element
KR20100041991A (ko) 전단연결재로서의 철골구조용 스터드 볼트의 결합구조
KR101862622B1 (ko) Phc 파일
KR101543961B1 (ko) 복합파일
KR101291705B1 (ko) 파일의 선단지지력 보강장치
JP6071125B2 (ja) 地中支持体の接合構造
JP2012057432A (ja) 杭と鉄骨柱との接合構造
KR101594728B1 (ko) 복합파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