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197A - 오브젝트 배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브젝트 배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197A
KR20120123197A KR1020120038291A KR20120038291A KR20120123197A KR 20120123197 A KR20120123197 A KR 20120123197A KR 1020120038291 A KR1020120038291 A KR 1020120038291A KR 20120038291 A KR20120038291 A KR 20120038291A KR 20120123197 A KR20120123197 A KR 20120123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relationship
objects
established
corresp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기
이경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8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3197A/ko
Priority to PCT/KR2012/002986 priority patent/WO2012144812A2/en
Priority to US13/451,122 priority patent/US20120268497A1/en
Priority to EP12773987.8A priority patent/EP2699999A4/en
Publication of KR20120123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브젝트 배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해상도에서 GUI 오브젝트를 쉽게 배치할 수 있는 오브젝트 배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오브젝트 배치장치가, 서로의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서로의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에 대한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고,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가 변경될 때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브젝트 배치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OBJECT}
본 발명은 오브젝트 배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해상도에서 GUI 오브젝트를 쉽게 배치할 수 있는 오브젝트 배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GUI에서 화면상에 어떠한 GUI오브젝트를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위치 정보와 크기 정보가 필요하다. GUI오브젝트에 대해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주는 방법에는 구제척인 수치를 주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다양한 해상도에서 적용하려면, 해상도 마다 직접적으로 수치를 변환해야만 한다.
또는 GUI오브젝트에 대해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주는 방법으로, "앵커"라는 논리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GUI오브젝트 들을 서로 연결하는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상기 앵커로 서로 연결된 GUI 오브젝트는 한 쪽이 변경될 때 상대쪽의 GUI 오브젝트도 같이 변화에 반응하게 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앵커를 이용하는 방법은 앵커라는 가상의 도구의 개념을 사용한 만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다양한 변화의 패턴을 만들어 내기가 어렵다
또는 GUI오브젝트에 대해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주는 방법으로, GUI 오브젝트는 "얼라인"이라는 속성을 사용하여 GUI 오브젝트 서로 간의 대응 면을 지정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 방법도 역시 GUI 오브젝드의 한 쪽이 변경될 때 상대쪽의 GUI 오브젝트도 같이 변화에 반응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얼라인"이라는 속성을 사용하는 방법은 너무 많은 얼라인 속성(15개 이상)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복잡함을 느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해상도에서 GUI 오브젝트를 쉽게 배치할 수 있는 오브젝트 배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GUI 오브젝트의 면에 대한 관계설정만으로 GUI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할 수 있는 오브젝트 배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오브젝트 배치장치가, 서로의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서로의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에 대한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고,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가 변경될 때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오브젝트 배치방법은,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이 서로의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되면, 상기 관계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에 대한 크기 또는 위치를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가 변경되면,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브젝트 배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한 관계설정만으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GUI오브젝트를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관계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오브젝트 관계설정은 데이터 구조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GUI오브젝트들 간의 면에 대한 관계를 설정하고, 특정 GUI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가 변경될 때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GUI오브젝트에 대한 위치 또는/및 크기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GUI 오브젝트 배치를 위해 해당 GUI오브젝트 각 면에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GUI오브젝트의 면을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로의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에 대한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오브젝트 관계설정모드에서, 대상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위치 또는/및 크기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될 때, 상기 관계설정에 따라 대상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 제4 오브젝트를 배치할 때, 제2- 제4 오브젝트를 배치하기 위한 제1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가 지정하고, 제2 오브젝트의 면들 중 소정면이 상기 제1 오브젝트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될 때 상기 2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예를 들어, 제2 오브젝트의 상측면과 좌측면 각각이 상기 제1 오브젝트의 상측면 및 좌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될 때, 상기 제2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제3 오브젝트의 면들 중 소정면이 상기 제1 오브젝트의 면들 및 상기 제2 오브젝트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될 때 상기 제3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예를 들어, 제3 오브젝트의 좌측면, 하측면 및 우측면 각각이 상기 제1오브젝트의 좌측면, 하측면 및 우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될 때, 상기 제3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0)는 제4 오브젝트의 면들 중 소정면이 상기 제1 오브젝트의 면들 내지 상기 제3 오브젝트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될 때 상기 제4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예를 들어, 제4 오브젝트의 좌측면이 제1 오브젝트의 좌측면과 대응되고, 제4 오브젝트의 상측면 및 우측면 각각이 제2 오브젝트의 하측면 및 우측면과 대응되며, 제4 오브젝트의 하측면이 제3 오브젝트의 상측면과 대응되며 관계가 설정될 때 상기 제4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들 간에 서로의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될 때, 면과 면간의 간격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오브젝트 관계해제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 중 선택된 면과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와의 관계설정을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가 변경될 때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가 변경될 때,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계산하여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계산하여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 제4 오브젝트 간에 면의 관계가 설정되어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 제4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위치 또는/및 크기가 변경되면,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과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위치 또는/및 크기를 계산하여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예를 들어,상기 제1 - 제4 오브젝트 중 제2 - 제4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제1 오브젝트의 세로크기가 감소될 때, 상기 제어부(110)는 제1 오브젝트와 하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제3 오브젝트의 위치를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3 오브젝트의 상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제4 오브젝트의 세로크기를 감소하여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 제4 오브젝트 중 제2 - 제4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제1 오브젝트의 가로크기가 감소될 때, 상기 제어부(110)는 제1 오브젝트와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제3 오브젝트의 가로크기를 감소하여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로의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서 오브젝트 배치 동작을 도 3 - 도 5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브젝트의 관계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오브젝트 관계설정은 데이터 구조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GUI오브젝트 관계설정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단말기를 GUI 오브젝트 관계설정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GUI 오브젝트 관계설정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오브젝트 간에 면에 대한 관계가 설정되면, 상기 관계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에 대한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는 202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대상 GUI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위치 또는/및 크기가 이미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GUI오브젝트의 면과 대응되게 관계를 설정하여 위치 또는/및 크기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위치 또는/및 크기라 이미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GUI오브젝트의 면과 관계가 설정된 상기 대상 GUI 오브젝트에 대한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3과 같이, GUI 오브젝트 A - GUI 오브젝트D는 상기 202단계를 통해 위치 또는/및 크기가 이미 지정되어있는 경우, 대상 GUI 오브젝트(target)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설정할 때, 사용자는 대상 GUI 오브젝트(target)에 대해, 대상 GUI 오브젝트(target)의 좌측면은 GUI 오브젝트 A의 좌측면과 관계를 설정하거나(1-a) 또는 GUI 오브젝트 A의 우측면과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1-b). 또는 사용자는 GUI 오브젝트(target)의 우측면에 대해, GUI 오브젝트 B의 좌측면과 관계를 설정하거나(2-a) 또는 GUI 오브젝트 B의 우측면과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2-b).또는 사용자는 GUI 오브젝트(target)의 상측면에 대해, GUI 오브젝트 C의 상측면과 관계를 설정하거나(3-a) 또는 GUI 오브젝트 C의 하측면과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4-a). 또는 사용자는 GUI 오브젝트(target)의 하측면에 대해, GUI 오브젝트 D의 상측면과 관계를 설정하거나(3-b) 또는 GUI 오브젝트 D의 하측면과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4-b). 이때 사용자는 상기 대상 GUI 오브젝트(target)의 면과 GUI 오브젝트 A - GUI 오브젝트D 중 적어도 하나의 GUI 오브젝트의 면과 관계를 설정할 때 면과 면간의 간격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대상 GUI 오브젝트(target)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설정되면, 상기 대상 GUI 오브젝트(target)와 상기 GUI 오브젝트 A - GUI 오브젝트D 간의 면에 대한 관계설정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대상 GUI 오브젝트(target)에 대한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한다.
상기 202단계를 통해 복수의 오브젝트에 대한 위치 또는/및 크기이 지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GUI 오브젝트 관계설정모드를 종료한다.
또는 GUI 오브젝트 관계해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4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GUI 오브젝트 관계해제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GUI 오브젝트 관계해제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면과 면간에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GUI 오브젝트 중 대상 GUI오브젝트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특정 GUI오브젝트의 면들 중 사용자에 의해 특정 면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면과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GUI 오브젝트의 면간에 관계설정을 해제하는 205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GUI 오브젝트 관계해제 종료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6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GUI 오브젝트 관계해제를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서로 면들 간에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하는 동안, 특정 GUI오브젝트의 위치 또는/ 및 크기가 변경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변경된 특정 GUI오브젝트와 각 면과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GUI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계산하여 변경하는 208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도 2에서 복수의 GUI오브젝트를 면과의 관계설정을 통해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는 동작 및 면과의 관계설정을 통해 복수의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상기 도 4를 통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복수의 GUI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는 제1 오브젝트가 지정되고, 도 4b와 같이 제2 오브젝트의 좌측면 및 상측면 각각을 제1 오브젝트의 좌측면 및 우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다. 그리고, 도 4c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제3 오브젝트의 좌측면, 하측면 및 우측면 각각이 제1 오브젝트의 좌측면, 하측면 및 우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다. 그리고 도 4d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제4 오브젝트의 좌측면이 제1 오브젝트의 좌측면과 대응되고, 제4 오브젝트의 상측면 및 우측면 각각이 제2 오브젝트의 하측면 및 우측면과 대응되며, 제4 오브젝트의 하측면이 제3 오브젝트의 상측면과 대응되며 관계가 설정된다. 상기 도 4a - 상기 도 4d를 통해 제1 오브젝트 - 제4 오브젝트가 사용자에 의해 면과의 관계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관례설정에 따라 상각각에 대한 위치 또는/ 크기를 지정한다.
상기 도 4d와 같이, 상기 제1 오브젝트 - 제4 오브젝트 각각의 위치 또는/및 크기가 지정되어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될 때, 제1 오브젝트의 세로크기가 감소되는 경우, 도 4e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제1 오브젝트와 하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제3 오브젝트의 위치를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3 오브젝트의 상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제4 오브젝트의 세로크기를 감소하여 표시한다.
상기 도 4e와 같은 경우, 제4 오브젝트의 하측면은 제3 오브젝트와 관계가 설정되어 연결되어 있고, 제3 오브젝트의 하측면은 다시 제1 오브젝트와 관계가 설정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오브젝트의 세로크기 변화만으로 제3 오브젝트의 위치가 변경되고, 제4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된다.
상기 도 4e와 같은 상황에서 다시 제1 오브젝트의 가로크기가 감소되는 경우, 도 4f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제1 오브젝트와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제3 오브젝트의 가로크기를 감소하여 표시한다.
상기 도 4f와 같은 경우, 제1 오브젝트의 우측면과 관계가 설정되어 연결되어 있는 제3 오브젝트의 가로 크기가 영향을 받아 변경하게 된다.
상기 도 5는 상기 도 4에서 기술한 제1 오브젝트 - 제4 오브젝트의 관계설정을 실제 데이터구조로 나타내고 있다. 각 GUI 오브젝트는 4개의 면에 대해 관계를 지정할 수 있는 자료 구조이며, 항상 기준이 되는 방향으로 화살표가 움직이게 된다. 면에 대한 관계를 지정하는 경우에는 순환 구조가 되면 무한 반복을 하는 문제가 있는데, 위와 같은 자료 구조이면 관계를 지정할 때 순환 구조가 아닌지를 바로 파악 할 수 있어서 무한 반복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브젝트 배치장치 및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제어부, 130:메모리, 160:표시부

Claims (20)

  1. 오브젝트 배치장치에 있어서,
    서로의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서로의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에 대한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고,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가 변경될 때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브젝트 관계설정모드에서, 대상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위치 또는/및 크기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될 때, 상기 관계설정에 따라 대상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 제4 오브젝트를 배치할 때, 제2- 제4 오브젝트를 배치하기 위한 제1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가 지정하고; 제2 오브젝트의 면들 중 소정면이 상기 제1 오브젝트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될 때 상기 2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며; 제3 오브젝트의 면들 중 소정면이 상기 제1 오브젝트의 면들 및 상기 제2 오브젝트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될 때 상기 제3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며; 제4 오브젝트의 면들 중 소정면이 상기 제1 오브젝트의 면들 내지 상기 제3 오브젝트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될 때 상기 제4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오브젝트의 상측면과 좌측면 각각이 상기 제1 오브젝트의 상측면 및 좌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될 때 상기 제2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며; 제3 오브젝트의 좌측면, 하측면 및 우측면 각각이 상기 제1오브젝트의 좌측면, 하측면 및 우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될 때 상기 제3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며; 제4 오브젝트의 좌측면이 제1 오브젝트의 좌측면과 대응되고, 제4 오브젝트의 상측면 및 우측면 각각이 제2 오브젝트의 하측면 및 우측면과 대응되며, 제4 오브젝트의 하측면이 제3 오브젝트의 상측면과 대응되며 관계가 설정될 때 상기 제4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들 간에 서로의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될 때, 면과 면간의 간격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브젝트 관계해제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 중 선택된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와의 관계설정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가 변경될 때,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계산하여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계산하여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 제4 오브젝트 간에 면의 관계가 설정되어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 제4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위치 또는/및 크기가 변경되면,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과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위치 또는/및 크기를 계산하여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 제4 오브젝트 중 제2 - 제4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제1 오브젝트의 세로크기가 감소될 때, 제1 오브젝트와 하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제3 오브젝트의 위치를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3 오브젝트의 상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제4 오브젝트의 세로크기를 감소하여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 제4 오브젝트 중 제2 - 제4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제1 오브젝트의 가로크기가 감소될 때, 제1 오브젝트와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제3 오브젝트의 가로크기를 감소하여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장치.
  11. 오브젝트 배치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이 서로의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되면, 상기 관계설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에 대한 크기 또는 위치를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가 변경되면,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하는 과정은,
    오브젝트 관계설정모드에서 대상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대상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위치 또는/및 크기가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되면, 상기 관계설정에 따라 상기 대상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하는 과정은,
    제1 - 제4 오브젝트를 배치할 때, 제2- 제4 오브젝트를 배치하기 위한 제1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가 지정하는 과정과,
    제2 오브젝트의 면들 중 소정면이 상기 제1 오브젝트의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되면, 상기 2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는 과정과,
    제3 오브젝트의 면들 중 소정면이 상기 제1 오브젝트의 면들 및 상기 제2 오브젝트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되면, 상기 제3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는 과정과,
    제4 오브젝트의 면들 중 소정면이 상기 제1 오브젝트의 면들 내지 상기 제3 오브젝트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되면, 상기 제4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제2 오브젝트의 상측면과 좌측면 각각이 상기 제1 오브젝트의 상측면 및 좌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되면, 상기 제2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는 과정과,
    제3 오브젝트의 좌측면, 하측면 및 우측면 각각이 상기 제1 오브젝트의 좌측면, 하측면 및 우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되면, 상기 제3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는 과정과,
    제4 오브젝트의 좌측면이 제1 오브젝트의 좌측면과 대응되고, 제4 오브젝트의 상측면 및 우측면 각각이 제2 오브젝트의 하측면 및 우측면과 대응되며, 제4 오브젝트의 하측면이 제3 오브젝트의 상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되면, 상기 제4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지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들 간에 서로의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될 때, 면과 면간의 간격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오브젝트 관계해제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 중 특정 면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면과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와의 관계설정을 해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방법.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가 변경되면,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계산하여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각 면에 대해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위치 또는/및 크기를 계산하여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방법.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과정은,
    제1 - 제4 오브젝트 간에 면의 관계가 설정되어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제1 - 제4 오브젝트 중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위치 또는/및 크기가 변경되면,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과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오브젝트의 각 면과 관계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위치 또는/및 크기를 계산하여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 제4 오브젝트 중 제2 - 제4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제1 오브젝트의 세로크기가 감소되면, 제1 오브젝트와 하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제3 오브젝트의 위치를 상측으로 이동하여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제3 오브젝트의 상측면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제4 오브젝트의 세로크기를 감소하여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 제4 오브젝트 중 제2 - 제4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제1 오브젝트의 가로크기가 감소되면, 제1 오브젝트와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과 대응되게 관계가 설정된 제3 오브젝트의 가로크기를 감소하여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배치방법.
KR1020120038291A 2011-04-19 2012-04-13 오브젝트 배치 장치 및 방법 KR20120123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291A KR20120123197A (ko) 2011-04-19 2012-04-13 오브젝트 배치 장치 및 방법
PCT/KR2012/002986 WO2012144812A2 (en) 2011-04-19 2012-04-19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object
US13/451,122 US20120268497A1 (en) 2011-04-19 2012-04-19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object
EP12773987.8A EP2699999A4 (en) 2011-04-19 2012-04-19 DEVICE AND METHOD FOR ARRANGEMENT OF OBJE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477,012 2011-04-19
KR1020120038291A KR20120123197A (ko) 2011-04-19 2012-04-13 오브젝트 배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197A true KR20120123197A (ko) 2012-11-08

Family

ID=4702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291A KR20120123197A (ko) 2011-04-19 2012-04-13 오브젝트 배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268497A1 (ko)
EP (1) EP2699999A4 (ko)
KR (1) KR20120123197A (ko)
WO (1) WO201214481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9135B2 (en) 2011-01-04 2015-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GUI object stores in automation test tool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4174A (en) * 1987-08-24 1990-11-27 Wang Laboratories, Inc. Alignment method for positioning textual and graphic objects
US5214755A (en) * 1989-04-25 1993-05-25 Microsoft Corporation Document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5592602A (en) * 1994-05-17 1997-01-07 Macromedia, Inc.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displaying multimedia motion, visual, and sound effects of an object on a display
US7913183B2 (en) * 2002-10-08 2011-03-2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oftware applicati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7287241B2 (en) * 2003-06-17 2007-10-23 Microsoft Corporation Snaplines for control object positioning
US7554689B2 (en) * 2003-10-15 2009-06-30 Canon Kabushiki Kaisha Document layout method
JP4165888B2 (ja) * 2004-01-30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イアウト制御方法、レイアウト制御装置及びレイアウト制御プログラム
US7932909B2 (en) * 2004-04-16 2011-04-2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ree-dimensional animation of an object
JP4107668B2 (ja) * 2004-10-07 2008-06-2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編集装置、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79039B1 (ko) * 2005-10-21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US20070162844A1 (en) * 2006-01-12 2007-07-12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layout of objects
US8656295B2 (en) * 2007-01-05 2014-02-18 Apple Inc. Selecting and manipulating web content
KR101402792B1 (ko) * 2007-05-04 2014-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데이터 관리 방법
US20100162151A1 (en) * 2008-12-19 2010-06-24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for organizing information on a computing device using movable objects
US20100169828A1 (en) * 2008-12-29 2010-07-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desktop organization via magnet icons
US8817028B2 (en) * 2009-02-06 2014-08-26 Dassault Systemes Solidworks Corporation Creating dynamic sets to automatically arrange dimension anno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4812A3 (en) 2013-01-10
WO2012144812A2 (en) 2012-10-26
EP2699999A2 (en) 2014-02-26
US20120268497A1 (en) 2012-10-25
EP2699999A4 (en)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339B1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방법
US941148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US2014033342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ereof
EP4099690A1 (en) Enhanced video call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KR20130134103A (ko) 단말기의 이미지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18538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2463084A (zh) 分屏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340703B1 (ko) 휴대단말기의 키패드 배치장치 및 방법
KR20120130466A (ko) 휴대단말기에서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19766A (ko)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30071908A (ko) 휴대단말기의 화면편집 장치 및 방법
CN104461430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201401041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apparatus by at least one other apparatus, system implementing such a device
KR20190035414A (ko) 무선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837198B2 (en) Head mounted display and setting method
KR20120123197A (ko) 오브젝트 배치 장치 및 방법
CN111459447A (zh) 一种音量调节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120053430A (ko) 휴대단말기의 이미지 효과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6383679B (zh) 一种定位方法及其终端设备
KR20130011203A (ko) 휴대단말기의 팝업창 표시장치 및 방법
EP3842907A1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device
KR20120063092A (ko) 모스트 뷰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130080947A (ko) 휴대단말기의 리스트 표시장치 및 방법
KR20140115671A (ko) 단말기의 테이블 편집 장치 및 방법
KR101970608B1 (ko)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