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142A - 접이식 매그너스-효과 로터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접이식 매그너스-효과 로터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142A
KR20120123142A KR1020127024062A KR20127024062A KR20120123142A KR 20120123142 A KR20120123142 A KR 20120123142A KR 1020127024062 A KR1020127024062 A KR 1020127024062A KR 20127024062 A KR20127024062 A KR 20127024062A KR 20120123142 A KR20120123142 A KR 20120123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egment
end plate
deck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9690B1 (ko
Inventor
요른 파울 빙클러
Original Assignee
요른 파울 빙클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른 파울 빙클러 filed Critical 요른 파울 빙클러
Publication of KR20120123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2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Magnus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Wind Motor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 및 갑판, 종방향 중앙선 둘레로 갑판에 대해 회전가능한 주변 벽(37)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로터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며, 로터는 하측 단부의 갑판에 결합되며 상측 단부 플레이트(16)를 포함하고, 로터는 작동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배향되고, 단부 플레이트는 비작동 상태에서 갑판 부근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갑판에 장착되며, 단부 플레이트는 종방향 중앙선에 횡단으로 연장되며, 단부 플레이트는 로터의 작동 상태에서 주변 벽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로터의 비작동 상태에서 연장된 위치보다 주변 벽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후퇴된 위치로 가동되는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매그너스-효과 로터를 포함하는 선박{VESSEL COMPRISING A STOWABLE MAGNUS-EFFECT ROTOR}
본 발명은 선체 및 갑판, 종방향 중앙선 둘레에서 갑판에 대해 회전가능한 주변 벽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로터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로터는 하측 단부에서 갑판 상에 연결되고 상측 단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는 작동 상태에서 로터가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배향되고, 상기 상측 단부 플레이트는 비작동 상태에서 갑판 부근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갑판에 장착되며, 상기 단부 플레이트는 종방향 중앙선에 횡단하여 연장된다.
이러한 매그너스-효과 로터(magnus-effect rotor)는 US 4,602,684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축 둘레로 회전하는 원형 실린더는, 실린더의 종축에 수직으로 흐르는 공기류에 위치될 때의 양력, 즉 공기 층류(laminar air flow)에 위치될 때 날개에 의해 발생되는 양력과 매우 유사한 것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오래전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양력은 독일의 과학자인 Heinrich Gustav Magunus가 1853년에 이러한 현상을 처음 발견한 후에, 명명됐다.
매그너스-효과는 Anton Flettner가 1924년에 선박을 추진하기 위해 처음 적용하였다. Flettner는 언급된 양력을 이용하여 선박을 추진하기 위해, 선박의 갑판에서부터 수직으로 세운 긴 실린더 구조를 사용하였다(이 구조는 "플래트너-로터(Flettner-rotor)"라고 부름). 종래의 돛에 대한 장점은, 약간 대향하여 비교적 바람직하지 못한 풍향에 대해 예각으로 선박이 항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추가적으로, 플레트너-로터는 연료로 운행되는 선박의 추진을 보충함으로써, 선박의 연료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소망하는 항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강력한 맞바람이 부는 경우에, 또는 심한 돌풍의 바람 조건에서, 플레트너-로터는 별도의 추진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로터는, 로터의 비교적 큰 전면을 가격하는 바람으로 인한 큰 방해원이 된다. 또한, 강한 바람과 큰 파도의 심각한 기상 조건에서, 로터는 상승된 무게중심으로 인해, 선박에 추가 불안정성을 나타낸다.
US 4,602,584호에서는, 이러한 바람직하지 못한 바람 조건에서 선박에 대한 항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선박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로 로터를 선회시킴으로써 갑판을 향해 로터를 붕괴시키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선상에서 사용하기 위한 매그너스-효과 로터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US 4,602,584호는, 장축과 단축, 및 선박의 갑판으로부터 세워지며 중앙의 종축 둘레에서 회전가능한 강성의 외부면으로부터 형성된 종축을 갖는 타원형 실린더(elliptical cylinder)를 개시한다. 타원형 실린더는, 실린더가 종래의 돛으로서 작용하여 단축을 바람과 정렬하는 대체로 직립된 위치에서, 또는 타원형 실린더가 바람에 페더링(feathering)되어 장축을 바람과 정렬함으로써 항력을 감소시키는 위치에서 "파킹(parked)"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지 못한 바람 조건 동안에, 타원형 실린더 또는 로터는 선박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에서 파킹되어, 임의의 방식으로 선박의 조종 또는 추진이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갑판을 향하게 이러한 로터를 접는 단점은, 단부 플레이트가 비교적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많은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갑판 작업에 방해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접힘 작업 자체는 큰 단부 플레이트의 직경과 간섭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바람 조건 또는 강풍에서 갑판에서부터 직립하게 세워질 때, 이러한 로터 단부 플레이트는 큰 표면적으로 인해 큰 바람 저항을 가지므로, 비교적 높은 힘에 민감하다.
접이식 로터를 개시하는 다른 특허 문헌은 GB 2,187,154호이다. 본 문헌은 선박 추진용 로터를 개시하며, 이는 로터가 선박의 갑판 내의 웰(well)로 텔레스코프식으로 후퇴될 수 있도록, 섹션 간에 직경이 단차식으로 로터의 높이까지 증대되는 일련의 원통형 섹션으로서 구성된다. 로터 내의 중앙의 비회전식 지지 포스트(support post)는 로터를 이송하는 상부 베어링과 끼워 맞춰지며, 상기 포스트도 텔레스코프식이다. 최상측 로터 섹션은 그 상단부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경계층 펜스를 가지며, 아래의 각각의 섹션과 그 위의 섹션 사이의 직경에서의 단차 증대는, 각각의 경우에 아래의 로터 섹션을 위한 각각의 경계층 펜스를 제공한다. 본 문헌에서는, 선박에 대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데 요구되는 바와 같이 종축 둘레에서 로터를 활동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부가 발견될 수 없다. 공지된 선박은 콤팩트한 비작동 상태에서 최소한의 바람 간섭을 갖는 선박 상의 로터를 효과적으로 집어넣기 위해 제공되지 않는다.
접이식 로터를 개시하는 또 다른 특허 문헌은 US 2,187,154호이다. 본 문헌은 선박의 프로펠러를 구동시키는 풍력 모터를 개시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문헌은 선박의 선체 내에 구성된 베드(bed) 상에 세워진 모터를 개시한다. 스테이-선(stay-line)은 선박에 대해 로터를 직립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모터는 볼트에 의해 선박의 베드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그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형성된 보스 내에 끼워진 돛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돛대는 그 상단부에서 스파이더 브래킷과 끼워 맞춰진다. 모터는 돛대 둘레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로터를 더 구비한다. 로터는 돛대를 둘러싸는 관형의 로터 샤프트와, 로터 샤프트에 축방향으로 맞춰진 상측 및 하측의 디스크 형상의 단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종축 둘레에서 로터를 활동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매그너스-효과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하다. 실제로, 로터는 선박의 프로펠러에 동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로터 자체는 선박에 대한 구동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콤팩트한 비작동 상태에서 로터를 집어넣을 가능성을 개시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로터의 접힘 또는 후퇴 동안에 그리고 그 후에 단부 플레이트로 차지되는 공간이 최소화되는 매그너스-효과 로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다가, 단부 플레이트는 작동 가능한 상태에서 로터가 주변 벽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되고, 비작동 상태에서 연장된 위치보다 주변 벽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후퇴된 위치로 가동되는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단부 플레이트를 가짐으로써, 단부 플레이트의 직경은 효과적으로 감소한다. 가동형 단부 세그먼트는 연장된 위치보다 주변 벽에 더 가깝게 위치된 후퇴된 위치에서 가동될 수 있어서, 단부 플레이트는 보다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로터의 접힘 또는 로터의 텔레스코프식 후퇴 중에 그리고 그 후에 사용된 갑판 공간이 감소하고, 갑판 작동이 방해받지 않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런 이유로 2개의 화물 선반 사이의, 이러한 선반의 출입구 사이의 좁은 공간의 후퇴된 위치에 로터를 접는 것이 가능하다.
파도 및 바람에 단부 플레이트의 상호 작용을 줄이기 위해, 강풍 조건 중에 로터의 접힌 위치에서 상측 단부 플레이트 및 선택적으로 하측 단부 플레이트의 치수를 감소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에서 수평 위치로 가동하거나 선체로 텔레스코프식의 작용 또는 수직방향 후퇴로 낮아지는 후퇴 작동 중의 로터 조작은, 단부 플레이트가 콤팩트한 상태인 경우에 용이하다.
단부 플레이트는 로터의 주변 벽에 고정된 중앙부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는바, 에지 세그먼트는 중앙부의 실질적으로 평면에 위치한 각각의 힌지 라인 둘레에서 힌지가능한 방식으로 중앙부에 부착되며, 에지 세그먼트는 연장된 위치에서 종방향 중앙선에 실질적으로 횡단되고, 후퇴된 위치에서 종방향 중앙선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배향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는 공간방향 관점(space-wise sense)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후퇴될 수 있다.
또한,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접힐 수 있는 인접한 세그먼트를 선박에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인접한 세그먼트의 중첩이 감소하고, 추가 방법은 세그먼트의 중첩으로 서로에 대해 마모(scraping)되는 세그먼트와 같은 역효과를 방지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가동형 세그먼트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면방향으로 후퇴가능한 측면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가동형 세그먼트를 선박에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가동형 세그먼트는 세그먼트의 중첩으로부터 임의의 단점을 처리하는 것 없이 임의의 방향에서 접힐 수 있다.
또한, 선박은 다이아프램식(diafragmatically)으로 회전가능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가동형 세그먼트를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세그먼트는 단부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세그먼트는 로터의 접힘 후에 또는 중에 갑판 작동에 이용되는 공간을 더 최적화하는, 중앙부의 표면 아래에 유리하게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로터가 펴진 후에, 세그먼트는 작동을 위한 로터의 회전으로 유발된 원심력의 사용으로 유리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추가 연장 메커니즘을 위한 세크먼트의 필요를 생략한다.
또한, 선박은 가동형 세그먼트에 연결된 구동 수단으로 결합된 세그먼트의 가동성을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구동 수단은 세그먼트의 위치의 정확한 제어를 허용한다.
추가적으로, 선박은 세그먼트를 가동시키는 유압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동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 수단은 세그먼트를 가동시키는 유압 시스템을 유리하게 구비할 수 있다. 유압 시스템은 많은 수분과 염분 농도가 가동부를 방해할 수 있는, 특히 바다에서 비교적 신뢰할만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선박은 세그먼트를 가동시키는 공압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동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기본적으로, 공압 시스템은 유압 시스템에서와 같은 동일한 장점을 갖는다. 즉, 바다에서와 같이 부담이 되는 조건에서 비교적 신뢰할만하다.
또한, 선박은 세그먼트를 가동시키는 전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동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전기 시스템은 세그먼트의 위치가 보다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사용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전기 구동 수단의 전체 크기가 비교적 작다.
추가적으로, 선박은 세그먼트를 가동시키는 로프-및-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구동 수단을 유리하게 구비할 수 있다. 세계 각 지역의 폭우와 같은 비교적 심각한 기상 조건에서, 가동형 세그먼트를 작동하기 위한 최상의 신뢰도는 로프-및-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로프는 세그먼트의 표면에 부착되고, 원하는 위치로 세그먼트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 장치(pulling device)에 연결된 로터 내부의 풀리 상에서 작동한다.
더욱이, 선박은 로터의 회전으로 유발된 원심력의 결과로 가동될 수 있는 가동형 세그먼트로 인해, 변경가능한 사용되는 단부 디스크의 유효 직경을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가동형 세그먼트 외부로 회전하는 로터의 회전으로 유발된 원심력 방식으로, 로터에 대해 세그먼트를 위치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본 명세서는 선체, 상기 선체 내의 하나 이상의 화물 칸, 선박 추진용 프로펠러 및 선박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강성 외부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가능한 실린더, 종축 둘레로 실린더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 구동 수단 및 비작동 위치로 실린더를 변위하기 위한 변위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며, 실린더는 2개 이상의 텔레스코프식으로 연결된 관형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연장 부재가 연장되는 작동 상태로 세그먼트를 들어올리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에 부착된 연장 부재(extension member)는 종축을 따라 위치하고, 연장 부재가 후퇴된 비작동 상태로 세그먼트를 낮추기 위해 세그먼트는 링-형상의 단부로 중첩되며, 세그먼트가 포개져서 외부면은 중첩된다.
텔레스코프식으로 연결된 관형 세그먼트는 실린더가, 예를 들어 바람에 반대 방향으로 또는 심각한 기상 조건 중에 항해할 때, 편리하게 알맞은 크기로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확실시한다. 연장 부재는 이러한 상태에서 비작동 상태로 관형 세그먼트를 후퇴하기 위해, 그리고 바람 또는 기상 조건이 다시 개선되었을 때 작동 상태로 이들을 연장하기 위해 제공된다. 비작동 상태에서, 외부 표면은 중첩되고, 따라서 환경적 조건으로부터 실린더를 보호한다. 비작동 상태에서, 감소된 크기로 인해, 또한 결점이 있을 경우에 실린더를 교환하기 쉽다. 실린더가 교환이 필요하지 않는 비교적 작은 결점이 있는 경우에, 실린더는 감소된 크기로 인해 복구하기 위한 접근이 상대적으로 쉽다.
또한, 선박의 갑판에 힌지식으로 부착된 실린더를 갖는 것이 유리하며, 후퇴된 상태에서 실린더는 종축에서 수평위치로 변위하기 위해 힌지 축(hinge axis) 둘레에서 힌지가능하다. 종축에서 수평위치로 실린더를 변위함으로써, 보다 적은 갑판 공간이 소비되고, 로터 상의 임의의 원하지 않는 공기 저항이 감소한다.
또한, 선박의 갑판 상의 크래이들(cradle) 내에 수용가능한 실린더의 단부를 갖는 것이 유리우며, 힌지 축으로부터의 길이는 후퇴된 상태에서 실린더의 길이보다 길지 않다. 후퇴된 상태에서 실린더를 수용하기 위해 선박의 갑판에 크래이들을 제공함으로써, 실린더는 갑판으로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선박 내의 수용 챔버 상에 장착된 실린더를 갖는 것이 유리하며, 수용 챔버는 화물 칸 또는 선체의 내부와 외벽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며, 연장 부재는 수용 챔버로 실린더를 낮추기 위해 그리고 수용 챔버로부터 실린더를 들어올리기 위해 적용된다. 이는 갑판 아래로 실린더를 후퇴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최적의 이용은 선체 내의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실린더는 선박의 화물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2가지 선택 사항은 갑판 작동으로 처리된 실린더를 갖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실린더는 환경적 조건으로부터 차단된다.
또한, 후퇴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실린더의 길이의 주변 벽을 갖는, 원형 수용 챔버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선체의 내용물로부터 보호되는 실린더를 저장하기 위한 전용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실린더는 해수의 유입으로부터 보호된다. 더욱이, 이는 결점이 있는 경우에 실린더를 교환하기 위한 일체 유닛(integral unit)으로 제공된다. 또한 일체 유닛은 기존의 선박 상에 새로 장착된 로터를 갖는 기회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하부 벽을 갖는 원통형 수용 챔버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실린더가 물 및 선체의 내용물로부터 보호되는 밀폐된 수용 챔버를 제공한다.
또한, 상부 관형 세그먼트에 고정되게 부착된 실린더 보다 큰 직경의 원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상부에서 실린더를 갖는 것이 유리하며, 실린더의 하부에서 원형 플레이트로 연장된 연장 부재는 연장 부재에 대해 플레이트의 회전을 허용하는 베어링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된다. 이는 원형 상부 플레이트를 통해 텔레스코프식 가동 중에 관형 세그먼트를 리프트하는 능력을 실린더에 제공한다.
또한, 변위 부재(displacement member)의 상부에 반드시 위치하는 풀리 상에서 작동하는 케이블에 연결된 연장 부재의 하부를 갖는 것이 유리하며, 케이블은 연장 부재를 연장하고 후퇴하기 위해 윈치(winch)에 연결된다. 이는 연장 및 후퇴 메커니즘의 비교적 치밀하고 가벼운 중량 설계를 허용한다. 물론, 연장 및 후퇴 메커니즘도 유압 장치(hydraulic system) 또는 변위 부재에 대해 연장 부재를 변위하기 위한 서보-구동 시스템(servo-driven system)을 구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장 부재 및 변위 부재의 종축을 따라 위치하는 지지 부재를 실린더의 내부에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며, 실린더로 연장 부재 및 변위 부재를 결합은 실린더로 추가 강성을 제공한다. 지지 부재는 연장 부재 및 변위 부재에 대해 회전을 허용하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는 실린더의 내부 원주를 따라 작동하는 휠(wheel)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강성은 구조의 기계적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진동을 감소시킨다.
또한, 개시된 본 명세서는 선체, 상기 선체 내부의 하나 이상의 화물 칸, 선박 추진용 프로펠러 및 작동 상태에서 선박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강성 외부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가능한 실린더, 종축 둘레로 실린더를 회전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구동 수단, 및 비작동 위치로 실린더를 변위하기 위한 변위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며, 실린더는 선박 내의 수용 챔버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화물 칸 또는 선체의 내부와 외부 벽 사이의 공간에 놓인 수용 챔버, 비작동 상태에서 수용 챔버로 실린더를 낮추기 위해, 그리고 작동가능한 상태에서 수용 챔버에서 실린더를 들어 올리기 위한, 길이 방향으로 실린더를 변위하기 위한 리트핑 장치(lifting device)를 포함하는 선박을 특징으로 한다.
리프팅 장치는 예를 들어, 바람에 반대 방향으로 항해하거나 심각한 기상 조건 중에, 선체 내에 또는 화물 칸 내의 수용 챔버로 리프팅될 수 있는 일체형으로 실린더를 보장한다. 이는 이러한 상태에서, 갑판에서 실린더를 제거하기 위해, 그리고 해당하는 갑판 공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비교적 빠른 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실린더는 환경적 조건으로부터 차단된다. 추가적으로, 수용 챔버 내에 실린더를 저장함으로써, 이는 결함이 있는 경우에 실린더를 교환하는 것이 쉽다.
선체의 내용물로 비교적 보호되는 실린더를 저장하기 위한 전용 저장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구형 벽을 갖는 실린더 수용 챔버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실린더는 비교적 해수의 유입으로부터 잘 보호된다. 더욱이, 이는 결함이 있는 경우에 실린더를 교환하기 위한 비교적 일체 유닛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하부 벽을 갖는 원통형 수용 챔버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실린더가 해수 및 아래의 선체의 내용물로부터 비교적 더 잘 보호되는 더욱 더 밀폐된 수용 챔버를 제공한다.
더욱이, 수밀(water-tight) 방식으로 수용 챔버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수용 챔버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상기 해수의 유입으로 비교적 잘 보호된 실린더를 제공한다. 더욱이, 이는 결함이 있는 경우에 실린더를 교환하기 위한 비교적 일체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원형 플레이트가 커버 부재를 형성하는 실린더 보다 큰 직경의 원형 판을 포함하는 상부에서 실린더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2가지 장점은 환경, 예를 들어, 험한 날씨로부터 비작동 실린더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 부재를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작동가능한 상태에서 실린더 플레이트가 실린더의 상부의 와도(vorticity)를 방지하는 최적의 기하학적 형상을 나타내서 얻어진다.
또한, 선박의 갑판에 또는 수용 챔버에 고정되는 모터 및 회전가능한 실린더에 고정되고, 비작동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리프팅 장치에 의해 실린더와 함께 작동 상태로 들어 올려질 수 있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구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구동 부재는 기어 휠 또는 구동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보수 및 검사시 모터에 쉬운 접근성을 허용하는 구동 부재는 실린더를 따라 낮아지고 올려진다.
또한, 이는 실린더의 종축에 평행하게 작동되는 구동 샤프트를 통해 구동 수단 의해 회전하는 실린더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구동 샤프트는 구동 샤프트의 회전력을 운반하기 위해 적절한 수단을 통해 실린더를 회전하는 -텔레스코프식 관형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실린더 경우에- 변위 부재 또는 연장 부재 내부에 유리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샤프트는 텔레스코프식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실린더의 관형 세그먼트를 따라 연장 또는 후퇴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를 허용하는, 텔레스코프식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로 구동 샤프트의 회전력을 운반하는 수단은 지지 부재를 통해 실린더를 회전하기 위해 지지 부재에 유리하게 연결될 수 있다. 실린더로 구동 축의 회전력을 운반하는 수단은 마찰을 통해 실린더를 회전하기 위해, 림(rim) 상에 마찰 재료를 포함하는 휠과 같은 기어 휠(gear wheel)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적합한 휠을 유리하게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를 회전하기 위해 이러한 구동 샤프트를 사용함으로써, 구동력(driving force)의 균등한 분배가 실린더, 특히 진동을 감소시키는 관형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실린더 상에서 얻어질 수 있다. 구동 샤프트 자체는 구동 수단에 부착된 구동 벨트를 통해 유리하게 구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동 수단은 구동 수단이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의 내부에 유리하게 위치될 수 있다. 구동 수단은 예를 들어, 구동 벨트 또는 구동 체인을 통해 기어 휠 또는 구동 샤프트와 같은 회전력을 운반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통해 실린더의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본원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선박 내에 사용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 및 유리한 측면은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된 작동 상태에서 텔레스코프식으로 후퇴가능한 로터를 갖춘 선박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후퇴된, 비작동 상태에서 텔레스코프식으로 후퇴가능한 로터를 갖춘 선박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은 후퇴된, 비작동 상태에서 텔레스코프식으로 후퇴가능한 로터를 갖춘 선박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내며, 로터는 수평 위치로 종축을 위치시키 위해 힌지 축 둘레로 힌지가능하다.
도 4는 로터를 갖춘 선박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내며, 로터는 선박 내의 수용 챔버 상에 장착된다.
도 5는 로터를 갖춘 선박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내며, 로터는 선박 내의 수용 챔버 상에 장착되며, 수용 챔버는 하부 벽을 추가 포함한다.
도 6은 후퇴된, 비작동 상태에서 텔레스코프식으로 후퇴가능한 로터를 갖춘 선박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내며, 로터는 선박 내의 수용 챔버로 낮아진다.
도 7은 수용 챔버의 확대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수용 챔버로 로터를 낮추기 위한 리프팅 장치를 포함하는, 로터 하부의 확대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실린더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연장 및 후퇴 메커니즘의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 접힐 수 있는 플레트너 로터를 갖춘 선박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2a는 가동형 단부 플레이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로터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며, 세그먼트는 연장되 위치에서 나타낸다.
도 12b는 가동형 단부 플레이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로터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며, 세그먼트는 수축된 위치에서 나타낸다.
도 13은 가동형 단부 플레이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로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가동형 단부 플레이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로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며, 가동형 세그먼트는 가동형 세그먼트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방향으로 후퇴가능한 측면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도 15a는 다이아프램식(diafragmatically)으로 회전가능한 세그먼트를 갖는 로터 단부 플레이트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내며, 세그먼트는 단부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완전히 후퇴된 상태이다.
도 15b는 다이아프램식(diafragmatically)으로 회전가능한 세그먼트를 갖는 로터 단부 플레이트의 다른 측면 개략도를 나타내며, 세그먼트는 단부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부분적으로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c는 다이아프램식(diafragmatically)으로 회전가능한 세그먼트를 갖는 로터 단부 플레이트의 다른 상부 개략도를 나타내며, 상기 세그먼트는 단부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부분적으로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d는 다이아프램식(diafragmatically)으로 회전가능한 세그먼트를 갖는 로터 단부 플레이트의 다른 상부 개략도를 나타내며, 상기 세그먼트는 단부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완전히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은 접힐 수 있는 단부 플레이트 및 접힐 수 있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로터를 구비하는 선박 일부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된 작동 상태에서 텔레스코프식으로 후퇴가능한 로터를 갖춘 선박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선박(1)은 화물을 저장하기 위한 화물 칸(4)을 구비한다. 또한, 선박(1)은 선박 추진용 추진 시스템(5)을 갖춘다. 선체(3)는 상기 언급된 화물 칸(4)을 포함한다. 선체(3)의 상측 부는 갑판(2)으로 형성된다. 원통형 로터(6)는 갑판(2) 상에 위치한다. 또한 갑판(2) 상에 위치하는 것은 원하는 회전 속도로 로터(6)를 회전하고 스피닝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구동 수단(8)이다. 로터(6) 자체는 몇 개의 원형 세그먼트(9)를 포함한다. 원형 세그먼트(9)는 종축으로 서로 연속하며 서로 텔레스코프식으로 끼워지고, 외부 표면이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로터(6)의 종축을 따라, 변위 부재(7)는 작동 상태로 로터(6)를 연장하기 위해, 그리고 비작동 상태로 로터(6)를 후퇴하기 위해 위치한다. 변위 부재(7)는 연장 부재(10)를 구비한다. 연장 부재(7)는 로터(6) 상부의 원형 플레이트(16)에 연결된다. 변위 부재(7)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 플레이트(16)는 연장 부재(10)에 대해 자유 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 자유 회전은 연장 부재(10)의 종축 둘레에서 회전하는 것이다. 원형 플레이트(16)는 이를 성취하기 위해 베어링(17)을 구비한다. 또한, 원형 플레이트(16)는 회전하는 로터(6)에 대해 와도 감소 수단으로 기능한다.
도 2는 후퇴된 비작동 상태에서 텔레스코프식으로 후퇴가능한 로터를 갖춘 선박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면은 텔레스코프식으로 후퇴가능한 로터(6)를 갖춘 선박(1)을 나타내지만, 로터(6)는 후퇴된 비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다시, 선박(1)은 화물을 저장하기 위한 화물 칸(4)을 구비한다. 또한, 선박(1)은 선박(1) 추진용 추진 시스템(5)을 갖춘다. 선체(3)는 상기 언급된 화물 칸(4)을 포함한다. 선체(3)의 상측 부는 갑판(2)으로 형성된다. 원통형 로터(6)는 갑판(2) 상에 위치된다. 또한, 갑판(2) 상에 위치되는 것은 원하는 회전 속도로 로터(6)를 회전 또는 스피닝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구동 수단(8)이다. 로터(6) 자체는 몇 개의 관형 세그먼트(9)를 포함한다. 관형 세그먼트(9)는 종축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텔레스코프식으로 끼워진다. 이제, 관형 세그먼트(9)의 외부면은 거의 완전히 중첩된다. 로터(6)의 종축을 따라, 변위 부재(7)는 작동 상태로 로터(6)을 연장하기 위해, 비작동 상태로 로터(6)를 후퇴하기 위해 위치한다. 변위 부재(7)는 연장 부재(10)를 구비한다. 연장 부재(10)는 로터(6) 상부의 원형 플레이트(16)에 연결된다. 변위 부재(7)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 플레이트(16)는 연장 부재(10)에 대해 자유 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 자유 회전은 연장 부재(10)의 종축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원형 플레이트(16)는 이를 성취하기 위해 베어링(17)을 구비한다. 관형 세그먼트(9)는 그의 외부 표면을 중첩되기 위해 포개진다. 원형 플레이트(16)는 환경으로부터 로터(6)를 차단한다. 또한, 원형 플레이트(16)는 작동 가능한, 즉 연장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로터(6)에 대해 와도 감소 수단으로 기능한다.
도 3은 후퇴된 비작동 상태에서 텔레스코프식으로 후퇴가능한 로터를 갖춘 선박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내며, 로터는 수평 위치로 종축을 위치시키기 위해 힌지 축 둘레에서 힌지가능하다. 다시, 도면은 기본적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퇴된 비작동 상태에서 로터(6)를 포함하는 텔레스코프식으로 후퇴가능한 로터(6)를 갖춘 선박(1)을 나타낸다. 다시, 선박(1)은 화물을 저장하기 위해 화물 칸(4)을 구비한다. 또한, 선박은, 선박(1) 추진용 추진 시스템(5)을 갖춘다. 선체(3)는 상기 언급된 화물 칸(4)을 포함한다. 선체(3)의 상측 부는 갑판(2)으로 형성된다. 원통형 로터(6)는 갑판(2) 상에 위치된다. 또한, 갑판(2) 상에 위치하는 것은 원하는 회전 속도로 로터(6)를 회전 또는 스피닝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구동 수단(8)이다. 로터(6) 자체는 몇 개의 관형 세그먼트(9)를 포함한다. 관형 세그먼트(9)는 종축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텔레스코프식으로 끼워진다. 이제, 관형 세그먼트(9)의 외부 표면은 거의 완전히 중첩된다. 로터(6)의 종축을 따라, 변위 부재(7)는 작동 상태로 로터(6)를 연장하기 위해, 비작동 상태로 로터(6)를 후퇴하기 위해 위치한다. 변위 부재(7)는 명확성을 위해 나타내지 않았음을 명심하라. 로터 상부의 원형 플레이트(16)는 환경으로부터 로터(6)를 차단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원형 플레이트(16)는 작동하는, 즉 연장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로터(6)에 대해 와도 감소 수단으로 기능한다. 또한, 로터(6)는 힌지(11)를 통해 갑판(2)에 연결된다. 따라서, 후퇴된 로터(6)는 수직 위치 A에서 수평 위치 B로 종축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힌지 축 둘레로 힌지될 수 있다. 로터(6)는 크래이들(12)을 통해 갑판(2)에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로터를 갖춘 선박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내며, 로터는 선박 내의 수용 챔버 상에 장착된다. 다시, 도면은 로터(6)를 갖춘 선박(1)을 나타내지만, 로터(6)는 하나의 관형 세그먼트만을 포함한다. 다시, 선박(1)은 화물을 저장하기 위해 화물 칸(4)을 구비한다. 또한, 선박(1)은 선박(1) 추진용 추진 시스템(5)을 갖춘다. 선체(3)는 상기 언급된 화물 칸(4)을 포함한다. 선체(3)의 상측 부는 갑판(2)으로 형성된다. 원통형 로터(6)는 갑판(2) 상에 위치된다. 또한, 갑판(2) 상에 위치하는 것은 원하는 회전 속도로 로터(6)를 회전 또는 스피닝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구동 수단(8)이다. 다시, 원형 플레이트(16)는 환경으로부터 로터(6)를 차단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원형 플레이트(16)는 작동된, 들여 올려진 경우의 회전하는 로터(6)에 대해 와도 감소 수단으로 기능한다. 비작동 상태는 낮아진 상태 즉, 로터가 수용 챔버(13) 내에 수용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도 4는 원통형 주변 벽(14)이 구비되는 경우의 수용 챔버(13)를 나타낸다. 리프팅 장치(18)는 로터(6)를 들어올리고 낮추기 위해, 수용 챔버(13) 내에 구비된다. 수용 챔버(13)의 하부가 열려있다는 것을 명심하라.
도 5는 로터를 갖춘 선박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내며, 로터는 선박 내의 수용 챔버 상에 장착되며, 또한, 수용 챔버는 하부 벽을 추가 포함한다. 도 5는 도 4와 동일하며, 수용 챔버(13)의 일부가 하부 벽(15)으로 구비된다.
도 6은 후퇴된 비작동 상태에서, 텔레스코프식으로 후퇴가능한 로터를 갖춘 선박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내며, 로터는 선박 내에 수용 챔버로 낮아진다. 도 6은 도 2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도 6의 로터(6)의 일부가 수용 챔버(13)로 낮아진다. 따라서, 도 6은 갑판(2)을 향하여 수용 챔버(13)에서 올라갈 수 있고, 갑판(2)에서 수용 챔버(13)로 낮아질 수 있는 로터(6)뿐만 아니라, 텔레스코프식으로 후퇴가능한/연장가능한 로터(6)를 나타낸다. 로터(6)의 낮아지고 후퇴된 상태가 도 6에 나타난다.
도 7은 수용 챔버의 확대된 사시도를 나타낸다. 수용 챔버(13)가 원통형 주변 벽(14)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의 로터(6)는 나타내고, 수용 챔버(13)으로 거의 완전히 낮아진다. 다시, 로터(6)는 원형 플레이트(16)를 구비하고 또한, 원형 플레이트(16)는 수용 챔버(13)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 부재(19)로 기능한다. 수용 챔버(13)는 선박(1) 외부의 로터(6)를 포함하는 수용 챔버(13)의 비교적 쉬운 리프팅을 위해 핸들(21)을 구비한다. 이는 결함이 있는 경우에, 내용물과 원통형 수용 챔버(13)의 비교적 쉬운 교환을 위해 제공된다. 또한, 이는 원한다면, 선박(1)의 로터(6)를 포함하는 원통형 수용 챔버(13)의 비교적 쉬운 리트로피팅(retrofitting)을 제공한다. 도 7은 가동형 세그먼트(39)를 구비하는 단부 플레이트(16)를 나타낸다. 세그먼트(39)는 중앙 단부 플레이트(41)에 대해 가동가능하다. 세그먼트(39)는 하부로 또는 상부로 접힐 수 있다. 도 7은 4개의 세그먼트(39)를 나타내지만, 보다 많은 세그먼트(39)가 예를 들어, 6개 또는 8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수용 챔버로 로터를 낮추기 위한 리프팅 장치를 포함하는 로터의 하부의 확대된 사시도를 나타낸다. 기본적으로, 도 8은 로터(6) 하부의 확대도에서, 도 6 또는 7의 로터(6)를 나타낸다. 로터(6)는 들여 올려진,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작동 상태의 로터(6)에서 회전가능한 구동 수단(8)은 구동 부재(20)를 통해 원하는 회전 속도로 로터(6)를 회전시킨다. 구동 부재(20)는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휠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 휠은 예를 들어, 나쁜 기상 조건의 경우에서 구동 수단(8)으로부터 비교적 빠르게 떼어내기 위해 로터(6)를 허용하고, 그 결과, 리프팅 장치(18)를 통해 수용 챔버(13)로 낮아지도록 로터(6)를 허용한다. 또한, 수용 챔버(13)는 하부 벽(15)을 나타낸다. 또한, 도 8은 가동형 세그먼트(39)를 구비하는 단부 플레이트(16)를 나타낸다. 세그먼트(39)는 중앙 단부 플레이트(41)에 대해 가동될 수 있다. 도 8은 6개의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단부 플레이트(16)를 나타내지만, 보다 많은 세그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세그먼트(39)는 위쪽을 향해 또는 아래쪽을 향해 접힐 수 있다.
도 9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실린더의 측면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연장 부재(10) 및 변위 부재(7)의 종축을 따라 위치하는 2개의 지지 부재(22)를 구비하는 실린더(6)의 내부를 나타내며, 관형 세그먼트(9)에 연장 부재(10) 및 변위 부재(7)가 연결되고, 따라서, 실린더(6)로 추가 강성을 제공한다. 지지 부재(22)는 연장 부재(10) 및 변위 부재(7)에 대한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베어링(23)을 포함한다. 더욱이, 도 9는 트러스-구조(truss-structure)를 유리하게 포함하는 변위 부재(7) 및 연장 부재(10)를 나타낸다. 트러스 구조는 변위 부재(7) 및 연장 부재(10)를 위한 가벼운 중량 또는 강력한 구조를 허용한다. 물론 이는 변위 부재(7)만이 트러스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연장 부재(10)만이 트러스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넒은 의미에서, 또한, 트러스 구조는 실린더(6)의 내부 표면과 같은, 실린더(6)의 내부의 다른 부분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9는 가동형 세그먼트(39)를 구비하는 단부 플레이트(16)를 나타낸다. 세그먼트(39)는 중앙 단부 플레이트(41)에 대해 가동가능하다. 세그먼트(39)는 후퇴된 위치, 즉 실린더 표면에 가까운 위치를 나타낸다. 세그먼트(39)는 필요하다면 실린더 표면에 더 가깝게 후퇴될 수 있다. 세그먼트(39')는 연장된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9는 환경으로부터 구동 수단(8)을 유리하게 보호하기 위해 실린더(6)의 내부에 배치된 구동 수단(8)을 나타낸다. 도 9는 이를 회전하기 위해 실린더(6)의 내부에 결합된 구동 수단(8)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은 연장 및 후퇴 메커니즘의 실시예의 확대된 단면도를 나타낸다. 연장 부재(10)의 하단부는 변위 부재(7)의 상부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풀리(25)에서 작동하는 케이블(24)에 연결되며, 케이블(24)은 연장 부재(10)를 연장 및 후퇴하기 위해 윈치(26)에 연결된다.
도 11은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 접힐 수 있는 로터(6)를 갖춘 선박(1)의 측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1은 화물 칸(4)이 위치하는 선체(3)를 포함하는 선박(1)을 나타낸다. 또한, 선박(1)은 추진 시스템(4) 및 갑판(2)을 구비한다. 로터(6)는 똑바로 수직방향 위치로 갑판(2) 상에 직립한다. 로터(6)는 원통형 로터 부분(37) 및 갑판(2)에 연결되지 않은 로터(6)의 일부에 위치하는 단부 플레이트(16)를 구비한다. 로터(6)는 로터(6)의 하단부 근방에 위치하는 힌지(도시되지 않음) 수단으로 갑판(2)을 향하여 접힐 수 있다.
도 12a는 가동형 단부 플레이트 세그먼트(39)를 포함하는 로터(6)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며, 세그먼트는 연장된 위치에 나타낸다. 로터는 그의 상부에 단부 플레이트(16)를 포함하는 원통형 로터 부분(37)을 나타낸다. 단부 플레이트(16)는 그의 원주에 위치하는 6개의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와 중앙부(41)를 포함한다. 에지 세그먼트(39)는 중앙부(41)에 대해 가동가능하다. 또한, 도 12는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를 작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43)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에지 세그먼트(39)는 얻어진 추가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세그먼트(39) 자체를 나타내는 접힘 선 L을 따라 접힐 수 있다.
도 12b는 가동형 단부 플레이트 세그먼트(39)를 포함하는 로터(6)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며, 세그먼트(39)는 후퇴된 위치에서 나타낸다. 로터는 중앙부(41)에 대해 가동된 후의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를 나타낸다. 3개의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는 중앙부(41)에 대해 위쪽 방향으로 접혔고, 다른 3개의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는 아래 방향으로 접혔다. 인접한 세그먼트(39)는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접힌다. 또한, 에지 세그먼트(39)는 얻어진 추가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세그먼트(39) 그 자체를 나타내는 접힘 선을 따라 접힐 수 있다.
도 13은 가동형 단부 플레이트 세그먼트(39)를 포함하는 로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며, 로터는 그의 상부의 단부 플레이트(16)을 포함하는 원통형 로터 부분(37)을 나타낸다. 단부 플레이트(16)는 그의 원주에 위치하는 12개의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를 포함하는 중앙부(41)를 포함한다. 다시, 인접한 에지 세그먼트(39)는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접힌다. 에지 세그먼트(39)는 중앙부(41)에 대해 가동된 위치에 있다. 6개의 에지 세그먼트(39)는 중앙부(41)에 대해 위쪽 방향으로 접히고, 다른 6개의 에지 세그먼트는 아래 방향으로 접힌다.
도 14는 가동형 단부 플레이트 에지 세그먼트(39)를 포함하는 로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며,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는 가동형 세그먼트(39)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방향으로 후퇴가능한 측면 세그먼트(45)를 포함한다. 다시, 도 14는 그의 원주에 부착된 6개의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를 포함하는 중앙 플레이트(41)를 나타낸다. 가동형 세그먼트(39)는 원형 플레이트(41)에 대해 접힐 수 있다. 측면 세그먼트(45)는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에 대해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측면 세그먼트(45)는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 내에서 후퇴가능하다. 또한, 측면 세그먼트(45)는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의 아래면 또는 윗면으로 후퇴할 수 있다. 연장된 상태에서, 측면 세그먼트(45)는 2개의 인접한 측면 세그먼트(15) 사이의 적절한 잠금을 보장하기 위해 잠금 메커니즘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5a는 단부 플레이트(16)의 상부 개략도를 나타내며,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는 다이아프램식(diafragmatically)으로 회전가능한 세그먼트(42)로 형성되며, 세그먼트(42)는 단부 플레이트(16)의 중앙부(41)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세그먼트(42)는 단부 플레이트(16)에서 완전히 후퇴되어 도시되지 않는다.
도 15b는 단부 플레이트(16)의 다른 상부 개략도를 나타내며,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는 다이아프램식(diafragmatically)으로 회전가능한 세그먼트(42)로 형성되며, 세그먼트(42)는 단부 플레이트(16)의 중앙부(41)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세그먼트(42)는 부분적으로 연장된 상태로 나타낸다.
도 15c는 단부 플레이트(16)의 다른 상부 개략도를 나타내며,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는 다이아프램식(diafragmatically)으로 회전가능한 세그먼트(42)로 형성되며, 세그먼트(42)는 단부 플레이트(16)의 중앙부(41)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세그먼트(42)는 부분적으로 연장된 상태로 나타내지만, 도 15b에 나타낸 상태보다 더 연장된다.
도 15d는 단부 플레이트(16)의 다른 상부 개략도를 나타내며,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는 다이아프램식(diafragmatically)으로 회전가능한 세그먼트(42)로 형성되며, 세그먼트(42)는 단부 플레이트(16)의 중앙부(41)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세그먼트(42)는 완전히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은 접힐 수 있는 단부 플레이트(16) 및 접힐 수 있는 하부 플레이트(50)를 포함하는 로터(6)를 구비하는 선박(1)의 일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하부 플레이트(50)는 가동형 세그먼트(52)를 갖는 것을 나타낸다. 아래쪽의 단부 플레이트 또는 하부 플레이트(50)의 가동형 세그먼트(52)는 후퇴된 상태로 나타낸다. 가동형 세그먼트(52)는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나타낸다. 로터(6)는 비작동 상태에서 갑판(2)을 향하여 접힌다. 또한, 상측 단부 플레이트(16)는 후퇴된 상태에서 나타낸다. 가동형 세그먼트(39)는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나타낸다. 로터(6)는 해치(51) 사이에 놓이며, 해치(51)는 각각의 화물 칸(4)을 커버한다.

Claims (12)

  1. 선체(3) 및 갑판(2), 종방향 중앙선 둘레에서 상기 갑판(2)에 대해 회전가능한 주변 벽을 갖는 실질적으로 실린더인 로터(6)를 포함하는 선박(1)에 있어서,
    상기 로터(6)는 하단부에서 상기 갑판(2) 상에 지지되고, 상측 단부 플레이트(16)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6)는 작동 상태에서 상기 로터(6)가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배향되고, 비작동 상태에서 상기 상측 단부 플레이트(16)가 갑판 부근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상기 갑판(2)에 장착되며, 상기 단부 플레이트(16)는 종방향 중앙선에 횡단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부 플레이트(16)는 상기 로터(6)의 작동 상태에서 상기 주변 벽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터(6)의 비작동 상태에서 연장된 위치보다 상기 주변 벽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후퇴된 위치로 가동하는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레이트(16)는 상기 로터(6)의 상기 주변 벽에 고정된 중앙부(41)를 포함하고, 상기 에지 세그먼트(39)는 상기 중앙부(41)의 실질적으로 평면에 위치한 각각의 힌지 라인 둘레에서 힌지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중앙부(41)에 부착되며, 상기 에지 세그먼트는 상기 연장된 위치에서 상기 종방향 중앙선에 실질적으로 횡단하고, 상기 후퇴된 위치에서 상기 종방향 중앙선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배향되는, 선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한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는 서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접힐 수 있는, 선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는, 상기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방향으로 후퇴가능한 측면 세그먼트(45)를 포함하는,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는 다이아프램식(diafragmatically)으로 회전가능한 세그먼트(42)를 포함하며, 상기 세그먼트(42)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16)의 중앙부(41)에 대해 회전가능한, 선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의 가동성은, 상기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에 연결된 구동 수단(43)에 의해 발생되는, 선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43)은 상기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를 가동시키는 유압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43)은 상기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를 가동시키는 공압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43)은 상기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를 가동시키는 전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43)은 상기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39)를 가동시키는 로프-앤드-풀리 시스템(rope-and-pulley system)을 포함하는, 선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플레이트(16)에 사용되는 유효 직경은, 사용 시에, 상기 로터(6)의 회전으로 유발된 원심력의 결과로서 가동될 수 있는 가동형 세그먼트(39)로 인해 변경될 수 있는, 선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6)는 상기 갑판 근방에 위치하는 하측 단부 플레이트(50)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 단부 플레이트(50)는 상기 로터(6)의 작동 상태에서 상기 주변 벽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터(6)의 비작동 상태에서 상기 연장된 위치보다 상기 주변 벽에 더 가깝게 위치된 후퇴된 위치로 가동되는 가동형 에지 세그먼트(52)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127024062A 2010-02-15 2011-02-14 접이식 매그너스-효과 로터를 포함하는 선박 KR101829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PCT/EP2010/051857 2010-02-15
EP2010051857 2010-02-15
EP11150443.7 2011-01-10
EP11150443 2011-01-10
PCT/EP2011/052143 WO2011098605A1 (en) 2010-02-15 2011-02-14 Vessel comprising a stowable magnus-effect r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142A true KR20120123142A (ko) 2012-11-07
KR101829690B1 KR101829690B1 (ko) 2018-02-19

Family

ID=43736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062A KR101829690B1 (ko) 2010-02-15 2011-02-14 접이식 매그너스-효과 로터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27490B2 (ko)
EP (1) EP2536625B1 (ko)
JP (1) JP2013519587A (ko)
KR (1) KR101829690B1 (ko)
CN (1) CN102803065B (ko)
WO (1) WO20110986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495A (ko) 2021-07-26 2023-02-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풍력추진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0920A1 (de) * 2010-09-16 2012-03-22 Aloys Wobben Schiff, insbesondere Frachtschiff, mit einem Magnus-Rotor
US8776705B2 (en) 2011-08-31 2014-07-15 Poulsen Hybrid, Llc Magnus rotor ship propulsion system
WO2013110695A1 (en) * 2012-01-24 2013-08-01 Winkler Joern Paul Magnus-effect rotor
US9694889B2 (en) 2015-03-04 2017-07-04 Magnuss Servic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 vertically variable ocean sail system
US10118696B1 (en) 2016-03-31 2018-11-06 Steven M. Hoffberg Steerable rotating projectile
WO2019157483A2 (en) * 2018-02-12 2019-08-15 Holohan Eric Methods and systems for a vertically-variable ocean rotor system
US11712637B1 (en) 2018-03-23 2023-08-01 Steven M. Hoffberg Steerable disk or ball
TWI710501B (zh) 2019-06-27 2020-11-21 周中奇 馬格努斯轉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01266A (fr) * 1924-12-12 1926-02-26 Rotor
US2596726A (en) 1948-05-26 1952-05-13 Josef G A Rydell Wind motor
GB2072112B (en) * 1980-03-20 1983-08-24 Austin K A Rotors utilising the magnus effect
DE3145362C2 (de) * 1981-11-14 1986-05-22 Blohm + Voss Ag, 2000 Hamburg Windantrieb für Schiffe
US4602584A (en) 1984-06-12 1986-07-29 Henry North Propulsion device for a ship
DD255923A1 (de) 1986-11-11 1988-04-20 Volkswerft Stralsund Veb Windzusatzantrieb fuer schiffe
GB2187154B (en) 1987-02-18 1989-11-08 Hydroconic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propulsion of ships
GB2332891B (en) 1997-11-21 2001-06-20 Kenneth Arthur Austin Aerodynamic lift producing apparatus
DK1568602T3 (da) * 2004-02-24 2007-08-20 Jobmann Wolfgang Gmbh Supplerende fremdrivningsenhed omfattende omstyring af fluidströmmen
DE102006025732B4 (de) * 2006-05-31 2010-05-20 Wobben, Aloys Magnusrotor
FI123862B (fi) * 2008-12-08 2013-11-29 Waertsilae Finland Oy Vesial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495A (ko) 2021-07-26 2023-02-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풍력추진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19587A (ja) 2013-05-30
US9027490B2 (en) 2015-05-12
CN102803065B (zh) 2015-09-09
CN102803065A (zh) 2012-11-28
EP2536625B1 (en) 2013-12-18
KR101829690B1 (ko) 2018-02-19
EP2536625A1 (en) 2012-12-26
WO2011098605A1 (en) 2011-08-18
US20130008363A1 (en)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797B1 (ko) 접이식 매그너스-효과 로터를 포함하는 선박
KR101829690B1 (ko) 접이식 매그너스-효과 로터를 포함하는 선박
DK2723632T3 (en) VERTICAL VARIABLE SEA SEAT SYSTEM
JP5629382B2 (ja) 船およびその乗降ブリッジ(舷梯)
US8776705B2 (en) Magnus rotor ship propulsion system
WO2013110695A1 (en) Magnus-effect rotor
EP2658775B1 (en) A retractable thruster unit for a marine vessel
JP2012240539A (ja) 硬帆で形成される横帆を備えた船舶及び横帆の格納及び展開方法
JP6001750B2 (ja) 硬帆で形成される横帆を備えた船舶及び横帆の格納及び展開方法
KR20040027616A (ko) 선박의 롤링 및 피칭제어장치
WO2012074465A1 (en) Bow thruster
US10293904B2 (en) Deployable wingsail for container ships
WO2018134469A1 (en) A vessel
JPS5943360B2 (ja) 帆の展縮装置
CN115027652A (zh) 一种基于旋筒风帆的风帆推进装置及船舶
RU2006124248A (ru) Паром-амфиб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