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255A -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255A
KR20120128255A KR1020110046087A KR20110046087A KR20120128255A KR 20120128255 A KR20120128255 A KR 20120128255A KR 1020110046087 A KR1020110046087 A KR 1020110046087A KR 20110046087 A KR20110046087 A KR 20110046087A KR 20120128255 A KR20120128255 A KR 20120128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support
magnifying lens
body por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수곤
Original Assignee
어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수곤 filed Critical 어수곤
Priority to KR102011004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8255A/ko
Publication of KR20120128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S)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개구부(11)로 노출된 화면(S)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 및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Smart phone cradle}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된 스마트폰의 화면을 확대시켜주고, 특정 각도의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은 앱(App)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비하여 커다랗고 고화질의 화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가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뛰어난 영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화면을 장시간 시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생활의 패턴을 바꿀 정도로 다양한 활용성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적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주변기기에 관련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추세를 반영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거치된 스마트폰의 화면을 확대하여 보여주고, 몸체부를 특정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특정 각도의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으며, 몸체부를 특정 각도에서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S)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 상기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11)로 노출된 화면(S)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 상기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 및 상기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위의 광이 상기 확대렌즈(20)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광차단막(5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지지부(40)는, 상기 몸체부(30)의 양측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한쌍의 지지날개(41)와, 상기 지지날개(41)의 하단을 연결하는 지지몸체(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지지부(40)는, 상기 몸체부(30)가 특정 회전각도에서 위치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위치고정부(43)(4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43)는, 상기 몸체부(30)의 양측벽에서 돌출되어 나사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한 지지날개(41) 상단의 관통공(41a)을 관통하는 축부(43a)와, 상기 축부(43a)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날개(41)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하는 회전마찰놉(43b)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44)는, 상기 몸체부(30)의 양측벽 또는 지지날개(4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걸림홈으로 구성된 제1스토퍼(44a)와, 상기 몸체부(30)의 양측벽 또는 지지날개(41)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스토퍼(44a)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2스토퍼(44b)를 포함한다.
본원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단순히 거치함으로써 스마트폰의 화면을 6~8 인치 정도의 크기까지 확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책상위에 비치하여 탁상용 TV 로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 화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므로, 장시간 시청하더라도 눈이 피로해지고 시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
도 3은 스마트폰 화면의 시야각과 확대렌즈의 시야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거치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각도조절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배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이며, 도 3은 스마트폰 화면의 시야각과 확대렌즈의 시야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4는 도 2의 거치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각도조절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의 배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S)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와;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개구부(11)로 노출된 화면(S)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와;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와;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40)와; 몸체부(3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위의 광이 확대렌즈(20)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광차단막(50);을 포함한다.
거치부(10)는 확대렌즈(20)의 반대측인 몸체부(30)의 후방에 설치되며, 스마트폰(M)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곳이다.
거치부(10)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11)는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으며 후술할 스마트폰(M)의 화면(S)이 노출된다.
거치부(10)에는 스마트폰(M)이 삽입되어 거치되는 삽입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삽입부(12)에 스마트폰(M)을 삽입시키면 스마트폰 화면(S)은 개구부(11)를 통하여 노출되고, 이에 따라 확대렌즈(20)는 스마트폰 화면(S)을 확대한다.
확대렌즈(20)는 개구부(11)를 통하여 보이는 스마트폰(M)의 화면(S)을 확대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화면(S)의 좌우측 및 상하측 비율에 맞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으로 구현된다. 확대렌즈(20)는 화면(S)을 선명하게 확대할 수 있도록 수차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플란넬(flannel) 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각선 방향으로 6 인치에서 8 인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30)는 거치부(10)와 확대렌즈(20)를 연결함과 동시에,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외부와 완전히 차폐된 구조를 가지며, 몸체부(30)의 내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렌즈(20)와 개구부(11)를 4면에서 연결할 수 있는 내부덕트(35)가 설치된다. 이때, 몸체부(30) 또는 내부덕트(35) 내측벽,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덕트(35)의 내측벽에는 스마트폰(M)의 화면(S)에서 조사되는 광이 반사되지 않도록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광흡수면은 검정색깔의 코팅층 또는 검정색깔의 재질로 된다.
이와 같이, 몸체부(30)는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외부와 완전히 차폐된 구조를 가지며, 몸체부(30)의 내측에 광흡수면이 형성된 내부덕트(35)가 형성됨으로써 스마트폰의 화면(S)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이 매우 선명하게 보이게 된다.
각도조절지지부(40)는, 몸체부(30)를 바닥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화면(S)은 LCD 패널로 구현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 패널은 시야각(A)은 160ㅀ 전후이기 때문에 어느 방향에서 어느 시야각도에서도 화면(S)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확대렌즈(20)로 스마트폰 화면(S)을 확대시킬 경우, 시야각(B)은 매우 작아지고, 이에 따라 확대된 스마트폰 화면(S)을 정확히 시청하기 위하여 확대렌즈(20)의 정면에 시청자의 눈이 위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즉, 본원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확대렌즈(20)에 의하여 스마트폰의 화면(S)을 확대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확대하기전의 스마트폰 화면(S)보다 시야각은 작아지며, 이를 위하여 시청자의 눈이 확대렌즈(20)의 정면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가 시청자의 눈과 직각이 되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몸체부(30)는 스마트폰이 거치되며 확대렌즈(20)가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무게가 상당하다. 따라서 몸체부(30)를 손으로 확대렌즈(20)를 통하여 장시간 시청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몸체부(30) 무겁기 때문에, 무게를 분산시키기 위하여 몸체부(30)의 양 측부를 지지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본원은 바닥에 지지된 상태로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특정 회전각도에서 몸체부(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40)를 채용하는 것이다. 특히 본원은, 주로 책상위에 스마트폰 화면(S)을 장시간동안 시청하기 위한것이기 때문에, 특정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40)는 더더욱 중요한 기술구성인 것이다.
이러한 각도조절지지부(4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지지날개(41)와, 지지날개(41)의 하단을 연결하며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몸체(42)를 포함한다.
또한 각도조절지지부(40)는, 몸체부(30)를 특정 회전각도에서 위치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위치고정부(43)(44)를 포함한다. 이러한 위치고정부(43)(44)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위치고정부(43)의 일 실시예는, 몸체부(30)의 양측벽에서 돌출되어 나사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한 지지날개(41) 상단의 관통공(41a)을 관통하는 축부(43a)와, 축부(43a)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지지날개(41)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하는 회전마찰놉(43b)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몸체부(30)가 지지날개(41)에 대하여 특정 각도로 회전된 후, 회전마찰놉(43b)을 회전시켜 조이게 되면 회전마찰놉(43b)과 지지날개(41)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몸체부(30)가 특정 회전각도에서 위치고정된다.
또한 위치고정부(44)의 다른 실시예는, 몸체부(30)의 양측벽 또는 지지날개(4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걸림홈으로 구성된 제1스토퍼(44a)와, 몸체부(30)의 양측벽 또는 지지날개(41)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제1스토퍼(44a)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2스토퍼(44b)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30)의 양측벽에 제1스토퍼(44a)가 설치되고, 지지날개(41)에 제1스토퍼(44a)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2스토퍼(44b)가 설치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몸체부(30)를 지지날개(41)에 대하여 강제로 회전시키면 제1스토퍼(44a)도 함께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2스토퍼(44b)는 회전되는 제1스토퍼(44a)의 특정 걸림홈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몸체부(30)에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으면 제2스토퍼(44b)는 제1스토퍼(44a)의 특정 걸림홈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몸체부(30)는 특정 회전각도에서 위치고정된다.
광차단막(50)은, 몸체부(3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위의 광, 특히 천정에서 조사되는 광이 확대렌즈(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일반적으로 천정에는 대부분 조명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조명에서 발생되는 광이 확대렌즈(20)에 반사된 후 시청자의 눈으로 조사될 경우, 반사광에 의하여 스마트폰의 화면(S)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위의 광이 확대렌즈(20)로 조사되지 않도록 광차단막(50)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M)을 단순히 거치하는 것에 의하여 스마트폰의 화면(S)을 6~8 인치 정도의 크기까지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책상위에 비치하여 사용할 때 TV 로도 사용할 수 있고, 화면이 확대되므로 장시간 시청하더라도 눈이 피로해지고 시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거치부 11 ... 개구부
12 ... 삽입부 20 ... 확대렌즈
30 ... 몸체부 35 ... 내부덕트
40 ... 각도조절지지부 41 ... 지지날개
42 ... 지지몸체 43 ... 위치고정부
43a ... 축부 43b ... 회전마찰놉
44 ... 위치고정부 44a ... 제1스토퍼
44b ... 제2스토퍼 50 ... 광차단막

Claims (6)

  1. 스마트폰(M)이 삽입되는 삽입부(12) 및 전방측으로 상기 스마트폰(M)의 화면(S)이 노출되는 개구부(11)가 형성된 거치부(10);
    상기 거치부(10)의 전방에 위치된 것으로서, 상기 개구부(11)로 노출된 화면(S)을 확대하는 사각형태의 확대렌즈(20);
    상기 확대렌즈(20)와 거치부(10) 사이로 외부의 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몸체부(30); 및
    상기 몸체부(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확대렌즈(20)의 세움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지지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위의 광이 상기 확대렌즈(20)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광차단막(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지지부(40)는,
    상기 몸체부(30)의 양측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한쌍의 지지날개(41)와, 상기 지지날개(41)의 하단을 연결하는 지지몸체(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지지부(40)는,
    상기 몸체부(30)가 특정 회전각도에서 위치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위치고정부(43)(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43)는, 상기 몸체부(30)의 양측벽에서 돌출되어 나사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한 지지날개(41) 상단의 관통공(41a)을 관통하는 축부(43a)와, 상기 축부(43a)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날개(41)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하는 회전마찰놉(43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44)는, 상기 몸체부(30)의 양측벽 또는 지지날개(4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걸림홈으로 구성된 제1스토퍼(44a)와, 상기 몸체부(30)의 양측벽 또는 지지날개(41)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스토퍼(44a)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2스토퍼(4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10046087A 2011-05-17 2011-05-17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128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087A KR20120128255A (ko) 2011-05-17 2011-05-17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087A KR20120128255A (ko) 2011-05-17 2011-05-17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255A true KR20120128255A (ko) 2012-11-27

Family

ID=4751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087A KR20120128255A (ko) 2011-05-17 2011-05-17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82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1913A (zh) * 2016-11-10 2018-05-25 深圳市炫硕智造技术有限公司 显示屏支架结构及编带机
KR20210053943A (ko) 2018-10-16 2021-05-12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메타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의 제조 방법, 메타크릴계 수지 조성물, 성형체, 광학 부품 및 자동차 부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1913A (zh) * 2016-11-10 2018-05-25 深圳市炫硕智造技术有限公司 显示屏支架结构及编带机
KR20210053943A (ko) 2018-10-16 2021-05-12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메타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의 제조 방법, 메타크릴계 수지 조성물, 성형체, 광학 부품 및 자동차 부품
KR20230031379A (ko) 2018-10-16 2023-03-07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메타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의 제조 방법, 메타크릴계 수지 조성물, 성형체, 광학 부품 및 자동차 부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2911B (zh) 光学组件调整装置及使用其的投影机
CN108292041A (zh) 用于更高光学性能的紧凑近眼显示器光学系统
US10771663B2 (en) Pressure pivoting electronic mirroring device
CN111937369B (zh) 屏幕组件和电子设备
US20110215990A1 (en) Apparatus for Obscuring Non-Displaying Areas of Display Panels
US20080088696A1 (en) Compact, portable universal script prompter and videoconferencing eye contact-assisting device for personal computers
KR20120128255A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CN106959804B (zh) 手持电子设备和切换工作模式的方法
CN215867321U (zh) 一种远像显示装置
US11513428B1 (en) Camera and lens cap
KR20120006210U (ko) 스마트폰용 거치대
CN107680482B (zh) 显示组件及电子设备
US20130286200A1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US20220373871A1 (en) Camera and mount
CN109031739A (zh) 一种液晶显示装置及分体式背光组件
WO2007087142A2 (en) Video conference system with parallax correction and background reduction
KR20120129728A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55601Y1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TWM425322U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rojection function
KR20120128256A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006211U (ko) 스마트폰용 거치대
EP2372219A1 (en) Television, stand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20128254A (ko) 다기능 스마트폰 거치대
WO2024079774A1 (ja) 映像配信システム、カメラ支持システム、映像配信方法及びカメラ支持方法
US20220373867A1 (en) Camera stand with integrated tilt h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