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995A -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그리고 서버 - Google Patents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그리고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995A
KR20120123995A KR1020110041700A KR20110041700A KR20120123995A KR 20120123995 A KR20120123995 A KR 20120123995A KR 1020110041700 A KR1020110041700 A KR 1020110041700A KR 20110041700 A KR20110041700 A KR 20110041700A KR 20120123995 A KR20120123995 A KR 20120123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ent
query
video content
broadcas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9443B1 (ko
Inventor
박태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1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443B1/ko
Priority to US13/427,545 priority patent/US8893166B2/en
Priority to EP12161682.5A priority patent/EP2521373B1/en
Publication of KR20120123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8Monitoring of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그리고 서버가 제공된다. 본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은 입력된 영상 컨텐츠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화면상에 출력된 영상 컨텐츠의 특징 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며, 외부의 서버로부터 확인 대상인 영상 컨텐츠의 타겟 이미지가 포함된 쿼리(query)가 수신되면,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외부의 서버에 전송한다. 이에 의해, 실시간 영상 컨텐츠의 시청률 조사 혹은 광고 노출도 조사 등이 가능해지며, 서버의 부하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그리고 서버{Method for surveying watching of video content,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Server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그리고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특징 이미지를 추출하는 동영상 인식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그리고 서버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의 출처가 종래 공중파 위주의 단일 소스에서 케이블/IPTV/Vod 등으로 다변화되면서, 시청자들이 지금 어떤 프로그램을 보고 있는지 아는 것이 맞춤형 광고나 프로그램 추천 등의 서비스를 위한 핵심정보로 부상하고 있다.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에 대한 조사방법으로 영상 컨텐츠 정보(예를 들어, EPG 정보 등)를 이용하여 수작업에 의해 생성된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것이 기본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상술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이용한 영상 컨텐츠 시청 조사 방법은 저작권자 혹은 방송 사업자의 정책적 이류로 인하여 특정 영상 소스는 메타데이터 정보에 접근할 수 없거나 아예 해당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찾고자하는 하는 영상들의 타겟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임의의 영상 소스에서 영상의 특징 이미지(signature image)를 추출하고, 이를 쿼리로 데이터베이스에 송신한다. 데이터베이스가 쿼리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 내에 추출된 특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조회하여, 해당 영상물의 ID를 얻어낼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 인식 기술을 영상 핑거프린트(video fingerprint)라고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동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찾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 의 타겟 이미지를 미리 추출해서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이를 서버에 저장한다. 그리고, 방송수신장치는 입력되는 영상 스트림에서 특징 이미지를 추출하여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달한다. 서버가 추출된 특징 이미지를 수신하면, 서버는 수신된 특징 이미지와 데이터 베이스 내에 포함된 타겟 이미지를 비교하여 컨텐츠 ID를 확인한 후,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을 이용할 경우, 생방송처럼 동영상 생성과 전송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타겟 이미지를 미리 뽑아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므로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실시간 갱신이라는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방송수신장치는 시청률 조사나 광고 노출도 조사 등의 작업이 언제 필요할지 알 길이 없어, 주기적으로 특징 이미지를 추출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업로드를 지속해야 하므로 네트워크 낭비가 발생하게 되었다.
무엇보다도, 특징 이미지의 크기가 아무리 작아도 시청률을 조사해야할 방송수신장치의 개수가 수백만~수천 만대 규모에 이르면, 과도한 서버부하 및 이에 따른 운영비 상승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상에서 영상 컨텐츠의 특징 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고, 외부의 서버로부터 확인 대상인 영상 컨텐츠의 타겟 이미지가 포함된 쿼리가 수신되면,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그리고 서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에서 출력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은, 입력된 영상 컨텐츠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화면상에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특징 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단계;및 외부의 서버로부터 확인 대상인 영상 컨텐츠의 타겟 이미지가 포함된 쿼리(query)가 수신되면, 상기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상기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쿼리는, 상기 타겟 이미지의 캡쳐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인 타임스탬프(timestam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은, 상기 쿼리에 포함된 타임스탬프를 참조하여 검색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검색 구간 내에 캡쳐된 특징 이미지 중에서 속에 상기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 구간의 시작점은, 상기 쿼리에 포함된 타임스탬프와 상기 쿼리가 도착할 때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측정한 시스템 타임스탬프와의 차이를 바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임스탬프에 포함된 캡쳐 시점은 그리니치 표준시에 의한 시간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쿼리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와 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특징 이미지를 기설정된 크기의 큐(queue)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쿼리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출력된 후 기설정된 기간 내에 수신되며, 상기 기설정된 기간은 상기 큐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 광고 컨텐츠 및 Vod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입력되는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된 영상 컨텐츠로부터 특징 이미지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특징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및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확인 대상인 영상 컨텐츠의 타겟 이미지가 포함된 쿼리(query)가 수신되면, 상기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상기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쿼리는, 상기 타겟 이미지의 캡쳐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인 타임스탬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쿼리에 포함된 타임스탬프를 참조하여 검색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검색 구간 내에 캡쳐된 특징 이미지 중에서 상기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 구간의 시작점은, 상기 쿼리에 포함된 타임스탬프와 상기 쿼리가 도착할 때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측정한 시스템 타임스탬프와의 차이를 바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임스탬프에 포함된 캡쳐 시점은 그리니치 표준시에 의한 시간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쿼리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결과와 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함께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추출된 특징화면을 기설정된 크기의 큐(queue)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출력된 후 기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쿼리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설정된 기간은 상기 큐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 광고 컨텐츠 및 Vod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은, 확인 대상인 영상 컨텐츠의 타겟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타겟 이미지와 타겟 이미지의 캡쳐시점인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쿼리(query)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쿼리를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및 상기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쿼리를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복수의 방송수신장치에 분산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쿼리는, 조사 대상인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방송수신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서버는, 조사 대상인 영상 컨텐츠의 타겟 이미지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타겟 이미지와 타겟 이미지의 캡쳐 시점인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쿼리(query)를 생성하는 쿼리 생성부;및 상기 생성된 쿼리를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된 쿼리를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복수의 방송수신장치에 분산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쿼리는, 조사 대상인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에서 출력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시그니쳐(signature)를 추출하여 시그니쳐 큐(signature queue)에 저장하는 단계; 외부의 서버로부터 시청여부 확인대상인 영상 컨텐츠의 타겟 시그니쳐(target signature)가 포함된 쿼리(query)를 수신하면, 상기 시그니쳐 큐 안에 수신된 상기 타겟 시그니쳐와 일치하는 시그니쳐가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결과에 의해 일치되는 경우가 1회 이상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미리 정의된 추가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쿼리는, 상기 타겟 이미지의 캡쳐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인 타임스탬프(timestam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쿼리는, 상기 방송수신장치 내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혹은 해당 프로그램의 식별자, 혹은 특정 인터넷 리소스의 UR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상기 URL을 통해 특정 인터넷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입력되는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된 영상 컨텐츠로부터 시그니쳐(signature)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시그니쳐를 시그니쳐 큐(signature queue)에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및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시청여부 확인대상인 영상 컨텐츠의 타겟 시그니쳐(target signature)가 포함된 쿼리(query)가 수신되면, 상기 시그니쳐 큐 안에 수신된 상기 타겟 시그니쳐와 일치하는 시그니쳐가 있는지 검색하고, 상기 검색결과에 의해 일치되는 경우가 1회 이상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미리 정의된 추가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쿼리는, 상기 타겟 이미지의 캡쳐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인 타임스탬프(timestam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쿼리는, 상기 방송수신장치 내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혹은 해당 프로그램의 식별자, 혹은 특정 인터넷 리소스의 UR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결과에 의해 일치되는 경우가 1회 이상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상기 URL을 통해 특정 인터넷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영상 컨텐츠의 시청률 조사 혹은 광고 노출도 조사 등에 활용이 가능해 진다. 뿐만 아니라 조사가 필요할 때만 방송수신장치 및 서버 간의 연결이 발생하고, 검색 부하가 서버에 집중되지 아니하며, 방송수신장치가 계속해서 특징 이미지를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서버의 부하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시청 여부 확인 시스템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서버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시청 여부 확인 시스템에서의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10)에 대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10)은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 및 서버(200)를 포함한다.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는 다양한 입력소스(예를 들어, 지상파, 위성, 케이블 등)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컨텐츠를 수신한다. 그리고,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는 사용자가 보고자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 후, 신호 처리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한다.
또한,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의 특징 이미지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이때, 영상 컨텐츠의 특징 이미지라 함은 영상 컨텐츠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캡쳐한 이미지이다. 또한, 특징 이미지는 기설정된 크기의 특징 큐(signature queue)에 저장된다.
서버(200)는 사업자에 의해 영상 컨텐츠에 대한 타겟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때, 타겟 이미지는 사업자가 시청 여부를 조사하기 원하는 영상 컨텐츠에서 캡쳐한 이미지를 말한다.
그리고, 서버(200)는 추출된 타겟 이미지와 타겟 이미지의 타임스탬프(timestamp)를 포함하는 쿼리(query)를 생성한다. 이때, 타겟 이미지의 타임스탬프는 타겟 이미지가 캡쳐된 시점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지역을 초월하여 공통적용이 가능한 그리니치 표준시에 의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쿼리에는 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0)는 생성된 쿼리를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에 전송한다. 이때, 서버(200)는 추후에 서버(200)로 취합될 회신의 폭주를 예방하기 위해, 모든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에 쿼리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시간차를 두고 특정 댓수의 방송수신장치 별로 분산 전송한다.
이때, 서버(200)는 방송수신장치(100)가 기설정된 크기의 특징 큐에 특징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는 시간에 반드시 쿼리를 전송할 필요가 없으며,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는 시간 후 일정 시간 내에 쿼리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는 수신된 쿼리에 포함된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이때,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는 수신된 쿼리 속에 포함된 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큐의 검색 구간을 설정한 후, 검색 구간 내에 캡쳐된 특징 이미지 중에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는 수신된 쿼리에 포함된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 여부에 대한 검색 결과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는 쿼리 속에 포함된 컨텐츠 ID를 검색 결과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검색 결과가 수신되면, 서버(200)는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로부터 회신되는 복수의 검색결과를 취합하여,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시청률 정보 및 광고 노출도, 사용자 선호 컨텐츠와 같은 정보를 가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에 의해, 실시간 영상 컨텐츠의 시청률 조사 혹은 광고 노출도 조사 등에 활용이 가능해 진다. 뿐만 아니라 조사가 필요할 때만 방송수신장치 및 서버 간의 연결이 발생하고, 검색 부하가 서버에 집중되지 아니하며, 방송수신장치가 계속해서 특징 이미지를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서버의 부하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방송수신장치(100) 및 서버(2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수신장치(100)는 영상 입력부(110), 영상 처리부(120), 영상 출력부(130), 추출부(140), 저장부(150), 통신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영상 입력부(110)는 지상파, 위성 및 케이블과 같이 다양한 입력 소스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또한, 영상 입력부(110)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영상 입력부(120)는 S-Video, 컴포넌트, 컴포지트, D-Sub, DVI, HDMI 등을 통해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입력된 방송 신호 또는 영상 신호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및 비디오 스케일링 등의 신호처리 및 GUI 부가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영상 출력부(130)는 영상 처리부(120)에서 신호처리된 영상 컨텐츠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출력한다.
추출부(140)는 영상 출력부(130)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특징 이미지(signature image)를 추출한다. 여기서, 특징 이미지는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화면이 캡쳐된 영상이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특징 이미지는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화면에 포함된 부분 이미지(예를 들어, 로고 등) 또는 영상 컨텐츠 화면의 시그니쳐(singature)일 수 있다. 또한, 영상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 광고 컨텐츠 및 Vod 컨텐츠 중 하나일 수 있다.
특히, 추출부(140)는 영상 출력부(130)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특징 이미지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부(140)는 영상 출력부(130)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특징 이미지를 0.5초 간격으로 추출할 수 있다. 특히, 추출부(140)가 짧은 시간 간격으로 특징 이미지를 추출함으로써, 방송 시간이 짧은 광고 등과 같은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시청 여부 조사가 용이해 질 수 있다.
저장부(150)는 방송수신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특히, 저장부(150)는 추출부(140)에 의해 추출된 특징 이미지를 특징 큐(signature queue)에 저장한다. 여기서 큐(queue)라 함은, 한쪽 끝에 데이터의 삽입이 일어나고, 그 반대쪽 끝에 데이터의 삭제가 일어나는 순서리스트로써,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순서 리스트라고도 한다.
이때, 특징 큐는 특정 장수의 특징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징 이미지가 장당 100 byte이면, 14400장 정도의 특징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하여, 특징 큐는 약 1.4 Mb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추출부(140)가 초당 2장의 특징 이미지를 캡쳐한다면, 특징 큐는 7200초, 즉 2시간 분량의 영상 컨텐츠에 대한 특징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0)와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60)는 서버(200)로부터 타겟 이미지 및 타겟 이미지의 타임스탬프가 포함된 쿼리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쿼리는 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ID, 방송수신장치 내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혹은 해당 프로그램의 식별자, 혹은 인터넷 리소스의 UR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검색 결과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방송수신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70)는 외부의 서버(200)로부터 시청 여부 확인 대상인 영상 컨텐츠의 타겟 이미지가 포함된 쿼리(query)가 수신되면, 저장부(150)의 특징 큐 속에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쿼리 속에 포함된 타겟 이미지의 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특징 큐의 기설정된 검색 구간을 설정하고, 특징 큐의 검색 구간에 포함된 특징 이미지 중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검색 구간의 시작점은 쿼리에 포함된 타겟 이미지의 타임스탬프와 쿼리가 도착할 때 방송수신장치(100)가 측정한 시스템 타임스탬프와의 차이를 바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이미지의 타임스탬프가 오후 7시이고, 쿼리가 도착할 때 방송수신장치(100)가 측정한 시스템 타임스탬프가 8시 30분인 경우, 타겟 이미지의 타임스탬프와 쿼리가 도착할 때 방송수신장치(100)가 측정한 시스템 타임스탬프와의 차이는 1시간 30분이 된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특징 큐의 끝 지점에서 1시간 30분 이전의 시점을 검색 구간의 시작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한 검색 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특징 큐의 기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3분)에 포함된 특징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특징 큐의 검색 구간에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존재한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해당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였다는 검색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검색 결과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특징 큐의 검색 구간에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해당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지 않았다는 검색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검색 결과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검색 결과 정보를 전송할 때,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쿼리 속에 컨텐츠 ID 가 포함되어 있다면, 제어부(170)는 검색 결과 정보와 함께 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검색결과 상기 특징 이미지와 타겟 이미지가 일치하는 경우가 1회 이상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미리 정의된 추가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쿼리 속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쿼리 속에 포함된 인터넷 리소스의 URL을 통해 특정 인터넷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송수신장치(100)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시청 여부를 조사하면, 사업자는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에 대한 정보를 가공하여, 방송 컨텐츠의 시청률을 조사할 수 있고, 광고 컨텐츠의 노출도를 조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시청 정보를 통해 사용자 선호 컨텐츠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업자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시청 정보를 통해 사용자 선호 컨텐츠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나 영상 컨텐츠 추천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블럭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는 추출부(210), 쿼리 생성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추출부(210)는 사업자에 의해 영상 컨텐츠의 타겟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때, 타겟 이미지라 함은, 사업자가 시청 여부를 조사하길 원하는 영상 컨텐츠의 특정 이미지를 말한다. 이때, 추출부(210)는 타겟 이미지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쿼리 생성부(220)는 추출부(210)에 의해 추출된 타겟 이미지와 타겟 이미지가 추출된 시점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이용하여 쿼리를 생성한다. 여기서, 타임스탬프는 지역을 초월하여 전세계적으로 공통적으로 적용가능한 그리니치 표준시(GMT; Greenwich Mean Time)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타임스탬프는 또 다른 세계 표준시인 UTC(Universal Time Coordinated)를 따를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쿼리 속에는 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ID, 방송수신장치 내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혹은 해당 프로그램의 식별자, 혹은 인터넷 리소스의 UR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30)는 쿼리 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된 쿼리를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230)는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에 쿼리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를 특정 대수로 나눈 후, 시간차를 두어 특정 대수별로 분산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가 1000만대인 경우, 통신부(230)는 100만 대씩 나누어 10분 간격으로 분산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부(230)는 영상 컨텐츠가 출력된 지 100분의 시간이 지연된 후에도 시청 여부에 대한 조사가 가능하다. 이때, 통신부(230)의 지연 시간은 방송수신장치(100)에 저장된 특징 큐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특징 큐의 크기가 2시간 분량의 영상 컨텐츠의 특징 이미지를 저장한다면, 통신부(230)의 지연 시간은 최대 2시간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230)는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로부터 타겟 이미지의 검색 결과 정보(즉, 영상 컨텐츠 시청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쿼리가 분산 전송되었다면, 통신부(230)는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로부터 동시에 타겟 이미지의 검색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차를 두어 특정 대수별로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사업자의 명령을 수신하여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40)는 통신부(230)를 통해 수신된 타겟 이미지의 검색 결과 정보를 취합하여, 해당 영상 컨텐츠의 시청률을 조사하거나 광고 노출도를 조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서버(200)를 통해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청 여부를 조사하면, 사업자는 서버(200)에 대한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짧은 시간 동안 방영되는 광고와 같은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시청률 조사도 가능해 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의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방송수신장치(100)는 다양한 입력소스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입력받는다(S410). 이때, 다양한 입력소스에는 지상파 방송,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뿐 아니라 IPTV, VOD와 같은 입력 소스가 포함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100)는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420).
영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면, 방송수신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컨텐츠를 이용하여 특징 이미지를 캡쳐한다(S430). 이때, 방송수신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컨텐츠의 화면을 기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1초에 두 장)으로 캡쳐할 수 있다.
특징 이미지가 캡쳐되면, 방송수신장치(100)는 캡쳐된 특징 이미지를 큐에 저장한다(S440). 이때, 큐는 기설정된 시간으로 캡쳐된 영상 컨텐츠의 특징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특징 이미지 한 장에 100Byte의 크기를 갖고, 1초에 두 장의 특징 이미지가 캡쳐되는 경우, 방송수신장치(100)는 2시간 분량의 영상 컨텐츠에 대한 특징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해 약 1.4MB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100)가 외부의 서버(200)로부터 쿼리를 수신하면(S450), 방송수신장치(100)는 쿼리 속에 포함된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를 검색한다(S460).
구체적으로, 방송수신장치(100)는 쿼리 속에 포함된 타겟 이미지의 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큐의 검색 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큐의 검색 구간 내에 포함된 특징 이미지 중에서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이때, 검색 구간의 시작점은 쿼리에 포함된 타겟 이미지의 타임스탬프와 쿼리가 도착할 때 방송수신장치(100)가 측정한 시스템 타임스탬프와의 차이를 참조하여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수신장치(100)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검색 결과를 외부의 서버(200)에 전송한다(S47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서버(200)는 영상 컨텐츠의 타겟 이미지를 추출한다(S510). 이때, 타겟 이미지라 함은, 사업자가 시청 여부를 확인하길 원하는 영상 컨텐츠에서 캡쳐한 특정 이미지를 말한다.
타겟 이미지가 추출되면, 서버(200)는 추출된 타겟 이미지 및 타겟 이미지의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쿼리를 생성한다(S520). 이때, 타겟 이미지의 타임스탬프는 타겟 이미지가 캡쳐된 시점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이때 시간 정보는 지역을 초월하여 전세계적으로 적용가능한 그리니치 표준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생성된 쿼리에 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ID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쿼리가 생성되면, 서버(200)는 생성된 쿼리를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에 전송한다(S530). 이때, 서버(200)는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에 쿼리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를 특정 대수로 나눈 후, 시간차를 두어 특정 대수별로 분산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가 1000만대인 경우, 서버(200)는 100만 대씩 나누어 10분 간격으로 분산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가 지연하여 전송할 수 있는 시간은 방송수신장치(100)의 큐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200)는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로부터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540). 이때, 서버(200)는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로부터 동시에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차를 두어 특정 대수별로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로부터 시간차를 두어 특정 대수별로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200)의 부하가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로부터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서버(200)는 복수의 방송수신장치(100-1,100-2,...,100-n)로부터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에 대한 정보들을 취합하여, 영상 컨텐츠에 대한 각종 정보를 가공한다. 예를 들어, 영상 컨텐츠가 방송 컨텐츠인 경우, 서버(200)는 방송 컨텐츠의 시청 정보를 통해 방송 컨텐츠의 시청률을 조사할 수 있으며, 영상 컨텐츠가 광고 컨텐츠인 경우, 서버(200)는 광고 컨텐츠의 시청 정보를 통해 광고 컨텐츠의 노출도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영상 컨텐츠 시청 정보를 통해 선호 영상 컨텐츠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나 영상 컨텐츠 추천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시스템(10)의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방송수신장치(100)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입력받아(S610),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620). 그리고, 방송수신장치(100)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컨텐츠로부터 기설정된 간격으로 특징 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한다(S630). 이때, 특징 이미지는 기설정된 크기의 특징 큐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업자가 시청 여부 확인을 원하는 영상 컨텐츠로부터 타겟 이미지를 추출한다(S615). 그리고, 서버(200)는 추출된 타겟 이미지 및 타겟 이미지의 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쿼리를 생성한다(S625).
그리고, 서버(200)는 생성된 쿼리를 방송수신장치(100)로 전송한다(S640).
방송수신장치(100)는 수신한 쿼리를 이용하여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S650). 구체적으로, 방송수신장치(100)는 쿼리 속에 포함된 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특징 큐의 검색 구간을 설정하고, 검색 구간 내에 특징 이미지 중에서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검색이 종료되면, 방송수신장치(100)는 검색 결과, 즉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660).
그리고, 서버(200)는 전송된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에 대한 시청 여부를 조사한다(S670).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를 조사하면,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시에 시청 여부를 조사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방송과 같이 실시간으로 영상이 생성되어 전송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확한 시청 여부에 대한 조사가 가능해 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짧은 시간 간격(예를 들어, 1초에 두 장)으로 특징 이미지를 추출하여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였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지므로, 방송 시간이 짧은 광고 컨텐츠에 대한 노출도 조사가 가능해 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서버(200)가 수백만 내지 수천 만대의 방송수신장치에서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분산 전송 및 분산 수신함으로써, 서버(200)에 대한 부하가 줄어들게 되어, 사업자는 서버(200)에 대한 투자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방송수신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전자기기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수신장치(100)는 PC,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영상 입력부 120: 영상 처리부
130: 영상 출력부 140: 추출부
150: 저장부 160: 통신부
170: 제어부 210: 추출부
220: 쿼리 생성부 230: 통신부
240: 제어부

Claims (30)

  1. 방송수신장치에서 출력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에 있어서,
    입력된 영상 컨텐츠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화면상에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특징 이미지를 캡쳐하여 저장하는 단계;및
    외부의 서버로부터 확인 대상인 영상 컨텐츠의 타겟 이미지가 포함된 쿼리(query)가 수신되면, 상기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상기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는,
    상기 타겟 이미지의 캡쳐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인 타임스탬프(timestamp)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은,
    상기 쿼리에 포함된 타임스탬프를 참조하여 검색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검색 구간 내에 캡쳐된 특징 이미지 중에서 속에 상기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구간의 시작점은,
    상기 쿼리에 포함된 타임스탬프와 상기 쿼리가 도착할 때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측정한 시스템 타임스탬프와의 차이를 바탕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스탬프에 포함된 캡쳐 시점은 그리니치 표준시에 의한 시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와 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특징 이미지를 기설정된 크기의 큐(queue)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출력된 후 기설정된 기간 내에 수신되며,
    상기 기설정된 기간은 상기 큐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 광고 컨텐츠 및 Vod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10.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된 영상 컨텐츠로부터 특징 이미지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특징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및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확인 대상인 영상 컨텐츠의 타겟 이미지가 포함된 쿼리(query)가 수신되면, 상기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상기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는,
    상기 타겟 이미지의 캡쳐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인 타임스탬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쿼리에 포함된 타임스탬프를 참조하여 검색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검색 구간 내에 캡쳐된 특징 이미지 중에서 상기 타겟 이미지와 일치하는 특징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구간의 시작점은,
    상기 쿼리에 포함된 타임스탬프와 상기 쿼리가 도착할 때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측정한 시스템 타임스탬프와의 차이를 바탕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스탬프에 포함된 캡쳐 시점은 그리니치 표준시에 의한 시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결과와 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함께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6.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추출된 특징화면을 기설정된 크기의 큐(queue)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가 출력된 후 기설정된 기간 내에 상기 쿼리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설정된 기간은 상기 큐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 광고 컨텐츠 및 Vod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19. 서버의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에 있어서,
    확인 대상인 영상 컨텐츠의 타겟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타겟 이미지와 타겟 이미지의 캡쳐시점인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쿼리(query)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쿼리를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및
    상기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쿼리를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복수의 방송수신장치에 분산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는,
    조사 대상인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22. 복수의 방송수신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조사 대상인 영상 컨텐츠의 타겟 이미지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타겟 이미지와 타겟 이미지의 캡쳐 시점인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쿼리(query)를 생성하는 쿼리 생성부;및
    상기 생성된 쿼리를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상기 영상 컨텐츠의 시청 여부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서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된 쿼리를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복수의 방송수신장치에 분산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는,
    조사 대상인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I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5. 방송수신장치에서 출력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 컨텐츠의 시그니쳐(signature)를 추출하여 시그니쳐 큐(signature queue)에 저장하는 단계;
    외부의 서버로부터 시청여부 확인대상인 영상 컨텐츠의 타겟 시그니쳐(target signature)가 포함된 쿼리(query)를 수신하면, 상기 시그니쳐 큐 안에 수신된 상기 타겟 시그니쳐와 일치하는 시그니쳐가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결과에 의해 일치되는 경우가 1회 이상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미리 정의된 추가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는,
    상기 타겟 이미지의 캡쳐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인 타임스탬프(timestamp)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는,
    상기 방송수신장치 내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혹은 해당 프로그램의 식별자, 혹은 특정 인터넷 리소스의 UR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상기 URL을 통해 특정 인터넷 리소스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28.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된 영상 컨텐츠로부터 시그니쳐(signature)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추출된 시그니쳐를 시그니쳐 큐(signature queue)에 저장하는 저장부;
    외부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및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시청여부 확인대상인 영상 컨텐츠의 타겟 시그니쳐(target signature)가 포함된 쿼리(query)가 수신되면, 상기 시그니쳐 큐 안에 수신된 상기 타겟 시그니쳐와 일치하는 시그니쳐가 있는지 검색하고, 상기 검색결과에 의해 일치되는 경우가 1회 이상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미리 정의된 추가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수신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는,
    상기 타겟 이미지의 캡쳐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인 타임스탬프(timestamp)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쿼리는,
    상기 방송수신장치 내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혹은 해당 프로그램의 식별자, 혹은 특정 인터넷 리소스의 UR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결과에 의해 일치되는 경우가 1회 이상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상기 URL을 통해 특정 인터넷 리소스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KR1020110041700A 2011-05-02 2011-05-02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그리고 서버 KR101799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700A KR101799443B1 (ko) 2011-05-02 2011-05-02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그리고 서버
US13/427,545 US8893166B2 (en) 2011-05-02 2012-03-22 Method of surveying watching of image content,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server employing the same
EP12161682.5A EP2521373B1 (en) 2011-05-02 2012-03-28 Method of surveying watching of image content,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server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700A KR101799443B1 (ko) 2011-05-02 2011-05-02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그리고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995A true KR20120123995A (ko) 2012-11-12
KR101799443B1 KR101799443B1 (ko) 2017-11-20

Family

ID=4588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700A KR101799443B1 (ko) 2011-05-02 2011-05-02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그리고 서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93166B2 (ko)
EP (1) EP2521373B1 (ko)
KR (1) KR1017994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710A (ko) * 2013-11-06 2015-06-11 시아오미 아이엔씨. 방송국 로고 식별방법, 장치, 텔레비전 수상기,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억매체
KR20160027651A (ko) * 2014-09-02 2016-03-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영상 색인 방법 및 장치
US9785852B2 (en) 2013-11-06 2017-10-10 Xiaomi Inc. Method, TV set and system for recognizing TV station logo
WO2018110937A1 (ko) * 2016-12-13 2018-06-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트를 인식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3518B2 (ja) * 2012-09-06 2016-11-09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
KR101511297B1 (ko) * 2012-12-26 2015-04-10 주식회사 케이티 객체에 대한 부가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부가정보를 공유하는 서버
CN106060584A (zh) * 2016-06-27 2016-10-26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电视频道识别方法、装置及电视机、服务器
CN106131611A (zh) * 2016-06-29 2016-11-16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识别节目频道的方法、终端及服务器
CN112784137A (zh) * 2019-11-04 2021-05-11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显示方法及计算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1294A (en) * 1993-10-27 1996-01-02 A. C. Nielsen Company Audience measurement system utilizing ancillary codes and passive signatures
US5666157A (en) * 1995-01-03 1997-09-09 Arc Incorporated Abnormality detection and surveillance system
US5969755A (en) * 1996-02-05 1999-10-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tion based ev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5917958A (en) * 1996-10-31 1999-06-29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Distributed video data base with remote searching for image data features
US6424370B1 (en) * 1999-10-08 2002-07-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tion based ev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3685730B2 (ja) * 2001-03-28 2005-08-24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検索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監視カメラシステム
US7738704B2 (en) * 2003-03-07 2010-06-15 Technology, Patents And Licensing, Inc. Detecting known video entities utilizing fingerprints
US7266568B1 (en) * 2003-04-11 2007-09-04 Ricoh Company, Ltd. Techniques for storing multimedia information with source documents
CA2530012C (en) * 2003-06-20 2012-04-03 Nielsen Media Research, Inc. Signature-based program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use with digital broadcast systems
JPWO2005011294A1 (ja) * 2003-07-28 2007-09-27 日本電気株式会社 視聴調査システム
US7788696B2 (en) * 2003-10-15 2010-08-31 Microsoft Corporation Inferring information about media stream objects
WO2005041109A2 (en) * 2003-10-17 2005-05-06 Nielsen Media Research,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iying audio/video content using temporal signal characteristics
JP5026269B2 (ja) 2004-08-31 2012-09-12 インテグレーテッド メディア メジャーメント,インク. メディアコンテンツアイテムへの接触の検出および計測
US20070016918A1 (en) * 2005-05-20 2007-01-18 Alcorn Allan E Detecting and tracking advertisements
US7991770B2 (en) * 2005-11-29 2011-08-02 Google Inc. Detecting repeating content in broadcast media
US8213521B2 (en) * 2007-08-15 2012-07-03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dience measurement using global signature representation and matching
GB2465141B (en) * 2008-10-31 2014-01-22 Media Instr Sa Simulcast resolution in content matching systems
KR101729551B1 (ko) * 2009-04-01 201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및 브로드캐스트 콘텐츠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시청률을 단말 내에서 조사하는 방법
TR200905642A1 (tr) 2009-07-21 2011-02-21 Türkcell İleti̇şi̇m.Hi̇zmetleri̇ Anoni̇m Şi̇rketi̇ Bir izlenme ölçüm sistemi.
US8631473B2 (en) * 2011-07-06 2014-01-14 Symphony Advanced Media Social content monitoring platform apparatuses and systems
WO2012102038A1 (ja) * 2011-01-25 2012-08-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通知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ユーザ端末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710A (ko) * 2013-11-06 2015-06-11 시아오미 아이엔씨. 방송국 로고 식별방법, 장치, 텔레비전 수상기,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억매체
US9785852B2 (en) 2013-11-06 2017-10-10 Xiaomi Inc. Method, TV set and system for recognizing TV station logo
KR20160027651A (ko) * 2014-09-02 2016-03-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영상 색인 방법 및 장치
WO2018110937A1 (ko) * 2016-12-13 2018-06-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트를 인식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21373B1 (en) 2016-12-14
KR101799443B1 (ko) 2017-11-20
US20120284740A1 (en) 2012-11-08
US8893166B2 (en) 2014-11-18
EP2521373A1 (en)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443B1 (ko) 영상 컨텐츠 시청 확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그리고 서버
US11206457B2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US116592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rveying broadcasting ratings
KR101506823B1 (ko) 부가 서비스 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101960314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290935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EP27634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associ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broadcast content
US20140123204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30136369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63686A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110623B1 (ko) 송신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수신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연동 시스템
KR101426481B1 (ko)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RU2630432C2 (ru)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программа,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передающих программ
KR101130076B1 (ko) Iptv정보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91310B1 (ko) 셋톱박스 환경에서 시청률 조사 방법 및 시스템
KR102199568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143942B1 (ko) 방송사업자 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
US100739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content sharing system
US20170332138A1 (en) Audience rating survey apparatus and audience rating survey system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