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2852A -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852A
KR20120122852A KR1020110072582A KR20110072582A KR20120122852A KR 20120122852 A KR20120122852 A KR 20120122852A KR 1020110072582 A KR1020110072582 A KR 1020110072582A KR 20110072582 A KR20110072582 A KR 20110072582A KR 20120122852 A KR20120122852 A KR 20120122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digital receiver
data
image data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2818B1 (ko
Inventor
정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2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818B1/ko
Priority to EP12002938A priority patent/EP2518618A1/en
Priority to US13/459,699 priority patent/US9250927B2/en
Priority to CN201210135451.7A priority patent/CN102761786B/zh
Publication of KR20120122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 제어 방법의 일 예는,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상의 제1 영역으로부터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 후,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이동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이동 위치가 제1 방송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화면상의 제2 영역 내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관련된 제2 방송 프로그램으로 전환하여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수신기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A digital receive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의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출력되는 화면으로부터 소정 영역 또는 데이터를 선택하면, 디지털 수신기에서 선택된 영역 또는 데이터를 활성화(activating)시키고, 활성화된 영역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이 실행되는 디지털 수신기 및 상기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종래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고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도 높아 더욱 선명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방향 서비스도 가능하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급격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종래 지상파, 위성, 케이블 방송 이외에 각 가정에서 연결된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IPTV 방송 서비스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방송 환경의 변화에 맞춰 수신기 제조업체들은 디지털 수신기를 통해 종래에 비해 더욱 다양한 기능이나 동작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높이고자 시도하고 있다.
다만, 디지털 수신기에 구비된 복잡 다양한 기능으로 인해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매뉴얼을 참조하여야 하거나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등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줘 제품 구매 의욕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디지털 수신기에 대한 접근 편리성 및 이용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이나 기능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디지털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출력되는 화면으로부터 소정 영역 또는 데이터를 선택하면, 디지털 수신기에서 선택된 영역 내지 데이터를 활성화(activating)시키고, 활성화된 영역 내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 가능한 디지털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 또는/및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와 같은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 선택한 영역 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수신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의 일 예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출력되는 화면상의 제1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제1 영역을 이미지로 활성화시켜 제2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활성화 이미지가 제3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제3 영역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실행 결과를 제4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일 예는, 화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화면상의 제1 영역을 선택받고, 선택된 제1 영역을 이미지로 활성화시켜 제2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출력된 활성화 이미지가 제3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제3 영역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제4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사용자에게 보다 쉽고 간편하게 원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디지털 수신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출력되는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영역 또는 데이터를 활성화시켜 그 이동 또는 변경된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방송 서비스 또는/및 SNS 서비스와 같은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선택된 영역 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수신기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원하는 기능을 여러 경로를 거치지 않거나 또는 직접 타이핑(typing)을 하지 않고도 직관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디지털 수신기에 대한 접근 편리성 또는/및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켜 제품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원격제어장치들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화면으로부터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 및 활성화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12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수신기가 직관적으로 제어되는 과정 및 그 결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7 내지 18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수신기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후술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출원인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출원인은 특정한 경우에는 임의로 선정한 용어를 사용하나, 이 경우 해당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니라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예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으로부터 소정 영역 또는 데이터(이하 '데이터’)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데이터를 활성화(activating)시키고, 활성화된 데이터의 이동 또는 변경된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디지털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에서, 디지털 수신기는 활성화된 데이터를 사용자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임의의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활성화된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활성화된 데이터의 이동된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하는데, 여기서 디지털 수신기는 화면의 모든 부분에 대해 미리 알고 있거나 저장되어 있는 좌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는 실행 결과를 소정 영역에 출력하여 사용자의 동작, 입력, 또는 요청 등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이라 함은 예를 들어, 활성화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내용을 방송 가이드(broadcast guide),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미디어(media) 등과 같은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검색(searching or detecting)하거나 해당 인터페이스에서 재생(playback) 등과 같이, 활성화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지털 수신기의 다양한 응답(response)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활성화(activating)”라 함은, 일반적으로 활성화라 함은 특정 객체가 접근, 이용 등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하는바, 본 발명에서도 사용자가 출력되는 화면으로부터 소정 데이터를 선택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데이터를 접근, 이용 등이 가능하도록 객체화하는 것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한편, 상기에서 이용이라 함은 예를 들어, 선택, 선택된 데이터의 식별, 선택 후 이동, 상기 이동에 따른 동작 실행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동작 내지 상기 동작에 따른 결과물의 접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활성화의 예로, 선택된 데이터를 디지털 수신기에서 이미지화 내지 아이콘화(이하 '이미지화')하여 화면의 소정 영역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인지하여 이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디지털 수신기”는, 방송 수신 기능뿐만 아니라 컴퓨터 기능도 지원 가능한 지능형 수신기로서, 다양한 입력 또는/및 선택 수단 예를 들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touch) 또는 3D 포인팅 디바이스(3-Dimensional Pointing Device) 등과 통신 가능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수신기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지털 수신기에서 지원하는 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이메일(e-mail),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뱅킹(banking) 또는 게임(game)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수신기는 상술한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디지털 수신기는 범용의 OS 커널(kernel)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자유롭게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다양한 기능을 더욱 사용자 친화적으로 구성하고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로 네트워크 TV(network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스마트 TV(Smart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기(mobile terminal)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로부터 데이터의 수신이 가능하며, 각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상의 각 영역에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방송 서비스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와 같은 부가 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TV 또는 소셜 TV(Social TV)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의 일 예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HNED(Home Network End User)(Customer)(40)를 포함한다. 여기서, HNED(40)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100) 즉,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디지털 수신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컨텐츠 제공자(CP)(10), 서비스 제공자(SP)(20) 및 네트워크 제공자(NP)(30)는, 각각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서버(server)로 호칭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HNED(40)에 속한 디지털 수신기도 서버로서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하 서버라 함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를 다른 개체로 전송하는 개체(entity)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서버-클라이언트 개념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서버의 개념은 상대적인바, 하나의 개체는 다른 개체와의 관계에서는 서버이나 또 다른 개체와는 클라이언트가 될 수도 있다.
컨텐츠 제공자(10)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도 1에서는 컨텐츠 제공자(10)로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다양한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개인 컨텐츠 제공자들(Private CPs)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10)는, 비단 방송 컨텐츠 외에도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츠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비스로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서비스를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으로 클라이언트(100)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컨텐츠 제공자(10)와 서비스 제공자(20)는 하나의 개체일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제공자(10)가 컨텐츠를 제작하고 제작된 컨텐츠를 직접 서비스 패키지화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20)의 기능도 함께 실행할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당연히 가능하다.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서버(10 또는/및 20)와 클라이언트(1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그를 위한 제반 환경을 구축한다. 그 밖에 네트워크 제공자(30)는 클라우드(cloud)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100)는,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컨텐츠의 보호를 위해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의 수단을 이용하고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라이언트(100)에서는 상기 서버의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에 대응하여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AS) 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에 클라이언트(100)도 네트워크 망을 통해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히려 클라이언트(100)가 컨텐츠 제공자(10) 또는/및 서비스 제공자(20)의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으며, 기존 서비스 제공자(20)는 이를 수신하여 다시 다른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2는 예를 들어, 도 1의 클라이언트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는, 화면상에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화면상의 제1 영역을 선택받고, 선택된 제1 영역을 이미지로 활성화시켜 제2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출력된 활성화 이미지가 제3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제3 영역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제4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선택된 제1 영역에 해당하는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제어부는, 현재 실행되고 있지 않은 기능에 대한 항목을 제5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제1 영역은, 서버로부터 제공된 실제 텍스트 스트링에 대한 OSD 영역, 방송 프로그램 내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object), 또는 웹 브라우저상의 적어도 하나의 객체일 수 있다.
그 밖에 상기에서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제1 영역에 해당하는 실제 텍스트 스트링을 OSD에 그리기 전 표면(surface)에 그린 후 해당 표면을 이미지화하도록 제어, 상기 제3 영역의 좌표 정보와 기 저장된 각 기능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일치하는 좌표 정보를 가진 기능을 실행 또는/및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된 시그널링 정보와 실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이미지는, BMP(Bitmap), JPG/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및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중 어느 하나의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정 기능은, EPG 서비스, 웹 브라우저 서비스, 앱 스토어 서비스, 마이 앱 서비스 및 미디어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기능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이미지를 상기 실제 텍스트 스트링(text string) 정보를 헤더(header) 부분에 포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디지털 수신기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마트 TV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TV는 예를 들어,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2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Network Interface)(201), TCP/IP 매니저(TCP/IP Manager)(202), 서비스 전달 매니저(Service Delivery Manager)(203), SI 디코더(204), 디멀티플렉서(Demux)(205),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206),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207), 디스플레이부(Display A/V and OSD Module)(208), 서비스 제어 매니저(Service Control Manager)(209),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Service Discovery Manager)(210),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SI & Metadata DB)(211), 메타데이터 매니저(Metadata Manager)(212), 서비스 매니저(service manager)(213), UI 매니저(user interface (UI) manager)(2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서비스 데이터가 포함된 IP 패킷들(internet protocol (IP) packets)을 수신하거나 전송한다. 다시 말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1)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연결된 서버로부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SNS 서비스에 이용되는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와 같은 각종 데이터 등이 포함된 IP 패킷들을 수신한다.
TCP/IP 매니저(202)는, 디지털 수신기(200)로 수신되는 IP 패킷들과 디지털 수신기(200)가 전송하는 IP 패킷들에 대하여 즉, 소스(source)와 목적지(destination) 사이의 패킷 전달에 관여한다. TCP/IP 매니저(202)는, 수신된 패킷을 적절한 프로토콜(protocol)에 대응되도록 분류하여 서비스 전달 매니저(205),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으로 상기 분류한 패킷을 출력한다.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서비스 데이터의 분류, 처리 등을 제어한다.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예를 들어, 실시간 스트리밍(real-time streaming) 데이터의 경우에는 RTP/RTCP(Real-Time Protocol/RTP Control Protocol)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RTP에 기초하여 전송된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RTP에 따라 파싱(parsing)하여 디멀티플렉서(205)에 전송하거나 서비스 매니저(213)의 제어에 따라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그리고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는 RTCP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수신 정보를 서버로 피드백(feedback)할 수 있다.
디멀티플렉서(205)는, 수신된 패킷을 오디오, 비디오, SI(System Information, Service Information, or Signaling Information) 데이터 등으로 역다중화하여 각각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 및 SI 디코더(204)로 전송한다.
SI 디코더(204)는 예를 들어,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DVB-SI(Digital Video Braodcasting-Service Information) 등의 SI 데이터를 파싱(parsing) 또는 디코딩한다.
SI 디코더(204)는, 파싱 또는 디코딩된 SI 데이터를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이렇게 SI & 메타데이터 베이스(211)에 저장된 SI 데이터는 필요한 구성요소에 의해 독출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교 대상이 되는 EPG 서비스 등도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로부터 독출될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해당 부분에서 후술한다.
오디오/비디오 디코더(206/207)는, 디멀티플렉서(205)에서 역다중화된 각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이렇게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08)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UI 매니저(214)와 서비스 매니저(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디지털 수신기(200)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며, 다른 매니저를 관리할 수 있다.
UI 매니저(214)는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아 상기 입력에 따른 수신기 동작과 관련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OSD(On Screen Display) 등을 통하여 제공한다.
서비스 매니저(213)는 서비스 전달 매니저(203),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 메타데이터 매니저(212) 등 서비스와 연관된 매니저를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매니저(213)는 채널 맵(Channel Map)을 만들고 상기 채널 맵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채널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서비스 매니저(213)는 SI 디코더(204)로부터 채널의 서비스 정보를 전송받아 선택된 채널의 오디오/비디오 PID(Packet Identifier)를 디멀티플렉서(205)에 설정하여 역다중화 과정을 제어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사용자가 SNS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SNS 서비스를 위한 윈도우(window)가 제공될 수 있도록 OSD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면에는 상기 SNS 서비스 외에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이 다른 영역에 출력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디지털 수신기는 SNS 서비스를 화면상의 모든 영역에 제공할 수도 있으며, 다른 기능과 화면을 분할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SNS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서버 측으로부터 제공받아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OSD를 구성하여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수신기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다른 디지털 수신기에서 수신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여 해당 수신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제공되는 SNS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어떤 요청 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이에 관한 추가적인 제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추가적인 제어 동작으로 선택된 텍스트 데이터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데이터의 위치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활성화라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SNS 서비스를 위한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가 선택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추가적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구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수신기는 선택된 텍스트 데이터를 이미지화하여 소정 영역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활성화된 데이터를 화면상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기타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활성화된 데이터 즉, 이미지를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영역으로 이동시키면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onic Service Guide)(이하 '방송 가이드')에서 검색하여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과는 방송 가이드 형태 또는 별도의 UI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방송 가이드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예를 들어, 검색 결과 또는/및 다른 데이터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검색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다른 데이터와 차별화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검색 결과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하이라이트(highlight), 해칭(hatching), 3D(3-Dimension) 등으로 처리되어 제공됨으로써 다른 데이터와 함께 제공되더라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디지털 수신기는 활성화된 데이터 즉, 이미지의 생성 이후 생성된 이미지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실행할 서비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판단하여 해당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수신기는 화면의 좌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수신기는 화면상의 각 좌표에 대한 좌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현재 화면에서 제공중인 서비스들에 관한 좌표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라 활성화된 데이터(이미지)가 최초 제공된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에 위치된 경우 우선 해당 영역 위치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좌표 정보에서 현재 실행 중인 서비스 내지 기능이 무엇인지 식별한다. 디지털 수신기는 이렇게 식별된 서비스 내지 기능에 대해 기 활성화된 데이터와 관련하여 미리 약속된 기능 예를 들어, 검색, 채널 전환 등의 서비스 내지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이는 단지, 전술한 SNS 서비스가 아니라 웹 브라우저나 방송 프로그램상에서 특정 데이터가 선택된 경우에도 디지털 수신기에서 동일한 원리로 동작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술한 UI를 통해 선택된 데이터의 활성화를 요청한 경우,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요청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를 이미지화하여 활성화시킨다. 디지털 수신기는 데이터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와 관련하여, 디지털 수신기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을 화면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을 일부 기술하였다. 이에 대해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후술하는 각 부분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서비스 매니저(213)로부터 채널 선택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면,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는 상기 신호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찾는다.
서비스 제어 매니저(209)는, 서비스의 선택과 제어를 담당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존의 방송 방식과 같은 생방송(Live Broadcasting)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 IGMP 또는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등을 사용하고, VOD(Video On Demand)와 같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RTSP를 사용하여 서비스의 선택 및 제어를 실행한다.
다만, 상기에서 기술된 프로토콜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현 예에 따라 다른 프로토콜도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메타데이터 매니저(212)는, 서비스와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 메타데이터를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한다.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SI 디코더(204)가 디코딩한 SI 데이터, 메타데이터 매니저(212)가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210)가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211)는 시스템에 대한 세트-업(set-up)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IMS 게이트웨이(750)는, IMS 기반의 IPTV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모아 놓은 게이트웨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300)의 일 예는, 방송 수신부(3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 저장부(3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 제어부(370), 디스플레이부(380), 오디오 출력부(385), 전원 공급부(3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방송 수신부(305)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310), 복조부(3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방송 수신부(305)는 튜너(310)와 복조부(320)는 구비하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또한, 방송 수신부(305)는, 다중화부(multiplexer)(미도시)를 구비하여 튜너(310)를 거쳐 복조부(320)에서 복조된 신호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다중화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방송 수신부(325)는 역다중화부(demultiplexer)(미도시)를 구비하여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복조된 신호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를 거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
튜너(3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복조부(320)는, 튜너(3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복조부(3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3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38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디지털 수신기(300)에 다양한 외부장치가 인터페이싱되도록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털 수신기(3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3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디지털 수신기(3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제어부(3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실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3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3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300)는, 저장부(3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저장부(340)가 제어부(3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저장부(340)는 제어부(3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3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370)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4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370)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4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7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3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370)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튜너(310), 복조부(3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3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3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디지털 수신기(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튜너(3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지털 수신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지털 수신기(3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3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3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380) 또는 오디오 출력부(3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3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380) 또는 오디오 출력부(3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3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3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디지털 수신기(3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3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지털 수신기(3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3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3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380)는, 제어부(3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3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3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지털 수신기(3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를 통해 제어부(3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3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390)는, 디지털 수신기(3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3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3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3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4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4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4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3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4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술한 도 2의 애플리케이션 매니저의 기능은 예를 들어, 제어부(37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저장부(3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0), 디스플레이부(380), 오디오 출력부(385) 등에서 구분하여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도 2와 3에 도시된 디지털 수신기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지털 수신기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실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반대로 도시되진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수신기는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수신기는, 장치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일례이다,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다른 예로는, 도 3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380)와 오디오 출력부(385)가 제외된 셋톱-박스,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기기,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는 구성은 특히, 3D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술한 도 2 내지 3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는는, 역다중화부(410), 영상 처리부(420), OSD(On-Screen Display) 생성부(440), 믹서(mixer)(4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455), 및 3D 포맷터(3D formatter)(460)를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4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예를 들어, MPEG-2 T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는, 예컨대, 영상 디코더(425) 및 스케일러(435)를 이용하여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425)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며, 스케일러(435)는 복호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출력부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
한편, 영상 처리부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는, 믹서(4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4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44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부의 화면에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OSD 데이터는, 디지털 수신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widget), 아이콘(Icon), 시청률 정보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OSD 생성부(4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믹서(450)는, OSD 생성부(440)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와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믹싱하여 3D 포맷터(460)로 제공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와 OSD 데이터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overlay) 되어 표시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4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는 입력되는 60Hz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출력부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프레임 변환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655)를 바이패스(bypass)할 수도 있다.
3D 포맷터(4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의 출력을 출력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 예를 들어, 3D 포맷터(460)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3D 포맷터(6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455)의 출력이 3D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출력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3D 형태로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3D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음성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신호가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등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그 밖에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를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로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등의 방송 정보가 포함된 EPG 정보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원격제어장치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디지털 수신기(500)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ID; User Interface Device)가 원격제어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의 통신 수단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다양한 통신 규격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는, 통상적인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510) 이외에 매직 리모트 콘트롤러(520), 키보드와 터치패드가 구비된 리모트 콘트롤러(5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직 리모트 콘트롤러(540)는, 리모트 콘트롤러 내부에 자이로 센서(Gyro Sensor)를 탑재하여 손의 떨림이나 회전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매직 리모트 콘트롤러(540)는 사용자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시켜 원하는 동작 예를 들어, 채널이나 메뉴를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키보드와 터치패드를 구비한 리모트 콘트롤러(530)는, 키보드를 통하여 텍스트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고, 터치패드를 통하여 포인터의 이동 및 사진이나 동영상의 확대, 축소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후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 제어 방법의 기본 원리는, 화면으로부터 소정 영역 또는 데이터(이하 ‘데이터’라 한다)가 선택되면,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아이콘(icon)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생성하여 활성화시키고,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이미지 데이터가 이동되면, 이동된 위치(location)에 해당하는 기능(function)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이다. 이때, 디지털 수신기는 활성화된 이미지 데이터의 이동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coordinate information)에 기초하여 해당 기능이 무엇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기능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수신기는 제공되는 화면의 각 영역 또는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메모리(memory)에 미리 저장해 둘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는 선택된 소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실행 결과가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지털 수신기는 선택된 데이터가 속한 영역의 이웃 영역에 자동으로 실행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수신기는 기 수행 중인 서비스에 방해되지 않도록 다른 영역에 실행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행 결과는 상기 실행되는 기능의 화면 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가 실행되었다면 EPG의 형태로,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자동으로 실행되었다면, 웹 브라우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 별도 제작된 OSD(On Screen Display) 또는 UI(User Interface) 형태로 실행 결과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실행 결과로 제공되는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중 하나의 포맷 또는 그들이 조합된 형태의 포맷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 밖에, 디지털 수신기는 자동 실행 기능이나 서비스의 특성에 기인하여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다양한 데이터 포맷으로 실행 결과를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디지털 수신기는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이나 동작을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직관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어 디지털 수신기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편리성 내지 이용 편의성을 도모하여 제품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기본 원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디지털 수신기에서 화면으로부터 소정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 및 활성화 방법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화면으로부터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화면으로부터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3D 포인팅 디바이스에는 예컨대, 전술한 도 5의 다양한 입력 수단 또는 선택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지털 수신기는 방송 서비스 또는/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서비스들을 하나의 화면상에서 전용으로 또는 혼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SNS 서비스, 웹 브라우저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디지털 수신기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SN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사용자와 SNS 서비스를 이용하는 도중에 현재 자신이 시청하고 있지 않은 채널에서 재미있는 방송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는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리모컨과 같은 수단으로 채널 번호를 직접 입력, 서핑을 통해 채널을 직접 검색 또는 EPG 서비스를 이용하여 채널을 전환함으로써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채널 전환 경로는 사용자가 직접 해당 채널넘버를 입력, 채널 업/다운 버튼을 이용하거나 별도로 EPG 서비스를 호출하고 검색을 하여야 하는 등 그 절차가 복잡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가 보다 쉽고 간편하게 원하는 채널로 전환할 수 있도록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 수신기는 화면상의 일 영역(610)에 방송 서비스를, 다른 영역(620)에 SNS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디지털 수신기가 도 6과 같은 화면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수신기는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영역(610) 이외의 영역(620)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사용자와 대화 내용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수신기는 방송 서비스는 그대로 화면상에 출력하고, SNS 서비스의 경우 예컨대 상기 방송 서비스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620)에 도 6과 같이 출력되도록 OSD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수신기는 SNS 서비스를 위해 다른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디지털 수신기의 화면상에 제공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디코딩 또는/및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후 OSD 구성시 이용한다. 디지털 수신기는 예를 들어, 디코딩된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면(surface)에 그림으로써 도 6과 같은 다른 사용자의 텍스트가 제공된다.
도 6과 같이 제공되는 SNS 서비스 상에서, 사용자는 선택 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단어(word) 또는 문장(예컨대, 2 이상의 단어)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지금 마이더스 하고 있는데 보고 있니?”라는 문장에서 사용자에 의해 “마이더스”라는 단어가 선택되었다.
관련하여,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단어나 문장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단어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해당 단어에 위치시키고 롱 클릭(long click)을 하면 된다.
이와 달리, 문장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해당 문장의 시작 위치에서 더블 클릭(double click)(포인팅 디바이스를 순차적으로 다운(down), 업(up), 다운(down))하고 해당 문장을 드래그(drag)한 후 업(up)하면 해당 문장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해당 문장의 시작 위치에서 클릭(다운)하고 해당 문장을 드래그한 후 업하면 해당 문장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해당 문장의 시작 위치에서 더블 클릭(다운, 업, 다운, 업)하고 해당 문장의 끝 위치에서 더블 클릭(다운, 업, 다운, 업)함으로써 해당 문장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해당 문장의 시작 위치에서 클릭(다운, 업)하고 해당 문장의 끝 위치에서 클릭(다운, 업)함으로써 해당 문장을 선택할 수 있다.
그 밖에 선택 수단이 공간 리모컨인 경우에는 버튼을 더블 클릭하거나 원 클릭 후 드래그하고 위로 당김으로써 단어 또는 문장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디지털 수신기는 사용자가 선택 수단을 특정 위치에 소정 시간 위치시키면, 도 6과 같은 UI(650)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영역의 단어, 해당 문장, 또는 전체 문장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SNS 서비스 이용 도중 특정 단어 내지 문장을 선택하기 위해 상술한 방법은 일 예일뿐 본 발명이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택 수단 등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 및 활성화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도 6에서 소정 데이터(마이더스)가 선택되면, 디지털 수신기는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활성화한다.
본 명세서에서, 활성화라 함은 예를 들어,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화면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과정 중 경우에 따라 후자만을 의미하거나 또는 양자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수신기는 SN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OSD에 그려 도 6과 같이 텍스트 형식처럼 제공한다. 다시 말해, 도 6에서 소정 텍스트 데이터 영역이 선택된 경우, 디지털 수신기는 선택된 텍스트 데이터 영역에 해당하는 실제 텍스트 데이터(스트링)을 기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수신기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 데이터 영역이 선택되면, 메모리로부터 선택된 소정 데이터 영역에 대해 기 저장된 실제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아이콘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한편, 추출된 실제 텍스트 데이터와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링크(linking)시킨다.
다시 말해, 디지털 수신기는 선택된 영역의 텍스트 데이터(즉,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실제 텍스트 스트링)를 독출한 후 OSD에 그리기 전 메모리의 표면(surface)에 그린다(draw). 그리고 상기 표면을 그대로 이미지화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이미지 데이터는 예를 들어, bmp, jpg, jpeg, png 등 다양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화면상에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모양 내지 형태는 예컨대, 도 9에서는 사각형 모양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원형, 원뿔형, 다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는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의 기 제공 중인 서비스와의 관계에서 사용자 인지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크기나 색상 등을 다양하게 구성하여 제공하거나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가 깜빡이도록 하거나 3D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는, 선택된 영역의 텍스트와의 연관성을 보다 쉽게 인지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텍스트 내용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사용자는 '마이더스'라는 텍스트 데이터를 선택하였고, 도 7에서는 사각형 모양의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 내에 '마이더스'라고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상기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텍스트 데이터가 없을 수도 있으며, 있는 경우에도 문장의 경우에는 선택된 문장에 대한 줄임말이 들어갈 수도 있다.
그 밖에 생성된 이미지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당 텍스트 데이터의 주변에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텍스트 데이터 주변에 제공되는 경우 서비스 이용에 방해가 되거나 불편함을 끼치는 경우에는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추가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선택된 데이터를 이미지화하는 방법에는 예컨대, 부가 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OSD 상에서 텍스트가 포함된 일정 영역을 잘라내어 별도로 이미지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때, 디지털 수신기는 이미 제공되는 OSD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일정 영역이 선택된 경우에도 그에 대한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이미지의 이동 등에 따라 관련 기능 또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선택된 영역에 대한 이미지화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도 8 내지 12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수신기가 직관적으로 제어되는 과정 및 그 결과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8 내지 12는 예를 들어, 전술한 도 6 내지 7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고 활성화된 이후의 제어 과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선택 수단의 포인터(804)를 이용하여 디지털 수신기에서 기 활성화된 이미지 데이터(802)를 선택 가능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선택 수단에 따라 약간씩 상이할 수는 있으나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하면 해당 이미지 데이터(910)를 선택 후 드래그 & 드롭(drag & drop)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8에서는 예컨대, 사용자가 SNS 서비스 상에서 활성화된 이미지 데이터(마이더스)(810)를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영역으로 이동시켰다.
사용자가 활성화된 이미지 데이터(마이더스)를 특정 방송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는 화면상의 소정 영역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키면, 디지털 수신기는 좌표 정보를 획득한다.
디지털 수신기는 획득된 좌표 정보를 기 저장된 좌표 정보와 비교하여 이미지 데이터(810)가 어느 위치로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디지털 수신기에서 사용자의 이미지 데이터 이동에 따른 후속 처리 예컨대, 특정 기능의 수행 등을 위함이다.
디지털 수신기는 좌표 정보 비교 판단 결과 만약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810)가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영역으로 이동되었다고 판단되면, 후술하는 도 9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경우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12의 경우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서는, 도 8의 이미지 데이터(810)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채널이 전환된 경우이다. 즉, 도 9에서는 도 8에서 기 제공 중이던 방송 프로그램이 아닌 상기 이동된 이미지 데이터(810)와 관련된 방송 프로그램(910)이 화면에서 제공된다.
이 경우 물론 디지털 수신기는 내부적으로 이미지 데이터(810)와 관련된 방송 프로그램은 내부의 EPG 데이터 또는/및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검색 및 판단하여 화면상에서 자동으로 채널 전환시켜 제공하며, 채널 전환과 함께 수신기의 제어부에서 해당 채널을 튜닝하도록 튜너를 제어함으로써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에서는 도 9와 같이 자동으로 채널을 전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현재 사용자가 기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싶을 수도 있으므로 이를 PIP 또는 POP의 형태(1010)로 제공하는 것이다. 반대의 경우 즉, 기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을 PIP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인 화면과 PIP 화면은 주/부절환도 가능하다.
도 11에서는 도 9 내지 10과 달리, 사용자가 기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방송 프로그램으로 자동 전환의 경우 사용자가 예상치 못할 수도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UI(1110)를 제공하여 채널 전환 여부를 문의 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채널 전환 또는 PIP 제공 등을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1에서는 “현재 시청중인 채널을 종료하고 채널을 전환하시겠습니까?”라는 UI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예”를 선택하면,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방송 프로그램의 채널로 튜닝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도 12에서는 도 9 내지 11과 달리 도 8과 같이 이미지 데이터가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영역으로 이동되었음이 판단되면, 디지털 수신기는 EPG 서비스(1220)를 자동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행시켜 화면상에 도 12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EPG 서비스(1220)는 예컨대, 기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영역상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EPG 형태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별도의 UI로 관련 데이터에 대한 목록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EPG 서비스(1220)가 제공되는 영역의 상부에 이미지 데이터(1210)가 사라지지 않고 제공된다.
또한, 도 12에서는 EPG 서비스(1220)는 예컨대, 이미지 데이터(1210)와 관련된 방송 프로그램만이 표시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송 프로그램들과 함께 제공되되 이미지 데이터에 관련된 방송 프로그램은 하이라이트, 3D, 해칭, 크기 또는/및 색상 변경 등을 통해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또는, 디지털 수신기는 동일 시간대에 방송 중인 프로그램이 있거나 또는 없더라도 과거 또는/및 미래에 방송되었거나 또는 방송될 예정인 방송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고 그 예약 녹화 여부를 문의하여 그에 따라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리즈를 미리 한꺼번에 예약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예약 녹화를 설정한 경우에는 예약 녹화가 설정되었음을 화면상의 소정 영역 또는/및 EPG 상에 표시하여 예약 녹화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달리, 도 12와 같이 제공된 EPG 상에서도 채널 전환, 예약 녹화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는 본 발명에 따라 활성화된 이미지의 드래그 & 드롭에 따른 기능 실행의 경우에도 이미 PSI/PSIP이나 DVB-SI와 같은 시그널링 정보로부터 EPG 데이터를 기 처리 후 저장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인 EPG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썸메일 이미지, 줄거리, 배우 정보 등 상세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의 경우, 활성화된 이미지에 따라 제공되는 EPG 서비스가 방송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화면을 가리는 경우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어 제1 영역에서 그 크기나 해상도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디지털 수신기는 검색된 EPG 데이터가 하나이면 자동 채널 전환을, 다수 개이면 도 13과 같은 리스트를 제공하여 부가 기능이 더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도 8 내지 12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 후에 이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동된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에 따른 위치 정보 즉,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수신기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행할 기능을 판단하고 이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경우의 일 예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와 달리,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수신기는 전술한 경우와 달리, 사용자가 이미지 데이터(1310) 생성 후 포인터(1320)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1310)를 액세스하면, 해당 이미지 데이터(1310)와 관련하여 디지털 수신기에서 제공 가능한 관련 서비스의 리스트(1330)를 도 13과 같이 제공할 수도 있다.
서비스 리스트(1330)에는 예컨대, 바탕화면에 아이콘 등록, EPG 서비스 실행, 웹 브라우저 서비스 실행, 앱 스토어 실행, 모든 서비스 실행 등이 예시되었다. 상기에서 모든 서비스 실행의 경우 예컨대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각각의 서비스가 순차로 실행되거나 별도의 UI 또는 OSD로 각 서비스에 따른 결과를 한꺼번에 제공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디지털 수신기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아이템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술한 도 8 내지 12의 경우에는 예컨대, 도 6 내지 7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1405)에 대해 도 13과 같은 제공 가능한 UI가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항목들(1420)이 화면상에 제공되는 예시이다.
다시 말해, 디지털 수신기는 이미지 데이터(1405)가 생성되면, 그와 동시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미지 데이터(1405)가 포인터(1410)를 이용하여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1405)와 관련하여 디지털 수신기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목록(1420)을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제공한다.
도 14의 경우에는 화면의 하단부에 도 8 내지 13에 예시된 EPG 서비스 이외에 웹 브라우저(1422), 앱 스토어(1424), 마이 앱(1426), 미디어(1428) 서비스를 위한 각 항목이 생성되고 제공된 예시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술한 도 8과 같이 사용자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1502)를 이동시킨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웹 브라우저로 이미지 데이터(1502)를 이동시킨 경우(1510)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수신기는 이미지 데이터(1502)의 이동이 감지되면, 이동된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 저장된 좌표 정보와 대비하여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가 어떤 기능과 연관되었는지 판단한다.
디지털 수신기는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위치가 웹 브라우저 서비스 항목(1422)이면, 도 16과 같이 웹 브라우저 서비스를 자동으로 실행하고 웹 브라우저 서비스를 통해 이미지 데이터(1502)와 관련하여 검색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기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의 영역상에 웹 브라우저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 다양한 크기로 구성되어 제공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는 이미지 데이터(1502)가 이동되는 경우에는 기존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타임 머신 기능으로 별도 녹화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화면상에 동시에 또는 해당 이미지 데이터의 이동에 따른 다른 기능 종료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
전술한 예시는 모두 SNS 서비스 상에서 텍스트 데이터를 선택하고, 그와 관련된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내용에 대해 기술하였다.
다만, 본 발명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7 내지 18과 같이, 방송 프로그램 내에서도 오브젝트 단위의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되면 해당 오브젝트를 선택 가능하고 이를 전술한 바와 같은 원리로 이미지화시키고 활성화시켜 디지털 수신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웹 브라우저상에서도 사용자가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화시키고 활성화시켜 그에 따라 디지털 수신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7 내지 18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수신기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화면상에 방송 프로그램만 제공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디지털 수신기는 이 경우 하나의 씬을 구성하는 다수의 오브젝트에 대해 서버로부터 미리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디지털 수신기에서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화면상의 특정 오브젝트를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도 17에서는 네모 영역(1)이 포인팅 디바이스로 선택되었다면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가 다른 오브젝트와 구분되어 표시되거나 별도의 UI로 오브젝트 리스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하나의 오브젝트(1710)을 선택하면, 디지털 수신기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해당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를 독출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OSD에 그려 아이콘 형태로 이미지화시키고 활성화시킨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포인터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1710)를 선택하는 경우 화면상의 다른 영역에 해당 디지털 수신기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항목(1820)이 제공된다.
이러한 항목으로 도 18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1822), 앱 스토어(1824), 마이 앱(1826) 및 미디어(1828) 서비스 항목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사용자가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웹 브라우저 항목(1822)으로 이동시키면, 디지털 수신기는 이동 위치를 판단하여 도 16과 같은 웹 브라우저 서비스를 자동으로 실행시키고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디지털 수신기는 이미지 데이터의 이동 위치에 따른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시킴에 있어서, 화면상에서는 이미지 데이터가 이동되나 해당 기능의 실행시에는 메모리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관련하여 기 독출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수신기는 활성화된 이미지 자체에 직접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시켜 이동과 동시에 메모리를 액세스하지 않고도 바로 해당 기능에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수신기는 활성화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해당 이미지의 포맷에 따라 예를 들어, 헤더 영역 또는/및 데이터 영역에 메모리로부터 읽어 독출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기능에서 메모리를 액세스하지 않고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밖에 또 다른 방법으로는, 화면상에서 선택되는 텍스트 자체를 드래그 & 드롭하여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켜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선택된 텍스트를 드래그 & 드롭하는 과정에서 일 영역에서 타 영역으로 텍스트 데이터가 복사(copy)되는 형태이다.
또한, 디지털 수신기는 화면을 분할하여 도 16과 같은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검색을 위한 검색 공급자는 예를 들어, 디지털 수신기에 기 설정된 디폴트된 사이트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검색 사이트를 변경도 가능하다.
그 밖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사용자가 활성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앱 스토어 항목으로 이동시키면, 디지털 수신기는 앱 스토어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관련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활성화된 이미지를 마이 앱 항목으로 이동시키면, 디지털 수신기는 마이 앱에서 관련 앱을 검색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유사 앱이 존재하면 실행 또는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활성화된 이미지를 미디어 항목으로 이동시키면, 디지털 수신기는 미디어에서 검색하여 관련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미디어에는 USB, DLNA, 녹화 목록 등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에서 선택하여 활성화된 이미지를 SNS 서비스로 이동시키면, 디지털 수신기는 SNS 서비스를 위해 연결된 친구나 글 등을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NS 서비스로는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등 다양한 SNS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선택 수단을 통해 화면상에 출력되는 소정 영역 또는 데이터를 선택(S102)하면, 디지털 수신기는 선택된 영역 또는 데이터를 이미지로 활성화(S104)한다.
사용자가 활성화된 이미지를 이동하면(S106), 디지털 수신기는 이동된 위치의 좌표 정보를 획득한다(S108).
디지털 수신기는 S108 단계에서 획득한 좌표 정보와 각 기능의 좌표 정보를 대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판단한다(S110).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한다(S112).
디지털 수신기는 S112 단계에서 수행한 결과를 화면의 소정 영역에 출력한다(S114).
이에 더하여, 상기 출력 이후에 출력된 화면상에 사용자가 재차 입력을 하면(S116),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입력에 따른 기능을 다시 수행한다(S118).
이상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사용자는 보다 쉽고 간편하게 디지털 수신기에서 원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되는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영역 또는 데이터를 활성화시켜 그 이동 또는 변경된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방송 서비스 또는/및 SNS 서비스와 같은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선택된 영역 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수신기를 쉽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내용을 통해 사용자는 디지털 수신기에서 원하는 기능을 여러 경로를 거치지 않거나 또는 직접 타이핑(typing)을 하지 않고도 직관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디지털 수신기에 대한 이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결국 제품 구매 욕구도 높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디지털 수신기의 동작방법은 디지털 수신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20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02: TCP/IP 매니저
203: 서비스 전달 매니저 204: SI 디코더
205: 디멀티플렉서 206: 오디오 디코더
207: 비디오 디코더 208: 디스플레이부
209: 서비스 제어 매니저 210: 서비스 디스커버리 매니저
211: SI &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212: 메타데이터 매니저
213: 서비스 매니저 214: UI 매니저

Claims (34)

  1.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상의 제1 영역으로부터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받은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이동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이동 위치가 제1 방송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화면상의 제2 영역 내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관련된 제2 방송 프로그램으로 전환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실행 가능한 기능에 대한 항목을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에서,
    디지털 수신기는 메모리에 기저장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텍스트 스트링을 독출하여 상기 제2 방송 프로그램 전환시 이용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텍스트 스트링을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가능한 기능에는,
    웹 브라우저 서비스, 앱 스토어 서비스, 마이 앱 서비스 및 미디어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독출된 텍스트 스트링을 OSD에 그리기 전 표면에 그린 후 상기 표면을 이미지화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BMP, JPG, JPEG, 및 PNG 중 어느 하나의 포맷을 가지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헤더 부분에 상기 독출된 실제 텍스트 스트링을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9. 부가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상의 제1 영역으로부터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받은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이동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각 기능의 좌표 정보와 상기 획득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화면상의 제2 영역에 실행 가능한 기능 또는 서비스에 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에서,
    디지털 수신기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텍스트 스트링을 독출하여 해당 기능 실행시에 이용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텍스트 스트링을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가능한 기능에는,
    방송 서비스, 웹 브라우저 서비스, 앱 스토어 서비스, 마이 앱 서비스 및 미디어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독출된 텍스트 스트링을 OSD에 그리기 전 표면에 그린 후 상기 표면을 이미지화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BMP, JPG, JPEG, 및 PNG 중 어느 하나의 포맷을 가지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헤더 부분에 상기 독출된 실제 텍스트 스트링을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17.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출력되는 화면으로부터 제1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선택받은 제1 영역을 이미지로 활성화시켜 출력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이미지가 제2 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제2 영역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실행 결과를 제3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해당 서비스에 따라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오브젝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화면상의 제4 영역에 실행 가능한 기능 또는 서비스에 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단계에서,
    디지털 수신기는 메모리에 기 저장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관한 텍스트 스트링을 독출하여 해당 기능 실행시에 이용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수신기는 상기 텍스트 스트링을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가능한 기능에는,
    방송 서비스, 웹 브라우저 서비스, 앱 스토어 서비스, 마이 앱 서비스 및 미디어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독출된 텍스트 스트링을 OSD에 그리기 전 표면에 그린 후 상기 표면을 이미지화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BMP, JPG, JPEG, 및 PNG 중 어느 하나의 포맷을 가지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헤더 부분에 상기 독출된 실제 텍스트 스트링을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26. 방송 서비스와 적어도 하나의 부가 서비스를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방송 서비스와 부가 서비스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화면상에 방송 서비스와 적어도 하나의 부가 서비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는 화면상의 제1 영역으로부터 소정 텍스트 데이터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의 이동 위치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여 획득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이동 위치가 제1 방송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화면상의 제2 영역 내이면,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관련된 제2 방송 프로그램으로 전환되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1 영역에 해당하는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수신기.
  28. 제2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행 가능한 기능에 대한 항목들을 화면상의 소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수신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서버로부터 제공된 실제 텍스트 스트링에 대한 OSD 영역인 디지털 수신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제1 영역에 해당하는 실제 텍스트 스트링을 OSD에 그리기 전 표면(surface)에 그린 후 해당 표면을 이미지화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수신기.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BMP, JPG, JPEG, 및 PNG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구성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수신기.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좌표 정보와 기 저장된 각 기능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일치하는 좌표 정보를 가진 기능을 실행하는 디지털 수신기.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EPG 서비스, 웹 브라우저 서비스, 앱 스토어 서비스, 마이 앱 서비스 및 미디어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항목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수신기.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이미지를 상기 실제 텍스트 스트링 정보를 헤더 부분에 포함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 수신기.
KR1020110072582A 2011-04-29 2011-07-21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KR101852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582A KR101852818B1 (ko) 2011-04-29 2011-07-21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EP12002938A EP2518618A1 (en) 2011-04-29 2012-04-26 Digital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3/459,699 US9250927B2 (en) 2011-04-29 2012-04-30 Digital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210135451.7A CN102761786B (zh) 2011-04-29 2012-05-02 数字接收器和用于控制该数字接收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80383P 2011-04-29 2011-04-29
US61/480,383 2011-04-29
KR1020110072582A KR101852818B1 (ko) 2011-04-29 2011-07-21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852A true KR20120122852A (ko) 2012-11-07
KR101852818B1 KR101852818B1 (ko) 2018-06-07

Family

ID=4614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582A KR101852818B1 (ko) 2011-04-29 2011-07-21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50927B2 (ko)
EP (1) EP2518618A1 (ko)
KR (1) KR101852818B1 (ko)
CN (1) CN1027617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963A (ko) * 2012-12-07 201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9090B2 (en) * 2011-02-11 2017-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CN103748871A (zh) 2012-08-17 2014-04-23 弗莱克斯电子有限责任公司 互动频道浏览与切换
US9196154B2 (en) * 2012-11-12 2015-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ing watermark
KR20140063272A (ko) * 2012-11-16 201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40173249A1 (en) * 2012-12-18 2014-06-19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system on chip processor and an external processor
US20140253814A1 (en) * 2013-03-11 2014-09-11 Sony Corporation Managing Extra Space on Ultra High Definition Display Presenting High Definition Visual Content
US10063802B2 (en) * 2013-08-28 2018-08-28 Lg Electronics Inc.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s of the same
US9438967B2 (en) 2013-11-25 2016-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24916B1 (ko) * 2014-04-18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128406A (ko) * 2014-05-09 2015-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87640A (ko) * 2015-01-14 2016-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57636B1 (en) * 2015-01-20 2018-08-21 Cox Communications, Inc. Automatic video service actions based on matching a video content item to a content identifier
KR20170025400A (ko) * 2015-08-28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D787530S1 (en) * 2015-10-14 2017-05-23 Patentcloud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6889S1 (en) * 2015-10-14 2017-05-16 Patentcloud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7529S1 (en) * 2015-10-14 2017-05-23 Patentcloud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503937B1 (ko) * 2015-12-16 2023-0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6454438B (zh) * 2016-11-16 2019-12-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的方法、相关设备以及系统
USD819057S1 (en) * 2017-01-19 2018-05-29 Patentcloud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200045094A1 (en) * 2017-02-14 2020-02-06 Bluejay Technologies Ltd. System for Streaming
GB201702386D0 (en) 2017-02-14 2017-03-29 Bluejay Tech Ltd System for streaming
USD823332S1 (en) * 2017-03-01 2018-07-17 Cox Automotive, Inc. Display screen or a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6088734A (zh) * 2021-11-05 2023-05-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窗口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080170A (zh) * 2022-06-29 2022-09-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6146A1 (en) * 2002-02-25 2003-12-04 Nathaniel Thursto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recommended content alternatives
US6816628B1 (en) * 2000-02-29 2004-11-09 Goldpocket Interactive, Inc. Methods for outlining and filling regions in multi-dimensional arrays
US20040231003A1 (en) * 1999-12-30 2004-11-18 America Online, Inc., A Delaware Corporation Informing network users of television programming viewed by other network users
US20080115169A1 (en) * 1998-08-21 2008-05-15 Ellis Michael D Client-server electronic program guide
US20090298418A1 (en) * 2008-05-29 2009-1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erformance and user experience of a mobile broadcast receiv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0498A (en) * 1995-06-06 1997-06-17 Microsoft Corporation Accessbar arbiter
US6141003A (en) * 1997-03-18 2000-10-31 Microsoft Corporation Channel bar user interface for an entertainment system
US5910802A (en) * 1997-06-11 1999-06-08 Microsoft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for handheld computing device having taskbar auto hide
US20020056098A1 (en) * 1998-06-29 2002-05-09 Christopher M. White Web browser system for displaying recently viewed television channels
US20020049978A1 (en) * 2000-10-20 2002-04-25 Rodriguez Arturo A.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and placement of media content information items on a screen display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US20050183017A1 (en) * 2001-01-31 2005-08-18 Microsoft Corporation Seekbar in taskbar player visualization mode
US7911497B2 (en) * 2003-04-25 2011-03-2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on demand
CA2576865C (en) 2004-08-09 2013-06-18 Nielsen Media Research,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monitor audio/visual content from various sources
WO2008016617A2 (en) * 2006-07-31 2008-02-0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sports watching media guidance
US8307392B2 (en) * 2007-06-11 2012-11-06 Yaho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ads during playback of video media
US20100205559A1 (en) * 2009-02-11 2010-08-12 Greg Rose Quick-launch desktop application
KR101733493B1 (ko) * 2010-12-27 2017-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공유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5169A1 (en) * 1998-08-21 2008-05-15 Ellis Michael D Client-server electronic program guide
US20040231003A1 (en) * 1999-12-30 2004-11-18 America Online, Inc., A Delaware Corporation Informing network users of television programming viewed by other network users
JP3996769B2 (ja) * 1999-12-30 2007-10-24 エイオーエル・エルエルシー 他のネットワーク・ユーザが視聴しているテレビジョン・プログラミングについてのネットワーク・ユーザへの通知
US6816628B1 (en) * 2000-02-29 2004-11-09 Goldpocket Interactive, Inc. Methods for outlining and filling regions in multi-dimensional arrays
US20030226146A1 (en) * 2002-02-25 2003-12-04 Nathaniel Thursto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recommended content alternatives
US20090298418A1 (en) * 2008-05-29 2009-12-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erformance and user experience of a mobile broadcast receiver
KR20110013534A (ko) * 2008-05-29 2011-02-0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방송 수신기의 성능 및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3963A (ko) * 2012-12-07 201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8618A1 (en) 2012-10-31
KR101852818B1 (ko) 2018-06-07
US20120274852A1 (en) 2012-11-01
CN102761786A (zh) 2012-10-31
US9250927B2 (en) 2016-02-02
CN102761786B (zh)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818B1 (ko)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제어 방법
CN111343490B (zh) 显示设备及内容推荐方法
KR101733493B1 (ko)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공유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US884799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850719B1 (ko)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464844A (zh) 一种投屏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101737555B1 (ko)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US20120054793A1 (en) Method for synchronizing contents and display device enabling the method
CN111683295A (zh) 一种内容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102348957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40841A (ko) 영상 표시기기에서 포인터 이동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CN111726673B (zh) 一种频道切换方法及显示设备
KR101784004B1 (ko)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제공/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시스템 및 장치
CN111526401B (zh)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及显示设备
KR201700475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031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검색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204060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US9606638B2 (en) Multimedia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cursor thereof
KR101880458B1 (ko) 디지털 기기 및 디지털 기기에서의 컨텐츠 처리 방법
CN111614995A (zh) 一种菜单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101758919B1 (ko)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CN113691852A (zh) 显示设备及媒资播放方法
KR101746851B1 (ko)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20140061118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CN113542885B (zh) 显示设备、服务器及媒资搜索的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