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279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791A
KR20120122791A KR1020110041155A KR20110041155A KR20120122791A KR 20120122791 A KR20120122791 A KR 20120122791A KR 1020110041155 A KR1020110041155 A KR 1020110041155A KR 20110041155 A KR20110041155 A KR 20110041155A KR 20120122791 A KR20120122791 A KR 20120122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x
sfn
extended
start offs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7197B1 (ko
Inventor
오창윤
김동규
김형종
홍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1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19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2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DRX 동작 관련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확장된 DRX 주기를 계산하는 단계; 기지국과 공유하는 설정된 카운터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확장된 DRX 주기에 따른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과 상기 확장된 DRX 주기를 기반으로 상기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특히 MTC 단말에 확장된 DRX 주기를 적용함으로써 페이징 채널 검색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A WIRELESS COUMM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 이용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주기보다 긴 주기를 갖는 불연속 수신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은 단말의 전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기법을 제안하였다. DRX 모드에서는 단말이 송수신할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하향 링크 콘트롤 채널(Downlink Control CHannel; DCCH)을 listen하는 RRC_CONNECTED 모드에서 RRC_IDLE 모드로 전환한다. RRC_IDLE 모드에서 단말은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물리 하향 링크 콘트롤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에서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 하는데 이 주기를 DRX 주기(cycle)이라 한다.
한편, 기지국은 오프셋(offset)을 이용하여 각 단말이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구간을 분산시킨다. 예를 들어, 1 번 단말은 1ms, 11ms, 21ms 등에 깨어나서 PDCCH의 수신을 시도하도록 하고, 2 번 단말은 2ms, 12ms, 22ms 등에 깨어나서 PDCCH의 수신을 시도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오프셋을 DRX 모드에서는 DRX 시작 오프셋(DRX start offset)이라 한다. 즉, 단말과 기지국은 On-duration 의 시작점을 결정하기 위해서 DRX 시작 오프셋을 이용하며, 상기 DRX 시작 오프셋은 한 셀 내에 위치한 단말들의 On-duration 시작 시점을 가능한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Long DRX 주기 혹은 Short DRX 주기가 설정된 다 수의 단말에 각기 다른 DRX 시작 오프셋을 부여하면, 상기 단말들은 서로 다른 시점에 On-duration을 시작한다.
도 1은 종래 이용되는 DRX cycle을 시간 축에 따라 도시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RRC_IDLE 모드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는 상태로 천이하는 시점인 DRX 시작 오프셋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broadcast SFN(System Frame Number) 과 연속된 두 개의 활성 모드(101, 102)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DRX cycle(103)의 modulo 연산을 통하여 결정된다.
이 때, DRX cycle(T) 은 기지국으로부터 broadcast를 통하여 수신한 default paging cycle(Tc)과 단말의 개별적인 paging cycle을 위해 dedicated signaling을 통해 수신한 UE-specific paging cycle(Tue) 중 작은 값으로 결정된다. 이를 <수학식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한편, DRX 시작 오프셋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broadcast SFN을 기반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DRX 시작 오프셋은 SFN과 DRX cycle의 modulo 연산을 통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SFN은 MIB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Broadcasting 되고 있는 시스템 프레임의 번호이다.
DRX 시작 오프셋이 계산되면, 어떤 프레임을 통하여 페이징을 할 것인지 페이징 프레임(Paging Frame; PF)을 계산한다. 이를 <수학식 2>에 나타내었다. 'mod'는 modulo 연산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이 때, N은 페이징 주기(T) 내에 몇 개의 페이징 프레임이 있는지(Number of PF)를 나타내며, N은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이 때, nPS(number of Phasing Subframe)은 한 개의 프레임에 몇 개의 서브 프레임을 페이징 프레임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의미한다. 한편, SFN은 <수학식 4>의 조건을 만족하며, <수학식 4>에서 MAX_SFN 은 SFN의 최대 값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4
한편, 결정된 페이징 프레임(PF) 내에서 어떤 서브 프레임을 사용하여 페이징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Paging Occasion(PO)은 미리 정해진 값을 이용한다.
한편, 디바이스간 통신(Machine To Machine:M2M,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이하 M2M/MTC 라 함)은 무선 통신 망을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와 전자 디바이스 간의 통신 또는 전자 디바이스와 데이터 서버 간의 통신을 의미한다. 그리고, MTC 통신에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은 정보를 송 수신하는 데 있어서, 통상의 단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주기를 갖는다. 또한, Voice call을 처리하는 등의 딜레이에 민감한 통상의 단말과 달리 MTC 단말은 정보를 송 수신하는 데 있어서 딜레이에 둔감한 특성을 갖는다.
또한, MTC 단말은 극도로 낮은 전력 소모의 특징으로 가져야한다. 종래 LTE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DRX 관련 변수들은 LTE 단말에 적합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설정 값들을 MTC 단말에 그대로 적용하게 되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MTC 단말의 전력 소모를 극소화할 수 있도록 종래 LTE 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DRX 주기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이용되는 DRX 주기보다 확장된 DRX 주기를 가지고 DRX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MTC 통신에 적용될 수 있는 확장된 DRX 주기를 이용하는 DRX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DRX 동작 관련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확장된 DRX 주기를 계산하는 단계; 기지국과 공유하는 설정된 카운터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확장된 DRX 주기에 따른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과 상기 확장된 DRX 주기를 기반으로 상기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을 수행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DRX 동작 관련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과 공유하는 설정된 카운터 값인 상위 N bits과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는 하위 M bits으로 구성되는 확장된 SFN을 수신하는 단계; 설정된 SFN의 최대 값과 상기 상위 N bits을 기반으로 확장된 DRX 주기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확장된 DRX 주기와 상기 설정된 SFN의 최대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확장된 DRX 주기에 따른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DRX 시작 오프셋과 상기 확장된 DRX 주기를 기반으로 상기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RX 동작 관련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확장된 DRX 주기를 계산하고, 기지국과 공유하는 설정된 카운터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확장된 DRX 주기에 따른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을 계산하며, 사기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과 상기 확장된 DRX 주기를 기반으로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RX 동작 관련 파라미터 및 상기 기지국과 공유하는 설정된 카운터 값인 상위 N bits과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는 하위 M bits으로 구성되는 확장된 SFN을 수신하는 수신기; 및 설정된 SFN의 최대 값과 상기 상위 N bits을 기반으로 확장된 DRX 주기를 계산하고, 상기 확장된 DRX 주기와 상기 설정된 SFN의 최대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확장된 DRX 주기에 따른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DRX 시작 오프셋과 상기 확장된 DRX 주기를 기반으로 상기 DRX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특히 MTC 단말에 확장된 DRX 주기를 적용함으로써 페이징 채널 검색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이용되는 DRX cycle을 시간 축에 따라 도시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xtended DRX cycle을 시간 축에 따라 도시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ounter를 이용한 DRX 모드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ounter를 이용한 DRX 모드에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Idle mobility를 지원할 때의 Extended SFN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xtended SFN을 이용한 DRX 모드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xtended SFN을 이용한 DRX 모드에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이동성을 갖는 MTC 단말이 비활성 모드일 때,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LTE 시스템을 기반으로 MTC 단말의 특성에 적합하게 DRX 주기를 확장하고, 확장된 DRX 주기(Extended DRX cycle)로 동작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LTE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DRX 동작이 적용될 수 있는 각 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이TEk.
통상의 통신 단말과는 다르게 MTC 단말은 데이터의 송 수신이 비교적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며, 그 주기 또한 비교적 길다. 따라서, 페이징 채널의 모니터링이 긴 주기를 가지고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MTC 단말은 통상의 통신 단말과 비교하여 보다 적은 전력 소모가 요구되며, 따라서, RRC_IDLE 모드에서의 DRX 주기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MTC 단말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DRX 주기를 조절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DRX 주기 조절에 있어서, MTC 단말의 유휴 이동성(Idle Mobility) 유무에 따라 그 적용을 가능케 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Extended DRX cycle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xtended DRX cycle을 시간 축에 따라 도시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활성화 구간(201, 202) 사이의 간격이 Extended DRX cycle(203)로 표현되고, Extended DRX cycle(203)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DRX cycle(103)에 비하여 긴 주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Extended DRX cycle(203)은 broadcast SFN의 최대 값(MAX_SFN=10.24sec)보다 커질 수 있기 때문에 DRX 시작 오프셋을 계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SFN mod T)을 이용하여서는 DRX 모드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Extended DRX cycle에 따른 DRX 모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Extended DRX cycle에 따른 DRX 모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 대한 각각의 실시 예를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Idle mobility를 지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는 Extended DRX cycle과 관련한 DRX 모드 동작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dle mobility를 지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과 MTC 단말이 공유하는 Counter를 이용하여 DRX 모드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ounter를 이용한 DRX 모드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Extended DRX cycle에 따른 DRX 모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MTC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DRX 동작 관련 파라미터를 이용한다. 상기 DRX 동작 관련 파라미터는, DRX cycle, DRX start offset 및 Counter Table Index 정보 등을 포함한다. Counter Table Index 정보는 Extended DRX cycle에 따른 Counter 값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한 Counter Table의 Index 값을 의미하며, MTC 단말은 Counter Table Index를 dedicated signaling을 통하여 전송받고, Counter Table에서 Index에 대응하는 Counter 값을 이용하여 Extended DRX cycle이 가능하도록 한다.
Extended DRX cycle은 DRX cycle(T)과 Counter Table Index에 대응하는 값(fc(Index))을 기반으로 계산할 수 있다. Extended DRX cycle를 계산하는 일 예를 <수학식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한편, 기지국과 MTC 단말은 최초 연결(connection) 시에 0으로 초기화된 MAX_SFN_Counter 값을 매 SFN 이 설정된 MAX_SFN 과 같아질 때마다 하나씩 증가시킨다. 상기 MAX_SFN_Counter 값은 기지국과 단말이 서로 공유하는 Counter 값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MAX_SFN_Counter 값을 이용하여 종래의 DRX cycle이 확장된 Extended DRX cycle로 DRX 모드 수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MTC 단말이 페이징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페이징 프레임(PF)이 MAX_SFN 단위로 몇 번째에 위치하는지와 페이징 프레임이 위치하는 해당 MAX_SFN 내에서 몇 번째 프레임이 페이징 프레임인지를 알아야 한다. 즉, Extended DRX cycle에서 on-duration을 하기 위하여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을 알아야 한다. 이를 계산하기 위한 방법을 <수학식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수학식 6>에서, 몫(Quotient)은 MAX_SFN 단위로 몇 번째에 페이징 프레임이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고, 나머지(Reminder)는 페이징 프레임이 위치하는 해당 MAX_SFN 내에서 몇 번째 프레임이 페이징 프레임인지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학식 6>로 계산되는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을 이용하여 DRX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과 MTC 단말이 MAX_SFN_Counter 값을 공유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SFN의 변형 없이 Extended DRX cycle에 따른 DRX 모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Extended DRX cycle에 따른 DRX 모드에서의 동작 과정을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ounter를 이용한 DRX 모드에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401)에서, MTC 단말과 기지국의 connection 이후 DRX mode가 설정되면, MTC 단말은 단계(403)로 진행하여 기지국과 공유하고 있는 MAX_SFN_Counter 값을 0으로 초기화한다. 이 때, 기지국도 MTC 단말과 공유하고 있는 상기 MAX_SFN_Counter 값을 0으로 초기화한다.
단계(405)에서, MTC 단말은 SFN을 수신한 후, 단계(407)로 진행한다.
단계(407)에서, MTC 단말은 SFN과 MAX_SFN을 비교한다. 만약 SFN과 MAX_SFN이 같다면 단계(40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405)로 진행하여 SFN 수신을 계속한다.
단계(409)에서, MTC 단말은 MAX_SFN_Counter 값과 상기 <수학식 6>의 Quotient 값을 비교한다. 만약 MAX_SFN_Counter 값과 Quotient 값이 같다면 단계(41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417)로 진행하여 MAX_SFN_Counter 값을 예컨대, 1씩 증가시킨 후, 단계(405)로 진행하여 SFN 수신을 계속한다. 여기서, MAX_SFN_Counter 값은 MTC 단말과 기지국이 각각 1씩 증가시킨다.
단계(411)에서, MTC 단말은 paging channel monitoring을 위하여 DRX 시작 오프셋을 계산한다. 즉, SFN mod T를 계산한 후, 단계(413)로 진행한다.
단계(413)에서, MTC 단말은 SFN mod T 값과 상기 <수학식 6>의 Reminder 값을 비교하여, SFN mod T 값과 Reminder 값이 같다면 단계(415)로 진행하여 해당 프레임에서 페이징 채널 검색을 수행한다. 즉, 해당 프레임을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 구간으로 결정한다.
한편, 단계(413)의 비교 결과 SFN mod T 값과 Reminder 값이 같은 프레임이 없다면 단계(405)로 진행하여 SFN 수신을 계속한다.
<표 1>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MAX_SFN_Counter를 이용한 Extended DRX cycle의 동작 원리를 슈도 코드(Pseudo Code)로 나타낸 것이다.
if(SFN=MAX_SFN)then
if(MAX_SFN_Counter≠Quotient)then
MAX_SFN_Counter++
elseif(MAX_SFN_Counter==Quotient) then
break
endif
endif
if(SFN mod T==Reminder)&(MAX_SFN_Counter==Quotient)
MTC Device mode=Listen
MAX_SFN_Counter=0
else
MTC Device mode=Idle
endif
이상에서는, Idle mobility를 지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는 Extended DRX cycle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Idle mobility를 지원하는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는 Extneded DRX cycle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dle mobility를 지원하는 상황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종래 이용되는 SFN을 확장하여 Extended SFN을 구성하고, 구성된 Extended SFN을 이용하여 DRX 모드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Idle mobility를 지원할 때의 Extended SFN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Extended SFN의 하위 10bits(502)은 종래 단말에서 이용되는 broadcast SFN과 동일하고, Extended DRX cycle을 구현하기 위하여 MIB의 reserved bits 중 N Bits(501)을 사용하여 총 10 + N bits의 Extended SFN(503)을 구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Idle mobility를 지원하는 상황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종래 이용되는 SFN을 확장하여 Extended SFN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Extended DRX cycle을 구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Extended SFN을 이용하여 Extended DRX cycle이 동작하는 원리를 이하에서 관련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xtended SFN을 이용한 DRX 모드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MTC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DRX 동작 관련 파라미터를 이용한다. 상기 DRX 동작 관련 파라미터는 DRX cycle 및 DRX start offset을 포함한다. 한편, MTC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Extended SFN을 수신한다.
Extneded DRX cycle(Text)은 SFN으로 표현할 수 있는 최대 값인 MAX_SFN과 Extended SFN의 상위 N bits(MSB) 값의 곱을 최대 값으로 갖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수학식 7>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8
한편, MTC 단말은 DRX 모드 동작을 위하여, 페이징 프레임(PF)이 MAX_SFN 단위로 몇 번째에 위치하는지와 페이징 프레임이 위치하는 해당 MAX_SFN 내에서 몇 번째 프레임이 페이징 프레임인지를 알아야 한다. 즉, Extended DRX cycle에서 on-duration을 하기 위하여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을 알아야 한다. 이를 계산하기 위한 방법을 <수학식 8>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수학식 8>에서, Quotient 는 MAX_SFN 단위로 몇 번째에 페이징 프레임이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이고, Reminder 는 페이징 프레임이 위치하는 해당 MAX_SFN 내에서 몇 번째 프레임이 페이징 프레임인지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Extended DRX cycle에 따른 DRX 모드에서의 동작 방법을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xtended SFN을 이용한 DRX 모드에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701)에서, MTC 단말과 기지국의 connection 이후 DRX mode 설정이 되면, MTC 단말은 단계(703)로 진행하여 Extended SFN을 수신한다.
단계(705)에서, MTC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Extended SFN의 상위 N bits 값(N bits MSB)10 을 감시하다가, N bits 값(N bits MSB)10 이 0이 될 때에 맞춰서 동작한다.
단계(707)에서, MTC 단말은 Extended SFN의 수신 동작을 계속한다.
단계(709)에서, MTC 단말은 Extended SFN의 상위 N bits 값(N bits MSB)10 과 Quotient 값을 비교한다. 만약, Extended SFN의 상위 N bits 값(N bits MSB)10 과 Quotient 값이 같다면 단계(71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707)로 진행하여 Extended SFN 수신을 계속한다.
단계(711)에서, MTC 단말은 Extended SFN의 하위 10 bits 값(10 bits LSB)10을 계산한 후, 단계(713)로 진행한다.
단계(713)에서, MTC 단말은 계산된 Extended SFN의 하위 10 bits 값(10 bits LSB)10과 Reminder 값을 비교한다. 만약, Extended SFN의 하위 10 bits 값(10 bits LSB)10과 Reminder 값이 같다면 단계(715)로 진행하여 해당 프레임에서 페이징 채널 검색을 수행한다. 즉, 해당 프레임을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 구간으로 결정한다.
한편, 단계(713)의 비교 결과 Extended SFN의 하위 10 bits 값(10 bits LSB)10과 Reminder 값이 같은 프레임이 없다면 단계(707)로 진행하여 Extended SFN의 수신을 계속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MTC 단말에서의 MRX 모드 동작을 위하여 기지국은, Extended SFN 전송 시에 Extended SFN의 하위 10 bits 값(10 bits LSB)10이 MAX_SFN 과 같다면 Extended SFN의 상위 N bits 값(N bits MSB)10 값을 1 증가시킨 후 전송한다.
<표 2>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Extended SFN을 이용한 Extneded DRX cycle의 동작 원리를 슈도 코드로 나타낸 것이다.
if((10 bits LSB)10 == Reminder)&((N bits MSB)10 == Quotient)
MTC Device mode=Listen
else
MTC device mode=Idle
endif
도 8은 이동성을 갖는 MTC 단말이 비활성 모드일 때,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성을 갖는 MTC 단말(802)이 비활성 모드일 때, 서빙 기지국(801)으로부터 타겟 기지국(803) 방향으로 이동(804)할 경우에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받고 있던 MIB 대신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MIB를 수신해야 한다.
각 기지국마다 사용하고 있는 Extended DRX cycle이 다른 경우에 서빙 기지국에서 수신된 파라미터, 즉 DRX cycle, DRX start offset을 사용할지 아니면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DRX 동작을 위한 파라미터를 새로 할당받을지 판단하기 위하여 미리 정의된 설정 값을 이용한다. 이하, 상기 설정 값을 Wrap around windows라 한다. Wrap around windows 의 크기는 MTC 서비스를 하는 시스템의 상태 및 트래픽 특성에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만약, 두 SFN의 차이, 즉 서빙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의 SFN의 차이가 Wrap around windows 보다 크다면, MTC 단말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DRX cycle, offset 및 Extended SFN을 다시 할당받아 동작한다. <수학식 9>은 이러한 동작을 표현한 것이다.
Figure pat00011
then, receive new parameter from target eNB
여기서, new SFN은 Idle mobility 시에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될 SFN으로 표현될 수 있는 최대 주기를 의미한다. Extended SFN의 bits 수에 따라 확장할 수 있는 주기의 크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new SFN은 2^(타겟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SFN의 bits 수)로 표현될 수 있다. expected SFN은 Idle mobility 시에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SFN으로 표현될 수 있는 최대 주기를 의미한다. expected SFN은 2^(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extended SFN의 bits 수)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두 SFN의 차이, 즉 서빙 기지국과 타겟 기지국의 SFN의 차이가 Wrap around windows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MTC 단말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DRX cycle, offset 및 Extended SFN을 다시 할당받을 필요 없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DRX cycle, offset 및 Extended SFN을 사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수학식 10>는 이러한 동작을 표현한 것이다.
Figure pat00012
then, using parameter received from serving eNB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 장치는 각각 DRX 모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 종 파라미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와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DRX 모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3)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DRX 동작 관련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확장된 DRX 주기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과 공유하는 설정된 카운터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확장된 DRX 주기에 따른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과 상기 확장된 DRX 주기를 기반으로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동작 관련 파라미터는,
    DRX 주기, DRX 시작 오프셋 및 카운터 테이블 인덱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를 포함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DRX 주기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DRX 주기와 상기 카운터 테이블 인덱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확장된 DRX 주기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확장된 DRX 주기와 SFN의 최대 값을 기반으로 계산된 제 1 특정 값(Quotient) 및 제 2 특정 값(Reminder)을 상기 설정된 카운터 값 및 상기 DRX 시작 오프셋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특정 값이 상기 설정된 카운터 값과 같고 상기 제 2 특정 값이 상기 확장된 DRX 주기를 상기 SFN으로 모듈로(modulo) 연산한 값과 같은 경우 해당 프레임을 상기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 구간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특정 값 및 상기 제 2 특정 값은 하기의 <수학식>에 의하여 계산되는
    <수학식>
    제 1 특정 값 = Text mod MAX_SFN,
    제 2 특정 값 = (Text - Text mod MAX_SFN) / MAX_SFN.
    (여기서, Text 는 확장된 DRX 주기, MAX_SFN 은 SFN의 최대 값)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DRX 동작 관련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과 공유하는 설정된 카운터 값인 상위 N bits과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는 하위 M bits으로 구성되는 확장된 SFN을 수신하는 단계;
    설정된 SFN의 최대 값과 상기 상위 N bits을 기반으로 확장된 DRX 주기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확장된 DRX 주기와 상기 설정된 SFN의 최대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확장된 DRX 주기에 따른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DRX 시작 오프셋과 상기 확장된 DRX 주기를 기반으로 상기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동작 관련 파라미터는,
    DRX 주기 및 DRX 시작 오프셋
    을 포합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DRX 주기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SFN의 최대 값과 상기 확장된 SFN의 상위 N bits을 기반으로 상기 확장된 DRX 주기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확장된 DRX 주기와 상기 설정된 SFN의 최대 값을 기반으로 계산된 제 1 특정 값 및 제 2 특정 값을 상기 확장된 SFN의 상위 N bits 및 하위 M bits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특정 값이 상기 확장된 SFN의 하위 M bits 값과 같고 상기 제 2 특정 값이 상기 확장된 SFN의 상위 N bits 값과 같은 경우 상기 DRX 시작 오프셋을 상기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특정 값 및 상기 제 2 특정 값은 하기의 <수학식>에 의하여 계산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수학식>
    제 1 특정 값 = Text mod MAX_SFN,
    제 2 특정 값 = (Text - Text mod MAX_SFN) / MAX_SFN.
    (여기서, Text 는 확장된 DRX 주기, MAX_SFN 은 SFN의 최대 값)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핸드 오버 수행 시에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SFN과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제공이 예상되는 SFN의 차이가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DRX 주기, DRX 시작 오프셋 및 확장된 SFN을 할당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DRX 동작 관련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확장된 DRX 주기를 계산하고, 기지국과 공유하는 설정된 카운터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확장된 DRX 주기에 따른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을 계산하며, 상기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과 상기 확장된 DRX 주기를 기반으로 상기 DRX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단말.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DRX 동작 관련 파라미터 및 상기 기지국과 공유하는 설정된 카운터 값인 상위 N bits과 프레임 번호를 나타내는 하위 M bits으로 구성되는 확장된 SFN을 수신하는 수신기; 및
    설정된 SFN의 최대 값과 상기 상위 N bits을 기반으로 확장된 DRX 주기를 계산하고, 상기 확장된 DRX 주기와 상기 설정된 SFN의 최대 값을 기반으로 상기 확장된 DRX 주기에 따른 확장된 DRX 시작 오프셋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DRX 시작 오프셋과 상기 확장된 DRX 주기를 기반으로 상기 DRX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단말.
KR1020110041155A 2011-04-29 2011-04-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1837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155A KR101837197B1 (ko) 2011-04-29 2011-04-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155A KR101837197B1 (ko) 2011-04-29 2011-04-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791A true KR20120122791A (ko) 2012-11-07
KR101837197B1 KR101837197B1 (ko) 2018-04-20

Family

ID=4750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155A KR101837197B1 (ko) 2011-04-29 2011-04-2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1376A1 (zh) * 2013-04-02 2014-10-0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激活时刻的计算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58782B1 (en) * 2007-05-23 2014-07-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ducing battery power consumption of a user equip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1376A1 (zh) * 2013-04-02 2014-10-0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激活时刻的计算方法及装置
CN104105111A (zh) * 2013-04-02 2014-10-1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激活时刻的计算方法及装置
CN104105111B (zh) * 2013-04-02 2017-11-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激活时刻的计算方法及装置
US10397866B2 (en) 2013-04-02 2019-08-27 China Academy Of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Method and device for computing activation 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197B1 (ko)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7928B2 (ja) ユーザ装置、コアネットワークエンティティ及び方法
EP3836634B1 (en) Condition for a terminal to monitor pdcch during drx cycle
US9743352B2 (en) Network node and mobile device for use in a communication network,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KR101368149B1 (ko) Cell_fach 상태에서 불연속 수신과 다운링크 주파수간 측정 및 무선 액세스 기술간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167109B (zh) 一种寻呼的监听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设备
EP26427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6648295B2 (ja) 未ライセンススペクトルにおけるページング
EP3280191B1 (en) Base station and user device
WO2019120215A1 (zh) 电能优化的方法以及装置、系统及用户设备
US10925027B2 (en) Processing method for tracking UE in low power mode, and device
US201301826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user equipment (ue) power consumption in the rrc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ed mode
CN110830225B (zh) 辅wus参数的配置方法及装置、存储介质、服务基站、终端
CN110089159B (zh) 用于非连续接收的方法和装置
JP7053802B2 (ja) 非連続受信の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EP3473053A1 (en) Soft discontinuous reception (soft drx)
WO2023013531A1 (en) User equipment, method of user equipment, network node, and mehod of network node
EP4108044A1 (en) Communications devices and methods
KR10183719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불연속 수신 동작 수행 방법 및 장치
CN112913296A (zh) 一种资源配置方法及装置
US1058808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160058692A (ko) 저지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WO2023004207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use of paging early indication in paging a 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