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791A - 비디오카메라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비디오카메라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791A
KR20120123791A KR1020110041338A KR20110041338A KR20120123791A KR 20120123791 A KR20120123791 A KR 20120123791A KR 1020110041338 A KR1020110041338 A KR 1020110041338A KR 20110041338 A KR20110041338 A KR 20110041338A KR 20120123791 A KR20120123791 A KR 20120123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lding plate
folding
hinge piec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충기
Original Assignee
홍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충기 filed Critical 홍충기
Priority to KR1020110041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3791A/ko
Publication of KR2012012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해 영상을 촬영할 때 장시간 촬영하더라고 카메라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피로감을 최소화 시키키고, 더불어 비 사용 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비디오카메라용 거치대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비디오카메라용 거치대{supporter for video camera}
본 발명은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해 영상을 촬영할 때 장시간 촬영하더라고 카메라의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함과 동시에 피로감을 최소화 시키고, 더불어 비 사용 시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비디오카메라용 거치대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해 영상을 촬영할때에는 사진촬영과 달리 이동하는 과정에서 촬영이 이루어진다.
이때 촬영기사는 비디오카메라를 한손으로 든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촬영하는데, 장시간 촬영할 경우 카메라를 들고 있는 손에 피로감이 쉽게 오고 이동 과정에서 카메라가 흔들려 촬영 영상도 흔들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촬영기사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비디오카메라를 받쳐 사용할 수 있는 비디오카메라용 거치대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거치대의 한쪽끝부분을 촬영기사 겨드랑이 등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면에 비디오카메라를 올려놓은 상태로 촬영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카메라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촬영기사의 피로감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하지만 기존 거치대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한쪽 끝부분을 겨드랑이에 끼우거나 어깨 전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신체의 착용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기존 거치대는 길이를 비롯해 전체 크기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이나 운반 시 휴대가 불편한 단점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체와의 착용감이 향상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착용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피로감이 최소화될 수 있는 비디오카메라용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비 사용 시 전체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비디오카메라용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후면에 제1힌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 일단부가 상기 고정판 전면에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봉,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고 후면이 상기 가이드봉이 끼워져 상기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상부면에 비디오카메라가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 하부면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 일단부가 상기 제1힌지편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과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으며 타단부에는 제2힌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제1접이판, 일단부가 상기 제2힌지편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접이판과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타단부에는 제3힌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제2접이판, 일단부가 상기 제3힌지편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접이판과 수평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제3접이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제1접이판과 제3접치판 사이에 어깨를 끼워넣음에 따라 거치대 전체가 촬영기사 어깨에 걸쳐진 상태로 거치됨으로 안정적인 거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제1접이판 내지 제3접이판이 절첩되고 안착판과 고정판 간의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각 접이판을 절첩시키고 안착판과 고정판을 밀착시킬 경우 전체 크기가 작아져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사시도
도2는 전체 측단면도
도3은 고정판과 제1내지 제3접이판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4는 촬영기사에 착용된 상태의 측면개략도
도5내지 도10은 제1내지 제3접이판을 절첩시켜 전체 크기를 축소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개략도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 비디오카메라용 거치대는 크게 고정판(100)과 가이드봉(200), 안착판(300), 손잡이(400), 제1접이판(500), 제2접이판(600), 제3접이판(700) 및 회동제어부(800)를 포함한다.
먼저 고정판(100)은 거치대 전체의 지지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블록 형태이고 후면에는 제1힌지편(110)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고정판(100)에는 가이드봉(200)이 연결된다.
가이드봉(200)은 고정판(100)과 후술하는 안착판(300)의 연결 및 안착판(300)과 고정판(100)간의 간격조절시 안착판(300)의 이동경로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막대 형태이고 일단부가 고정판(100)의 전면에 고정연결된 상태에서 고정판 전면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위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봉(200)은 좌우 간격을 두고 두개가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봉(200)에는 안착판(300)이 연결된다.
안착판(300)은 비디오카메라가 실질적으로 안착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판재 형태이고 후면에는 삽입구(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체결볼트(320)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힌지판(33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착판(300)은 고정판(100)의 전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가이드봉(200)이 삽입구(310)에 끼워짐에 따라 가이드봉(200)을 통해 고정판과 연결됨과 동시에 가이드봉(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직선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안착판(300)에는 손잡이(400)가 설치된다.
손잡이(400)는 촬영과정에서 안착판을 지지하기 위해 촬영기사의 손이 파지되는 부분으로, 단순 막대 형태이고 안착판(300)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측면이 안착판(300)의 힌지판(330)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손잡이(400)는 안착판(300)과 수직상태로 세워진 상태에서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안착판(300)과 수평상태로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안착판과 연결된 고정판(100)에는 제1접이판(500)이 연결된다.
제1접이판(500)은 거치대를 촬영기사 어깨에 걸치기 위한 요소 중 하나로, 직육면체 형태로 고정판(100) 후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판과 수직 상태로 세워진 구조로 위치한다.
이때 제1접이판(500)의 하단부는 고정판(100)의 제1힌지편(110)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제1접이판 전체가 고정판과 수직 상태로 세워진 상태에서 거치대를 사용 않할 때에는 고정판의 상부면을 향해 회동하여 고정판과 수평상태로 위치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제1접이판(500)의 상단부에는 제2힌지편(5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접이판(500)에는 제2접이판(600)이 연결된다.
제2접이판(600)은 제1접이판과 더불어 거치대를 촬영기사 어깨에 걸치기 위한 요소 중 다른 하나로, 직육면체 형태이고 제1접이판 상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접이판(500)과 수직상태, 즉 고정판과 수평 상태로 위치된다.
이때 제2접이판(600)의 전면은 제1접이판(500)의 제2힌지편(510)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제2접이판 전체가 제1접이판과 수직상태에서 제1접이판의 후면을 향해 회동하여 제1접이판과 수평상태로 위치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제2접이판(600)의 후단부에는 제3힌지편(6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접이판(600)에는 제3접이판(700)이 연결된다.
제3접이판(700)은 제1, 2접이판(500)(600)과 더불어 거치대를 촬영기사 어깨에 걸치기 위한 요소중 마지막 요소로, 역시 판재 형태이고 제2접이판(600) 후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접이판(600)과 수직상태, 즉 제1접이판(500)과 수평 상태로 위치된다.
이때 제3접이판(700)의 상단부는 제2접이판(600)의 제3힌지편(610)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제3접이판 전체가 제2접이판과 수직 상태에서 제2접이판 하부면을 향해 회동하여 제2접이판과 수평 상태로 위치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접이판(500)과 제3접이판(700) 사이에는 끼움공간(s)이 형성되고 이러한 끼움공간(s)에 촬영기사의 어깨가 끼워짐에 따라 [도 4]처럼 거치대 전체가 촬영기사 어깨에 걸쳐진 상태로 위치된다.
이러한 제1내지 제3접이판(500)(600)(700) 간의 연결부위 즉 힌지부위에는 별도의 회동제어부(800)가 연결된다.
회동제어부(800)는 제1 내지 제3접이판(500)(600)(700)의 회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회동제어부(810) 및 제2회동제어부(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회동제어부(810)는 고정판(100)과 제1접이판(500)간의 회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회동제어축(812)과 제1회동제어기어(814), 제1캡(818) 및 제1스프링(816)으로 구성된다.
제1회동제어축(812)은 기다란 봉 형태로 제1힌지편(110)과 제1접이판(500)간의 중첩부위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1회동제어축(812)의 일단부에는 제1회동제어기어(814)가 연결되어 제1접이판 표면에 맞물린다.
그리고 제1회동제어축(812)의 타단부에는 제1스프링이 끼워지고 이 상태에서 제1회동제어축(812)의 회동 단부에 제1캡(818)이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1회동제어기어(814)를 외부에서 잡아당겨 제1접이판(500)과 분리시키면 제1회동제어축(812)과 제1캡(818)도 당겨지고 이 과정에서 제1스프링(816)이 압축된다.
따라서 이렇게 제1회동제어기어(814)와 제1접이판(500)이 분리됨에 따라 제1접이판(500)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 후 제1회동제어기어(814)를 놓으면 제1스프링(816)의 탄성력에 의해 제1회동제어기어(814)와 제1회동제어축(812)반대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회동제어기어(814)가 제1접이판(500)에 자동으로 맞물려 제1접이판(500)의 불필요한 회동이 차단된다.
그리고 제2회동제어부(820)는 제1접이판(500)과 제2접이판(600)간의 회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회동제어부(8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제2회동제어부(820)의 각 요소의 도면부호는 제1회동제어부(810)와 동일하게 기재하였다.
이렇제 제1회동제어부(810)와 동일한 구조의 제2회동제어부(820)가 제2힌지편(510)과 제2접이판(600)간 연결부위에 설치됨에 따라 고정판과 제1접이판(500)간의 회동제어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됨에 따라 제1접이판과 제2접이판 간의 회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접이판(600)과 제3접이판(700) 간의 연결부위, 즉 제3힌지편(610)과 제3접이판(700) 간의 연결부위에는 제3회동제어부(830)가 설치되며 제3회동제어부(830)는 제1, 2회동제어부와 동일한 구조 및 방식으로 작동되어 제2접이판과 제3접이판 간의 회동이 제어된다.
만약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 거치대의 크기를 줄이고자 할 경우 [도5]처럼 안착판(300)을 이동시켜 고정판의 전면에 밀착시키고, [도 6] 및 [도 7]처럼 손잡이(400)도 회동시켜 안착판 저면에 밀착시킨다.
그 후 [도 8]처럼 제3접이판(700)을 회동시켜 제2접이판(600)의 저면에 수평상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도 9]처럼 제2접이판를 회동시켜 제1접이판의 후면에 수평상태로 밀착시킨다.
그 뒤 [도 10]처럼 제1접이판(500)을 회동시켜 고정판 및 안착판으 상면에 수평 상태로 밀착시킨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거치대 전체 크기가 축소됨에 따라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을 갖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 보호된다.
100 : 고정판 110 : 제1힌지편
200 ; 가이드봉 300 : 안착판
400 : 손잡이 500 : 제1접이판
600 : 제2접이판 700 ; 제3접이판
800 : 회동제어부

Claims (1)

  1. 후면에 제1힌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
    일단부가 상기 고정판 전면에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봉,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 위치하고 있고 후면이 상기 가이드봉이 끼워져 상기 가이드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상부면에 비디오카메라가 안착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 하부면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
    일단부가 상기 제1힌지편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과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으며 타단부에는 제2힌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제1접이판,
    일단부가 상기 제2힌지편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접이판과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타단부에는 제3힌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제2접이판,
    일단부가 상기 제3힌지편과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접이판과 수평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제3접이판
    을 포함하는 비디오카메라용 거치대.
KR1020110041338A 2011-05-02 2011-05-02 비디오카메라용 거치대 KR20120123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338A KR20120123791A (ko) 2011-05-02 2011-05-02 비디오카메라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338A KR20120123791A (ko) 2011-05-02 2011-05-02 비디오카메라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791A true KR20120123791A (ko) 2012-11-12

Family

ID=4750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338A KR20120123791A (ko) 2011-05-02 2011-05-02 비디오카메라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37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607U (ko) * 2017-02-23 2018-08-31 에스투원 주식회사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
WO2019173042A1 (en) * 2018-03-05 2019-09-12 Panavision International, L.P. Adjustable shoulder rest for camer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607U (ko) * 2017-02-23 2018-08-31 에스투원 주식회사 근접 촬영용 사진 촬영대
WO2019173042A1 (en) * 2018-03-05 2019-09-12 Panavision International, L.P. Adjustable shoulder rest for camer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2729B2 (en) Gimbal assembly and handheld gimbal imaging device
CN106534701B (zh) 手持云台
CN108521776A (zh) 保护罩及无人机
CN106051391A (zh) 可调重心的稳定器
CN109642698A (zh) 自拍装置
JP6218317B2 (ja) 回動部材の回動軸収容構造、及び電子機器
KR20190065975A (ko) 촬영 보조장치
JP5806720B2 (ja) 電子機器用スタンド
KR20120123791A (ko) 비디오카메라용 거치대
CN108259735B (zh) 具有三轴平衡装配结构的手持云台
KR101423474B1 (ko) 접이식 고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CN207880353U (zh) 一种可拆卸的手持云台夹子及与其相配合的连接座
CN110324471A (zh) 具有稳定拍摄效果的多功能自拍杆
EP1882210A1 (en) Miniaturised support for photographic equipment such as video and photographic cameras
KR20190001650A (ko) 회전기능이 구비된 소화기거치대
KR200484029Y1 (ko)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CN105744030A (zh) 隐形手机支架
KR20170075458A (ko) 스마트폰용 삼각대
KR200362415Y1 (ko) 카메라폰 거치대
CN206650717U (zh) 一种陶瓷手机壳
CN107606448A (zh) 一种自拍装置
JP2019045690A (ja) ジンバル装置
CN209430995U (zh) 一种云台拍摄架
WO2017117772A1 (zh) 便携式自拍杆
CN108254999B (zh) 可调节重心的配重器及手持云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